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191B1 - 딸기 잼 제조장치 및 그 딸기 잼 제조장치를 이용한 딸기 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딸기 잼 제조장치 및 그 딸기 잼 제조장치를 이용한 딸기 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191B1
KR102633191B1 KR1020210029967A KR20210029967A KR102633191B1 KR 102633191 B1 KR102633191 B1 KR 102633191B1 KR 1020210029967 A KR1020210029967 A KR 1020210029967A KR 20210029967 A KR20210029967 A KR 20210029967A KR 102633191 B1 KR102633191 B1 KR 102633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berry
strawberries
tank
crush
wash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5980A (ko
Inventor
백동민
Original Assignee
백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동민 filed Critical 백동민
Priority to KR1020210029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191B1/ko
Publication of KR20220125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10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 A23L21/12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derived from fruit or vegetable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7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chemical treatment, by adsorption or by absorp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딸기 잼 제조장치 및 그 딸기 잼 제조장치를 이용한 딸기 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갓 수확한 신선한 딸기를 얼리지 않고 가공하도록 하며, 신선한 딸기 원료로 만들어질 잼을 가공 과정에서도 딸기가 가진 생과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 소비자에게 공급하되, 농축과정에서 최적의 온도로 저온 농축하여 맛과향, 빛깔, 영양소 측면에서 월등한 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팀 가열이 보다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농축이 전체적으로 보다 균일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교반용기(농축용기) 내부를 반 진공 상태로 형성하고, 반 진공상태로 생성된 공간에 의해 기존의 80~100℃ 이상의 온도에서 시행하던 방법에서 탈피하여 증류 농축 온도를 30~50℃로 유지함으로써, 맛과향, 빛깔, 영양소 측면에서 월등한 잼을 제공할 수 있고, 식빵에 발라먹는 용도로만 주로 사용될 뿐, 딸기잼 자체를 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아이스크림이나 케이크와 같은 후식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딸기 잼 제조장치 및 그 딸기 잼 제조장치를 이용한 딸기 잼 제조방법{STRAWBERRY JAM MANUFACTURING DEVICE AND METHOD USING THE DEVICE}
본 발명은 딸기 잼 제조장치 및 그 딸기 잼 제조장치를 이용한 딸기 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갓 수확한 신선한 딸기를 얼리지 않고 가공하고, 신선한 딸기를 원료로 하여 잼 가공 과정에서 딸기가 가진 생과 특성을 최대한 살려 소비자에게 공급하며, 농축 과정에서 최적의 온도로 저온 농축하여 맛과향, 빛깔, 영양소 측면에서 월등한 딸기 잼을 제공할 수 있는 딸기 잼 제조장치 및 그 딸기 잼 제조장치를 이용한 딸기 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딸기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다년초로 향기와 색상이 우수하며, 신맛과 단맛이 잘 조화된 과채류로서 오래전부터 봄철에 애용되어 왔다.
딸기는 품종에 따라 성분 및 함량이 다르나 일반적으로 신맛과 당분이 많으며, 비타민 C와 퀘르세틴(quercetin), 카페인산(caffeic acid), 페룰산(ferulic acid), 플라보놀류(flavanols) 등의 다양한 항산화 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가공식품으로는 잼, 젤리, 아이스크림, 냉동딸기, 시럽, 주스 및 우유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딸기는 유리 및 결합형 페놀성 화합물과 안토시아닌(anthocyanin)을 함유하고 있으며, 인간의 간암세포인 HepG2 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또한, 딸기의 페놀성 화합물은 엘라그산(ellagic acid), EA-글리코시드(EA-glycoside), 엘라지탄닌류(ellagitannins), 갈로탄닌류(gallotannins), 안토시아닌류(anthocyanins), 플라보놀류(flavonols), 플라보놀 쿠마릴 글리코시드류(flavanols coumaroyl glycosides)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플라보놀(flavonol)의 아글리콘(aglycone)은 퀘르세틴(quercetin)과 캠프페롤(kaempferol)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딸기의 주요 향기성분은 메틸 부타노에이트(methyl butanoate), 에틸 부타노에이트(ethyl butanoate), 메틸 헥사노에이트(methyl hexanoate), 리나룰(linalool) 등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딸기의 다양한 생리 활성에도 불구하고, 육질이 약하고 저장성이 낮아 수확, 운송 중 부패 가능성이 큰 단점이 있는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열을 통해 잼(jam)으로 만들어 장기 보관한다.
한랭한 기후로 과일이 귀했던 북유럽에서 겨울을 위한 저장식품으로 주부들이 가정에서 잼을 만들게 되었는데, 나중에 병조림법과 통조림법이 발명됨과 동시에 기업화, 상품화되었다.
딸기 잼은 딸기에 설탕을 첨가하여 가열 교반 하면서 수분을 증발시켜 농축함으로써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딸기 잼은 딸기가 가진 비타민이 열 및 설탕에 의해 파괴되기는 하지만, 보관이 용이하고 풍미가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어 딸기 고유의 향과 맛에 의해 기호식, 식품 첨가물, 식사 대용품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다만, 각종 스트레스 및 공해 등에 지치고 허약해진 현대인들을 위한 보다 강화된 기능성 성분을 지닌 딸기잼은 사실상 없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 딸기 잼은 제조할 때 딸기와 설탕 및 펙틴, 구연산 등을 함께 넣고 가열하여, 장시간 가열로 인해서 딸기의 조직이 물러지게 되며, 이로 인해 딸기 원래의 맛보다는 단맛이 더욱 강한 딸기잼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기존 딸기 잼은 강한 단맛 때문에 빵 등의 다른 식품 없이 딸기잼만을 섭취하는 일은 거의 없으며, 식빵에 발라먹는 용도로만 주로 사용될 뿐, 딸기잼 자체를 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아이스크림이나 케이크와 같은 후식 용도로는 전혀 사용되고 있지 않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2074호(2018년 01월 19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6-0013231(1996년 05월 22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갓 수확한 신선한 딸기를 얼리지 않고 가공하고, 신선한 딸기를 원료로 하여 잼 가공 과정에서 딸기가 가진 생과 특성을 최대한 살려 소비자에게 공급하며, 농축 과정에서 최적의 온도로 저온 농축하여 맛과향, 빛깔, 영양소 측면에서 월등한 딸기 잼을 제공할 수 있는 딸기 잼 제조장치 및 그 딸기 잼 제조장치를 이용한 딸기 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스팀 가열이 보다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농축이 전체적으로 보다 균일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기존의 80~100℃ 이상의 온도에서 시행하던 방법에서 탈피하여, 교반용기 내부를 진공 상태로 형성하고, 그 진공상태로 생성된 공간에 의해 증류 농축 온도를 30~50℃로 유지함으로써, 맛과 향, 빛깔, 영양소 측면에서 월등한 잼을 제공할 수 있고, 식빵에 발라먹는 용도로만 주로 사용될 뿐, 딸기 잼 자체를 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아이스크림이나 케이크와 같은 후식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딸기 잼은 우수한 조직감(젤리와 같은 느낌)을 가지며, 별도의 합성 첨가제 사용 없으며, 딸기와 설탕만으로 만들어지므로 생과 특성이 살아 있는 딸기 잼 제조장치 및 그 딸기 잼 제조장치를 이용한 딸기 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파쇄 과정에서 파쇄한 딸기 내에 질소 기체를 투입하여서, 저온 진공 스팀 농축과정에서 가열과 저온 숙성을 통해 과도하게 물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한편, 설탕 자체의 특성을 활용하여 조직감을 가일층 향상시킴으로써 우수한 젤리와 같은 조직감을 가지며, 영양 성분 파괴를 방지하고, 보존 기간을 늘일 수 있는 딸기 잼 제조장치 및 그 딸기 잼 제조장치를 이용한 딸기 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딸기 잼 제조장치는, 딸기를 세척하는 딸기 세척유닛(1); 상기 딸기 세척유닛(1)에서 세척한 딸기를 이송하는 딸기 이송유닛(2); 상기 딸기 이송유닛(2)에 의해 이송된 딸기를 제공받아 파쇄한 후 배출하는 딸기 파쇄 유닛(100); 상기 딸기 파쇄 유닛(100)에서 제공받은 딸기를 저온 스팀 농축하는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300); 및 상기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에서 제조한 딸기 잼을 저온 저장하는 저온 저장고(3); 를 포함하되, 상기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300)의 온도를 30℃∼50℃의 저온으로 유지한 상태로, 딸기 잼을 농축 제조한다.
