KR20210153792A -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3792A
KR20210153792A KR1020200070278A KR20200070278A KR20210153792A KR 20210153792 A KR20210153792 A KR 20210153792A KR 1020200070278 A KR1020200070278 A KR 1020200070278A KR 20200070278 A KR20200070278 A KR 20200070278A KR 20210153792 A KR20210153792 A KR 20210153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erilization
lighting
unit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6015B1 (ko
Inventor
곽진철
신민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200070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015B1/ko
Publication of KR20210153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60H3/0078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comprising electric purif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detection of humidity or fro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85Smell or pollution preven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Q3/68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ultraviolet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정보와 차실내의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자외선 조명을 자동적으로 점등되게 함으로써 차실내에서 오염된 부분을 살균 처리할 수 있는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는 차실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각 구역별로 서로 다른 종류의 조명을 설치하는 회전형 조명부, 상기 회전체에 대한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 상기 회전형 조명부의 각 조명에 대해 동작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인가부, 및 상기 회전형 조명부와 상기 각도 조절부에 대한 동작제어를 위해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정보를 기반으로 차실내의 환경정보를 판단한 다음, 상기 회전형 조명부와 상기 각도 조절부에 대한 동작제어를 수행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Sterilization lighting device of vehicle and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실내를 살균하기 위한 조명장치와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동정보와 차실내의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적으로 점등되는 자외선 조명을 이용하여 오염된 부분을 살균 처리할 수 있는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실내에는 각종 조명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바, 이러한 조명장치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상부 탑실링부, 및 1열 시트와 2열 시트 사이의 상부 탑실링부 등에 구비된 램프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명장치는 주로 전열램프로서 부족한 광량을 보충하여 탑승자의 편의를 도울 수 있는 용도에 한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 들어 각종 유해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발생에 따른 문제로 인해, 차량에서도 위생적인 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크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종래 공개특허 제10-2013-0021747호에는 램프하우징에 장착되어 자외선을 발광하는 유브이 엘이디, 램프하우징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형광필터, 및 램프하우징에 장착되어 형광필터를 회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실내 램프에 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유브이 엘이디는 자외선의 조사를 통해 차실내의 공간을 살균 처리함으로써 공기를 정화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종래 조명장치는 차실내에 승객의 탑승 유무와 관계없이 형광필터의 회동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자외선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는 데 한계가 있게 된다.
또한, 자외선을 외부로 조사할 수 있는 램프의 경우 차실내를 향해 직접적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면, 충돌이나 추돌 사고의 발생시 렌즈의 파손에 의해 비산되는 파편이 탑승자에게 직접적으로 상해를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의 강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공개특허 제10-2013-002174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시동정보와 차실내의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자외선 조명을 자동적으로 점등되게 함으로써 차실내에서 오염된 부분을 살균 처리할 수 있는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자외선 조명을 이용하여 차실내에서 오염된 부분을 살균 처리함에 있어 충돌시 탑승자의 안전까지 함께 보장할 수 있는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실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각 구역별로 서로 다른 종류의 조명을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다면형의 회전형 조명부, 상기 회전체에 대한 회전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각도 조절부, 상기 회전형 조명부의 각 조명에 대해 동작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전원 인가부, 및 상기 회전형 조명부와 상기 각도 조절부에 대한 동작제어를 위해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정보를 