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865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6865A
KR20210146865A KR1020210162733A KR20210162733A KR20210146865A KR 20210146865 A KR20210146865 A KR 20210146865A KR 1020210162733 A KR1020210162733 A KR 1020210162733A KR 20210162733 A KR20210162733 A KR 20210162733A KR 20210146865 A KR20210146865 A KR 20210146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flexible display
electronic device
guid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8202B1 (ko
Inventor
이형선
김유수
토시카주 다카야나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2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202B1/ko
Publication of KR20210146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전자 장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반대편에 배치된 제2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는 제3 부분과, 상기 제3 부분과 반대편에 배치된 제4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롤, 상기 롤에 감기며, 상기 롤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인출/인입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부분의 내면에 배치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내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롤과 상기 제3 부분 사이의 거리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제3 부분 사이의 거리와 다르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flexible display}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인입/인출하는 구조가 개시된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 제품 중 중요한 장치로 자리잡고 있다. 전자 장치의 크기는 점차 소형화되고 있는 것에 반해 많은 수요자는 큰 화면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최근 전자 장치 내부에 감거나 화면을 접을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전자 장치 외부로 인출하거나 전자 장치 내부로 수납할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반대편에 배치된 제2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는 제3 부분과, 상기 제3 부분과 반대편에 배치된 제4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롤과 상기 롤에 감기며, 상기 롤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인출 및 인입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부분의 내면에 배치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내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롤과 상기 제3 부분 사이의 거리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제3 부분 사이의 거리와 다를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경사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구부러질 수 있는 곡률을 감안하여 설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경사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최대한 구부러질 수 있는 곡률보다 큰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롤에 대한 감김량의 변화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개구부로 향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진행방향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롤을 안내하는 롤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롤의 회전 중심이 되는 중심축을 포함하며, 상기 롤 가이드는 상기 중심축을 안내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롤에 감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감아들이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감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롤이 상기 감김 수단의 탄성력의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로킹 시키는 로킹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로킹 유닛은 상기 롤에 마련되는 멈춤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멈춤 돌기와의 간섭이 해제되는 해제 위치와, 상기 롤이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멈춤 돌기에 걸리는 접촉 위치를 갖는 멈춤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롤 가이드는 상기 롤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개구부로 향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롤 가이드는 상기 롤이 상기 개구부를 향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롤에 감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고, 상기 롤에서 풀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상기 개구부로 안내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개구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디스플레이 가이드의 반대쪽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안내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개구부를 통과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수평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롤에 감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롤을 상기 디스플레이 가이드 방향으로 가압하는 푸쉬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푸쉬 부재를 상기 디스플레이 가이드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푸쉬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푸쉬 부재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접촉하여 회전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롤 가이드에 지지되고 상기 롤을 상기 디스플레이 가이드 쪽으로 가압하는 롤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하우징 밖으로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폭 방향 측부에 배치된 사이드 보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보호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보다 두꺼울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롤을 회전시키는 돌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림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중심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전자 장치 외부로 인출할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감고 있는 롤이 이동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네크워크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내부에 있는 롤과 롤에 감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롤이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감기거나 풀리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와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과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롤의 개구부를 향하여 이동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가이드를 포함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푸쉬 부재를 포함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감김 수단을 포함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3과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롤 스프링을 포함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5와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피니언 기어와 랙 기어를 포함하는 개략적인 측면도 이다.
도 17과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감속 기어의 개략적인 구성도 이다.
도 19와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인출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을 포함하는 네트워크환경(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101)은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40), 디스플레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110)은 전술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전술한 구성 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을 전달하는 회로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은, 예를 들면, 상기 버스(110)을 통해 전술한 다른 구성 요소들(예: 상기 메모리(130),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40), 상기 디스플레이(15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 등)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30)은, 상기 프로세서(120)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예: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40), 상기 디스플레이(15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 등)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프로세서(120)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30)은, 예를 들면, 커널(131), 미들웨어(13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133 또는 어플리케이션(134) 등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널(131)은 나머지 다른 프로그래밍 모듈들, 예를 들면, 상기 미들웨어(132), 상기 API(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34)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상기 버스(110), 상기 프로세서(120) 또는 상기 메모리(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널(131)은 상기 미들웨어(132), 상기 API(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34)에서 상기 전자 장치(101)의 개별 구성 요소에 접근하여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132)는 상기 API(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34)가 상기 커널(13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웨어(132)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34)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134)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전자 장치(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상기 버스(110), 상기 프로세서(120) 또는 상기 메모리(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예: 스케줄링 또는 로드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I(133)은 상기 어플리케이션(134)가 상기 커널(131) 또는 상기 미들웨어(132)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134)는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달력 어플리케이션, 알람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health care) 어플리케이션(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134)는 상기 전자 장치(101)과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 사이의 정보 교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정보 교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알림 전달(notification relay)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자 장치(101)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발생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101)과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 온/턴 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 통화 서비스 또는 메시지 서비스))을 관리(예: 설치, 삭제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134)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의 속성(예: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가 MP3 플레이어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134)는 음악 재생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외부 전자 장치가 모바일 의료기기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134)는 건강 관리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134)는 전자 장치(101)에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106) 또는 전자 장치(104)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40)은, 입출력 장치(예: 센서, 키보드 또는 터치 스크린)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예를 들면, 상기 버스(110)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120), 상기 메모리(13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40)은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프로세서(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40)은, 예를 들면, 상기 버스(110)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120), 상기 메모리(13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으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기 입출력 장치(예: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40)은 상기 프로세서(120)을 통하여 처리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50)은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예: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5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 표시부가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은 통신 인터페이스(1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은 상기 전자 장치(101)과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 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62)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cellular 통신(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통신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162)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일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 인터넷(internet),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또는 전화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101)과 외부 장치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예: transport layer protocol, data link layer protocol 또는 physical layer protocol)은 어플리케이션(134),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133), 상기 미들웨어(132), 커널(131)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16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지원될 수 있다.
