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7460A - 기능성 물질이 코팅된 흡연물품용 팁페이퍼 및 상기 팁페이퍼의 코팅 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물질이 코팅된 흡연물품용 팁페이퍼 및 상기 팁페이퍼의 코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7460A
KR20210147460A KR1020200064712A KR20200064712A KR20210147460A KR 20210147460 A KR20210147460 A KR 20210147460A KR 1020200064712 A KR1020200064712 A KR 1020200064712A KR 20200064712 A KR20200064712 A KR 20200064712A KR 20210147460 A KR20210147460 A KR 20210147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ip paper
functional material
smoking
a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6227B1 (ko
Inventor
신해근
고동균
오연근
이승환
송인범
송호림
장행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00064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227B1/ko
Priority to JP2021530843A priority patent/JP7388640B2/ja
Priority to PCT/KR2021/002106 priority patent/WO2021241850A1/ko
Priority to EP21742677.4A priority patent/EP3939441A4/en
Priority to US17/423,930 priority patent/US20230157351A1/en
Priority to CN202180006252.3A priority patent/CN114650739B/zh
Publication of KR20210147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5Treatment of cigarette pape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56Making tipping materials, e.g. sheet cork for mouthpieces of cigars or cigarettes, by mechanical means
    • A24C5/565Making tipping materials, e.g. sheet cork for mouthpieces of cigars or cigarettes, by mechanical means by treating the tipping material with a liquid or viscous solution, e.g. paraffin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60Final treatment of cigarettes, e.g. marking, printing, branding, decorating
    • A24C5/601Marking, printing or decorating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02Cigars; Cigarettes with additives, e.g. for flavou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04Cigars; Cigarettes with a filter located between tobacco rod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연물질 래퍼가 감싸진 흡연물질부와, 상류 말단이 흡연물질부에 결합되며 필터 래퍼가 감싸진 필터부와, 흡연물질부와 필터부가 결합되도록 흡연물질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필터부를 감싸는 팁페이퍼를 포함하되, 팁페이퍼는 OP 잉크에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 및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의 용해성을 증진시키는 OP 보조제가 첨가된 OP 코팅용액으로 코팅된 흡연물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기능성 물질이 코팅된 흡연물품용 팁페이퍼 및 상기 팁페이퍼의 코팅 방법{FUNCTIONAL MATERIAL COATED TIP PAPER FOR SMOKING ARTICLES AND METHOD FOR COATING THE TIP PAPE}
본 발명은 흡연물품용 팁페이퍼 및 그의 코팅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연시의 다양한 미각 부여, 이취감소, 유해균 저감 작용 및 구취 저감 작용 등을 위한 기능성 물질이 코팅된 팁페이퍼 및 그의 코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잎담배 및 판상엽 등 다양한 종류의 담배재료를 배합 및 가공하고 궐련지로 감싼 후, 필터를 부착한다. 상기 필터는 팁페이퍼(tip paper)에 의해 상기 담배재료들이 충진된 흡연물질부와 연결되며, 상기 팁페이퍼의 표면에는 일반적으로 인쇄 공정 및 상기 인쇄 공정으로 인쇄된 잉크의 탈락 방지를 위한 OP(over print) 코팅 내지 OPV(Over print varnish) 공정이 수행된다.
한편, 상기 팁페이퍼는 흡연 시 사용자의 구부에 접촉하는 부분으로써, 경우에 따라 인쇄 공정 또는 OP 코팅에서 사용된 용액 내 특정 성분에 의해 흡연 시 이취 발생 등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인쇄용액 또는 OP 코팅용액의 성분을 무분별하게 변경하거나 추가 시 인쇄용 실린더의 판막힘, 팁페이퍼의 컬(curl) 발생, 인쇄 시 잉크 뒷묻음 또는 인쇄잉크의 탈락 발생 등의 추가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팁페이퍼에 인쇄된 잉크의 탈락현상 등의 발생 없이 흡연 시 이취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다양한 미각과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팁페이퍼 및 그의 코팅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흡연물질 래퍼가 감싸진 흡연물질부; 상류 말단이 상기 흡연물질부에 결합되며 필터 래퍼가 감싸진 필터부; 및 상기 흡연물질부와 상기 필터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흡연물질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상기 필터부를 감싸는 팁페이퍼를 포함하되, 상기 팁페이퍼가 OP 잉크에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의 용해성을 증진시키는 OP 보조제가 첨가된 OP 코팅용액으로 코팅된 흡연물품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OP 잉크의 중량 및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OP 보조제의 중량의 비는 1:2 내지 2:1이며,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의 중량과 상기 OP 잉크의 중량의 비, 또는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의 중량과 상기 OP 보조제의 중량의 비는 1:1.5 내지 1:600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은 감미료 물질 및 유해균 및 구취 저감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감미료 물질은 수크랄로스, 구연산, 시나몬, 다크초코, 사과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유해균 및 구취 저감 물질은 로즈마리오일, 자몽종자추출물, 상기 수크랄로스 및 상기 사과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은 상기 사과산, 상기 수크랄로스, 상기 로즈마리오일, 상기 자몽종자추출물, 또는 상기 사과산과 상기 수크랄로스의 혼합물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은 상기 사과산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사과산의 중량과 상기 OP 잉크의 중량의 비, 또는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사과산의 중량과 상기 OP 보조제의 중량의 비는 1:2 내지 1:25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사과산의 중량과 상기 OP 잉크의 중량의 비, 또는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사과산의 중량과 상기 OP 보조제의 중량의 비는 1:7 내지 1:12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은 상기 수크랄로스, 상기 로즈마리오일 및 상기 자몽종자추출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기능성 물질의 중량과 상기 OP 잉크의 중량의 비, 또는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기능성 물질의 중량과 