기반으로 차실내의 환경정보를 판단한 다음, 상기 회전형 조명부와 상기 각도 조절부에 대한 동작제어를 수행하여 자외선의 조사를 통해 차실내를 살균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회전체는 차실내에 위치한 차체의 배면 공간에서 마운팅부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회전형 조명부는 상기 회전체의 원주방향 둘레부위에 걸쳐 방사상의 각 구역별로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다면형의 구조체로 구성되고, 상기 다면형의 구조체는 상기 회전체의 원주방향 둘레부위에 설치되는 PCB, 및 상기 PCB에 대해 외부를 향해 장착되는 조명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회전형 조명부는 살균용 조명부와 발광용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용 조명부의 조명은 자외선을 외부로 조사하는 UV-C LED이고, 상기 발광용 조명부의 조명은 일반용 조명과 휴식용 조명 또는 무드용 조명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회전형 조명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무발광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회전형 조명부는 외부로 조사되는 빛의 확산을 위해 조명등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렌즈를 더 포함하고, 특히, 상기 렌즈 중에서 상기 살균용 조명부의 렌즈는 자외선을 투과하는 소재로서 석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렌즈는 조명등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조사되는 빛의 확산을 위해 볼록한 경사구조의 컷팅면을 갖추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동작전원의 인가에 따라 회전하는 전동모터, 및 상기 전동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상기 회전체에 대해 감속 전이하는 감속기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전원 인가부는 차량의 메인전원부로부터 동작전원을 인가받는 브러쉬, 및 상기 브러쉬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형 조명부의 조명등과 전기적으로 배선되도록 PCB와 연결되는 버스바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브러쉬는 상기 마운팅부에 대해 스프링을 매개로 배면이 탄발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버스바아는 일단부가 상기 회전형 조명부의 각 PCB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브러쉬와 접촉 가능하게 연장되어 절곡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회전형 조명부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회전체를 향해 설치되어 상기 회전형 조명부의 내부공간을 향해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쿨링팬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회전체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구멍, 및 상기 회전체에서 상기 관통구멍과 방사상으로 교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회전형 조명부의 내부공간을 향해 천공되어 PCB의 배면과 교통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를 이용한 살균방법은 차량을 원격으로 시동하는 단계, 차실내의 환경정보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환경정보를 체크하는 단계에서 차실내의 온도와 습도가 설정된 기준값을 만족하면, 시간의 경과를 카운트하며 자외선의 조사를 통해 차실내의 공간을 살균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살균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카운트된 시간이 설정된 기준값을 경과하면, 살균 처리를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차실내의 환경정보를 체크하는 단계는 차실내의 온도와 습도가 설정된 기준값을 만족하면 살균 처리를 수행하고, 차실내의 온도와 습도가 설정된 기준값을 만족하지 않으면 살균 처리를 종료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차실내의 공간을 살균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 중에서 도어의 개방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도어의 개방을 검출하면 살균 처리를 중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은 차량의 시동정보와 차실내의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차실내에 구비되는 자외선 조명을 자동적으로 점등되게 하여 오염된 부분을 살균 처리할 수 있으므로, 보다 위생적이면서 안전한 차량의 실내 공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은 차량의 원격시동과 연동하여 차실내의 오염된 부분을 살균 처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울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은 자외선 조명을 이용하여 차실내에서 오염된 부분을 살균 처리함에 있어,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외선 조명을 차체의 배면 공간으로 수납할 수 있으므로, 충돌시 비산되는 렌즈의 파편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가 차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차체의 배면 공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에서 회전형 조명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로서, 회전체와 회전형 조명부 사이의 구성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마운팅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에서 회전형 조명부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회전체와 회전형 조명부 사이의 구성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마운팅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에서 회전형 조명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로서, 회전형 조명부와 전원 인가부 사이의 구성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마운팅부와 회전체를 