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029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029B1
KR102406029B1 KR1020200128040A KR20200128040A KR102406029B1 KR 102406029 B1 KR102406029 B1 KR 102406029B1 KR 1020200128040 A KR1020200128040 A KR 1020200128040A KR 20200128040 A KR20200128040 A KR 20200128040A KR 102406029 B1 KR102406029 B1 KR 102406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hose
machine room
holder
straight part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5383A (ko
Inventor
윤경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8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029B1/ko
Publication of KR20220045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having a single U-bend
    • F28D1/047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having a single U-bend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3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means to fix, clamp, or connect water pipes or evaporation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6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pipes or pip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온의 저장 공간과, 압축기가 배치되는 기계실을 각각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후방으로 개구된 상기 기계실 개구를 차폐하는 기계실 커버, 상기 기계실에 장착되는 베이스 팬, 상기 베이스 팬에 장착되는 응축기, 고내 제상수를 상기 베이스 팬에 안내하는 드레인 호스, 및 상기 드레인 호스의 고정을 위해, 상기 베이스 팬 일측에 형성되는 호스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드레인 호스는, 하측으로 볼록한 제1굽힘부와, 상측으로 볼록한 제2굽힘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인 냉장고의 구조에서, 냉동사이클의 구동을 위한 압축기와 응축기 등의 구성들이 배치되는 기계실이 저장 공간과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계실의 경우 내부의 공간이 비어 있고, 기계실 내부의 구성들의 냉각을 위해 다수의 냉각 공기의 유동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냉장고를 보면, 본체와,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과,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저장실의 후방에 마련되는 증발기와, 증발기 냉기를 저장실로 보내는 냉기팬과, 증발기에 마련되는 제상히터와, 증발기 하부에 마련되는 제상수받이와, 제상수받이에 연결되어 제상수받이에 모인 제상수를 냉장고 하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관과,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어 드레인 호스의 안내를 받아 이동하는 제상수를 포집하는 포집트레이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하에서 증발기에서 냉기 발산작용이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면 증발기에 서리가 형성되고, 이를 제거하기 위해 제상히터가 작동하여 서리를 녹이게 되면 제상수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제상수는 상기 제상수받이와 안내관를 거쳐 트레이로 배출되는 과정을 거친다.
일반적으로, 드레인 호스는 일자형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하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드레인 호스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드레인 호스가 일자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수평방향으로의 고정력은 확보되지만, 상하방향으로의 고정력은 약하기 때문에, 드레인 호스가 드레인 호스 고정부에서 기울어지거나,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드레인 호스의 회전동작에 대해서도, 고정력이 확보되지 않아, 드레인 호스가 드레인 호스 고정부에서 움직이는 문제도 있다.
또한, 일자형의 드레인 호스의 경우, 공기 역류 문제가 있어, 드레인 호스를 통해서 유입된 외기가 저장실로 유동하면서, 고내온도에 영향을 주는 문제도 있다.
