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0526A - 펜형 컴퍼스 - Google Patents

펜형 컴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0526A
KR20210150526A KR1020217036557A KR20217036557A KR20210150526A KR 20210150526 A KR20210150526 A KR 20210150526A KR 1020217036557 A KR1020217036557 A KR 1020217036557A KR 20217036557 A KR20217036557 A KR 20217036557A KR 20210150526 A KR20210150526 A KR 20210150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m
main body
fixing
compass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6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2148B1 (ko
Inventor
도모코 세키
Original Assignee
레이메이후지이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메이후지이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레이메이후지이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150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9/00Circular curve-drawing or like instruments
    • B43L9/02Comp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9/00Circular curve-drawing or like instruments
    • B43L9/16Features common to compasses, dividers, and callipers
    • B43L9/24Means for mounting points or writing appliances on leg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과제] 휴대성이 우수하고, 교환심의 보관이나 운반 및 심의 교환 등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며, 교환심이나 부품의 분실을 막는 펜형 컴퍼스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침측 본체(12)와, 심측 본체(11)를 구비한 펜형 컴퍼스로서, 침측 본체(12) 또는 심측 본체(11) 중 한쪽 본체의 내측에, 심(교환심)(31)을 수납하는 심 홀더(19)를 구비하고, 심 홀더(19)를 개폐하는 도어부(34)가, 심 홀더(19)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쪽의 본체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펜형 컴퍼스이며, 또한, 심을 유지하는 심 고정부(15)와, 심 고정부(15)를 고정하는 심 고정용 너트(14)를 가지고, 심측 본체(11)의 내측에, 심 고정부(15)를 수납하는 오목부(17)와, 상기 오목부(17)로부터 심측 본체(11)의 측면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관통 구멍(171)이 형성되고, 심 고정부(15)가, 오목부(17)에 수납된 상태에서, 관통 구멍(171)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며, 심 고정용 너트(14)에 맞춤 결합하는 돌출부(153)를 구비한 펜형 컴퍼스로 한다.

Description

펜형 컴퍼스
본 발명은 휴대성이 우수한 펜형 컴퍼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심의 보관이나 운반 및 심의 교환 등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며, 교환심이나 부품을 분실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펜형 컴퍼스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의 설명]
종래, 운반이 편리한 컴퍼스로서, 펜형이며 캡을 구비한 펜형 컴퍼스가 있다.
펜형 컴퍼스는, 본체의 다리부를 오므린 경우에 필기구와 같은 대략 원기둥 형상이 되며, 침이나 심이 부착된 선단부를 보호하는 캡이 마련된 것이다.
캡을 장착함으로써, 침이나 심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으며, 펜 케이스에 수납한 경우에 다른 물품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고, 또한 컴퍼스의 선단 부분을 보호할 수 있어, 휴대에 편리한 것이 된다.
[관련기술]
또한, 컴퍼스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는,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3178069호 공보 「컴퍼스」(특허문헌 1),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3179264호 공보 「컴퍼스」(특허문헌 2), 일본 실용 신안 공개 소화60-141289호 공보 「연필심이 보이는 컴퍼스」(특허문헌 3)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펜형의 컴퍼스이며, 심의 송출 장치를 구비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침이 흑색으로 형성되며, 연필을 부착할 수 있는 컴퍼스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교환심을 내장할 수 있는 컴퍼스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317806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3179264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실용 신안 공개 소화60-141289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펜형 컴퍼스에서는, 교환심을 본체와는 별도의 작은 케이스(용기) 등에 수납하는 것이 많아, 컴퍼스 본체와 함께 가지고 다니는 것이 번잡하며, 필요할 때에 곧바로 심을 교환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또한, 교환심을 분실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심을 본체에 고정하는 부분의 부품이 미세하고, 부품 개수가 많기 때문에, 심의 착탈이나 위치(높이) 결정의 조작이 복잡하며 조작이 어렵고, 부품을 분실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3에는, 교환심을 본체 내부에 유지할 수 있고, 심을 고정하는 부품의 형상을 변경하여, 부품 개수를 줄이고, 심의 착탈 조작을 용이하게 하여, 교환심이나 부품의 분실을 막는 것은 기재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교환심을 본체 내부에 유지하여 필요할 때에 곧바로 심을 교환할 수 있으며, 심을 본체에 고정하는 부분의 부품 개수를 줄여, 조작을 쉽게 하고, 교환심이나 부품의 분실을 막을 수 있는 펜형 컴퍼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종래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침이 마련된 다리부가 되는 침측 본체와, 심이 부착되는 다리부가 되는 심측 본체를 구비하고, 침측 본체와 심측 본체를 맞추어 오므리면, 대략 원통 형상의 펜형이 되는 펜형 컴퍼스로서, 침측 본체 또는 심측 본체 중 한쪽의 본체의 내측에, 심을 수납하는 심 홀더를 구비하고, 심 홀더를 개폐하는 도어부가, 심 홀더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쪽의 본체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펜형 컴퍼스에 있어서, 심 홀더가 대략 캡슐 형상이며, 심 홀더가 마련된 한쪽의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심 홀더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쪽의 본체를 향하여 돌출하여 마련되고, 다른쪽의 본체의 내측에, 돌출한 부분을 수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펜형 컴퍼스에 있어서, 심 홀더의 도어부가, 캡슐 형상의 원통 부분의 원둘레를 따라 슬라이드하여 개폐한다.
