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5909A -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45909A KR20210145909A KR1020200062720A KR20200062720A KR20210145909A KR 20210145909 A KR20210145909 A KR 20210145909A KR 1020200062720 A KR1020200062720 A KR 1020200062720A KR 20200062720 A KR20200062720 A KR 20200062720A KR 20210145909 A KR20210145909 A KR 202101459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led
- driver
- warning system
- pilla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3464 asthenop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305 tax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 B60K37/06—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2—Light emitting diodes
-
- B60K2370/178—
-
- B60K2370/188—
-
- B60K2370/332—
-
- B60K2370/788—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미리 장착한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통해 자동차 후부에서 진행하는 자동차나 마이크로 모빌리티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면 이 신호를 이용하여 A 필러와 B 필러의 실내 측에 길게 설치하여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경보수단을 갖춤으로써, 운전자와 하차자가 위험 상황을 쉽게 인지하여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경보수단에는 LED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LED의 밝기와 색상을 통해 점등과 점멸 작용이 이루어지게 구성하여 쉽고 신속하게 위험 요소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LED의 색상이나 밝기를 운전자가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운전자가 자신에게 알맞은 색상과 밝기를 선택하여 눈이 피로하지 않게 하면서도 쉽게 위험 요소를 식별하여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차한 자동차의 측·후방에서 사물이나 움직임이 있을 때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차 상태에서 자동차에 접근하는 물체가 있을 때 이를 필러에 그 길이 방향으로 장착한 경보수단을 통해 운전자와 탑승자가 인지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후방에서 진행하는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으로부터 하차자의 충돌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경보수단은 LED를 이용하고 밝기와 색상을 다르게 조절하면서 경고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운전자와 하차자는 이러한 자동차나 오토바이를 더욱더 쉽게 확인하여 안전하게 하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자동차에서 내리는 탑승객이 뒤에서 진행하는 자동차나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나 전동식 키보드와 같은 마이크로 모빌리티(Micro Mobility)와 충돌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탑승자 보호 장치를 마련해서 장착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01911호
LED 안전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안전 주의를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보내주고, 2차적으로 출입문 측으로 접근하는 오토바이나 자전거가 출입문 측으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여 미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LED 안전표시장치를 갖는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LED 안전표시장치를 갖는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 보호장치는, 차량의 출입문 입구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닫힘과 열림을 각기 검출하는 스위치 수단과; 차량의 후면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스위치 수단의 온 동작시 LED 소자를 발광시켜 "어린이가 내리고 있습니다."라는 안내문구를 디스플레이하는 LED 안전표시장치와; 상기 LED 안전표시장치의 하부 측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 축과 나사 결합하여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LED 안전표시장치로부터 출몰 동작하여, 차량 정지시 인도 측으로 돌출 동작하여 후방의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 운전자가 출입문 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미리 차단하도록 우레탄 재질로 제작된 진입 차단봉; 및 상기 구동모터 및 LED 안전표시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57170호
차량으로 접근하는 객체를 감지하여 경보함으로써 하차 승객을 보호할 수 있는 접근객체감지를 통한 하차승객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 도어의 외부 손잡이에 각각 구비되되 차량의 정차시 구동되며, 기설정 영역으로 제1연속 신호 및 제2연속 신호를 순차적으로 방사하여 반사되는 제1반사신호(제1연속 신호에 의한 반사신호) 및 제2반사신호(제2연속 신호에 의한 반사신호)를 수신하는 레이더 센서부 및 상기 레이더 센서부에서 송수신한 신호들을 이용하여 차량으로 접근하는 이동체의 이동속도를 판단하고, 상기 이동체가 기설정 속도 이상으로 접근하면 경보 알림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접근 객체감지를 통한 하차승객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70712호
차량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 상기 차량 도어가 열렸을 때, 승객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승객 감지 센서, 및 상기 차량의 속도가 0이고, 상기 차량의 기어가 중립 또는 정차이며, 상기 도어 센서로부터 상기 차량 도어가 열림을 감지하면, 상기 차량의 출발을 제어하는 BCM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운전자나 탑승자가 내릴 때 정차한 자동차 뒤에서 다가오는 자동차나 마이크로 모빌리티 등을 쉽게 알 수 없어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2) 특히, 뒤에서 주행중인 자전거나 마이크로 모빌리티 이용자가 주차 중인 자동차에 가까이 근접했을 때 탑승자 보호 장치를 작동하게 되면 자전거나 마이크로 모빌리티 이용자가 정차한 자동차나 내리는 하차자와 부딪힐 우려가 있다.