상기 OP 보조제의 중량의 비는 1:2 내지 1:25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능성 물질의 중량과 상기 OP 잉크의 중량의 비, 또는 상기 기능성 물질의 중량과 상기 OP 보조제의 중량의 비는 1:3 내지 1:10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은 상기 사과산과 상기 수크랄로스의 혼합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사과산과 상기 수크랄로스의 혼합물질의 중량과 상기 OP 잉크의 중량의 비, 또는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사과산과 상기 수크랄로스의 혼합물질의 중량과 상기 OP 보조제의 중량의 비는 1:2 내지 1:12이고,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사과산의 중량과 상기 수크랄로스의 중량의 비는 1:0.006 내지 1:1.25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사과산의 중량과 상기 수크랄로스의 중량의 비는 1:0.1 내지 1:0.3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OP 잉크에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의 용해성을 증진시키는 OP 보조제가 첨가된 OP 코팅용액으로 코팅된 흡연물품용 래퍼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연물품용 래퍼는 흡연물질부와 흡연물품용 필터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흡연물질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상기 흡연물품용 필터부를 감싸는 흡연물품용 팁페이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OP 잉크에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의 용해성을 증진시키는 OP 보조제가 첨가된, OP 코팅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OP 코팅용액을 상기 팁페이퍼의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팁페이퍼의 코팅 방법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은 분말 상태의 제1 기능성 물질 및 오일 상태의 제2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OP 코팅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말 상태의 제1 기능성 물질 및 상기 오일 상태의 제2 기능성 물질은 상기 OP 코팅용액에 순차적으로 각각 용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팁페이퍼에 따르면, 인쇄잉크의 탈락을 방지함과 동시에 코팅용액에 함유된 기능성 물질에 의한 흡연 시 이취발생 최소화 및 다양한 미각 부여를 통한 흡연 관능특성 개선이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기능성 유해균 및 구취 저감 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구부가 상기 팁페이퍼와 접촉할 경우 사용자 구강 내 미생물 감소 효과 또한 발현될 수 있다.
또한, 사과산 및 수크랄로스 중 하나 이상의 물질이 상기 기능성 물질에 포함될 경우, 상술한 이취감소, 미각만족도 증진 및 유해균 저감 작용과 더불어 흡연자의 구취저감 효과까지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기능성 물질이 코팅된 팁페이퍼를 포함하는 흡연물품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팁페이퍼의 코팅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비교예 1, 실시예 2 및 4에서의 유해균 저감 작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진들이다.
도 4 내지 도 7은 실시예 2,4,5,14,15에 대한 시험성적서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 전체에서 '흡연물품'은 담배(궐련), 시가 등과 같이,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물건을 의미할 수 있다. 흡연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물질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연물품은 판상엽 담배, 각초, 재구성 담배 등 담배 원료를 기초로 하는 고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흡연물질은 휘발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기능성 물질이 코팅된 팁페이퍼를 포함하는 흡연물품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흡연물품(100)이 연소형 궐련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흡연물품(100)은 전자담배기기 등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미도시)와 함께 사용되는 가열식 궐련 등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흡연물품(100)은 필터 래퍼(110a)가 감싸진 필터부(110), 흡연물질 래퍼(120a)가 감싸진 흡연물질부(120), 및 상기 필터부(110) 및 흡연물질부(120)를 결합시키는 팁페이퍼(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110)는 흡연물질부(120)의 하류에 배치되어, 흡연물질부(120)에서 발생한 에어로졸 물질을 사용자가 흡입하기 직전 통과하는 영역일 수 있다.
필터부(11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필터부(110)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필터부(110)는 향료 물질이 가향처리되지 않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도, 향료 물질이 가향처리된 TJNS(transfer jet nozzle system) 필터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필터부(110)는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태의 구조물일 수도 있다. 또한, 필터부(110)는 내부(예를 들어, 중공)에 동일 혹은 이형의 재질의 필름, 튜브 등의 구조물을 삽입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필터부(110)는 단일 필터로 이루어진 모노 필터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필터부(110)는 필터 효율을 높이기 위해 2개의 아세테이트 필터를 구비한 듀얼 필터 또는 삼중 필터 등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나아가, 도시되지 않았지만, 필터부(110)의 내부에는 향료를 포함하는 내용액을 피막으로 감싼 구조의 파쇄가능한 캡슐(미도시)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술한 필터부(110)는 흡연물질부(120)의 하류에 배치되어, 흡연물질부(120)에서 발생한 에어로졸 물질을 사용자가 흡입하기 직전 통과하는 필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필터부(110)는 필터 래퍼(110a)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필터 래퍼(110a)는 내유성을 갖는 권지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필터 래퍼(110a)의 안쪽 면에는 알루미늄 호일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흡연물질부(120)는 원료 잎담배, 판상엽 또는 잎담배와 판상엽이 배합된 혼합물로 충전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시트 형태 또는 각초 형태로 흡연물질부(120)에 충전될 수 있다. 흡연물질부(120)는 길게 연장된 로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그 길이, 둘레 및 직경은 다양할 수 있다. 또한, 흡연물질부(120)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의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연물질부(120)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아세테이트 화합물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흡연물질부(120)는 흡연물질 래퍼(120a)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상기 흡연물질 래퍼(120a)는 이중 권지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나아가 흡연물질 래퍼(120a)는 하나 이상의 저발화성(Low Ignition Propensity, LIP) 밴드(미도시)가 형성된 저발화성 궐련지일 수도 있다.