상기 종래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침이 마련된 다리부가 되는 침측 본체와, 심이 부착되는 다리부가 되는 심측 본체를 구비하고, 침측 본체와 심측 본체를 맞추어 오므리면, 대략 원통 형상의 펜형이 되는 펜형 컴퍼스로서, 심을 유지하는 심 고정부와, 심 고정부를 심측 본체에 고정하는 심 고정용 너트를 가지고, 심측 본체의 내측에, 심 고정부를 수납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로부터 심측 본체의 측면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심 고정부가, 오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관통 구멍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며, 심 고정용 너트에 맞춤 결합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펜형 컴퍼스에 있어서, 심 고정부가, 심이 삽입되는 심 삽입 구멍에 대략 평행하게 슬릿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펜형 컴퍼스에 있어서, 오목부가, 관통 구멍을 향하여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심 고정부가, 돌출부를 향하여 가늘어지도록 형성되고, 심 고정부가 오목부에 수납되며, 돌출부가 관통 구멍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심 고정용 너트가 돌출부에 맞춤 결합하여 조여지면, 심 고정부의 돌출부가 마련된 단부보다 굵은 부분의 측면이 오목부의 내벽에 압박되어 체결되고, 슬릿이 닫힌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펜형 컴퍼스에 있어서, 심 고정부 및 심 고정용 너트가 탄성을 구비한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펜형 컴퍼스에 있어서, 침측 본체의 내측에, 심을 수납하는 심 홀더를 구비하고, 침측 본체와 심측 본체를 오므린 상태에서는, 심 홀더의 도어부가, 심측 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수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침이 마련된 다리부가 되는 침측 본체와, 심이 부착되는 다리부가 되는 심측 본체를 구비하고, 침측 본체와 심측 본체를 맞추어 오므리면, 대략 원통 형상의 펜형이 되는 펜형 컴퍼스로서, 침측 본체 또는 심측 본체 중 한쪽의 본체의 내측에, 심을 수납하는 심 홀더를 구비하고, 심 홀더를 개폐하는 도어부가, 심 홀더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쪽의 본체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는 펜형 컴퍼스로 함으로써, 본체의 내부에 심 홀더를 마련하기 때문에, 교환심을 본체 내부에 수납하여 본체와 함께 운반할 수 있고, 필요할 때에 곧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교환심의 분실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심 홀더가 대략 캡슐 형상이며, 심 홀더가 마련된 한쪽의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심 홀더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쪽의 본체를 향하여 돌출하여 마련되고, 다른쪽의 본체의 내측에, 돌출한 부분을 수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펜형 컴퍼스로 함으로써, 수납 용적을 크게 하여, 복수개의 심을 저장할 수 있고, 침측 본체와 심측 본체를 오므린 상태에서는 펜형을 유지하여 휴대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심 홀더의 도어부가, 캡슐 형상의 원통 부분의 원둘레를 따라 슬라이드하여 개폐하는 상기 펜형 컴퍼스로 함으로써, 간이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개폐 조작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침이 마련된 다리부가 되는 침측 본체와, 심이 부착되는 다리부가 되는 심측 본체를 구비하고, 침측 본체와 심측 본체를 맞추어 오므리면, 대략 원통 형상의 펜형이 되는 펜형 컴퍼스로서, 심을 유지하는 심 고정부와, 심 고정부를 심측 본체에 고정하는 심 고정용 너트를 가지고, 심측 본체의 내측에, 심 고정부를 수납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로부터 심측 본체의 측면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심 고정부가, 오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관통 구멍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며, 심 고정용 너트에 맞춤 결합하는 돌출부를 구비한 펜형 컴퍼스로 함으로써, 돌출부를 관통 구멍에 삽입하면, 심 고정부를 누르고 있지 않아도 본체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어, 심의 교환이나 길이 조정 등의 조작을 대폭 용이하게 하며, 부품 개수를 삭감하여 부품의 분실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심 고정부가, 심이 삽입되는 심 삽입 구멍에 대략 평행하게 슬릿을 구비한 상기 펜형 컴퍼스로 함으로써, 심 고정용 너트가 풀어진 상태에서는 심의 출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심 고정용 너트가 조여지면 슬릿이 닫혀 심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오목부가, 관통 구멍을 향하여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심 고정부가, 돌출부를 향하여 가늘어지도록 형성되고, 심 고정부가 오목부에 수납되며, 돌출부가 관통 구멍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심 고정용 너트가 돌출부에 맞춤 결합하여 조여지면, 심 고정부의 돌출부가 마련된 단부보다 굵은 부분의 측면이 오목부의 내벽에 압박되어 체결되고, 슬릿이 닫히는 상기 펜형 컴퍼스로 함으로써, 심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심 고정부 및 심 고정용 너트가 탄성을 구비한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펜형 컴퍼스로 함으로써, 손가락 익힘이 좋고, 미끄러지기 어려워, 조작하기 쉽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컴퍼스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컴퍼스의 선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설명도이다.
