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1290A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1290A
KR20140141290A KR1020130062889A KR20130062889A KR20140141290A KR 20140141290 A KR20140141290 A KR 20140141290A KR 1020130062889 A KR1020130062889 A KR 1020130062889A KR 20130062889 A KR20130062889 A KR 20130062889A KR 20140141290 A KR20140141290 A KR 20140141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ltraviolet ray
illumination
anion
gener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2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9985B1 (ko
Inventor
김훈기
Original Assignee
지엘테크닉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엘테크닉스(주) filed Critical 지엘테크닉스(주)
Priority to KR1020130062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985B1/ko
Publication of KR20140141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6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 F21V29/65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the gas flowing in a closed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 대상이 저장되는 밀폐된 실내 공간 내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조명부; 자외선을 발생하는 자외선 발생부;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 발생부; 상기 조명부, 자외선 발생부 및 음이온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부; 상기 조명부, 자외선 발생부 및 음이온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며 상기 음이온 발생부의 살균 물질을 확산시키는 송풍부; 상기 조명부, 자외선 발생부 및 음이온 발생부의 동작을 선택하기 위하여 사람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조명장치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검출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사람의 유무 상태를 확인하여 조명부, 자외선 발생부 및 음이온 발생부의 온,오프 상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온도 검출부에 의해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LAMP DEVICE}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을 비롯한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유해균이나 오염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 공기를 항상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자외선 발생부와 음이온 발생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의 발달 및 주거 문화의 변화 등으로 보다 쾌적한 생활을 추구하게 되면서 단순히 불을 밝히기 위한 조명장치가 다양한 디자인으로 개발되어 실내 인테리어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상기 실내 인테리어에 적합한 조명장치는 백열전구와, 상기 백열전구와 비교하여 에너지 절약형으로서 널리 사용되는 형광램프가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전력 손실을 줄여주는 엘이디(led) 램프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실내 인테리어에 못지않게 실내 공기를 청정하게 유지하는 것에도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실내 및 밀폐된 공간 내의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유해균이나 오염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자외선 발생장치, 음이온 발생장치 등을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자외선 발생장치와 음이온 발생장치는, 각각 자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기 때문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균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살균 작용 시에만 이를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용 조건에 부합하면서 조명장치는 물론, 자외선 발생장치 및 음이온 발생장치 각각을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한, 효율적이면서 최적화된 구조로 설계된 기기를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684551호(2007.02.13)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청정 기능과 조명 기능을 동시에 발휘할 수 있도록 조명 기기 내에 공기 청정기를 일체로 설치하되, 스위치 모드의 자동 전환을 통해 조명 및 공기 청정의 기능을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실내 공간 내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조명부; 자외선을 발생하는 자외선 발생부;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 발생부; 상기 조명부, 자외선 발생부 및 음이온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부; 상기 조명부, 자외선 발생부 및 음이온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며 상기 음이온 발생부의 살균 물질을 확산시키는 송풍부; 상기 조명부, 자외선 발생부 및 음이온 발생부의 동작을 선택하기 위하여 사람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조명장치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검출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사람의 유무 상태를 확인하여 조명부, 자외선 발생부 및 음이온 발생부의 온,오프 상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온도 검출부에 의해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명부와 자외선 발생부는 하나의 평판 상에 배치되며, 평판의 외측 둘레면에는 조명부가 배치되고 상기 조명부가 배치된 외측 둘레면을 제외한 중심부에는 자외선 발생부가 배치되거나, 평판의 외측 둘레면에는 자외선 발생부가 배치되고 상기 자외선 발생부가 배치된 외측 둘레면을 제외한 중심부에는 조명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외선 발생부는 상기 방열부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음이온 발생부는 상기 방열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외선 발생부는 UV LED 램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음이온 발생부는 플라즈마 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명부와 자외선 발생부가 배치되는 평판에는 상기 음이온 발생부의 살균물질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방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부는 조명장치의 내부 온도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송풍 방향이 선택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부는, 상기 조명장치의 내부 온도가 설정된 기준 온도값을 초과하게 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향으로 송풍 제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부는, 상기 조명부가 점등 상태에서는 상기 조명장치의 내부 온도가 설정된 기준 온도값보다 낮을 경우에 정지하며, 상기 조명부는 소등상태이고 자외선 발생부와 음이온 발생부가 