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236A -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 Google Patents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6236A
KR20210146236A KR1020210066678A KR20210066678A KR20210146236A KR 20210146236 A KR20210146236 A KR 20210146236A KR 1020210066678 A KR1020210066678 A KR 1020210066678A KR 20210066678 A KR20210066678 A KR 20210066678A KR 20210146236 A KR20210146236 A KR 20210146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ap
cap body
stat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무라타
히로유키 야구치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210146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65D47/206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 B65D47/206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in which the stem is lowered by the pressure of the contents and thereby opening the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formed by a rigid spout outlet and an overcap, the spout outlet being either pushed into alignment with, or pushed through an opening in the overcap, upon rotation of the l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65D47/24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imparting a motion to the valve 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16K1/38Valve members of conical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과제] 구조를 간소화하고, 세정성을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 캡 유닛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함과 아울러, 용기 본체(2)의 내측과 연통되는 유로(R)가 마련된 캡 본체(10)와, 캡 본체(10)의 상부측에 위치하고, 캡 본체(10)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체(11)와, 캡 본체(10)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캡 본체(10)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중간 마개(12)와, 덮개체(11) 및 중간 마개(12)를 상방측을 향하여 가압하는 제1 가압 부재(21)를 구비하고, 제1 가압 부재(21)의 가압에 저항하여 덮개체(11)를 하방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중간 마개(12)가 하방측으로 이동하면서, 중간 마개(12)가 유로(R)를 개방한 상태가 됨과 아울러, 중간 마개(12)가 유로(R)를 개방한 상태에서, 덮개체(11)에 대해 중간 마개(12)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cap unit and cap-equipped container}
본 발명은,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마개체)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가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을 참조).
구체적으로,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마개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닫는 커버에 조작 레버를 마련하고, 이 조작 레버를 눌러 내리는 것에 의해서, 유액(流液) 경로(유로)를 닫는 밸브체를 코일 스프링의 가압에 저항하여 개방 방향으로 눌러 내리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 제2013-248352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캡 부착 용기에서는, 마개 본체의 내부에 밸브체나 코일 스프링 등을 배치한 구성 때문에, 밸브체를 개폐하기 위한 기구가 복잡하게 될 뿐만 아니라, 유액 통로의 세정성이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캡 부착 용기에서는, 마개 본체를 분해해서 세정하는 구성으로는 되어 있지 않아, 유액 경로의 위생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마개 본체의 세정을 미세하고 또한 세심하게 하는 등의 수고가 필요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며, 구조를 간소화하고, 세정성을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 캡 유닛, 및 그러한 캡 유닛을 구비하는 것에 의하고, 사용 편리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캡 부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함과 아울러,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과 연통되는 유로가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의 상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체와,
상기 캡 본체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중간 마개와,
상기 덮개체 및 상기 중간 마개를 상방측을 향하여 가압하는 제1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마개가 상기 유로를 폐색한 상태로부터,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덮개체를 하방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중간 마개가 하방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중간 마개가 상기 유로를 개방한 상태가 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 마개가 상기 유로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체에 대해 상기 중간 마개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2] 상기 덮개체는, 상기 캡 본체의 상부측을 폐색한 상태에서 상기 캡 본체에 장착된 덮개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가압 부재를 유지하는 제1 유지 부재와,
상기 제1 유지 부재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덮개 부재에 힌지부를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커버 부재를 가지고,
상기 중간 마개는, 중심 구멍이 마련된 마개체와,
상기 중심 구멍을 상방측을 향해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마개체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드 축과,
상기 슬라이드 축에 대해 상기 마개체를 하방측을 향하여 가압하는 제2 가압 부재와,
상기 마개체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2 가압 부재를 유지하는 제2 유지 부재를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 축은, 상기 캡 본체, 상기 덮개 부재 및 상기 제1 유지 부재에 마련된 축 구멍을 각각 관통하면서, 그 선단부가 상기 제1 유지 부재 보다도 상방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유지 부재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마개체가 상기 캡 본체의 하부측을 폐색한 상태로부터,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커버 부재를 하방측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커버 부재에 상기 슬라이드 축의 선단부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축이 하방측으로 슬라이드하면서, 상기 마개체가 상기 캡 본체의 하부측을 개방한 상태가 됨과 아울러,
상기 마개체가 상기 캡 본체의 하부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체측의 상기 제1 유지 부재에 대해서 상기 중간 마개측의 상기 슬라이드 축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의 캡 유닛.
[3] 상기 슬라이드 축은, 상기 마개체와 일체로 일 방향의 축 둘레로 회동하면서, 상기 제1 유지 부재에 대해서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에 기재의 캡 유닛.
[4] 상기 마개체가 상기 캡 본체의 하부측을 폐색한 상태에서,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상기 마개체가 축 둘레로 회동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톱퍼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에 기재의 캡 유닛.
[5] 상기 스톱퍼 기구는, 상기 마개체의 상기 캡 본체와 대향하는 면측에 마련된 걸림부와, 상기 캡 본체의 상기 마개체와 대향하는 면측에 마련된 피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마개체가 상기 캡 본체의 하부측을 폐색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피걸림부에 걸린 상태가 되며,
상기 마개체가 상기 캡 본체의 하부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피걸림부에 걸린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에 기재의 캡 유닛.