(3) 또한, 택시와 같이 승·하차가 빈번하게 이루어짐에도 탑승자 보호 장치를 갖추지 않은 자동차에서는 뒤에서 주행하는 자동차나 오토바이를 확인하기가 어려워 이러한 추돌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더 크다.
(4) 이에, 택시 운전자는 정차해서 탑승자가 하차할 때는 보조 거울이나 후사경을 이용하게 되는데, 후사경과 보조 거울로 정차한 자동차의 후부와 측부를 확인하는 데는 사각지대가 생길 수 있다.
(5) 이러한 사각지대에 있는 자동차나 오토바이 그리고 마이크로 모빌리티로 인해 정차한 자동차에서 탑승자가 내릴 때 추돌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6) 특히, 어린이와 같이 자동차가 정차하면 바로 내릴 때는 이러한 사고가 더욱더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자동차에 미리 장착한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통해 자동차 후부에서 진행하는 자동차나 마이크로 모빌리티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면 이 신호를 이용하여 A 필러와 B 필러의 실내 측에 길게 설치하여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경보수단을 갖춤으로써, 운전자와 내리려고 하는 탑승자가 위험 상황을 쉽게 인지하여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한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경보수단에는 LED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LED의 밝기와 색상을 통해 점등과 점멸 작용이 이루어지게 구성하여 쉽고 신속하게 위험 요소를 확인할 수 있게 한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은 LED의 색상이나 밝기를 운전자가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운전자가 자신에게 알맞은 색상과 밝기를 선택하여 눈이 피로하지 않게 하면서도 쉽게 위험 요소를 식별하여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한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장치는, 자동차의 후방과 측방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0); 상기 감지수단(10)의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기(20); 및 상기 감지수단(10)의 감지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기(20)의 제어로 작동하는 경보수단(30);을 포함하되;, 상기 경보수단(30)은, 자동차의 A 필러(A)와 B 필러(B)의 실내 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하여 운전자와 탑승자가 볼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제어기(20)는, 자동차가 정차 상태에서 상기 감지수단(10)을 통해 감지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경보수단(30)을 작동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경보수단(30)은,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기(20)는, 감지한 거리에 따라, 상기 LED의 밝기를 다르게 점등과 점멸을 반복하게 하거나, 상기 LED의 색상을 다르게 점등과 점멸을 반복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기(20)는, 상기 LED의 밝기와 색상을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자동차에 이미 장착한 측·후방 경보 시스템에서 자동차 주변에 다른 자동차나 마이크로 모빌리티가 움직이는 것을 검출한 신호를 바탕으로, 자동차 실내에서 이러한 움직임을 운전자와 더불어 탑승자가 쉽게 알 수 있어 안전하게 하차할 수 있다.
(2) 이때, 이러한 움직임을 알려주는 경보수단은 자동차의 실내에서 루프패널을 지지하는 A 필러와 B 필러에 길게 장착함으로, 운전자가 앞을 보거나 뒤를 볼 때 그리고 탑승자가 좌석에 앉아 있거나 내리려고 할 때도 쉽게 경보수단의 경보 여부를 알 수 있게 하여 측·후방에서의 움직임에 대한 경보 효과를 더욱더 높일 수 있다.
(3) 한편, 이러한 경보수단에는 LED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LED의 밝기와 색상을 통해 운전자가 쉽고 신속하게 경보 상황을 인식하여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다.
(4) 그뿐만 아니라 상기 LED는 정차한 자동차에 가까워지는 다른 자동차나 마이크로 모빌리티와의 거리에 따라 색상을 다르게 변화시키면서 경보하거나 밝기를 다르게 변화하면서 경보함으로, 운전자는 이러한 색상 변화나 밝기 변화를 통해서도 경보 상태를 쉽고 정확하게 인식하여 대처할 수 있다.