도 2는 전자 장치(101)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전자 장치(101) 내부에 있는 롤(300)과 롤(300)에 감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20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감기는 롤(300), 롤(300)에 감겨서 하우징(200) 내부에 위치하거나 롤(300)에서 풀리면서 하우징(200) 외부로 인출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구부러지는 디스플레이(310)를 말아서 하우징(200) 내부에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310)를 하우징(200) 외부로 꺼내 펼쳐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200)의 일 면 또는 일 측에 개구부(400)가 마련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는 롤(300)에서 풀리면서 하우징(200)의 개구부(400)를 통하여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확장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롤(300)에 감기면 개구부(400)를 통하여 하우징(200)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일 단은 롤(300)과 연결되어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와 롤(300)은 직접 연결될 수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와 전자 장치(101) 간의 신호 전달을 수행하는 매개체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롤(300)은 하우징(200) 내부에서 회전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롤(300)의 몸통에 감을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타 단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하우징(200) 밖으로 인출할 때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10)가 마련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폭 방향의 일 측부와 타 측부에는 사이드 보호부(320)가 마련된다. 사이드 보호부(3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외부 충격에서 보호할 수 있다. 사이드 보호부(3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롤(300)에 복층 구조로 감길 때에, 내층(311)과 외층(312)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어 내층(311)의 이면과 외층(312)의 표면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표면, 즉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면의 마모 및 이에 따른 손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롤(300)의 중심축(330)은 하우징(200) 내부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된다. 롤(300)은 하우징(200) 내부에서 롤(300)의 중심축(330)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전자 장치(101)는 롤(300)을 회전시키는 돌림부(2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돌림부(220)는 하우징(200)의 외부로부터 중심축(330)에 직접 또는 기어 등의 동력연결기구를 거쳐서 중심축(330)에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돌림부(220)를 이용하여 롤(300)을 회전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롤(300)에 감을 수 있다.
롤(300)이 회전하면, 롤(300)과 연결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는 롤(300)에 감기거나 풀린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잡이(210)를 당기면 롤(3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는 롤(300)에서 풀려 하우징(200)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롤(300)의 중심축(330)과 연결된 돌림부(220)를 회전시키면, 롤(3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롤(300)에 감기면서 하우징(200) 내부로 들어간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일 영역 또는 사이드 보호부(320)의 일 영역에는 스토퍼(350)가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350)의 위치에 의하여 하우징(200) 외부로 인출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면적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를 참조하면, 스토퍼(350)는 롤(300)과 연결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일 단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는 스토퍼(350)가 설치된 부분까지만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스토퍼(350)가 설치된 부분부터 손잡이(210)가 있는 부분까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로 구성하고 롤(300)과의 연결부부터 스토퍼(350)가 설치된 부분까지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간의 전자 신호 전달을 위한 부품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스토퍼(350)가 설치된 부분부터 손잡이(210)가 설치된 타 단까지의 영역은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이고, 롤(300)과 연결된 일단부터 스토퍼(350)가 설치된 부분까지의 영역은 프로세서(120)와의 신호를 전달하는 FPCB등이 배치된 신호 전달 영역일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롤(300)에 감기거나 풀리는 경우, 롤(300)의 중심부터 롤(300)에 감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까지의 거리, 다시 말하면 롤(300)의 외경은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해,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롤(300)에서 풀려나가거나 감기는 방향과 대략적으로 수직인 방향, 즉 롤(300)의 반경 방향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반경 방향으로의 이동은 화면의 흔들림 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
도 4는 롤(300) 이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감기거나 풀리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개구부(400)의 개방 높이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하우징(200) 내에서 개구부(400)에 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진행 방향이 계속 변경되어 개구부(400)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도 4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롤(300)에 완전히 감긴 제1상태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개구부(400)를 거의 수평 상태로 통과하지만, 도 4에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롤(300)로부터 완전히 풀린 제2상태에서는 제1상태에 대하여 각도 α를 이루며 휘어진 상태로 개구부(400)를 통과하게 된다. 인출/인입과정에서 반복적인 휘어짐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에 피로가 누적되어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개구부(400)를 통하여 하우징(200)에서 출입될 때에 출입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반복적인 휨을 줄이고,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개구부(400)에 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진행 방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일 방안으로서, 롤(300)은 외경의 변화를 보상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우징(200) 내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300)은 하우징(200)에 마련된 롤 가이드(340)에 안내되어 이동될 수 있다. 롤 가이드(340)는 예를 들어 슬롯 형상일 수 있으며, 롤(300)의 양쪽 중심축(330)이 한 쌍의 롤 가이드(340)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롤(300)은 외경의 변화에 따라서 롤 가이드(34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롤(300)의 이동은 롤(300)의 회전과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 롤(300)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감김량의 변화에 따라 이동되는 구조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5와 도 6은 전자 장치(101)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롤(300)에 완전히 감긴 상태를 보여주며, 도 6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롤(300)로부터 완전히 풀린 상태를 보여준다.
도 5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일단은 롤(300)과 연결되고 타 단은 손잡이(210)와 연결되어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는 롤(300)에 감겨서 하우징(200) 내부에 위치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하우징(200) 외부로 인출 될 때, 롤(300)과 중심축(330)은 함께 회전한다. 물론, 롤(300)이 중심축(330)에 대하여 회전되고, 중심축(330)은 롤 가이드(340)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 하우징(200)에 지지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는 롤(300)에서 풀려 하우징(200)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하우징(200)의 외부로 인출되면, 롤(300)의 외경이 변한다. 도 5에서 롤(300)의 외경을 D1라 하면, 도 6에서 롤(300)의 외경은 D1보다 작은 D2가 된다. 롤 가이드(340)는 롤(300)이 외경의 변화량(D1-D2)를 보상하기 위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여기서, 외경 D1과 D2는 롤(300)에 감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포함하는 전체 외경을 의미한다.