동작되는 상태에서는 조명장치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값보다 낮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에 의해 하향으로 송풍 제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에 의하면, 스위치 모드의 자동 전환을 통해 조명 및 공기 청정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고, 특히 스위치를 자동 모드로 전환시 사람의 출입을 감지센서로 감지하고 이를 통해 조명 및 공기 청정의 온,오프 상태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자외선 발생부를 통해 공기 중의 각종 유해균을 제거하며, 음이온 발생부를 통해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유해균이나 오염물질 등의 살균 정화를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실내 공기를 항상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송풍부의 송풍 방향을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 환경에 따른 공기 청정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송풍부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하게 되므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결선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방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살균해야 하는 살균 대상이 저장되는 밀폐된 실내 공간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조명부(100)와, 자외선을 발생하는 자외선 발생부(210)와,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 발생부(220)와, 상기 조명부(100), 자외선 발생부(210)와 음이온 발생부(220)의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부(300)와, 상기 조명부(100), 자외선 발생부(210)와 음이온 발생부(22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며 상기 음이온 발생부(220)의 살균 물질을 확산시키는 송풍부(400)와, 상기 조명부(100), 자외선 발생부(210) 및 음이온 발생부(220)의 동작을 선택하기 위하여 사람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부(500)와, 상기 조명장치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검출부(600) 및, 상기 감지부(500)에 의해 사람의 유무 상태를 확인하여 조명부(100), 자외선 발생부(210) 및 음이온 발생부(220)의 온,오프 상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온도 검출부(600)에 의해 상기 송풍부(40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조명부(100), 음이온 발생부(220), 방열부(300), 송풍부(400) 등을 수용하는 케이스(미도시)는 디자인적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에 따르면, 상기 조명부(100)는 백열 램프, 형광 램프, LED 램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PCB 기판(미도시)의 배면에 다수의 LED 소자(111)가 배치된 LED 램프(110)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LED 소자(111)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전극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PCB 기판과, 상기 PCB 기판의 배면에 위치한 전극회로에 부착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고출력 LED 소자(111)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PCB 기판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지계열의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LED 소자(111)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의 기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LED 램프(110)에 구비된 LED 소자(111)와 같은 광원은 빛의 직진성이 강하고 비교적 적은 배광 각도를 가지며,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광원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열부(300)의 하부에 위치한 평판(310)의 전면에 설치된다.
상기 자외선 발생부(210)는 100nm ~ 380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이 살균 대상물의 형상에 관계없이 균일하게 조사되어 각종 미생물을 살균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유해균이나 오염물질 등을 제거하는 UV LED 램프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이온 발생부(220)는 높은 에너지를 갖는 전리성 방사선이나 진공 자외선 등의 마이크로파 및 고주파를 이용하여 할로겐족 기체가 전자를 잃도록 하여 음이온을 생성시키는 플라즈마 모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이온 발생부(220)는 상기 플라즈마 방전 방식을 이용한 플라즈마 모듈뿐만 아니라, 코로나 방전 방식, 전자 방사식 등 다양한 음이온 발생기에 사용되는 음이온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플라즈마 방전 방식을 비롯한 코로나 방전 방식, 전자 방사식은 생성된 음이온의 대부분이 대기 중의 양이온과 결합 소멸되어 실질적으로 인체로 전달되는 음이온의 수가 제한적이고 인체에 해로운 오존 부산물이 생성된다는 점에서 장시간 노출될 경우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살균 작용 시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UV LED 램프도 살균 작용 시에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 발생부(210)는 상기 방열부(300)의 전면에 설치되며, 이와 달리 상기 음이온 발생부(220)는 방열부(300)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명부(100)와 상기 자외선 발생부(210)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방열부(300)의 하부에 위치한 평판(310)의 전면에 설치되는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310)의 외측 둘레면에는 조명부(100)가 배치되고 상기 조명부(100)가 배치된 외측 둘레면을 제외한 중심부에는 자외선 발생부(210)가 배치되거나, 평판(310)의 외측 둘레면에는 자외선 발생부(210)가 배치되고 상기 자외선 발생부(210)가 배치된 외측 둘레면을 제외한 중심부에는 조명부(10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부(100), 자외선 발생부(210) 및 음이온 발생부(220)의 구동 회로는 일 예로서, 국내등록번호 제0684551호, 제1207365호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열부(300)는 상기 조명부(10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외부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높이기 위한 복수의 방열핀(320)이 구비되는 히트 싱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방열부(300)에는, 송풍부(400)에 의해 음이온 발생부(320)의 살균물질이 외부로 넓게 확산되어 방출될 수 있도록 방출구(3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부(400)는 상기 방열부(300)의 평판(310)의 배면으로부터 이격 형성되며 상기 조명부(100), 자외선 발생부(210)와 음이온 발생부(22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것은 물론 상기 음이온 발생부(220)에서 생성하는 살균물질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하는 송풍팬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송풍부(400)는 상기 조명장치의 내부 온도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으로 송풍할 수 있도록 정역 회전 가능하게 제어된다.
