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3144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3144A
KR20210143144A KR1020210157359A KR20210157359A KR20210143144A KR 20210143144 A KR20210143144 A KR 20210143144A KR 1020210157359 A KR1020210157359 A KR 1020210157359A KR 20210157359 A KR20210157359 A KR 20210157359A KR 20210143144 A KR20210143144 A KR 20210143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machine room
heat exchange
header pipe
h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7027B1 (ko
Inventor
서준우
김수청
배정욱
배일성
서국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43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8F2009/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ometry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 본체에서 저장실과 분리되어 형성되는 기계실, 기계실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기 및 응축기를 포함하고, 저장실에 냉기를 제공하는 냉기 생성 유닛을 포함하되, 응축기는 기계실의 후면과 마주하는 제1 응축부와 제1 응축부로부터 벤딩되어 기계실의 제1 측면과 마주하는 제2 응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저장하는 저장실과, 냉동 사이클을 통해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생성 유닛을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가전 기기이다.
냉기 생성 유닛은 냉동 사이클을 구동하여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한다. 냉기 생성 유닛은 기상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 기구와, 액상의 냉매를 증발시켜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응축기는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기상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시키면서 외부로 방열한다. 응축기의 방열로 인하여 응축기 주변의 공기 온도가 상승한다. 따라서 냉기 생성 유닛은 응축기 주변의 고온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응축기로 유입하기 위해 송풍팬을 더 포함한다.
응축기는 냉장고에서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적이므로, 다양한 위치와 형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응축기는 저장실과 분리 구획된 기계실에 설치되나, 기계실로 유입된 공기가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공기의 압력 강하 및 공기 저항 등으로 응축기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냉기 생성 유닛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응축기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열교환핀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응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응축기가 배치되는 기계실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서 상기 저장실과 분리되어 형성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기 및 응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제공하는 냉기 생성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응축기는 상기 기계실의 후면과 마주하는 제1 응축부와 상기 제1 응축부로부터 벤딩되어 상기 기계실의 제1 측면과 마주하는 제2 응축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계실은 후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유입구는 후방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응축부와 중첩되는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는 상기 제2 응축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기계실의 전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제3 응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은 전면 하방에 공기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유입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3 응축부와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는 상기 기계실의 제2 측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냉기 생성 유닛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응축기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측면에서 상기 제2 측면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는 상기 제1 응축부와 상기 제2 응축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냉기 생성 유닛은 상기 응축기의 측방에 설치되고, 상기 응축기 주변의 공기를 타측으로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은 저면에 상기 응축기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응축기의 일측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홈에 상기 응축기와 접촉되는 고정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은 상기 저장실에서 발생되는 제상수가 이동되는 제상수 파이프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상수 파이프를 통해 이동된 제상수와 상기 응축기의 접촉을 차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상수가 상기 고정 부재의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 제상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는 평행류 응축기(parallel flow condenser)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서 상기 저장실과 분리되어 형성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 내부에 배치되는 응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제공하는 냉기 생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는 냉매가 출입되는 인렛 파이프와 아웃렛 파이프를 포함하는 헤더 파이프, 내부에 상기 냉매가 이동되도록 상기 인렛 파이프와 상기 아웃렛 파이프를 연결하고, 상기 헤더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튜브 및 상기 복수개의 튜브 사이에 각각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열교환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튜브 중 양단에 배치된 제1 튜브 및 제2 튜브 중 적어도 하나는 그 폭이 상기 열교환핀의 폭과 같거나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튜브와 상기 제2 튜브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3 튜브는 그 폭이 상기 열교환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상기 응축기는 상기 기계실의 후방에 형성된 외기 유입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 열교환부, 상기 기계실의 전방에 형성된 외기 유입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 열교환부 및 상기 제1 열교환부와 상기 제2 열교환부가 연결되도록 벤딩된 형상을 가지는 제3 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기 유입부는 상기 기계실의 후면 일측에 형성된 제1 유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은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기계실을 구획하는 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와 결합되고 상기 기계실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의 하부 일측에서 상기 전면 커버를 향하여 연장되는 저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외기 유입부는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저면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마련되는 제2 유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기 유입부는 상기 저면 플레이트의 전방 일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을 포함하는 제3 유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생성 유닛은 상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기계실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와 상기 응축기는 상기 기계실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응축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응축기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응축기의 내측과 외측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렛 파이프와 상기 아웃렛 파이프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는 헤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더 결합부는 상기 헤더 파이프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과, 일측에 상기 제3 튜브가 배치되도록 형성된 개구와, 상기 제3 튜브의 하단에 배치된 상기 제2 튜브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고정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더 결합부는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헤더 결합부 사이에서 상기 응축기의 일부를 파지하여 고정시키도록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기 생성 유닛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응축기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응축기에 포함된 열교환핀이 튜브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고, 복수개의 튜브 중 상단과 하단을 열교환핀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제공하여 응축기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측이 벤딩되어 제공되는 평행류 응축기(parallel flow condenser)를 이용하여 기계실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외기가 응축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서 응축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후면에서 기계실 및 냉기 생성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기계실의 내부에 배치된 냉기 생성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냉기 생성 유닛이 기계실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기계실에 결합된 냉기 생성 유닛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응축기를 고정하는 응축기 지지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응축기 지지 부재에 응축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냉장고의 후방에서 바라본 기계실 및 냉기 생성 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기계실의 내부에 배치된 냉기 생성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기계실 및 냉기 생성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기계실 및 냉기 생성 유닛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선 A-A'에서 바라본 응축기를 포함한 기계실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냉기 생성 유닛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의 X 영역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의 응축기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응축기의 단면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1의 냉기 생성 유닛의 응축기를 고정하는 헤더 결합부와 고정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지지 부재에 지지되는 응축기가 헤더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기계실 및 냉기 생성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기계실 및 냉기 생성 유닛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기계실 및 냉기 생성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기계실 및 냉기 생성 유닛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본체(10)와, 저장실(20)과, 그리고 도어(3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외상(11)과 내상(13)을 포함한다. 외상(11)은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한다. 외상(11)은 내구성과 미감이 뛰어난 금속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내상(13)은 외상(11)의 내측에 위치한다. 내상(13)은 저장실(20)의 외관을 형성한다. 내상(13)은 플라스틱 재질을 갖고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내상(11)과 외상(13) 사이에는 저장실(20)의 냉기 유출을 방지하도록 단열재가 발포된다.
