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18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183A
KR20210112183A KR1020200027414A KR20200027414A KR20210112183A KR 20210112183 A KR20210112183 A KR 20210112183A KR 1020200027414 A KR1020200027414 A KR 1020200027414A KR 20200027414 A KR20200027414 A KR 20200027414A KR 20210112183 A KR20210112183 A KR 20210112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evaporator
drain hose
inner case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락
강재구
고두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7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2183A/ko
Publication of KR20210112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1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drip water collection pans
    • F25D2321/1441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drip water collection pans inside a refrig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6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pipes or pipe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 상기 아웃 케이스와 결합되며, 상부 저장 공간과 하부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 상기 아웃 케이스와 이너 케이스의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 상기 상부 저장 공간의 후벽면에 배치되는 상부 증발기; 하부 저장 공간의 후벽면에 배치되는 하부 증발기; 상기 상부 저장 공간의 하면과 연통되어 제상수를 배출하는 상부 드레인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드레인 호스는 상기 하부 증발기를 가로질러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의 후벽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 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 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냉장고의 외관이 냉장고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의 가구들과 조화를 이루도록 외관 설계가 이루어지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빌트인 형태의 냉장고는 드러나는 부분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인테리어적인 측면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들은 기존의 냉장고를 보조하는 역할을 하여 자주 사용되는 음식물을 주방가구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빌트인 냉장고는 최근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아일랜드 주방(Kitchen Island)에도 사용될 수 있는데, 싱크대와 독립된 작업대인 아일랜드 타입의 주방가구는 편의성은 높지만, 전체 높이가 낮기 때문에 냉장고를 빌트인 타입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냉장고의 냉동사이클 동작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등의 장치들이 설치되는 기계실이 확보되어야 하고, 이 중에서 증발기는 저장 공간의 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저장 공간을 깊게 만들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증발기는 저온 상태이기 때문에 주변의 온도와 습도 조건에 따라 증발기 주변이 결빙하여 성에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성에는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히터 등에 의해서 녹여야 하며, 이 때 성에가 녹아 생성되는 제상수는 냉장고 기계실에 설치된 드레인 팬에 수집되어 자연 증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소형 빌트인 냉장고 등에는 제상수를 드레인 팬 쪽으로 안내하는 드레인 호스를 연결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적이어서, 제상수를 드레인 팬쪽으로 흐르는데 필요한 경사를 갖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열수단 등 별도의 제상장치를 사용하더라도, 냉장고의 설정온도가 낮거나 냉장고의 사용시간이 길어지면 발열수단으로 결빙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저장 공간의 공기가 열교환 공간으로 흡입되는 공기 유입부 근처에 배치된 증발기에는 성에가 더욱 쉽게 발생하게 되고, 결국 냉장고의 효율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58044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46545
본 발명은 소형 빌트인 냉장고에서, 별도의 제상장치 없이 증발기와 연결된 드레인 호스 구조를 통해서 제상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증발기와 연결된 드레인 호스가 하부 증발기 후방부 중앙으로 지날 수 있도록 설치하여, 드레인 호스가 연결되는 구조가 간단한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드레인 호스에 지지리브를 구비하여, 하부 증발기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상기 드레인 호스가 하부 증발기를 지나가면서, 드레인 호스가 결빙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상부 증발기와 연결된 드레인 호스를 하부 증발기 후방 중앙을 지나도록 설치하여, 상부 증발기에서 발생된 제상수가 상기 드레인 호스를 타고 기계실 내 구비된 드레인 팬에 모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 호스는 하부 증발기를 지나는 구간에 지지리브를 구비하여 하부 증발기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 상기 아웃 케이스와 결합되며, 상부 저장 공간과 하부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 상기 아웃 케이스와 이너 케이스의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 상기 상부 저장 공간의 후벽면에 배치되는 상부 증발기; 하부 저장 공간의 후벽면에 배치되는 하부 증발기; 상기 상부 저장 공간의 하면과 연통되어 제상수를 배출하는 상부 드레인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드레인 호스는 상기 하부 증발기를 가로질러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의 후벽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증발기와 마주보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하면에는 상기 드레인 호스와 연결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의 하면에는 상기 