도 5와 도 6에서 롤 가이드(3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하우징(200)으로부터 인출됨에 따라 롤(300)이 아래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중심축(330)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가이드(920)는 롤(300)에 대하여 중력 방향의 아래에 위치되며, 롤(300)에 감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지지한다. 디스플레이 가이드(9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하우징(200)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구부(400) 쪽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디스플레이 가이드(920)는 개구부(400)에 인접하여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디스플레이 가이드(920)가 중력방향의 아래에 위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나, 전자 장치(101)는 도 5 및 도 6에서 중심축(330)이 중력방향을 향하도록 세워진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가이드(920)의 위치는 롤(300)의 중력 방향의 아래가 아니며, 디스플레이 가이드(9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하우징(200)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구부(400) 쪽으로 연장된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가이드(9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인출되거나 인입될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 표면이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사이드 보호부(320)와 접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흔들림을 줄여줄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롤(300)에서 풀림에 따라 롤(300)은 롤 가이드(340)에 의하여 안내되어 아래쪽으로 이동되며, 그 이동 거리는 디스플레이 가이드(920)에 의하여 제한된다.
디스플레이 가이드(9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개구부(400) 쪽으로 안내한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가이드(9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수평방향으로 개구부(400)를 통과하도록 안내한다.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가이드(920)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지지하는 지지부(921)는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하우징(200)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 즉 롤(300)과 개구부(400) 사이 부분의 진행 방향은 항상 일정한 방향, 예를 들어 수평 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자 장치(101)가 중심축(330)이 중력방향을 향하도록 세워진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는 세워진 상태로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롤 가이드(340)는 중력 방향, 다시 말하면 하우징(200) 내부에서 롤(300)로부터 풀려 개구부(400)로 향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2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롤 가이드(340)는 롤(300)의 외경의 변화량(D1-D2)를 보상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7은 전자 장치(101)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롤 가이드(340)는 중력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하향 경사진 형태이다. 다시 말하면 롤 가이드(340)는 하우징(200) 내부에서 롤(300)로부터 풀려 개구부(400)로 향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2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이다. 이때, 롤 가이드(340)의 경사 방향은 개구부(400)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롤(300)과 개구부(400)와의 거리를 줄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유효 화상 표시 영역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롤(300)이 상기와 같이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롤(300)에서 풀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는 개구부(400)를 향하여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하우징(200) 내부에 위치한 상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일부가 하우징(200) 외부로 인출되고 있는 상태, 하우징(200) 외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인출될 수 있는 모든 영역이 인출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롤(300)과 개구부(400) 사이 부분은 개구부(400)에 대하여 항상 동일한 진행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롤(300)과 개구부(400)을 연결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진행 방향은 수평 방향이 아닐 수도 있다. 도 8은 전자 장치(101)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가이드(920)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지지부(922)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922)는 개구부(400)를 향하여 하향경사진 형태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롤(300)로부터 풀림에 따라 롤(300)이 자연스럽게 롤 가이드(340)에 안내되어 아래쪽으로 이동되며, 롤(300)에서 풀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는 지지부(922)를 따라 안내되어 개구부(400)를 통하여 하우징(20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롤(300)과 개구부(400) 사이 부분의 진행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풀림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개구부(400)의 상측에는 개구부(400)를 통과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800)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8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사이에 두고 디스플레이 가이드(920)의 반대쪽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안내한다. 가이드 부재(800)는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개구부(400)를 통과하여 수평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800)의 경사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구부러질 수 있는 곡률을 감안하여 설계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최대한 구부러질 수 있는 곡률보다 가이드 부재(800)의 경사가 가지는 곡률은 크게 설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가이드 부재(800)에 의해 일정한 곡률로 휘어져서 개구부를 통과하더라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에는 구부러짐에 의한 피로가 누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전자 장치(101)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푸쉬 부재(900)가 도시되어 있다. 롤(300)은 디스플레이 가이드(920)와 푸쉬 부재(900) 사이에 위치된다. 푸쉬 부재(900)는 롤(300)에 감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지지부(921)에 접촉되도록 롤(300)을 디스플레이 가이드(920) 쪽으로 민다.
도 9에서 푸쉬 부재(900)는 롤(300)에 감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민다. 푸쉬 부재(9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에 접촉될 수 있으며 사이드 보호부(320)에 접촉될 수도 있다. 푸쉬 부재(900)는 롤(300)이 회전됨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 또는 사이드 보호부(320(도3 참조))와의 마찰 접촉을 줄이기 위하여 회전되는 롤러 형태일 수 있다.
푸쉬 부재(900)는 자중에 의하여 롤(300)을 디스플레이 가이드(920) 쪽으로 밀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300)을 디스플레이 가이드(920) 쪽으로 미는 방향으로 푸쉬 부재(900)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910)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가이드(920)는 롤(300)에 감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지지하며, 롤(300)에서 풀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개구부(400) 쪽으로 안내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는 푸쉬 부재(900)에 눌려서 디스플레이 가이드(920)에 지지되어 롤(300)에 감긴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롤(300)에서 풀리거나 감기는 경우에도 푸쉬 부재(900)는 롤(300)이 감기거나 풀리는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줄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인입 및 인출 과정이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도와준다.
푸쉬 부재(900) 및 탄성부재(910)를 이용하여 롤(300)을 디스플레이 가이드(920) 쪽으로 미는 구조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적용되어 롤(300)에 감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디스플레이 가이드(920)의 지지부(922) 쪽으로 밀수도 있다.