저장실(20)은 식품을 출납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된다. 일 예에 의하면, 저장실(20)은 격벽(17)에 의해 복수개의 저장실(20)로 구획될 수 있다.
격벽(17)에 의해 복수개로 구획되는 저장실(20)은 상부 저장실(21)과 하부 저장실(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저장실(21)과 하부 저장실(23)은 제1 격벽(17a)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하부 저장실(23)은 제2 격벽(17b)에 의해 좌측 저장실(23a)과 우측 저장실(23b)로 구획될 수 있다.
저장실(20)은 냉장실과 냉동실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 상부 저장실(21)이 냉장실로 제공되고 하부 저장실(23)이 냉동실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부 저장실(21)이 냉동실로 제공되고 하부 저장실(23)이 냉장실로 제공될 수도 있다. 냉동실은 대략 영하 20℃ 로 유지될 수 있고, 냉장실은 대략 영상 3℃ 로 유지될 수 있다. 냉동실과 냉장실은 제1 격벽(17a)에 의해 단열될 수 있다.
저장실(20)은 내부에 선반(25) 및 저장 용기(27)가 설치될 수 있다.
선반(25)은 저장실(20)에 저장되는 음식물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선반(25)은 저장실(20)마다 각각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선반(25)은 저장실(20)에서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저장 용기(27)는 박스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저장 용기(27)는 밀폐된 내부 공간에 음식물이 저장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저장실(20)은 도어(30)에 의해 개폐된다. 도어(30)는 저장실(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 저장실(21)과 하부 저장실(23)은 각각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도어(31)와 하부 도어(33)에 의해 개폐된다. 상부 도어(31)와 하부 도어(33)는 각각 양문형 도어로 제공될 수 있다.
상부 도어(31)와 하부 도어(33)의 배면에는 음식물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복수개의 도어 가드(35)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후면에서 기계실 및 냉기 생성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기계실의 내부에 배치된 냉기 생성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냉기 생성 유닛이 기계실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기계실에 결합된 냉기 생성 유닛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본체(10) 내부에 기계실(40)이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40)은 본체(10)의 후방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기계실(40)은 본체(10)의 후면을 따라 양측면까지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계실(40)은 저장실(20)과 분리되어 구획될 수 있다. 기계실(40)은 내부에 후술하는 냉기 생성 유닛(50)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기계실(40)은 후면 커버(42)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 커버(42)는 기계실(40)의 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면 커버(42)는 기계실(4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41a)과 기계실(4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제1 유출구(46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입구(41a)와 제1 유출구(46a)는 각각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유입구(41a)와 제1 유출구(46a)는 후면 커버(42)에서 각각 상이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40)은 제2 유입구(4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입구(41b)는 기계실(40)의 전면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유입구(41b)는 기계실(4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고, 본체(10)의 저면으로부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유입구(41b)는 복수개의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40)은 제2 유출구(46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출구(46b)는 기계실(40)의 전면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유출구(46b)는 기계실(4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고, 본체(10)의 저면으로 기계실(40) 내부 공기를 유출하는 통로로서 마련될 수 있다. 제2 유출구(46b)는 제2 유입구(41b)와 상이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계실(40)은 양측면(43b, 44b)에 각각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유입구(41a)와 제2 유입구(41b)가 위치하는 제1 측면(43b)에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제1 유출구(46a)와 제2 유출구(46b)가 위치하는 제2 제2 측면(44b)에는 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계실(40)의 양측면(43b, 44b)에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냉장고(1)는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생성 유닛(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기 생성 유닛(50)은 압축기(51), 응축기(60), 팽창 밸브(미도시), 그리고 증발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냉기 생성 유닛(50)은 압축기(51), 응축기(60), 팽창 밸브, 그리고 증발기를 이용하여 냉동 사이클을 가동하고, 이를 통하여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압축기(51)는 냉매를 고온 고압 상태로 압축한다. 압축기(51)는 외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전기 모터 등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기상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할 수 있다. 압축기(51)는 응축기(60)와 연결되고,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60)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압축기(51)는 기계실(4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압축기(51)는 냉매를 압축시켜 응축기로 밀어 내면서 압축, 응축, 팽창, 증발의 냉동 사이클을 가동시킨다. 따라서, 압축기(51)가 가동되면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저장실(20)로 공급된다.
응축기(60)는 압축기(51)로부터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응축시킨다. 응축기(60)는 냉매를 응축시키면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한다. 응축기(60)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 밸브로 이동된다.
응축기(60)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 밸브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가 된다. 액상의 냉매는 팽창 밸브를 통과하여 증발기로 이동된다.
증발기는 팽창 밸브를 통과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를 증발시킨다. 증발기는 액체 냉매가 증발되면서 주위의 기체와 열교환이 진행된다. 액체 냉매는 증발되면서 주면의 잠열을 흡수하고, 이로 인하여 증발기 주변의 기체가 냉각되면서 냉기를 생성한다. 완전히 증발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51)로 공급되어 냉각 사이클이 순환한다.
냉기 생성 유닛(50)은 일부 구성이 기계실(4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압축기(51)와 응축기(60), 그리고 송풍팬(53)이 기계실(4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60)는 기계실(40) 내부의 엣지 영역을 따라 벤딩(bending)되어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응축기(60)는 제1 응축부(60a), 제2 응축부(60b), 그리고 제3 응축부(6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응축부(60a)는 기계실(40)의 후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응축부(60a)는 제1 영역(A1)의 엣지 영역에서 후면 커버(42)를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응축부(60a)는 후면 커버(42)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응축부(60a)는 후면 커버(42)에 마련된 제1 유입구(41a)의 일부와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응축부(60a)는 전면이 제1 유입구(41a)와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유입구(41a)를 통해 기계실(4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제1 응축부(60a)와 접촉되면서 열교환이 진행될 수 있다.
