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4003A -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4003A
KR20210144003A KR1020200060685A KR20200060685A KR20210144003A KR 20210144003 A KR20210144003 A KR 20210144003A KR 1020200060685 A KR1020200060685 A KR 1020200060685A KR 20200060685 A KR20200060685 A KR 20200060685A KR 20210144003 A KR20210144003 A KR 20210144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ear canal
point
power line
mid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6916B1 (ko
Inventor
강성호
김진
이원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60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916B1/ko
Publication of KR20210144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B64C2201/12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드론으로부터 무선 방식으로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전국에 설치된 시설의 디지털 좌표를 저장하는 시설좌표 저장부; 상기 시설좌표 저장부에 저장된 전국의 시설에 대한 디지털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상기 드론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고, 상기 드론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이도를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드론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지정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신호 송신부; 및 상기 정보 수신부를 통해 상기 드론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상기 드론을 제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복수의 메뉴를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이도를 표시하며, 사용자는 상기 표시된 정보와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드론을 미세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정보표시 및 선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DIP OF POWER LINE USING DRONE}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지지점 간에 지지되고 있는 전력선의 이도를, 드론을 이용하여 측정한 고도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에 설치되는 전선의 양 끝을 연결하는 직선의 1/2 지점과 전선의 1/2 지점 간의 직선거리를 이도라고 한다. 이러한 이도는 전선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사용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전선의 이도를 측정할 시, 전선에 마커 또는 센서를 설치하고, 마커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이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다만 이러한 방식의 경우, 전선마다 마커 또는 센서가 요구되어 설치비용이 높고, 이에 따라 관심 선로 이외에는 실제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종래기술의 다른 방법으로서, 이도를 계산하기 위해 측량기를 사용하는 방식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측량기를 이용한 이도 계산 방법은 측량기의 렌즈를 통하여 측정점만을 부분적으로 시준하여 측정점 간, 수평기준선 간 사이각을 측정하고, 측정점과 측량기간 수평거리 실측값을 이용하여 미지의 이도 측정점의 위치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다만, 이러한 측량기를 이용한 이도 측정 방법은 측량이론 및 경험이 많은 전문가가 존재해야만 정확한 계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측량기를 통한 방식은 현장에서 손쉽게 적용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 이외에도 양측 철탑에서 전선 지지점과 전력선간의 거리를 직접 실측하는 경우에는 탑상작업으로 인한 위험성이 증가하고, 목측에 의한 오차가 발생하며, 동원인력이 적어도 4인 이상이어야 되며, 시간 및 비용이 과다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력선의 양 지지점과 이도점의 시야가 확보된 지점에서 측량기로 세점을 측량하여 이도를 계산하는 경우에는 나무, 건물 등 방해 요소가 많아 측량점 세 지점의 시야 확보에 어려움이 있고, 측량거리가 비교적 짧아 산지철탑, 및 해월구간의 이도측정 불가개소가 다수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송전선로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공중에 설치되어 있는 전선의 처짐 정도인 이도를 저인력, 저비용으로 손쉽게 측정하고 장력을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2634호(2019.12.30. 등록, 이도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두 지지점 간에 지지되고 있는 전력선의 이도를, 드론을 이용하여 측정한 고도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는, 드론으로부터 무선 방식으로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전국에 설치된 시설의 디지털 좌표를 저장하는 시설좌표 저장부; 상기 시설좌표 저장부에 저장된 전국의 시설에 대한 디지털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상기 드론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고, 상기 드론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이도를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드론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지정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신호 송신부; 및 상기 정보 수신부를 통해 상기 드론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상기 드론을 제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복수의 메뉴를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이도를 표시하며, 사용자는 상기 표시된 정보와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드론을 미세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정보표시 및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보표시 