예컨대, 상기 조명장치의 내부 온도가 설정된 기준 온도값(대략 45℃)을 초과하게 될 경우에 상기 송풍부(400)에 의해 열을 냉각시키게 되는데, 상기 조명부(100)가 점등 상태이거나 상기 자외선 발생부(210)와 음이온 발생부(220)가 동작되는 상태에 관계없이 상기 살균 대상에 직접적으로 열풍이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송풍부(400)는 상향으로 송풍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조명장치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값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 상기 음이온 발생부(220)에서 방출되는 살균물질도 이 시간만큼은 하향으로 송풍되지 않게 된다.
반대로 상기 조명부(100)가 점등상태에서, 상기 조명장치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값보다 낮을 경우에는 상기 송풍부(400)는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상기 조명부(100)는 소등상태이고 자외선 발생부(210)와 음이온 발생부(220)가 동작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조명장치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값보다 낮을 경우에는, 방출되는 살균물질이 확산될 수 있도록 상기 송풍부(400)는 하향으로 송풍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명장치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600)가 방열부(300) 내측에 설치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감지부(500)는 사람의 출입을 감지하여 제어부(700)로 하여금 조명부(100), 자외선 발생부(210)와 음이온 발생부(220)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도록 상기 제어부(7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500)는 적외선 카메라 등을 사용하여 사람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람의 출입을 감지할 수 있는 센싱수단이라면 어떠한 센싱수단도 채택 가능하다. 예컨대, 사람의 음성이나 소리를 감지하는 음성인식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스위치 모드의 수동 전환 또는 자동 전환을 통해 조명 및 공기 청정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고, 특히 스위치를 자동 모드로 전환시 사람의 출입을 감지하여 전송되는 감지부(500)의 감지 신호에 의해 조명 및 공기 청정의 온,오프 상태를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어부(7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온도 검출부(600)에 의해 송풍부(400)의 송풍 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제어부(700)에 의한 조명장치의 동작 흐름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평상 시, 살균 대상이 저장되는 밀폐된 실내에서 자외선 발생부(210)와 음이온 발생부(220)가 동작하여 자외선과 음이온이 발생되며, 살균물질이 실내 공기 중에 확산된다. 반면에, 조명부(100)는 오프 된다.
이와 같이 실내의 공기 중에 지속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하고, 음이온을 방출시켜 주는 조명장치로 인해 보관 중에 있는 살균 대상, 예컨대 식품 등의 신선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패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작업자를 비롯한 사람이 실내에 입실할 경우, 감지부(500)는 사람을 감지하게 되고, 이러한 감지 신호를 제어부(700)에 전달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조명부(100)를 작동시켜 LED 램프(110)를 점등시킴으로써 실내에 입실한 사람의 활동을 용이하게 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700)는 자외선 발생부(210)와 음이온 발생부(220)를 오프시켜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 자외선 및 음이온 발생을 차단한다.