제2 응축부(60b)는 제1 응축부(60a)의 일측으로부터 벤딩되어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응축부(60b)는 기계실(40)의 제1 제1 측면(43b)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응축부(60b)는 기계실(40)의 제1 제1 측면(43b)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응축부(60b)는 기계실(40) 측면 엣지 영역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응축부(60b)는 기계실(40)의 제1 제1 측면(43b)에 형성된 유입구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응축부(60b)는 기계실(40)의 제1 제1 측면(43b)에 형성된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외기와 열교환이 진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응축부(60b)는 제1 유입구(41a) 또는 제2 유입구(41b)를 통하여 기계실(4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이 진행될 수 있다.
제3 응축부(60c)는 제2 응축부(60b)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3 응축부(60c)는 기계실(40)의 전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3 응축부(60c)는 제1 응축부(60a)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3 응축부(60c)는 제1 응축부(60a)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3 응축부(60c)는 제2 유입구(41b)의 일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3 응축부(60c)는 제2 유입구(41b)를 통하여 기계실(4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접촉되어 열교환이 진행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응축기(60)는 평행류 응축기(parallel flow condenser)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류 응축기(60)는 양단에 각각 제공되는 헤더 파이프(header pipe, 65)와, 양측의 헤더 파이프(65)를 연결하고, 냉매가 이동되는 통로로서 제공되는 복수개의 튜브(tube, 66), 그리고 복수개의 튜브(66)와 접촉되어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이 진행되는 복수개의 핀(fin, 67)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응축기(60)는 상술한 평행류 응축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평행류 응축기(60)는 복수개의 튜브(66)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튜브(66)는 상호간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튜브(66)는 헤더 파이프(65)에 전달된 냉매가 순환되면서 열교환이 진행될 수 있다. 압축기(51)와 연결된 연결관(55)이 제1 응축부(60a)에 위치한 헤더 파이프(65)의 상부 일측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튜브(66) 사이의 공간에는 복수개의 핀(67)이 위치할 수 있다. 핀(67)은 복수개의 튜브(66) 사이의 공간에서 상부의 튜브(66)와 하부의 튜브(66)가 모두 접촉될 수 있도록 복수회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핀(67)은 절곡되는 간격이 좁게 형성되어, 핀(67)과 공기가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핀(67)과 공기가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되면서 응축기(60)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핀(67)은 상부에서 바라볼 때 튜브(66)의 외측으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핀(67)은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서 응축기(60)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기계실(40)은 저면 일측에 형성된 고정 부재(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45)는 응축기(60)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45)는 응축기(6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 부재(45)는 내부에 고정홈(45a)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45a)은 응축기(60)의 하부 일측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홈(45a)은 고정 부재(4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홈(45a)은 내측에 삽입된 응축기(6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부재(45)는 고정홈(45a)이 기계실(40)의 바닥면으로부터 분리되어 구획될 수 있다. 고정 부재(45)는 고정홈(45a)에 삽입되는 응축기(60)를 기계실(40)의 바닥면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고정 부재(45)는 응축기(60)의 하부를 둘러싸는 격벽이 기계실(40) 저면에 제공되는 제상수가 응축기(60)와 접촉되지 않도록 차단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고정 부재(45)는 응축기(60)가 제상수와 접촉되어 발생될 수 있는 응축기(6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 부재(45)는 고정부(4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45b)는 고정홈(45a)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45b)는 고정홈(45a)에 삽입되는 응축기(60)의 저면을 파지하여 응축기(6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부재(45)는 고정홈(45a)에 응축기(60)의 하부가 삽입되고, 고정홈(45a)에 삽입된 응축기(60)의 일측을 고정부(45b)가 파지하여 응축기(6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45b)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45b)는 응축기(6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완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고정부(45b)는 응축기(6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45b)는 고정홈(45a)에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40)은 일측에 제상수 파이프(48)가 형성될 수 있다. 제상수 파이프(48)는 저장실(20) 등에서 생성된 제상수를 기계실(40)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냉장고에서 발생된 제상수는 제상수 파이프(48)를 통해 기계실(40) 바닥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기계실(40)은 고정 부재(45)가 마련되어, 기계실(40) 바닥면으로 이동된 제상수와 응축기(60)가 접촉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고정 부재(45)는 일측에 제상수 유로(49)가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상수 유로(49)는 일부가 벤딩된 형상을 가지는 고정 부재(45)의 내측과 외측으로 제상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상수 유로(49)는 고정 부재(45)의 저면에 형성되고, 응축기(60)와 접촉이 차단되도록 분리되어 구획될 수도 있다. 또한, 제상수 유로(49)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응축기(60)는 기계실(40)의 제1 영역(A1)에 위치할 수 있다. 압축기(51)는 기계실(40)에서 응축기(60)와 상이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압축기(51)는 기계실(40)의 제2 영역(A2)에 위치할 수 있다. 송풍팬(53)은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의 경계에 위치할 수 있다. 송풍팬(53)은 기계실(40) 내부의 공기가 제1 영역(A1)에서 제2 영역(A2)으로 송풍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응축기(60)가 제2 영역(A2)에 마련되고, 압축기(51)가 제1 영역(A1)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송풍팬(53)은 기계실(40) 내부의 공기가 제2 영역(A2)에서 제1 영역(A1)으로 송풍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응축기를 고정하는 응축기 지지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응축기 지지 부재에 응축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하면, 기계실(40)에는 응축기(70)를 지지하는 응축기 지지 부재(70)가 마련될 수 있다.