도 10과 도 11은 전자 장치(101)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들이다. 본 실시예의 전자 장치(101)는 롤(300)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감아들이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롤(3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감김 수단을 구비한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감김 수단은 예를 들어 스파이럴 스프링(100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1000)의 일 단부는 롤(300)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하우징(200)에 연결될 수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1000)의 일 단부는 롤(300)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중심축(33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롤(300)은 중심축(330)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는 구조이며, 중심축(330)은 하우징(200) 대하여 회전되지 않으며 단지 롤 가이드(34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우징(200)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파이럴 스프링(1000)의 타 단부가 중심축(330)에 연결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하우징(200) 외부로 인출되기 시작하면 롤(30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스파이럴 스프링(1000)은 롤(300)이 회전할수록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스파이럴 스프링(1000)이 축적한 탄성력은 하우징(200) 외부로 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하우징(200) 내부로 회수하여 롤(300)에 감는 힘으로 사용된다.
스파이럴 스프링(1000)을 사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하우징(200) 내부로 회수하는 전자 장치(1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인출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로킹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로킹 유닛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로킹 유닛은 멈춤 돌기(1200)와 멈춤 레버(121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멈춤 돌기(1200)는 롤(300)에 마련된다. 멈춤 돌기(1200)는 롤(300)의 일 측부 또는 양 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멈춤 돌기 (1200)는 필요에 따라서 롤(300)의 회전방향으로 다수 개 마련될 수 있다. 멈춤 돌기(1200)의 개수는 롤(300)의 직경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길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멈춤 돌기(1200)를 마련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하우징(200) 외부로 인출된 길이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멈춤 레버(1210)는 하우징(200)에 마련될 수 있다. 중심축(330)이 하우징(200)에 지지되고 롤(300)이 중심축(330)에 대하여 회전되는 구조인 경우, 멈춤 레버(1210)는 중심축(330)에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멈춤 레버(1210)는 중심축(330)에 마련된다.
멈춤 레버(1210)는 일 단부가 중심축(330)에 회동될 수 있게 지지된다. 멈춤 레버(1210)는 타 단부와 멈춤 돌기(1200)가 접촉되는 접촉 위치(도 12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와 타 단부와 멈춤 돌기(1200)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해제 위치(도 12에서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스프링(1220)은 멈춤 레버(1210)가 접촉 위치에 유지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멈춤 레버(1210)에 제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하우징(200)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롤(3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멈춤 돌기(1200)는 중심축(330)에 설치된 멈춤 레버(1210)와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롤(300)이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되면 멈춤 돌기(1200)에 밀려서 멈춤 레버(1210)가 스프링(1220)의 탄성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멈춤 레버(1210)가 멈춤 돌기(1200)에 밀려 회전됨에 따라 멈춤 레버(1210)와 멈춤 돌기(1200)와의 중첩부의 길이가 점차 줄어든다. 롤(300)이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되면 멈춤 레버(1210)가 해제 위치에 위치되고 멈춤 돌기(1200)가 멈춤 레버(1210)로부터 해제되며 롤(300)은 반시계 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될 수 있다. 멈춤 레버(1210)는 스프링(12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접촉 위치로 복귀된다.
롤(300)의 반시계 방향 회전을 중단되면 스파이럴 스프링(1000)의 탄성력에 의해 롤(30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롤(3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멈춤 돌기(1200)는 멈춤 레버(1210)와 접촉하게 된다. 멈춤 레버(1210)는 접촉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회동될 수는 있으나, 접촉 위치를 넘어서는 회동될 수 없도록 규제된다. 이를 위한 규제수단은 예를 들어 중심축(330)에 마련되는 규제슬롯(1230)과, 멈춤 레버(1210)에 마련되어 구제 슬롯(1230)에 삽입되는 규제 돌기(124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멈춤 돌기(1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접촉 위치에 위치된 멈춤 레버(1210)와 접촉되면 롤(300)은 더 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없으며, 디스플레이(310)는 인출된 상태로 유지(홀딩 상태)된다.
전자 장치(101)는 홀딩 상태의 디스플레이(310)를 다시 하우징(200) 내부로 집어 넣기 위해 멈춤 레버(1210)와 멈춤 돌기(1200)의 로킹 상태를 해제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멈춤 레버(1210)를 해제 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가 멈춤 레버(1210)를 직접 수동 조작하여 해제 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멈춤 레버(1210)의 일부를 하우징(200)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우징(200)의 외부에 멈춤 레버(1210)를 수동조작에 의하여 해제 위치로 회동시키기 위한 해제 레버를 마련할 수도 있다.
도 13과 도 14는 전자 장치(101)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푸쉬 부재(900)는 롤 스프링(130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롤 스프링(1300)은 롤 가이드(340)에 지지되어 롤(300)을 디스플레이 가이드(920) 쪽으로 민다. 롤 스프링(1300)은 중심축(330)을 민다.
