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494B1 - 손의 담배 냄새 저감 기술 적용 필터 및 담배 - Google Patents

손의 담배 냄새 저감 기술 적용 필터 및 담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494B1
KR101362494B1 KR1020120023351A KR20120023351A KR101362494B1 KR 101362494 B1 KR101362494 B1 KR 101362494B1 KR 1020120023351 A KR1020120023351 A KR 1020120023351A KR 20120023351 A KR20120023351 A KR 20120023351A KR 101362494 B1 KR101362494 B1 KR 101362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tobacco
cigarette
tobacco odor
glycer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2258A (ko
Inventor
서만석
조현석
오인혁
양범호
신한재
장미
김종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120023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494B1/ko
Priority to CN201280071279.1A priority patent/CN104159458B/zh
Priority to US14/383,527 priority patent/US9826777B2/en
Priority to JP2014560838A priority patent/JP6050390B2/ja
Priority to PCT/KR2012/006899 priority patent/WO2013133493A1/ko
Publication of KR20130102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49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67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function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204Preliminary operations before the filter rod forming process, e.g. crimping, blooming
    • A24D3/0212Applying additives to filter materials
    • A24D3/0225Applying additives to filter materials with solid additives, e.g. incorporation of a granular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275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for filters with speci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24D3/048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contain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14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of organic materials as additiv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1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of inorgan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의 담배 냄새 저감 기술 적용 필터는, 담배의 각초부에 결합되어, 담배 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필터부를 감싸는 필터권지; 를 포함하며, 필터부 또는 필터권지에는 담배의 냄새를 감소시키는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이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담배 필터에 카테킨이 함유된 녹차 추출물 및 다른 담배 냄새 감소 물질, 예를 들면 시트르산, 글리세롤 또는 타닌산 등을 첨가함으로써 흡연 시 발생되는 연기로부터 담배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손에 담배 냄새가 배는 정도를 종래에 비해 현저히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손의 담배 냄새 저감 기술 적용 필터 및 담배{Cigarette filter with technology reducing cigarette smell on hands, and cigarette having the same}
손의 담배 냄새 저감 기술 적용 필터 및 담배가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담배 필터에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을 첨가함으로써 흡연 시 발생되는 연기로부터 담배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손에 담배 냄새가 배는 정도를 줄일 수 있는, 손의 담배 냄새 저감 기술 적용 필터 및 담배가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처럼, 흡연 과정에서 발생되는 담배 연기 중에는 타르나 니코틴을 포함하여 인체에 영향을 주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연기 중에 함유된 인체에 영향을 주는 성분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담배에 필터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흡연 과정 중에 발생되는 담배 연기는 담배 필터를 파지하는 흡연자의 손에 배어 흡연자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에게 이르기까지 냄새로 인한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이에 흡연자는 보통 흡연을 한 후 손에 밴 담배 냄새 제거를 위해 손을 씻는 행위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흡연 후 항상 손을 씻을 수 있는 여건이 제공되는 것도 아니고, 아울러 매번 흡연 시마다 손을 씻어야 한다는 것이 흡연자가에게 번거로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흡연을 하더라도 담배 냄새가 손에 배는 것을 최소로 할 수 있는 담배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담배 필터에 예를 들면 카테킨이 함유된 녹차 추출물 및 시트르산, 글리세롤 또는 타닌산 등을 첨가함으로써 흡연 시 발생되는 연기로부터 담배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손에 담배 냄새가 배는 정도를 종래에 비해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손의 담배 냄새 저감 기술 적용 필터 및 담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의 담배 냄새 저감 기술 적용 필터는, 담배의 각초부에 결합되어, 담배 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를 감싸는 필터권지; 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 또는 상기 필터권지에는 상기 담배의 냄새를 감소시키는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이 함유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흡연 시 발생되는 연기로부터 담배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손에 담배 냄새가 배는 정도를 종래에 비해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상기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은 카테킨(catechin), 시트르산(citric acid), 글리세롤(glycerol), 타닌산(tannic acid) 또는 B-사이클로덱스트린(B-cyclodextrin), 스코리아(scoria), 이산화 타이타늄(TiO2), 제올라이트(Zeolite), 제올라이트-엑스, 토르말린, 삼백초 추출물, 백작약 추출물,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이거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은, 카테킨, 시트르산, 글리세롤, 타닌산 또는 B-사이클로덱스트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이거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필터부 또는 상기 필터권지에 포함된 상기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은 2 내지 25퍼센트의 카테킨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은 15 내지 20퍼센트의 카테킨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은 상기 필터부 또는 상기 필터권지에 코팅, 침지 처리되거나 액체에 혼합되어 분무 방식에 의해 상기 필터부 또는 상기 필터권지에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 또는 상기 필터권지는, 카테킨을 주성분으로 하는 녹차 추출물; 및 시트르산, 글리세롤 또는 타닌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녹차 성분의 추출물은, 1차로 녹차엽과, 녹차엽 무게비율에 대한 설정된 비율을 갖는 PG(프로필렌 글리콜)와, 알코올을 혼합한 후 설정된 온도로 설정된 시간 동안 가온하여 추출되고, 2차로 알코올을 추가로 혼합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가온함으로써 추출될 수 있다. 1차 및 2차 추출물은 60~80Brix의 점도로 최종 조절하였다.