[6] 상기 걸림부는, 상기 마개체의 상기 캡 본체와 대향하는 면측으로부터 돌출된 벽부이며,
상기 피걸림부는, 상기 캡 본체의 상기 마개체와 대향하는 면측으로부터 돌출된 둘레벽의 일부를 절결하는 홈부이며,
상기 캡 본체의 하단측의 외주부에는, 지수(止水) 패킹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상기 마개체를 축 둘레로 회동시켰을 때에, 상기 걸림부가 상기 둘레벽의 하단부와 미끄럼 접촉하면서, 상기 마개체가 상기 지수 패킹으로부터 이간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에 기재의 캡 유닛.
[7] 상기 커버 부재는, 후단부로부터 돌출된 조작 레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캡 유닛.
[8] 상기 [1] ~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
[9] 상기 용기 본체 또는 상기 캡 유닛의 후(後)측에는, 후방을 향해 돌출하고 또한 하방을 향해 연장된 손잡이부가 마련되어 있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8]에 기재의 캡 부착 용기.
[10] 상기 용기 본체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8] 또는 [9]에 기재의 캡 부착 용기.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를 간소화하고, 세정성을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 캡 유닛, 및 그러한 캡 유닛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사용 편리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캡 부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캡 부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캡 부착 용기가 구비되는 캡 유닛의 폐색(閉塞)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캡 부착 용기가 구비되는 캡 유닛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캡 본체를 하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캡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캡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7은 캡 유닛이 구비되는 캡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캡 유닛이 구비되는 덮개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캡 유닛이 구비되는 중간 마개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덮개체측의 제1 유지 부재에 중간 마개측의 슬라이드 축이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캡 유닛이 구비되는 스톱퍼 기구의 걸림부와 피걸림부와의 걸림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캡 유닛이 구비되는 스톱퍼 기구의 마개체가 지수 패킹으로부터 이간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1~도 12에 나타내는 캡 부착 용기(1)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1은, 캡 부착 용기(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캡 부착 용기(1)가 구비되는 캡 유닛(3)의 폐색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캡 부착 용기(1)가 구비되는 캡 유닛(3)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캡 본체(10)를 하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캡 유닛(3)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캡 유닛(3)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7은, 캡 유닛(3)이 구비되는 캡 본체(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캡 유닛(3)이 구비되는 덮개체(11)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캡 유닛(3)이 구비되는 중간 마개(12)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덮개체(11)측의 제1 유지 부재(23)에 중간 마개(12)측의 슬라이드 축(30)이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캡 유닛(3)이 구비되는 스톱퍼 기구(36)의 걸림부(36a)와 피걸림부(36b)와의 걸림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캡 유닛(3)이 구비되는 스톱퍼 기구(36)의 마개체(29)가 지수(止水, 물이 새는 것을 막음) 패킹(20)으로부터 이간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와, 용기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3)을 구비하고 있다. 캡 부착 용기(1)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용기 본체(2)에 수용된 음료(내용물)를 보온 또는 보냉하는 것이 가능한 탁상 포트이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에서는, 후술하는 주둥이(15)가 마련된 측을 「전(前)측」이라고 하고, 주둥이(15)와는 반대 측에 위치하는 손잡이부(8a)가 마련된 측을 「후(後)측」으로서 취급하는 것으로 한다.
용기 본체(2)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저면을 가지는 통 모양의 외부 용기(4) 및 내부 용기(5)를 가지고, 외부 용기(4)의 내측에 내부 용기(5)를 수용한 상태로 서로의 입가부를 접합한 이중 구조의 용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외부 용기(4)와 내부 용기(5)와의 사이에는, 진공 단열층(6)이 마련되어 있다. 진공 단열층(6)은, 예를 들면, 고진공에 감압(減壓)(진공 퍼지)된 챔버 내에서, 외부 용기(4)의 저면 중앙부에 마련된 탈기(脫氣) 구멍을 막는 것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용기 본체(2)는, 대략 원형 모양의 저부(2a)와, 저부(2a)의 외주(外周)로부터 대략 통 모양으로 기립한 몸통부(2b)와, 몸통부(2b)의 상부측에서 축경(縮徑, 지름이 축소)된 대략 원통 모양의 구경부(口頸部)(2c)를 가지고 있다. 또, 구경부(2c)의 상단부는,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로서, 원형 모양으로 개구하고 있다. 또, 구경부(2c)의 내주면은, 몸통부(2b)의 내주면 보다도 축경되어 있다. 추가로, 구경부(2c)의 내주면에는, 링 모양의 장출부(張出部)(7)가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용기 본체(2)는, 전체적으로 절구통 또는 몸통부(2b)의 상부측에서 축경된 대략 원통 모양의 외관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용기 본체(2)의 외관 형상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사이즈나 디자인 등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용기 본체(2)의 외주면에는, 도장이나 인쇄 등이 되어 있어도 괜찮다.
