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8029A -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해동 염지된 닭 - Google Patents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해동 염지된 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8029A
KR20210148029A KR1020210162907A KR20210162907A KR20210148029A KR 20210148029 A KR20210148029 A KR 20210148029A KR 1020210162907 A KR1020210162907 A KR 1020210162907A KR 20210162907 A KR20210162907 A KR 20210162907A KR 20210148029 A KR20210148029 A KR 20210148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awing
salting
tank
thaw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8931B1 (ko
Inventor
정문성
Original Assignee
정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성 filed Critical 정문성
Priority to KR1020210162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931B1/ko
Publication of KR20210148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8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9/00Apparatus for tenderising meat, e.g. ham
    • A22C9/001Apparatus for tenderising meat, e.g. ham by in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53Transferring or conveying device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61Cleaning or disinfecting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23L13/428Addition of flavours, spices, colours, amino acids or their salts, peptides, vitamins, yeast extract or autolysate, nucleic acid or derivatives, organic acidifying agents or their salts or acidogens, sweeteners, e.g. sugars or sugar alcohols; Addition of alcohol-containing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50Poultry products, e.g. poultry saus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L3/365Thawing subsequent to freezing
    • B01F15/00175
    • B01F15/0020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3Measuring of the properties of the mixtures, e.g. temperature, density or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2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articles
    • B65G33/0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articles conveyed between a single screw and gui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26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해동 염지된 닭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해동 염지조 내부에 스크류를 설치하고, 해동 염지조에 염지액이 첨가된 해동수를 투입해서 스크류에 의해 냉동 닭을 천천히 이동시키면서 해동과 염지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고, 스크류에서 기체를 분사하여 피, 내장, 털, 기름같은 이물질이 부유하여 해동 염지조에서 오버플로우되도록 하고, 해동 염지조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염지액이 첨가된 해동수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염도를 맞춰 재순환시키도록 하는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해동 염지된 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해동 염지된 닭{APPARATUS AND METHOD FOR THAWING AND CURING FROZEN CHICKEN, AND THAWED AND CURED CHICKEN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해동 염지된 닭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해동 염지조 내부에 스크류를 설치하고, 해동 염지조에 염지액이 첨가된 해동수를 투입해서 스크류에 의해 냉동 닭을 천천히 이동시키면서 해동과 염지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고, 스크류에서 기체를 분사하여 피, 내장, 털, 기름같은 이물질이 부유하여 해동 염지조에서 오버플로우되도록 하고, 해동 염지조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염지액이 첨가된 해동수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염도를 맞춰 재순환시키도록 하는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해동 염지된 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육류는 많은 수분과 단백질, 지방 등 다양한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실온에서 쉽게 변질되어 오랜 시간 저장할 수 없다.
상기 변질의 원인이 되는 미생물학적, 화학적 및 물리적 변화를 방지하여 장기간 육류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저장온도를 낯추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렇게 저장온도를 낯추어 육류를 저장하는 방법은 얼음이 생성되는 동결점 이상의 온도(보통 0∼4℃)에서 저장하는 냉장저장방법과 동결점 이하의 온도(보통 -18 ∼ -24℃)에서 저장하는 냉동저장방법의 2가지 방법중 하나를 육류의 사용용도와 환경에 따라 선택 적용하여 육류를 저장하고 있다.
특히 닭고기는 다른 육류에 비하여 불포화 지방산이 많아 냉장저장의 경우 산 변질이 쉽게 일어나 저장기간이 더욱 짧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통닭을 장기 보존하기 위하여 동결을 하게 된다.