또한, 상기 딸기 세척유닛(1)은 프레임(11) 위에 사각형상으로 설치되고, 내부에 일정한 수위로 용수가 수용되어 딸기의 세척과정이 진행되는 세척탱크(10); 를 구비한다.
상기 세척탱크(10)는 별도로 설치된 펌프(미도시)를 통해서 외부에서 내부 공간으로 용수가 공급된다.
상기 세척탱크(10)는 양측면 안쪽에는 펜스(12)가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펜스(12)는 딸기의 이동을 억제하고, 이물질과 부유물을 통과시켜 거르며, 딸기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딸기의 크기보다 협소한 공간의 빗살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선별된 딸기를 상기 세척탱크(10)의 내부공간으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 컨베이어(20)는, 딸기를 연속적으로 이송 투입하며, 한쪽이 선별기에 연결 설치되고, 다른 쪽이 상기 세척탱크(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딸기 이송유닛(2)의 배출 컨베이어(30)는 상기 세척탱크(10)의 내부 한쪽에 경사져 설치되고, 별도로 설치된 모터의 구동으로 작동하여 세척한 딸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상기 배출 컨베이어(30)는 상기 세척탱크(10)의 한쪽 바닥면 양측에 프레임이 경사져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 사이에 왕복으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배출 컨베이어(30)는, 상기 세척탱크(10)의 바닥면에 근접한 양측 프레임에 각각 가이드 레일(32)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32) 사이에 커버(31)가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 커버(31)는 세척된 딸기를 안내하여 상기 배출 컨베이어(30)에 적재하고 세척된 딸기가 상기 배출 컨베이어(30)의 후방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여 딸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세척탱크(10)의 내부에는 에어를 폭기하여 딸기를 세척하는 폭기관(40)이 더 설치되며, 상기 폭기관(40)은 상기 세척탱크(10)의 내부 바닥에 양측 방향으로 가로질로 설치되고, 별도로 설치된 블로워(blower)(미도시)를 통해 에어가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폭기관(40)은 상기 세척탱크(10)의 용량에 따라 양측 방향으로 가로질러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측에 폭기공(41)이 형성되어 상기 세척탱크(10)의 상부 쪽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딸기를 세척한다.
또한, 상기 세척탱크(10)의 내부에는 에어 또는 용수를 분사하여 딸기를 세척하고 투입된 딸기를 후방쪽으로 이동시키는 분사관(50)이 더 설치된다.
상기 분사관(50)은 상기 세척탱크(10)의 내부에서 한쪽 상측에 가로질러 설치되고, 에어 또는 용수를 분사한다.
상기 분사관(50)은 별도로 설치된 펌프 또는 블로워(미도시)를 통해서 에어 또는 용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분사관(50)은 에어 또는 용수를 분사하여 투입된 딸기를 세척하고, 투입된 딸기를 후방쪽으로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중간 부분이 수면에 잠기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딸기 세척유닛(1)은 상기 세척탱크(10)의 바닥면으로 가라앉는 이물질과 딸기를 거르는 망체(6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망체(60)는 상기 세척탱크(10)의 내부 바닥면 위에 설치되고, 딸기의 크기보다 작은 메쉬망으로 구성된다.
상기 망체(60)는 상기 폭기관(40) 위에 배치되고, 한쪽이 상기 분사관(50)의 하부에 배치되고, 다른 쪽이 상기 배출 컨베이어(30)의 커버(31)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딸기 세척유닛(1)은 상기 세척탱크(10)로 투입된 딸기와 부유물 등을 양측 사이드로 안내하는 세척 블레이드(7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블레이드(70)는 상기 세척탱크(10)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고, 중간 부분이 수면에 잠기도록 설치된다.
상기 세척 블레이드(70)는 한쪽이 인접하여 뾰족하고, 다른 쪽이 대향측으로 점점 벌어지는 나팔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뾰족한 부분에서 펜스(12)가 설치된 양측 사이드 방향으로 점점 벌어져 설치된다.
상기 세척 블레이드(70)는 상기 세척탱크(10)의 바닥면 위에 설치된 상기 망체(60)의 상부에 다수개의 고정바(71)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바(71)의 상부에 부착하여 설치된다.
상기 세척 블레이드(70)는 수면에 중간 부분이 잠긴 상태에서 상기 분사관(50)이 에어 또는 용수를 분사하여 투입된 딸기를 후방쪽으로 밀어서 이동시킬 경우, 딸기와 부유물을 상기 펜스(12)가 설치된 양측 사이드 방향으로 안내한다.
