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1026A -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1026A
KR20230131026A KR1020220028388A KR20220028388A KR20230131026A KR 20230131026 A KR20230131026 A KR 20230131026A KR 1020220028388 A KR1020220028388 A KR 1020220028388A KR 20220028388 A KR20220028388 A KR 20220028388A KR 20230131026 A KR20230131026 A KR 20230131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power line
difference
height difference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홍
안호성
구자빈
임윤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28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1026A/ko
Publication of KR20230131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coordinates of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58Wireless transmission of information between a sensor or probe and a control or evaluation unit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력선을 연결하는 두 지점의 송전철탑 중 어느 일방향에서 전력선에 대한 복수의 측정위치에 대한 좌표를 측정하여 복수의 측정위치 간 거리차와 높이차를 연산하고 거리차와 높이차가 적용되는 곡선을 도출하여 전력선에 대한 이도와 장력을 산출함으로써, 이도 및 장력의 정확도가 향상되고 산출의 용이성이 향상되며, 이도와 장력을 측정하기 위해 철탑에 승탑하지 않고 어느 하나의 방향에서 좌표를 측정하므로 측정 공간의 제약이 적고 시야에 관계없이 측정위치 설정이 용이하고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며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 및 그 방법{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Dig of Power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가공철탑전선을 단방향에서 측정하여 이도 및 장력을 산출하는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은 송전선로를 통해 지역별로 전송된다. 생산된 전력을 안정적으로 송전하기 위하여 송전선로의 지속적 건전성 평가 및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송전선은 추계학적 풍하중, 온도변화와 같은 다양한 주변 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열화가 진행되며 선로 연결부위 등과 같은 취약 부분은 피로손상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송전선로의 주기적 점검 및 건전성평가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열화가 진행되면 송전선로 강성저하에 기인한 이도 처짐이 진행되기 때문에, 이도는 송전선의 건전성 및 열화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척도이다.
이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전선에 접선을 투시하여 측정하는 직접법과 전선의 물리적 성질을 이용한 측정치로부터 계산하는 간접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직접법은 주로 송전선 또는 철탑에 승탑하여 이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송전선에 승탑 할 수 있는 전문인력이 필요하고, 철탑 위에서 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가 있다. 또한, 전문인력이 승탑 하더라도 측정하는 전문 인력 별로 오차가 발생하고, 측정절차가 복잡해짐으로써 비용부담이 증가하며, 2대 이상의 측량기 사용으로 인한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직접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지상에서 이도 측정이 가능한 측량기가 개발되었지만 지면에서 송전선의 이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송전선로에 접근이 어려운 산간지역에서는 이도 측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56916호,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 및 방법' 은 드론을 이용하여 직접 필요한 지점을 측정하여 이도를 측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드론을 조정하기 위한 전문인력이 필요하고, 이도점을 직접 찾아 드론을 제어해야하나 나무가 많은 산간지역 등에서 시야가 한정적이므로 이도점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라이다를 이용해 측정할 수 있는 거리로 접근해야 하며, 철탑부터 선로의 중간지점까지 모두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비행거리, 이동시간, 접근거리, 운전자의 시야각 등의 제약사항이 존재한다.