도 3은 심측 본체(11)의 내측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침측 본체(12)의 내측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심측 본체(11)의 선단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심 고정용 너트를 푼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7은 심 고정용 너트를 조인 상태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8은 심 홀더(19)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눈금부의 구성(1)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눈금부의 구성(2)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의 개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펜형 컴퍼스(본 컴퍼스)는, 침이 마련된 침측 본체와, 심이 부착되는 심측 본체를 구비하고, 침측 본체와 심측 본체를 맞추어 오므리면, 대략 원통 형상의 펜형이 되는 것이며, 침측 본체 또는 심측 본체 중 한쪽의 본체의 내측에, 교환심을 수납하는 심 홀더를 구비하고, 심 홀더를 개폐하는 도어부가, 심 홀더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쪽의 본체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것이며, 교환심을 컴퍼스 본체의 내부에 유지할 수 있어, 필요할 때에 곧바로 심을 교환할 수 있으며, 교환심의 분실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컴퍼스는, 심측 본체의 선단부 내측에, 심을 유지하는 심 고정부가 수납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로부터 심측 본체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에 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심 고정부가, 오목부에 수납되며, 일부가 관통 구멍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고, 상기 돌출한 부분이 심 고정용 너트와 맞춤 결합하여 조여짐으로써, 심 고정부가 오목부의 내벽에 압착되어 심이 고정되는 구성이며, 심 고정부를 하나의 부품으로서 구성하고, 부품 개수를 삭감하여 조작을 용히하게 하며, 부품의 분실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컴퍼스는, 심 고정부의 축방향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심 고정용 너트를 푼 상태에서는 슬릿이 열려 심의 출납을 용이하게 하며, 심 고정용 너트를 조인 상태에서는 슬릿이 닫혀 심을 고정할 수 있어, 간이한 구성으로서 조작을 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컴퍼스는, 오목부의 단면 형상이, 관통 구멍을 향하여 가늘어지도록 형성되며, 심 고정부의 단면 형상이 돌출부를 향하여 가늘어지도록 형성되고, 심 고정용 너트를 조임으로써, 심 고정부가 오목부 내벽으로부터 강하게 눌려 슬릿이 닫혀, 심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형태에 따른 펜형 컴퍼스의 개략 구성: 도 1]
본 컴퍼스의 개략 구성에 대해서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컴퍼스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컴퍼스는, 본체(1)와, 본체(1)의 선단부에 씌우는 캡(2)을 구비하고, 다리부를 오므린 상태에서는, 볼펜 등의 필기구와 매우 비슷한 형상이 된다.
또한, 본 컴퍼스는, 본체(1)의 다리부에 샤프 펜슬이나 연필을 고정하는 구성이 아니라, 컴퍼스용의 심을 유지하는 구성(심 타입)으로 되어 있다.
본체(1)는, 아연 다이캐스트 등으로 형성되고, 중심부(10)와, 심측 본체(11)와, 침측 본체(12)와, 본체 접속부(13)와, 심 고정용 너트(14)를 구비하고 있다.
중심부(10)는, 상단에 손잡이를 구비하며, 내부에 손잡이를 컴퍼스의 중심에 고정하는 중심기를 구비하고, 심측 본체(11)와 침측 본체(12)의 상단을 수납하여 유지한다.
심측 본체(11)는, 본 컴퍼스의 한쪽의 다리부이고, 선단에 심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침측 본체(12)는, 본 컴퍼스의 다른쪽의 다리부이고, 선단에 침이 마련되어 있다.
본체 접속부(13)는, 나사와 너트를 구비하고, 중심부(10)의 내부에 심측 본체(11)와 침측 본체(12)의 상단부가 수납된 상태에서, 심측 본체(11)와 침측 본체(12)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한다. 본체 접속부(13)의 너트는, 도 1의 이면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심측 본체(11) 및 침측 본체(12)는, 본체 접속부(13)에서 접속된 점을 중심으로 하여 벌리고 오므릴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심측 본체(11) 및 침측 본체(12)는, 중심기에 의해, 동일한 각도만큼 벌어지도록 되어 있고, 이에 의해, 중심부(10)의 손잡이가 항상 본 컴퍼스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심 고정용 너트(14)는, 내부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심 고정부의 돌출부와 맞춤 결합한다. 또한, 심 고정용 너트(14)는, 탄력성이 있는 POM(polyacetal; 폴리아세탈) 수지로 형성되어 있어, 손에 익기 쉬워 조작하기 쉬운 것이다.
캡(2)은, 폴리프로필렌(PP),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등으로 형성되고, 심측 본체(11) 및 침측 본체(12)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선단부에 씌워져,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본 컴퍼스의 선단부의 구성: 도 2]
본 컴퍼스의 선단부의 구성에 대해서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컴퍼스의 선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설명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컴퍼스의 선단부는, 심측 본체(11)의 선단에는, 심(31)이 돌출하고, 침측 본체(12)의 선단에는, 침(32)이 돌출하고 있다. 심(31)은 소모한 경우에 교환하기 위해 착탈 가능하지만, 침(32)은 침측 본체(12)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심측 본체(11)의 측면에 마련된 관통 구멍으로부터, 심(31)을 고정하는 심 고정부(15)의 일부가 돌출하고, 심 고정부(15)의 돌출한 부분에, 심 고정용 너트(14)가 맞춤 결합하여, 심(31)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심 고정부(15) 및 심 고정용 너트(14)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심측 본체(11)와 침측 본체(12)가 접촉하는 부분에는, 오므린 상태로부터 양 본체를 벌릴 때에 조작하기 쉽도록, 패임부(16)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심측 본체(11)에는 패임부(16a)가 마련되고, 침측 본체(12)에는, 패임부(16b)가 마련되어 있다.