롤 스프링(1300)에 의하여 롤(300)에 감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는 디스플레이 가이드(920)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롤(300)에 감긴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롤(300)로부터 풀림에 따라 롤(300)이 더 용이하게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는 디스플레이 가이드(920)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의 실시예에는 도 9에 도시된 푸쉬 부재(900) 및 탄성부재(910)가 적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롤(300)에 감긴 상태로 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의 실시예에는 는 롤(300)과 중심축(330) 사이에 스파이럴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1000)은 도 10 및 도 11에서 설명된 스파이럴 스프링(1000)과 동일한 위치에 마련되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1000)을 사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하우징(200) 내부로 회수하는 전자 장치(1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인출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로킹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로킹 유닛은 외부로 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홀드할 수 있다. 로킹 유닛은 도 12에서 설명된 멈춤 돌기(1200)와 멈춤 레버(121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개구부(400)를 통하여 하우징(200)에서 출입될 때, 롤(300)의 회전과 롤 가이드(340)를 따르는 롤(300)의 이동 사이에 일정한 관계가 성립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피니언 기어(1500)가 도시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500)는 예를 들어 롤(300)에 마련될 수 있다. 중심축(330)이 롤(300)과 함께 회전되는 구조인 경우, 피니언 기어(1500)는 중심축(330)에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니언 기어(1500)가 중심축(330)에 마련된다. 피니언 기어(1500)는 롤(300)의 이동 방향, 즉 롤 가이드(340)의 형성방향으로 연장된 랙 기어(1510)에 맞물린다. 랙 기어(1510)는 고정된 위치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랙 기어(1510)는 하우징(200)에 마련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15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롤(300)에 감기거나 그로부터 풀림에 따라 랙 기어(1510)을 따라 랙 기어(1510)의 연장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15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롤(300)에 복층 구조로 감길 때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포함하는 롤(300)의 외경의 변화량만큼 랙 기어(1510)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계 될 수 있다. 즉, 롤(300)에 감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한 층 풀리 거나 더 감길 때, 롤(30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두께만큼 롤 가이드(340)를 따라 이동하여 개구부(400)에 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진행 방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피니언 기어(1500)의 직경을 Dp, 피니언 기어(1500)의 회전 수를 Np, 피니언 기어(1500)의 랙 기어(1510)를 따른 이동 거리를 L 이라 하면
L = Dp*π*Np ---------- 식(1)
를 만족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피니언 기어(1500)는 랙 기어(1510)을 타고 도 15보다 아래로 이동된 위치에 위치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는 외부로 인출된 상태이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1500)는 롤(300)에 감기거나 풀리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두께 증가분 또는 감소분만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롤(300)이 피니언 기어(1500)와 함께 이동하는 도중에도 개구부(400)를 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진행 방향은 일정하게 유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원활한 인출과 인입을 위한 디스플레이 가이드(미도시)와 푸쉬 부재(미도시) 및 탄성 부재(9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가이드(920)와 푸쉬 부재(900) 및 탄성 부재(910)는 도 9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가이드(920)와 푸쉬 부재(900) 및 탄성 부재(910)와 동일한 위치에 마련되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롤(300)과 중심축(330)을 연결하는 스파이럴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파이럴 스프링(1000)은 도 10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스파이럴 스프링(1000)과 동일한 위치에 마련되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1000)을 사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하우징(200) 내부로 회수하는 전자 장치(1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인출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로킹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로킹 유닛으로서 도 12에서 설명한 멈춤 돌기(1200)와 멈춤 레버(1210)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랙 기어(1510)과 피니언 기어(1500)만으로 형성된 기본 구조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두께가 작을수록 피니언 기어(1500)의 직경이 작다. 따라서, 피니언 기어(1500)의 제조 상의 문제점과 피니언 기어(1500)의 내구성을 감안하여, 랙 기어(1510)와 피니언 기어(1500) 사이에 감속구조가 개재될 수 있다.
도 17은 감속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피니언 기어(1500)와 롤(300) 사이에 감속기어(1720)가 개재된다.
감속기어(1720)는 피니언 기어(1500)과 맞물리는 제1기어부(1721)와, 랙 기어(1510)와 맞물리는 제2기어부(1722)를 구비하는 2단 기어이다. 제1기어부(1721)의 직경은 제2기어부(1722)의 직경보다 크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감속기어(1720)는 롤(300)이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된 브라켓(미도시)에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은 롤(300)과 함께 이동될 수 있게 하우징(200)에 지지된다.
제1기어부(1721)의 직경을 D1, 제2기어부(1722)의 직경을 D2라 하면, 피니언 기어(1500)와 랙 기어(1510)는 D2/D1의 감속비로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피니언 기어(1500)의 직경을 Dp1, 롤(300)의 이동거리를 L1, 피니언 기어(1500)의 회전수를 Np라 하면,
L1 = Dp1*(D2/D1)*Np*π ---------------- 식(2)
가 된다.
여기서, 식(1)의 L과 식(2)의 L1이 같다면, 피니언 기어(1500)의 직경(Dp1)은
Dp1 = (D1/D2)*Dp 가 되며, D1>D2이므로, Dp1>Dp 가 된다. 따라서, 피니언 기어(1500)의 직경을 (D1/D2)배 크게 할 수 있어, 제1기어부(1721)와 제2기어부(1722)의 직경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제조에 적합한 크기의 피니언 기어(1500)를 채용할 수 있으며, 피니언 기어(15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둘 이상의 감속기어가 채용될 수도 있다. 도 18은 감속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피니언 기어(1500)와 랙 기어(1510) 사이에 두 개의 감속기어(1820)(1830)가 개재된다.
제1감속기어(1820)는 제1, 제2기어부(1821)(1822)를 구비하는 2단 기어이다. 제2감속기어(1830)는 제3, 제4기어부(1831)(1832)를 구비하는 2단 기어이다. 제1기어(1821)는 피니언 기어(1500)와 맞물린다. 제2기어(1822)는 제3기어부(1831)와 맞물린다. 제4기어부(1832)는 랙 기어(1510)와 맞물린다.
제1기어부(1821)의 직경은 제2기어부(1822)의 직경보다 크다. 제3기어부(1831)의 직경은 제4기어부(1832)의 직경보다 크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제2감속기어(1820)(1830)는 롤(300)이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된 브라켓(미도시)에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은 롤(300)과 함께 이동될 수 있게 하우징(200)에 지지된다.
제1, 제2, 제3, 제4기어부(1821)(1822)(1831)(1832의 직경을 각각 D1, D2, D3 D4라 하면, 피니언 기어(1500)와 랙 기어(1510)는 (D2/D1)*(D4/D3)의 감속비로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피니언 기어(1500)의 직경을 Dp2, 롤(300)의 이동거리를 L2, 피니언 기어(1500)의 회전수를 Np라 하면,
L2 = Dp2*(D2/D1)*(D4/D3)*Np* π 식(3)
가 된다.
