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7624A -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7624A
KR20210147624A KR1020200065119A KR20200065119A KR20210147624A KR 20210147624 A KR20210147624 A KR 20210147624A KR 1020200065119 A KR1020200065119 A KR 1020200065119A KR 20200065119 A KR20200065119 A KR 20200065119A KR 20210147624 A KR20210147624 A KR 20210147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lymer
adhesive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이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이치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이치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65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7624A/ko
Publication of KR20210147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6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7/00Adhesives based on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적인 점착력을 가지면서도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거시에 점착제 잔류물이 남지 않아 점착제 잔류물에 의한 제반 문제점이 원활히 해소되도록 하는 양면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본 양면 점착테이프는 수평으로 연신이 가능한 필름과; 상기 필름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코팅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고무 또는 천연고무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를 원료로 하는 경화제 0.1 내지 20 중량부와, 점착 증진제 50 내지 200 중량부와, 입자 크기가 1 내지 100㎛인 폴리머계 비드 1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름이 수평으로 연신될 때 상기 점착층이 수평으로 연신되면서 상기 폴리머계 비드가 상기 점착층의 외부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점착층이 점착제 잔류물이 없이 피착제에서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METHOD OF PRODUCING PEELABLE DOUBLE-SIDED ADHESIVE TAPE}
본 발명은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용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적인 점착력을 가지면서도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거 시에 점착제 잔류물이 남지 않아 점착제 잔류물에 의한 제반 문제점이 원활히 해소되도록 하는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 또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이나 소형 영상촬영장치(디지털 카메라, 블랙박스 등)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수단이나 촬영수단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은 패널모듈과 액정모듈의 접합 작업이나 글라스(glass) 또는 카메라 렌즈 등과 같은 광학용 자재를 고정부에 고정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하는 방법에는 나사 고정 방식, 접착제 고정 방식 및 양면 점착테이프 고정 방식 등 여러 가지가 사용되고 있는데, 여기서 양면 점착테이프 고정 방식은 간단하면서 저렴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양면 점착테이프 고정 방식에 의해 부품이 고정된 기기가 고장이 나거나 기기의 조립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 부품에 접착된 양면 점착테이프를 제거하면 테이프에 도포된 점착제가 부품에 붙여 남게 되는데,
이러한 점착제 잔류물은 잘 떨어지지 않아 이를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이를 제거하기 위해 불필한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2016-0078686호 "양면 점착 테이프용 점착 조성물, 터치스크린 패널용 양면 점착테이프 및 터치스크린 패널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2016.07.0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적인 점착력을 가지면서도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거 시에 점착제 잔류물이 남지 않아 점착제 잔류물에 의한 제반 문제점이 원활히 해소되도록 하는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점착테이프용 점착제 조성물"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고무 또는 천연고무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를 원료로 하는 경화제 0.1 내지 20 중량부와; 점착 증진제 50 내지 200 중량부와; 입자크기가 1 내지 100㎛인 폴리머계비드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고무는 20 내지 30 중량%의 스티렌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 증진제는 그 연화점이 90 내지 16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점착테이프용 점착제 조성물"은, 자외선 안정제, 산화방지제, 충진제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연신율이 200 내지1500%이고, 파괴하중이 0.5 내지 2.0kgf이며, 점착력이 1.0 내지 3.0kgf/inch이고, 내열 유지력이 80 내지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점착테이프"는, 수평으로 연신이 가능한 필름과; 상기 필름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코팅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고무 또는 천연고무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를 원료로 하는 경화제 0.1 내지 20 중량부와, 점착 증진제 50 내지 200 중량부와, 입자크기가 1 내지 100㎛인 폴리머계비드 1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름이 수평으로 연신될 때 상기 점착층이 수평으로 연신되면서 상기 폴리머계 비드가 상기 점착층의 외부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점착층이 점착제 잔류물이 없이 피착제에서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점착테이프"의 