또한, 드레인 호스를 통해서 유입된 외기가 증발기 주변으로 유동하면서, 냉각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도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6-002963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드레인 호스를 통해서, 고내 또는 증발기의 냉기가 유출되지 않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드레인 호스를 통해서, 외기가 고내 또는 증발기 주변으로 유입되지 않아, 고내 온도에 영향을 주거나 냉각성능을 떨어트리지 않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드레인 호스가 신축되면서, 완충작용을 하여, 드레인 호스가 기울어지거나 호스 고정부에서 이탈되지 않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드레인 호스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 및 회전하려는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드레인 호스의 조립 및 서비스가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온의 저장 공간과, 압축기가 배치되는 기계실을 각각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후방으로 개구된 상기 기계실 개구를 차폐하는 기계실 커버, 상기 기계실에 장착되는 베이스 팬, 상기 베이스 팬에 장착되는 응축기, 고내 제상수를 상기 베이스 팬에 안내하는 드레인 호스, 및 상기 드레인 호스의 고정을 위해, 상기 베이스 팬 일측에 형성되는 호스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드레인 호스는, 하측으로 볼록한 제1굽힘부와, 상측으로 볼록한 제2굽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호스는, 상하방향으로 신축되게 적어도 일부가 주름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호스는, 고내 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1직선부, 하단이 상기 제1굽힘부를 통해서, 상기 제1직선부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직선부와 나란하게 상측으로 연장된 제2직선부, 상단이 상기 제2굽힘부를 통해서, 상기 제2직선부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직선부와 나란하게 하측으로 연장된 제3직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스 고정부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중공의 형상을 갖고, 일측이 수평방향으로 개방되어 개구를 형성하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호 나란하게 적어도 2개 형성되고, 상기 제1직선부와 제2직선부와 제3직선부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홀더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제1홀더와 제2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 고정부는, 상기 제1홀더와 제2홀더 사이의 중간벽을 관통하는 중간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1굽힘부와, 제2굽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중간홀을 경유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중간홀 보다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팬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연장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호스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 팬과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팬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며, 상기 응축기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는, 상기 베이스 팬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헤더, 상기 베이스 팬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헤더와 전방으로 이격 구비되는 제 2 헤더, 상기 제 1 헤더 및 상기 제 2 헤더의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튜브, 및 서로 이격 배치된 상기 튜브들의 사이를 따라 배치되어 핀 개구를 형성하는 열교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는, 단부에 상기 제 1 헤더가 구비되는 제 1 직선부, 상기 제 1 직선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연장되며, 단부에 상기 제 2 헤더가 구비되는 제 2 직선부, 및 상기 제 1 직선부 및 상기 제 2 직선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드레인 호스를 통해서, 고내 또는 증발기의 냉기가 유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레인 호스를 통해서, 외기가 고내 또는 증발기 주변으로 유입되지 않아, 고내 온도에 영향을 주거나 냉각성능을 떨어트리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드레인 호스가 신축되면서, 완충작용을 하여, 드레인 호스가 기울어지거나 호스 고정부에서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레인 호스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 및 회전하려는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레인 호스의 조립 및 서비스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후면의 기계실이 개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기계실의 내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기계실의 공기 유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 기계실 내부 베이스 팬의 응축기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응축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드레인 호스의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7은 상기 기계실 내부 베이스 팬에 호스 고정부가 형성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호스 고정부가 형성된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드레인 호스가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후면의 기계실이 개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기계실의 내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기계실의 공기 유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상기 기계실 내부 베이스 팬의 응축기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후술하는 도어(20)측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기계실 개구(101a)를 차폐하는 기계실 커버(12)를 향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 공간은 상하 또는 좌우로 구획되어 다수의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온도로 냉각되어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는 다수의 저장 공간을 각각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또는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저장 공간을 독립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저장 공간이 상하로 구획되고, 상기 도어(20) 또한 상부 도어(21)와 하부 도어(22)로 구성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캐비닛(10)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101)와, 상기 아웃 케이스(101) 내측에서 상기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케이스(101)와 이너 케이스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채워지게 되어 상기 저장 공간이 단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후면 하단에는 기계실(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1)은 상기 저장 공간의 냉각을 위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구성들을 포함하여 다수의 전장 부품들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저장 공간과 구획되어 독립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1)은 외부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기계실(11) 내부의 구성들이 냉각 또는 