상기 세척탱크(10)에는 부유물 챔버(80)가 더 설치되며, 상기 부유물 챔버(80)는 상기 세척탱크(10)의 양측면에 수면 높이로 구성되고, 그 하부에 배출관(83)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부유물 챔버(80)는 상기 세척탱크(10)의 양측 사이드에 설치된 상기 펜스(12)를 통과하여 이동한 부유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투입 컨베이어(20)를 통해 선별된 딸기가 상기 세척탱크(10)로 투입되고, 상기 폭기관(40)이 에어를 분사하여 세척과정이 진행되고, 상기 분사관(50)이 에어 또는 용수를 분사하여 투입된 딸기를 후방쪽으로 밀어서 이동시킬 경우, 상기 세척 블레이드(70)가 딸기와 부유물을 상기 펜스(12)가 설치된 양측 사이드 방향으로 안내하며, 상기 세척탱크(10)의 양측 사이드 방향으로 안내된 딸기는 상기 펜스(12)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배출 컨베이어(30) 쪽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세척탱크(10)의 양측 사이드 방향으로 안내된 부유물은 상기 펜스(12)를 통과하여 상기 부유물 챔버(8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상기 세척 블레이드(70)에 의해서 부유물을 양측 사이드 방향으로 안내하여 제거함으로써, 딸기의 세척효율을 높이고 작업시간을 단축하며, 상기 세척탱크(10)에서 부유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딸기 파쇄 유닛(100)은, 세척한 딸기를 담기 위한 파쇄 탱크(110); 상기 파쇄 탱크(11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며, 중심에는 중공의 회전축(121)이 돌출 형성되고 그 회전축(121) 내부로 파쇄된 딸기(크러쉬)가 배출되는 고정 플레이트(120); 상기 파쇄 탱크(110) 안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21)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심에는 수직방향으로 딸기 크러쉬 유로(131)가 형성되고, 그 딸기 크러쉬 유로(131)에 연통되도록 외주면에는 딸기 크러쉬 유입홀(132)이 다수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딸기를 파쇄하기 위한 파쇄 블레이드(133)가 다수 형성된 회전부재(130); 상기 파쇄 탱크(110) 내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상기 파쇄 탱크(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 플레이트(140); 상기 회전부재(130)를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140)에 설치되는 회전부재 구동모터(150); 상기 파쇄 탱크(110) 내부에 질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140)에 설치되는 질소 공급부(160); 상기 고정 플레이트(120)의 회전축(121) 내부를 통해서 토출되는 딸기 크러시를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파쇄 탱크(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류(170); 및 상기 이송스크류(170)에 의해 배출되는 딸기 크러쉬를 상기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에 공급하는 딸기 크러쉬 공급펌프(180);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300)는, 파쇄한 딸기를 담고 설탕을 혼합하여 가열 교반하기 위한 교반탱크(310); 상기 교반탱크(310)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흡입하는 진공펌프(320); 상기 교반탱크(310)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330); 상기 교반탱크(31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흡입하여 파쇄된 딸기의 수분을 제거하고, 상기 교반탱크(310)의 외주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열을 빼앗아 30℃∼50℃로 유지하면서 농축하여 딸기 잼을 제조하는 냉각기(3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는, 중공의 이중격벽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 딸기 크러쉬를 수용하는 밀폐 챔버(211)를 구비하며, 상기 밀폐 챔버(211) 안으로 딸기 크러쉬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212)와, 딸기 크러쉬를 농축한 딸기 잼을 밀폐 챔버(211)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213)를 구비하며, 일측에는 밀폐 챔버(211)에 담긴 딸기 크러쉬를 가열하면서 발생하는 습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증기 배출구(214)를 구비하며, 상기 이중 격벽 내부에는 냉각수 수조(219)에서 공급하는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관(215)이 배치되어 상기 밀폐 챔버(211) 내부를 일정 온도로 냉각하며, 냉각 열교환 시 발생한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응축수 배출구(216)가 형성된 교반탱크(210); 상기 교반탱크(210)의 내부에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교반축(221)의 외주면에 스크류(222)가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열 결합되며, 상기 교반축(221)의 상부에 연결축(223)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밀폐 챔버(211) 안으로 유입된 딸기 크러쉬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교반 스크류(220); 상기 밀폐 챔버(2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교반 스크류(22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230); 및 상기 교반 스크류(220)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수단(240);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팀 공급수단(240)은, 상기 교반 스크류(220)의 교반 축(221) 내부에 스팀이 지나는 중공부(241)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형성되고, 상기 교반 스크류(220)의 스크류(222) 내부에는 상기 교반축(221)의 중공부(241)와 연통되는 나선 홀(242)이 스크류(222)를 따라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밀폐 챔버(211) 외부에 위치한 상기 교반 스크류(220)의 교반축(221) 소정부위에는 상기 중공부(241)로 스팀이 유입되도록 하는 스팀 유입구(243)가 형성되고, 상기 교반축(221)의 상기 중공부(241) 내에는 딸기 크러쉬를 가열 열교환하며, 열교환 시 상기 중공부(241)에 모인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관(244)이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온도계(4)가 상기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의 밀폐 챔버(211)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온도계(4)의 감지에 따라 냉각수를 순환시켜서 상기 밀폐 챔버(211)의 온도를 30℃∼50℃의 저온으로 유지한 상태로, 딸기 잼을 농축 제조하는 일련과정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딸기 잼 제조방법은, 딸기를 세척한 후, 파쇄기로 이송하는 제1 단계(S110); 세척한 딸기를 파쇄기(100) 안으로 낙하하여 파쇄하는 제2 단계(S120); 파쇄된 딸기를 상기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의 교반탱크(210) 안에 투입한 후 설탕을 첨가하며, 스팀을 공급하면서 교반하는 제3 단계(S130); 진공펌프(미도시)를 가동하여 상기 교반탱크(210)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든 후, 상기 파쇄기에 연결된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교반탱크(210)를 흡입하는 제4 단계(S140); 상기 교반탱크(21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냉각기 안으로 빨아들여 파쇄된 딸기의 수분을 제거하고, 동시에 상기 교반탱크(210)의 외주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열을 빼앗아 30℃∼50℃로 유지하면서 농축하여 딸기 잼을 제조하는 제5 단계(S150); 농축이 완료되면 상기 교반탱크와 연결된 충진기를 이용하여 제조한 딸기 잼을 용기에 소분한 후 그 용기 표면에 라벨을 붙여서 저온 저장고(4℃ 설정)에 보관 판매하는 제6 단계(S160); 를 포함한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딸기 잼 제조방법은, 교반탱크(210)의 밀폐 챔버(211) 안으로 딸기 크러쉬를 유입하는 단계(S10); 구동수단(230)에 전원을 인가하여 교반 스크류(220)를 회전시키는 단계(S20); 스팀 공급수단(240)을 구동하여 교반 스크류(220)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S30); 밀폐 챔버(211)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40); 상기 밀폐 챔버(211) 내부 온도가 기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S50); 판단 결과, 밀폐 챔버(211) 내부 온도가 기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냉각수를 공급하여 밀폐 챔버(211) 내부 온도를 30℃∼50℃의 저온으로 유지하는 단계(S60); 및 농축 과정 완료 후, 딸기 잼을 배출하는 단계(S70); 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갓 수확한 신선한 딸기를 얼리지 않고 가공하도록 하며, 신선한 딸기 원료로 만들어질 잼을 가공 과정에서도 딸기가 가진 생과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 소비자에게 공급하되, 농축과정에서 최적의 온도로 저온 농축하여 맛과향, 빛깔, 영양소 측면에서 월등한 잼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농축이 전체적으로 보다 균일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기존의 80~100℃ 이상의 온도에서 시행하던 방법에서 탈피하여, 교반용기 내부를 진공 상태로 형성하고, 그 진공상태로 생성된 공간에 의해 증류 농축 온도를 30~50℃로 유지함으로써, 맛과 향, 빛깔, 영양소 측면에서 월등한 잼을 제공할 수 있고, 식빵에 발라먹는 용도로만 주로 사용될 뿐, 딸기 잼 자체를 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아이스크림이나 케이크와 같은 후식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딸기 잼은 우수한 조직감(젤리와 같은 느낌)을 가지며, 별도의 합성 첨가제 사용 없으며, 딸기와 설탕만으로 만들어지므로 생과 특성이 살아 있다.
셋째, 저온 진공 스팀 농축과정에서 교반탱크 및 교반부재가 동시에 가열 교반함으로써, 농축이 짧은 시간 내에 이루어져 농축 작업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딸기 잼은 우수한 조직감(젤리와 같은 느낌)을 가지며, 별도의 합성 첨가제 사용 없으며, 딸기와 설탕만으로 만들어지므로 생과 특성이 살아 있으며, 상온 보관시 유통과정에서 발효가 일어나지 않도록 냉장 보관한다.
다섯째, 파쇄 과정에서 딸기 크러쉬 내에 질소 기체를 투입하여서, 저온 진공 스팀 농축과정에서 가열과 저온 숙성을 통해 과도하게 물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한편, 설탕 자체의 특성을 활용하여 조직감을 더욱 향상시킴으로써, 우수한 젤리와 같은 조직감을 가지며, 영양 성분 파괴를 방지하고, 보존 기간을 늘일 수 있다.