및 선택부는, 상기 드론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표시할 때 부가정보로서, 방위를 나타내는 나침반, 수직과 수평 및 대각선 라인, 줌(Zoom) 선택, 및 이도를 산출하기 위한 시설 선택을 위한 지도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부가 수신하는 정보는, 드론의 고도, 좌표, 방향, 및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원격 제어하는 드론의 동작은, 드론의 고도, 좌표, 방향, 및 촬영 제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론의 동작을 자동으로 원격 제어하여, 상기 드론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고도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도 산출을 위한 세 지점의 고도 정보를 측정하고,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해 이도(D)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Ha는 지지점 A의 고도, Hb는 지지점 B의 고도, Hc는 이도점의 고도, Hd는 중간점의 고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론을 원격 제어하여 이도 산출을 위한 제1 시설의 지지점(A)의 위치와 이에 대응하는 고도로 이동시키고, 상기 드론을 원격 제어하여 이도 산출을 위한 제2 시설의 지지점(B)의 위치와 이에 대응하는 고도로 이동시키며, 상기 두 지지점(A,B)의 위치가 측정되면, 상기 두 지지점(A,B)간의 경간의 중간점을 산출하여 상기 드론을 상기 중간점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중간점의 수직 하방에 위치하는 전력선의 이도점(C)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두 지지점(A,B)의 중간점과 이도점(C)의 고도를 이용하여, 상기 중간점과 이도점간의 거리인 이도(D)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 지지점(A,B)과 중간점 및 이도점(C)의 정면으로 상기 드론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드론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고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점은, 전력선이 연결된 시설의 팔(arm)에 전력선이 연결된 지점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두 지지점(A,B)과 중간점 및 이도점(C)의 정면으로 상기 드론을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드론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이 표시된 정보표시 및 선택부의 화면의 정 중앙에 지지점, 중간점, 및 이도점이 위치하게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화면의 정 중앙은, 상기 화면상에 부가 정보로 표시된 수직, 수평 및 대각선 라인이 겹치는 중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론을 상기 지지점, 중간점 및 이도점의 정면에서 지정된 거리(Zm)만큼 이격되도록 원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방법은,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의 제어부가 상기 드론을 원격 제어하여 이도 산출을 위한 제1 시설의 지지점(A)의 위치와 이에 대응하는 고도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드론을 원격 제어하여 이도 산출을 위한 제2 시설의 지지점(B)의 위치와 이에 대응하는 고도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두 지지점(A,B)의 위치가 측정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두 지지점(A,B)간의 경간의 중간점을 산출하여 상기 드론을 상기 중간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중간점의 수직 하방에 위치하는 전력선의 이도점(C)으로 상기 드론을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두 지지점(A,B)의 중간점과 이도점(C)의 고도를 이용하여, 상기 중간점과 이도점간의 거리인 이도(D)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두 지지점(A,B)과 중간점 및 이도점(C)의 정면으로 상기 드론을 이동시킨 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론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고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두 지지점(A,B)과 중간점 및 이도점(C)의 정면으로 상기 드론을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드론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이 표시된 정보표시 및 선택부의 화면의 정 중앙에 지지점, 중간점, 및 이도점이 위치하게 상기 드론을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화면의 정 중앙은, 상기 화면상에 부가 정보로 표시된 수직, 수평 및 대각선 라인이 겹치는 중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두 지지점(A,B)과 중간점 및 이도점(C)의 정면으로 상기 드론을 이동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론을 상기 지지점, 중간점 및 이도점의 정면에서 지정된 거리(Zm)만큼 이격되게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도(D)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론의 동작을 자동으로 원격 제어하여, 상기 드론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고도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도 산출을 위한 세 지점의 고도 정보를 측정하고,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해 이도(D)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2
여기서 Ha는 지지점 A의 고도, Hb는 지지점 B의 고도, Hc는 이도점의 고도, Hd는 중간점의 고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두 지지점 간에 지지되고 있는 전력선의 이도를, 드론을 이용하여 측정한 고도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저인력 및 저비용으로 손쉽게 이도를 산출하고 장력을 계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제어부가 이도를 계산하는 방법과 이도 계산을 위한 필요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이도 산출에 필요한 세 지점의 고도를 측정하기 위해 드론을 이동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6은 상기 도 4에 있어서, 지지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7은 상기 도 4에 있어서, 드론을 이용하여 시설의 지지점에 대한 고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을 보인 예시도.