용기 본체(2)는, 구경부(2c)에 어깨 부재(8)가 장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어깨 부재(8)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이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ABS), 폴리아세탈(POM) 등의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 지고, 전체적으로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어깨 부재(8)는,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밀폐 패킹(9)을 통해서 장착되어 있다. 밀폐 패킹(9)은,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와 어깨 부재(8)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링 모양의 씰 부재이며,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 진다. 어깨 부재(8)는, 이 밀폐 패킹(9)을 통해서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 및 상부 개구부(2d)를 덮은 상태에서, 용기 본체(2)의 몸통부(2b)의 외주면과 면일(面一)이 되도록,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끼워 장착되어 있다.
또, 어깨 부재(8)는, 상술한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끼워 장착된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구경부(2c)(용기 본체(2))에 대해서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깨 부재(8)의 후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8a)가 마련되어 있다. 손잡이부(8a)는, 어깨 부재(8)의 외주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하고 또한 하방으로 연장해서 마련되어 있다. 또, 손잡이부(8a)에 대해서는, 상술한 용기 본체(2)의 후측에 마련된 구성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캡 유닛(3)의 후측에 손잡이부가 마련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은, 도 1~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본체(10)와, 캡 본체(10)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덮개체(11)와, 캡 본체(10)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중간 마개(12)를 구비하고 있다.
캡 본체(10)는, 도 2~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PP나 ABS, POM 등의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 지고, 상방을 향해 오목하게 한 대략 원형 모양의 저벽부(10a)와, 저벽부(10a)의 외주로부터 대략 통 모양으로 일어서는 둘레벽부(10b)를 가지고 있다.
캡 본체(10)는, 어깨 부재(8)(용기 본체(2))에 대해서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어깨 부재(8)의 내주면에는, 암 나사부(13)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둘레벽부(10b)(캡 본체(10))의 외주면에는, 이 암 나사부(13)와 나사 결합되는 수 나사부(14)가 마련되어 있다. 캡 본체(10)는, 어깨 부재(8)(용기 본체(2))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서,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하고 있다.
또, 캡 본체(10)는, 상술한 어깨 부재(8)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어깨 부재(8)가 생략된 구성의 경우,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대해서 캡 본체(10)가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구성으로 하면 좋다.
캡 본체(10)의 내측에는, 용기 본체(2)의 내측과 연통되는 유로(R)가 마련되어 있다. 캡 본체(10)는, 둘레벽부(10b)의 전측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된 주둥이(15)와, 둘레벽부(10b)의 전측의 내주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된 한 쌍의 구분 벽(16)과, 한 쌍의 구분 벽(16)의 하부측의 사이에 저벽부(10a)를 개구하여 마련된 통액구(17)와, 저벽부(10a)의 후측을 개구하여 마련된 통기구(18)와, 저벽부(10a)의 중앙부에 마련된 슬리브부(19)를 가지고 있다.
주둥이(15)는, 용기 본체(2)내의 음료를 외부로 쏟아내는 부분이며,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 경사지면서, 전방으로 돌출된 홈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구분 벽(16)은, 주둥이(15)와 통액구(17)와의 사이에 유로(R)의 일부를 폭 방향으로 구획하는 부분이며, 주둥이(15)와 통액구(17)와의 사이에 걸쳐서, 서로 평행하게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통액구(17)는, 용기 본체(2)의 내측과 통액되는 부분이며, 저벽부(10a)의 전측을 관통하는 구멍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통기구(18)는, 용기 본체(2)의 내측과 통기되는 부분이며, 저벽부(10a)의 후측을 관통하는 구멍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슬리브부(19)는, 후술하는 슬라이드 축(30)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부분이며, 저벽부(10a)를 관통하는 축 구멍(19a)을 가지고, 상방으로 대략 원통 모양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 주둥이(15)에 대해서는, 캡 본체(10)의 전측의 상단부에 마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어깨 부재(8)의 전측의 상단부에 마련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둥이(15)가 어깨 부재(8)에 마련된 구성의 경우, 캡 유닛(3)이 용기 본체(2)에 장착되었을 때에, 후술하는 한 쌍의 상벽부(10d)가 어깨 부재(8)에 마련된 주둥이(15)의 기단부와 연속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캡 본체(10)의 상부에는, 둘레벽부(10b)의 상단부로부터 확경(擴徑, 지름이 확대) 방향으로 돌출된 상측 플랜지부(10c)와, 상측 플랜지부(10c)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된 한 쌍의 상벽부(10d)가 마련되어 있다.
상측 플랜지부(10c)는, 둘레벽부(10b)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단차부(10e)를 형성하고 있다. 한 쌍의 상벽부(10d)는, 주둥이(15)의 기단부와 연속하면서, 둘레벽부(10b)의 상단부의 주위를 둘러싼 상태로, 상측 플랜지부(10c) 보다도 후측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캡 본체(10)의 하부에는, 지수 패킹(2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지수 패킹(20)은, 용기 본체(2)의 내측과 캡 본체(10)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링 모양의 씰 부재이며,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 진다.