응축기 지지 부재(70)는 응축기(60)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응축기 지지 부재(70)는 도 7의 고정 부재(45)와 달리 응축기(60)를 기계실(40)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응축기 지지 부재(70)는 기계실(40)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응축기 지지 부재(70)는 상면이 응축기(6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응축기 지지 부재(70)는 응축기(60)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해 상부에서 바라볼 때 응축기(60)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 지지 부재(70)는 일측에 유로 홈(71)이 형성될 수 있다. 유로 홈(71)은 기계실(40) 바닥면으로 이동된 제상수가 이동되는 통로로서 제공될 수 있다. 유로 홈(71)은 기계실(40) 바닥면의 제상수가 응축기 지지 부재(7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로 홈(71)은 응축기 지지 부재(70)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유로 홈(71)은 응축기 지지 부재(70)에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응축기 지지 부재(70)는 상면에 응축기(60)를 고정시키는 응축기 고정부(73)가 설치될 수 있다. 응축기 고정부(73)는 응축기(60)의 헤더 파이프(65)의 하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응축기 고정부(73)는 응축기(60)의 헤더 파이프(65)가 결합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응축기(60)는 응축기 지지 부재(70)의 상부에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응축기(60)가 마련된 기계실 내부에서 응축기(60)가 열교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유입구(41)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기계실(4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외부 공기는 본체(10) 후면으로부터 제1 유입구(41a)를 통하여 기계실(40) 내부로 유입되고, 본체(10) 저면으로부터 제2 유입구(41b)를 통하여 기계실(4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유입구(41a) 또는 제2 유입구(41b)를 통하여 기계실(40) 내부로 유입된 외기는 응축기(60)와 접촉되어 열교환이 진행된다. 응축기(60)는 기계실(40)의 제1 영역(A1)의 엣지 영역에 배치되므로, 제1 유입구(41a) 또는 제2 유입구(41b)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응축기(60)의 일측면을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진행될 수 있다.
응축기(60)는 열교환이 진행되는 복수개의 핀(67)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있으므로, 응축기(60)를 통과하는 공기에 발생되는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핀(67)을 통과하여 온도가 상승된 공기가 다른 핀(67)과 접촉되어 열교환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평행류 응축기(parallel flow condenser)는 상술한 구성으로 인하여 일반적인 응축기보다 열교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응축기(60)의 구성 및 응축기(60)를 포함하는 기계실(40) 내부의 냉기 생성 유닛(50)의 배치를 통하여 동일한 응축기(60)를 이용한 경우보다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열교환이 진행된 공기는 송풍팬(53)에 의해 제2 영역(A2)으로 이동된다. 제2 영역(A2)으로 이동된 공기는 제1 유출구(46a) 또는 제2 유출구(46b)를 통하여 기계실(40)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냉장고의 후방에서 바라본 기계실 및 냉기 생성 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기계실의 내부에 배치된 냉기 생성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기계실 및 냉기 생성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기계실 및 냉기 생성 유닛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의 선 A-A'에서 바라본 응축기를 포함한 기계실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1의 냉기 생성 유닛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도 14의 X 영역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본체(10) 내부에 기계실(140)이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140)은 본체(10)의 후방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기계실(140)은 본체(10)의 후면을 따라 양측면까지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계실(140)은 저장실과 분리되어 구획될 수 있다. 기계실(140)은 내부에 후술하는 냉기 생성 유닛(150)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기계실(140)은 전면 커버(141)와, 후면 커버(142)와, 측면 커버(143)와, 저면 플레이트(144)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140)은 전면 커버(141)와, 후면 커버(142)와, 측면 커버(143)와, 저면 플레이트(144)가 결합된 내부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 커버(141)는 본체(10) 내부에서 기계실(140)을 구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면 커버(141)는 기계실(140)의 전면과 상면을 형성하도록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후면 커버(142)는 전면 커버(141)와 결합되어 기계실(14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후면 커버(142)는 외기 유입부와 외기 유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외기 유입부는 후면 커버(142)의 일측에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제1 유입부(14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입부(142a)는 후술하는 응축기(160)의 일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외기 유출부는 제1 유입부(142a)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외기 유출부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제1 유출부(142b)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커버(141)와 후면 커버(142) 사이에는 측면 커버(143)와 저면 플레이트(144)가 결합될 수 있다. 측면 커버(143a, 143b)는 전면 커버(141)와 후면 커버(142)의 양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측면 커버(143a, 143b)에도 외기 유입부와 외기 유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저면 플레이트(144)는 기계실(14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저면 플레이트(144)는 후면 커버(142)로부터 전면 커버(141)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 플레이트(144)의 전단은 전면 커버(141)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저면 플레이트(144)와 전면 커버(141) 사이에 형성된 공간(141a)은 기계실(140) 내부로 공기가 출입되는 외기 유입부와 외기 유출부로 마련될 수 있다. 저면 플레이트(144)와 전면 커버(141) 사이에 형성된 공간(141a)은 전면 커버(141)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저면 플레이트(144)와 전면 커버(141) 사이에 형성된 공간(141a)은 기계실(140)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제2 유입부(141a)로 제공될 수 있다.