그에 따라 지형지물에 의한 제약사항을 줄이고, 측정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이도 측정 방안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5691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송전 전력선을 연결하는 두 지점의 송전철탑 중 어느 일 방향에서 전력선에 대한 복수의 측정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측정하여 측정위치 간 거리차와 높이차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곡선을 산출하여 전력선의 이도와 장력을 측정하는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는, 전력선이 연결되는 송전철탑 중 어느 일 측에 설치되어 단방향으로 상기 전력선의 지지점을 포함하는 복수의 측정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측정하는 측정기; 상기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좌표값 및 위치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측정기와 통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상기 복수의 측정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기반으로 측정위치 간 거리차와 높이차를 연산하여 거리차와 높이차에 대응하는 곡선을 찾고, 두 측정위치 간 측정된 높이차와 상기 곡선을 기반으로 계산된 높이차의 차이값이 오차범위 내에 포함되는 최종곡선을 도출하여 이도와 장력을 산출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이값이 상기 오차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적용된 장력을 최종 장력으로 설정하고, 상기 장력이 적용된 카테나리 곡선을 기준으로 이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높이차와 상기 계산된 높이차의 차이값이 0 되는 경우의 곡선에 적용된 장력을 최종 장력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이값이 상기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위치 또는 장력을 변경하여 상기 차이값을 재산출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이값이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계산된 높이차가 상기 측정된 높이차 보다 크면 장력을 변경하고, 위치를 최저점부터 순차적으로 대입하여 상기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계산된 높이차가 상기 측정된 높이차 미만이면 위치를 증가시켜 상기 차이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전철탑과 연결되는 상기 전력선의 두 지지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의 기울기와 동일한 법선 기울기를 갖는 지점을 찾아 위치 탐색을 위한 기준점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카테나리 곡선의 식을 미분한 수식을 기반으로 상기 기준점을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정기는 상기 송전철탑에서 상기 전력선이 연결되는 애자련과 철탑암의 끝점을 상기 지지점으로 하고, 상기 애자련의 다른 끝단, 상기 전력선의 임의의 두 지점을 포함한 네 지점의 좌표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전철탑의 위치, 상기 전력선의 이도 및 장력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이도 및 장력을 기반으로 상기 전력선의 열화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전력선의 유지보수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도 측정장치의 측정방법은, 전력선이 연결되는 송전철탑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서, 측정기를 통해 지지점을 포함한 복수의 측정위치에 대한 좌표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측정위치의 좌표값을 기반으로 측정위치 간 거리차와 높이차를 연산하는 단계; 임의의 장력을 설정하고 상기 거리차와 상기 높이차가 적용되는 곡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곡선을 기반으로 두 지점의 높이차를 계산하고 측정된 높이차와 비교하여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값이 오차범위 내에 포함되는 최종곡선을 도출하여 상기 전력선에 대한 이도와 장력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차이값이 상기 오차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적용된 장력을 최종 장력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장력이 적용된 카테나리 곡선을 기준으로 이도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차이값이 상기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위치 또는 장력을 변경하여 상기 차이값을 재산출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상기 차이값을 재산출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높이차가 상기 측정된 높이차 보다 크면 장력을 변경하고, 위치를 최저점부터 순차적으로 대입하여 상기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높이차가 상기 측정된 높이차 미만이면 위치를 증가시켜 상기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차이값을 재산출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는, 상기 송전철탑과 연결되는 상기 전력선의 두 지지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의 기울기와 동일한 법선 기울기를 갖는 지점을 기준점으로 상기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준점은, 카테나리 곡선의 식을 미분한 수식을 기반으로 수치해석 방법을 적용하여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력은, 상기 송전철탑에 적용된 최대 수평장력과, 상기 전력선의 이도 설계 시 연속운전온도에서의 장력의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전철탑의 위치, 상기 전력선의 이도 및 장력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이도 및 장력을 기반으로 상기 전력선의 열화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전력선의 유지보수를 관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 및 그 방법은, 전력선을 연결하는 두 지점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서 전력선의 복수의 측정위치에 대한 좌표를 측정하여 측정위치 간 거리차와 높이차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곡선을 이용하여 이도와 장력을 산출함으로써 정확도가 향상되고 측정의 용이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도와 장력을 측정하기 위해 철탑에 승탑하지 않고 어느 하나의 방향에서 좌표를 측정하므로 공간의 제약이 적고 시야에 관계없이 측정위치 설정이 용이하고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며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의 연결 구조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의 측정위치를 설명하는 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4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의 지지점을 포함한 측정위치를 설명하는 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의 측정위치를 좌표값을 이용한 이도 산출방법을 설명하는 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의 측정위치 간 차이를 이용한 수치해석 방법을 설명하는 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의 측정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의 연결 구조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15)은 송전철탑 사이에 양측 지지점(A, B)에 연결된다. 지지점은 송전철탑의 전력선 연결부에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송전철탑이 동일한 고도에 위치하는 경우, 전력선이 처지는 최저점, 즉 이도점은 송전철탑 간의 거리인 경간(M)의 중앙지점에 형성된다.
두 지지점(A, B)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이도점까지의 수직거리가 이도가 된다. 이때 제 1 거리(M1)와 제 2 거리(M2)의 길이는 동일한 값이 된다.