필터 래퍼(110a)에 의해 포장된 필터부(110) 및 흡연물질 래퍼(120a)에 의해 포장된 흡연물질부(120)는 팁페이퍼(130)에 의해 결합 포장될 수 있다. 즉, 팁페이퍼(130)는 흡연물질 래퍼(120a)의 적어도 일부분(예를 들어, 하류 일부 영역) 및 필터 래퍼(110a)의 외곽에 둘러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흡연 물질부(120)의 적어도 일부분 및 필터부(110)는 팁페이퍼(130)에 의해 더 포장되며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팁페이퍼(130)는 또한, 불연성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필터부(110)가 연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팁페이퍼(130)는 내유 처리가 되지 않은 비다공성 권지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팁페이퍼(130)의 표면에는 인쇄 공정에서 인쇄된 잉크의 탈락 방지를 위한 OP 코팅층이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인쇄잉크 또는 OP 코팅층 내 특정 성분에 의해 흡연 시 이취가 발현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이취 발현 문제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다양한 미각과 기능성을 부여하고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팁페이퍼(130)의 표면에 형성된 OP 코팅층에는 감미료 물질 및/또는 유해균 및 구취 저감 물질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이 함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팁페이퍼(130)의 표면(즉, 사용자의 구부와 접촉하는 외측면)은, 유성의 OP 잉크에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의 용해성을 증진시키는 OP 보조제가 첨가된 OP 코팅용액으로 코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OP 잉크는 니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 폴리아미드(Polyamide),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IPA) 및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OP 보조제는 이소프로필 알코올,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 아세테이트(Propyl acetate)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팁페이퍼(130)에 코팅되는 기능성 물질은 감미료 물질 및 유해균 및 구취 저감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미료 물질은 팁페이퍼(130)에 코팅되어 사용자의 구부와 팁페이퍼(130)의 접촉 시 사용자에게 단맛, 쓴맛, 짠맛, 신맛 등의 다양한 미각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유해균 및 구취 저감 물질은 사용자의 구강 내 미생물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감미료 물질은 수크랄로스, 구연산, 시나몬, 다크초코 및 사과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유해균 및 구취 저감 물질은 로즈마리오일, 자몽종자추출물, 수크랄로스 및 사과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능성 물질은 사과산, 수크랄로스, 로즈마리오일, 자몽종자추출물, 또는 사과산과 수크랄로스의 혼합물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나열된 상기 기능성 물질들 중 수크랄로스 및 사과산 등의 성분은, 후술할 흡연관능평가, 구취평가 및 유해균 저감 시험 평가에서 살펴볼 것처럼 감미료로서의 역할과 더불어 구취저감 효과 및 유해균 저감 효과를 동시에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팁페이퍼의 코팅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팁페이퍼의 코팅 방법은 OP 잉크에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의 용해성을 증진시키는 OP 보조제가 첨가된 OP 코팅용액을 준비하는 단계(S10)와, 상기 OP 코팅용액을 상기 팁페이퍼의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OP 코팅용액의 준비 단계(S10)에서, OP 잉크 및 OP 보조제는 대략 1:2 내지 2: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OP 잉크 및 OP 보조제의 투입량은 대략 1:1의 비율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OP 코팅용액 내에는 약 0.1중량% 내지 20중량%의 기능성 물질이 첨가될 수 있다. 또한, OP 코팅용액 내에 첨가된 기능성 물질과 OP 잉크(또는 OP 보조제)의 중량비는 약 1:1.5 내지 1:600, 바람직하게는 약 1:2 내지 1:500일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기능성 물질이 첨가된 OP 코팅용액을 팁페이퍼에 코팅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쇄 실린더 판막힘, 팁페이퍼 컬 발생, 인쇄잉크 뒷묻음 또는 인쇄잉크 탈락 등의 문제를 해소함과 동시에 상술한 기능성 물질의 효과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기능성 물질은 그 종류에 따라 OP 코팅용액 내 첨가량이 상이해질 수 있으며, 표 1은 각 기능성 물질별 적정의 OP 코팅용액 조성비를 나타낸다.