상기 필터부 또는 상기 필터권지에 포함된 상기 시트르산 또는 상기 글리세롤의 함유량은 1 내지 20퍼센트일 수 있다.
상기 필터권지의 외측에서 상기 필터권지를 감싸며 결합되며, 상기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이 함유되는 팁페이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배 필터의 제조 방법은, 담배의 각초부에 결합되어 담배 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그에 결합되는 필터권지를 구비하는 담배 필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필터부 또는 상기 필터권지에 카테킨을 주성분으로 하는 녹차 추출물을 첨가시킨 후, 상기 녹차 추출물이 첨가된 상기 필터부 또는 상기 필터권지에 담배 냄새를 감소시킬 수 있는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을 추가로 첨가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담배 필터에 카테킨이 함유된 녹차 추출물 및 다른 담배 냄새 감소 물질, 예를 들면 시트르산, 글리세롤 또는 타닌산 등을 첨가함으로써 흡연 시 발생되는 연기로부터 담배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손에 담배 냄새가 배는 정도를 종래에 비해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상기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은 시트르산(citric acid), 글리세롤(glycerol), 타닌산(tannic acid) 또는 B-사이클로덱스트린(B-cyclodextrin)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이거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필터부 또는 상기 필터권지는 5내지 25퍼센트의 농도를 갖는 카테킨을 주성분으로 하는 상기 녹차 추출물이 첨가되도록 제조된 후, 5내지 60퍼센트의 농도를 갖는 각각의 시트르산 또는 글리세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한 용액에 침지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배는, 각초부; 상기 각초부에 연결되는 담배 필터; 및 상기 담배 필터 및 상기 담배 필터와 연결되는 상기 각초부의 일부분을 감싸는 팁페이퍼;를 포함하며, 상기 담배 필터는, 상기 담배의 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를 감싸는 필터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 또는 상기 필터권지에는 상기 담배의 냄새를 감소시키는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이 함유되며,
상기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은 상기 팁페이퍼 내측에 위치상기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은, 카테킨(catechin), 시트르산(citric acid), 글리세롤(glycerol), 타닌산(tannic acid) 또는 B-사이클로덱스트린(B-cyclodextr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 또는 상기 필터권지는 5내지 25퍼센트의 농도를 갖는 카테킨을 주성분으로 하는 녹차 추출물이 첨가되도록 제조된 후, 5 내지 60퍼센트의 농도를 갖는 시트르산 또는 글리세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한 용액에 침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담배 필터에 카테킨이 함유된 녹차 추출물 및 다른 담배 냄새 감소 물질, 예를 들면 시트르산, 글리세롤 또는 타닌산 등을 첨가함으로써 흡연 시 발생되는 연기로부터 담배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담배 필터에 예를 들면 카테킨이 함유된 녹차 추출물 및 시트르산, 글리세롤 또는 타닌산 등을 첨가함으로써 흡연 시 발생되는 연기로부터 담배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손에 담배 냄새가 배는 정도를 종래에 비해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필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필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필터(110)는, 각초부(미도시)와 함께 담배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초부에 결합되어 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120)와, 필터부(120)를 감싸는 필터권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부(120)는, 각초부와 연결되며 활성탄을 함유하는 제1 필터부재(121)와, 제1 필터부재(121)와 연결되게 배치되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로 마련되는 제2 필터부재(12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필터부재(121) 및 제2 필터부재(125)는 각각의 필터권지(130)에 의해 감싸지며, 또한 팁페이퍼(150)에 의해 전체적으로 필터부(120)가 감싸지게 된다.