모두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에서 회전형 조명부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회전형 조명부와 전원 인가부 사이의 구성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마운팅부와 회전체를 모두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를 이용한 살균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를 이용한 살균방법에서 차실내의 환경정보를 체크하는 과정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참고로, 도 3 내지 도 6에서 구성의 이해를 돕기 위해 렌즈의 도시는 각각 생략하였음을 밝혀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1)는 차량에 있어 차실내에 위치한 차체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실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10), 상기 회전체(1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각 구역별로 서로 다른 종류의 조명을 설치하는 회전형 조명부(20), 상기 회전체(10)에 대한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30), 상기 회전형 조명부(20)의 각 조명에 대해 동작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인가부, 및 상기 회전형 조명부(20)와 상기 각도 조절부(30)에 대한 동작제어를 위해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정보를 기반으로 차실내의 환경정보를 판단한 다음, 상기 회전형 조명부(20)와 상기 각도 조절부(30)에 대한 동작제어를 수행하여 자외선의 조사를 통해 차실내를 살균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10)는 차실내에 위치한 차체의 배면 공간에서 마운팅부(12)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체(10)는 축 형태의 구조물로서 상기 회전형 조명부(20)를 외주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운팅부(12)에 대한 회전 가능한 지지를 위해 상기 마운팅부(12)와의 결합부위를 단차진 형태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10)는 상기 회전형 조명부(20)에 대한 방열 성능의 향상을 위해 축방향을 따라 관통구멍(10a;도 3 참조)을 형성하는 중공형 축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체(10)는 방열 성능의 극대화를 위해 상기 관통구멍(10a)과 방사상으로 교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슬롯(미도시)을 복수의 수량으로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회전체(10)에 있어 관통구멍(10a)과 슬롯은 상기 회전형 조명부(20)의 배면 부위와의 사이에 적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체(10)를 포함한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1)가 설치되는 차체는 예컨대, 탑실링부(3)와 같이 회전형 조명부(20)만이 외부를 향해 국부적으로 노출될 수 있게 하는 부위를 의미하는 것이다. 즉, 상기 살균 조명장치(1)는 상기 탑실링부(3)의 배면 공간에서 상기 회전형 조명부(20)만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탑실링부(3)는 상기 살균 조명장치(1) 중에서 회전형 조명부(20)만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미도시)를 마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형 조명부(20)는 회전체(10)의 회전에 따라 일체로 회전하는 부재로서, 상기 회전체(10)의 원주방향 둘레부위에 걸쳐 방사상의 각 구역별로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다면형의 구조체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형 조명부(20)를 구성하는 다면형의 구조체는 각각의 면부재로부터 조명에 의한 면발광을 구현할 수 있는 부위를 의미하는 것이나, 반드시 면발광을 구현할 수 있는 부위만을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예컨대, 상기 회전형 조명부(20)를 구성하는 다면형의 구조체는 상기 회전체(10)의 원주방향 둘레부위에서 내부에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상호 결합되게 설치되는 PCB(22), 및 상기 PCB(22)에 대해 외부를 향해 복수의 수량으로 장착되는 다수의 조명등(2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PCB(22)의 경우에는 배면에 방열을 위한 구조물로서 방열판(미도시)을 일체로 갖추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형 조명부(20)는 살균용 조명부(20a)와 발광용 조명부(20b)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용 조명부(20a)의 조명은 예컨대 자외선을 외부로 조사하여 세균 등의 유해물질을 살균 처리할 수 있는 UV-C LED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발광용 조명부(20b)의 조명은 일반용 조명과 휴식용 조명 또는 무드용 조명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회전형 조명부(20)는 살균용 조명부(20a)를 제외한 나머지 발광용 조명부(20b)가 특정의 용도에 부합하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형 조명부(20)는 살균용 조명부(20a)와 발광용 조명부(20b) 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부위는 외부로 빛을 조사하지 않는 무발광부(20c)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무발광부(20c)는 탑실링부와 같은 소재로서 외부로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면이 차실내의 내장재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형 조명부(20)는 외부로 조사되는 빛의 확산을 위해 조명등(24)의 전면부에 렌즈(26; 도 2 참조)를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렌즈 중에서 상기 살균용 조명부(20a)의 렌즈(26)는 다른 발광용 조명부(20b)의 렌즈의 소재와는 달리 자외선을 투과할 수 있는 소재로서 석영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렌즈(26)는 조명등(24)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조사되는 빛을 차실내 전 부위의 영역에 걸쳐 효과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볼록한 경사구조의 컷팅면을 