여섯째, 기존 딸기 잼와는 달리 아이스크림이나 케이크와 같은 후식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딸기 잼 제조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딸기 잼 제조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딸기 잼 제조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세척유닛 및 이송유닛을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딸기 잼 제조장치에서, 파쇄유닛과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의 도 5의 파쇄유닛을 구성도
도 7은 도 5의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도 5의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7의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의 교반탱크 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딸기 잼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딸기 잼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딸기 잼을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딸기 잼을 빵에 바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딸기 잼 제조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딸기 잼 제조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딸기 잼 제조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세척유닛 및 이송유닛을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딸기 잼 제조장치에서, 파쇄유닛과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의 도 5의 파쇄유닛을 구성도, 도 7은 도 5의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도 5의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7의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의 교반탱크 횡단면도이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딸기 잼 제조장치는, 딸기를 세척하는 딸기 세척유닛(1); 딸기 세척유닛(1)에서 세척한 딸기를 이송하는 딸기 이송유닛(2); 딸기 이송유닛(2)에 의해 이송된 딸기를 제공받아 파쇄(crush)한 후 배출하는 딸기 파쇄 유닛(100); 딸기 파쇄 유닛(100)에서 제공받은 딸기를 저온 스팀 농축하는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300); 및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에서 생산한 딸기 잼을 저온 저장하는 저온 저장고(3); 를 포함하되, 상기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300)의 온도를 30℃∼50℃의 저온으로 유지한 상태로, 딸기 잼을 농축 제조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300)는 파쇄한 딸기를 담고 설탕을 혼합하여 가열 교반하기 위한 교반탱크(310); 상기 교반탱크(310)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흡입하는 진공펌프(320); 상기 교반탱크(310)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330); 상기 교반탱크(31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흡입하여 파쇄된 딸기의 수분을 제거하고, 상기 교반탱크(310)의 외주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열을 빼앗아 30℃∼50℃로 유지하면서 농축하여 딸기 잼을 제조하는 냉각기(340);를 포함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딸기 잼 제조장치는, 딸기를 세척하는 딸기 세척유닛(1); 딸기 세척유닛(1)에서 세척한 딸기를 이송하는 딸기 이송유닛(2); 딸기 이송유닛(2)에 의해 이송된 딸기를 제공받아 파쇄(crush)한 후 배출하는 딸기 파쇄 유닛(100); 딸기 파쇄 유닛(100)에서 제공받은 딸기를 저온 스팀 농축하는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 및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에서 생산한 딸기 잼을 저온 저장하는 저온 저장고(3); 를 포함하되, 상기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300)의 온도를 30℃∼50℃의 저온으로 유지한 상태로, 딸기 잼을 농축 제조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는, 밀폐 챔버(211)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계(4); 및 온도계(4)의 감지에 따라 밀폐 챔버(211)의 온도를 30℃∼50℃의 저온으로 유지한 상태로, 딸기 잼을 농축 제조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5); 더 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5)는 교반탱크(210)의 외부에 설치되는 마이콤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구동수단(230), 스팀유입구(243), 잼 유출입구(213,212), 온도계(4)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딸기 잼 제조장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딸기 세척유닛(1)은 프레임(11) 위에 사각형상으로 설치되고, 내부에 일정한 수위로 용수가 수용되어 딸기의 세척과정이 진행되는 세척탱크(10); 를 구비한다.
상기 세척탱크(10)는 별도로 설치된 펌프(미도시)를 통해서 외부에서 내부 공간으로 용수가 공급된다.
상기 세척탱크(10)는 양측면 안쪽에는 펜스(12)가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펜스(12)는 딸기의 이동을 억제하고, 이물질과 부유물을 통과시켜 거르며, 딸기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딸기의 크기보다 협소한 공간의 빗살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선별된 딸기를 상기 세척탱크(10)의 내부공간으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 컨베이어(20)는, 딸기를 연속적으로 이송 투입하며, 한쪽이 선별기에 연결 설치되고, 다른 쪽이 상기 세척탱크(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딸기 이송유닛(2)의 배출 컨베이어(30)는 상기 세척탱크(10)의 내부 한쪽에 경사져 설치되고, 별도로 설치된 모터의 구동으로 작동하여 세척한 딸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상기 배출 컨베이어(30)는 상기 세척탱크(10)의 한쪽 바닥면 양측에 프레임이 경사져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 사이에 왕복으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배출 컨베이어(30)는, 상기 세척탱크(10)의 바닥면에 근접한 양측 프레임에 각각 가이드 레일(32)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32) 사이에 커버(31)가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 커버(31)는 세척된 딸기를 안내하여 상기 배출 컨베이어(30)에 적재하고 세척된 딸기가 배출 컨베이어(30)의 후방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여 딸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세척탱크(10)의 내부에는 에어를 폭기하여 딸기를 세척하는 폭기관(40)이 더 설치되며, 상기 폭기관(40)은 상기 세척탱크(10)의 내부 바닥에 양측 방향으로 가로질로 설치되고, 별도로 설치된 블로워(blower)(미도시)를 통해 에어가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폭기관(40)은 상기 세척탱크(10)의 용량에 따라 양측 방향으로 가로질러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측에 폭기공(41)이 형성되어 상기 세척탱크(10)의 상부 쪽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딸기를 세척한다.
또한, 상기 세척탱크(10)의 내부에는 에어 또는 용수를 분사하여 딸기를 세척하고 투입된 딸기를 후방쪽으로 이동시키는 분사관(50)이 더 설치된다.
상기 분사관(50)은 상기 세척탱크(10)의 내부에서 한쪽 상측에 가로질러 설치되고, 에어 또는 용수를 분사한다.
상기 분사관(50)은 별도로 설치된 펌프 또는 블로워(미도시)를 통해서 에어 또는 용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분사관(50)은 에어 또는 용수를 분사하여 투입된 딸기를 세척하고, 투입된 딸기를 후방쪽으로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중간 부분이 수면에 잠기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딸기 세척유닛(1)은 상기 세척탱크(10)의 바닥면으로 가라앉는 이물질과 딸기를 거르는 망체(6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망체(60)는 상기 세척탱크(10)의 내부 바닥면 위에 설치되고, 딸기의 크기보다 작은 메쉬망으로 구성된다.
상기 망체(60)는 상기 폭기관(40) 위에 배치되고, 한쪽이 상기 분사관(50)의 하부에 배치되고, 다른 쪽이 상기 배출 컨베이어(30)의 커버(31)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딸기 세척유닛(1)은 상기 세척탱크(10)로 투입된 딸기와 부유물 등을 양측 사이드로 안내하는 세척 블레이드(7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블레이드(70)는 상기 세척탱크(10)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고, 중간 부분이 수면에 잠기도록 설치된다.
상기 세척 블레이드(70)는 한쪽이 인접하여 뾰족하고, 다른 쪽이 대향측으로 점점 벌어지는 나팔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뾰족한 부분에서 펜스(12)가 설치된 양측 사이드 방향으로 점점 벌어져 설치된다.
상기 세척 블레이드(70)는 상기 세척탱크(10)의 바닥면 위에 설치된 상기 망체(60)의 상부에 다수개의 고정바(71)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바(71)의 상부에 부착하여 설치된다.