도 8은 상기 도 4에 있어서, 드론을 이용하여 이도점에 대한 고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을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는, 정보 수신부(110), 시설좌표 저장부(120), 제어부(130), 제어신호 송신부(140), 및 정보표시 및 선택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110)는 드론(200)으로부터 무선 방식으로 전송되는 정보(예 : 고도, 좌표, 방향, 영상 등)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정보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정보(예 : 고도, 좌표, 방향, 영상 등)는 상기 정보표시 및 선택부(150)에 출력된다.
상기 시설좌표 저장부(120)는 전국에 설치된 시설(예 : 철탑)의 디지털 좌표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시설좌표 저장부(120)에 저장된 전국의 시설에 대한 디지털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또는 미리 지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드론(200)의 동작(예 : 고도, 좌표, 방향, 촬영 등)을 원격 제어하고, 상기 드론(20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예 : 고도, 좌표, 방향, 영상 등)를 바탕으로 이도를 산출한다.
상기 제어신호 송신부(14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드론(200)의 동작(예 : 고도, 좌표, 방향, 촬영 등)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지정된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정보표시 및 선택부(150)는 상기 정보 수신부(110)를 통해 상기 드론(20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예 : 고도, 좌표, 방향, 영상 등)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상기 드론(200)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메뉴(미도시)를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30)에서 산출된 이도를 표시하며, 사용자는 상기 표시된 정보와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또는 지정)하여 이도 계산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 상기 드론(200)을 미세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표시 및 선택부(150)는 상기 드론(20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예 : 고도, 좌표, 방향, 영상 등)를 표시할 때 부가정보(예 : 방위를 나타내는 나침반, 수직/수평 및 대각선 라인, 줌(Zoom), 시설 선택을 위한 지도 등)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제어부가 이도를 계산하는 방법과 이도 계산을 위한 필요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드론(200)에 포함된 센서(예 : GPS센서, 고도센서, 거리센서 등)를 통해 검출(측정)되는 고도와 위치(GPS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세 지점(ⓐ,ⓑ,ⓒ)(편의상 A,B,C 라고 기재할 수도 있음)의 고도 데이터를 측정하고,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해 이도(D)를 계산한다.
Figure pat00003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닮은꼴 삼각형의 원리를 이용하면,
Figure pat00004
가 성립하게 되어,
Figure pat00005
로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를 정리하면,
Figure pat00006
가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도(D)가 상기 수학식 1과 같이 산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30)는 드론(200)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여, 즉, 세 지점(ⓐ,ⓑ,ⓒ)의 고도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와 고도로 정확히 원격 제어함으로써, 정확한 이도(D)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130)가 드론(200)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여, 이도(D) 산출에 필요한 세 지점(ⓐ,ⓑ,ⓒ)의 고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이도 산출에 필요한 세 지점의 고도를 측정하기 위해 드론을 이동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4에 있어서, 지지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고, 도 7은 상기 도 4에 있어서, 드론을 이용하여 시설의 지지점에 대한 고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을 보인 예시도이며, 도 8은 상기 도 4에 있어서, 드론을 이용하여 이도점에 대한 고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드론(200)을 원격 제어하여 이도 산출을 위한 제1 시설의 지지점 A의 위치(GPS좌표)와 대응 고도로 이동시킨다(S101)(도 5의 (a) 참조, 도 7 참조).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드론(200)을 원격 제어하여 이도 산출을 위한 제2 시설의 지지점 B의 위치(GPS좌표)와 대응 고도로 이동시킨다(S102)(도 5의 (b) 참조, 도 7 참조).