기능성 물질 첨가량 OP 잉크 OP 보조제
시나몬오일 0.1~2% 49.95~49% 49.95~49%
다크쵸코 0.1~3% 49.95~48.5% 49.95~48.5%
수크랄로스(분말) 0.1~10% 49.95~45% 49.95~45%
카테킨(분말) 1~10% 49.5~45% 49.5~45%
사과산(분말) 0.1~20%
49.95~40% 49.95~40%
구연산(분말) 0.1~20% 49.95~40% 49.95~40%
자몽종자추출물 1~20% 49.5~40%
49.5~40%
감태추출물 1~20% 49.5~40% 49.5~40%
편백오일 1~20% 49.5~40% 49.5~40%
로즈마리오일 1~20% 49.5~40% 49.5~40%
보다 구체적으로, 사과산이 기능성 물질로 첨가되는 경우, 팁페이퍼 코팅을 위한 OP 코팅용액 내에 첨가된 사과산과 OP 잉크(또는 OP 보조제)의 중량비는 약 1:2 내지 1:25, 바람직하게는 약 1:7 내지 1:12(예를 들어, 약 1:9.5)일 수 있다. 즉, OP 잉크과 OP 보조제가 1:1의 비율로 투입되는 경우를 예로 들면, OP 코팅용액 내에는 사과산이 약 0.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8%,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7%(예를 들어, 5%) 첨가될 수 있다.자몽종자추출물이 기능성 물질로 첨가되는 경우, 팁페이퍼 코팅을 위한 OP 코팅용액 내에 첨가된 자몽종자추출물과 OP 잉크(또는 OP 보조제)의 중량비는 약 1:2 내지 1:25, 바람직하게는 약 1:3 내지 1:10(예를 들어, 약 1:6.6)일 수 있다. 즉, OP 잉크과 OP 보조제가 1:1의 비율로 투입되는 경우를 예로 들면, OP 코팅용액 내에는 자몽종자추출물이 약 0.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11%,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4%(예를 들어, 7%) 첨가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자몽종자추출물이 기능성 물질로 첨가되는 경우, 기능성 물질이 코팅된 팁페이퍼(130)에는 아스코르브산 (ascorbic acid), 토코페롤 (tocopherol), 팔미트산 (palmitic acid), 아미노산 (amino acid), 글루코스 (glucose), 나린진 (naringin) 및 씨트랄 (citra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유효 성분으로 함유될 수 있다.
유해균 저감 효과 극대화를 위해서는, 사과산과 수크랄로스의 혼합물질이 기능성 물질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팁페이퍼 코팅을 위한 OP 코팅용액 내에 첨가된 상기 사과산 및 수크랄로스의 혼합물질과 OP 잉크(또는 OP 보조제)의 중량비는 약 1:2 내지 1:25,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1:10(예를 들어, 약 1:7.8)일 수 있다. 즉, OP 잉크과 OP 보조제가 1:1의 비율로 투입되는 경우를 예로 들면, OP 코팅용액 내에는 상기 사과산 및 수크랄로스의 혼합물질이 약 0.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9%(예를 들어, 약 6%) 첨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과산과 수크랄로스의 혼합물질 내 사과산 및 수크랄로스의 중량비는 약 1:0.006 내지 1:1.25, 바람직하게는 약 1:0.1 내지 1:0.3일 수 있다. 즉, OP 코팅용액 내에는 사과산이 약 4% 내지 15%, 수크랄로스가 약 0.1% 내지 5%(예를 들어, 사과산 약 5% 및 수크랄로스 약 1%)일 수 있다.
상기한 기능성 물질들을 상기한 조성비로 첨가한 OP 코팅용액을 활용하여 코팅 단계(S20)를 수행 시, 팁페이퍼 표면상의 잉크탈락 방지, 사용자의 입술에 팁페이퍼가 달라붙는 현상 방지 등 OP 코팅층 고유의 역할을 충실히 확보함과 동시에 보다 유리한 관능특성 및 유해균 저감, 구취 저감 효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분말 상태의 제1 기능성 물질 및 오일 상태의 제2 기능성 물질이 상기 OP 코팅용액에 첨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말 상태의 제1 기능성 물질 및 상기 오일 상태의 제2 기능성 물질은 상기 OP 코팅용액에 순차적으로 각각 용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말 상태의 제1 기능성 물질 및 오일 상태의 제2 기능성 물질 각각의 용해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분말 상태의 제1 기능성 물질을 먼저 OP 코팅용액에 첨가하여 충분히 용해시키고, 그 후 오일 상태의 제2 기능성 물질을 OP 코팅용액에 첨가 및 용해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사과산 약 1.5%, OP 잉크 약 49.25% 및 OP 보조제 약 49.25%로 이루어진 OP 코팅용액으로, 실시예를 위하여 시험용으로 제조된 레귤러 궐련의 팁페이퍼를 코팅하였다.
실시예 2
사과산 약 5.0%, OP 잉크 약 47.5% 및 OP 보조제 약 47.5%로 이루어진 OP 코팅용액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궐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자몽종자추출물 약 1.0%, OP 잉크 약 49.5% 및 OP 보조제 약 49.5%로 이루어진 OP 코팅용액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궐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자몽종자추출물 약 7.0%, OP 잉크 약 46.5% 및 OP 보조제 약 46.5%로 이루어진 OP 코팅용액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궐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사과산 약 5.0%, 수크랄로스 약 0.9%, OP 잉크 약 47.05% 및 OP 보조제 약 47.05%로 이루어진 OP 코팅용액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궐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수크랄로스 약 0.5%, OP 잉크 약 49.75% 및 OP 보조제 약 49.75%로 이루어진 OP 코팅용액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궐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수크랄로스 약 2.0%, OP 잉크 약 49.0% 및 OP 보조제 약 49.0%로 이루어진 OP 코팅용액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궐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구연산 약 0.5%, OP 잉크 약 49.75% 및 OP 보조제 약 49.75%로 이루어진 OP 코팅용액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궐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구연산 약 2.0%, OP 잉크 약 49.0% 및 OP 보조제 약 49.0%로 이루어진 OP 코팅용액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궐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시나몬 오일 약 0.1%, OP 잉크 약 49.95% 및 OP 보조제 약 49.95%로 이루어진 OP 코팅용액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궐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시나몬 오일 약 0.3%, OP 잉크 약 49.85% 및 OP 보조제 약 49.85%로 이루어진 OP 코팅용액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궐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다크초코향 약 0.1%, OP 잉크 약 49.95% 및 OP 보조제 약 49.95%로 이루어진 OP 코팅용액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궐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다크초코향 약 1.5%, OP 잉크 약 49.25% 및 OP 보조제 약 49.25%로 이루어진 OP 코팅용액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궐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로즈마리오일 약 5.0%, OP 잉크 약 47.5% 및 OP 보조제 약 47.5%로 이루어진 OP 코팅용액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궐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수크랄로스 약 5.0%, OP 잉크 약 47.5% 및 OP 보조제 약 47.5%로 이루어진 OP 코팅용액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궐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OP 잉크 약 50.0% 및 OP 보조제 약 50.0%로 이루어진 OP 코팅용액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궐련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기능성 물질 코팅에 따른 흡연 관능평가
기능성 물질 코팅에 따른 관능특성 개질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실시예들 및 비교예 각각에 대한 담배맛 외 미각만족도, 목넘김 부드러움 및 이취미 특성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 특성 평가는 실시예들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궐련들 각각을 이용하여 30명의 평가 패널원을 대상으로 1일 1회 4일간 랜덤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7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였다.