그러나 송전철탑의 양측 고도가 상이한 경우, 제 1 거리(M1)와 제 2 거리(M2)는 크기가 상이해진다. 전력선의 처짐 상태를 통해 전력선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이도점을 도출하고, 이도와 장력을 산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는, 송전철탑의 위치를 측정하고 또한, 송전철탑 중 어느 일 측에서 지지점을 포함하는 전선에 대한 복수의 좌표를 측정기를 통해 3차원 좌표를 측정한다.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는 측정된 좌표를 기반으로 전력선의 장력과 이도를 산출하고, 관리서버는 복수의 송전철탑에서 측정된 전력선의 이도와 장력에 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력선의 열화 상태를 판단하여 전력선을 유지보수하고 관리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도 측정장치는 측정기(140), 메모리(120), 프로세서(110) 및 통신모듈(130)을 포함한다.
이동 측정장치(100)는 복수의 버튼, 스위치 및 터치입력수단을 포함하는 입력수단, 디스플레이, 스피커 및 램프를 포함하는 출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도 측정장치(100)는 측정기(140)를 포함하나, 경우에 따라 측정기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이도 측정장치(100)는 관리서버(2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산출된 전력선의 이도 및 장력에 대한 정보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도 측정장치(100)는 측정위치와 송전철탑의 정보가 포함된 전력선 데이터를 전송한다.
관리서버(200)는 수신되는 전력선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위치별 전력선의 이도와 장력을 저장하고, 측정된 이도와 장력을 기반으로 전력선의 열화 상태를 판단한다.
관리서버(200)는 전력선의 열화 상태에 따라 전력선을 교체하거나 수리할 대상을 선별하여 관리한다.
측정기(140)는 적외선, 레이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위치까지의 거리와 좌표를 측정한다.
측정기(140)는 송전철탑 중 어느 일측을 기준으로 소정 거리 내에서 전력선의 지지점을 포함하는 복수의 측정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측정한다. 이때, 좌표의 중심은 측정기(140)의 위치이다.
측정기(140)는 송전철탑과 전력선이 연결되는 지지점, 전력선 상의 복수의 지점에 대하여 측정위치로써 각각의 좌표를 산출한다. 또한 측정기(140)는 현재위치를 측정한다.
메모리(120)는 복수의 측정위치의 좌표값과 현재위치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산출되는 전력선의 장력과 이도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13)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롬(ROM), EEPROM(Electrically Erased Programmable 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SSD, HDD 등의 저장수단을 포함한다.
통신모듈(130)은 측정기(1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측정기(140)에서 측정된 복수의 측정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수신하여 프로세서(110)로 인가한다.
통신모듈(130)은 관리서버(200)와 통신하여 전력선 데이터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통신모듈(130)은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선에 대한 점검명령을 프로세서(11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모듈(130)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방식을 이용하며,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통신, 이동 통신, 및 시리얼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하여 통신한다.
프로세서(110)는 통신모듈(130)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관리하고, 측정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데이터가 메모리(12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11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측정기(140)를 통해 복수의 측정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기반으로, 각 좌표간의 차이값을 연산하고, 그 차이값에 대응하는 곡선식을 추정하여 전력선의 장력과 이도를 산출한다.
프로세서(110)는 측정된 좌표 간 거리차와 높이차를 각각 산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동일한 특성의 카테나리 곡선을 찾고, 수치해석을 기반으로 지지점을 연결하는 선과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지점을 찾아 이도점 탐색을 위한 기준점으로 설정한다.
프로세서(110)는 측정기(14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외에,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 등을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받거나 통신모듈(13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산출되는 장력 및 이도점,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구비되는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의 측정위치를 설명하는 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기(140)는 복수의 측정위치에 대한 3차원 좌표값을 측정한다.
측정기(140)는 전력선(15)과 송전철탑이 연결되는 지지점과 전선의 임의의 지점에 대하여 적어도 2지점의 좌표를 측정한다. 측정기(140)는 지지점과 2지점의 좌표, 총 3지점의 좌표를 측정하여 프로세서(110)로 전송한다.
측정기(140)는 철탑 지지점, 측 애자련에서 전력선을 지지하는 위치에 대하여 지지점으로써 좌표를 측정한다.
측정기준점(0.0.0)은 측정기(140)의 위치이고, 측정기(140)는 측정기의 위치(0,0,0)를 기준으로 각 측정위치의 3차원 좌표값을 측정한다.