캡 본체(10)의 하부에는, 저벽부(10a)로부터 하방을 향해 대략 원통 모양으로 돌출된 하측 둘레벽(10f)과, 하측 둘레벽(10f)의 외주면으로부터 확경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된 하측 플랜지부(10g)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지수 패킹(20)의 내주면에는, 링 모양의 감합(嵌合) 오목부(20a)가 전체 둘레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지수 패킹(20)은, 이 감합 오목부(20a)에 하측 플랜지부(10g)가 감합된 상태로, 하측 둘레벽(10f)의 외주면에 끼워 장착되는 것에 의해서, 캡 본체(10)의 하단측의 외주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지수 패킹(20)의 외주면에는, 확경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된 탄성 플랜지부(20b)가 마련되어 있다. 지수 패킹(20)은, 용기 본체(2)에 캡 본체(10)가 장착되었을 때에, 탄성 플랜지부(20b)가 탄성 변형하면서, 용기 본체(2)의 장출부(7)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장출부(7)(용기 본체(2)의 내측)와 캡 본체(10)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지수 패킹(20)은, 그 자체를 탄성 변형시키는(잡아당겨 늘리는) 것에 의해서, 캡 본체(1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캡 본체(10)와 지수 패킹(20)을 각각 따로따로 세정할 수 있어, 캡 본체(10)와 지수 패킹(20)과의 사이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지수 패킹(20)에 대해서는, 상술한 형상의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탄성 플랜지부(20b)의 수에 대해서는, 상술한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탄성 플랜지부(20b)의 형상에 대해서도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덮개체(11)는, 도 2~도 6,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측에 마련된 제1 코일 용수철(21)에 의해 상방측으로 가압된 상태로, 캡 본체(10)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덮개체(11)는, 제1 코일 용수철(21)과, 덮개 부재(22)와, 제1 유지 부재(23)와, 커버 부재(24)를 가지고 있다. 제1 코일 용수철(21)은, 제1 가압 부재로서,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의 내부식성이 뛰어난 금속 코일로 이루어 진다. 덮개 부재(22), 제1 유지 부재(23) 및 커버 부재(24)는, 예를 들면 PP나 ABS, POM 등의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 진다.
덮개 부재(22)는, 캡 본체(10)의 한 쌍의 상벽부(10d)의 내측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둘레벽부(10b)의 상부를 폐색하도록, 전체적으로 대략 타원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22)(덮개체(11))의 전측에는, 유로(R)의 일부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25)가 마련되어 있다. 유로 형성부(25)는, 한 쌍의 구분 벽(16)의 상부측의 사이를 덮는 상부 벽(25a)과, 한 쌍의 구분 벽(16)의 후부측의 사이를 덮는 후부 벽(25b)과, 한 쌍의 구분 벽(16)의 외면을 덮는 한 쌍의 측부 벽(25c)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구분 벽(16)과, 상부 벽(25a), 후부 벽(25b) 및 한 쌍의 측부 벽(25c)은, 서로 맞물리면서, 통액구(17)로부터 주둥이(15)를 향하는 유로(R)를 형성하고 있다.
또, 덮개 부재(22)는, 한 쌍의 구분 벽(16)의 외면에 형성된 한 쌍의 맞물림 홈(16a)과, 한 쌍의 측부 벽(25c)의 내면에 형성된 한 쌍의 맞물림 돌기(25d)와의 맞물림에 의해서, 캡 본체(10)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유지 부재(23)는, 대략 원형 모양의 천벽부(天壁部)(23a)와, 천벽부(23a)의 외주로부터 대략 통 모양으로 내려가는 둘레벽부(23b)와, 천벽부(23a)를 관통하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구멍부(23c)를 가지고 있다.
또, 제1 유지 부재(23)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26)와, 슬리브부(27)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돌기(26)는, 둘레벽부(23b)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슬리브부(27)는, 후술하는 슬라이드 축(30)이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분이며, 천벽부(23a)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축 구멍(27a)을 가지고, 하방에 대략 원통 모양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 슬리브부(27)의 내측(축 구멍(27a)의 내주면)에는, 한 쌍의 나사 결합 돌기(27b)가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한편, 덮개 부재(22)에는, 제1 코일 용수철(21)을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22a)와, 수용 오목부(22a)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축 구멍(22b)과, 한 쌍의 가이드 돌기(26)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오목부(22c)와, 한 쌍의 가이드 오목부(22c)의 상단부에서 한 쌍의 가이드 돌기(26)와 맞닿는 한 쌍의 맞닿음부(22d)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유지 부재(23)는, 수용 오목부(22a)와 천벽부(23a)와의 사이에서 제1 코일 용수철(21)을 압축시키면서, 한 쌍의 가이드 돌기(26)를 한 쌍의 가이드 오목부(22c)의 내측에 진입시키는 것에 의해서, 덮개 부재(22)에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유지 부재(23)는, 덮개 부재(22)와의 사이에서 제1 코일 용수철(21)을 압축한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또, 제1 유지 부재(23)는, 제1 코일 용수철(21)에 의해 상방측으로 가압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1 유지 부재(23)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26)가 한 쌍의 맞닿음부(22d)에 맞닿는 것에 의해서, 덮개 부재(22)에 대한 상방측으로의 슬라이드(이동)가 규제되어 있다.