또한, 닭고기를 튀김용 후라이드 치킨의 재료로 사용하는 경우 통상 염지액에 침지시켜 일정한 용기에 담아 밀폐시킨 상태에서 냉장고 등을 이용해 저온상태에서 대략 24시간 정도 숙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닭 염지 장치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5064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5064호는 탈수를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선회되게 설치하며 덮개가 형성된 탈수통,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도록 탈수통의 내부에 설치하며, 닭이 구획되어 설치되는 탈수트레이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냉동 닭을 후라이드 치킨의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과정을 통해 해동과 염지가 이루어지는 데, 각각의 공정이 장시간 이루어지다 보니 효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506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동 염지조 내부에 스크류를 설치하고, 해동 염지조에 염지액이 첨가된 해동수를 투입해서 스크류에 의해 냉동 닭을 천천히 이동시키면서 해동과 염지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해동 염지된 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류에서 기체를 분사하여 피, 내장, 털, 기름같은 이물질이 부유하여 해동 염지조에서 오버플로우되도록 하고, 해동 염지조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염지액이 첨가된 해동수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염도를 맞춰 재순환시키도록 하는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해동 염지된 닭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냉동 닭이 투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냉동 닭을 해동하도록 염지액이 포함된 해동수가 투입되는 해동 염지조와; 상기 해동 염지조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냉동 닭을 이동시키는 스크류와; 상기 해동 염지조의 양측면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이물질이 포함된 해동수가 배출되고, 이물질과 기름을 1차 제거하도록 스크린이 구비되는 배출조와; 상기 배출조의 저장된 이물질이 포함된 해동수를 원심분리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원심 분리기와; 상기 원심 분리기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제거된 해동수를 저장하여 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해동 염지조로 공급하는 공급조와; 상기 공급조에 신규 염지액을 공급하는 염지액조; 및 상기 스크류 측으로 컴프레셔를 이용하여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 탱크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해동 염지조는 상기 공급조와 연결되고, 그 단면이 "U"자 형태로 저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공급 배관과; 상기 공급 배관과 연통되는 복수의 공급홀과; 해동과 염지가 종료된 닭이 수집되도록 후방에 설치되는 바스켓; 및 양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오버플로우되는 해동수를 수집하여 상기 배출조로 이동시키도록 그 단면 형태가 "L"자 형태이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를 가지며 설치되는 수로 플레이트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스크류는 양단이 베어링에 상기 해동 염지조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회전 모터와 연결된 감속기와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꽈배기 형태로 설치되되, 다단으로 절곡되는 날개와;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하부의 상기 날개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기체 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기체 공급 탱크와 연결되는 기체 공급 배관과; 상기 기체 공급 배관의 기체 배출홀의 외측에 설치되는 가스켓; 및 기체를 해동수에 배출하여 닭을 부양시키고, 이물질이 상기 날개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날개의 절곡 부위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설치되고, 복수의 기체 배출 노즐이 설치되는 기체 분사 배관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스크류는 1개가 설치되거나 2개 이상이 병렬 설치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공급조는 해동수와 염지액을 교반시키는 교반기와; 해동수의 탁도를 측정하여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저장된 해동수를 드레인시키고, 신규 해동수를 공급하도록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 센서와; 해동수를 가열하는 히터와; 해동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히터를 가열하는 온도 센서; 및 염지액의 농도를 측정하여 염지액의 농도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염지액조의 신규 염지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염도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의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를 이용한 냉동 닭의 해동 염지 방법에 있어서, 냉동 닭을 해동 염지조에 투입하고, 염지액이 포함된 해동수를 투입하여 스크류를 통해 이동시키면서 해동과 염지를 동시에 수행하는 해동 및 염지 단계와; 상기 스크류에서 기체를 분사시켜 냉동 닭을 부유시키고, 오버플로우되는 해동수를 배출조에서 수집하는 해동수 수집 단계와; 상기 배출조에 수집된 해동수를 원심 분리기로 탈수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해동수를 공급조로 수집하여 탁도, 온도, 염지액 농도를 조정하여 상기 해동 염지조에 재투입하는 순환 단계; 및 상기 해동 염지조의 바스켓에 수집되어 해동이 완료된 닭을 배출하는 배출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또는 상기 냉동 닭의 해동 염지 방법에 해동 염지된 닭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해동 염지된 닭에 따르면, 해동 염지조 내부에 스크류를 설치하고, 해동 염지조에 염지액이 첨가된 해동수를 투입해서 스크류에 의해 냉동 닭을 천천히 이동시키면서 해동과 염지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정을 단축시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류에서 기체를 분사하여 피, 내장, 털, 기름같은 이물질이 부유하여 해동 염지조에서 오버플로우되도록 하고, 해동 염지조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염지액이 첨가된 해동수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염도를 맞춰 재순환시켜 오염 물질 배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중 해동 염지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 닭의 해동 염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중 해동 염지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1)는, 해동 염지조(10)와, 스크류(20)와, 배출조(30)와, 원심 분리기(40)와, 공급조(50)와, 염지액조(60) 및 기체 공급 탱크(70)로 이루어진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V는 밸브이다.