상기 세척 블레이드(70)는 수면에 중간 부분이 잠긴 상태에서 상기 분사관(50)이 에어 또는 용수를 분사하여 투입된 딸기를 후방쪽으로 밀어서 이동시킬 경우, 딸기와 부유물을 상기 펜스(12)가 설치된 양측 사이드 방향으로 안내한다.
상기 세척탱크(10)에는 부유물 챔버(80)가 더 설치되며, 상기 부유물 챔버(80)는 상기 세척탱크(10)의 양측면에 수면 높이로 구성되고, 그 하부에 배출관(83)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부유물 챔버(80)는 상기 세척탱크(10)의 양측 사이드에 설치된 상기 펜스(12)를 통과하여 이동한 부유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투입 컨베이어(20)를 통해서 선별한 딸기를 세척탱크(10) 안으로 투입하고, 상기 폭기관(40)이 에어를 분사하여 세척과정이 진행된다.
상기 분사관(50)이 에어 또는 용수를 분사하여 투입된 딸기를 후방쪽으로 밀어서 이동시킬 경우, 상기 세척 블레이드(70)가 딸기와 부유물을 상기 펜스(12)가 설치된 양측 사이드 방향으로 안내한다.
상기 세척탱크(10)의 양측 사이드 방향으로 안내된 딸기는 상기 펜스(12)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배출 컨베이어(30) 쪽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세척탱크(10)의 양측 사이드 방향으로 안내된 부유물은 상기 펜스(12)를 통과하여 상기 부유물 챔버(8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상기 세척 블레이드(70)에 의해서 부유물을 양측 사이드 방향으로 안내하여 제거함으로써, 딸기의 세척효율을 높이고 작업시간을 단축하며, 상기 세척탱크(10)에서 부유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딸기 파쇄 유닛은 단순히 블레이드 회전을 이용하여 딸기를 파쇄하는 구조로 구성될 뿐만 아니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변형예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변형예에 따른 딸기 파쇄 유닛(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딸기 파쇄 유닛(100)은, 세척한 딸기(딸기 크러쉬)를 담기 위한 파쇄 탱크(110); 파쇄 탱크(11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며, 중심에는 중공의 회전축(121)이 돌출 형성되고 그 회전축(121) 내부로 딸기 크러쉬가 배출되는 고정 플레이트(120); 파쇄 탱크(110) 안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회전축(121)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심에는 수직방향으로 딸기 크러쉬 유로(131)가 형성되고, 그 딸기 크러쉬 유로(131)에 연통되도록 외주면에는 딸기 크러쉬 유입홀(132)이 다수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딸기를 파쇄하기 위한 파쇄 블레이드(133)가 다수 형성된 회전부재(130); 파쇄 탱크(110) 내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파쇄 탱크(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 플레이트(140); 회전부재(130)를 회전하기 위하여 커버 플레이트(140)에 설치되는 회전부재 구동모터(150); 파쇄 탱크(110) 내부에 질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140)에 설치되는 질소 공급부(160); 고정 플레이트(120)의 회전축(121) 내부를 통해서 토출되는 딸기 크러시(파쇄된 딸기)를 이송하기 위하여 파쇄 탱크(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류(170); 및 이송스크류(170)에 의해 배출되는 딸기 크러쉬를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에 공급하는 딸기 크러쉬 공급펌프(180); 를 포함한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파쇄 탱크(110)는 세척한 딸기를 담고 교반하기 위한 탱크이다. 파쇄 탱크(110) 내벽면에는 블레이드(110a)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120)는 파쇄 탱크(11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며, 중심에는 중공의 회전축(121)이 돌출 형성되고 그 회전축(121) 내부로 파쇄 딸기가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부재(130)는 파쇄 탱크(110) 안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21)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심에는 수직방향으로 딸기 크러쉬 유로(131)가 형성되고, 그 딸기 크러쉬 유로(131)에 연통되도록 외주면에는 딸기 크러쉬 유입홀(132)이 다수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딸기를 파쇄하기 위한 파쇄 블레이드(133)가 다수 형성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40)는 파쇄 탱크(110) 내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파쇄 탱크(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 커버 플레이트(140)에는 파쇄 딸기(딸기 크러쉬)를 투입하기 위한 주입홀(141)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재 구동모터(150)는 회전부재(130)를 회전하기 위하여 커버 플레이트(140)에 설치된다.
상기 질소 공급부(160)는 파쇄 탱크(110) 내부에 질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커버 플레이트(140)에 설치된다.
상기 질소 공급부(160)는 교반시 딸기 크러쉬 안에 미세한 질소 기포를 형성하여, 저온 진공 스팀 농축과정에서 가열과 저온 숙성을 통해 과도하게 물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한편, 설탕 자체의 특성을 활용하여 조직감을 더욱 향상시킴으로써 우수한 젤리와 같은 조직감을 가지며, 영양 성분 파괴를 방지하고, 보존 기간을 늘일 수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170)는 고정 플레이트(120)의 회전축(121) 내부를 통해서 토출되는 딸기 크러시(파쇄 딸기)를 이송하기 위하여 파쇄 탱크(1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딸기 크러쉬 공급펌프(180)는 이송스크류(170)에 의해 배출되는 딸기 크러쉬를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에 공급한다.
또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는, 중공의 이중격벽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 딸기 크러쉬를 수용하는 밀폐 챔버(211)를 구비하며, 상기 밀폐 챔버(211) 안으로 딸기 크러쉬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212)와, 딸기 크러쉬를 농축한 딸기 잼을 상기 밀폐 챔버(211)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213)를 구비하며, 일측에는 상기 밀폐 챔버(211)에 담긴 딸기 크러쉬를 가열하면서 발생하는 습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증기 배출구(214)를 구비하며, 상기 이중 격벽 내부에는 냉각수 수조(219)에서 공급하는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관(215)이 배치되어 상기 밀폐 챔버(211) 내부를 일정 온도로 냉각하며, 냉각 열교환 시 발생한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응축수 배출구(216)가 형성된 교반탱크(210); 상기 교반탱크(210)의 내부에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교반축(221)의 외주면에 스크류(222)가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열 결합되며, 상기 교반축(221)의 상부에 연결축(223)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밀폐 챔버(211) 안으로 유입된 딸기 크러쉬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교반 스크류(220)와; 상기 밀폐 챔버(2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교반 스크류(22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230); 및 상기 교반 스크류(220)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수단(240); 을 더 포함한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교반탱크(210)는 중공의 이중격벽 구조를 가지며, 이중격벽 안에 공간을 형성한다. 교반탱크(210)의 내부에는 딸기 크러쉬를 수용하는 밀폐 챔버(211)를 형성한다. 상기 교반탱크(210)는 밀폐 챔버(211) 안으로 딸기 크러쉬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212)를 구비한다. 상기 교반탱크(210)는 딸기 잼을 상기 밀폐 챔버(211)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213)를 구비한다.
상기 교반탱크(210) 일측에는 상기 밀폐 챔버(211)에 담긴 딸기 크러쉬를 가열하면서 발생하는 습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증기 배출구(214)가 형성된다.
상기 이중 격벽 내부에는 냉각수 수조(219)에서 공급하는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관(215)이 배치된다. 그 냉각수 공급관(215)의 냉각수 순환에 의해서 상기 밀폐 챔버(211) 내부를 일정 온도로 냉각한다. 냉각수 순환시 열교환이 발생하는바, 열교환시 발생한 응축수는 상기 교반탱크(210) 하부에 설치된 응축수 배출구(216)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교반 스크류(220)는 상기 교반탱크(210)의 내부에 교반축(221)이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교반축(221)의 외주면에는 스크류(222)가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열 결합되며, 상기 교반축(221)의 상부에 연결축(223)이 연장 형성된다.