열교환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기계실(11)의 바닥면은 바텀 플레이트(11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111)에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 공급하는 압축기(30)와, 상기 압축기(30)로부터 공급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를 방열시키는 응축기(50), 그리고, 상기 기계실(11) 내부의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 유닛(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30)와 응축기(50) 및 송풍팬 유닛(60)은 상기 바텀 플레이트(111)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 유닛(60)을 기준으로 상기 기계실(11)의 내부는 좌우로 구획될 수 있으며, 도 1을 기준으로 우측에 응축기(50)가 배치되고, 좌측에 압축기(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50)가 배치되는 우측의 영역은 외기가 흡입되는 흡입부(11a)라 할 수 있고, 상기 압축기(30)가 배치되는 좌측의 영역은 외기가 토출되는 토출부(11b)라 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1)의 후면에 형성되는 기계실 개구(101a)에는 기계실 커버(1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 커버(12)는 상기 기계실(11)의 후면 및 상기 냉장고(1)의 후면 일부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기계실 개구(101a)를 차폐하여 상기 기계실(11) 내부의 구성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 개구(101a)의 높이(H)는 상기 응축기(50)의 상단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계실(11)의 하면은 바텀 플레이트(111)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기계실(11)의 전면을 포함한 상면은 탑 플레이트(11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1) 개구의 높이(H)는 상기 바텀 플레이트(111) 후단과 상기 탑 플레이트(112) 후단의 사이 거리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응축기(50)의 높이와 같거나 사실상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계실 커버(12)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기계실 개구(101a)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응축기(50)는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인출입되면서 장착 및 분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응축기(50)는 상기 기계실 개구(101a)를 통해 분리 및 장착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계실 개구(101a)의 높이(H)는 실질적으로 상기 응축기(50)의 높이와 동일하여도 서비스를 위한 조립 및 분해 시 간섭되지 않고 상기 기계실(11)의 높이 및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응축기(50)의 분리 및 장착 구조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상기 기계실 커버(12)에는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21)와, 기계실(1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12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21)는 상기 응축기(5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토출구(122)는 상기 압축기(3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22)와 흡입구(122)는 다수의 홀들로 이루어진 그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흡입 및 토출되는 공기가 방향성을 가질 수 있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1)의 양측면과 대응하는 상기 캐비닛(10)의 양측면에는 캐비닛 흡입구(미도시)와 캐비닛 토출구(10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흡입구는 외기가 흡입되는 통로로 상기 흡입부(11a) 즉, 상기 응축기(50)가 배치되는 영역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토출구(101b)는 상기 기계실(1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로 상기 토출부(11b) 즉, 상기 압축기(30)가 배치되는 영역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텀 플레이트(111)의 좌우 양측면에는 기계실(11)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프레임(113)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113)에는 프레임 흡입구(113a)와 프레임 토출구(113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 흡입구(113a)는 상기 캐비닛 흡입구(미도시)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되어 서로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 토출구(113b)는 상기 캐비닛 토출구(101b)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되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텀 플레이트(111)에는 플레이트 흡입구(111a)와 플레이트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흡입구(111a)는 상기 흡입부(11a)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텀 플레이트(111)의 전단에 가로로 길게 배치될 수 잇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토출구(111b)는 상기 토출부(11b)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텀 플레이트(111)의 전단에 가로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기계실(11)의 내부는 전체적으로 상기 송풍팬 유닛(60)에 의해 좌우측에 각각 흡입부(11a)와 토출부(11b)가 배치되고 공기의 흡입과 토출이 입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응축기(50)를 기준으로 전방의 흡입구(121)와, 후방의 플레이트 흡입구(111a), 그리고 측방의 캐비닛 흡입구(미도시)를 통해서 외부 공기가 강제 흡입되어 상기 흡입부(11a) 내측으로 유입되며, 상기 흡입부(11a)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응축기(50)의 전면과 후면 측면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응축기(50)를 기준으로 전체 면에 걸쳐 고르게 외부 공기가 통과하게 되어 상기 응축기(50)의 효과적인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30)를 기준으로 전방의 토출구(122)와, 후방의 플레이트 토출구(111b), 그리고 측방의 캐비닛 토출구(101b)를 통해서 상기 기계실(11) 내부의 공기가 상기 압축기(30)를 냉각시킨 후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송풍팬 유닛(6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는 측방의 압축기(30)를 지나면서 상기 압축기(30)를 냉각시키고 상기 토출부(11b)의 전방 및 후방 그리고 측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송풍팬 유닛(60)의 동작에 의해 상기 흡입부(11a)로 외기가 입체적으로 공급되면서 상기 응축기(50)는 방열되고, 상기 압축기(30)를 입체적으로 냉각시킨 후 상기 토출부(11b)를 통해 외부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계실(11)의 내부에는 상기 냉장고(1)에 구비되는 아이스 메이커 또는 디스펜서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워터 밸브(7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5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증발을 위해 감압시키는 팽창수단(74)(팽창밸브, 전자 팽창밸브, 모세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바텀 플레이트(111)에는 상기 응축기(50)가 장착되는 베이스 팬(4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팬(40)의 수직 상방에는 상기 증발기 또는 상기 증발기가 배치된 공간에서 발생된 제상수를 상기 베이스 팬(40)으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호스(72,7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호스(72,73)는 증발기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팬(40)의 상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팬(40)은 상기 드레인 호스(72,73)에 의해 배출되는 제상수가 저장되므로 드레인 팬이라 부를 수도 있다.