표 2는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15에 따라 제조된 흡연물품들의 흡연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구분 담배맛 외
미각만족도
목넘김
부드러움
이취미
No. 코팅 물질 코팅량(%)
비교예 1 - 0 3.5 4.0 4.4
실시예 1 사과산 1.5 4.2 4.2 3.8
실시예 2 5.0 5.3 4.5 3.5
실시예 3 자몽종자추출물 1.0 4.4 4.2 4.0
실시예 4 7.0 4.2 4.2 3.8
실시예 5 사과산+수크랄로스 5.0+0.9 5.2 4.3 3.4
실시예 6 수크랄로스 0.5 4.2 4.3 3.8
실시예 7 2.0 5.0 4.3 3.5
실시예 8 구연산 0.5 4.3 4.2 4.0
실시예 9 2.0 4.5 4.3 3.6
실시예 10 시나몬 오일 0.1 4.4 4.4 4.0
실시예 11 0.3 4.7 4.3 3.8
실시예 12 다크 초코향 0.1 4.2 4.2 4.0
실시예 13 1.5 4.9 4.5 3.7
실시예 14 로즈마리오일 5.0 4.3 4.1 3.7
실시예 15 수크랄로스 5.0 4.8 4.3 3.6
표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15의 궐련들 모두에서, 비교예 1의 궐련 대비 우수한 미각만족도, 목넘김 부드러움 및 이취미 특성이 나타났다.구체적으로, 사용자의 구부가 팁페이퍼와 접촉하여 발생되는 미각만족도 특성은 특히 사과산이 코팅된 실시예 2, 사과산과 수크랄로스가 코팅된 실시예 5, 수크랄로스가 코팅된 실시예 7, 시나몬 오일이 코팅된 실시예 11, 다크 초코향이 코팅된 실시예 13 및 수크랄로스가 5% 코팅된 실시예 15에서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류연 목넘김의 부드러움 특성은 사과산이 코팅된 실시예 2 및 시나몬 오일이 코팅된 실시예 10에서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취 저감 효과는 사과산이 코팅된 실시예 2, 사과산과 수크랄로스가 코팅된 실시예 5, 수크랄로스가 코팅된 실시예 7, 구연산이 코팅된 실시예 9 및 수크랄로스가 5% 코팅된 실시예 15에서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과산이 5% 코팅된 실시예 2 및 사과산 5%와 수크랄로스 0.9%가 코팅된 실시예 5의 경우, 평가속성 모두에서 타 실시예들 대비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실시예 2 및 5에 따른 궐련이 흡연관능 측면에서는 가장 유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기능성 물질 코팅에 따른 구취 저감 특성 평가
기능성 물질 코팅에 따른 구취저감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각각에 대한 구취를 포집하여 분석하였다.
구취 포집은 총 5명의 흡연자를 대상으로 실시예별 4회씩 수행되었으며, 회당 간격은 30분으로 설정하여 수행되었다. 구취 포집은 흡연자 각각이 1개비 흡연 후 2분간 함구한 이후 수행되었으며, 포집된 연기를 3L 테들러백에 샘플링 후 펄스형불꽃광도검출기(pulsed flame photometric detector; PFPD)를 이용한 TD(thermal desorber)/GC(gas chromatography)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은 구취를 유발하는 주요성분인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H2S), 메틸머캅탄(Methyl Mercaptan; MM), 다이메틸설파이드(Di-Methyl Sulfide; DMS) 및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Di-Methyl Di-Sulfide; DMDS)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나, DMDS의 경우 역치 이하 수준 농도로 검출되는 등 유의미한 결과 도출에 어려움이 있는 관계로 하기 표 3에서는 제외하였다.
표 3에는 실시예별 각 성분들의 중위값, 중위값을 역치지수(TI, Threshold Index)로 나눈 값 및 그에 따라 산출된 성분별 증감율(%)이 제시되어 있다.