이후, 사람이 실내에서 퇴실할 경우, 상기 감지부(500)는 사람을 감지할 수 없게 되고, 이러한 미감지 신호를 제어부(700)에 전달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조명부(100)를 오프시켜 LED 램프(110)를 소등시키는 반면 상기 자외선 발생부(210)와 음이온 발생부(220)는 작동시켜 자외선을 비롯한 음이온이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유해균이나 오염물질 등을 제거한다.
한편, 송풍부(400)는 조명장치의 내부 온도에 따라 제어부(700)에 의해 송풍 방향이 선택적으로 제어된다.
즉, 상기 조명장치의 내부 온도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으로 송풍 가능하게 제어된다.
만일 상기 조명부(100)가 점등 상태이거나 상기 자외선 발생부(210)와 음이온 발생부(220)가 동작되는 상태에 관계없이 상기 조명장치의 내부 온도가 설정된 기준 온도값을 초과하게 될 경우에 상기 송풍부(400)가 작동하여 조명장치의 내부 열을 냉각한다.
이때 상기 살균 대상에 직접적으로 열풍이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송풍부(400)는 상향으로 송풍한다.
상기 조명부(100)의 점등 상태에서, 상기 조명장치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값보다 낮을 경우에는 상기 송풍부(400)는 정지한다.
이와 달리, 상기 조명부(100)는 소등상태이고 자외선 발생부(210)와 음이온 발생부(220)가 동작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조명장치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값보다 낮을 경우에는, 살균물질이 확산될 수 있도록 상기 송풍부(400)는 하향으로 송풍한다.
한편, 스위치 모드의 수동 전환을 통해 상기 조명부(100), 자외선 발생부(210)와 음이온 발생부(220)를 동시에 온 작동시키거나 오프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LED 램프(110)로 이루어진 광원을 조명부(100)로 사용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낮은 소비 전력으로 비용 절감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발생부(210)와 음이온 발생부(220)를 구비하여 자외선을 조사하고, 음이온을 통해 살균물질을 실내에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오염물질이나 유해균으로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 신선한 실내 공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조명장치의 내부 온도에 따라 송풍부(400)의 송풍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 환경에 따른 공기 청정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송풍부(400)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하게 되므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조명부 210 : 자외선 발생부
220 : 음이온 발생부 300 : 방열부
310 : 평판 400 : 송풍부
500 : 감지부 600 : 온도 검출부
700 : 제어부

Claims (8)

  1. 실내 공간 내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조명부;
    자외선을 발생하는 자외선 발생부;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 발생부;
    상기 조명부, 자외선 발생부 및 음이온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부;
    상기 조명부, 자외선 발생부 및 음이온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며 상기 음이온 발생부의 살균 물질을 확산시키는 송풍부;
    상기 조명부, 자외선 발생부 및 음이온 발생부의 동작을 선택하기 위하여 사람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조명장치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검출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사람의 유무 상태를 확인하여 조명부, 자외선 발생부 및 음이온 발생부의 온,오프 상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온도 검출부에 의해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와 자외선 발생부는 하나의 평판 상에 배치되며, 평판의 외측 둘레면에는 조명부가 배치되고 상기 조명부가 배치된 외측 둘레면을 제외한 중심부에는 자외선 발생부가 배치되거나,
    평판의 외측 둘레면에는 자외선 발생부가 배치되고 상기 자외선 발생부가 배치된 외측 둘레면을 제외한 중심부에는 조명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생부는 상기 방열부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음이온 발생부는 상기 방열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생부는 UV LED 램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음이온 발생부는 플라즈마 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와 자외선 발생부가 배치되는 평판에는 상기 음이온 발생부의 살균물질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방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조명장치의 내부 온도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송풍 방향이 선택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상기 조명장치의 내부 온도가 설정된 기준 온도값을 초과하게 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향으로 송풍 제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상기 조명부가 점등 상태에서는 상기 조명장치의 내부 온도가 설정된 기준 온도값보다 낮을 경우에 정지하며,