교반 스크류(220)는 상기 밀폐 챔버(211) 안으로 유입된 딸기 크러쉬를 가열하고 교반하면서 파쇄하도록 구성된다. 연결축(223)은 베어링(224)에 지지되며, 밸런스 휠(225)에 의해서 원활한 회전을 하도록 한다.
또한, 구동수단(230)은 밀폐 챔버(2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교반 스크류(22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동력 전달을 위해서 연결축(223)에는 풀리(231)가 설치되고, 그 풀리(231)에는 벨트(232)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팀 공급수단(240)은 상기 교반 스크류(220) 내부에 스팀(steam)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팀 공급수단(240)은, 상기 교반 스크류(220)의 교반 축(221) 내부에 스팀이 지나는 중공부(241)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형성되고, 상기 교반 스크류(220)의 스크류(222) 내부에는 상기 교반축(221)의 중공부(241)와 연통되는 나선 홀(242)이 스크류(222)를 따라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밀폐 챔버(211) 외부에 위치한 상기 교반 스크류(220)의 교반축(221) 소정부위에는 상기 중공부(241)로 스팀이 유입되도록 하는 스팀 유입구(243)가 형성되고, 상기 교반축(221)의 상기 중공부(241) 내에는 딸기 크러쉬를 가열 열교환하며, 열교환 시 상기 중공부(241)에 모인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관(244)이 설치된다.
상기 온도계(4)가 상기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의 밀폐 챔버(211)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온도계(4)의 감지에 따라 냉각수를 순환시켜서 상기 밀폐 챔버(211)의 온도를 30℃∼50℃의 저온으로 유지한 상태로, 딸기 잼을 농축 제조하는 일련과정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딸기 잼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딸기 잼 제조방법은,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300)에서 스팀을 이용하여 딸기 잼을 농축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딸기 잼 제조장치를 이용한 딸기 잼 제조방법은, 딸기를 세척한 후, 파쇄기(100)로 이송하는 제1 단계(S110); 세척한 딸기를 파쇄기 안으로 낙하하여 파쇄하는 제2 단계(S120); 파쇄된 딸기를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300)의 교반탱크(310) 안에 투입한 후 설탕을 첨가하며, 스팀을 공급하면서 교반하는 제3 단계(S130); 진공펌프(320)를 가동하여 상기 교반탱크(310)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든 후, 상기 파쇄기(100)에 연결된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교반탱크(310)를 흡입하는 제4 단계(S140); 상기 교반탱크(31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냉각기(340) 안으로 빨아들여 파쇄된 딸기의 수분을 제거하고, 동시에 상기 교반탱크(310)의 외주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열을 빼앗아 30℃∼50℃로 유지하면서 농축하여 딸기 잼을 제조하는 제5 단계(S150); 농축이 완료되면 제조한 딸기 잼을 용기에 소분한 후 그 용기 표면에 라벨을 붙여서 저온 저장고(4℃ 설정)에 보관 판매하는 제6 단계(S160); 를 포함한다.
또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딸기 잼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딸기 잼 제조방법은,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에서 스팀을 이용하여 딸기 잼을 농축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도 7 내지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딸기 잼 제조방법은 교반탱크(210)의 밀폐 챔버(211) 안으로 딸기 크러쉬를 유입하는 단계(S10); 구동수단(230)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교반 스크류(220)를 회전시키는 단계(S20); 상기 스팀 공급수단(240)을 구동하여 상기 교반 스크류(220)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S30); 상기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의 밀폐 챔버(211)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40); 상기 밀폐 챔버(211) 내부 온도가 기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S50); 판단 결과, 상기 밀폐 챔버(211) 내부 온도가 기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냉각수를 공급하여 상기 밀폐 챔버(211) 내부 온도를 30℃∼50℃의 저온으로 유지하는 단계(S60); 및 농축 과정 완료 후, 딸기 잼을 배출하는 단계(S70); 를 포함한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단계(S10)에서는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의 교반탱크(210)의 밀폐 챔버(211) 안으로 딸기 크러쉬를 유입한다. 이때, 유입홀을 통해서 교반탱크(210)의 밀폐 챔버(211) 안으로 딸기 크러쉬를 유입한다.
상기 단계(S20)에서는 구동수단(230)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교반 스크류(220)를 회전시킨다. 교반 스크류(220)의 회전수(RPM)는 설계조건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단계(S30)에서는 상기 스팀 공급수단(240)을 구동하여 스팀유입구(243)을 통해서 상기 교반 스크류(220) 내부에 스팀을 공급한다.
상기 단계(S40)에서는 온도계(4)가 상기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의 밀폐 챔버(211) 내부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단계(S50)에서는 온도계(4)로부터 감지값을 수신하고, 그 감지값을 토대로 제어부(5)가 밀폐 챔버(211) 내부 온도가 기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상기 밀폐 챔버(211) 내부 온도가 기설정 온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단계(S40)로 진행하는 반면에, 판단 결과, 상기 밀폐 챔버(211) 내부 온도가 기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는 상기 단계(S60)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S60)는 상기 밀폐 챔버(211) 내부 온도가 기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냉각수를 공급하여 상기 밀폐 챔버(211) 내부 온도를 30℃∼50℃의 저온으로 유지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밀폐 챔버(211) 내부 온도를 30℃∼50℃의 저온으로 유지함으로써, 맛과향, 빛깔, 영양소 측면에서 월등한 잼을 제공할 수 있고, 식빵에 발라먹는 용도로만 주로 사용될 뿐, 딸기잼 자체를 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아이스크림이나 케이크와 같은 후식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S70)에서는 농축 과정을 완료하여 생산한 딸기 잼을 외부로 배출한다. 배출한 딸기 잼은 저온 저장고 안에 저장하도록 한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딸기 잼을 보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딸기 잼을 빵에 바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딸기잼은 우수한 젤리와 같은 조직감을 가지며, 영양 성분 파괴를 방지하고, 맛과향, 빛깔, 영양소 측면에서 월등한 잼을 제공한다. 특히, 영양분석 결과에 따르면, 열에 약한 비타민 C까지 딸기 잼에 살아 있음이 영양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갓 수확한 신선한 딸기를 얼리지 않고 가공하도록 하며, 신선한 딸기 원료로 만들어질 잼을 가공 과정에서도 딸기가 가진 생과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 소비자에게 공급하되, 농축과정에서 최적의 온도로 저온 농축하여 맛과향, 빛깔, 영양소 측면에서 월등한 잼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농축이 전체적으로 보다 균일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기존의 80~100℃ 이상의 온도에서 시행하던 방법에서 탈피하여, 교반용기 내부를 진공 상태로 형성하고, 그 진공상태로 생성된 공간에 의해 증류 농축 온도를 30~50℃로 유지함으로써, 맛과 향, 빛깔, 영양소 측면에서 월등한 잼을 제공할 수 있고, 식빵에 발라먹는 용도로만 주로 사용될 뿐, 딸기 잼 자체를 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아이스크림이나 케이크와 같은 후식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딸기 잼은 우수한 조직감(젤리와 같은 느낌)을 가지며, 별도의 합성 첨가제 사용 없으며, 딸기와 설탕만으로 만들어지므로 생과 특성이 살아 있다.