상기 필름은, 폴리우레탄 재질이고, 상기 폴리머계 비드는, 폴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재질이며, 상기 필름과 점착층의 연신율은, 200 내지 15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은, 천연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 해교제 0.2 내지 0.5 중량부와 툴루엔 650 내지 700 중량부를 혼합하고 70 내지 90℃에서 8 내지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해교된 고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해교된 고무 용액에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고무 20 내지 40 중량부와 점착성 부여제 80 내지 120 중량부를 첨가하여 고형분 20 내지 30%이고 점도 2500 내지 3500cps인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 용액에 입자크기가 1 내지 100㎛인 폴리머계 비드 1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점착제를 제조하는 단계와; 수평으로 연신이 가능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우레탄 필름의 상면과 하면에 상기 점착제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의 상기 폴리머계 비드는, 폴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재질이고, 상기 점착제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폴리머계 비드를 첨가하기 전에, 상기 폴리머계 비드의 외면을 매끄럽게 표면 처리를 하는 과정과, 상기 매끄럽게 표면 처리된 폴리머계 비드의 외면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과정과, 상기 윤활제가 도포된 폴리머계 비드의 외면에 상기 혼합 용액을 코팅하여 보호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안정적인 점착력을 가지면서도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거 시에 점착제 잔류물이 남지 않아 점착제 잔류물에 의한 제반 문제점이 원활히 해소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점착테이프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점착테이프용 점착제 조성물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고무 또는 천연고무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를 원료로 하는 경화제 0.1 내지 20 중량부와, 점착 증진제 50 내지 200 중량부와, 입자크기가 1 내지 100㎛인 폴리머계 비드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천연고무는 고무나무에서 추출한 천연 소재의 고무이고,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는 유리전이온도(Tg)가 낮고 탄화수소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표면에너지가 매우 낮은 특성을 가지고 젖음성(wetting)이 우
수한 합성고무이다.
본 점착제 조성물에는 이와 같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고무와 천연고무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고무는 20 내지 30 중량%의 스티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스티렌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 응집력이 불충분해지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성이 불충분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경화제는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0.1 중량부보다 적으면 경화 반응이 충분하지 않아 내열도가 떨어지고, 20 중량부보다 많으면 점착력의 저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경화제는 고무 수지의 관능기인 하이드록실기, 카르보닐기, 마레인산기 등에 적합한 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 아지리딘, 알루미늄 킬레이트 등을 원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이소시아네이트가 폴리머계 비드와 가장 잘 결합됨에 따라 이것이 가장 적합하다.
상기 점착 증진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치환식 포화 탄화수소 수지(합성 석유 수지)나 로진에스테르 유도체, 테르펜계 수지, 페놀계 수지 등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치환식 포화 탄화수소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점착 증진제는 그 연화점이 90 내지 160℃인 것이 바람직한데, 연화점은 일반적으로 물질이 가열에 의해 변형되어 연화를 일으키기 시작하는 온도를 일컫는다. 따라서, 점착 증진제는 90℃에서 변형 및 연화가 시작될 수 있다.
상기 점착 증진제의 연화점을 90℃ 이상으로 유지하는 경우, 고온 신뢰성 조건에서 점착 증진제가 유리 상태(glassy state)를 유지함으로 열 변형률이 작아진다는 점에서 유리하며, 고온 신뢰성 확보가 용이하다. 반면, 점착 증진제의 연화점이 90℃ 미만인 경우 고온 조건에서 점착 증진제가 연화를 시작하여 내구성의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착 증진제의 연화점이 160℃를 초과하면 상온에서 점착 증진제의 점착증진의 역할이 미미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계 비드는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진 구체를 말하고 연질이면서 탄성을 가지는 것으로, 양면 점착테이프가 수평으로 연신되면서 두께가 얇아질 때 점착층의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되면서 피착제와 점착층 사이의 접촉면적을 줄여줌으로써 점착력을 현저히 감소시키면서 점착 잔류물의 없이 점착층과 피착제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폴리머계 비드는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5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1 중량부보다 작으면 용량이 너무 적어 수평 연신 시에 점착제의 외면으로 적절히 돌출되지 않게 되고, 5 중량부보다 크면 용량이 너무 많아 점착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기 폴리머계 비드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나일론, 폴리우레탄, 폴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실리카 등의 재질이 사용가능하며, 특히 히드록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폴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로 제조된 비드의 경우 경화제인 이소시아네트와 우레탄 반응이 일어남으로 점착층과의 결합력이 우수하다.