갖추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 결과, 상기 회전형 조명부(20) 중에서 무발광부(20c)가 상기 탑실링부(3)에서 차실내를 향해 노출된 상태에서 주행이 이루어지게 되면, 주행중 충돌 및 추돌 사고의 발생에 따라 상기 회전형 조명부(20)의 살균용 조명부(20a)와 발광용 조명부(20b)에 각각 구비되는 렌즈(26)가 파손될 경우에도 파손된 렌즈(26)의 파편들이 차실내로 직접 유입되지 못하고, 상기 탑실링부(3)의 배면 공간으로 분산될 수 있게 되므로,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살균용 조명부(20a)를 이용하여 차실내를 살균 처리하지 않거나, 발광용 조명부(20b)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무발광부(20c)만이 차실내를 향해 노출되게 동작 제어함으로써 주행중 충돌이나 추돌 사고의 발생시 렌즈(26)의 파편들이 차실내 공간에서 비산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30)는 상기 회전체(10)에 대한 회전각도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하여 다면형의 구조체로 이루어진 상기 회전형 조명부(20)로부터 조사될 수 있는 광원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장치로서, 차실내에 위치한 차체의 배면 공간, 예컨대 상기 탑실링부(3)의 배면부에서 상기 회전체(10)에 대해 적정의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각도 조절부(30)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동작전원에 의해 회전하는 전동모터(32), 및 상기 전동모터(32)에 의한 회전력을 상기 회전체(10)에 대해 감속 전이하는 감속기어(34)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원 인가부(40)는 상기 회전형 조명부(20)에 구비되는 여러 종류의 조명들에 대해 각각 동작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차량의 메인전원부로부터 동작전원을 인가받는 브러쉬(42), 및
상기 브러쉬(42)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형 조명부(20)의 각 조명등(24)과 전기적으로 배선되도록 PCB(22)와 연결되는 버스바아(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브러쉬(42)는 상기 마운팅부(12)의 내부에서 배면이 스프링(46)을 매개로 탄발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상기 브러쉬(42)는 마모시에도 상기 스프링(46)으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버스바아(44)와 항상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상기 브러쉬(42)와 버스바아(44)를 경유하여 상기 회전형 조명부(20)의 PCB(22)에는 동작전원의 안정적인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버스바아(44)는 일단부가 상기 회전형 조명부(20)의 각 PCB(22)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브러쉬(42)와 접촉 가능하게 연장된 상태로 절곡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 브러쉬(42)와 버스바아(44) 사이의 전기적인 접촉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버스바아(44)는 각 PCB(22)로부터 연장되어 브러쉬(42)에 이르기까지 배선되도록 구성되는 데,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10)의 외주면을 따라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체(10)는 버스바아(44)와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해 절연소재로 구성됨은 물론일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1)는 상기 회전형 조명부(2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방열부는 상기 회전체(10)를 향해 축방향으로 설치되어 동작전원의 인가시 상기 회전형 조명부(20)의 내부공간을 향해 외부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쿨링팬(48)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방열부는 상기 회전체(10)의 축방향을 따라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구멍(10a), 및 상기 회전체(10)에서 상기 관통구멍(10a)과 반경방향을 향해 방사상으로 교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슬롯(미도시)을 포함하는 구성으로도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슬롯은 상기 회전형 조명부(20)의 배면측 내부공간을 향해 천공되어 상기 PCB(22)의 배면부위와 교통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1)는 상기 쿨링팬(48)에 의한 냉각과 함께, 상기 회전체(10)의 축방향을 따라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구멍(10a) 및 상기 관통구멍(10a)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교통 가능한 슬롯을 매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공기 유동을 통해 상기 회전형 조명부(20)에 대한 효과적인 방열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과 도 8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1)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정보를 기반으로 차실내의 환경정보를 판단한 다음, 상기 회전형 조명부(20)와 상기 각도 조절부(30)에 대한 동작제어를 수행하여 자외선의 조사를 통해 차실내를 살균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를 이용한 살균방법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다음과 같은 일련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차량의 시동이 온(On)되는 단계(S10), 상기 차량의 원격시동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온도 및 습도 등 차실내의 환경정보를 점검하여 체크하는 단계(S12), 상기 차실내의 환경정보를 체크하는 단계에서 차실내의 온도와 습도가 설정된 기준값을 만족하면, 시간의 경과를 카운트하며 자외선의 조사를 통해 차실내의 공간을 살균 처리하는 단계(S14), 상기 차실내의 공간을 살균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 중에서 도어의 개방을 검출하는 단계(S16), 상기 살균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카운트된 시간이 설정된 기준값을 경과를 판단하는 단계(S18), 및 상기 시간의 경과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살균 처리를 중단하는 단계(S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On)되는 단계(S10)는 차실내에 탑승자가 없는 상태이고, 모바일 어플의 조작이나 원격시동 스위치의 조작 등을 통해 차량의 이그니션스위치가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차실내의 환경정보를 체크하는 단계(S12)는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차실내의 온도와 습도의 정도를 각각 검출하는 것으로, 회전형 조명부(20)에 있어 살균용 조명부(20a)에 대한 점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에 해당하는 것이다. 