측정위치1(P11)의 좌표는 (x1, y1, z1), 측정위치2(P12)의 좌표는 (x2, y2, z2), 측정위치3의 좌표는 (x3, y3, z3)으로 각각 측정된다.
프로세서(110)는 측정기(140)로부터 좌표값이 입력되면 각 측정위치간의 거리차와 높이차를 연산한다. 측정위치1과 측정위치2 간의 차이는 (Δx12, Δy12, Δz12)이고 측정위치2와 측정위치3 간의 차이는 (Δx23, Δy23, Δz23)이다.
프로세서(110)는 임의의 장력값을 설정한 후, 각 좌표간의 거리와 높이차를 이용하여 카테나리 수식의 X축 좌표를 변경하면서 측정 위치와 다음 측정 위치 사이의 거리와 높이차가 동일한 지점을 갖는 카테나리 수식을 탐색한다. 장력은 송전철탑의 설계장력 내지 연속 허용 전류온도에서의 장력값의 범위 내에서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x축 좌표의 변경 및 측정위치 값을 반복입력하거나 도는 수치해석 방법을 기반으로 동일한 특성의 카테나리 수식을 찾는다.
프로세서(110)는 설정된 장력값에서 측정위치의 차이가 동일한 카테나리 수식을 찾지를 못할 경우, 장력값을 변경하면서 찾기를 반복한다. 이때, 장력값의 범위는 해당 경간의 철탑 설계 시 적용된, 최대 수평장력과 전선의 이도 설계 시 연속운전온도에서의 장력값으로 제한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측정위치간의 거리차와 높이차가 동일한 카테나리 수식을 발견하면 해당 설정의 장력값을 전력선의 장력으로 최종 확정한다.
프로세서(110)는 최종적으로 확정된 장력과 측정위치로 카테나리 곡선을 그린 후, 전력선의 지지점간 거리와 높이차를 이용해 지지점 간의 가상의 직선을 그려, 선로 중간점에서의 가상의 직선과 카테나리 곡선의 높이차를 연산하여 전력선의 이도를 산출한다.
프로세서(110)는 거리차와 높이차가 동일한 지점이 다양한 장력값에서 발견되는 경우, 측정위치를 1개 추가하여 4지점의 측정위치를 기반으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4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의 지지점을 포함한 측정위치를 설명하는 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기(140)는 지지점의 좌표를 송전철탑의 애자련 연결부, 즉 지지점(A, B)의 좌표를 측정하고, 애자련과 전선의 연결부, 전선의 임의의 위치를 각각 측정위치로써 측정한다.
측정기(140)는 전력선(15)이 송전철탑과 연결되는 애자련의 양단의 측정위치1과 측정위치2의 2지점, 전선 상의 측정위치3 및 측정위치4의 2지점에 대한 좌표값을 측정하고, 총 4지점의 좌표를 프로세서(11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측정위치1, 2를 통해 철탑암 끝점(지지점)에서 전선 시작점까지의 거리차와 높이차를 연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측정기(140)로부터 입력되는 좌표에 대하여 각 측정위치 간 거리차와 높이차를 연산하고, 적용 가능한 장력범위 내에서 임의 설정한 장력값을 기반으로, 측정위치 간 거리차와 높이차가 동일한 카테나리 곡선을 찾는다.
프로세서(110)는 4개의 좌표를 이용하여 거리차와 높이차를 산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범위 내에서 장력을 설정한 후, 거리차와 높이차가 동일해지는 카테나리 곡선을 찾아 최종 장력을 산출하고, 해당 장력의 카테나리 곡선을 기반으로 지지점을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이도를 산출한다.
이때 카테나리 수식은 다음 수학식1과 같다.
Figure pat00001
x는 카테나리 곡선의 최저점으로부터의 거리이고, y는 위치x에서의 높이이고, w는 전선의 하중이며, H는 전선에 걸리는 수평장력이다.
프로세서(110)는 측정위치 간의 거리차와 높이차를 각각 Δd, Δh 라 할 때, 각 위치에서의 높이는 다음과 같이 수학식 2로 표현된다.
Figure pat00002
또한, 두 측정위치 간의 관계(Δh=y3-y4, Δd=x3-x4)를 적용하면, 두 측정위치 간의 높이차를 2개의 입력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거리차(Δd) 와 높이차(Δh)는 측정된 좌표값으로부터 산출된다.