커버 부재(24)는, 캡 본체(10)의 한 쌍의 상벽부(10d)의 내측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덮개 부재(22) 및 제1 유지 부재(23)의 상부를 덮도록, 전체적으로 대략 타원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 부재(24)의 후단부에는, 후방을 향해 돌출된 조작 레버(24a)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 부재(24)는, 덮개 부재(22)와의 사이에 마련된 힌지부(28)를 통해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힌지부(28)는, 덮개 부재(22)측에 마련된 한 쌍의 맞물림 홈(25e)과, 커버 부재(24)측에 마련된 한 쌍의 지축(支軸)(24b)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맞물림 홈(25e)은, 한 쌍의 측부 벽(25c)의 외면에 위치하고, 한 쌍의 측부 벽(25c)의 상단부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 또한 후방을 향해 절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지축(24b)은, 커버 부재(24)의 전측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된 한 쌍의 암부(24c)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힌지부(28)는, 한 쌍의 맞물림 홈(25e)에 한 쌍의 지축(24b)을 맞물리면서, 한 쌍의 맞물림 홈(25e)의 후단부에 한 쌍의 지축(24b)을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서, 덮개 부재(22)에 대해서 커버 부재(24)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 커버 부재(24)는, 이 힌지부(28)를 구성하는 한 쌍의 맞물림 홈(25e)과 한 쌍의 지축(24b)과의 맞물림에 의해서, 덮개 부재(22)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커버 부재(24)는, 후측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된 탄성편(片)(24d)과, 탄성편(24d)의 선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된 걸림 클로(claw)(24e)를 가지고 있다. 한편, 덮개 부재(22)의 후측에는, 걸림 구멍(22e)이 개구하여 마련되어 있다. 커버 부재(24)는, 이 걸림 구멍(22e)에 탄성편(24d)이 삽입된 상태로, 걸림 클로(24e)가 걸림 구멍(22e)에 걸리는 것에 의해서, 덮개 부재(22)에 대한 상방측으로의 회동(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중간 마개(12)는, 도 2~도 6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본체(10)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중간 마개(12)는, 마개체(29)와, 슬라이드 축(30)과, 제2 코일 용수철(31)과, 제2 유지 부재(32)를 가지고 있다. 제2 코일 용수철(31)은, 제2 가압 부재로서,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의 내부식성이 뛰어난 금속 코일로 이루어 진다. 마개체(29), 슬라이드 축(30) 및 제2 유지 부재(32)는, 예를 들면 PP나 ABS, POM 등의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 진다.
마개체(29)는, 캡 본체(10)의 하부측을 폐색하도록, 전체적으로 대략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마개체(29)는, 상방을 향해 오목하게 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마개체(29)의 하면측의 외주부에는, 착탈시에 잡기 위한 한 쌍의 벽부(29a)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마개체(29)의 중앙부에는, 슬리브부(33)가 마련되어 있다. 슬리브부(33)는, 슬라이드 축(30)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부분이며, 마개체(29)를 관통하는 중심 구멍(33a)을 가지고, 상방으로 대략 원통 모양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 슬리브부(33)는, 제2 코일 용수철(31)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축(30)은, 축부(30a)와, 축부(30a)의 하단부에 머리 부분(30b)을 가지고, 축부(30a)가 중심 구멍(33a)을 상방측을 향해 관통한 상태에서, 마개체(29)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 축(30)은, 마개체(29)의 하면에 머리 부분(30b)이 맞닿는 것에 의해서, 마개체(29)에 대한 상측으로의 슬라이드(이동)를 규제하고 있다.
추가로, 슬라이드 축(30)은, 축부(30a)의 기단측의 주위로부터 돌출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리브 벽(30c)을 가지고 있다. 한편, 슬리브부(33)의 내측(중심 구멍(33a)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리브 벽(30c)이 맞물리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가이드 홈(33b)이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중간 마개(12)는, 축부(30a)(슬라이드 축(30))에 대한 마개체(29)의 축 둘레의 회동을 규제하고 있다.
또, 축부(30a)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나사 결합 돌기(27b)가 나사 결합되는 한 쌍의 나사 결합 홈(30d)과, 한 쌍의 나사 결합 돌기(27b)가 걸리는 한 쌍의 걸림 홈(30e)이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나사 결합 홈(30d)은, 축부(30a)의 상단측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나선 모양으로 절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걸림 홈(30e)은, 각 나사 결합 홈(30d)의 하단부에 연속하여 상향으로 절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축부(30a)에는, 축부 패킹(34)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축부 패킹(34)은, 슬리브부(19)의 축 구멍(19a)을 관통하는 축부(30a)(슬라이드 축(30))와 축 구멍(19a)(캡 본체(10))과의 사이를 밀폐하는 링 모양의 씰 부재이며,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 진다.
축부 패킹(34)은, 축부(30a)의 외주면에 마련된 링 모양의 감합 오목부(30f)에 감합되어 있다. 또, 축부 패킹(34)의 외주면에는, 축 구멍(19a)의 주위와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하는 탄성 플랜지부(34a)가 확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머리 부분(30b)에는, 머리 부분 패킹(35)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머리 부분 패킹(35)은, 슬리브부(33)의 중심 구멍(33a)의 주위에 맞닿는 머리 부분(30b)(슬라이드 축(30))과, 중심 구멍(33a)(마개체(29))과의 사이를 밀폐하는 링 모양의 씰 부재이며,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 진다. 머리 부분 패킹(35)은, 머리 부분(30b)의 외주부를 덮어 쓰고 있다.