저면 플레이트(144)는 제3 유입부(144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 플레이트(144)는 전방 일측에 제3 유입부(144a)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유입부(144a)는 복수개의 홀로 제공될 수 있다. 제3 유입부(144a)는 응축기(160)와 근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저면 플레이트(144)는 제3 유입부(144a)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3 유출부(144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기계실(140)은 제상수 파이프(148)의 일측이 설치될 수 있다. 제상수 파이프(148)는 일측이 기계실(140)에 위치하고, 타측이 저장실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상수 파이프(148)는 저장실의 증발기 등에서 발생된 제상수가 기계실(140)로 이동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기계실(140)은 저면에 응축기(160)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격벽(149)이 마련될 수 있다. 격벽(149)의 내측에는 응축기(160)와 송풍팬(153)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생성 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기 생성 유닛(150)은 압축기(151), 응축기(160), 팽창 밸브(미도시), 그리고 증발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냉기 생성 유닛(150)은 압축기(151), 응축기(160), 팽창 밸브, 그리고 증발기를 이용하여 냉동 사이클을 가동하고, 이를 통하여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압축기(151)는 냉매를 고온 고압 상태로 압축한다. 압축기(151)는 외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전기 모터 등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기상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할 수 있다. 압축기(151)는 응축기(160)와 연결되고,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160)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압축기(151)는 기계실(14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압축기(151)는 냉매를 압축시켜 응축기로 밀어 내면서 압축, 응축, 팽창, 증발의 냉동 사이클을 가동시킨다. 따라서, 압축기(151)가 가동되면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면서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저장실로 공급될 수 있다. 압축기(151)와 응축기(160)는 연결관(155)을 통해 연결되어 냉매가 이동될 수 있다.
응축기(160)는 압축기(151)로부터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응축시킨다. 응축기(160)는 냉매를 응축시키면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한다. 응축기(160)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 밸브로 이동된다.
응축기(160)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 밸브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가 된다. 액상의 냉매는 팽창 밸브를 통과하여 증발기로 이동된다.
증발기는 팽창 밸브를 통과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를 증발시킨다. 증발기는 액체 냉매가 증발되면서 주위의 기체와 열교환이 진행된다. 액체 냉매는 증발되면서 주면의 잠열을 흡수하고, 이로 인하여 증발기 주변의 기체가 냉각되면서 냉기를 생성한다. 완전히 증발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151)로 공급되어 냉동 사이클이 순환한다.
냉기 생성 유닛(150)은 일부 구성이 기계실(14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압축기(151)와 응축기(160), 그리고 송풍팬(153)이 기계실(14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160)는 기계실(140) 내부의 후면(142)과 측면(143b) 그리고 전면(141)을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응축기(160)는 기계실(140) 내부의 측면을 따라 벤딩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응축기(160)는 기계실(140)에 형성된 외기 유입부(141a, 142a, 144a)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160)는 제1 열교환부(160a), 제2 열교환부(160c), 그리고 제3 열교환부(16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교환부(160a)는 기계실(140)의 후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열교환부(160a)는 기계실(140)의 제1 영역(A1)의 엣지 영역에서 후면 커버(142)를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열교환부(160a)는 후면 커버(142)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열교환부(160a)는 후면 커버(142)에 마련된 제1 유입구(142a)의 일부와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열교환부(160a)는 전체 영역이 제1 유입구(142a)와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유입구(142a)를 통해 기계실(14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제1 열교환부(160a)와 접촉되면서 열교환이 진행될 수 있다.
제2 열교환부(160c)는 기계실(140)의 전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열교환부(160c)는 제1 열교환부(160a)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열교환부(160c)는 제1 열교환부(160a)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열교환부(160c)는 제2 유입구(141a)의 일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열교환부(160c)는 제2 유입구(141a)를 통하여 기계실(14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접촉되어 열교환이 진행될 수 있다. 제2 열교환부(160c)는 제3 유입부(144a)와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제3 열교환부(160b)는 제1 열교환부(160a)와 제2 열교환부(160c)가 연결되도록 벤딩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3 열교환부(160b)는 기계실(140)의 후방과 전방에 각각 배치된 제1 열교환부(160a)와 제2 열교환부(160c)를 연결하는 U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3 열교환부(160b)는 제1 영역(A1)의 측면 커버(143b)와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160)는 헤더 파이프(header pipe, 161)와, 튜브(163)와, 열교환핀(165)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기(160)는 복수개의 튜브(163)내에서 냉매가 평행하게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평행류 응축기(parallel flow condenser)로 제공될 수 있다.
헤더 파이프(161)는 냉매가 유입되는 인렛 파이프(161a)와 냉매가 유출되는 아웃렛 파이프(161b)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 파이프(161)는 내부로 냉매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일측에 결합된 튜브(163)로 냉매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렛 파이프(161a)는 연결관(155)를 통하여 압축기(151)와 연결되어, 압축기(151)에서 압축된 냉매가 인렛 파이프(161a)로 유입될 수 있다.
헤더 파이프(161)는 내부에 배플(baffle, 162)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플 유입부(161c, 161d, 161e)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헤더 파이프(161)는 상부 일측에 형성된 제1 배플 유입부(161c)와 하부 일측에 형성된 제2 배플 유입부(161d)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플 유입부(161c)와 제2 배플 유입부(161d)는 각각 배플(162)이 삽입되어 헤더 파이프(161)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배플 유입부(161c)와 제2 배플 유입부(161d) 사이에는 냉매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3 배플 유입부(161e)가 형성될 수도 있다.
튜브(163)는 인렛 파이프(161a)와 아웃렛 파이프(161b)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튜브(163)는 내부에 냉매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렛 파이프(161a)로 유입된 냉매가 튜브(163)를 통해 아웃렛 파이프(161b)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63)는 냉매가 이동되는 공간이 복수개로 구획된 멀티채널튜브로 제공될 수 있다.