프로세서(110)는 이러한 수학식에서 산출된 거리차와 높이차와 동일한 값을 갖는 위치를, 위치값(x3)과 장력값을 변경하면서 반복기법 또는 수치해석 방법을 이용하여 찾는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의 측정위치를 좌표값을 이용한 이도 산출방법을 설명하는 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두 지지점(A, B)을 연결하고, 측정위치1(P1), 측정위치2(P2), 측정위치3(P3)에 대하여 각각의 거리차와 높이차를 연산한다.
측정위치1(p1)의 좌표는 (x1',y1'), 측정위치2(p2)의 좌표는 (x2',y2'), 측정위치3(p3)의 좌표는 (x3',y3') 이고, 이때 x2'은 x1'+Δx1 이고 x3'은 x2'+Δx2 이다.
프로세서(110)는 측정위치간의 거리차와 높이차가 동일한 카테나리 수식을 탐색한다. 즉, 프로세서(110)는 측정위치2(P2)에서의 카네나리 수식 Catenary(H, x1'+Δx1)=y2' 이고, 측정위치3(P3)에서 카네나리 수식 Catenary(H, x2'+Δx2)=y3' 으로, 대응되는 곡선의 수식을 찾는다.
프로세서(110)는 임의의 점 (x1')에서 거리 Δx1 와 높이 Δy1 만큼 차이나는 위치를 아래의 수학식 3을 기반으로 연산한다.
프로세서(110)는 y1'과 y2' 사이의 거리가 Δy1과 같아지는 지점을 찾는다. 이를 위해, 위치 x를 변경하면서 두 값(y2'-y1', Δy1)의 차가 0이 되도록 수치해석을 시행한다.
앞서 설명한 수학식2에 적용하면 다음 수학식3과 같다.
Figure pat00003
프로세서(110)는 이와 같은 연산을 통해 찾은 x1'이 해당 장력이 적용된 카테나리 곡선에서의 측정위치 P1의 좌표값이 된다.
프로세서(110)는 위치 x1'를 기준으로 두 번째와 세 번째 좌표들과의 거리차, 높이차를 이용해 카테나리 곡선상의 좌표(x2', x3')를 계산하고, 곡선상의 두 좌표 x2', x3'를 카테나리 곡선 수식에 넣어 y2', y3'를 계산하고, 두 값의 차이와 측정지점에서의 높이차(Δy2)를 계산한다.
프로세서(110)는 임의의 장력 H에서 점 P1과 P2의 거리차와 높이차가 동일한 지점을 기준으로, P2, P3간의 거리에서의 높이차가 실제 측정된 높이차(Δy2)와의 차이를 계산하면, 해당 장력으로 만든 카테나리 곡선과 실제 전력선의 카테나리 곡선과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임의의 장력(H)을 변경하여 다시 차이값을 산출하고, 계산된 높이차와 측정된 높이차(Δy2) 사이의 차이값을 연산한다.
프로세서(110)는 수치해석 방법을 적용하여, 계산결과가 오차범위에 포함되거나 0이 되는 장력값(H)을 탐색한다.
프로세서(110)는 측정된 높이차와 계산된 높이차의 차이값이 오차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그 차이값이 0이 되는 경우의 곡선을 최종으로 선택하여 해당 곡선에 적용된 장력을 최종 장력으로 설정한다.
프로세서(110)는 수치해석으로 찾아낸 장력값과 카테나리 곡선상의 좌표값들, 지지점간을 연결하는 직선 방정식을 이용해, 경간의 중간이 되는 x축 위치에서 카테나리 곡선과 지지점을 연결하는 직선의 거리를 이도로 산출한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측정위치 간 거리차와 높이차를 이용한 방법에 기울기 값을 적용하면, 주어진 장력으로 그린 카테나리 곡선에서 동일한 거리와 높이차를 가지는 위치를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방법은 저점부터 위치값 X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찾는 방법이므로, 프로세서(110)는 반복횟수와 연 산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수치 해석적인 방법을 적용한다.
프로세서(110)는 두 지지점(A, B)를 연결하여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직선을 도출한다.