홀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드레인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 저장 공간의 하방에는, 압축기와, 응축기가 배치되는 기계실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는 제상수가 집수되는 드레인 팬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계실은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 공간과, 외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흡입 공간 측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드레인 호스의 하단은 상기 기계실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레인 팬으로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드레인 호스는, 상기 이너 케이스와 연결되는 유입부, 상기 기계실을 관통하는 유출부, 및 상기 유입부와 유출부를 연결하되, 상기 상부 증발기를 가로지르는 중앙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입부는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후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출부는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측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중앙부는 상기 하부 저장 공간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중앙부는, 상기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돌출형성된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중앙부 양측 둘레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리브와, 상기 수직리브에서 전방으로 돌출연장된 전방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하측증발기 후방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방리브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전방리브간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방리브는 상기 전방리브 중앙을 따라 양측으로 돌출형성된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드레인 호스는 상기 이너 케이스와의 거리보다 상기 아웃 케이스와의 거리가 더 짧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드레인 호스는, 상기 중앙부 전면 둘레를 따라 부착된 열선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상부 증발기와 연결된 드레인 호스를 하부 증발기 후방 중앙을 지나도록 설치하여, 상부 증발기에서 발생된 제상수가 상기 드레인 호스를 타고 기계실 내 구비된 드레인 팬에 효과적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드레인 호스의 중앙부에 지지리브를 구비하여, 상기 이너 케이스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이너 케이스 내측에 구비된 하부 증발기에 의해서 상기 드레인 호스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상기 지지리브를 구성하는 전방리브간의 간격이 전방으로 갈수록 멀어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이너 케이스와 보다 더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상기 드레인 호스 전면에 열선을 부착하여, 상기 드레인 호스각 하부 증발기를 지나면서 결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하측 서랍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 저장 공간과 하부 저장 공간의 내부에 그릴플레이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그릴플레이트에 증발기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이너 케이스 전방에 증발기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드레인 호스가 이너 케이스 후방에 배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구성을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드레인 호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는 도 7의 10-10'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드레인 호스 내에서 제상수가 이동하는 흐름을 표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아래에서는 빌트인 타입의 냉장고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냉장고는 일반냉장고, 와인냉장고, 김치냉장고, 음료저장고, 식물재배장치와 같이 내부에 냉동사이클이 적용된 기계실조립체를 갖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하부 저장 공간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보면, 캐비넷(100)은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높이가 낮게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아일랜드 식탁 내부 등에 설치되는 빌트인 타입 냉장고로, 일반 냉장고 보다 높이가 낮다. 따라서 내부 용량뿐 아니라 각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작다. 따라서 작고 낮은 설치공간을 활용하기 위해서 부품들을 효과적으로 배치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증발기(630)를 비롯한 부품들이 냉장고 내부에 효과적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조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캐비넷(100)은 전방으로 개방된 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캐비넷(100)은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데, 크게는 외측 벽면을 이루는 아웃 케이스(110)와 내측 벽면을 이루는 이너 케이스(124)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넷(100)은 상측벽을 형성하는 천장부(102)와, 하측벽을 형성하는 바닥부(104), 양측벽을 형성하는 두 측벽부(106) 및 후방측 벽을 형성하는 후방벽(108)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캐비넷(100)은 전방으로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캐비넷(100)의 내부 공간은 저장 공간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압축기(510) 및 응축기 등이 설치되는 기계실(500)은 기계실프레임(502)의 내부에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아웃 케이스(110)는 전후방 및 아래쪽으로 개방된 대략 육면체형상이고, 이너 케이스(124)는 아웃 케이스(110)의 내부에 아웃 케이스(110)와 이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아웃 케이스(110)의 후면에는 백플레이트(115)가 조립되고, 전면에는 전면프레임(118)이 조립되며, 저면에는 커버플레이트가 조립된다.