(5) 마지막으로, 운전자가 이러한 LED의 밝기와 색상을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운전자는 운전자 자신이나 다른 탑승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색상과 밝기를 택해서 사용할 수 있어 다른 자동차나 마이크로 모빌리티 등의 식별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측·후방 경보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측·후방 경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장치를 장착한 자동차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장치의 경보수단을 장착한 위치를 보여주려고 자동차 실내에서 앞쪽을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 측·후방 경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장치를 장착한 자동차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장치의 경보수단을 장착한 위치를 보여주려고 자동차 실내에서 앞쪽을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장치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감지수단(10), 제어기(20), 그리고 경보수단(3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경보수단(30)은 A 필러(A)와 B 필러(B)에 장착함으로써, 이미 자동차에 장착한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통해 정차한 자동차 뒤에서 다가오는 다른 자동차나 오토바이 그리고 마이크로 모빌리티(Mirco Mobility) 등의 진행 여부를 쉽게 확인하여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경보수단(30)을 A 필러(A)와 B 필러(B)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함으로써, 운전자와 다른 탑승자가 쉽게 작동 여부를 확인하여 식별 효과를 더욱더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경보수단(30)에는 LED를 포함하고, 이 LED가 서로 다른 색상이나 밝기로 점등과 점멸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는 색상과 밝기를 통해 이러한 진행 여부를 쉽게 인식하여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20)는 운전자가 LED의 밝기와 색상을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운전자는 자신과 다른 탑승자에게 맞는 색상과 밝기를 선택하여 안전하게 사용하면서도 식별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A"와 "B"는 자동차에서 루프패널을 지지하는 필러로, A는 루프패널 앞쪽의 양쪽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A 필러이고, B는 루프패널의 길이 중간 부분을 지지하는 B 필러(B)이다.
가. 감지수단
감지수단(10)은, [도 3] 및 [도 5]와 같이, 자동차에 장착하여 자동차가 후진할 때 자동차의 측방과 후방에서 장애물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이용한다.
특히, 상기 감지수단(10)은 자동차가 정차했을 때 그 측방과 후방에서 진행하는 자동차나 자전거 그리고 오토바이와 전동 킥보드와 같은 마이크로 모빌리티(Micro Mobility)와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상기 감지수단(10)은 초음파센서, 움직임 감지센서, 포토 센서, 레이저 센서, 가이드 레이저(Guide Laser), 그리고 적외선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10)은 자동차의 측방과 후방에서 진행하는 이러한 검출 대상을 감지할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장착할 수 있고, 또한 그 장착 개수에서도 이처럼 측방과 후방의 장애물을 검출할 수 있는 범위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상기 감지수단(10)은 자동차의 범퍼와 B 필러 또는 자동차 문에 장착한 예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수단(10)은, [도 3] 및 [도 5]에서 별도로 구성하여 이러한 검출 대상을 검출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감지수단은 자동차에 이미 장착하여 자동차의 후방과 측방에서 움직임이나 장애물 등을 검출하는데 사용하는 측·후방 경보 시스템의 구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감지수단(10)은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구성하는 센서를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고, 이미 장착한 측·후방 경보 시스템에서 발생한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일수도 있다. 여기서, 기존의 측·후방 경보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자동차의 후부나 측면에 자동차의 후방과 측방에서 진행하거나 움직임을 검출하는 감지센서(1)를 장착하고, 여기서 검출한 검출 신호를 받은 제어기(2)의 제어를 통해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경보수단(3)을 갖춘 시스템을 말한다. 도면에서, 경보수단(3)은 후사경에 장착한 것을 예로 보여준다. 이에, 예시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감지수단(10)으로는 기존 측·후방 경보 시스템의 감지센서(1)를 이용할 수도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별도로 구성한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기존 측·후방 경보 시스템에서 검출한 신호만을 입력받아서 사용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나. 제어기
제어기(20)는, [도 5]와 같이, 상술한 감지수단(10)을 통해 감지한 입력신호를 받아 후술할 경보수단(30)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기(20)는 감지수단(10)을 통해 지속적으로 검출 신호를 받고 이를 바탕으로 계속해서 경보수단(30)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자동차를 정차했을 때는 주변에 있는 자동차나 자전거 오토바이 그리고 마이크로 모빌리티 등이 움직이게 되므로, 이 같은 경우에 감지수단(10)이 계속해서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검출함으로써, 이 검출 거리를 통해 제어기(20)가 경보수단(30)을 제어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어기(20)는 본 발명에 따라 별도로 마이컴 등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에 이미 장착한 CPU와 같은 제어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자동차가 후진할 때처럼 감지수단(10)이 후방이나 측방을 감지할 시기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기존 자동차에 장착한 구성을 통해 쉽게 얻고 대처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어기(20)는, [도 5]와 같이, 후술할 경보수단(30)을 제어하게 되고, 특히 경보수단(30)으로 LED를 이용할 때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어한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경보수단(30)에서 함께 설명한다.