셋째, 저온 진공 스팀 농축과정에서 교반탱크 및 교반부재가 동시에 가열 교반함으로써, 농축이 짧은 시간 내에 이루어져 농축 작업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딸기 잼은 우수한 조직감(젤리와 같은 느낌)을 가지며, 별도의 합성 첨가제 사용 없으며, 딸기와 설탕만으로 만들어지므로 생과 특성이 살아 있으며, 상온 보관시 유통과정에서 발효가 일어나지 않도록 냉장 보관한다.
다섯째, 파쇄 과정에서 딸기 크러쉬 내에 질소 기체를 투입하여서, 저온 진공 스팀 농축과정에서 가열과 저온 숙성을 통해 과도하게 물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한편, 설탕 자체의 특성을 활용하여 조직감을 더욱 향상시킴으로써, 우수한 젤리와 같은 조직감을 가지며, 영양 성분 파괴를 방지하고, 보존 기간을 늘일 수 있다.
여섯째, 기존 딸기 잼와는 달리 아이스크림이나 케이크와 같은 후식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1: 딸기 세척유닛
2: 딸기 이송유닛
3: 저온 저장고
4: 온도계
5: 제어부
100: 딸기 파쇄 유닛
110: 파쇄 탱크
120: 고정 플레이트
121: 중공의 회전축
130: 회전부재;
131: 딸기 크러쉬 유로
132: 딸기 크러쉬 유입홀
133: 파쇄 블레이드
140: 커버 플레이트;
150: 회전부재 구동모터
160: 질소 공급부;
170: 이송스크류
180: 딸기 크러쉬 공급펌프
200: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
210: 교반탱크
211: 밀폐 챔버
212: 유입구
213: 배출구
214: 증기 배출구
215: 냉각수 공급관
216: 응축수 배출구
219: 냉각수 수조
220: 교반 스크류
221: 교반축
222: 스크류
223: 연결축
230: 구동수단
240: 스팀 공급수단
241: 중공부
242: 나선 홀
243: 스팀 유입구
244: 응축수 배출관
300: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
310: 교반탱크
320: 진공펌프
330: 스팀공급부
340: 냉각기

Claims (8)

  1. 딸기를 세척하는 딸기 세척유닛(1); 상기 딸기 세척유닛(1)에서 세척한 딸기를 이송하는 딸기 이송유닛(2); 상기 딸기 이송유닛(2)에 의해 이송된 딸기를 제공받아 파쇄한 후 배출하는 딸기 파쇄 유닛(100); 상기 딸기 파쇄 유닛(100)에서 제공받은 딸기를 저온 스팀 농축하는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300); 및 상기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에서 제조한 딸기 잼을 저온 저장하는 저온 저장고(3); 를 포함하되,
    상기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는,
    중공의 이중격벽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 딸기 크러쉬를 수용하는 밀폐 챔버(211)를 구비하며, 상기 밀폐 챔버(211) 안으로 딸기 크러쉬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212)와, 딸기 크러쉬를 농축한 딸기 잼을 상기 밀폐 챔버(211)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213)를 구비하며, 일측에는 상기 밀폐 챔버(211)에 담긴 딸기 크러쉬를 가열하면서 발생하는 습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증기 배출구(214)를 구비하며, 상기 이중 격벽 내부에는 냉각수 수조(219)에서 공급하는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관(215)이 배치되어 상기 밀폐 챔버(211) 내부를 일정 온도로 냉각하며, 냉각 열교환 시 발생한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응축수 배출구(216)가 형성된 교반탱크(210);
    상기 교반탱크(210)의 내부에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교반축(221)의 외주면에 스크류(222)가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열 결합되며, 상기 교반축(221)의 상부에 연결축(223)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밀폐 챔버(211) 안으로 유입된 딸기 크러쉬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교반 스크류(220);
    상기 밀폐 챔버(2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교반 스크류(22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230); 및
    상기 교반 스크류(220)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수단(240);을 포함하며,
    상기 스팀 공급수단(240)은,
    상기 교반 스크류(220)의 교반 축(221) 내부에 스팀이 지나는 중공부(241)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형성되고, 상기 교반 스크류(220)의 스크류(222) 내부에는 상기 교반축(221)의 중공부(241)와 연통되는 나선 홀(242)이 스크류(222)를 따라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밀폐 챔버(211) 외부에 위치한 상기 교반 스크류(220)의 교반축(221) 소정부위에는 상기 중공부(241)로 스팀이 유입되도록 하는 스팀 유입구(243)가 형성되고, 상기 교반축(221)의 상기 중공부(241) 내에는 딸기 크러쉬를 가열 열교환하며, 열교환 시 상기 중공부(241)에 모인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관(244)이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는,
    상기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의 밀폐 챔버(211)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계(4); 및
    상기 온도계(4)의 감지에 따라 상기 밀폐 챔버(211)의 온도를 30℃∼50℃의 저온으로 유지한 상태로, 딸기 잼을 농축 제조하는 일련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5);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딸기 세척유닛(1)은 프레임(11) 위에 사각형상으로 설치되고, 내부에 일정한 수위로 용수가 수용되어 딸기의 세척과정이 진행되는 세척탱크(10);를 구비하고,
    상기 세척탱크(10)는 양측면 안쪽에는 펜스(12)가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펜스(12)는 딸기의 이동을 억제하고, 이물질과 부유물을 통과시켜 거르며, 딸기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딸기의 크기보다 협소한 공간의 빗살형태로 구성되고,
    투입 컨베이어(20)는 선별된 딸기를 상기 세척탱크(10)의 내부공간으로 투입하며,
    상기 투입 컨베이어(20)는 딸기를 연속적으로 이송 투입하고, 한쪽이 상기 세척탱크(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딸기 이송유닛(2)의 배출 컨베이어(30)는 상기 세척탱크(10)의 내부 한쪽에 경사져 설치되고, 별도로 설치된 모터의 구동으로 작동하여 세척한 딸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배출 컨베이어(30)는 상기 세척탱크(10)의 한쪽 바닥면 양측에 프레임이 경사져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 사이에 왕복으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세척탱크(10)의 바닥면에 근접한 양측 프레임에 각각 가이드 레일(32)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32) 사이에 커버(31)가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커버(31)는 세척된 딸기를 안내하여 상기 배출 컨베이어(30)에 적재하고 세척된 딸기가 상기 배출 컨베이어(30)의 후방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여 딸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세척탱크(10)의 내부에는 에어를 폭기하여 딸기를 세척하는 폭기관(40)이 더 설치되며, 상기 폭기관(40)은 상기 세척탱크(10)의 내부 바닥에 양측 방향으로 가로질로 설치되고,
    상기 폭기관(40)은 상기 세척탱크(10)의 용량에 따라 양측 방향으로 가로질러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측에 폭기공(41)이 형성되어 상기 세척탱크(10)의 상부 쪽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딸기를 세척하며,
    상기 세척탱크(10)의 내부에는 에어 또는 용수를 분사하여 딸기를 세척하고 투입된 딸기를 후방쪽으로 이동시키는 분사관(50)이 더 설치되며,
    상기 분사관(50)은 상기 세척탱크(10)의 내부에서 한쪽 상측에 가로질러 설치되고, 에어 또는 용수를 분사하며,
    상기 분사관(50)은 에어 또는 용수를 분사하여 투입된 딸기를 세척하고, 투입된 딸기를 후방쪽으로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중간 부분이 수면에 잠기도록 설치되며,
    상기 세척탱크(10)의 바닥면으로 가라앉는 이물질과 딸기를 거르는 망체(60)를 더 구비하며, 상기 망체(60)는 상기 세척탱크(10)의 내부 바닥면 위에 설치되고, 딸기의 크기보다 작은 메쉬망으로 구성되며,