여기서, 제1 필터부재(121), 제2 필터부재(125), 필터권지(130)들 또는 팁페이퍼(150)에는 담배 냄새 감소를 위한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흡연 후에 담배 연기 중 부류연(또는 주류연)에 의한 냄새가 손에 배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팁페이퍼(150)는 담배 필터(110)를 완전히 감싸고, 일부는 각초부까지 감싼다. 따라서, 팁페이퍼(150) 내에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이 위치될 수 있다.
필터부(12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터부는 삼중 필터 또는 캐비티(cavity) 필터 등의 다중 필터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제1 필터부재(121)는 활성탄으로, 제2 필터부재(125)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로 마련된다고 하였으나 필터부재들의 재질 및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종래에는 흡연 시 담배 연기 중 부류연에 의해 손에 냄새가 배어, 흡연자 및 주변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고 또한 흡연 후 손을 씻어야 하는 번거로움 등이 있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이러한 담배 냄새를 제거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필터부재(121, 125)들, 특히 아세테이트로 마련되는 제2 필터부재(125) 및 필터부재(121, 125)들을 감싸는 필터권지(130), 그리고 팁페이퍼(150)에는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이 함유될 수 있다.
여기서,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은, 카테킨을 주성분으로 하는 녹차 추출물과, 시트르산(citric acid), 글리세롤(glycerol), 타닌산(Tannic acid) 또는 B-사이클로덱스트린(B-cyclodextrin)일 수 있으며, 이들 중 선택된 물질의 혼합물일 수 있다. 다만,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을 이루는 물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담배 냄새 감소 물질 중 예를 들면 카테킨을 주성분으로 하는 녹차 추출물, 시트르산, 글리세롤 등은 필터부재들을 감싸는 필터권지(130) 또는 팁페이퍼(150)에 코팅, 침지 처리되거나 액체에 혼합되어 분무 방식에 의해 함유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담배 냄새의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담배 냄새 감소 물질들은 물과 같은 액체에 혼합되어 예를 들면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는 제2 필터부재(125)에 분무 방식에 의해 분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2 필터부재(125) 내에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이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을 담배 필터(110)의 구성에 함유시키는 경우, 담배 연기의 부류연에서 담배 냄새의 주요 요인이 되는 니코틴을 대략 30퍼센트 줄일 수 있고, 피리딘(Pyridine)을 대략 13퍼센트 줄일 수 있으며, 3-에틸 피리딘(3-ethyl pyridine)을 대략 40퍼센트를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담배 냄새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를 통하여 본 실시예의 담배 필터(110)의 구성 및 그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Figure 112012018546551-pat00001
본 실시예의 담배 필터의 담배 냄새 감소 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담배 연기 부류연에서 담배 냄새의 주요 요인이 되는 전이성분인 니코틴, 피리딘, 3-에틸 피리딘을 지표 성분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부류연에 의한 손의 담배 냄새 성분과 팁페이퍼 천공부에 의한 담배 냄새 성분의 분포도를 살펴보니,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니코틴의 경우 천공부에서의 발생 정도가 대략 73퍼센트이고, 피리딘의 경우 천공부에서의 발생 정도가 56퍼센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팁페이퍼의 천공부로부터 담배 냄새가 손에 더 많이 밸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손에 배는 담배 냄새를 분석하기 위해, 담배의 팁페이퍼에 유리섬유 패드(glass fiber pad)를 감싸고 담배 연소 후 유리섬유 패드에 포집된 성분을 SPME-GC/MS 분석 방법으로 분석함으로써 손에 배는 담배 냄새를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기 용량별(담배 개피별) 연기량 및 성분 차이를 식별할 수 있고, 아울러 담배 종류별 연기량 및 성분 차이까지 식별할 수 있다.