상기와 같이 지지점 A, B(즉, ⓐ, ⓑ)의 위치(GPS좌표)가 측정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두 지지점(즉, 지지점 A,B)의 경간(즉, 두 시설간의 마주 보는 직선거리)의 중간 위치(즉, 경간의 1/2 위치)(즉, 중간점)를 산출하여 상기 드론(200)을 상기 중간점으로 이동시킨다(S103)(도 5의 (c) 참조).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중간점의 수직 하측(또는 직하방)에 위치하는 이도점(C)(즉, ⓒ)으로 이동시킨다(S104)(도 5의 (d) 참조, 도 8 참조)
상기와 같이 제어부(130)가 지지점 A, B, 및 이도점(C)(즉, ⓒ)의 정면으로 상기 드론(200)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드론(200)에 포함된 센서(예 : GPS센서, 고도센서, 거리센서 등)를 통해 실시간으로 고도가 측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지지점 A, B(즉, ⓐ, ⓑ), 및 이도점(C)(즉, ⓒ)의 고도를 이용하여 이도(즉, 중간점과 이도점간의 거리, D)를 산출한다(S105).
여기서 상기 지지점 A(또는 지지점 B)는 시설(예 : 철탑)의 팔(arm)과 전력선이 연결된 지점을 의미한다(도 6 참조).
도 6은 상기 도 4에 있어서, 지지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로서, 도 6의 (A)는 시설의 측면에서 지지점을 바라본 예시도이고, 도 6의 (b)는 시설의 상부에서 지지점을 바라본 예시도이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드론(200)의 카메라(미도시)가 상기 지지점 A(또는 지지점 B)의 정면에서 지정된 거리(Zm)만큼 이격된 위치(이때 이도점 C의 경우, 지지점 A,B 간에 연결된 가상의 직선의 중간점으로부터 지정된 거리(Zm)만큼 이격된 가상의 수평선에서의 대응하는 위치)와 고도로 비행하도록 상기 드론(200)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이격을 위한 거리(Zm)는 드론(200)에 포함된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드론(200)의 카메라(미도시)가 상기 지지점 A(또는 지지점 B, 이도점 C)의 정면에 위치하는지 여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200)의 카메라(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의 정 중앙(즉, 화면상에 부가 정보로 표시된 수직, 수평 및 대각선 라인의 중심)에 지지점 A(또는 지지점 B, 이도점 C)가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도 7 및 도 8 참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드론(200)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처리하여 지지점 A(또는 지지점 B, 이도점 C)을 자동으로 찾아 상기 드론(200)을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드론(200)의 카메라(미도시)가 상기 지지점 A(또는 지지점 B, 이도점 C)의 정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드론(200)을 제어할 경우, 상기 드론(200)의 고도가 지지점 A(또는 지지점 B, 이도점 C)의 고도로 측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드론(200)의 카메라(미도시)가 상기 지지점 A(또는 지지점 B, 이도점 C)의 정면에 위치할 경우, 비행을 일시 정지시키고, 이때의 고도를 지지점 A(또는 지지점 B, 이도점 C)의 고도 정보로 저장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도(D)가 산출될 경우, 아래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수평장력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7
여기서 D는 이도, S는 두지지점 사이의 직선거리(경간), w는 전력선의 단위 길이당 무게, T는 전선의 수평장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D(이도)값이 측정되면, 전선의 수평장력(T)을 알 수 있게 되어, 전력선 사용 설계 조건에 따라 전력선을 가선하여 송전설비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두 지지점 간에 지지되고 있는 전력선의 이도를 드론을 이용하여 측정한 고도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저인력 및 저비용으로 손쉽게 이도를 산출하고 장력을 계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110 : 정보 수신부
120 : 시설좌표 저장부
130 : 제어부
140 : 제어신호 송신부
150 : 정보표시 및 선택부
200 : 드론

Claims (15)

  1. 드론으로부터 무선 방식으로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전국에 설치된 시설의 디지털 좌표를 저장하는 시설좌표 저장부;
    상기 시설좌표 저장부에 저장된 전국의 시설에 대한 디지털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상기 드론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고, 상기 드론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이도를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드론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지정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신호 송신부; 및
    상기 정보 수신부를 통해 상기 드론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상기 드론을 제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복수의 메뉴를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이도를 표시하며, 사용자는 상기 표시된 정보와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드론을 미세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정보표시 및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표시 및 선택부는,
    상기 드론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표시할 때 부가정보로서,