여기서, 식(1)의 L과 식(3)의 L2이 같다면, 피니언 기어(1500)의 직경(Dp1)은 Dp2 = (D1/D2)*(D3/D4)*Dp 가 되며, D1>D2이고 D3>D4므로, Dp2>Dp 가 된다. 따라서, 피니언 기어(1500)의 직경을 (D1/D2)* (D3/D4) 배 크게 할 수 있어, 제1 내지 제4기어부(1821)(1822)(1831)(1832) 의 직경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제조에 적합한 크기의 피니언 기어(1500)를 채용할 수 있으며, 피니언 기어(15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2회의 감속이 이루어 지므로, Dp1과 Dp2가 동일한 경우에, 제1, 제2감속기어(1820)(1830)의 크기를 감속기어(1720)의 크기보다 작게 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컴팩트한 감속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9는 전술한 구조들을 이용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일 사용 양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롤러블 TV 또는 스크린일 수 있다.
도 19(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개구부(400)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벽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는 롤(300)에 감겨 하우징(200) 내부에 완전히 수납되어 있다. 롤(300)은 예를 들어 롤 가이드(340)의 후방측 단부에 위치된다. 사용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선단에 위치한 손잡이(210)를 잡고 아래쪽으로 당겨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하우징(200)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도 19(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일부가 하우징(200)의 개구부(400)를 통하여 아래쪽으로 인출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9(c)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대부분이 하우징(200)의 개구부(400)를 통하여 인출된 상태를 보여준다.도 19(b)와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롤(300)로부터 풀려서 개구부(400)를 통하여 인출됨에 따라 롤(300)은 롤 가이드(340)를 따라 전방을 향하여 이동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완전히 인출되면, 롤(300)은 롤 가이드(340)의 전방측 단부에 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롤(300)에 감아들일 때에는 롤(300)에의 감김량이 증가되며, 롤(300)은 롤 가이드(340)를 따라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롤(300)에의 감김량이 변하더라도,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개구부(400)에 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진행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20은 전자 장치(101)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한 쌍의 하우징(200)(200')을 구비하며, 하우징(200)(200') 내부에는 롤(300)(300')이 각각 마련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는 일단부가 롤(300)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롤(300')에 고정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는 롤(300)(300')에 감겨서 하우징(200)(200')에 수납된다. 하우징(200)(20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출입하는 개구부(400)(400')가 각각 마련된다. 하우징(200)(200')은 개구부(400)(400')이 서로 마주보게 위치된다. 하우징(200)(200')에는 롤(300)(300')을 안내하는 롤 가이드(340)(340')가 각각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하우징(200)(200')을 서로 접근/이격시킴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하우징(200)(200')에/으로부터 수납/인출할 수 있다.
도 20(a)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하우징(200)(200')에 수납된 상태를 보여준다. 하우징(200)(200')은 서로 가장 가깝게 접근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200)(200')을 서로 이격시키면,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롤(300)(300')로부터 풀리면서 개구부(400)(400')를 통하여 인출되어 하우징(200)(200') 사이로 전개된다. 하우징(200)(200')을 가장 멀리 이격시키면,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는 롤(300)(300')로부터 완전히 풀리고 하우징(200)(200') 사이에 전개되어 가장 넓은 화상 표시 영역이 확보할 수 있다.
롤 가이드(340)(34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롤(300)(300')로부터 풀림에 따라 롤(300)(300')은 롤 가이드(340)(340')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가 완전히 전개되면, 롤(300)(300')는 롤 가이드(340)(340')의 아래쪽 단부에 위치된다. 하우징(200)(200')을 서로 접근시키면 예를 들어 스파이럴 스프링(1000)의 탄성력에 의하여 롤(300)(300')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를 감아들이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롤(300)(300')에의 감김량이 증가되면, 롤(300)(300')은 롤 가이드(340)(340')를 따라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롤(300)(300')에의 감김량이 변하더라도, 하우징(200)(200')의 내부에서 개구부(400)(400')에 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10)의 진행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술한 구성 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101: 전자 장치 200: 하우징
210: 손잡이 200: 롤
3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320: 사이드 보호부
330: 중심축 340: 롤 가이드
400: 개구부 900: 푸쉬 부재
910: 탄성부재 920: 디스플레이 가이드
1000: 스파이럴 스프링 1200: 멈춤 돌기
1210: 멈춤 레버 1500: 피니언 기어
1510: 랙 기어

Claims (20)

  1. 개구부를 구비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반대편에 배치된 제2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는 제3 부분과, 상기 제3 부분과 반대편에 배치된 제4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롤;
    상기 롤에 감기며, 상기 롤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인출 및 인입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부분의 내면에 배치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내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롤과 상기 제3 부분 사이의 거리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제3 부분 사이의 거리와 다른,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경사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구부러질 수 있는 곡률을 감안하여 설계된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경사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최대한 구부러질 수 있는 곡률보다 큰 곡률을 가지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롤에 대한 감김량의 변화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개구부로 향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진행방향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롤을 안내하는 롤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롤의 회전 중심이 되는 중심축; 을 포함하며,
    상기 롤 가이드는 상기 중심축을 안내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에 감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감아들이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감김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이 상기 감김 수단의 탄성력의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로킹 시키는 로킹 유닛; 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유닛은
    상기 롤에 마련되는 멈춤 돌기;
    상기 멈춤 돌기와의 간섭이 해제되는 해제 위치와, 상기 롤이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멈춤 돌기에 걸리는 접촉 위치를 갖는 멈춤 레버;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 가이드는 상기 롤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개구부로 향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전자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 가이드는 상기 롤이 상기 개구부를 향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에 감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고, 상기 롤에서 풀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상기 개구부로 안내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가이드;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개구부를 향해 연장된,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디스플레이 가이드의 반대쪽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안내하는 전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개구부를 통과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수평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안내하는 전자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롤에 감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롤을 상기 디스플레이 가이드 방향으로 가압하는 푸쉬 부재; 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부재를 상기 디스플레이 가이드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부재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접촉하여 회전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푸쉬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푸쉬 부재는 상기 롤 가이드에 지지되고 상기 롤을 상기 디스플레이 가이드 쪽으로 가압하는 롤 스프링;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과 함께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연결되며, 상기 롤 가이드의 형성 방향으로 연장된 랙 기어; 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하우징 밖으로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전자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폭 방향 측부에 배치된 사이드 보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보호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보다 두꺼운, 전자 장치.