패임부(16a, 16b)는, 도 2의 이면에도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심측 본체(11)의 내측: 도 3]
다음에, 심측 본체(11)의 내측의 구성에 대해서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심측 본체(11)의 내측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측 본체(11)의 내측은, 상부는 공동으로 되어 있고, 하부에는, 심(31)을 유지하기 위한 심 고정부(15)가 수납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심측 본체(11)의 측면에는, 심 고정부(15)의 일부가 돌출하는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관통 구멍은, 침측 본체(12)와 접촉하는 면(접촉면)에 대략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침측 본체(12)의 내측: 도 4]
다음에, 침측 본체(12)의 내측의 구성에 대해서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침측 본체(12)의 내측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측 본체(12)의 내측에는, 교환심을 수납하는 심 홀더(19)가 마련되어 있다. 심 홀더(19)에는, 교환심을 3∼4개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심 홀더(19)를 마련함으로써, 교환심을 본체와 함께 갖고 다니는 것이 가능해져, 수시 심(31)의 교환을 행할 수 있고, 교환심을 컴퍼스 본체와는 별도의 용기로 유지할 필요가 없어, 교환심의 분실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심 홀더(19)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심측 본체(11)의 선단 부분의 구성: 도 5]
다음에, 심측 본체(11)의 선단 부분의 구성에 대해서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심측 본체(11)의 선단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측 본체(11)의 선단 부분 내측에는, 심 고정부(15)가 수납되는 오목부(17)가 형성되고, 또한, 오목부(17)로부터 심측 본체(11)의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171)과, 심 고정부(15)에 유지된 심(31)이 수납되는 심 수납부(172)가 형성되어 있다.
심(31)은, 심 수납부(172) 내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어, 심(31)의 길이(심측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의 길이)의 조절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오목부(17)의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심(31)을 유지하는 심 고정부(15)는, 내부에 심(31)을 유지하는 공동을 구비한 다각 기둥의 본체 부분과, 관통 구멍(171)에 끼워 넣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심 고정부(15)의 구성은 후술하는데, 오목부(17)에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침측 본체(12)에 접촉하는 면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면에, 축방향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즉 슬릿은, 심이 삽입되는 구멍에 대략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다.
본 컴퍼스에 있어서의, 심(31)을 착탈하고, 고정 유지하는 구성에 대해서 도 6,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심 고정용 너트를 푼 상태: 도 6]
먼저, 심 고정용 너트(14)를 푼 상태에 대해서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심 고정용 너트를 푼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6에서는, 본 컴퍼스의 심측 본체(11)의 관통 구멍(171)이 마련된 부분을 가로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고 있고, 도 6의 하측의 면이, 침측 본체(12)에 접촉하는 접촉면이며, 상측의 반원형의 면이 심측 본체(11)의 측면이 된다.
그리고, 도 6에서는, 심측 본체(11)에 심 고정부(15)를 삽입하여, 심 고정용 너트(14)를 푼 상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심측 본체(11)에는, 오목부(17)와,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171)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측 본체(11)의 내측에는, 오목부(17)가 형성되고, 그 안에 심 고정부(15)가 수납되어 있다.
심 고정부(15)는, 내부에 심(31)을 삽입하는 심 삽입 구멍(151)을 구비하고, 심 삽입 구멍(151)으로부터 접촉면(도 6에서는 하측의 면)을 향하여 슬릿(152)이 형성되어 있다.
심 고정용 너트(14)를 푼 상태에서는, 슬릿(152)이 열려, 심(31)의 출납이 용이해지는 것이다.
심(31)은, 심 삽입 구멍(151)에 삽입되어, 관통하는 경우에는, 심측 본체(11)의 심 수납부(172)에 수납된다.
또한, 심 고정부(15)는, 슬릿(152)과는 반대측이 되는, 심측 본체(11)의 관통 구멍(171)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53)를 구비하고 있다.
돌출부(153)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심 고정용 너트(14)의 나사홈과 맞춤 결합한다.
심 고정부(15)도, 심 고정용 너트(14)와 동일한 엘라스토머 수지로 형성되어 있어, 손가락 익힘이 좋아, 취급하기 쉬운 것이다.
그리고, 본 컴퍼스에서는, 심 고정부(15)의 단면 형상은, 접촉면을 일변으로 하는 다각형으로 하여, 상변이 좁고, 하변(접촉면)이 넓은 형상으로 한다. 즉, 돌출부(153)를 향하여 가로폭이 좁아져, 형상이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도 6에서는 육각형의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접촉면을 일변으로 하는 사다리꼴이나 팔각형이어도 좋다.
심측 본체(11)의 오목부(17)는, 심 고정부(15)의 단면 형상을 따라 한층 크게 형성되어 있고, 관통 구멍(171)을 향하여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171)은, 오목부(17)로부터 접촉면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71)에는, 심 고정부(15)의 돌출부(153)가 삽입된다.
종래는, 심을 부착하는 구성으로서, 심을 유지하는 부품과, 그것을 컴퍼스 본체에 접속하는 나사 부품, 또한 이들을 고정하는 너트 부품으로 나뉘어 있어, 심을 유지하는 부품이 컴퍼스 본체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누르면서, 나사 부품 및 너트 부품을 잘 조작하여 심을 고정해야 했다.
본 컴퍼스는, 심 고정부(15)에 돌출부(153)를 구비하여, 심을 유지하는 부분(심 고정부(15)의 본체)과, 컴퍼스 본체에 접속하는 부분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심 고정부(15)의 돌출부(153)를 심측 본체(11)의 관통 구멍(11)에 삽입하면, 손으로 강하게 유지하지 않아도 심 고정부(15)가 본체로부터 떨어지는 일이 없어, 심의 착탈 조작을 현저히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 고정용 너트(14)를 푼 상태에서는, 심 고정부(15)와 오목부(17)의 내벽 사이에 간극이 있고, 슬릿(152)도 열린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심(31)을 심 삽입 구멍(151)에 착탈하거나, 위치(높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심 고정용 너트를 조인 상태: 도 7]
다음에, 심 고정용 너트(14)를 조인 상태에 대해서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심 고정용 너트를 조인 상태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 고정용 너트(14)를 조여 가면, 심 고정용 너트(14)가 내려가 심측 본체(11)의 측면에 접하고, 더욱 조여 가면, 심 고정부(15)가 들어 올려져 간다.