    상기 조명부는 소등상태이고 자외선 발생부와 음이온 발생부가 동작되는 상태에서는 조명장치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값보다 낮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에 의해 하향으로 송풍 제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130062889A 2013-05-31 2013-05-31 조명장치 KR101539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2889A KR101539985B1 (ko) 2013-05-31 2013-05-31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2889A KR101539985B1 (ko) 2013-05-31 2013-05-31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290A true KR20140141290A (ko) 2014-12-10
KR101539985B1 KR101539985B1 (ko) 2015-07-30

Family

ID=52458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2889A KR101539985B1 (ko) 2013-05-31 2013-05-31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98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261B1 (ko) * 2015-03-26 2015-06-09 정관선 공기살균기능을 갖는 스마트 led 등기구
WO2020111877A1 (ko) * 2018-11-30 2020-06-04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인체 내 기능성 물질 합성용 광 조사 장치
KR102141005B1 (ko) * 2019-08-21 2020-08-04 (주)에이치비라이팅 플라즈마 발생 구조의 엘이디 조명 장치
CN111632465A (zh) * 2020-06-18 2020-09-08 佛山紫熙慧众科技有限公司 深紫外线杀菌装置
CN114963065A (zh) * 2022-06-02 2022-08-30 浙江大学医学院附属第一医院 一种设有隔热结构的小鼠趋光实验用led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383B1 (ko) * 2016-11-03 2018-06-1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경 감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797B1 (ko) * 2008-04-23 2009-03-31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장 매립형 공기 살균 및 소독장치
KR101217520B1 (ko) * 2009-12-22 2013-01-02 에너진(주) 발광 다이오드 조명의 방열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261B1 (ko) * 2015-03-26 2015-06-09 정관선 공기살균기능을 갖는 스마트 led 등기구
WO2020111877A1 (ko) * 2018-11-30 2020-06-04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인체 내 기능성 물질 합성용 광 조사 장치
US11517764B2 (en) 2018-11-30 2022-12-06 Seoul Viosys Co., Ltd. Light irradiation device for synthesis of functional substance in a human body
KR102141005B1 (ko) * 2019-08-21 2020-08-04 (주)에이치비라이팅 플라즈마 발생 구조의 엘이디 조명 장치
CN111632465A (zh) * 2020-06-18 2020-09-08 佛山紫熙慧众科技有限公司 深紫外线杀菌装置
CN114963065A (zh) * 2022-06-02 2022-08-30 浙江大学医学院附属第一医院 一种设有隔热结构的小鼠趋光实验用led灯
CN114963065B (zh) * 2022-06-02 2024-03-22 浙江大学医学院附属第一医院 一种设有隔热结构的小鼠趋光实验用led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9985B1 (ko) 2015-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9985B1 (ko) 조명장치
US9707310B2 (en) Air cleaning device, air cleaning method using the air cleaning device, and air cleaning system
JP6250155B2 (ja) 光触媒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用空調装置
US20070053188A1 (en) LED ultraviolet air sanitizer light fixture
KR102219356B1 (ko) 자외선 공기 살균기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WO2016195221A1 (ko) 광촉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84608B1 (ko) 광촉매 장치
WO2017003205A1 (ko) 공기정화 선도유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772744B1 (en) Air-flow activated germicidal UV-C lights in HVAC system
JP2018162898A (ja) 空気調和装置
KR20130135675A (ko)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뚜껑장치
US20210369905A1 (en) White light led light bulbs for ambient lighting and pathogen inactivation
KR20170009386A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엘이디조명장치
KR20170140527A (ko) 공기조화기
KR102087802B1 (ko) 선풍기 겸용 엘이디 등기구
KR20170030166A (ko) 살균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US20220047739A1 (en) Modular ultraviolet light panel
KR101767510B1 (ko) 조명 장치
JP3231945U (ja) 殺菌灯構造
US20220062491A1 (en) Air treatment system with airflow detection
JP2022181188A (ja) Uvc led除菌装置
CN211695153U (zh) 紫外灯杀菌模块及空调器
KR20220018694A (ko) 조명등장치
CN108506825B (zh) 照明器具
CN216536212U (zh) 吸顶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