먼저, 해동 염지조(10)는 본체(11)와, 공급 배관(13)과, 공급홀(15)과, 바스켓(17) 및 수로 플레이트(19)로 구성된다.
본체(11)는 냉동 닭과, 냉동 닭을 해동하도록 염지액이 포함된 해동수가 투입되도록 금속 재질로 상부가 개방된 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공급 배관(13)은 염지액이 포함된 해동수가 연속으로 공급되도록 공급조(50)와 연결되고, 그 단면이 "U"자 형태로 저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공급홀(15)은 염지액이 포함된 해동수가 내부로 투입되도록 저면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공급 배관(13)과 연통된다.
바스켓(17)은 해동과 염지가 종료된 닭이 수집되도록 본체(11)의 후방에 설치된다.
수로 플레이트(19)는 본체(11)의 양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오버플로우되는 해동수를 수집하여 배출조(30)로 이동시키도록 그 단면 형태가 "L"자 형태이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를 가지며 설치된다.
이때, 해동 염지조(10)의 후방에는 바스켓(15)에 모인 해동과 염지가 완료된 닭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벨트(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크류(20)는 회전축(21)과, 날개(23)와, 기체 공급 배관(25)과, 가스켓(27) 및 기체 분사 배관(29)으로 구성된다.
회전축(21)은 중공상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베어링(B)에 해동 염지조(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평하게 설치되고, 회전 모터(M)와 연결된 감속기(G)와 결합된다.
날개(23)는 원판 형태로 꽈배기 형상으로 회전축(21)의 외측에 설치되고, 냉동 닭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다단으로 절곡된다. 이때, 날개(23)를 단판 형태가 아닌 두 개의 판을 이용하여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내부의 공간부에서 기체를 배출할 수도 있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기체 공급 배관(25)은 회전축(2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날개(23)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기체 배출홀(25a)이 형성되며, 기체 공급 탱크(70)와 연결된다. 기체 공급 배관(25)의 기체 배출홀(25a)은 해동수 내에서만 기체가 배출되도록 기체 공급 배관(25)의 축을 중심으로 90~180°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켓(27)은 기체 공급 배관(25)과 회전축(21) 사이를 밀폐시켜 기체를 기체 분사 배관(29)으로 온전히 배출하도록 기체 공급 배관(25)의 기체 배출홀(25a)의 외측에 설치된다.
기체 분사 배관(29)은 기체를 해동수에 배출하여 닭을 부양시키고, 이물질이 날개(23)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날개(23) 절곡 부위에 회전축(2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설치되고, 복수의 기체 배출 노즐(29a)이 설치된다. 이때, 기체 배출 노즐(29a)은 상방향으로 기체를 분사하도록 방향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크류(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가 설치되거나 2개 이상이 병렬 설치될 수도 있다.
또, 배출조(30)는 해동 염지조(10)의 양측면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이물질이 포함된 해동수가 배출된다. 여기에서, 배출조(30)에는 이물질과 기름을 1차 제거하도록 스크린(3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심 분리기(40)는 배출조(30)의 저장된 이물질이 포함된 해동수를 원심분리시켜 이물질을 제거하고, 해동수만을 공급조(50)로 순환시킨다.
공급조(50)는 원심 분리기(40)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제거된 해동수를 저장하여 펌프(P)를 이용하여 해동 염지조(10)로 공급한다.
여기에서, 공급조(50)는 해동수와 염지액을 교반시키는 교반기(51)와, 해동수의 탁도를 측정하여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저장된 해동수를 드레인시키고, 신규 해동수를 공급하도록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 센서(52)와, 해동수를 가열하는 히터(53)와, 해동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기준값 이하인 경우 히터(53)를 가열하는 온도 센서(54) 및 염지액의 농도를 측정하여 염지액의 농도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염지액조(60)의 신규 염지액이 펌프(P)를 통해 공급되도록 하는 염도 센서(55)를 포함한다.