상기 응축기(50)와 베이스 팬(40)은 상기 기계실(11)이 상기 캐비닛(10)에 조립 장착된 후에도 서비스를 위해 상기 기계실 개구(101a)를 통해서 용이하게 분리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응축기(50)와 상기 베이스 팬(40)은 상기 기계실 개구(101a)를 통해 전방을 향해 이동되면서 상기 기계실(11)을 출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계실(11)은 상기 응축기(50)와 송풍팬(62)의 분리 장착을 위한 별도의 여유 공간이 상방에 필요로 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기계실(11)을 최소 높이 및 최소 용적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베이스 팬(40)에는 상기 응축기(50)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45,46,47)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이가 협소한 상기 기계실(11)에서도 상기 응축기(50)를 매우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응축기(50)의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응축기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응축기(50)는 상기 흡입부(11a)의 전면과 후면 및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형상으로 벤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50)는 상기 기계실(11)의 후면 즉, 상기 기계실 커버 (12)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기계실 커버 (12)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1 직선부(501)와, 상기 제 1 직선부(501)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 1 직선부(501)와 나란히 배치되는 제 2 직선부(502), 그리고 상기 제 1 직선부(501)와 제 2 직선부(502)의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기계실(11)의 측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벤딩부(50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50)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팬(40)에서 상기 기계실(11)의 상단까지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부(11a)의 내측으로 각 방향에서 흡입되는 공기가 모두 상기 응축기(50)를 통과하여 상기 송풍팬 유닛(60)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응축기(50)는 한쌍의 제 1 헤더(53)와 제 2 헤더(55) 그리고 상기 제 1 헤더(53)와 제 2 헤더(55)의 사이를 연결하는 튜브(51) 그리고, 상하 배치되는 튜브(51)의 사이를 연결하는 열교환 핀(5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통상 마이크로 채널 응축기(micro channel condenser)라고 불리는 구조로 비교적 컴팩트한 크기로 구성되며 우수한 열교환 성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헤더(53)와 제 2 헤더(55)는 서로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동일한 높이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헤더(53)의 전방에 상기 제 2 헤더(55)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헤더(53)와 제 2 헤더(55)는 다수의 상기 튜브(51)들의 양단과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격벽이 형성되어 연결된 상기 다수의 튜브(51)들을 따라 유동되는 냉매의 유동 경로 결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헤더(53)에는 상기 응축기(50)측으로 냉매를 공급하는 입력 연결부(531)와, 상기 응축기(50) 측에서 냉매가 토출되는 출력 연결부(532)가 상하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 연결부(531)에는 상기 압축기(30)와 연결되는 입력관(54)이 연결되고, 상기 출력 연결부(532)에는 상기 팽창수단(74)과 연결되는 출력관(56)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연결부(531)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는 제 1 헤더(53)를 통해 다수의 상기 튜브(51)들을 지나 상기 제 2 헤더(55)로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헤더(55)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제 2 헤더(55)에 의해 방향 전화된 후 다수의 다른 상기 튜브(51)들을 지나 상기 제 1 헤더(53)로 유동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상기 출력 연결부(532) 및 출력관(56)을 통해 팽창수단(74)으로 향하게 된다.