제2 유지 부재(32)는, 대략 원형 모양의 천벽부(32a)와, 천벽부(32a)의 외주로부터 대략 통 모양으로 내려가는 둘레벽부(32b)와, 천벽부(32a)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슬라이드 구멍(32c)을 가지고 있다.
제2 유지 부재(32)는, 마개체(29)와 천벽부(32a)와의 사이에서 제2 코일 용수철(31)을 압축시키면서, 슬라이드 구멍(32c)에 축부(30a)를 관통시키는 것에 의해서, 슬라이드 축(30)에 장착되어 있다.
또, 제2 유지 부재(32)는, 복수의 리브 벽(30c)의 상단부의 사이에 마련된 맞닿음부(30g)와 맞닿는 것에 의해서, 슬라이드 축(30)에 대한 상측으로의 슬라이드(이동)가 규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유지 부재(32)는, 마개체(29)와의 사이에서 제2 코일 용수철(31)을 압축한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또, 제2 유지 부재(32)는, 제2 코일 용수철(31)에 의해 상방측으로 가압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2 코일 용수철(31)은, 슬라이드 축(30)에 대해서 마개체(29)를 하방측으로 가압하고 있다.
추가로, 슬라이드 구멍(32c)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리브 벽(30c)이 맞물리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가이드 홈(32d)이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중간 마개(12)는, 축부(30a)(슬라이드 축(30))에 대한 제2 유지 부재(32)의 축 둘레의 회동을 규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도 2, 도 3, 도 6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11)측의 제1 유지 부재(23)에 대해서 중간 마개(12)측의 슬라이드 축(30)이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 축(30)의 축부(30a)가 캡 본체(10), 덮개 부재(22) 및 제1 유지 부재(23)에 마련된 축 구멍(19a, 22b, 27a)을 각각 관통하면서, 축부(30a)의 선단부가 제1 유지 부재(23) 보다도 상방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제1 유지 부재(23)(덮개체(11))에 대해서 슬라이드 축(30)(중간 마개(12))이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중간 마개(12)는, 마개체(29)와 일체로 슬라이드 축(30)을 일 방향의 축 둘레(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회전)로 회동하면서, 한 쌍의 나사 결합 홈(30d)에 한 쌍의 나사 결합 돌기(27b)를 나사 결합시킨 후, 한 쌍의 나사 결합 돌기(27b)가 한 쌍의 걸림 홈(30e)에 걸리는 것에 의해서, 제1 유지 부재(23)(덮개체(11))에 대해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캡 본체(10)에 대해서 덮개체(11) 및 중간 마개(12)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마개체(29)가 지수 패킹(20)에 대해서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하는 것에 의해서, 마개체(29)(중간 마개(12))가 캡 본체(10)의 하부측을 폐색하고 있다.
한편, 중간 마개(12)는, 마개체(29)와 일체로 슬라이드 축(30)을 일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축 둘레(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회전)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1 유지 부재(23)(덮개체(11))에 대해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캡 본체(10)에 대해서 덮개체(11) 및 중간 마개(12)를 분리하여 분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은,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개체(29)(중간 마개(12))가 캡 본체(10)의 하부측을 폐색한 상태에서, 캡 본체(10)에 대해서 마개체(29)(중간 마개(12))가 축 둘레로 회동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톱퍼 기구(36)를 구비하고 있다.
스톱퍼 기구(36)는, 마개체(29)의 캡 본체(10)와 대향하는 면(상면)측에 마련된 적어도 1개 또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걸림부(36a)와, 캡 본체(10)의 마개체(29)와 대향하는 면(하면)측에 마련된 적어도 1개 또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피걸림부(36b)를 가지고 있다.
걸림부(36a)는, 마개체(29)의 상면측으로부터 돌출된 벽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걸림부(36a)는, 마개체(29)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마개체(29)의 경사지는 상면에 대해서 상단이 지름 방향으로 같은 높이가 되도록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 걸림부(36a)는, 마개체(29)의 중심 구멍(33a)을 사이에 두고 대칭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피걸림부(36b)는, 캡 본체(10)의 하면측으로부터 돌출된 하측 둘레벽(10f)의 일부를 절결하는 홈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피걸림부(36b)는, 일 방향에서의 일단(좌측단)이 수직면에 의해 구성되고, 타단(우측단)이 경사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피걸림부(36b)는, 캡 본체(10)의 축 구멍(19a)을 사이에 두고 대칭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스톱퍼 기구(36)에서는, 마개체(29)(중간 마개(12))가 캡 본체(10)의 하부측을 폐색한 상태에서, 걸림부(벽부)(36a)가 피걸림부(홈부)(36b)에 걸리는 것에 의해서, 캡 본체(10)에 대해서 마개체(29)(중간 마개(12))가 축 둘레로 회동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2)에 대해서 캡 유닛(3)을 축 둘레로 회동하면서 탈착할 때에, 마개체(29)(중간 마개(12))가 축 둘레로 회동되고, 제1 유지 부재(23)(덮개체(11))에 대한 슬라이드 축(30)(중간 마개(12))의 나사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스톱퍼 기구(36)에서는, 마개체(29)(중간 마개(12))가 캡 본체(10)의 하부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걸림부(벽부)(36a)가 피걸림부(홈부)(36b)에 걸린 상태가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캡 본체(10)에 대해서 마개체(29)(중간 마개(12))를 축 둘레로 용이하게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스톱퍼 기구(36)에서는, 캡 본체(10)에 대해서 마개체(29)(중간 마개(12))를 축 둘레로 회동시켰을 경우에, 걸림부(벽부)(36a)가 하측 둘레벽(10f)의 하단부와 미끄럼 접촉하면서, 마개체(29)가 지수 패킹(20)으로부터 이간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마개체(29)(중간 마개(12))가 지수 패킹(20)에 접촉하는 일 없이, 캡 본체(10)에 대해서 마개체(29)(중간 마개(12))를 축 둘레로 용이하게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스톱퍼 기구(36)에서는, 상술한 걸림부(36a)가 피걸림부(36b)에 걸리는 구성이면, 걸림부(36a)가 벽부에 의해 구성되고, 피걸림부(36b)가 홈부에 의해 구성되었을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이들 걸림부(36a) 및 피걸림부(36b)의 구성을 적절히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마개체(29)(중간 마개(12))가 캡 본체(10)의 하부측을 폐색하는 것에 의해서, 유로(R)가 폐색된 상태가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손잡이부(8a)를 한 손으로 파지한 채로, 엄지 등에 의해 조작 레버(24a)를 하방을 향해서 압압 조작한다.