튜브(163)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의 튜브(163)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튜브(163)는 기계실(140)의 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가지고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튜브(163)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중첩되는 위치에 마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핀(165)은 복수개의 튜브(163)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핀(165)은 복수개의 튜브(163)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핀(165)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된 튜브(163)에 접촉되도록 복수회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하여, 열교환핀(165)은 튜브(163)와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고, 기계실(140) 내부로 이동되는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핀(165)은 복수개의 튜브(163a, 163b, 163c) 중 일부 튜브(163c)보다 큰 폭(D3)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열교환핀(165)은 기계실(140)의 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튜브(163)의 일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5의 영역 B와 C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핀(165)은 응축기(16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열교환핀(165)은 응축기(16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복수개의 튜브(163)는 양단에 배치된 제1 튜브(163a)와 제2 튜브(163b) 그리고 제1 튜브(163a)와 제2 튜브(163b) 사이에 배치된 제3 튜브(16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튜브(163a)는 응축기(160)의 상단에 배치되고, 제2 튜브(163b)는 응축기(16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튜브(163a)와 제2 튜브(163b) 중 적어도 하나는 그 폭(D1)이 열교환핀(165)의 폭(D3)과 같거나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튜브(163a)는 그 폭(D1)이 열교환핀(165)의 폭(D3)과 같거나 넓게 형성되고, 제2 튜브(163b)는 그 폭(D1)이 열교환핀(165)의 폭(D3)과 같거나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튜브(163b)는 그 폭(D1)이 열교환핀(165)의 폭(D3)과 같거나 넓게 형성되고, 제1 튜브(163a)는 그 폭(D1)이 열교환핀(165)의 폭(D3)과 같거나 좁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튜브(163a)와 제2 튜브(163b)는 모두 그 폭(D1)이 열교환핀(165)의 폭(D3)과 같거나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튜브(163a)와 제2 튜브(163b)는 동일한 폭(D1)을 가질 수도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튜브(163a)와 제2 튜브(163b)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열교환핀(165)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튜브(163a)와 제2 튜브(163b)는 각각 응축기(160)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되어 열교환핀(165)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응축기(160)는 제1 튜브(163a)와 제2 튜브(163b) 대신에 제1 튜브(163a) 및 제2 튜브(163b)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보호 플레이트가 제공될 수도 있다. 보호 플레이트는 튜브(163)와 달리 내부에 냉매가 유동되지 않고, 보호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튜브(163)와 열교환핀(165)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보호 플레이트는 강성이 우수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3 튜브(163c)는 그 폭(D2)이 열교환핀(165)의 폭(D3)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교환핀(165)의 폭(D3)은 16mm로 형성되고, 제1 튜브(163a)와 제2 튜브(163b)의 폭(D1)은 16mm 이상으로 형성되고, 제3 튜브(163c)의 폭(D2)은 10mm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160)는 제한된 공간에서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열교환핀(165)의 면적을 증가시켜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제1 튜브(163a)와 제2 튜브(163b)가 돌출된 열교환핀(165)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7은 도 15의 응축기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의 응축기의 단면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응축기(160')는 헤더 파이프(161)와, 튜브(166)와, 열교환핀(167)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기(160')는 도 15의 응축기와 비교하여 튜브(166)와 열교환핀(167)이 상이하게 구성되고, 헤더 파이프(161)는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의 응축기와 상이한 구성에 대하여만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열교환핀(167)은 복수개의 튜브(166) 중 일부 튜브(166c)의 폭(D2)보다 큰 폭(D3)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핀(167)은 기계실(140)의 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튜브(166) 중 제3 튜브(166c)의 양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튜브(166)는 응축기(160') 양단에 배치된 제1 튜브(166a) 및 제2 튜브(166b)와, 제1 튜브(166a)와 제2 튜브(166b)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튜브(166c)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튜브(166a)와 제2 튜브(166b) 중 적어도 하나는 그 폭(D1)이 열교환핀(167)의 폭(D3)과 같거나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1 튜브(166a)와 제2 튜브(166b)는 모두 그 폭(D1)이 열교환핀(167)의 폭(D3)과 같거나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튜브(166a)와 제2 튜브(166b)는 동일한 폭(D1)을 가질 수도 있다.
열교환핀(167)은 그 폭(D3)이 제1 튜브(166a)와 제2 튜브(166b)의 폭(D1)과 같거나 좁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핀(167)은 그 폭(D3)이 제3 튜브(163c)의 폭(D2)보다 넓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교환핀(167)의 폭(D3)은 16mm로 형성되고, 제1 튜브(166a)와 제2 튜브(166b)의 폭(D1)은 16mm 이상으로 형성되고, 제3 튜브(166c)의 폭(D2)은 10mm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9는 도 11의 냉기 생성 유닛의 응축기를 고정하는 헤더 결합부와 고정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0은 도 19의 지지 부재에 지지되는 응축기가 헤더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기계실(140)의 저면에는 지지 부재(145)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145)는 응축기(160)를 지지하여, 응축기(160)가 기계실(140)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140)의 저면에는 제상수 파이프(148)에서 이동된 제상수가 제공되어, 응축기(160)의 부식 등 손상의 우려가 있다. 지지 부재(145)는 응축기(160)를 기계실(140)의 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응축기(160)의 부식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45)는 일측에 연결부(145a)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45a)는 응축기(160)의 내측과 외측을 연결하는 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145a)는 제상수가 응축기(160)의 내측과 외측을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45a)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 부재(145)는 응축기(160)를 고정시킬 수 있는 헤더 결합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 결합부(146)는 헤더 파이프(161)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헤더 파이프(161)에 대응되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헤더 결합부(146)는 헤더 파이프(161)가 결합된 상태에서 튜브(163)가 연장될 수 있도록 일측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응축기(160)의 하단에 배치된 제2 튜브(163b)는 제3 튜브(163c)보다 넓은 폭을 가지므로, 헤더 결합부(146)는 제2 튜브(163b)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 슬릿(146a)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슬릿(146a)은 헤더 결합부(146)의 하단에 형성되고, 제2 튜브(163b)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슬릿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헤더 결합부(146)는 헤더 파이프(161) 및 튜브(163)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145)는 응축기(16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1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147)는 응축기(160)의 일부를 파지하여 응축기(16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부재(147)는 제2 튜브(163b)의 일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47)는 제2 튜브(163b)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공간(147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47)는 제2 튜브(163b)가 삽입 공간(147a)에 삽입되면서 응축기(16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부재(47)는 지지 부재(145) 상면에서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제1 유입부(142a), 제2 유입부(141a), 제3 유입부(144a)를 통해 기계실로 유입된 공기가 응축기(16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진행된다. 