이때, 심 고정부(15)의 본체가 관통 구멍(171) 쪽으로 들어 올려짐으로써, 상변에 비해서 폭이 넓은 중간 부분의 표면이 심측 본체(11)의 오목부(17)의 내벽에 압박되게 된다.
도 7의 예에서는, 심 고정부(15)의 2개의 사변이, 오목부(17)의 내벽에 압박되어, 내향의 힘이 가해져 변형됨으로써, 슬릿(152)이 닫힌다.
이에 의해, 심 삽입 구멍(152)으로부터 심(31)이 빠지는 일없이, 고정되는 것이다.
심 고정부(15) 및 오목부(17)의 단면 형상을, 관통 구멍(171)을 향하여 가로폭이 좁아지도록 형성하고 있음으로써, 심 고정부(15)의 표면이 효율적으로 오목부(17)의 내벽에 압박되어, 심(31)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심 홀더(19)의 구성: 도 8]
다음에, 심 홀더(19)의 구성에 대해서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심 홀더(19)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 홀더(19)는, 침측 본체(12) 또는 심측 본체(11)의 내측의 공간에 마련되어, 심(교환심)(31)을 유지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심 홀더(19)가 침측 본체(12)에 마련된 예에 대해서 설명하는데, 심측 본체(11)에 마련되는 경우도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여,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 홀더(19)는, 침측 본체(12)의 내측(심측 본체(11)에 대향하는 측)의 공간에 마련되며, 도어부(34)와, 도어부(34)를 유지하는 고정부(33a, 33b)를 구비하고 있다. 심 홀더(19)의 외형은, 전체로서 캡슐 형상이고, 길이 방향의 치수가 약 35∼40 ㎜, 짧은 길이 방향의 치수가 약 7∼8 ㎜로 형성되어 있다. 심(31)을 수납하는 공간의 길이는 약 23 ㎜이고, 약 20 ㎜의 길이의 심을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심 홀더(19)는, 캡슐 형상의 약 절반(세로 절반)이, 침측 본체(12)의 내부에 수납되고, 나머지 절반이, 침측 본체(12)로부터 심측 본체(11) 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심 홀더(19)에 있어서의 수납 용적을 크게 할 수 있어, 교환심을 복수개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교환심뿐만 아니라, 심 고정부(15)에 삽입 가능한 침을 별도 부품으로서 준비해 두고, 심 홀더(19)에 수납해 두는 것도 가능하고, 심(31) 대신에 침을 이용함으로써, 본 컴퍼스를 디바이더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고정부(33a, 33b)는, 돌출한 부분의 상부와 하부에 마련되고, 침측 본체(12)의 내측에 고정되며, 도어부(34)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고정부(33a)의 하측면, 고정부(33b)의 상측면에는 홈이 마련되어 있고, 도어부(34)의 돌기부가 이들 홈에 맞춤 결합하고 있다.
도어부(34)는, 반원통 형상이며, 상단의 돌기부가 고정부(33a)의 홈에 맞춤 결합하고, 하단의 돌기부가 고정부(33b)의 홈에 맞춤 결합하고, 도 8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심 홀더(19)를 개폐한다. 즉, 도어부(34)는, 캡슐 형상의 심 홀더(19)의 원통 부분의 원둘레를 따라 회전하여, 심 홀더(19)를 개폐하는 것이다.
도어부(34)는, 회전하면, 심 홀더(19)의 침측 본체(12)에 수납된 부분의 내벽을 따르도록 수납되어, 심 홀더(19)가 개방 상태가 된다.
심 홀더(19)의, 돌출한 반캡슐 형상 부분(도어부(34)를 포함함)은, 본 컴퍼스를 오므린 상태에서는, 심측 본체(11)의 내측의 공동에 수납된다. 이에 의해, 심 홀더(19)를 마려하여도, 본 컴퍼스를 오므린 상태에서는 펜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 교환심을 깔끔하게 격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컴퍼스는, 오므린 상태에서는 심 홀더(19)가 본체의 내측에 수납되어 펜형인 채로 있으면서, 벌리면 심 홀더(19)가 나타나도록 마련되어 있어, 슬림한 형상이나 조작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본체와 함께 교환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체와는 별도의 용기로 교환심을 유지하는 구성이나, 본체의 외측에 교환심용의 수납부를 마련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본 컴퍼스는 심 홀더(19)를 마련함으로써, 교환심을 컴퍼스 본체와 함께 운반할 수 있어, 필요할 때에 곧바로 심의 교환을 할 수 있으며, 교환심을 잃어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부(33a, 33b), 도어부(34)는, POM(폴리아세탈) 수지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도어부(34)를 회전시키는 조작을 행할 때에 미끄러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심 홀더(19)가 침측 본체(12)로부터 심측 본체(11) 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침측 본체(12)로부터 돌출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도어부(34)는, 만곡하지 않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침측 본체(12)의 길이 방향(상방향 또는 하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심 홀더(19)를 개폐시키게 된다.
[응용예: 원의 치수 맞춤]
종래의 컴퍼스에서는, 원을 묘화할 때에, 심측 본체(11)와 침측 본체(12)를 벌려, 심(31)과 침(32)의 간격을 정규 등으로 측정하여 원하는 반경에 맞추도록, 벌림 가감을 조절하였다.