프로세서(110)는 도출된 직선의 기울기와, 카테나리 곡선에서 두 측정지점 사이에 존재하는 한 점의 접선의 기울기가 동일한 지점을 찾아, 해당 위치 x를 한쪽 끝으로 하며, 폭이 두 지지점간 거리가 되는 범위에서만 측정값과 동일한 거리/높이차를 가지는 위치를 찾을 수 있다. 그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X값의 범위를 최저점이 아닌 일부 구간으로 제한하여 연 산량을 감소시키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다음의 수학식 4를 기반으로 수치해석 방법을 적용하여 카테나리 곡선에서 동일한 기울기 값의 위치를 찾을 수 있다. 수학식4는 카테나리 곡선에 대한 방정식인 수학식1을 미분한 것이다.
Figure pat00004
종래의 쌍곡선 함수 cosh와SINH를 변환하여 이도를 산출하는 방식은 전력선의 높이차 대기 병간이 짧거나 경간이 긴 경우 오차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계산을 위하여 프로세서(110)는 수치해석 방법을 기반으로 카테나리 곡선을 미분한 수학식4를 이용하여, 가상의 곡선의 기울기와 동일한 법선의 기울기를 갖는 지점의 위치를 찾을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해당 지점을 x값의 위치를 갖는 기준으로 설정하여 위치(x)와 장력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이도점을 찾을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의 측정위치 간 차이를 이용한 수치해석 방법을 설명하는 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수치해석 방법을 적용하여, 측정위치1(P1)과 측정위치2(P2)의 거리차와 높이차가 동일한 지점을 찾은 경우, 이를 반복하여 계산된 높이차(y3-y2)와 측정된 높이차(Δy2) 사이의 차이가 0이 되는 장력값을 찾는다.
프로세서(110)는 도 6의 (a) 내지 (c)와 같이 수치해석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함수의 입력 값의 범위를 정한 후, 범위 내의 값들을 일정한 개수로 쪼개서 각각의 출력값을 비교해 목표값과 가장 가까운 입력 값을 찾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높이차, 계산된 높이차와 측정된 높이차의 차이값에 대한 절대 값을 표시하고, 차이값이 0이 되는 지점 또는 오차범위에 포함되는 구간을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도 6의 (a)에서 제 1 구간(E1)에 대하여 오차범위 내의 x가 120 내지 160 지점을 찾을 수 있다. 위치(x)는 제 1 구간(E1) 내에서 찾을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구간(E1)이 형성되고 차이값이 0이 되는 지점 또는 오차범위에 포함되는 구간으로 제 2 구간(E2)이 129.6 내지 130.3 에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2 구간(E2)을 확대하면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이값이 0인 지점 또는 오차범위에 포함되는 구간으로 제 3 구간(E3)이 129.99 내지 130.01에 형성됨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이와 같은 과정으로 통해 위치 x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x는 13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의 측정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는 측정기(140)를 통해 송전철탑의 어느 일측방향에서, 지지점 및 금구의 위치를 좌표로 측정한다(S310).
또한, 측정기(140)는 전력선의 전선 중 임임의 위치를 적어도 2지점 이상 좌표를 측정한다(S320).
프로세서(110)는 측정된 적어도 3지점, 바람직하게는 4지점에 대한 좌표값을 측정기(140)로부터 수신한다.
프로세서(110)는 3지점 또는 4지점의 측정위치에 대한 좌표값에 대하여, 측정위치 간 거리차와 높이차를 각각 연산한다(S330).
프로세서(110)는 소정 범위 내에서 장력값을 설정하고(S340), 거리차와 높이차에 대응하는 카테나리 수식을 찾는다.
프로세서(110)는 위치별 높이는 측정위치의 x에 대하여, 수치해석 방법을 적용하여 동일한 거리차와 높이차를 갖는 카테나리 수식을 찾는다. 이때 장력은 이도계산 장력인 최소장력 내지 철탑 설계 수평장력인 최대장력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설정한다.
프로세서(110)는 측정위치 간 높이차에 대하여, 측정값의 높이차와 계산값의 높이차에 대한 차이값을 연산한다(S360).
프로세서(110)는 차이값, 즉 측정값의 높이차(측정값)와 계산값의 높이차(계산값)의 차이가 오차 범위에 포함되는지 비교한다(S370).
프로세서(110)는 그 차이값이 오차보다 큰 경우 계산값의 높이차를 측정값의 높이차를 비교한다(S380).