한편, 표 2는 담배 냄새 감소 물질(소취 물질)에 따른 니코틴 감소율을 비교한 표로서, 이를 통해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을 선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2018546551-pat00002
먼저, 니코틴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0.1mg/ml nicotine 용액 (in IPA, isopropanol with heptadecane) 10ml에 소취제 0.5g을 30ml Cornical tube에 혼합한 다음 5분 후에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GC로 하여 니코틴의 농도를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얻은 값을 상기 표 2에 기재하였다.
표 2를 통해, 다수의 소취 물질 중 카테킨, 타닌산 및 B-사이클로덱스트린이 담배 냄새 감소 물질로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한편, 표 3은 니코틴 감소 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카테킨의 농도에 따른 니코틴 감소율 및 포집된 니코틴 함량을 비교한 표이다.
Figure 112012018546551-pat00003
카테킨이 0, 5, 10, 15, 20, 25퍼센트 첨가된 필터권지를 제조한 후, 담배의 필터부재에 필터권지를 입힌 다음, 필터권지를 감싸는 팁페이퍼에 유리섬유 패드를 감싸서 담배 연소 후 유리섬유 패드에 포집되는 니코틴 정도를 SPME-GC/MS로 분석한 결과, 상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카테킨 함유량이 20퍼센트인 경우 니코틴 감소율이 가장 크고 이에 따라 니코틴 함량이 가장 적음을 알 수 있다.
다만, 0 내지 20 퍼센트의 카테킨 함유량 범위에서는 카테킨 함유량 증가에 따라 니코틴 감소율이 커지고 니코틴 함량이 줄어들었으나, 카테킨 함유량이 20퍼센트를 넘어가면 다시 니코틴 감소율이 작아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카테킨이 니코틴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을 알 수 있으며, 5 내지 25퍼센트의 농도 범위 내에서 카테킨이 첨가된, 바람직하게는 20퍼센트의 카테킨이 함유된 필터권지를 적용하는 경우, 흡연 시 손에 배는 담배 냄새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카테킨은 녹차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녹차 추출물을 담배 냄새 감소 물질로 적용할 수 있다. 녹차 추출물은 1차로 녹차엽과, 녹차엽 무게비율 5퍼센트의 PG(프로필렌 글리콜)와, 10배수의 알코올을 혼합한 후 예를 들면 50℃로 일정 시간 동안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2차로 8배수의 알코올을 첨가하여 50℃로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1차 및 2차로 추출된 추출물을 70Brix로 농축하여 실험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녹차 추출물은 8퍼센트의 카테킨이 함유된 녹차 추출물일 수 있으나, 녹차 추출물의 카테킨 함유량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표 4는 녹차추출물이 함유된 담배 필터의 니코틴 감소를 나타낸 표이다.
Figure 112012018546551-pat00004
이에 기재된 것처럼, 녹차 추출물이 10퍼센트 함유된 담배 필터는 녹차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담배 필터에 비해 니코틴 함유량이 적음을 알 수 있으며, 감소율이 15.7퍼센트임을 알 수 있다.
한편, 표 5는 녹차 추출물 첨가 필터 및 녹차 추출물 무첨가 필터에 다수의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의 첨가량을 나타낸 표이고, 표 6은 녹차 추출물 첨가 필터 및 녹차 추출물 무첨가 필터에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을 첨가 시 손에 배는 니코틴 함량 분석을 나타낸 표이다.
Figure 112012018546551-pat00005
Figure 112012018546551-pat00006
상기 표 5에는, 녹차 추출물이 첨가된 필터를 제조한 후, 담배 냄새 감소 물질(글리세롤, 시트르산, 사이클로덱스트린, 플라보노이드, 타닌산)이 함유된 용액에 필터를 침지시킴으로써 담배 필터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표 5에 기재된 바와 같은 첨가량을 나타낸다.