  2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을 회전시키는 돌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림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중심축으로 연결된, 전자 장치.
KR1020210162733A 2015-08-05 2021-11-2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438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733A KR102438202B1 (ko) 2015-08-05 2021-11-2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659A KR102333180B1 (ko) 2015-08-05 2015-08-05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0210162733A KR102438202B1 (ko) 2015-08-05 2021-11-2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659A Division KR102333180B1 (ko) 2015-08-05 2015-08-05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865A true KR20210146865A (ko) 2021-12-06
KR102438202B1 KR102438202B1 (ko) 2022-08-30

Family

ID=579431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659A KR102333180B1 (ko) 2015-08-05 2015-08-05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0210162733A KR102438202B1 (ko) 2015-08-05 2021-11-2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659A KR102333180B1 (ko) 2015-08-05 2015-08-05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10420227B2 (ko)
EP (2) EP3333666B1 (ko)
KR (2) KR102333180B1 (ko)
CN (3) CN108139773B (ko)
WO (1) WO201702292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384B1 (ko) * 2022-04-05 2022-10-17 에스아이로직 주식회사 광고를 제공하는 블라인드형 전자 장치
WO2023191339A1 (ko) * 2022-03-28 2023-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어 구조를 포함하는 롤러블 전자 장치
WO2023195631A1 (ko) * 2022-04-06 2023-10-12 삼성전자 주식회사 구동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213B1 (ko) * 2016-07-05 2023-04-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067981A (zh) * 2017-04-17 2017-08-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移动终端
CN107808599B (zh) * 2017-11-15 2020-10-23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KR102000849B1 (ko) * 2017-12-29 2019-07-16 서성진 표시 패널 지지 구조물
EP3543824A1 (en) * 2018-03-21 2019-09-25 InterDigital CE Patent Holdings Retractable display device
KR102084074B1 (ko) * 2018-04-19 2020-04-23 주식회사 지피 외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 플래그
TWI667568B (zh) * 2018-04-24 2019-08-0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
KR102478444B1 (ko) * 2018-07-03 2022-12-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78915B1 (ko) * 2018-08-17 2023-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09561178B (zh) 2018-11-30 2020-07-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铰接件、终端设备的折叠机构及终端设备
CN109788091B (zh) * 2018-12-29 2021-08-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0033702B (zh) * 2019-04-12 2021-06-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US10860063B2 (en) * 2019-04-30 2020-12-08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US11720148B2 (en) 2019-05-13 2023-08-08 Lg Electronics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rollable display structure
KR20200133136A (ko) * 2019-05-17 2020-1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260118B (zh) * 2019-06-25 2020-11-24 裴学华 一种电视支架
CN110264882B (zh) * 2019-06-26 2021-09-28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柔性模组和电子设备
CN110271917B (zh) * 2019-06-27 2020-08-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卷绕装置及柔性显示设备
US20220291718A1 (en) * 2019-07-23 2022-09-15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4027322A4 (en) * 2019-09-03 2023-05-10 LG Electronics Inc. ROLL-UP DISPLAY
CN110534024A (zh) * 2019-09-10 2019-12-03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可卷曲的显示装置
TWI726417B (zh) 2019-09-12 2021-05-0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CN112489557B (zh) * 2019-09-12 2023-03-31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EP4044159A4 (en) * 2019-10-11 2023-06-2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N110782798B (zh) * 2019-11-19 2022-07-0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CN113012569A (zh) * 2019-12-19 2021-06-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折叠屏及折叠显示终端
WO2021132781A1 (ko) * 2019-12-27 2021-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137456A1 (en) 2019-12-30 2021-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KR102661629B1 (ko) * 2020-01-31 2024-04-2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추출 시 디스플레이를 평평하게 하기 위한 자기 수단을 포함하는 롤링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US11586154B2 (en) * 2020-03-11 2023-02-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er-worn device with extendable display
US11614715B2 (en) 2020-03-11 2023-03-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gnetically orbiting user-worn device
CN112002226B (zh) * 2020-08-17 2022-02-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12164315A (zh) * 2020-10-10 2021-01-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电子装置
CN112331073B (zh) * 2020-10-29 2023-03-24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卷曲装置
EP4194995A4 (en) * 2020-11-06 2024-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WO2022119351A1 (ko) * 2020-12-02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전자 장치
KR20220095031A (ko) * 2020-12-29 2022-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079671A (zh) * 2021-03-19 2021-07-06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4120836A (zh) * 2021-11-30 2022-03-01 厦门天马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TWI814633B (zh) * 2022-05-31 2023-09-01 信錦企業股份有限公司 捲收式支撐結構
CN116434669B (zh) * 2023-06-12 2023-10-03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终端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1002A1 (en) * 2006-04-18 2007-10-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Flexible display
KR20120093665A (ko) * 2011-02-15 2012-08-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장치
WO2014080176A1 (en) * 2012-11-23 2014-05-30 Averly Ip Limited Frame system for flexible panel
US20150029229A1 (en) * 2013-07-27 2015-01-2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Adjustable Size Scrollable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7573A (en) * 1959-04-22 1962-10-09 Eastman Kodak Co Take-up chamber for photographic film
US3718301A (en) * 1971-06-01 1973-02-27 Bell & Howell Co Filmstrip cartridge
US4173087A (en) * 1975-12-03 1979-11-06 Narey James O Changeable printed alphanumeric display module
US5544833A (en) * 1995-02-21 1996-08-13 Eastman Kodak Company Film roll accumulating device
US6867712B2 (en) * 2002-06-11 2005-03-15 Fu Chen Tai Reelable keyboard
CN100363960C (zh) * 2002-11-21 2008-01-23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器
KR101049240B1 (ko) * 2002-11-21 2011-07-1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MX2008009581A (es) * 2006-01-27 2009-01-07 Fibrogen Inc Compuestos de cianoisoquinolina que estabilizan el factor inducible hipoxia (fih).