    상기 망체(60)는 상기 폭기관(40) 위에 배치되고, 한쪽이 상기 분사관(50)의 하부에 배치되고, 다른 쪽이 상기 배출 컨베이어(30)의 커버(31)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세척탱크(10)로 투입된 딸기와 부유물 등을 양측 사이드로 안내하는 세척 블레이드(70)가 더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70)는 상기 세척탱크(10)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고, 중간 부분이 수면에 잠기도록 설치되며,
    상기 세척 블레이드(70)는 한쪽이 인접하여 뾰족하고, 다른 쪽이 대향측으로 점점 벌어지는 나팔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뾰족한 부분에서 펜스(12)가 설치된 양측 사이드 방향으로 점점 벌어져 설치되며,
    상기 세척 블레이드(70)는 상기 세척탱크(10)의 바닥면 위에 설치된 상기 망체(60)의 상부에 다수개의 고정바(71)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바(71)의 상부에 부착하여 설치하며,
    상기 세척 블레이드(70)는 수면에 중간 부분이 잠긴 상태에서 상기 분사관(50)이 에어 또는 용수를 분사하여 투입된 딸기를 후방쪽으로 밀어서 이동시킬 경우, 딸기와 부유물을 상기 펜스(12)가 설치된 양측 사이드 방향으로 안내하며,
    상기 세척탱크(10)에는 부유물 챔버(80)가 더 설치되며, 상기 부유물 챔버(80)는 상기 세척탱크(10)의 양측면에 수면 높이로 구성되고, 그 하부에 배출관(83)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부유물 챔버(80)는 상기 세척탱크(10)의 양측 사이드에 설치된 상기 펜스(12)를 통과하여 이동한 부유물을 배출하고,
    상기 딸기 파쇄 유닛(100)은,
    세척한 딸기를 담기 위한 파쇄 탱크(110);
    상기 파쇄 탱크(11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며, 중심에는 중공의 회전축(121)이 돌출 형성되고 그 회전축(121) 내부로 딸기 크러쉬가 배출되는 고정 플레이트(120);
    상기 파쇄 탱크(110) 안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21)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심에는 수직방향으로 딸기 크러쉬 유로(131)가 형성되고, 그 딸기 크러쉬 유로(131)에 연통되도록 외주면에는 딸기 크러쉬 유입홀(132)이 다수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딸기를 파쇄하기 위한 파쇄 블레이드(133)가 다수 형성된 회전부재(130);
    상기 파쇄 탱크(110) 내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상기 파쇄 탱크(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 플레이트(140);
    상기 회전부재(130)를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140)에 설치되는 회전부재 구동모터(150);
    상기 파쇄 탱크(110) 내부에 질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140)에 설치되는 질소 공급부(160);
    상기 고정 플레이트(120)의 회전축(121) 내부를 통해서 토출되는 딸기 크러시를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파쇄 탱크(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류(170); 및
    상기 이송스크류(170)에 의해 배출되는 딸기 크러쉬를 상기 저온 진공 스팀 농축기(200)에 공급하는 딸기 크러쉬 공급펌프(180);를 포함하고,
    상기 파쇄 탱크(110) 내벽면에는 블레이드(110a)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잼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029967A 2021-03-08 2021-03-08 딸기 잼 제조장치 및 그 딸기 잼 제조장치를 이용한 딸기 잼 제조방법 KR102633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967A KR102633191B1 (ko) 2021-03-08 2021-03-08 딸기 잼 제조장치 및 그 딸기 잼 제조장치를 이용한 딸기 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967A KR102633191B1 (ko) 2021-03-08 2021-03-08 딸기 잼 제조장치 및 그 딸기 잼 제조장치를 이용한 딸기 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980A KR20220125980A (ko) 2022-09-15
KR102633191B1 true KR102633191B1 (ko) 2024-02-01

Family

ID=83281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967A KR102633191B1 (ko) 2021-03-08 2021-03-08 딸기 잼 제조장치 및 그 딸기 잼 제조장치를 이용한 딸기 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1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0566A1 (en) * 2000-03-31 2003-04-17 Marko Areh Food processor
JP2004009022A (ja) * 2002-06-11 2004-01-15 Nisshin Seifun Group Inc 穀物熱処理攪拌装置
KR101831248B1 (ko) * 2016-08-19 2018-02-22 농업회사법인 써니빌 주식회사 딸기 세척기의 부유물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231A (ko) 1994-10-15 1996-05-22 이미현 고품질 딸기쨈의 제조방법
KR100929338B1 (ko) * 2008-03-10 2009-12-03 이종호 딸기잼 제조방법 및 그 딸기잼
KR101769928B1 (ko) * 2015-05-26 2017-08-23 농업회사법인 경북대학교포도마을주식회사 다기능을 가진 과즙 가공용 탱크
KR101822052B1 (ko) * 2016-01-25 2018-01-25 (주)퓨어시스템 베리 가공방법
KR101822074B1 (ko) 2017-08-22 2018-01-25 장성기 꿀을 이용한 딸기잼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0566A1 (en) * 2000-03-31 2003-04-17 Marko Areh Food processor
JP2004009022A (ja) * 2002-06-11 2004-01-15 Nisshin Seifun Group Inc 穀物熱処理攪拌装置
KR101831248B1 (ko) * 2016-08-19 2018-02-22 농업회사법인 써니빌 주식회사 딸기 세척기의 부유물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980A (ko)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28161B (zh) 一种冻干芒果块的制备方法
JP4842337B2 (ja) 甘梅の製造方法
CN107529796A (zh) 整合的加热和冷却型食物加工系统
CN106578763A (zh) 一种速冻水果浆的制备方法
KR102633191B1 (ko) 딸기 잼 제조장치 및 그 딸기 잼 제조장치를 이용한 딸기 잼 제조방법
CN106173716B (zh) 一种鲜榨水蜜桃汁的制备工艺
US48669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fruit to a select temperature
US20190281865A1 (en) Process and apparatus of producing beverge
KR101730971B1 (ko) 신속 저염김치 제조시스템
KR20050121690A (ko) 농축한 일본주, 농축한 일본주의 제조방법, 원심분리장치,및 주류의 농축장치
US61907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citrus juice from frozen bodies
US7074444B2 (en) Method for producing a dehydrated whole food product
EP1938693A1 (en) System for pasteurisation thermal treatment of foodstuffs, particularly leaf products
CN208925207U (zh) 蔬果干燥系统
CN113662220A (zh) 一种仔姜冻干片制备系统及方法
KR20170052885A (ko) 올리고당을 이용한 저당도 딸기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딸기잼
US6844017B1 (en) Food processing method for edible and perishable plants
Potter et al. Unit operations in food processing
KR102187721B1 (ko) 오디를 포함한 뽕잎관자 및 그 제조장치
KR101968535B1 (ko) 채소류 발효식품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 그리고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식품
KR102067797B1 (ko) 떡 제조장치 및 떡 제조방법
CN109169856A (zh) 速冻冬瓜加工工艺
CZ287236B6 (en) Heat treatment process of bulk foodstuff products, particularly vegetable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CN217202686U (zh) 一种竹笋发酵用生产线
CN209744832U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