상기 아웃 케이스(110)의 내부에 이너 케이스(124)가 위치한 상태에서 백플레이트(115), 전면프레임(118) 및 커버플레이트가 각각 아웃 케이스(110)에 조립된 상태로, 상기 이너 케이스(124)와 아웃 케이스(110)의 사이 공간으로 발포 단열재(도시는 생략됨)가 충진 된다. 이때 상기 백플레이트(115)에는 충진홀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충진홀을 통해서 발포 단열재가 주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아웃 케이스(110)와 이너 케이스(124)의 사이로 발포 단열재가 충진될 때, 아래에서 설명될 드레인 호스(400)가 발포층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캐비넷(100)의 내부에는 저장 공간이 있다. 상기 저장 공간은 음식물이 보관되는 저장실(128)과 열교환 공간(125)을 포함하는 공간으로, 상기 저장실(128)에는 상측 서랍부(30)와 하측 서랍부(40)로 구성된 서랍부가 삽입되어 저장실(128)을 채울 수 있다.
상기 저장실(128) 중 상부 저장실(128a)의 내부에는 상측 서랍부(30)가 설치되고, 하부 저장실(128b)의 내부에는 하측 서랍부(4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 하측 서랍부(30, 40)는 서랍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상, 하부 저장 공간의 내부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상, 하측 서랍부(30, 40)의 내부에는 식품 및 식품용기가 저장되어 보관되는 부분이다. 상기 상, 하측 서랍부(30, 40)는 상기 저장실(128)을 개폐하는 도어(132, 138))와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서랍 본체(142)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도어(132) 상면에는 사용자가 손을 넣을 수 있도록 함몰된 손잡이부(13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서랍부와 하부 서랍부 내의 온도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측 서랍부(30)는 냉동고로 사용하고, 상기 하측 서랍부(40)은 냉장고로 사용할 수 있고, 그 반대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온도 조절은 제어모듈을 통해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계실조립체를 구성하는 기계실프레임(502)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기계실프레임(50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하부구조를 이루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상기 기계실프레임(50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공조모듈이 설치되고, 기계실프레임(502)의 상부에는 앞서 설명한 캐비넷(100)이 결합된다.
이러한 기계실프레임(50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 케이스(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대략 사각틀 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계실프레임(502)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고, 내부에는 기계실(500)이 있어서 공조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프레임(502)의 내부에는 기계실(500)이 있다. 상기 기계실(500)은 일종의 설치공간인 빈 공간으로, 여기에는 공조모듈을 구성하는 장치의 일부가 설치된다. 상기 기계실(500)은 앞서 설명한 저장 공간과는 독립된 별개의 공간으로, 공조모듈이 설치되고 동작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기계실(500)에는 분리격벽(504)에 의해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 공간(I)과, 외부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공간(O)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상기 흡입 공간에는 응축기, 드레인 팬(530)이 설치되고, 배출 공간(O)에는 압축기(510) 및 제어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 공간(I)과 배출 공간(O)의 사이에는 방열팬(5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팬(530)은 공기가 유입된는 측의 바닥에 위치되면서 후술할 증발기(630)로부터 흘러내린 제상수를 받아두는 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상기 응축기를 기계실(500) 내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 팬(530)에는 증발관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증발관(미도시)은 드레인 팬(530)의 바닥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되, 최대한 길이를 길게 확보하기 위해서 지그재그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증발관은 상기 압축기(510)의 냉매토출관에 연결되어 고압/고온의 냉매가 지나가는 통로인데, 드레인 팬(530)의 바닥면에 가깝게 배치되므로, 드레인 팬(530)에 고인 제상수를 증발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방열팬(520)은 드레인 팬(530)의 후방에서 드레인 팬(530)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팬(520)은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기계실(500) 내부로 흡입하고, 응축기 및 압축기(510)를 거친 공기를 전면의 출구, 즉 배출구로 배출시켜준다.