이 경우, 커버 부재(24)에 슬라이드 축(30)의 선단부가 맞닿은 상태로부터, 제1 코일 용수철(21)의 가압에 저항하여 커버 부재(24)(덮개체(11))가 하방측을 향해 회동(이동)함으로써, 슬라이드 축(30)(중간 마개(12))이 하방측으로 슬라이드(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마개체(29)(중간 마개(12))가 캡 본체(10)의 하부측을 개방하여, 유로(R)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또, 마개체(29)(중간 마개(12))가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을 받고 있는 경우에, 슬라이드 축(30)(중간 마개(12))이 하방측으로 슬라이드(이동)함으로써, 제2 코일 용수철(31)의 가압에 저항하여 머리 부분(30b)이 중심 구멍(33a)의 하부측을 개방하여, 통기구(18)를 통해서 용기 본체(2)의 내측과 통기된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이 상태로부터, 용기 본체(2)를 전방으로 기울이는 것에 의해서, 개방된 유로(R)를 통해 용기 본체(2)에 수용된 음료를 주둥이(15)로부터 쏟아 내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상술한 조작 레버(24a)의 압압 조작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서, 제1 코일 용수철(21)에 의해 가압된 커버 부재(24)(덮개체(11))가 상방측을 향해 회동(이동)한다. 또, 제1 코일 용수철(21)에 의해 가압된 슬라이드 축(30)(중간 마개(12))이 상방측으로 슬라이드(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마개체(29)(중간 마개(12))가 캡 본체(10)의 하부측을 폐색하여, 유로(R)가 폐색된 상태가 된다.
또, 슬라이드 축(30)(중간 마개(12))이 상방측으로 슬라이드(이동)함으로써, 제2 코일 용수철(31)에 의해 가압된 머리 부분(30b)이 중심 구멍(33a)의 하부측을 폐색한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상술한 덮개 부재(22)(덮개체(11))에 유로(R)의 일부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25)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로(R) 내의 음료가 덮개체(11)의 내측(구체적으로는 덮개 부재(22)와 커버 부재(24)와의 사이)에 유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또한 더욱, 유로(R)의 위생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상술한 중간 마개(12)가 유로(R)를 개방한 상태에서, 덮개체(11)에 대해서 중간 마개(12)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개체(29)(중간 마개(12))가 캡 본체(10)의 하부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덮개체(11)측의 제1 유지 부재(23)에 대해서 중간 마개(12)측의 슬라이드 축(30)이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마개체(29)(중간 마개(12))가 캡 본체(10)의 하부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캡 본체(10)로부터 덮개체(11) 및 중간 마개(12)를 분리하여, 이 캡 유닛(3)을 용이하게 분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캡 유닛(3)에서는, 캡 본체(10), 덮개체(11) 및 중간 마개(12)를 분해한 상태에서, 유로(R)를 쉽게 세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들을 분해한 상태에서 따로따로 세정할 수 있기 때문에, 캡 본체(10), 덮개체(11) 및 중간 마개(12)의 사이를 위생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은, 구조를 간소화하고, 세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에서는, 이러한 캡 유닛(3)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사용 편리성의 한층 더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탁상 포트에 적용한 캡 부착 용기(1)를 예시하고 있지만,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에 대해서, 본 발명을 폭 넓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보온·보냉 기능을 갖게 한 캡 부착 용기(1)를 예시하고 있지만, 진공 단열 구조를 갖지 않는 용기 본체를 구비한 캡 부착 용기에 대해서,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캡 부착 용기  2 - 용기 본체 
3 - 캡 유닛  8 - 어깨 부재
8a - 손잡이부  10 - 캡 본체 
11 - 덮개체  12 - 중간 마개 
15 - 주둥이  16 - 구분 벽 
17 - 통액구  21 - 제1 코일 용수철(제1 가압 부재) 
22 - 덮개 부재  23 - 제1 유지 부재
24 - 커버 부재 24a - 조작 레버 
25 - 유로 형성부 25a - 상부 벽 
25b - 후부 벽  28 - 힌지부 
29 - 마개체  30 - 슬라이드 축 
31 - 제2 코일 용수철(제2 가압 부재) 32 - 제2 유지 부재 
36 - 스톱퍼 기구 36a - 걸림부 
36b - 피걸림부  R - 유로

Claims (10)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함과 아울러,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과 연통되는 유로가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의 상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체와,
    상기 캡 본체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중간 마개와,
    상기 덮개체 및 상기 중간 마개를 상방측을 향하여 가압하는 제1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마개가 상기 유로를 폐색한 상태로부터,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덮개체를 하방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중간 마개가 하방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중간 마개가 상기 유로를 개방한 상태가 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 마개가 상기 유로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체에 대해 상기 중간 마개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상기 캡 본체의 상부측을 폐색한 상태에서 상기 캡 본체에 장착된 덮개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가압 부재를 유지하는 제1 유지 부재와,
    상기 제1 유지 부재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덮개 부재에 힌지부를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커버 부재를 가지고,
    상기 중간 마개는, 중심 구멍이 마련된 마개체와,
    상기 중심 구멍을 상방측을 향해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마개체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드 축과,
    상기 슬라이드 축에 대해 상기 마개체를 하방측을 향하여 가압하는 제2 가압 부재와,