이 후, 팁페이퍼에 유리섬유 패드를 감싸서 유리섬유 패드에 포집된 니코틴 함량을 SPME-GC/MS로 분석한 결과, 표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녹차 추출물 무첨가 필터에 비해 녹차 추출물 첨가 필터가 적용된 담배에서 니코틴 이행량이 낮았다. 또한, 담배 냄새 감소 물질(소취 성분)들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분석한 결과, 시트르산 또는 글리세롤의 첨가 시 손에 배는 니코틴 함량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다음의 표 7은 주류연으로부터 니코틴 제거 효과를 검증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Figure 112012018546551-pat00007
녹차 추출물 첨가 필터 및 무첨가 필터에 각각 담배 냄새 감소 물질(소취 성분)이 첨가된 필터를 구비하는 담배의 주류연에 대한 TPM, 타르, 니코틴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상기 표 7에 기재된 것처럼, 녹차 추출물 무첨가 필터 적용 담배에 비해 녹차 추출물 첨가 필터 적용 담배가 타르당 니코틴 이향량(T/N 비율)이 낮으며, 또한 담배 냄새 감소 물질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분석한 결과 시트르산, 글리세롤, 타닌산이 첨가된 필터 적용 시 니코틴 감소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한편, 표 8은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이 농도별로 녹아 있는 용액에 녹차 추출물 첨가 필터 및 녹차 추출물 무첨가 필터를 침지시킨 경우 손에 배는 니코틴 함량을 기재한 표이다.
Figure 112012018546551-pat00008
부연 설명하면, 담배 냄새 감소 물질(소취 성분) 중 니코틴 감소 효과를 크게 발생시키는 글리세롤 및 시트르산이 농도 별로 녹아 있는 용액에 녹차 추출물 첨가 필터 및 녹차 추출물 무첨가 필터를 침지시킴으로써 담배 필터에 농도별로 글리세롤 또는 시트르산이 묻도록 담배를 제조할 수 있다. 이후, 제조된 담배의 팁페이퍼에 유리섬유 패드를 감싼 후 담배 연소 시 유리섬유 패드에 포집되는 니코틴을 SPME-GC/MS로 함량 분석을 할 수 있으며, 그 수치가 상기 표 8에 기재되어 있다.
분석 결과, 녹차 추출물 첨가 필터 및 녹차 추출물 무첨가 필터에 글리세롤 또는 시트르산을 적용 시 니코틴의 함량이 농도가 커질수록 감소함을 알 수 있으며, 니코틴 감소 효과와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의 처리 농도를 고려할 때, 글리세롤 및 시트르산의 농도 10퍼센트에서 최적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표 9는 녹차 추출물 첨가 필터만 적용된 궐련 시제품 및 녹차 추출물 및 글리세롤이 함유된 필터가 적용된 궐련 시제품의 손에 배는 니코틴 함량을 나타낸 표이다.
Figure 112012018546551-pat00009
이에 기재된 것처럼, 녹차 추출물이 적용된 필터 적용 담배에 대한 대조군 대비 시 손에 배는 냄새가 43.2퍼센트 감소됨을 알 수 있고, 담배 냄새 감소 물질 즉 글리세롤이 함유된 필터 적용 담배의 경우 대조군과 대비 시 손에 배는 냄새가 51.0퍼센트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즉, 녹차 추출물만 첨가시키는 것보다 시너지 효과를 위해 다른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을 첨가시키는 것이 니코틴 감소율을 크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손에 배는 담배 냄새를 더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담배 냄새 감소 효과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관능 평가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녹차 추출물에 별도의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을 함유한 필터 적용 담배를 제조한 후 흡연자가 면장갑을 끼고 흡연한 후, 면장갑을 이용하여 비흡연자에게 담배 냄새 정도를 평가시킬 수 있다. 실제, 18명의 비흡연자를 상대로 실험한 결과, 16명은 담배 냄새가 감소하였다고 평가하였다. 즉, 전술한 것처럼 녹차 추출물 및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을 필터에 적용시키는 경우 손에 배는 담배 냄새를 실질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담배 필터에 카테킨이 함유된 녹차 추출물 및 다른 담배 냄새 감소 물질, 예를 들면 시트르산, 글리세롤 또는 타닌산 등을 첨가함으로써 흡연 시 발생되는 연기로부터 담배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손에 담배 냄새가 배는 정도를 종래에 비해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담배 필터 120 : 필터부
130 : 필터권지 150 : 팁페이퍼

Claims (16)

  1. 담배의 각초부에 결합되어, 담배 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를 감싸는 필터권지;
    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 또는 상기 필터권지에는 상기 담배의 냄새를 감소시키는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이 함유되며,