상기 튜브(51)는 하나의 튜브(51)가 복수의 채널 또는 유로가 가로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단이 상기 제 1 헤더(53)와 제 2 헤더(55)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튜브(51)는 동일한 구조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헤더(53)와 제 2 헤더(55)를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연속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튜브(51)들의 사이 공간에는 상기 열교환 핀(5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핀(52)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속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튜브(51)들 사이 공간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핀(52)의 장착에 의해 상기 열교환 핀(52)의 절곡된 부분과 상기 튜브(51)들의 사이에는 핀 개구(521)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 핀(52)에 의해 형성되는 핀 개구(521)들을 통과하는 공기의 접촉 면적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튜브(51) 내부의 냉매와의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열교환 핀(52)은 상기 제 1 헤더(53)와 제 2 헤더(55)로부터 다소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 핀(52)의 양단은 상기 제 1 헤더(53)와 제 2 헤더(55), 열교환 핀(52) 그리고 상하 배치되는 튜브(51)에 의해 각각 제 1 구속구(511)와 제 2 구속구(5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속구(511) 및 제 2 구속구(512)는 후술하는 제 1 구속 돌기(463) 및 제 2 구속 돌기(453)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응축기(50)와 압축기(30)를 연결하는 입력관(54)은 다수회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응축기(50)가 벤딩되어 형성하는 내측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입력관(54)은 상기 압축기(30)로부터 상기 내측 공간의 바닥을 향하여 연장되는 입력관 연장부(543)와, 상기 입력관 연장부(543)의 단부에서 상기 베이스 팬(40)에 형성되는 집수 공간(433a)의 내측으로 연장된 하부 절곡부(542)와, 상기 하부 절곡부(542)의 단부와 상기 제 1 헤더(53)를 연결하는 상부 절곡부(5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관 연장부(543)는 상기 압축기(30)의 출구와 연결되며, 상기 내측 공간의 바닥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절곡부(542)는 상기 집수 공간(433a)의 내측에서 다수회 반복적으로 절곡되어 상기 집수 공간(433a)의 내부에 저장된 물과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절곡부(542)를 지나는 고온의 냉매에 의해 상기 집수 공간(433a)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증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수 공간(433a)에는 상기 하부 절곡부(542)를 지지하는 배관 서포터(75)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절곡부(542)는 설정된 위치를 유지하여 상기 집수 공간(433a) 내측의 물이 효과적으로 증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절곡부(541)는 상기 하부 절곡부(542)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응축기(50)의 내측면을 따라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절곡부(541)의 단부는 상기 입력 연결부(53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절곡부(541)는 상기 제 1 헤더(53)를 향하여 연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응축기(50)의 내측면을 따라서 절곡되도록 하여 상기 송풍팬 유닛(60)의 동작에 의한 공기 강제 유동시 상기 입력관(54)이 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절곡부(541)는 상기 응축기(50)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상기 응축기(50)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추가적인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드레인 호스 및 드레인 호스의 고정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팬(40)의 수직 상방에는 상기 증발기 또는 상기 증발기가 배치된 공간, 예를 들어 저장실에서 발생된 제상수를 상기 베이스 팬(40)으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호스(7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호스(73)는 증발기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팬(40)의 상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팬(40)은 상기 드레인 호스(73)에 의해 배출되는 제상수가 저장되므로 드레인 팬이라 부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팬(40)은 판상으로 형성된 바닥면(41)과, 상기 바닥면(4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테두리(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팬(40)은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응축기(50)와 송풍팬 유닛(60), 드레인 호스(73), 팽창수단(74) 등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팬(40)에는, 상기 베이스 팬(40)의 일측단에는 상기 드레인 호스(73)를 고정하기 위한 드레인 호스 고정부(48)가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드레인 호스(73)는 일자형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하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드레인 호스 고정부(48)에 의해 고정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드레인 호스(73)가 일자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수평방향으로의 고정력은 확보되지만, 상하방향으로의 고정력은 약하기 때문에, 드레인 호스(73)가 드레인 호스 고정부(48)에서 기울어지거나,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드레인 호스(73)의 회전동작에 대해서도, 고정력이 확보되지 않아, 드레인 호스(73)가 드레인 호스 고정부(48)에서 움직이는 문제도 있다.