프로세서(110)는 측정값의 높이차가 계산값의 높이차 이상이면 x값을 증가시키고(S390), 위치 간 높이차를 연산하는 과정을 반복한다(S350 내지 S370).
한편, 프로세서(110)는 계산값의 높이차가 더 큰 경우 장력을 재설정하고 x를 다시 순차적으로 적용하여((S400) 차이값이 0이 되는 지점을 찾기까지 과정을 반복한다(S340 내지 S370).
프로세서(110)는 차이값이 오차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현재 장력을 최종 장력으로 결정한다(S410).
프로세서(110)는 결정된 장력을 기반으로, 지지점간 가상의 직선을 작성하고(S420), 애자련의 길이와 기울기를 고려하여 결정된 카테나리 곡선을 작성한다(S430).
프로세서(110)는 가상직선과 카테나리 곡선에서의 최저점을 기준으로 선로의 최저점 즉 이도점을 계산하고(S440), 가상직선과 이도점간의 거리를 이도로 산출한다(S450).
프로세서(110)는 송전철탑에 승탑하지 않더라도 어느 일 측의 송전철탑 방향에서 송전철탑의 지지점을 포함한 임의의 지점의 좌표를 측정하고, 측정위치의 좌표값을 바탕으로 거리차와 높이차가 동일한 카테나리 곡선을 찾아 장력과 이도점을 산출한다.
프로세서(110)는 위치 간 높이차에 대하여 측정값의 높이차와 계산값의 높이차의 차이값을 기반으로 위치(x)와 장력을 순차적으로 적용하는 수치해석 방법을 적용하여 이도와 장력을 산출한다.
관리서버(200)는 이도 측정장치(100)로부터 측정된 전력선의 위치, 이도 및 장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력선의 열화상태를 판단하고 교체여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전전력을 송전하는 전력선에 대하여 어느 일 측에서 측정되는 좌표를 기반으로 전력선의 이도 및 장력을 측정함으로써, 전력선의 상태를 확인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A, B:지지점 D: 이도
M: 경간 H: 장력
15: 전력선
100: 이도 측정장치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30: 통신모듈
140: 측정기 200: 관리서버

Claims (17)

  1. 전력선이 연결되는 송전철탑 중 어느 일 측에 설치되어 단방향으로 상기 전력선의 지지점을 포함하는 복수의 측정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측정하는 측정기;
    상기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좌표값 및 위치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측정기와 통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상기 복수의 측정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기반으로 측정위치 간 거리차와 높이차를 연산하여 거리차와 높이차에 대응하는 곡선을 찾고, 두 측정위치 간 측정된 높이차와 상기 곡선을 기반으로 계산된 높이차의 차이값이 오차범위 내에 포함되는 최종곡선을 도출하여 이도와 장력을 산출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이값이 상기 오차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적용된 장력을 최종 장력으로 설정하고, 상기 장력이 적용된 카테나리 곡선을 기준으로 이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높이차와 상기 계산된 높이차의 차이값이 0이 되는 경우의 곡선에 적용된 장력을 최종 장력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이값이 상기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위치 또는 장력을 변경하여 상기 차이값을 재산출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이값이 상기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계산된 높이차가 상기 측정된 높이차 보다 크면 장력을 변경하고, 위치를 최저점부터 순차적으로 대입하여 상기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계산된 높이차가 상기 측정된 높이차 미만이면 위치를 증가시켜 상기 차이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전철탑과 연결되는 상기 전력선의 두 지지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의 기울기와 동일한 법선 기울기를 갖는 지점을 찾아 위치 탐색을 위한 기준점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카테나리 곡선의 식을 미분한 수식을 기반으로 상기 기준점을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는 상기 송전철탑에서 상기 전력선이 연결되는 애자련과 철탑암의 끝점을 상기 지지점으로 하고, 상기 애자련의 다른 끝단, 상기 전력선의 임의의 두 지점을 포함한 네 지점의 좌표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전철탑의 위치, 상기 전력선의 이도 및 장력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이도 및 장력을 기반으로 상기 전력선의 열화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전력선의 유지보수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
  10. 전력선이 연결되는 송전철탑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서, 측정기를 통해 지지점을 포함한 복수의 측정위치에 대한 좌표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측정위치의 좌표값을 기반으로 측정위치 간 거리차와 높이차를 연산하는 단계;