한편, 상기 저장 공간은 그릴플레이트(270)가 설치되어 저장실(128) 과 열교환 공간(125)으로 구획된다.
다음으로, 냉장고의 열교환 공간(125)을 구성하는 그릴팬모듈(500)과 증발기(630)의 구성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저장실(128) 후방에는 열교환 공간(12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공간(125)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상기 상측 저장실(128) 로 냉기를 공급하는 상부 증발기(630a)와, 상기 하측 저장실(128b)로 냉기를 공급하는 하부 증발기(630b)가 설치된다.
상기 그릴플레이트(270)는 상기 상, 하부 저장 공간에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됨에 따라 여기서는 상기 상부 저장 공간에 설치되는 그릴플레이트(27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그릴플레이트(270)의 배면(270b) 중앙 양측에는 각각 토출부(27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277)은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그릴플레이트(270)의 배면 중앙 양측에 각각 후방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토출부(277)은 상기 그릴 고정홈의 내부에 걸림 고정됨에 따라 상기 저장 공간에 상기 그릴플레이트(27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그릴플레이트(270)의 전면(270a)에는 토출부 및 공기유입홀(27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는, 상측토출부(278)와 중앙토출부(279)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그릴플레이트(270)의 전면 상측에는 상측토출부(278)가 형성된다. 상기 상측토출부(278)는 상기 그릴플레이트(270)의 전면에 전후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토출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그릴플레이트(270)의 전면 하부에는 공기 유입부(2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부(272)는 벽체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데, 상기 저장실(128) 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공기 유입부(272)는 이너 케이스(124)에서 상기 그릴플레이트(270)를 향한 내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공기 유입부(272)는 증발기(630)에서 멀어져 증발기(630)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유입부(272)의 아래쪽에는 공기유입홀(275)이 배치되어 상기 그릴플레이트(270)의 전방측을 통해 후술할 공기유입홀(275) 측으로 물방울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부(272)는 저장실(128) 방향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상기 그릴플레이트(270)의 전면부에 온도차로 인해 발생되는 물방울이 하부 방향으로 낙하하여 공기유입홀(275)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그릴플레이트(270)의 배면부(270b)에는 체결보스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보스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그릴플레이트(270)의 배면부에 후방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체결보스는 상기 그릴플레이트(270)에 배면부 중 후술할 그릴팬모듈(500)이 설치되는 부분의 각 모서리부에 형성된다.
상기 그릴플레이트(270)의 배면부에는 단열폼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단열폼은 PU폼 재질로 이루어지고,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판재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단열폼은 상기 그릴플레이트(270)의 배면 하부에 부착되어 후술할 증발기(630)의 냉기가 그릴플레이트(27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그릴플레이트(270)의 배면에는 그릴팬모듈(500)이 설치된다. 상기 그릴팬모듈(500)은, 슈라우드(510)와 그릴팬부재(55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슈라우드(510)의 그릴팬설치부는 내부가 중공된 사각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후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그릴팬설치부의 내부에는 후술할 그릴팬부재(550)가 설치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그릴팬부재(550)에는 다양한 그릴팬이 적용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축류팬방식의 그릴팬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부재(550)는 그릴팬(550)과 고정프레임(51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그릴팬설치부의 내부에는 고정프레임(51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510)은 사각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팬장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그릴팬설치부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고정프레임(510)의 내부에는 그릴팬(55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550)은 상기 팬장착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어모듈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열교환 공간(125)의 냉기를 흡입하여, 상기 저장실(128) 