다. 경보수단
경보수단(30)은, [도 5]와 같이, 상술한 감지수단(10)의 신호를 바탕으로 제어기(20)의 제어를 통해 작동한다. 특히, 상기 경보수단(30)은 자동차 주변에 장애물이 있을 때는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수단, 예시적으로 램프와 같이 점멸하게 하여 시각적으로 알 수 있게 하거나, 경음기와 같이 소리를 내서 청각적으로 알 수 있게 하거나, 압착 센서를 이용한 접촉을 통해 촉각적으로 알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경보수단(30)은,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LED를 이용하여 고지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LED의 밝기와 색상 등을 이용하여 자동차가 장애물과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이 밝기와 색상 등이 변하게 하여 운전자가 쉽게 장애물과의 거리를 식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경보수단(30)은,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이러한 LED를 자동차의 루프패널을 지지하는 A 필러(A)와 B 필러(B)에 각각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운전자와 탑승자가 A 필러(A)와 B 필러(B) 중 어떤 것을 통해서라도 쉽게 진행 여부를 알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경보수단(30)은 LED 등을 이 A 필러(A)와 B 필러(B) 길이로 제작함에 따라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식별력을 높여줄 수 있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경보수단(30)은, [도 5]와 같이, 상술한 감지수단(10)에서 검출한 거리에 따른 제어기(20)의 신호를 받아 LED의 밝기를 다르게 점등과 점멸을 반복하게 하거나, LED의 색상을 다르게 점등과 점멸을 반복하게 제어함으로써, 운전자가 길게 점멸하는 LED를 통해 시각적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경보수단(30)은, [도 5]와 같이, 상술한 제어기(20)를 통해 점멸과 점등하는 LED의 밝기와 색상을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LED에 인가하는 전력의 세기를 제어하는 방법이나 가변 저항을 통해 제어하는 등 통상의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상기 경보수단(30)은 운전자가 본 발명에 따른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장치를 이용하면서 운전자가 자신이나 다른 탑승자가 편안하게 볼 수 있는 색상과 밝기를 선택하거나 조절하여 편안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측·후방에 장애물이 있을 때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경보수단을 자동차 실내, 바람직하게는 A 필러와 B 필러에 장착함으로써, 운전자는 쉽고 편리하게 장애물과의 거리를 운전자와 탑승자가 인지하고 탑승자가 안전하게 하차할 수 있게 대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보수단으로는 LED를 이용함으로써, 장애물과의 거리에 따라 LED의 밝기와 색상이 달라지게 제어하여 운전자와 탑승자가 후방에서 진행하는 장애물과의 거리가 얼마나 떨어졌는지 쉽게 식별하여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이러한 LED의 밝기와 색상을 조절하여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운전자 자신에게 맞는 색상과 밝기로 장애물과의 남은 거리를 식별할 수 있게 하여 친근감을 주면서도 안전 운행을 할 수 있게 된다.