또한, 일자형의 드레인 호스(73)의 경우, 공기 역류 문제가 있어, 드레인 호스(73)를 통해서 유입된 외기가 저장실로 유동하면서, 고내온도에 영향을 주는 문제도 있다.
또한, 드레인 호스(73)를 통해서 유입된 외기가 증발기 주변으로 유동하면서, 냉각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드레인 호스의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7은 상기 기계실 내부 베이스 팬에 호스 고정부가 형성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호스 고정부가 형성된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드레인 호스가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드레인 호스(73)는, 하측으로 볼록한 제1굽힘부(731)와, 상측으로 볼록한 제2굽힘부(7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레인 호스(73)는 적어도 2회 이상 절곡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드레인 호스(73)는 적어도 일부가 'S'자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상수가 유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제1굽힘부(731)가 먼저 형성되고, 제2굽힘부(732)가 나중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드레인 호스(73)가 제1굽힘부(731)와 제2굽힘부(732)를 형성할 경우, 상기 제1굽힘부(731)와 제2굽힘부(732)에는 물이 채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드레인 호스(73)를 통해서, 고내 또는 증발기의 냉기가 유출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드레인 호스(73)를 통해서, 외기가 고내 또는 증발기 주변으로 유입되어, 고내 온도에 영향을 주거나 냉각성능을 떨어트리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 호스(73)는, 상하방향으로 신축되게 적어도 일부가 주름관(73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드레인 호스(73)가 베이스 팬(40)에 고정된 상태에에서,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드레인 호스(73)가 기울어지거나 호스 고정부(48)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드레인 호스(73)의 일부 구간이 상하방향으로 신축되는 주름관(733)으로 형성된 경우,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드레인 호스(73)가 신축되면서, 완충작용을 하기 때문에, 드레인 호스(73)가 기울어지거나 호스 고정부(48)에서 이탈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상수가 유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주름관(733)이 제일 먼저 형성되고, 제1굽힘부(731)와 제2굽힘부(732)가 나중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관(733)은 제1굽힘부(731)와 제2굽힘부(732) 보다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 호스(73)는, 고내 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1직선부(734)와, 하단이 상기 제1굽힘부(731)를 통해서, 상기 제1직선부(734)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직선부(734)와 나란하게 상측으로 연장된 제2직선부(7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 호스(73)는, 상단이 상기 제2굽힘부(732)를 통해서, 상기 제2직선부(735)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직선부(735)와 나란하게 하측으로 연장된 제3직선부(73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상수의 유동 경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고내 또는 증발기 주변의 제상수는, 주름관(733)의 상측에 형성된 유입부(737)를 통해서, 드레인 호스(73)로 유입된다. 상기 유입부(737)는 드레인 호스(73)의 최상단에 위치하며, 제상수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상측으로 내경이 증가된 확장부(737a)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373)로 유입된 제상수는, 주름관(733)을 통해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한다.
이후, 제1직선부(734), 제1굽힘부(731), 제2직선부(735), 제2굽힘부(732), 제3직선부(736)을 통과한 뒤, 제3직선부(736)의 하측에 형성된 토출부(738)를 통해서, 드레인 호스(73)의 외부로 배출된 후, 베이스 팬(40)으로 수집된다.
이때, 상기 제1굽힘부(731)는 제2굽힘부(732) 보다 하방에 형성되고, 제1굽힘부(731)에는 유동하던 제상수 중 일부가 채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토출부(738)는 드레인 호스(73)의 최하단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3직선부(736)의 하단 또는 상기 토출부(738)의 상단에는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림부(736a,738a)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스 고정부(48)은 상기 림부(736a,738a) 사이에 끼워지는, 보조 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림부(736a,738a)의 작용으로, 드레인 호스(73)의 상하방향 움직임이 더욱 강하게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드레인 호스(73)의 모양이 변형되면서, 상기 호스 고정부(48)의 모양 역시 변경될 필요가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호스 고정부(48)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중공의 형상을 갖고, 일측이 수평방향으로 개방되어 개구(481a,482a)를 형성하는 홀더(481,48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481,48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공부(483,484)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호스(73)는 상기 개구(481a,482a)를 통해서, 홀더(481,482)에 삽입된 후, 고정된다.