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6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증발기(630)는 이너 케이스(124) 내의 각 부위 중 그릴팬모듈(500)의 후방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증발기(630)는 이너 케이스(124)의 내면과 그릴플레이트(270)의 사이에 만들어진 열교환 공간(12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630)는 상부 저장실(128a) 후방에 구비되는 상부 증발기(630a)와, 하부 저장실(128b) 후방에 구비되는 하부 증발기(630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630)는 상기 상, 하부 저장 공간에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됨에 따라 본 기재에서는 상기 상부 증발기(630a)를 기분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증발기(630)는 판형 증발기로 구성됨으로써 이너 케이스(124)의 내벽면 중 후방측 벽면의 전방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좁은 공간에서의 열교환 성능 향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증발기(630)의 구성을 보면, 상기 증발기(630)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각관(638) 및 상기 냉각관(638)이 통과하는 냉각핀(650)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관(638)은 일종의 긴 파이프로 볼 수 있는데, 모세관(팽창밸브)과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받고, 증발기를 거친 냉매를 다시 배출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냉각관(638)은 한 쌍으로 구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냉각관(638)은 제1냉각관(638a)과 제2냉각관(638b)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냉각관(638a)은 모세관(팽창밸브)에서 공급된 냉매가 유입되는 부분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핀(650)의 핀홀들을 연속하여 통과하고 가장 바깥쪽의 냉각핀(650)까지 통과한다.
그리고 상기 제2냉각관(638b)은 상기 제1냉각관(638a)과 연결되고 역시 냉각핀(650)의 핀홀들을 연속하여 통과한다. 상기 제1냉각관(638a)과 상기 제2냉각관(638b)은 상기 다수개의 냉각핀(650)들 중에서 가장 바깥쪽에 배치된 냉각핀(650)의 바깥쪽에서 방향을 바꾸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2냉각관(638b)의 중간에는 어큐뮬레이터(639)가 설치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639)에는 제2냉각관(638b)을 통과하여 주변의 열을 흡수한 냉매가 전달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639)는 전달된 냉매 중 미기화된 액상 냉매를 분리하여 액상 냉매가 압축기(51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냉각핀(650)의 구성을 보면, 상기 냉각핀(650)은 상기 저장 공간의 후방, 즉 열교환 공간(125) 내부에 1열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개의 냉각핀(650)들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증발기를 구성하되, 이러한 냉각핀(650)들이 높이를 달리하여 다수열을 구성하지는 않을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냉장고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1열로만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냉각핀(650)이 2개열 이상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냉각핀(650)은 얇은 금속판상으로 만들어지고, 주변 공기와의 열교환에 유리하도록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핀(650)들의 그 사이사이는 공기의 유동을 위해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냉각핀(650)에는 핀홀이 형성되는데, 상기 핀홀(653a, 653b)은 상기 냉각관(638)을 구성하는 제1냉각관(638a) 및 제2냉각관(638b)이 각각 통과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핀홀(653a, 653b)은 상기 냉각핀(650)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냉각관(638)은 상기 냉각핀(650)의 상하부를 각각 통과하면서 2열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핀(650)은 세워지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냉각핀(650)은 폭보다 높이가 크도록 세워지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냉각핀(650)의 폭은 좌우길이를 의미하고, 높이는 상하길이를 의미한다. 이렇게 되면, 냉각핀(650)이 눕혀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에 비해 열교환 공간(125)에서 차지하는 좌우폭이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 공간(125)의 전체 좌우폭도 작아질 수 있고, 반대로 저장실(128)은 더 넓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핀(650)은 중력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세워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냉각핀(650)은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세워질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열교환 공간(125)의 좌우폭을 고려하면 수직하게 세워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어큐뮬레이터(639)에 가까운 부분에는 팽창밸브와 상기 증발기의 사이를 연결되는 연장파이프가 위치하는데, 상기 연장파이프는 이너 케이스(124)의 내면을 관통하는 