구분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다이메틸설파이드
중위값 중위값
/TI
증감
(%)
중위값 중위값
/TI
증감
(%)
중위값 중위값
/TI
증감
(%)
비교예 1 0.44 1.1 - 2.08 29.7 - 5.77 1.9 -
실시예 1
(사과산 1.5%)
0.45 1.13 2.7 1.83 26.1 -12.1 5.96 1.96 3.3
실시예 2
(사과산 5%)
0.45 1.13 2.5 1.95 27.8 -6.4 5.86 1.93 1.5
실시예 3
(자몽종자
추출물 1%)
0.27 0.69 -37.7 1.72 24.62 -17.1 5.21 1.72 -9.7
실시예 4
(자몽종자
추출물 7%)
0.36 0.89 -19.2 1.65 23.49 -20.9 5.84 1.92 1.2
표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실시예들 모두에서 대체적으로 구취유발 성분들의 감소세가 나타났다.구체적으로, 사과산이 코팅된 실시예 1 및 2의 경우, 황화수소 및 다이메틸설파이드의 성분감소효과는 실질적으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의미한 정도의 메틸머캅탄 성분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역치지수가 낮을수록 냄새 발생 기여도가 높은 일반적 경향을 고려할 때(메틸머캅탄, 황화수소 및 다이메틸설파이드 각각의 TI는 0.07ppb, 0.4ppb 및 3.0ppb임), 실질적으로 메틸머캅탄 저감 특성만이 확인된 사과산 코팅의 경우에도 실질적인 구취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자몽종자추출물이 코팅된 실시예 3 및 4의 경우, 모든 구취유발 성분들이 대체적으로 감소된 경향이 나타났으며, 특히 황화수소 및 메틸머캅탄 성분은 매우 큰 감소율을 보여, 팁페이퍼에 수크랄로스 또는 자몽종자추출물이 코팅되는 것이 구취저감 효과 측면에서는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기능성 물질 코팅에 따른 유해균 저감 시험 결과
실시예별 유해균 저감 효과를 평가하고자, 실시예별 구강 내 존재하는 뮤탄스균(Streptococcus mutans)의 감소율 시험을 한국표준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요약하였다. 도 3은 비교예 1, 실시예 2 및 4에서의 유해균 저감 작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진이며, 도 4 내지 도 7 각각은 실시예 2,4,5,14,15에 대한 시험성적서이다.
한편, 상기 시험에서는 각 기능성 물질들이 코팅된 팁페이퍼에 뮤탄스균을 18시간 흡수시킨 후 다시 회수 및 배양하였고, 기능성 물질을 코팅하지 않은 대조구 대비 뮤탄스균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구분 감소율
No. 코팅 물질 코팅량
실시예 2 사과산 5.0% 80.1%
실시예 4 자몽종자추출물 7.0% 50.2%
실시예 5 사과산+수크랄로스 5.0%+0.9% 98.1%
실시예 14 로즈마리오일 5.0% 44.0%
실시예 15 수크랄로스 5.0% 64.7%
표 4 및 도 3 내지 도 7을 상호 참조하면, 실시예 2,4,5,14,15 모두에서, 우수한 뮤탄스균 감소율이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구체적으로, 사과산이 5% 코팅된 실시예 2의 경우 80% 이상의 뮤탄스균 감소 효과가 나타났고, 자몽종자추출물이 7% 코팅된 실시예 4에서도 약 50%의 감소율이 나타났으며, 로즈마리오일이 5% 코팅된 실시예 14에서도 약 44%의 감소율이 나타났고, 수크랄로스가 5% 코팅된 실시예 15에서도 약 65%의 감소율이 나타났다. 특히, 사과산 5% 및 수크랄로스 0.9%가 코팅된 실시예 5의 경우 약 98%의 감소율이 나타나 유해균 저감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결과를 통해, 상술한 기능성 물질들이 코팅된 팁페이퍼가 사용자의 입술에 닿을 시 구강 내 존재하는 균들에 대한 유해균 저감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흡연물품
110: 필터부
110a: 필터 래퍼
120: 흡연물질부
120a: 흡연물질 래퍼
130: 팁페이퍼

Claims (15)

  1. 흡연물질 래퍼가 감싸진 흡연물질부;
    상류 말단이 상기 흡연물질부에 결합되며 필터 래퍼가 감싸진 필터부; 및
    상기 흡연물질부와 상기 필터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흡연물질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상기 필터부를 감싸는 팁페이퍼를 포함하고,
    상기 팁페이퍼는, OP(over print) 잉크에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의 용해성을 증진시키는 OP 보조제가 첨가된, OP 코팅용액으로 코팅된, 흡연물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OP 잉크의 중량 및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OP 보조제의 중량의 비는 1:2 내지 2:1이며,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의 중량과 상기 OP 잉크의 중량의 비, 또는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의 중량과 상기 OP 보조제의 중량의 비는 1:1.5 내지 1:6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은 감미료 물질 및 유해균 및 구취 저감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품.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료 물질은 수크랄로스, 구연산, 시나몬, 다크초코 및 사과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유해균 및 구취 저감 물질은 로즈마리오일, 자몽종자추출물, 상기 수크랄로스 및 상기 사과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품.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은 상기 사과산, 상기 수크랄로스, 상기 로즈마리오일, 상기 자몽종자추출물, 또는 상기 사과산과 상기 수크랄로스의 혼합물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품.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은 상기 사과산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사과산의 중량과 상기 OP 잉크의 중량의 비, 또는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사과산의 중량과 상기 OP 보조제의 중량의 비는 1:2 내지 1: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품.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사과산의 중량과 상기 OP 잉크의 중량의 비, 또는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사과산의 중량과 상기 OP 보조제의 중량의 비는 1:7 내지 1: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품.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은 상기 수크랄로스, 상기 로즈마리오일 및 상기 자몽종자추출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기능성 물질의 중량과 상기 OP 잉크의 중량의 비, 또는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기능성 물질의 중량과 상기 OP 보조제의 중량의 비는 1:2 내지 1: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품.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의 중량과 상기 OP 잉크의 중량의 비, 또는 상기 자몽종자추출물의 중량과 상기 OP 보조제의 중량의 비는 1:3 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품.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은 상기 사과산과 상기 수크랄로스의 혼합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사과산과 상기 수크랄로스의 혼합물질의 중량과 상기 OP 잉크의 중량의 비, 또는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사과산과 상기 수크랄로스의 혼합물질의 중량과 상기 OP 보조제의 중량의 비는 1:2 내지 1:12이고,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사과산의 중량과 상기 수크랄로스의 중량의 비는 1:0.006 내지 1:1.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품.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팁페이퍼 내에 첨가된 상기 사과산의 중량과 상기 수크랄로스의 중량의 비는 1:0.1 내지 1: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품.