이때, 상기 홀더(481,482)에 형성된 개구(481a,482a)의 폭은, 상기 드레인 호스(73)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부(483,484)의 내경은, 상기 드레인 호스(73)의 외경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481,482)는 상호 나란하게 적어도 2개 형성되고, 상기 제1직선부(734)와 제2직선부(735)와 제3직선부(736)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홀더(481,482)에 삽입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홀더(481,482)는 제1홀더(481)와 제2홀더(48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직선부(734)와 제2직선부(735)는 각각 제1홀더(481)와 제2홀더(482)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홀더(481,482)는 제1홀더(481)와 제2홀더(48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직선부(735)와 제3직선부(736)는 각각 제1홀더(481)와 제2홀더(482)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홀더(481,482)가 제1홀더(481)와 제2홀더(482)로 구비되고, 상기 제1직선부(734)와 제2직선부(735)와 제3직선부(736) 중 적어도 2개가 제1홀더(481)와 제2홀더(482)에 삽입 및 고정되면, 드레인 호스(73)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 및 회전하려는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스 고정부(48)는, 상기 제1홀더(481)와 제2홀더(482) 사이에, 제1홀더(481)와 제2홀더(482)가 중첩되면서 형성된 중간벽(485)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호스 고정부(48)는, 상기 중간벽(485)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면서 형성된 중간홀(486)을 포함한다.
상기 중간홀(486)은 상기 제1홀더(481)와 제2홀더(482)의 배치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굽힘부(731)와, 제2굽힘부(7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중간홀(486)을 경유한다.
일 예로, 상기 제1굽힘부(731)는 상기 중간홀(486)을 경유할 수 있다.
상기 중간홀(486)은 상기 제1홀더(481)의 내측면과 연통하는 제1개구(486a)와, 상기 제2홀더(482)의 내측면과 연통하는 제2개구(486b)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간홀(486)은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홀(486)은 상기 제1굽힘부(731)가 끼워지는 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의 폭이 상기 제1굽힘부(731)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홀(486)의 내경은, 상기 제1굽힘부(731)의 외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굽힘부(731)가 중간홀(486)을 경유하면, 드레인 호스(73)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 및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드레인 호스(73)와 호스 고정부(48)를 구비하면, 드레인 호스(73)의 상하방향의 움직임, 전후방향의 움직임, 좌우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드레인 호스(73)의 회전동작 역시 제한되기 때문에, 드레인 호스(73)가 호스 고정부(48)에 고정된 초기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의 경우, 상기 제2굽힘부(732)는 상기 제2홀더(482)의 상단에 걸쳐지면서, 상기 제2홀더(482)의 상단을 경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481,482)는, 상기 중간홀(486) 보다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팬(40)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연장부(481b,482b)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81b,482b)의 구성으로, 상기 제1굽힘부(731)와, 제2굽힘부(732)는 상기 베이스 팬(40)의 바닥면에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격된 높이만큼, 제상수가 수집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격된 높이에 의해 외기 또는 제상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상기 호스 고정부(48)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팬(40)과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팬(40)에 별도로 호스 고정부(48)를 조립하거나, 고정시킬 필요가 없어,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드레인 호스를 통해서, 고내 또는 증발기의 냉기가 유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레인 호스를 통해서, 외기가 고내 또는 증발기 주변으로 유입되지 않아, 고내 온도에 영향을 주거나 냉각성능을 떨어트리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드레인 호스가 신축되면서, 완충작용을 하여, 드레인 호스가 기울어지거나 호스 고정부에서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레인 호스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 및 회전하려는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레인 호스의 조립 및 서비스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1 : 냉장고
10 : 캐비닛
11 : 기계실
40 : 베이스 팬
48 : 호스 고정부
50 : 응축기
73 : 드레인 호스

Claims (10)

  1. 저온의 저장 공간과, 압축기가 배치되는 기계실을 각각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후방으로 개구된 상기 기계실 개구를 차폐하는 기계실 커버;
    상기 기계실에 장착되는 베이스 팬;
    상기 베이스 팬에 장착되는 응축기;
    하측으로 볼록한 제1굽힘부와, 상측으로 볼록한 제2굽힘부를 포함하고, 고내 제상수를 상기 베이스 팬에 안내하는 드레인 호스; 및