또한, 원을 묘화하는 한창 때에 반경이 어긋나 버려, 반듯한 원을 그릴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본 컴퍼스의 응용예에서는, 부속 부품으로서 간이적인 눈금부를 본체와는 별도로 마련해 두고, 눈금부를 본체에 부착 가능하게 하여, 정규로 측정하지 않아도 특정 치수의 원을 묘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또한 묘화 중에 치수가 어긋나지 않도록, 심측 본체(11)와 침측 본체(12)의 간격(각도)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응용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눈금부의 구성(1)]
눈금부의 구성(1)에 대해서,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눈금부의 구성(1)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a)는 본체측에 마련된 돌기부, (b)는 본 컴퍼스에 눈금부(4)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눈금부(4)는, 심측 본체(11') 또는 침측 본체(12') 중 어느 쪽에 부착하여도 좋지만, 여기서는, 침측 본체(12')에 부착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눈금부(4)를 부착 가능한 본 컴퍼스는, 침측 본체(12')에 2개의 돌기부(21a, 21b)를 마련하고, 심측 본체(11')에 돌기부(21c)를 마련한다. 이들 돌기부(21a, 21b, 21c)에 의해, 눈금부(4)를 본 컴퍼스에 부착하여, 더욱 원하는 반경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돌기부(21a, 21b, 21c)를 마련하는 위치는 임의이지만, 예컨대 패임부(16a, 16b)에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눈금부(4)는, 본 컴퍼스의 침측 본체(12')에 부착되어 이용되며, 착탈 가능한 부재이다.
눈금부(4)는, 플라스틱 등의 박판으로 활형(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쪽의 단부에는 구멍부(41a, 41b)가 형성되고, 다른쪽의 단부를 향하여 복수의 구멍부(42)가 원호 상에 배치되어 있다.
구멍부(42)는, 반경 2.0 ㎝, 2.5 ㎝, 3.0 ㎝, 3.5 ㎝…에 대응하고, 대응하는 반경 치수의 값이 각 구멍부(42)의 근처에 기재되어 있다. 즉, 각각의 구멍부(42)를 돌기부(21c)에 맞춤 결합시킴으로써, 침(32)과 심(31)의 간격이 대응하는 반경 치수가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측 본체(12')의 돌기부(21a, 21b)와, 눈금부(4)의 단부에 마련된 구멍부(41a, 41b)가 맞춤 결합하여, 눈금부(4)가 침측 본체(12')에 고정된다. 돌기부를 2개 마련함으로써, 눈금부(4)가 회전하지 않고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심측 본체(11')에 마련된 돌기부(21c)는, 눈금부(4)의 구멍부(42) 중 어느 하나와 맞춤 결합하여, 특정 반경 치수가 되도록 침측 본체(12')와 심측 본체(11')의 간격(각도)을 고정한다.
돌기부(21a, 21b, 21c)의 직경은, 구멍부(41a, 41b, 42)의 직경과 동등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어, 눈금부(4)를 착탈할 때에는 구멍부(41a, 41b, 42)가 변형되어 넓어져 삽입 또는 제거 가능해지고, 또한, 장착 상태에서는, 의도치 않게 떨어져 버리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눈금부(4)를 이용한 경우, 구멍부(42) 이외의 치수로는 고정할 수 없지만, 간단한 구조로, 자주 사용하는 반경 치수로 용이하게 셋트할 수 있으며, 원을 묘화하고 있는 동안에 치수가 어긋나 버리는 것을 막아,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눈금부의 구성(2)]
전술한 눈금부의 구성(1)에서는, 컴퍼스 본체에 돌기부를 형성해 두어야 했지만, 눈금부의 구성(2)에서는, 컴퍼스 본체에 변경을 가할 필요가 없어, 용이하게 실현되는 것이다.
눈금부의 구성(2)에 대해서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눈금부의 구성(2)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a)는 본 컴퍼스에 눈금부(5)를 부착한 상태, (b)는 침측 본체(12)에 있어서의 부착 부분, (c)는 심측 본체(11)에 있어서의 맞춤 결합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눈금부(5)는, 본 컴퍼스의 침측 본체(12), 심측 본체(11) 중 어느 한쪽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부품이며, 여기서는 침측 본체(12)에 부착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눈금부(5)는, 플라스틱 등으로 활형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눈금선(51)을 구비하고, 고정부(52)에 의해 침측 본체(12)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눈금부(4)와 동일하게, 눈금선(51)의 근방에 반경 치수의 값을 기재하고 있지만, 도시는 생략한다.
또한, 심측 본체(11)에는, 착탈 가능한 부품인 누름부(54)가 부착된다.
누름부(54)는, 눈금부(5)를 심측 본체(11) 상에서 가볍게 누르는 부품이며, 도 10의 (a)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56)(도 10의 (c) 참조)이 형성되며, 그 관통 구멍(56)을 눈금부(5)가 관통하고, 심측 본체(11)의 벌리고 오므리는 동작에 따라 누름부(54)가 눈금부(5) 상을 슬라이딩하는 것이다.
또한, 누름부(54)는 투명한 부재로 형성되며, 표면에는 원하는 반경의 기준이 되는 눈금 맞춤부(55)가 형성되어 있다. 눈금 맞춤부(55)의 선은, 눈금부(5)의 눈금선(51)과 혼동되지 않도록, 길게 묘화되어 있다. 눈금 맞춤부(55)와 눈금선(51)을 다른 색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사용자가, 심측 본체(11)를 벌리고 오므리면서, 투명한 누름부(54)를 통하여 눈금부(5)의 눈금선(51)을 보면서, 눈금선(51)을 기준으로 하여 눈금 맞춤부(55)에 원하는 반경의 길이를 맞춤으로써, 본 컴퍼스의 침(32)과 심(31)의 간격이 상기 반경의 길이가 된다.