    상기 마개체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2 가압 부재를 유지하는 제2 유지 부재를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 축은, 상기 캡 본체, 상기 덮개 부재 및 상기 제1 유지 부재에 마련된 축 구멍을 각각 관통하면서, 그 선단부가 상기 제1 유지 부재 보다도 상방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유지 부재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마개체가 상기 캡 본체의 하부측을 폐색한 상태로부터,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커버 부재를 하방측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커버 부재에 상기 슬라이드 축의 선단부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축이 하방측으로 슬라이드하면서, 상기 마개체가 상기 캡 본체의 하부측을 개방한 상태가 됨과 아울러,
    상기 마개체가 상기 캡 본체의 하부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체측의 상기 제1 유지 부재에 대해서 상기 중간 마개측의 상기 슬라이드 축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축은, 상기 마개체와 일체로 일 방향의 축 둘레로 회동하면서, 상기 제1 유지 부재에 대해서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개체가 상기 캡 본체의 하부측을 폐색한 상태에서,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상기 마개체가 축 둘레로 회동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톱퍼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기구는, 상기 마개체의 상기 캡 본체와 대향하는 면측에 마련된 걸림부와, 상기 캡 본체의 상기 마개체와 대향하는 면측에 마련된 피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마개체가 상기 캡 본체의 하부측을 폐색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피걸림부에 걸린 상태가 되며,
    상기 마개체가 상기 캡 본체의 하부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피걸림부에 걸린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마개체의 상기 캡 본체와 대향하는 면측으로부터 돌출된 벽부이며,
    상기 피걸림부는, 상기 캡 본체의 상기 마개체와 대향하는 면측으로부터 돌출된 둘레벽의 일부를 절결하는 홈부이며,
    상기 캡 본체의 하단측의 외주부에는, 지수(止水) 패킹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상기 마개체를 축 둘레로 회동시켰을 때에, 상기 걸림부가 상기 둘레벽의 하단부와 미끄럼 접촉하면서, 상기 마개체가 상기 지수 패킹으로부터 이간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후단부로부터 돌출된 조작 레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또는 상기 캡 유닛의 후(後)측에는, 후방을 향해 돌출하고 또한 하방을 향해 연장된 손잡이부가 마련되어 있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부착 용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부착 용기.
KR1020210066678A 2020-05-26 2021-05-25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KR202101462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91702A JP2021186014A (ja) 2020-05-26 2020-05-26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JP-P-2020-091702 2020-05-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236A true KR20210146236A (ko) 2021-12-03

Family

ID=78672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678A KR20210146236A (ko) 2020-05-26 2021-05-25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1186014A (ko)
KR (1) KR20210146236A (ko)
CN (1) CN113712448A (ko)
TW (1) TWI755326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8352A (ja) 2012-06-04 2013-12-12 Thermos Kk 飲料容器の栓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3227B2 (ja) * 2004-03-29 2007-05-09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容器の栓体
JP5573890B2 (ja) * 2012-06-04 2014-08-20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容器の栓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8352A (ja) 2012-06-04 2013-12-12 Thermos Kk 飲料容器の栓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55326B (zh) 2022-02-11
CN113712448A (zh) 2021-11-30
TW202143901A (zh) 2021-12-01
JP2021186014A (ja) 202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59722B1 (en) Leak proof drinking lid with pressure relief
US10227166B2 (en) Beverage container closure
US11383898B2 (en) Beverage container closure
JP2017190156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2020037452A (ja) 弁アセンブリ用のアクチュエータを有する蓋
JP2017154780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KR20210146235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KR20210146236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KR20210146237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JP7090489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20220170746A (ko) 음료용 용기
JP2020121731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6951093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US20240059461A1 (en) Lid Assembly an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JP2024030700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2023041197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2018158735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S636995Y2 (ko)
JP2018153303A (ja) 卓上ポット
JP2018158736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