또한, 본 양면 점착테이프용 점착제 조성물은 자외선 안정제, 산화방지제, 충진제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점착제 조성물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연신율이 200 내지 1500%이고, 파괴하중이 0.5 내지 2.0kgf이며, 점착력이 1.0 내지 3.0kgf/inch이고, 내열 유지력이 80 내지 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점착테이프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점착테이프는 수평으로 연신이 가능한 필름과, 상기 필름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코팅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점착층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층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고무 또는 천연고무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를 원료로 하는 경화제 0.1 내지 20 중량부와, 점착 증진제 50 내지 200 중량부와, 입자크기가 1 내지 100㎛인 폴리머계 비드 1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양면 점착테이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이 수평으로 연신될 때 상기 점착층이 수평으로 연신되면서 상기 폴리머계 비드가 상기 점착층의 외부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점착층이 점착제 잔류물이 없이 피착제에서 분리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피착제는 본 양면 점착테이프가 부착되는 휴대폰 등의 부속 제품을 말한다.
또한, 상기 필름은 폴리우레탄 재질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폴리우레탄계의 경우 점착층과 경화제인 이소시아네이트 사이의 반응에 필요한 히드록시기가 포함되어 있음으로 연신 분리 작업시 상기 필름과 점착층 간의 분리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폴리머계 비드는 폴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재질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폴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가 히드록시 관능기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점착층과 경화제인 이소시아네이트 사이에 우레탄 반응이 일어나 상기 점착층과의 결합력이 우수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필름과 점착층의 연신율은 200 내지 1500%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연신율이 200%보다 낮으면 상기 폴리머계 비드의 노출이나 돌출이 상대적으로 적어 피착제에 대한 적절한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연신율이 1500%보다 높으면 상기 폴리머계 비드가 과도하게 노출되거나 돌출되어 점착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은 천연고무를 해교하여 해교된 고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해교된 고무 용액에 합성 고무와 점착성 부여제를 첨가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 용액에 폴리머계 비드를 첨가하여 점착제를 제조하는 단계와,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필름에 상기 점착제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천연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 해교제 0.2 내지 0.5 중량부와 툴루엔 650 내지 700 중량부를 혼합하고 70 내지 90℃에서 8 내지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해교된 고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해교된 고무 용액에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고무 20 내지 40 중량부와 점착성 부여제 80 내지 120 중량부를 첨가하여 고형분 20 내지 30%이고 점도 2500 내지 3500cps인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점착제 제조 단계는 상기 혼합 용액에 입자크기가 1 내지 100㎛인 폴리머계 비드 1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점착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필름 준비 단계는 수평으로 연신이 가능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점착제 코팅 단계는 상기 폴리우레탄 필름의 상면과 하면에 상기 점착제를 코팅하여 양면 점착테이프를 완성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와 같은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제조된 양면 점착테이프는 수평으로 연신될 때 코팅된 점착층에서 폴리머계 비드가 돌출되어 피착제에서 쉽게 분리되고, 그에 따라 피착제에 점착제 잔류물이 남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폴리머계 비드는 폴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재질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폴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가 히드록시 관능기를 포함하고 있어 점착층과 경화제인 