연결홀(127)을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발기(630)의 양쪽 끝에는 증발기홀더(6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홀더(640)는 상기 냉각핀(650)과 같은 방향으로 세워지는 것으로, 증발기를 이너 케이스(124)의 내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증발기홀더(640)는 상기 냉각핀(650)과 평행하게 세워지는 홀더몸체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홀더몸체는 대략 얇은 판상으로,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홀더몸체는 상기 냉각핀(650)과 나란하게 세워지되, 냉각핀(650) 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증발기홀더(640)는 증발기의 좌우측면에서 냉각핀(650)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홀더몸체에는 고정걸이(6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걸이(645)는 후크형상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상기 홀더몸체에서 연장되고 상기 캐비넷(100)의 이너 케이스(124)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124)의 내면에는 고정걸이(645)가 걸어지는 고정홈부(128, 128')가 있어서, 상기 고정걸이(645)가 걸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124a, 124b) 하단에는 양측단에서 중앙부(404)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드레인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630)에 의한 냉각과정에서 제상수가 발생하고, 제상수가 얼게 되면 제상빙이 되기도 한다. 발생된 제상수가 중력방향을 따라 아래쪽으로 흘러 이너 케이스(124)의 내면 아래쪽에 있는 드레인부(126) 쪽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드레인부(126)의 바닥면에는 하측으로 제상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구(126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구(126a)에 후출할 드레인 호스(400)가 연결되고, 제상수는 상기 드레인 호스(400)를 타고 기계실(500)에 있는 드레인 팬(530)에 모이게 된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드레인 호스(4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 하측 저장실(128a, 128b) 각각에 상, 하부 증발기(630b)를 구비하므로, 상기 증발기 내에서 제상수를 상기 드레인 팬(530)까지 모이게 하는 드레인 호스(400)도 상, 하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 드레인 호스(450)의 경우에는 기계실(500) 내 구비된 드레인 팬(530)과 인접하여 드레인부(126)에 모여진 제상수를 비교적 간단하게 드레인 팬(530)에 안내할 수 있어, 일반적인 드레인 호스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드레인 호스(400)(이하 '드레인 호스(400)'라 한다)는, 상부 증발기(630a)의 드레인부(126)와 연결되어, 하측 저장실(128) 중앙부를 지나서 기계실(500)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레인 호스(400)는 상측 드레인부(126)의 배수구(126a) 연결되어 제상수를 드레인 호스(400)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부(402)와, 하측 저장실(128b) 상단 중앙에서부터 하단 중앙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중앙부(404) 및 상기 하측 저장실(128) 하단 중앙에서 기계실(500)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상수를 드레인 팬(530)으로 안내하는 유출부(4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호스(400)는 하측 저장실(128b) 중앙을 지나 상기 기계실(500) 내측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는 소형 빌트인 냉장고 등은 냉장고 자체의 높이가 일반 냉장고에 비해 낮아, 상기 드레인 호스(400)를 하측 저장실(128b) 측방으로 우회하여 연장하는 경우에는, 제상수를 하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구조를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상부 증발기(630a)에서 발생한 제상수는 중력의 도움을 받아 하측으로 유동될 수 있어야 하는데, 높이가 낮은 냉장고에서는 드레인 호스(400)가 측방으로 연장되는 경우에는 제상수가 하측으로 유동되지 못하고 정체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이가 제한된 소형 빌트인 냉장고에서는 상기 드레인 호스(400)가 하측 저장실(128) 중앙을 지나는 구조를 갖도록 연장되는 것이 제상수를 가장 효율적으로 드레인 팬(530)까지 안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입부(402) 상단부는 배수구와 연통하는 개구부(402a)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케이스 후면(124a)에서 상기 드레인 호스(400)를 고정하는 고정부(4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10)는 상기 드레인부(126) 배수구와 연결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 하면(124a)에 장착되는 장착면(412)과, 상기 장착면(412) 전단 및 후단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전단측 연장면(414)과 후단측 연장면(416)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장착면(412)은 상기 드레인부(126) 경사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장착면(412) 중앙에는 상기 유입부(402)의 개구된 상면과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단측 연장면(414)과 후단측 연장면(416)은 각각 상기 드레인부(126)의 