계속해서 염지액조(60)는 공급조(50)에 신규 염지액을 공급한다. 이때, 신규 염지액은 해동수와 혼합되는 량을 고려하여 염도가 설정된다.
한편, 기체 공급 탱크(70)는 스크류(20)의 기체 분사 배관(29)으로 컴프레셔(C)를 이용하여 기체(질소)를 공급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동 닭의 해동 염지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 닭의 해동 염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동 닭의 해동 염지 방법은 해동 및 염지 단계(S10)와, 해동수 수집 단계(S20)와, 순환 단계(S30) 및 배출 단계(S40)로 이루어진다.
《해동 및 염지 단계-S10》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 닭을 해동 염지조(10)의 본체(11)에 투입하고, 염지액이 포함된 해동수를 공급조(50)를 통해 본체(11)에 일정량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오버플로우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크류(20)를 통해 냉동 닭을 이동시키면서 해동과 염지를 동시에 수행한다. 이때, 스크류(20)는 3~10분동안 1회전되는 구조로서 매우 느린 속도로 냉동 닭을 이동시켜 해동 및 염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해동수 수집 단계-S20》
이와 동시에 기체 공급 탱크(70)에 저장된 기체를 컴프레셔(C)를 이용하여 기체 공급 배관(25)과 기체 분사 배관(29)의 기체 배출 노즐(29a)을 통해 해동 염지조(10)의 본체(11)로 배출한다.
이때, 기체는 기체 공급 배관(25)의 기체 배출홀(25a)과 날개(23)에 구비된 기체 분사 배관(29)이 일치될 시 기체 배출홀(25a)을 통해 기체 분사 배관(29)으로 배출된다. 즉 기체 공급 배관(25)의 기체 배출홀(25a)이 기체 공급 배관(25)의 축을 중심으로 90~180°범위에 형성되어 있고, 날개(23)의 하부 절반이 해동수에 담겨지기 때문에 기체 분사 배관(29)이 기체 공급 배관(25)의 90~180°범위에 위치할 시 기체가 배출된다.
그러면, 기체에 의해 해동수 내부에 기포가 발생하면서 냉동 닭이 부상을 하고, 날개(23)에 기름과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막게 된다.
한편, 해동수는 본체(11)에서 오버플로우되어 수로 플레이트(19)를 따라 배출되어 배출조(30)에 수집된다. 이때, 배출조(30)에는 스크린(31)이 설치되어 이물질과 기름을 1차 제거한다.
《순환 단계-S30》
배출조(30)에 저장된 이물질이 포함된 해동수는 원심 분리기(40)로 투입되어이물질과 해동수가 분리된 후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고, 해동수를 공급조(50)로 배출시킨다.
해동수가 공급조(50)에서 수집되면, 탁도 센서(52)에서 해동수의 탁도를 측정하여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저장된 해동수를 드레인시키고, 신규 해동수(상수도)를 공급하도록 탁도를 측정하며, 온도 센서(54)에서 냉동 닭에 의해 냉각된 해동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기준값 이하인 경우 히터(53)를 가열하여 해동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염도 센서(55)를 통해 염지액의 농도를 측정하여 염지액의 농도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염지액조(60)의 신규 염지액이 펌프(P)를 통해 공급되도록 한 다음, 염지액이 포함된 해동수를 다시 해동 염지조(10)로 상기와 같이 공급한다.