응축기(160)는 튜브(163)와 접촉된 열교환핀(165)이 공기와 접촉되면서 열교환이 진행되며, 상술한 구성으로 인하여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열교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튜브(163a)와 제2 튜브(163b)가 돌출된 열교환핀(165)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튜브(163a)와 제2 튜브(163b)를 포함한 응축기(160)가 지지 부재(145)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냉장고의 기계실에 마련되는 냉기 생성 유닛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기계실 및 냉기 생성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기계실 및 냉기 생성 유닛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냉기 생성 유닛은 압축기(57), 응축기(60), 팽창 밸브(미도시), 그리고 증발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냉기 생성 유닛은 도 2의 냉기 생성 유닛(50)과 비교할 때 압축기(57)만이 상이하고, 그 외의 구성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의 냉기 생성 유닛(50)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압축기(57)는 응축기(60)와 함께 기계실(40)의 제1 영역(A1)에 위치할 수 있다. 압축기(57)는 응축기(60)의 제1 응축부(60a)와 제3 응축부(60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57)는 응축기(60)의 내측면으로 둘러싸인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57)가 응축기(6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함으로써 기계실(40)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압축기(57)와 응축기(60)가 모두 제1 영역(A1)에 위치하므로, 제2 영역(A2)을 활용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기계실 및 냉기 생성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기계실 및 냉기 생성 유닛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냉기 생성 유닛은 압축기(51), 응축기(70), 팽창 밸브(미도시), 그리고 증발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냉기 생성 유닛은 도 2의 냉기 생성 유닛(50)과 비교할 때 응축기(70)와 제2 유입구(41b)가 상이하고, 그 외의 구성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의 냉기 생성 유닛(50)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응축기(70)는 제1 응축부(70a)와 제2 응축부(7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응축부(70a)는 후면 커버(42)에 마련된 제1 유입구(41a)의 일부와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응축부(70a)는 전면이 제1 유입구(41a)와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유입구(41a)를 통해 기계실(4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제1 응축부(60a)와 접촉되면서 열교환이 진행될 수 있다.
제2 응축부(70b)는 제1 응축부(70a)의 일측으로부터 벤딩되어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응축부(70b)는 기계실(40)의 제1 제1 측면(43b)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응축부(70b)는 기계실(40)의 제1 제1 측면(43b)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응축부(70b)는 기계실(40) 측면 엣지 영역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응축기(70)는 도 2의 응축기(60)와 비교할 때 제3 응축부(60c)에 대응하는 부분이 생략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입구(41b)가 기계실(40)의 제1 제1 측면(43b)으로부터 제2 응축부(70b)와 마주하는 위치까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45)도 응축기(7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냉장고 10 : 본체
11 : 외상 13 : 내상
20 : 저장실 21 : 상부 저장실
23 : 하부 저장실 30 : 도어
31 : 상부 도어 33 : 하부 도어
140 : 기계실 141 : 전면 커버
142 : 후면 커버 143 : 측면 커버
144 : 저면 플레이트 145 : 지지 부재
146 : 헤더 결합부 147 : 고정 부재
150 : 냉기 생성 유닛 151 : 압축기
153 : 송풍팬 160 : 응축기
161 : 헤더 파이프 163 : 튜브
165 : 열교환핀

Claims (17)

  1.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서 상기 저장실과 분리되어 형성되고, 압축기, 응축기, 및 상기 압축기와 상기 응축기 사이에 위치하는 팬이 설치된 기계실;
    상기 기계실의 저면에 배치되며, 상기 응축기를 상기 기계실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키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저장실에서 발생되는 제상수를 상기 기계실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상수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응축기는,
    내부에 냉매가 흐르도록 마련되는 제1 헤더 파이프;
    내부에 냉매가 흐르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헤더 파이프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 헤더 파이프; 및
    상기 제1 헤더 파이프와 상기 제2 헤더 파이프를 연결하며, 벤딩된 부분을 갖는 복수의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상수 파이프는 상기 복수의 튜브의 벤딩된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수 파이프는 상기 기계실의 측면과 상기 응축기 사이에 위치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저면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팬 및 상기 제상수 파이프는 상기 격벽의 내측에 배치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더 파이프 및 상기 제2 헤더 파이프 중 하나는 상기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기계실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헤더 파이프 및 상기 제2 헤더 파이프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기계실의 전방에 배치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더 파이프 및 상기 제2 헤더 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에는 내부에 복수의 배플이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배플 중 적어도 하나는 냉매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상기 복수의 튜브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헤더 파이프 또는 상기 제2 헤더 파이프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열교환핀;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핀은 상기 복수의 튜브 중 적어도 하나의 튜브의 폭 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핀은 상기 복수의 튜브 중 적어도 하나의 튜브보다 상기 응축기의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튜브는 내부에 냉매가 흐르도록 구성되고,
    상기 열교환핀은 상기 복수의 튜브 사이에서 절곡 형성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복수의 튜브의 벤딩된 부분의 하단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열교환핀이 절곡됨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열교환핀의 일 부분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복수의 튜브의 벤딩된 부분의 하단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헤더 파이프의 하단에 결합하는 제1 헤더 결합부; 및
    상기 제2 헤더 파이프의 하단에 결합하는 제2 헤더 결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더 결합부의 적어도 일 부분이 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는 냉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헤더 결합부의 적어도 일 부분이 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는 냉장고.