전방 및 후방에서 상기 드레인 호스(4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드레인 호스(400)를 배수구와 연결되는 유입부(402)만 고정하지 않고, 유입부(402)의 전방 및 후방에서도 상기 이너 케이스(124)와 고정되어 보다 더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전단측 연장면(414)과 상기 후단측 연장면(416)은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장착면(412)의 중심과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단측 연장면(414)은 상방에 상기 상부 증발기(630a)의 전단이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단측 연장면(416)은 상기 상부 증발기(630a) 후단보다 더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630)는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가 자연스럽게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 설치공간을 최소화를 위해서 상기 그릴팬모듈(500) 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증발기(630)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내면 보다 상기 그릴플레이트(270)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증발기로부터 발생되는 제상수를 효율적으로 드레인 호스(400) 유입부(402)로 안내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단측 연장면(414)의 경사가 상기 후단측 연장면(416)의 경사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부(402) 상단은 상기 배수구(126a)와 연통되는 개구부(402a)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402a)를 중심으로 전방 및 후방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단측 연장면(414)과 후단측 연장면(416)에 장착되는 연결부(4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18)는 상기 고정부(410)와 전방 및 후방에서 연결되어 보다 더 견고하게 드레인 호스(4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유입부(402)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이너 케이스의 후면(124a)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증발기(630)에서 발생되는 냉기에 의해서 상기 드레인 호스(400)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열교환 공간(125) 후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24a)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유입부(402) 상단부는 상기 이너 케이스(124a)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유입부(402) 하단부는 상기 하측 저장실(128) 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부(404)는 상기 유입부(402) 하단과 연결되어 상기 하측 저장실(128) 상단 중앙에서부터 상기 하측 저장실(128) 후단 중앙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부(404)는 상기 이너 케이스((124b)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부(404)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리브(4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호스(400)가 상기 하측 저장실(128) 중앙을 지나게 연장되면서, 상기 하부 증발기(630b)의 냉각에 의해서 상기 중앙부(404)에 결빙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420)는 상기 드레인 호스(400)와 상기 이너 케이스((124b)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증발기에 의해 발생된 냉기에 의해서 상기 드레인 호스(400)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이너 케이스(124a, 124b)와 아웃 케이스(110) 사이로 발포 단열재가 충진되면서, 상기 드레인 호스(400)는 발포층에 내장되는데, 상기 지지리브(420)는 상기 드레인 호스(400) 중앙부(404)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124b)와 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드레인 호스(400)는 상기 지지리브(420)에 의해서 상기 이너 케이스(124b)보다, 상기 아웃 케이스(110)와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레인 호스(400)는 상기 이너 케이스(124b)와의 거리보다 상기 아웃 케이스(110)와의 거리가 더 짧도록 배치되어, 증발기와 가깝게 위치한 이너 케이스(124b)와의 최대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420)는 상기 중앙부(404) 양측 둘레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리브(422)와, 상기 수직리브(422)에서 전방으로 돌출연장된 전방리브(4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리브(422)는 사각형의 판상의 형태일 수 있고, 상단 또는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중앙부(404)와 가까워지는 경사를 갖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전방리브(424)는 상기 수직리브(422)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124) 후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리브(424)는 전방으로 갈수록(이너 케이스(124b)와 가까워질 수록) 상기 전방리브(424)간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124b)와 보다 