또한,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눈금부(5)의 좌단 부분에는 L자형으로 형성된 고정부(52)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부(52)는, 예컨대, 침측 본체(12)의 패임부(16b)에 딱 맞게 감합하는 크기 및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눈금부(5)는 항상 동일한 위치에 부착되게 되어, 반경 치수의 편차를 막는 것이다.
또한, 도 10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측 본체(11)의 패임부(16a)에는, 누름부(54)가 부착되어 있다. 누름부(54)는, L자형으로 형성된 고정부(53)를 구비하고, 패임부(16b)에 딱 맞게 감합하여 고정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누름부(54)에는, 관통 구멍(56)이 마련되며, 눈금부(5)가 관통한다.
[실시형태의 효과]
본 컴퍼스에 따르면, 펜형 컴퍼스로서, 침측 본체(12) 또는 심측 본체(11)의 한쪽의 본체의 내측에, 심(교환심)(31)을 수납하는 심 홀더(19)를 구비하고, 심 홀더(19)를 개폐하는 도어부(34)가, 심 홀더(19)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쪽의 본체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것이며, 교환심을 컴퍼스 본체의 내부에 유지할 수 있어, 필요할 때에 곧바로 심을 교환할 수 있으며, 교환심의 분실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컴퍼스에 따르면, 본체에 착탈 가능한 눈금부(4)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정규 등이 없어도, 용이하게 컴퍼스를 반경 치수에 맞추어 벌릴 수 있고, 또한, 눈금부(4)의 구멍부(42)와 본체의 돌기부(21c)를 맞춤 결합시킴으로써 벌린 상태를 고정할 수 있어, 묘화 중에 반경 치수가 어긋나는 것을 막아,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컴퍼스에 따르면, 심측 본체(11)의 선단부 내측에, 심(31)을 유지하는 심 고정부(15)가 수납되는 오목부(17)와, 오목부(17)로부터 심측 본체(11)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에 통하는 관통 구멍(171)이 형성되어 있고, 심 고정부(15)가, 오목부(17)에 수납된 상태에서 관통 구멍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며 심 고정용 너트(14)와 맞춤 결합하는 돌출부(153)를 구비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심 고정부(15)를 오목부(17)에 수납하고, 돌출부(153)를 심측 본체(11)의 관통 구멍(171)에 삽입하면, 조작자가 손으로 누르지 않아도 심 고정부(15)가 본체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고, 밖으로 돌출한 돌출부(153)에 심 고정용 너트(14)를 조임으로써, 심 고정부(15)가 오목부(17)의 내벽에 압착되어 심(31)이 고정되어, 심의 착탈이나 조정의 조작 전체를 대폭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부품 개수를 삭감하여 부품의 분실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컴퍼스에 따르면, 심 고정부(15)에, 심 삽입 구멍(151)을 따라 슬릿(15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심 고정용 너트(14)가 풀린 상태에서는 슬릿(152)이 열려, 심(31)의 출납을 용이하게 하며, 심 고정용 너트(14)가 조여지면 슬릿(152)이 닫혀, 심(31)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컴퍼스에 따르면, 오목부(17)의 단면 형상의 폭을, 관통 구멍(171)을 향하여 좁아지도록 형성하고, 심 고정부(15)의 단면 형상의 폭을, 돌출부(153)를 향하여 좁아지도록 형성하기 때문에, 심 고정용 너트(14)를 조임으로써, 상부에 비해서 폭이 넓은 부분이 오목부(17)의 내벽에 압박되게 되어, 심(31)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컴퍼스에 따르면, 심 고정부(15) 및 심 고정용 너트(14)를, 탄성을 구비한 POM(폴리아세탈) 수지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미끄러지기 어려워, 조작하기 쉬운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컴퍼스에 따르면, 침측 본체(12)의 내측에 심 홀더(19)를 마련하기 때문에, 교환심을 별도 케이스 등으로 관리하지 않아도 되어, 교환심의 분실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성에 우수하며, 심의 교환 등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여, 부품을 분실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펜형 컴퍼스에 적합하다.