예컨대, 이 과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실내의 온도가 5~40도이고, 습도가 70% 이상인 경우를 판단하는 과정(S121)으로서,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해 살균 처리를 수행하고(S14), 이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살균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S20) 다만, 상기에서 예시한 온도 및 습도 조건은 계절이나 날씨 등의 주변 상황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상기 차실내의 공간을 살균 처리하는 단계(S14)는 차실내의 환경정보를 체크하는 단계에서 차실내의 온도와 습도가 모두 설정된 기준값을 만족할 경우, 상기 각도 조절부(30)에 대한 구동 제어를 통해 상기 회전형 조명부(20) 중에서 살균용 조명부(20a)의 조명등(24)에 해당하는 UV-C LED를 차실내로 향하게 회전시킨 다음, 자외선의 조사를 통해 차실내의 공간을 살균 처리하는 일련의 과정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제어부는 자외선의 조사와 함께 시간의 경과를 함께 카운트하게 된다.
상기 차실내의 공간을 살균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 중에서 도어의 개방을 검출하는 단계(S16)는 도어의 개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승객의 탑승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의 개방시 살균 처리를 중단(S20)하여 자외선의 조사에 따라 수반할 수 있는 위험 상황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배제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에 해당하는 것이다.
상기 살균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 중에서 카운트된 시간이 설정된 기준값을 경과를 판단하는 단계(S18)는 자외선의 조사를 통한 차실내의 살균 처리하는 시간을 설정된 시간만큼 제한함으로써 과도한 자외선의 조사에 따라 수반될 수 있는 차실내의 내장재에 대한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일련의 과정에 해당하는 것이다. 즉, 이는 살균 처리를 수행하는 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살균 처리를 지속하는 반면에, 살균 처리를 수행하는 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살균 처리를 중단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살균 조명장치 3-탑실링부
10-회전체 12-마운팅부
20-회전형 조명부 20a-살균용 조명부
20b-발광용 조명부 20c-무발광부
22-PCB 24-조명등
26-렌즈 30-각도 조절부
32-전동모터 34-감속기어
40-전원 인가부 42-브러쉬
44-버스바아 46-스프링
48-쿨링팬

Claims (16)

  1. 차실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각 구역별로 서로 다른 종류의 조명을 설치하는 회전형 조명부;
    상기 회전체에 대한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
    상기 회전형 조명부의 각 조명에 대해 동작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인가부; 및
    상기 회전형 조명부와 상기 각도 조절부에 대한 동작제어를 위해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정보를 기반으로 차실내의 환경정보를 판단한 다음, 상기 회전형 조명부와 상기 각도 조절부에 대한 동작제어를 수행하여 자외선의 조사를 통해 차실내를 살균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차실내에 위치한 차체의 배면 공간에서 마운팅부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조명부는 상기 회전체의 원주방향 둘레부위에 걸쳐 방사상의 각 구역별로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다면형의 구조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조명부는 살균용 조명부와 발광용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조명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무발광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조명부는 외부로 조사되는 빛의 확산을 위한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살균용 조명부의 렌즈는 자외선을 투과하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외부를 향해 조사되는 빛의 확산을 위해 볼록한 경사구조의 컷팅면을 갖추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동작전원의 인가에 따라 회전하는 전동모터; 및
    상기 전동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상기 회전체에 대해 감속 전이하는 감속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원 인가부는
    동작전원을 인가받는 브러쉬; 및
    상기 브러쉬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형 조명부와 전기적으로 배선되는 버스바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상기 마운팅부에 대해 스프링을 매개로 배면이 탄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아는 일단부가 상기 회전형 조명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브러쉬와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조명부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회전체를 향해 설치되는 쿨링팬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회전체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구멍, 및 상기 회전체에서 상기 관통구멍과 방사상으로 교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회전형 조명부의 내부공간을 향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14. 차량을 원격으로 시동하는 단계;