《배출 단계-S40》
마지막으로 해동과 염지가 완료된 닭이 해동 염지조(10)의 바스켓(17)에 모여지면 작업자는 이를 배출하여 다음 공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해동 염지조 11 : 본체
13 : 공급 배관 15 : 공급홀
17 : 바스켓 19 : 수로 플레이트
20 : 스크류 21 : 회전축
23 : 날개 25 : 기체 공급 배관
27 : 가스켓 29 : 기체 분사 배관
30 : 배출조 40 : 원심 분리기
50 : 공급조 51 : 교반기
52 : 탁도 센서 53 : 히터
54 : 온도 센서 55 : 염도 센서
60 : 염지액조 70 : 기체 공급 탱크

Claims (7)

  1. 냉동 닭이 투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냉동 닭을 해동하도록 염지액이 포함된 해동수가 투입되는 해동 염지조와;
    상기 해동 염지조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냉동 닭을 이동시키는 스크류와;
    상기 해동 염지조의 양측면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이물질이 포함된 해동수가 배출되고, 이물질과 기름을 1차 제거하도록 스크린이 구비되는 배출조와;
    상기 배출조의 저장된 이물질이 포함된 해동수를 원심분리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원심 분리기와;
    상기 원심 분리기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제거된 해동수를 저장하여 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해동 염지조로 공급하는 공급조와;
    상기 공급조에 신규 염지액을 공급하는 염지액조; 및
    상기 스크류 측으로 컴프레셔를 이용하여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동 염지조는,
    상기 공급조와 연결되고, 그 단면이 "U"자 형태로 저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공급 배관과;
    상기 공급 배관과 연통되는 복수의 공급홀과;
    해동과 염지가 종료된 닭이 수집되도록 후방에 설치되는 바스켓; 및
    양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오버플로우되는 해동수를 수집하여 상기 배출조로 이동시키도록 그 단면 형태가 "L"자 형태이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를 가지며 설치되는 수로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양단이 베어링에 상기 해동 염지조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회전 모터와 연결된 감속기와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꽈배기 형태로 설치되되, 다단으로 절곡되는 날개와;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하부의 상기 날개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기체 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기체 공급 탱크와 연결되는 기체 공급 배관과;
    상기 기체 공급 배관의 기체 배출홀의 외측에 설치되는 가스켓; 및
    기체를 해동수에 배출하여 닭을 부양시키고, 이물질이 상기 날개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날개의 절곡 부위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설치되고, 복수의 기체 배출 노즐이 설치되는 기체 분사 배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1개가 설치되거나 2개 이상이 병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조는,
    해동수와 염지액을 교반시키는 교반기와;
    해동수의 탁도를 측정하여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저장된 해동수를 드레인시키고, 신규 해동수를 공급하도록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 센서와;
    해동수를 가열하는 히터와;
    해동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히터를 가열하는 온도 센서; 및
    염지액의 농도를 측정하여 염지액의 농도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염지액조의 신규 염지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염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6. 제 1 항의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를 이용한 냉동 닭의 해동 염지 방법에 있어서,
    냉동 닭을 해동 염지조에 투입하고, 염지액이 포함된 해동수를 투입하여 스크류를 통해 이동시키면서 해동과 염지를 동시에 수행하는 해동 및 염지 단계와;
    상기 스크류에서 기체를 분사시켜 냉동 닭을 부유시키고, 오버플로우되는 해동수를 배출조에서 수집하는 해동수 수집 단계와;
    상기 배출조에 수집된 해동수를 원심 분리기로 탈수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해동수를 공급조로 수집하여 탁도, 온도, 염지액 농도를 조정하여 상기 해동 염지조에 재투입하는 순환 단계; 및
    상기 해동 염지조의 바스켓에 수집되어 해동이 완료된 닭을 배출하는 배출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닭의 해동 염지 방법.
  7. 상기 제 1 항의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또는 상기 제 8 항의 냉동 닭의 해동 염지 방법에 해동 염지된 닭.