이소시아네이트 사이에 우레탄 반응이 일어나 상기 점착층과의 결합력이 우수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점착제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폴리머계 비드를 첨가하기 전에, 상기 폴리머계 비드의 외면을 매끄럽게 표면 처리를 하는 과정과, 상기 매끄럽게 표면 처리된 폴리머계 비드의 외면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과정과, 상기 윤활제가 도포된 폴리머계 비드의 외면에 상기 혼합 용액을 코팅하여 보호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표면 처리 과정은 상기 폴리머계 비드의 외면을 기계적 혹은 화학적 가공을 통해 매끄럽게 하여 표면마찰 계수를 낮춤으로써, 수평 연신 시에 점착층에서 손쉽게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윤활제 도포 과정은 상기 폴리머계 비드의 외면에 윤활성을 주어 표면마찰계수가 보다 낮아지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보호층 형성 과정은 점착제인 상기 혼합 용액을 코팅하여 상기 폴리머계 비드를 상기 혼합 용액에 혼합하는 중에 윤활제가 씻겨 나가거나 훼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상술한 기능을 입증하기 위한 실시예와 비교예를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고, 이로써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점착제 조성>
천연 고무(SMR) 100 중량부, 해교제(NOCTIZER SZ, Ohuchi Shinko Kagaku K.K.) 0.3 중량부 및 톨루엔 690.7 중량부를 플라스크에 넣고, 80℃에서 10시간동안 교반하여서 해교된 천연 고무 용액을 수득하였다. SIS계 고무(Quintac 3421,ZEON CORPORATION) 30 중량부와 점착성 부여제(U185 제온 코퍼레이션 ZEON CORPORATION) 100 중량부를 상기 수득된 용액에 첨가하여서 고형분 25%이고 점도 3000cps@25℃인 천연고무-합성 고무계 감압성 접착제 용액을 수득하였다.
<실시예1>
상기 점착제 용액을 이용하여 TPU FILM 0.025mm(T-MAX KG, SK F&C)에 양면에 점착제 0.0375mm씩 전사 방식으로 코팅 후 합지하여 제품을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의 점착제 용액에 경화제 PAPI 135(DOW Plasitics) 0.5 중량부를 첨가하며 경화온도는 최고 온도130℃이고, 코팅 속도 25m/min으로 코팅 작업을 하였다.
<실시예2>
폴리머계 비드 80H(폴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선진화학)를 상기의 점착제에 2.5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다.
<실시예3>
폴리머계 비드 80H를 상기의 점착제에 5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다.
<실시예4>
폴리머계 비드 80H를 상기의 점착제에 1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다.
<비교예>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예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TESA 67210 두께 0.1mm인 양면 점착테이프이다.
상기의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와 <비교예>의 점착력은 KS T 1107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상기의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와 <비교예>의 내열유지력은 SUS 304에 25mm*25mm로 접착 후 80℃, 90℃, 100℃, 110℃, 120℃에서 1kg의 추를 메달아 1시간 후 밀린 거리를 측정하였다.
상기의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와 <비교예>의 인장력과 연신율은 ASTM D882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상기의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와 <비교예>의 빠짐력은 양면 점착테이프를 10mm*20mm사이즈로 성형 후 유리에 접착 후 2kg의 롤러로 압착하고 1시간 경과 후에 수평 방향으로 빠지는 힘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빠짐력은 피착제인 유리에서 양면 점착테이프가 수평방향으로 분리될 때 소요되는 힘을 의미한다. 즉, 빠짐력이 높을수록 분리가 어려워 점착제 잔류물이 많고, 빠짐력이 낮을수록 쉽게 분리되어 점착제 잔류물이 없게 된다.
Figure pat00001
상기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제시하였고, 이에 의하면 폴리머계 비드가 함유되지 않은 <실시예1>의 양면 점착테이프의 경우 점착력과 인장력 및 연신율은 <비교예>와 대비하여 동일하거나 우수하지만 빠짐력이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실시예2>와 <실시예3>의 양면 점착테이프의 경우 <비교예>와 대비하여 점착력, 인장력, 연신율 및 빠짐력 또한 동등하거나 우수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4>의 경우 폴리머계 비드가 과도하게 첨가되어 <비교예>와 대비하여 점착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에 비례하여 빠짐력 또한 낮게 나왔다.
특히, <실시예2>의 경우 <비교예>에 대비하여 점착력 및 내열도가 우수하게 나왔으며 빠짐력이 낮게 측정되었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인 휴대용 전화기(모바일 폰) 및 전기 전자 제품의 부품을 고정하는데 더욱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높은 점착력이 필요하고 테이프의 제거 시에 쉽게 분리되기 위해선 빠짐력이 낮아야 한다.