  12. 흡연물품용 래퍼로서,
    OP 잉크에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의 용해성을 증진시키는 OP 보조제가 첨가된 OP 코팅용액으로 코팅된, 흡연물품용 래퍼.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물품용 래퍼는 흡연물질부와 흡연물품용 필터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흡연물질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상기 흡연물품용 필터부를 감싸는 흡연물품용 팁페이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품용 래퍼.
  14. 팁페이퍼의 코팅 방법으로서,
    OP 잉크에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의 용해성을 증진시키는 OP 보조제가 첨가된, OP 코팅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OP 코팅용액을 상기 팁페이퍼의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팁페이퍼의 코팅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물질은 분말 상태의 제1 기능성 물질 및 오일 상태의 제2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OP 코팅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말 상태의 제1 기능성 물질 및 상기 오일 상태의 제2 기능성 물질은 상기 OP 코팅용액에 순차적으로 각각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페이퍼의 코팅 방법.
KR1020200064712A 2020-05-29 2020-05-29 기능성 물질이 코팅된 흡연물품용 팁페이퍼 및 상기 팁페이퍼의 코팅 방법 KR102436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712A KR102436227B1 (ko) 2020-05-29 2020-05-29 기능성 물질이 코팅된 흡연물품용 팁페이퍼 및 상기 팁페이퍼의 코팅 방법
JP2021530843A JP7388640B2 (ja) 2020-05-29 2021-02-19 機能性物質がコーティングされた喫煙物品用チップペーパーおよびこのチップペーパーのコーティング方法
PCT/KR2021/002106 WO2021241850A1 (ko) 2020-05-29 2021-02-19 기능성 물질이 코팅된 흡연물품용 팁페이퍼 및 상기 팁페이퍼의 코팅 방법
EP21742677.4A EP3939441A4 (en) 2020-05-29 2021-02-19 SMOKING ARTICLE MOUTHPIECE COATED WITH FUNCTIONAL MATERIAL AND METHOD OF COATING THE MOUTHPIECE PAPER
US17/423,930 US20230157351A1 (en) 2020-05-29 2021-02-19 Smoking article tipping paper coated with functional material and method of coating the tipping paper
CN202180006252.3A CN114650739B (zh) 2020-05-29 2021-02-19 吸烟制品、吸烟制品用包装纸及接装纸的涂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712A KR102436227B1 (ko) 2020-05-29 2020-05-29 기능성 물질이 코팅된 흡연물품용 팁페이퍼 및 상기 팁페이퍼의 코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460A true KR20210147460A (ko) 2021-12-07
KR102436227B1 KR102436227B1 (ko) 2022-08-24

Family

ID=77774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712A KR102436227B1 (ko) 2020-05-29 2020-05-29 기능성 물질이 코팅된 흡연물품용 팁페이퍼 및 상기 팁페이퍼의 코팅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57351A1 (ko)
EP (1) EP3939441A4 (ko)
JP (1) JP7388640B2 (ko)
KR (1) KR102436227B1 (ko)
CN (1) CN114650739B (ko)
WO (1) WO202124185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3587A (ko) * 1997-12-24 2001-04-25 비오신테크 담배 필터 내의 자유 라디칼 제거제로서 폴리페놀 화합물또는 이들 유도체의 용도
JP2009005675A (ja) * 2007-04-13 2009-01-15 Coca Cola Co:The 改善された味質を有する甘味料組成物
KR20130112431A (ko) * 2012-04-04 2013-10-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담배의 팁페이퍼의 코팅 방법
US20160302474A1 (en) * 2013-12-11 2016-10-20 Schweitzer-Mauduit International, Inc. Wrappers for Smoking Article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89348A1 (en) * 1998-10-28 2011-08-04 San-Ei Gen F.F.I., Inc. Compositions containing sucralose and application thereof
US20090150231A1 (en) * 2005-05-23 2009-06-11 Cadbury Adams Usa Llc Package assembly for multi-modality functional ingredients in chewing gum compositions
AU2013248218A1 (en) * 2005-05-25 2013-11-14 U.S. Smokeless Tobacco Company Llc Tobacco compositions
JP2008179580A (ja) 2007-01-26 2008-08-07 Gc Corp 口腔内洗浄剤
GB0716629D0 (en) * 2007-08-24 2007-10-03 British American Tobacco Co Tipping paper
JP2009148233A (ja) 2007-12-21 2009-07-09 Japan Tobacco Inc 喫煙物品
JP2012507287A (ja) 2008-10-31 2012-03-29 アール・ジエイ・レイノルズ・タバコ・カンパニー フィルタ付き紙巻タバコ用のチッピング材
JP2010138125A (ja) * 2008-12-12 2010-06-24 Kyukyu Yakuhin Kogyo Kk 速溶性ニコチン含有フィルム製剤
ES2393460B1 (es) * 2011-06-09 2013-10-18 Miquel Y Costas & Miquel, S.A. Composición para recubrimiento de una envoltura de papel de artículos de fumar
US9854839B2 (en) * 2012-01-31 2018-01-02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vaping device and method
KR101362494B1 (ko) 2012-03-07 2014-02-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손의 담배 냄새 저감 기술 적용 필터 및 담배
GB201207211D0 (en) * 2012-04-25 2012-06-06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ing articles