10: 감지수단
20: 제어기
30: 경보수단
A: A 필러
B: B 필러
20: 제어기
30: 경보수단
A: A 필러
B: B 필러
Claims (4)
- 자동차의 후방과 측방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0); 상기 감지수단(10)의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기(20); 및 상기 감지수단(10)의 감지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기(20)의 제어로 작동하는 경보수단(30);을 포함하되,
상기 경보수단(30)은, 자동차의 A 필러(A)와 B 필러(B)의 실내 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하여 운전자와 탑승자가 볼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제어기(20)는, 자동차가 정차 상태에서 상기 감지수단(10)을 통해 감지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경보수단(30)을 작동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장치.
- 제1항에서,
상기 경보수단(30)은,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장치.
- 제2항에서,
상기 제어기(20)는,
감지한 거리에 따라,
상기 LED의 밝기를 다르게 점등과 점멸을 반복하게 하거나,
상기 LED의 색상을 다르게 점등과 점멸을 반복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장치.
- 제3항에서,
상기 제어기(20)는,
상기 LED의 밝기와 색상을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2720A KR20210145909A (ko) | 2020-05-26 | 2020-05-26 |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2720A KR20210145909A (ko) | 2020-05-26 | 2020-05-26 |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5909A true KR20210145909A (ko) | 2021-12-03 |
Family
ID=78866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2720A KR20210145909A (ko) | 2020-05-26 | 2020-05-26 |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45909A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01911A (ko) | 2013-02-13 | 2014-08-21 | 김종천 | Led 안전표시장치를 갖는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 보호장치 |
KR20190057170A (ko) | 2017-11-15 | 2019-05-28 | (주)디 넷 | 접근 객체 감지를 통한 하차승객 보호장치 |
KR20190070712A (ko) | 2017-12-13 | 2019-06-2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승객 하차 보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차량 |
-
2020
- 2020-05-26 KR KR1020200062720A patent/KR2021014590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01911A (ko) | 2013-02-13 | 2014-08-21 | 김종천 | Led 안전표시장치를 갖는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 보호장치 |
KR20190057170A (ko) | 2017-11-15 | 2019-05-28 | (주)디 넷 | 접근 객체 감지를 통한 하차승객 보호장치 |
KR20190070712A (ko) | 2017-12-13 | 2019-06-2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승객 하차 보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차량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70002B2 (en) | In-vehicle lighting apparatus having a lighting device including a light source in each of the direct and indirect lighting parts thereof | |
EP2431225B1 (en) | Method for an automotive hazardous detection and information system | |
US20060250224A1 (en) | Means of transport with a three-dimensional distance camera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thereof | |
US9165460B2 (en) | Pedestrian warning light system for vehicles with illumination in different directions | |
KR102420218B1 (ko) | 하차 승객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 |
JP4901326B2 (ja) | 車両のアウトサイドミラーを利用した後方警報システム | |
JP4985967B2 (ja) | 車輌ドアシステム | |
KR100868378B1 (ko) | 좌,우측 차로의 측면 및 후방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감지방법 | |
KR20210145909A (ko) | 측·후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장치 | |
JP2014184930A (ja) | 障害物報知システム | |
KR100534306B1 (ko) |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삼방향 장애물 감지장치 | |
CN112078483A (zh) | 车辆安全警示系统 | |
GB2441560A (en) | A safety system for a vehicle | |
JP3476336B2 (ja) | 車両における障害物検知装置 | |
TWI714121B (zh) | 車輛安全警示系統 | |
KR101017010B1 (ko) | 차량의 충돌 경보 장치 및 방법 | |
KR20190000493U (ko) | 자동차의 안전거리 유지 경고장치 | |
US20240181962A1 (en) | Message transmission system for mobility vehicle | |
KR20100104580A (ko) | 차량 측면 충돌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 |
KR100874145B1 (ko) | 차량 주행상태 사전 경고 시스템 | |
KR20210145906A (ko) | 식별이 쉬운 측·후방 경보 시스템 | |
KR20240071806A (ko) |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 |
KR20230119916A (ko) | 개문사고 방지를 위한 버튼식 잠금장치가 탑재된 차량 손잡이 | |
KR20200065296A (ko) | 도어 연동 하차 알림장치 | |
KR20050032203A (ko) | 차량용 충돌 방지 경고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