1…본체, 2…캡, 4, 5…눈금부, 10…중심부, 11, 11'…심측 본체, 12, 12'…침측 본체, 13…본체 접속부, 14…심 고정용 너트, 15…심 고정부, 16(16a, 16b)…패임부, 17…오목부, 19…심 홀더, 21a, 21b, 21c…돌기부, 31…심, 32…침, 33(33a, 33b)…고정부, 34…도어부, 41a, 41b, 42…구멍부, 51…눈금선, 52, 53…고정부, 54…누름부, 55…눈금 맞춤부, 56, 171…관통 구멍, 151…심 삽입 구멍, 152…슬릿, 153…돌출부, 172…심 수납부

Claims (7)

  1. 침이 마련된 다리부가 되는 침측 본체와, 심이 부착되는 다리부가 되는 심측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침측 본체와 상기 심측 본체를 맞추어 오므리면, 대략 원통 형상의 펜형이 되는 펜형 컴퍼스로서,
    상기 침측 본체 또는 상기 심측 본체 중 한쪽의 본체의 내측에, 심을 수납하는 심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심 홀더를 개폐하는 도어부가, 상기 심 홀더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쪽의 본체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것인 펜형 컴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 홀더는 대략 캡슐 형상이며, 상기 심 홀더가 마련된 한쪽의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심 홀더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쪽의 본체를 향하여 돌출하여 마련되고,
    상기 다른쪽의 본체의 내측에, 상기 돌출한 부분을 수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인 펜형 컴퍼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 홀더의 도어부는 캡슐 형상의 원통 부분의 원둘레를 따라 슬라이드하여 개폐하는 것인 펜형 컴퍼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심을 유지하는 심 고정부와,
    상기 심 고정부를 상기 심측 본체에 고정하는 심 고정용 너트
    를 가지고,
    상기 심측 본체의 내측에, 상기 심 고정부를 수납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심측 본체의 측면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심 고정부는, 상기 오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심 고정용 너트에 맞춤 결합하는 돌출부를 구비한 것인 펜형 컴퍼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심 고정부는 심이 삽입되는 심 삽입 구멍에 대략 평행하게 슬릿을 구비한 것인 펜형 컴퍼스.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관통 구멍을 향하여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심 고정부는 돌출부를 향하여 가늘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심 고정부는 상기 오목부에 수납되며, 돌출부가 관통 구멍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상기 심 고정용 너트가 상기 돌출부에 맞춤 결합하여 조여지면, 상기 심 고정부의 상기 돌출부가 마련된 단부보다 굵은 부분의 측면이 상기 오목부의 내벽에 압박되어 체결되고, 슬릿이 닫히는 것인 펜형 컴퍼스.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 고정부 및 상기 심 고정용 너트는 탄성을 구비한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펜형 컴퍼스.
KR1020217036557A 2019-04-17 2020-04-13 펜형 컴퍼스 KR1026521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78967 2019-04-17
JPJP-P-2019-078967 2019-04-17
PCT/JP2020/016290 WO2020213565A1 (ja) 2019-04-17 2020-04-13 ペン型コンパ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526A true KR20210150526A (ko) 2021-12-10
KR102652148B1 KR102652148B1 (ko) 2024-03-27

Family

ID=72837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6557A KR102652148B1 (ko) 2019-04-17 2020-04-13 펜형 컴퍼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00763B2 (ko)
KR (1) KR102652148B1 (ko)
CN (1) CN113784847B (ko)
WO (1) WO202021356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026U (ko) * 1993-07-31 1995-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브라운관 히터 순간예열 회로
CN201172336Y (zh) * 2007-11-16 2008-12-31 东莞三协塑胶制品有限公司 笔夹式圆规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3525229Y1 (ko) * 1958-08-30 1960-09-28
JPS481717Y1 (ko) * 1968-12-29 1973-01-17
JPS5441348U (ko) * 1977-08-25 1979-03-19
JPS5655030Y2 (ko) * 1978-06-12 1981-12-22
DE2921198C2 (de) * 1979-05-25 1981-04-23 Intertech Zeichengeräte Günther Partes KG, 8531 Brunn Einsatzbefestigung bei Zirkeln
JP3525229B2 (ja) 1995-01-06 2004-05-10 名古屋パルプ株式会社 化粧板用貼合紙
JP5441348B2 (ja) 2007-05-16 2014-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ベンゾ[a]フルオランテン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CN201240176Y (zh) * 2008-06-19 2009-05-20 东莞三协塑胶制品有限公司 设有自动铅笔装置的笔状圆规
TWM353102U (en) * 2008-10-30 2009-03-21 San Yann Industry Co Ltd Compasses structure capable of storing writing core
DE202008016339U1 (de) 2008-12-10 2010-04-29 Kum Ltd. Zirkelschreibgerät
CN204296302U (zh) * 2014-11-01 2015-04-29 褚宏鹏 一种新型多功能圆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026U (ko) * 1993-07-31 1995-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브라운관 히터 순간예열 회로
CN201172336Y (zh) * 2007-11-16 2008-12-31 东莞三协塑胶制品有限公司 笔夹式圆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2148B1 (ko) 2024-03-27
CN113784847B (zh) 2023-03-10
JPWO2020213565A1 (ko) 2020-10-22
CN113784847A (zh) 2021-12-10
JP7100763B2 (ja) 2022-07-13
WO2020213565A1 (ja)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0137B1 (en) Writing instrument
KR20210150526A (ko) 펜형 컴퍼스
KR200441250Y1 (ko) 다목적 필기구
JP7454077B2 (ja) ペン型コンパス
KR20120002781U (ko)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
KR20080001147U (ko) 다목적 필기구
CN112406373B (zh) 圆规
JP7308172B2 (ja) コンパス
KR200399099Y1 (ko)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
WO2016025814A1 (en) Writing utensil including compartment for storing writing utensils and accessories
KR100663123B1 (ko) 미니 볼펜
KR101614718B1 (ko) 필기구용 장착부를 갖는 줄자
KR200477790Y1 (ko) 길이 측정 수단을 구비한 필기도구
KR200391856Y1 (ko) 필기구
KR20040049440A (ko) 펜심 노크식 필기구
KR0127266Y1 (ko) 필기구 장착용 콤파스 기능을 갖는 자
KR20120086033A (ko) 샤프 일체형 샤프심케이스
JP4633966B2 (ja) 筆記具
KR20130032037A (ko) 손가락끼움부를 갖는 필기구
KR200232309Y1 (ko) 필기구
JP3028880U (ja) 筆記具
KR20110008175U (ko) 샤프 펜슬
KR860003284Y1 (ko) 샤아프 펜슬
WO2018193812A1 (ja) 2軸ボールペン
JP3153201U (ja) 筆記具ホルダー兼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