상기 결과에 보듯이 기존의 점착제와 높은 점착력과 내열을 가지면서 폴리머계 비드를 사용함으로써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양면 점착테이프를 제조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Claims (1)

  1. 천연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 해교제 0.2 내지 0.5 중량부와 툴루엔 650 내지 700 중량부를 혼합하고 70 내지 90℃에서 8 내지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해교된 고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해교된 고무 용액에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고무 20 내지 40 중량부와 점착성 부여제 80 내지 120 중량부를 첨가하여 고형분 20 내지 30%이고 점도 2500 내지 3500cps인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 용액에 입자크기가 1 내지 100㎛인 폴리머계 비드 1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점착제를 제조하는 단계와;
    수평으로 연신이 가능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우레탄 필름의 상면과 하면에 상기 점착제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하고
    상기 폴리머계 비드는, 폴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재질이고,
    상기 점착제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폴리머계 비드를 첨가하기 전에,
    상기 폴리머계 비드의 외면을 매끄럽게 표면 처리를 하는 과정과,
    상기 매끄럽게 표면 처리된 폴리머계 비드의 외면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과정과,
    상기 윤활제가 도포된 폴리머계 비드의 외면에 상기 혼합 용액을 코팅하여 보호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
KR1020200065119A 2020-05-29 2020-05-29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 KR202101476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119A KR20210147624A (ko) 2020-05-29 2020-05-29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119A KR20210147624A (ko) 2020-05-29 2020-05-29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624A true KR20210147624A (ko) 2021-12-07

Family

ID=78868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119A KR20210147624A (ko) 2020-05-29 2020-05-29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76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588B1 (ko) * 2022-03-31 2022-10-26 에이엠씨주식회사 2차전지 분리막 내열 코팅 공정용 양면테이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686A (ko) 2014-12-24 2016-07-05 (주)엘지하우시스 양면 점착 테이프용 점착 조성물, 터치스크린 패널용 양면 점착 테이프 및 터치스크린 패널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686A (ko) 2014-12-24 2016-07-05 (주)엘지하우시스 양면 점착 테이프용 점착 조성물, 터치스크린 패널용 양면 점착 테이프 및 터치스크린 패널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588B1 (ko) * 2022-03-31 2022-10-26 에이엠씨주식회사 2차전지 분리막 내열 코팅 공정용 양면테이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674B1 (ko)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
CN110240873B (zh) 一种重工胶带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5537613B2 (ja) 両面粘着シート
TWI641485B (zh) 表面保護膜及貼合有該表面保護膜之光學零件
TWI537352B (zh)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adhesive layer for optical film, adhesive typ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1)
CN106189942B (zh) 粘结剂组合物及粘结膜
KR101800470B1 (ko) 점착 테이프,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JP7018260B2 (ja)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利用
CN110878190B (zh) 一种泡棉双面胶带及其制造方法
CN106574149A (zh) 便携式电子设备用粘合片
KR20160133476A (ko) 신장 가능한 접착제 용품, 그의 사용 및 제조
TW201840771A (zh) 雙面黏著膠帶
JP5519917B2 (ja) 研磨布固定用両面粘着テープ
TW201300486A (zh) 表面保護膜
JP7128945B2 (ja) 光学用粘着剤層、光学用粘着剤層の製造方法、粘着剤層付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CN103980825B (zh) 粘合带
JP2017008193A (ja) 熱硬化型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層
JP7377210B2 (ja) 両面粘着テープ
KR20210147624A (ko)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
CN108219695B (zh) 一种高耐反翘窄边框遮光胶带及其制备方法
CN111440573A (zh) 一种压敏胶的配方,一种压敏胶胶水,一种压敏胶涂布液及一种胶带
JP2014125567A (ja) 再剥離型自己粘着性フィルム
JP2003268325A (ja) 再剥離型両面粘着テープ
US20140037953A1 (en) Surface-protecting film
US20190161651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