    방위를 나타내는 나침반, 수직과 수평 및 대각선 라인, 줌(Zoom) 선택, 및 이도를 산출하기 위한 시설 선택을 위한 지도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부가 수신하는 정보는,
    드론의 고도, 좌표, 방향, 및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원격 제어하는 드론의 동작은,
    드론의 고도, 좌표, 방향, 및 촬영 제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론의 동작을 자동으로 원격 제어하여,
    상기 드론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고도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도 산출을 위한 세 지점의 고도 정보를 측정하고,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해 이도(D)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
    (수학식 1)
    Figure pat00008

    여기서 Ha는 지지점 A의 고도, Hb는 지지점 B의 고도, Hc는 이도점의 고도, Hd는 중간점의 고도를 의미한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론을 원격 제어하여 이도 산출을 위한 제1 시설의 지지점(A)의 위치와 이에 대응하는 고도로 이동시키고,
    상기 드론을 원격 제어하여 이도 산출을 위한 제2 시설의 지지점(B)의 위치와 이에 대응하는 고도로 이동시키며,
    상기 두 지지점(A,B)의 위치가 측정되면, 상기 두 지지점(A,B)간의 경간의 중간점을 산출하여 상기 드론을 상기 중간점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중간점의 수직 하방에 위치하는 전력선의 이도점(C)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두 지지점(A,B)의 중간점과 이도점(C)의 고도를 이용하여, 상기 중간점과 이도점간의 거리인 이도(D)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 지지점(A,B)과 중간점 및 이도점(C)의 정면으로 상기 드론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드론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고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점은,
    전력선이 연결된 시설의 팔(arm)에 전력선이 연결된 지점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두 지지점(A,B)과 중간점 및 이도점(C)의 정면으로 상기 드론을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드론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이 표시된 정보표시 및 선택부의 화면의 정 중앙에 지지점, 중간점, 및 이도점이 위치하게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화면의 정 중앙은,
    상기 화면상에 부가 정보로 표시된 수직, 수평 및 대각선 라인이 겹치는 중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론을 상기 지지점, 중간점 및 이도점의 정면에서 지정된 거리(Zm)만큼 이격되도록 원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
  11.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의 제어부가 상기 드론을 원격 제어하여 이도 산출을 위한 제1 시설의 지지점(A)의 위치와 이에 대응하는 고도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드론을 원격 제어하여 이도 산출을 위한 제2 시설의 지지점(B)의 위치와 이에 대응하는 고도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두 지지점(A,B)의 위치가 측정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두 지지점(A,B)간의 경간의 중간점을 산출하여 상기 드론을 상기 중간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중간점의 수직 하방에 위치하는 전력선의 이도점(C)으로 상기 드론을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두 지지점(A,B)의 중간점과 이도점(C)의 고도를 이용하여, 상기 중간점과 이도점간의 거리인 이도(D)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두 지지점(A,B)과 중간점 및 이도점(C)의 정면으로 상기 드론을 이동시킨 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론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고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두 지지점(A,B)과 중간점 및 이도점(C)의 정면으로 상기 드론을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드론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이 표시된 정보표시 및 선택부의 화면의 정 중앙에 지지점, 중간점, 및 이도점이 위치하게 상기 드론을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화면의 정 중앙은,
    상기 화면상에 부가 정보로 표시된 수직, 수평 및 대각선 라인이 겹치는 중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두 지지점(A,B)과 중간점 및 이도점(C)의 정면으로 상기 드론을 이동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론을 상기 지지점, 중간점 및 이도점의 정면에서 지정된 거리(Zm)만큼 이격되게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도(D)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론의 동작을 자동으로 원격 제어하여,
    상기 드론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고도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도 산출을 위한 세 지점의 고도 정보를 측정하고,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해 이도(D)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방법.