    임의의 장력을 설정하고 상기 거리차와 상기 높이차가 적용되는 곡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곡선을 기반으로 두 지점의 높이차를 계산하고 측정된 높이차와 비교하여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값이 오차범위 내에 포함되는 최종곡선을 도출하여 상기 전력선에 대한 이도와 장력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도 측정장치의 측정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값이 상기 오차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적용된 장력을 최종 장력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장력이 적용된 카테나리 곡선을 기준으로 이도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도 측정장치의 측정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값이 상기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위치 또는 장력을 변경하여 상기 차이값을 재산출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도 측정장치의 측정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값을 재산출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높이차가 상기 측정된 높이차 보다 크면 장력을 변경하고, 위치를 최저점부터 순차적으로 대입하여 상기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높이차가 상기 측정된 높이차 미만이면 위치를 증가시켜 상기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도 측정장치의 측정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값을 재산출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는,
    상기 송전철탑과 연결되는 상기 전력선의 두 지지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의 기울기와 동일한 법선 기울기를 갖는 지점을 기준점으로 상기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도 측정장치의 측정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은, 카테나리 곡선의 식을 미분한 수식을 기반으로 수치해석 방법을 적용하여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도 측정장치의 측정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은, 상기 송전철탑에 적용된 최대 수평장력과, 상기 전력선의 이도 설계 시 연속운전온도에서의 장력의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도 측정장치의 측정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철탑의 위치, 상기 전력선의 이도 및 장력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이도 및 장력을 기반으로 상기 전력선의 열화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전력선의 유지보수를 관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도 측정장치의 측정방법.
KR1020220028388A 2022-03-04 2022-03-04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20230131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388A KR20230131026A (ko) 2022-03-04 2022-03-04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388A KR20230131026A (ko) 2022-03-04 2022-03-04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026A true KR20230131026A (ko) 2023-09-12

Family

ID=88019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388A KR20230131026A (ko) 2022-03-04 2022-03-04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102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916B1 (ko) 2020-05-21 2022-02-03 한국전력공사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916B1 (ko) 2020-05-21 2022-02-03 한국전력공사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이도 측정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40494B1 (en) Path planning method for substation inspection robot
CN111339692B (zh) 基于激光点云数据的电力线弧垂确定方法及装置
CN111121645B (zh) 一种高精度的架空输电导线弧垂检测方法
KR101007503B1 (ko) 송전선로 이도 측정 방법
KR101552589B1 (ko)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가공철탑전선의 이도, 실장 관측 및 산출방법
EP3396348B1 (en) Method for determining additional mechanical loads of a tramsmission power line conductor
JP6265634B2 (ja) 路面補修支援装置、路面補修支援プログラム、及び路面補修支援方法
US11823330B2 (en) Detection device, detection method and detection program for linear structure
US201300666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line rating of a transmission line
CN110908014B (zh) 舞动精细化订正预报方法及系统
EP3832584A1 (en) Operation assistance module, image generation application, and work machine
CN108426535B (zh) 一种狭长型构筑物实时变形监测系统及方法
CN115839692B (zh) 一种用于收敛、沉降监测的阵列式位移计监测方法及系统
CN205300569U (zh) 隧道变形监测设备和系统
CN104980212B (zh) 具有自学习功能的光纤故障检测系统和方法
CN110160492B (zh) 一种输电塔的倾斜监测方法及装置
CN112697083A (zh) 基于平滑曲线拟合的弧垂测量方法、装置、设备和介质
KR20230131026A (ko) 전력선의 이도 측정장치 및 그 방법
CN114241266A (zh) 一种光缆智能预警的处理方法及系统
CN111257622A (zh) 基于秋千法的带电作业入场位置的确定方法及装置
CN114387176B (zh) 一种输电线路多分裂导线激光扫描点云去噪方法
CN114543699A (zh) 基于无人机高精度三维建模的输电线路弧垂测量方法
CN116086429A (zh) 地图更新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156561B2 (ja) 性能情報サーバ、作業機表示操作アプリケーション、機種情報の提供方法、機種情報の取得方法、及び機種情報取得システム
KR102285667B1 (ko) Gis를 활용한 송전선로 경과지 선정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