KR1020210162907A 2020-03-02 2021-11-24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해동 염지된 닭 KR102468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907A KR102468931B1 (ko) 2020-03-02 2021-11-24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해동 염지된 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723A KR102468937B1 (ko) 2020-03-02 2020-03-02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해동 염지된 닭
KR1020210162907A KR102468931B1 (ko) 2020-03-02 2021-11-24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해동 염지된 닭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723A Division KR102468937B1 (ko) 2020-03-02 2020-03-02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해동 염지된 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029A true KR20210148029A (ko) 2021-12-07
KR102468931B1 KR102468931B1 (ko) 2022-11-21

Family

ID=777966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723A KR102468937B1 (ko) 2020-03-02 2020-03-02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해동 염지된 닭
KR1020210162907A KR102468931B1 (ko) 2020-03-02 2021-11-24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해동 염지된 닭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723A KR102468937B1 (ko) 2020-03-02 2020-03-02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해동 염지된 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689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061B1 (ko) * 2023-03-17 2023-06-05 새롬에프에스(주) 염지 효율이 향상된 튀김 닭 제조방법
KR20230114380A (ko) * 2022-01-25 2023-08-01 새롬에프에스(주) 튀김 닭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396B1 (ko) * 2021-09-14 2022-01-13 송주홍 염지 공정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3769A (ja) * 1997-05-14 1998-12-02 Marudai Shokuhin Kk ピックル液脱泡装置
US20100293969A1 (en) * 2009-05-21 2010-11-25 Braithwaite David C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food items with an additive and solid carbon dioxide
KR20140013770A (ko) * 2012-07-27 2014-02-05 박영호 자동 치킨 브레딩 장치
KR20160130099A (ko) * 2015-05-01 2016-11-1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온누리 생애 주기별 기능성 삼계탕 제조방법
KR101765064B1 (ko) 2017-02-13 2017-08-04 유선국 닭 염지 장치와 닭 염지방법 및 그 염지닭
JP7097959B2 (ja) * 2017-10-27 2022-07-08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可撓性カバーレンズ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3769A (ja) * 1997-05-14 1998-12-02 Marudai Shokuhin Kk ピックル液脱泡装置
US20100293969A1 (en) * 2009-05-21 2010-11-25 Braithwaite David C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food items with an additive and solid carbon dioxide
KR20140013770A (ko) * 2012-07-27 2014-02-05 박영호 자동 치킨 브레딩 장치
KR20160130099A (ko) * 2015-05-01 2016-11-1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온누리 생애 주기별 기능성 삼계탕 제조방법
KR101765064B1 (ko) 2017-02-13 2017-08-04 유선국 닭 염지 장치와 닭 염지방법 및 그 염지닭
JP7097959B2 (ja) * 2017-10-27 2022-07-08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可撓性カバーレンズフィル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380A (ko) * 2022-01-25 2023-08-01 새롬에프에스(주) 튀김 닭 제조방법
KR102540061B1 (ko) * 2023-03-17 2023-06-05 새롬에프에스(주) 염지 효율이 향상된 튀김 닭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375A (ko) 2021-09-13
KR102468931B1 (ko) 2022-11-21
KR102468937B1 (ko)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48029A (ko)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해동 염지된 닭
KR101331477B1 (ko) 수산업 및 도축 산업으로부터의 원재료의 가수분해 공정 및 그 용도의 탱크
US3410101A (en) Poultry chilling method and apparatus
US4860554A (en) Counter-flow poultry chiller
US3250086A (en) Chilling apparatus
DK3285590T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aying rigor mortis in fish
CN112841292A (zh) 一种冷冻肉类食品的快速解冻装置及其解冻方法
US7776374B2 (en) Method and means of thawing meat and use thereof
KR20230004381A (ko) 육가공장치
CN203302261U (zh) 用于和鲜鱼速冷微冻处理技术相配合的加工线
US2162213A (en) Process of freezing food products
CN107711640A (zh) 一种卤虫卵的精加工方法
US1129716A (en) Method of preserving comestibles.
EP0350543A1 (en) By-products chiller and method for using same
JP2022108586A (ja) 冷却方法および冷却装置
Pinyosak et al. Reducing of weight variation in soaking step of shrimp processing: effects of iced storage time and soaking equipment
CN106247720A (zh) 一种盐水快速加工成冰块的方法
US4796435A (en) By-products chiller and method for using same
CN219981983U (zh) 自动化牛羊肉解冻系统
EP2222172A1 (en) Apparatus for salting, pickling or adding additives to meat, fish or similar products, and a method for use thereof
KR102633191B1 (ko) 딸기 잼 제조장치 및 그 딸기 잼 제조장치를 이용한 딸기 잼 제조방법
JP2006087421A (ja) 冷凍魚介類の解凍調味方法及び解凍装置
WO1999044433A1 (en) Method for freezing of food products, in particular fish
KR102490663B1 (ko) 육가공장치
CN112056485A (zh) 一种曝气式清洗解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