WO2014087529A1 (ja) 2012-12-06 2014-06-1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2重巻紙シガレット
CN103174064A (zh) * 2013-03-14 2013-06-26 牡丹江恒丰纸业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降co保润功能的阻燃卷烟纸的制备方法
CN103708109A (zh) * 2013-12-04 2014-04-09 红塔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口含型无烟气烟草制品包装袋
US20160108293A1 (en) * 2014-10-16 2016-04-21 Altria Client Services Inc. Inks, coatings and adhesives as carriers for taggants for tobacco product authentication and component detection
KR20180135022A (ko) * 2016-04-28 2018-12-19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필터 부착 시가렛
US20180057229A1 (en) * 2016-08-31 2018-03-01 Pro-Dip, Llc Oral and/or Buccal Delivery Pouch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926724B1 (ko) 2017-08-10 2019-03-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저발화성 궐련지의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하는 담배, 그리고 저발화성 궐련지의 제조방법
CN109527636B (zh) * 2018-11-27 2021-06-08 江苏泰格油墨有限公司 酸甜味水性光油及其制备方法
KR102022909B1 (ko) * 2019-06-19 2019-09-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부류연 개질 기술이 적용된 흡연물품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케이스
KR102022908B1 (ko) * 2019-06-19 2019-09-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손냄새 및 입냄새 저감 기술이 적용된 흡연물품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KR102062207B1 (ko) 2019-08-23 2020-01-0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트리플 케어 담배 냄새 저감 기술이 적용된 흡연 물품
KR102313637B1 (ko) * 2019-10-30 2021-10-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손가락 담배냄새 저감 기술이 적용된 팁페이퍼와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및 상기 팁페이퍼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3587A (ko) * 1997-12-24 2001-04-25 비오신테크 담배 필터 내의 자유 라디칼 제거제로서 폴리페놀 화합물또는 이들 유도체의 용도
JP2009005675A (ja) * 2007-04-13 2009-01-15 Coca Cola Co:The 改善された味質を有する甘味料組成物
KR20130112431A (ko) * 2012-04-04 2013-10-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담배의 팁페이퍼의 코팅 방법
US20160302474A1 (en) * 2013-12-11 2016-10-20 Schweitzer-Mauduit International, Inc. Wrappers for Smoking 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50739B (zh) 2024-03-22
JP7388640B2 (ja) 2023-11-29
KR102436227B1 (ko) 2022-08-24
WO2021241850A1 (ko) 2021-12-02
EP3939441A4 (en) 2022-04-20
CN114650739A (zh) 2022-06-21
EP3939441A1 (en) 2022-01-19
US20230157351A1 (en) 2023-05-25
JP2022539627A (ja)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23205B (zh) 一种用于加热方式发烟膜材及其制备方法
KR102386078B1 (ko) 클로브 부산물이 함유된 판상엽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KR20100028182A (ko) 전자 담배용 니코틴 수용액
EP3811794A1 (en) Smoking article to which triple care technology for reducing tobacco odor is applied
RU2721352C1 (ru) Фильтр для курительного изделия, в котором используется технология уменьшения запаха на руках и неприятного запаха изо рта, а также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с таким фильтром
KR102436227B1 (ko) 기능성 물질이 코팅된 흡연물품용 팁페이퍼 및 상기 팁페이퍼의 코팅 방법
RU2795122C1 (ru) Оберточная бумага для кур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покрытая функциональным материалом, и способ покрытия оберточной бумаги
JP7238245B2 (ja) 穀物ハスクが含有された喫煙物質ラッパーとこれを含む喫煙物品、および前記喫煙物品の製造方法
JP7436094B2 (ja) 喫煙物品用チップペーパーのコーティング方法およびこれによって製造された喫煙物品
TWI831387B (zh) 包含風味重組煙葉的吸煙製品
KR102450720B1 (ko) 생분해성이 증진된 흡연물품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RU2799228C1 (ru)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тия на оберточную бумагу для курительного изделия и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изготовленное этим способом
RU2800509C1 (ru)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содержащее ароматизированные гомогенизированные табачные листья
WO2022080682A1 (ko)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
KR20180110504A (ko) 스테비아잎을 포함하는 금연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576910B (zh) 一种用于加热方式发烟凝胶滤棒及其制备方法
US20230157350A1 (en)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WO2023128200A1 (ko) 발삼계 향이 첨가된 흡연물질 래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