    상기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은 15 내지 20 퍼센트의 카테킨을 함유하는, 손의 담배 냄새 저감 기술 적용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은, 상기 카테킨에, 시트르산(citric acid), 글리세롤(glycerol), 타닌산(tannic acid) 또는 B-사이클로덱스트린(B-cyclodextrin), 스코리아(scoria), 이산화 타이타늄(TiO2), 제올라이트(Zeolite), 제올라이트-엑스, 토르말린, 삼백초 추출물, 백작약 추출물,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이 더 혼합되는, 손의 담배 냄새 저감 기술 적용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은, 상기 카테킨(catechin)에, 시트르산(citric acid), 글리세롤(glycerol), 타닌산(tannic acid) 또는 B-사이클로덱스트린(B-cyclodextr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이 더 혼합되는, 손의 담배 냄새 저감 기술 적용 필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은 상기 필터부 또는 상기 필터권지에 코팅, 침지 처리되거나 액체에 혼합되어 분무 방식에 의해 상기 필터부 또는 상기 필터권지에 함유되는, 손의 담배 냄새 저감 기술 적용 필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 또는 상기 필터권지는,
    카테킨을 포함하는 녹차 추출물; 및
    시트르산, 글리세롤 또는 타닌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
    을 포함하는, 손의 담배 냄새 저감 기술 적용 필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 성분의 추출물은, 1차로 녹차엽과, 녹차엽 무게비율에 대한 설정된 비율을 갖는 PG(프로필렌 글리콜)와, 알코올을 혼합한 후 설정된 온도로 설정된 시간 동안 가온하여 추출되고, 2차로 알코올을 추가로 혼합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가온함으로써 추출되는, 손의 담배 냄새 저감 기술 적용 필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 또는 상기 필터권지에 포함되는 상기 시트르산 또는 상기 글리세롤의 함유량은 1 내지 20퍼센트인, 손의 담배 냄새 저감 기술 적용 필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권지의 외측에서 상기 필터권지를 감싸며 결합되며, 상기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이 함유되는 팁페이퍼를 더 포함하는, 손의 담배 냄새 저감 기술 적용 필터.
  11. 담배의 각초부에 결합되어 담배 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그에 결합되는 필터권지를 구비하는 담배 필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 또는 상기 필터권지에 15 내지 20퍼센트의 카테킨을 포함하는 녹차 추출물을 첨가시킨 후, 상기 녹차 추출물이 첨가된 상기 필터부 또는 상기 필터권지에 담배 냄새를 감소시킬 수 있는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을 추가로 첨가시킴으로써 제조되는 담배 필터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은 시트르산(citric acid), 글리세롤(glycerol), 타닌산(tannic acid) 또는 B-사이클로덱스트린(B-cyclodextrin)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이거나 혼합물인 담배 필터의 제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 또는 상기 필터권지는 상기 녹차 추출물이 첨가되도록 제조된 후, 5 내지 60퍼센트의 농도를 갖는 각각의 시트르산 또는 글리세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한 용액에 침지됨으로써 제조되는 담배 필터의 제조 방법.
  14. 각초부;
    상기 각초부에 연결되는 담배 필터; 및
    상기 담배 필터 및 상기 담배 필터와 연결되는 상기 각초부의 일부분을 감싸는 팁페이퍼;
    를 포함하며,
    상기 담배 필터는,
    상기 담배의 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를 감싸는 필터권지;
    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 또는 상기 필터권지에는 상기 담배의 냄새를 감소시키는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이 함유되며,
    상기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은 15 내지 20 퍼센트의 카테킨을 함유하며,
    상기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은 상기 팁페이퍼 내측에 위치되는 담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 냄새 감소 물질은, 상기 카테킨(catechin)에, 시트르산(citric acid), 글리세롤(glycerol), 타닌산(tannic acid) 또는 B-사이클로덱스트린(B-cyclodextr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이 혼합되는 담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 또는 상기 필터권지는 상기 카테킨을 포함하는 녹차 추출물이 첨가되도록 제조된 후, 5 내지 60퍼센트의 농도를 갖는 시트르산 또는 글리세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한 용액에 침지됨으로써 제조되는 담배.