  15. 제12항에 있어서,
    제1 헤더 결합부는,
    상기 제1 헤더 파이프의 하단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헤더 파이프와 인접한 상기 복수의 튜브의 일 부분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제2 헤더 결합부는,
    상기 제2 헤더 파이프의 하단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제3 결합부; 및
    상기 제2 헤더 파이프와 인접한 상기 복수의 튜브의 일 부분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4 결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제상수가 상기 응축기의 내측과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일 측으로부터 반대 측까지 연장되는 제상수 통로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210157359A 2014-09-05 2021-11-16 냉장고 KR102427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205 2014-09-05
KR20140119205 2014-09-05
KR1020210063568A KR102330102B1 (ko) 2014-09-05 2021-05-17 냉장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568A Division KR102330102B1 (ko) 2014-09-05 2021-05-17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144A true KR20210143144A (ko) 2021-11-26
KR102427027B1 KR102427027B1 (ko) 2022-07-29

Family

ID=55542181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124A KR102257475B1 (ko) 2014-09-05 2015-04-02 냉장고
KR1020210063698A KR102297419B1 (ko) 2014-09-05 2021-05-17 냉장고
KR1020210063568A KR102330102B1 (ko) 2014-09-05 2021-05-17 냉장고
KR1020210157359A KR102427027B1 (ko) 2014-09-05 2021-11-16 냉장고
KR1020210157338A KR102484415B1 (ko) 2014-09-05 2021-11-16 냉장고
KR1020220165219A KR102568955B1 (ko) 2014-09-05 2022-11-30 냉장고
KR1020230107071A KR20230126684A (ko) 2014-09-05 2023-08-16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124A KR102257475B1 (ko) 2014-09-05 2015-04-02 냉장고
KR1020210063698A KR102297419B1 (ko) 2014-09-05 2021-05-17 냉장고
KR1020210063568A KR102330102B1 (ko) 2014-09-05 2021-05-17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338A KR102484415B1 (ko) 2014-09-05 2021-11-16 냉장고
KR1020220165219A KR102568955B1 (ko) 2014-09-05 2022-11-30 냉장고
KR1020230107071A KR20230126684A (ko) 2014-09-05 2023-08-16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7) KR102257475B1 (ko)
AU (1) AU2015221576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481B1 (ko) * 2014-09-02 2021-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EP3593070B1 (en) * 2017-03-06 2022-04-06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JP2019086165A (ja) * 2017-11-01 2019-06-06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冷蔵庫
KR102155004B1 (ko) * 2018-02-08 2020-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열교환기
WO2020196935A1 (ko) * 2019-03-22 2020-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117241A (ko) 2019-04-03 2020-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84042A (ko) 2019-12-27 2021-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응축기
KR102406679B1 (ko) 2020-09-22 2022-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06029B1 (ko) 2020-10-05 2022-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751U (ko) * 1998-06-15 2000-01-15 전주범 냉장고의 응축기 고정장치
KR100756882B1 (ko) * 2006-04-14 2007-09-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제상수를 이용한 개량형 응축기
KR20070102190A (ko) * 2006-04-14 2007-10-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용 방열장치
KR20080079108A (ko) * 2007-02-26 2008-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증발기 장착구조
KR20140006680A (ko) * 2012-07-06 201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되는 열교환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87563A (en) * 1929-02-28 1932-11-15 Frigidaire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KR200344182Y1 (ko) * 1998-12-30 2004-04-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용 응축기의 냉각구조
AU759350B2 (en) * 1999-01-29 2003-04-10 L & M Radiator Inc. Support for heat exchanger tubes
JP2003004359A (ja) * 2001-06-22 2003-01-08 Hitachi Ltd 冷蔵庫
KR100488027B1 (ko) * 2002-08-27 200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기계실 구조
KR20060011502A (ko) * 2004-07-30 2006-02-03 한라공조주식회사 응축기와 오일쿨러 일체형 열교환기
KR101123715B1 (ko) * 2005-09-13 201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DE102006061084A1 (de) * 2006-12-22 2008-06-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lüssiger für ein Kältegerät
KR101954142B1 (ko) * 2010-07-20 2019-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239895B1 (ko) * 2011-03-02 2013-03-13 주식회사 고산 열교환기 고정용 고정브래킷
KR20130084179A (ko) * 2012-01-16 2013-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열교환기
KR20140006681A (ko) * 2012-07-06 201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열교환기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751U (ko) * 1998-06-15 2000-01-15 전주범 냉장고의 응축기 고정장치
KR100756882B1 (ko) * 2006-04-14 2007-09-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제상수를 이용한 개량형 응축기
KR20070102190A (ko) * 2006-04-14 2007-10-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용 방열장치
KR20080079108A (ko) * 2007-02-26 2008-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증발기 장착구조
KR20140006680A (ko) * 2012-07-06 201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되는 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684A (ko) 2023-08-30
KR102568955B1 (ko) 2023-08-23
KR20210143143A (ko) 2021-11-26
KR20220167260A (ko) 2022-12-20
KR102297419B1 (ko) 2021-09-03
AU2015221576B2 (en) 2016-09-15
KR20210058801A (ko) 2021-05-24
KR102330102B1 (ko) 2021-11-24
KR20210058804A (ko) 2021-05-24
KR102257475B1 (ko) 2021-05-31
AU2015221576A1 (en) 2016-03-24
KR102484415B1 (ko) 2023-01-04
KR102427027B1 (ko) 2022-07-29
KR20160029636A (ko)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7027B1 (ko) 냉장고
EP2993427B1 (en) Refrigerator
KR102103951B1 (ko) 냉장고
KR102326481B1 (ko) 냉장고
KR102025738B1 (ko)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되는 열교환기
US7950245B2 (en)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US10180276B2 (en) Refrigerator
EP3076107A1 (en) Refrigerator and heat exchanger used therein
KR101123715B1 (ko) 냉장고
JP2007078282A (ja) 冷蔵庫
KR20240041162A (ko) 냉장고
CN112601921B (zh) 冰箱
KR101573535B1 (ko) 냉장고
KR200350968Y1 (ko) 냉장고의 응축기
JP2005140359A (ja) 冷蔵庫
KR20070057402A (ko) 냉장고
KR200225865Y1 (ko) 냉장고의 기계실
KR20170115340A (ko) 냉장고
JP2023131655A (ja) 冷蔵庫
KR200293360Y1 (ko) 냉장고의 기계실
KR20110089573A (ko) 리턴덕트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080050138A (ko) 김치 냉장고의 냉각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