CN101952873B (zh) 2007-11-21 2014-11-12 创造者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柔性显示器的电子设备
CN101910966B (zh) 2007-11-29 2013-01-23 创造者科技有限公司 包括具有不可变形有源区域的可折叠显示器的电子设备
WO2011062213A1 (ja) * 2009-11-19 2011-05-26 株式会社ニコン リーダ部材、基板、基板カートリッジ、基板処理装置、リーダ接続方法、表示素子の製造方法及び表示素子の製造装置
CN102115071B (zh) 2009-12-31 2013-01-09 清华大学 铺膜系统及使用该铺膜系统的铺膜方法
US8379377B2 (en) 2010-01-20 2013-02-19 Creator Technology B.V. Electronic device with at least one extendable display section
WO2012027380A2 (en) * 2010-08-24 2012-03-01 Peter Salmon Retractable device
CN201965503U (zh) * 2010-12-30 2011-09-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卷绕结构及带卷绕结构的移动终端
KR101860880B1 (ko) 2011-11-18 2018-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889008B1 (ko) * 2012-06-11 201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00298B1 (ko) * 2012-06-14 2014-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8875968B2 (en) 2012-08-20 2014-11-04 Daniel Brian Tan Multi-use bag dispenser
TWI582640B (zh) * 2013-01-10 2017-05-11 黃海濤 具可捲式螢幕的掌上型電子裝置及其顯示方法
US9680681B2 (en) * 2013-03-04 2017-06-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Transmission apparatus, recep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WO2014200466A1 (en) * 2013-06-11 2014-12-18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Display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203773882U (zh) * 2013-12-17 2014-08-13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移动数码设备
JP6187406B2 (ja) * 2014-07-18 2017-08-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時計
CN104461127B (zh) * 2014-11-12 2017-08-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其工作方法
KR102326034B1 (ko) * 2014-11-17 2021-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962986B1 (ko) 2014-11-18 2019-03-27 셍기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연성 금속 적층체
KR102257174B1 (ko) * 2014-12-03 2021-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102342761B1 (ko) * 2014-12-04 2021-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70869B1 (ko) * 2014-12-31 2015-1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0437B1 (ko) * 2015-01-13 2022-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및 롤러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04680943B (zh) * 2015-03-16 2017-07-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屏和显示装置
CN104732890B (zh) 2015-03-31 2017-03-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卷轴显示装置
KR102378758B1 (ko) * 2015-06-19 2022-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9769942B2 (en) * 2015-06-25 2017-09-19 Frederick Longo Retractable display assembly
KR102148980B1 (ko) * 2015-07-20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KR102025924B1 (ko) * 2015-07-31 2019-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119543A1 (ko) * 2016-01-04 2017-07-13 엘지전자(주) 전자 디바이스
KR102378090B1 (ko) * 2017-05-29 2022-03-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1002A1 (en) * 2006-04-18 2007-10-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Flexible display
KR20120093665A (ko) * 2011-02-15 2012-08-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장치
WO2014080176A1 (en) * 2012-11-23 2014-05-30 Averly Ip Limited Frame system for flexible panel
US20150029229A1 (en) * 2013-07-27 2015-01-2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Adjustable Size Scrollable Displa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339A1 (ko) * 2022-03-28 2023-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어 구조를 포함하는 롤러블 전자 장치
KR102455384B1 (ko) * 2022-04-05 2022-10-17 에스아이로직 주식회사 광고를 제공하는 블라인드형 전자 장치
WO2023195631A1 (ko) * 2022-04-06 2023-10-12 삼성전자 주식회사 구동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64676A1 (en) 2019-11-28
EP3333666A4 (en) 2018-07-25
CN108139773B (zh) 2021-10-08
US11729921B2 (en) 2023-08-15
EP3333666A1 (en) 2018-06-13
US10888005B2 (en) 2021-01-05
WO2017022926A1 (ko) 2017-02-09
CN113900483A (zh) 2022-01-07
KR20170017157A (ko) 2017-02-15
US20220232712A1 (en) 2022-07-21
CN108139773A (zh) 2018-06-08
US20180376603A1 (en) 2018-12-27
US10420227B2 (en) 2019-09-17
KR102333180B1 (ko) 2021-11-30
EP4220345A1 (en) 2023-08-02
US20210084779A1 (en) 2021-03-18
CN113900484A (zh) 2022-01-07
KR102438202B1 (ko) 2022-08-30
US11330724B2 (en) 2022-05-10
EP3333666B1 (en)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820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TWI714551B (zh) 具有可撓式顯示器的電子裝置
KR102389189B1 (ko) 확장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462856B1 (ko) 디스플레이의 확장 영역에 대한 사용 알림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6008120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element
KR10229243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KR102218703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KR20220076265A (ko) 다 방향 확장 장치 및 방법
US20220214718A1 (en) Multi-directional extension apparatus and method
KR1026679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40374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03942B1 (ko)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