KR1020120023351A 2012-03-07 2012-03-07 손의 담배 냄새 저감 기술 적용 필터 및 담배 Active KR101362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351A KR101362494B1 (ko) 2012-03-07 2012-03-07 손의 담배 냄새 저감 기술 적용 필터 및 담배
CN201280071279.1A CN104159458B (zh) 2012-03-07 2012-08-29 使用减少手上香烟烟雾气味技术的过滤器及香烟
US14/383,527 US9826777B2 (en) 2012-03-07 2012-08-29 Filter and tobacco using technology for reducing smell of tobacco smoke on hands
JP2014560838A JP6050390B2 (ja) 2012-03-07 2012-08-29 手のタバコ臭い低減技術適用フィルタ及びタバコ
PCT/KR2012/006899 WO2013133493A1 (ko) 2012-03-07 2012-08-29 손의 담배 냄새 저감 기술 적용 필터 및 담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351A KR101362494B1 (ko) 2012-03-07 2012-03-07 손의 담배 냄새 저감 기술 적용 필터 및 담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258A KR20130102258A (ko) 2013-09-17
KR101362494B1 true KR101362494B1 (ko) 2014-02-14

Family

ID=49116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351A Active KR101362494B1 (ko) 2012-03-07 2012-03-07 손의 담배 냄새 저감 기술 적용 필터 및 담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26777B2 (ko)
JP (1) JP6050390B2 (ko)
KR (1) KR101362494B1 (ko)
CN (1) CN104159458B (ko)
WO (1) WO201313349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036B1 (ko) 2014-09-12 2015-10-02 남형욱 화산송이 분말 제조 방법, 화산송이 분말이 함유된 담배 필터, 및 담배 파이프
KR20200086487A (ko) 2019-01-09 2020-07-17 김남진 담배냄새가 안 배기게 해주는 손가락 끼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836B1 (ko) * 2018-10-30 2022-11-1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GB201903272D0 (en) * 2019-03-11 2019-04-24 Nicoventures Trading Ltd An article for use in an aerosol provision system
KR102436227B1 (ko) * 2020-05-29 2022-08-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기능성 물질이 코팅된 흡연물품용 팁페이퍼 및 상기 팁페이퍼의 코팅 방법
KR102455535B1 (ko) * 2020-06-16 2022-10-1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7642223B2 (ja) * 2020-09-07 2025-03-10 Future Technology株式会社 芳香カートリッジ
CN113197338A (zh) * 2021-03-24 2021-08-03 颐中(青岛)实业有限公司 一种烟用吸附材料的制备方法及三元复合棒结构
KR102640562B1 (ko) * 2021-05-20 2024-02-2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담배 냄새가 저감된 흡연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906A (ko) * 2003-07-04 2005-01-12 차용원 다기능성 담배와 담배용 다기능성 필터지 및 제조장치
JP2005080641A (ja) * 2003-09-08 2005-03-31 Shigeo Shimizu タバコフィルター
KR20060023107A (ko) * 2005-12-14 2006-03-13 전창호 필터담배의 필터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4713A (en) * 1873-01-07 Improvement in compounds for use in tobacco-pipes
US3006806A (en) * 1957-02-15 1961-10-31 Olin Mathieson Sized paper and process therefor
US3319630A (en) * 1964-06-29 1967-05-16 Norman B Orrmins Tobacco smoke filter
JPS6040059A (ja) 1983-08-12 1985-03-02 日進香料株式会社 消臭剤
US5150721A (en) 1990-02-28 1992-09-29 Lee Benedict M Tobacco smoke filter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US5076294A (en) * 1990-03-29 1991-12-31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Filter cigarette
JPH05115273A (ja) 1991-09-10 1993-05-14 Uenoya Bikouen:Kk たばこ
CN1100612A (zh) * 1993-09-21 1995-03-29 杨万申 保健香烟滤嘴
AU675573B2 (en) * 1993-09-30 1997-02-06 British-American Tobacco Company Limited Improvements relating to tobacco smoke filter elements
JPH08291013A (ja) * 1995-04-19 1996-11-05 Mitsui Norin Kk 活性炭と植物ポリフェノールからなる組成物