    상기 드레인 호스의 고정을 위해, 상기 베이스 팬 일측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중공 형상의 홀더가 복수개 형성되는 호스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는, 제1홀더, 및 상기 제1홀더와 나란하게 배치된 제2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 고정부는, 상기 제1홀더와 제2홀더 사이의 중간벽을 관통하는 중간홀을 형성하며,
    상기 제1굽힘부와, 제2굽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중간홀을 통과하는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호스는, 상하방향으로 신축되게 적어도 일부가 주름관으로 형성된 냉장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호스는,
    고내 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1직선부;
    하단이 상기 제1굽힘부를 통해서, 상기 제1직선부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직선부와 나란하게 상측으로 연장된 제2직선부;
    상단이 상기 제2굽힘부를 통해서, 상기 제2직선부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직선부와 나란하게 하측으로 연장된 제3직선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직선부와 제2직선부와 제3직선부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홀더에 고정되는 냉장고.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중간홀 보다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팬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연장부를 형성하는 냉장고.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 팬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냉장고.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팬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며, 상기 응축기를 고정하는 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베이스 팬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헤더;
    상기 베이스 팬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헤더와 전방으로 이격 구비되는 제 2 헤더;
    상기 제 1 헤더 및 상기 제 2 헤더의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튜브; 및
    서로 이격 배치된 상기 튜브들의 사이를 따라 배치되어 핀 개구를 형성하는 열교환 핀을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단부에 상기 제 1 헤더가 구비되는 제 1 직선부;
    상기 제 1 직선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연장되며, 단부에 상기 제 2 헤더가 구비되는 제 2 직선부; 및
    상기 제 1 직선부 및 상기 제 2 직선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200128040A 2020-10-05 2020-10-05 냉장고 KR102406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040A KR102406029B1 (ko) 2020-10-05 2020-10-05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040A KR102406029B1 (ko) 2020-10-05 2020-10-05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383A KR20220045383A (ko) 2022-04-12
KR102406029B1 true KR102406029B1 (ko) 2022-06-10

Family

ID=8118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040A KR102406029B1 (ko) 2020-10-05 2020-10-05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0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11764A (ja) * 2015-05-01 2016-12-15 福島工業株式会社 業務用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3685U (ko) * 1989-01-31 1990-08-17
KR101101816B1 (ko) * 2006-08-14 2012-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257475B1 (ko) 2014-09-05 2021-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11764A (ja) * 2015-05-01 2016-12-15 福島工業株式会社 業務用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383A (ko)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5610B2 (en) Refrigerator
US20190242638A1 (en) Refrigerator
CN107883642B (zh) 冰箱
CN112097446A (zh) 冰箱
KR10129120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증발기 장착구조
EP2389549B1 (en)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US9857121B2 (en) Ice maker of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2620309B1 (ko) 냉장고
US11353248B2 (en) Refrigerator
US10837693B2 (en) Refrigerator
CN110579071B (zh) 蒸发器安装结构改进的冰箱
US20230332820A1 (en) Refrigerator
US20230251005A1 (en) Refrigerator
KR102406029B1 (ko) 냉장고
KR20220012109A (ko) 냉장고
CN117616239A (zh) 储藏室
CN210035945U (zh) 蒸发器具有弯折结构的冰箱
KR20220093783A (ko) 냉장고
JP7221519B2 (ja) 冷蔵庫
KR20220032262A (ko) 냉장고
KR20220012110A (ko) 냉장고
CN111609623A (zh) 具有l型冷凝器的冰箱
AU2020227759B2 (en) Refrigerator preventing air supply duct from falling down
US20230122785A1 (en) Refrigerator
KR20210112183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