    차실내의 환경정보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환경정보를 체크하는 단계에서 차실내의 온도와 습도가 설정된 기준값을 만족하면, 시간의 경과를 카운트하며 자외선의 조사를 통해 차실내의 공간을 살균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살균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카운트된 시간이 설정된 기준값을 경과하면, 살균 처리를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를 이용한 살균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차실내의 환경정보를 체크하는 단계는 차실내의 온도와 습도가 설정된 기준값을 만족하면 살균 처리를 수행하고, 차실내의 온도와 습도가 설정된 기준값을 만족하지 않으면 살균 처리를 종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를 이용한 살균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차실내의 공간을 살균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 중에서 도어의 개방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도어의 개방을 검출하면 살균 처리를 중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를 이용한 살균방법.
KR1020200070278A 2020-06-10 2020-06-10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KR102376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278A KR102376015B1 (ko) 2020-06-10 2020-06-10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278A KR102376015B1 (ko) 2020-06-10 2020-06-10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792A true KR20210153792A (ko) 2021-12-20
KR102376015B1 KR102376015B1 (ko) 2022-03-22

Family

ID=79033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278A KR102376015B1 (ko) 2020-06-10 2020-06-10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0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5001A (ja) * 1991-12-12 1993-12-17 Funakoshi Kk 紫外線照射装置
KR20130021747A (ko) 2011-08-23 201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실내 램프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살균 및 조명 방법
US20160175475A1 (en) * 2014-12-22 2016-06-23 Elevated Health System, LLC Ultraviolet light germicidal sanitizing system ulitilizing various room sanitizing modes
US20190091738A1 (en) * 2017-09-22 2019-03-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leaning system for a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5001A (ja) * 1991-12-12 1993-12-17 Funakoshi Kk 紫外線照射装置
KR20130021747A (ko) 2011-08-23 201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실내 램프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살균 및 조명 방법
US20160175475A1 (en) * 2014-12-22 2016-06-23 Elevated Health System, LLC Ultraviolet light germicidal sanitizing system ulitilizing various room sanitizing modes
US20190091738A1 (en) * 2017-09-22 2019-03-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leaning system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6015B1 (ko)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0155B2 (ja) 光触媒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用空調装置
KR101346576B1 (ko) 살균 엘이디 조명등
KR10201475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84608B1 (ko) 광촉매 장치
WO2016195221A1 (ko) 광촉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JP6595838B2 (ja) 空気清浄機能を有する照明装置
EP1870114A1 (en) Air purification device by means of photocatalytic reactions
KR102376015B1 (ko) 차량의 살균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KR20140141290A (ko) 조명장치
KR101888192B1 (ko) 살균기능을 갖는 인체감지 감응 센서등
KR101987397B1 (ko) 자동차용 바이오 살균 시스템 및 그 살균방법
CN107534274B (zh) 离子发生装置
KR101961762B1 (ko) 살균기능을 갖는 부드러운 광 출력의 led 매립등
KR102464330B1 (ko) 철도 차량용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 시스템
KR102079947B1 (ko) 광촉매 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26005B1 (ko) 광촉매 장치
CN212282237U (zh) 杀菌装置和汽车空调箱
JP3422397B2 (ja) 空気清浄装置
KR20210124848A (ko) 자동차용 실내 항균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113638896B (zh) 一种风扇灯
KR10221974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21346B1 (ko) 광촉매 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129198A (ko) 광촉매 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220008603A1 (en) Germicidal Lighting with reverse occupancy detection
KR20230007030A (ko) 자외선 살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