WO2002035948A1 (fr) * 2000-11-06 2002-05-10 Japan Tobacco Inc. Compositions parfumees permettant de desodoriser le tabac, agents de desodorisation du tabac et emballage pour cigarettes et tabac presentant une faible odeur secondaire de fumee
JP3708814B2 (ja) 2000-11-06 2005-10-1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副流煙臭気の少ないシガレットおよびタバコパッケージ
US20030159703A1 (en) * 2002-02-22 2003-08-28 Zuyin Yang Flavored carbon useful as filtering material of smoking article
KR100739872B1 (ko) * 2005-07-26 2007-07-18 (주)드림씨가텍 녹차를 주성분으로 한 담배대용품 및 그 제조방법
CN101278759B (zh) * 2007-04-03 2011-08-24 武汉烟草(集团)有限公司 一种在卷烟中简单快速添加茶多酚的方法
JP2009148233A (ja) * 2007-12-21 2009-07-09 Japan Tobacco Inc 喫煙物品
RU2447819C1 (ru) * 2008-03-18 2012-04-20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Адсорбент компонентов основного потока сигаретного дыма и сигаретный фильтр
US8613284B2 (en) * 2008-05-21 2013-12-24 R.J. Reynolds Tobacco Company Cigarette filter comprising a degradable fiber
GB2474694B (en) * 2009-10-23 2011-11-02 Innovia Films Ltd Biodegradable composites
MY164531A (en) * 2012-04-30 2017-12-29 Philip Morris Products Sa Smoking article mouthpiece with cooling agent inclusion complex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906A (ko) * 2003-07-04 2005-01-12 차용원 다기능성 담배와 담배용 다기능성 필터지 및 제조장치
JP2005080641A (ja) * 2003-09-08 2005-03-31 Shigeo Shimizu タバコフィルター
KR20060023107A (ko) * 2005-12-14 2006-03-13 전창호 필터담배의 필터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036B1 (ko) 2014-09-12 2015-10-02 남형욱 화산송이 분말 제조 방법, 화산송이 분말이 함유된 담배 필터, 및 담배 파이프
KR20200086487A (ko) 2019-01-09 2020-07-17 김남진 담배냄새가 안 배기게 해주는 손가락 끼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09375A (ja) 2015-03-30
JP6050390B2 (ja) 2016-12-21
CN104159458B (zh) 2019-02-22
CN104159458A (zh) 2014-11-19
WO2013133493A1 (ko) 2013-09-12
US20150136159A1 (en) 2015-05-21
US9826777B2 (en) 2017-11-28
KR20130102258A (ko) 201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494B1 (ko) 손의 담배 냄새 저감 기술 적용 필터 및 담배
US7699061B2 (en) Multi-component filter providing multiple flavour enhancement
JP2022519754A (ja) 再構成カカオハスク繊維材料
CN114269168B (zh) 用于生成气溶胶的再造可可材料
BR112012012396B1 (pt) Segmento de filtro para uso em um filtro de um artigo de fumo, filtro e artigo de fumo
KR20100045410A (ko) 흡연물품용 다중-성분 필터
KR102413848B1 (ko) 오크통을 활용한 흡연재료의 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
CN104687233A (zh) 一种桔子香味再造烟叶的制备方法及桔子香味再造烟叶
KR20210022329A (ko) 흡연물품
GB2475856A (en) Flavoured plugwrap
JP5904564B2 (ja) マルチセグメント喫煙物品
CN204377899U (zh) 一种含有混合天然植物提取物复合梗颗粒的二元复合滤棒
CN1871953B (zh) 一种茶叶味香烟
CN100353876C (zh) 烟草水浸溶降焦油脱毒工艺
KR20220121937A (ko) 케나프 잎을 이용한 담배 및 이의 제조방법
CN206025197U (zh) 一种复合竹纤维烟用滤棒
KR101595325B1 (ko) 담배를 피우는 듯한 효과를 갖는 담배대용품
KR102458971B1 (ko) 열수침적된 잎담배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17008Y1 (ko) 우미채를 이용한 담배 대용품
RU2681685C2 (ru) Материал для включения в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CN104013104B (zh) 一种含有茶叶的复合滤棒及其制备方法
KR20240014853A (ko) 흡연물품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JP2016518141A (ja) 喫煙物品
KR200231161Y1 (ko) 니코틴과 카페인을 첨가한 금단현상 치료 보조용 권련
TR2023005147T2 (tr) Tütün kokusu azaltılmış, dumanı çekilen mamul ve bunu üretme yöntem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