    (수학식 1)
    Figure pat00009

    여기서 Ha는 지지점 A의 고도, Hb는 지지점 B의 고도, Hc는 이도점의 고도, Hd는 중간점의 고도를 의미한다.
KR1020200060685A 2020-05-21 2020-05-21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356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685A KR102356916B1 (ko) 2020-05-21 2020-05-21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685A KR102356916B1 (ko) 2020-05-21 2020-05-21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003A true KR20210144003A (ko) 2021-11-30
KR102356916B1 KR102356916B1 (ko) 2022-02-03

Family

ID=78722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685A KR102356916B1 (ko) 2020-05-21 2020-05-21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9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43699A (zh) * 2022-01-13 2022-05-27 国家电网有限公司 基于无人机高精度三维建模的输电线路弧垂测量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1026A (ko) 2022-03-04 2023-09-12 한국전력공사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1830A (ja) * 2005-03-31 2006-10-19 Yamaha Motor Co Ltd カメラの視点表示システム
KR20140037998A (ko) * 2012-09-19 2014-03-28 한국전력공사 구조물 점검용 비행 장치
KR101552589B1 (ko) * 2015-06-12 2015-09-14 (주)선운 이앤지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가공철탑전선의 이도, 실장 관측 및 산출방법
KR20180017788A (ko) * 2016-08-11 2018-02-2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전력선에 대한 장력조정 작업방법
KR20180050157A (ko) * 2016-11-04 2018-05-14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 가선 이도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선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1830A (ja) * 2005-03-31 2006-10-19 Yamaha Motor Co Ltd カメラの視点表示システム
KR20140037998A (ko) * 2012-09-19 2014-03-28 한국전력공사 구조물 점검용 비행 장치
KR101552589B1 (ko) * 2015-06-12 2015-09-14 (주)선운 이앤지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가공철탑전선의 이도, 실장 관측 및 산출방법
KR20180017788A (ko) * 2016-08-11 2018-02-2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전력선에 대한 장력조정 작업방법
KR20180050157A (ko) * 2016-11-04 2018-05-14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 가선 이도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선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43699A (zh) * 2022-01-13 2022-05-27 国家电网有限公司 基于无人机高精度三维建模的输电线路弧垂测量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916B1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360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관심 지점 표시 장치 및 방법
EP2098821B1 (en) Geographical data collecting device
EP2098820B1 (en) Geographical data collecting device
US10168153B2 (en) Enhanced position measurement systems and methods
US8244462B1 (en)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distances between geographic positions
JP6025433B2 (ja) 携帯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140054162A (ko) 개인 항법 디바이스의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디바이스
US20020018122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arrying out an information flow and data flow for geodetic instruments
KR102356916B1 (ko)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650525B1 (ko) 지아이에스 기반 신규데이터에 따른 영상 업데이트 도화시스템
JP2013231634A (ja) 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JP6087712B2 (ja) 分布データ表示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61719B1 (ko) 지리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카메라 위치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2234451A (ja) 情報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240754A5 (ko)
KR102104653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측량 보정 시스템 및 방법
CN114363161A (zh) 异常设备的定位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212254095U (zh) 一种国土规划用土地测绘装置
JP2018066698A (ja) 光ファイバ障害点特定システムとその光ファイバ障害点特定方法
JP6972584B2 (ja) 離隔距離測定システム
JP6101033B2 (ja) 測設支援装置、測設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01032B2 (ja) 測設支援装置、測設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13580A (ja) 情報端末
JPH05231868A (ja) 測量方法
US11808571B2 (en) Surveying system, staking assistan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staking assistance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