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방리브(424)는 상기 전방리브(424) 중앙을 따라 외측(상기 중앙부(404)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보강리브(4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426)는 상기 전방리브(424)의 강도를 보강하여, 발포 단열재가 충진된 상태에서 상기 드레인 호스(400)가 상기 이너 케이스((124b)에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중앙부(404)에 상기 지지리브(420)가 구비되는 위치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하부 증발기(630b)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부(404)에서 하부 증발기(630b)가와 대응되는 구간에서 증발기에 의해 결빙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상기 드레인 호스(400)를 상기 하부 증발기(630b)로부터 최대한 이격시켜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이너 케이스 후면(124a, 124b)에는 상기 그릴팬모듈(500)을 수용하는 수용홈, 증발기홀더(640)을 수용하는 수용홈 등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들에 간섭받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유출부(406)는 상기 중앙부(404) 하단과 연결되어 상기 기계실(500) 내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유출부(406) 하단은 상기 기계실(500) 상면을 통과되어, 제상수가 드레인 팬(530)에 모일 수 있게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유출부(406) 상단부는 드레인 팬(530)이 배치된 일측을 향하여 절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출부(406) 상단부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상수가 중력에 따라 아래쪽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출부(406) 하단부는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기계실(500) 상면을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출부(406) 하단부는 상기 드레인 팬(530) 상방에 위치되어, 제상수가 상기 드레인 팬(530)에 낙하되어 모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호스(400)는 상기 증발기에 의해 드레인 호스(400)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열선(430)이 상기 드레인 호스(400) 전면을 따라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열선(430)은 일반적인 핫라인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열선(430)은 상기 드레인 호스(400)가 하부 증발기(630b)를 지나면서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중앙부(404) 전면에 둘레를 따라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열선(430)은 상기 유입부(402) 하단부까지 연장되어 부착될 수 있다. 상부 증발기(630a)로부터 상기 연결부(418)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드레인 호스(400) 전면에 상기 열선(43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드레인 호스(400)가 상, 하부 증발기(630a, 630b)에 발생되는 냉기로 인한 결빙을 방지하고, 제상수가 드레인 호스(400) 내에서 결빙되어 적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열선(430)은 필요에 따라 상기 유출부(406)까지 연장되어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선(430)이 상기 드레인 호스(400) 전면 둘레를 따라 부착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례로, 상기 열선(430)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확보하기 위해서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 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저장 공간 안에 음식물이 보관된 상태로 도어(130)를 닫으면, 저장 공간은 밀폐된 공간이 된다. 이 상태에서 공조모듈을 구성하는 방열팬(520), 압축기(510), 응축기 및 증발기(630)가 동작되면서 공조 운전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증발기(630)에 의한 냉각과정에서 제상수가 발생하고, 제상수가 얼게 되면 제상빙이 되기도 한다. 발생한 제상수는 중력방향을 따라 아래쪽으로 흘러 이너 케이스(124a, 124b) 하면에 있는 드레인부(126)를 타고 아래쪽으로 흐른다.
상부 증발기(630a)에서 발생한 제상수는 도 11과 같이, 상기 상부 드레인부(126) 연결부(418)와 연결된 드레인 호스(400) 유입부(402) 상단으로 안내된다. 드레인 호스(400)로 유입된 제상수는 유입부(402)-중앙부(404)-유출부(406)를 거쳐 이동하고, 상기 기계실(500) 내측으로 삽입된 유출부(406) 하단에서 낙하하여 드레인 팬(530)에 모이게 된다.
또한, 하부 증발기(630b)에서 발생한 제상수는 이너 케이스 하면(124b)에 구비된 하부 드레인부(126)에 모이게 되고, 상기 하부 드레인부(126)와 연통된 하부 드레인 호스(450)를 통해 상기 기계실(500) 내측으로 안내되어, 드레인 팬(530)에 집수된다.
그리고, 드레인 팬(530)에 고인 제상수는 드레인 팬(530)에 배치된 증발관에 의해 증발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7)

  1.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
    상기 아웃 케이스와 결합되며, 상부 저장 공간과 하부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
    상기 아웃 케이스와 이너 케이스의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
    상기 상부 저장 공간의 후벽면에 배치되는 상부 증발기;
    하부 저장 공간의 후벽면에 배치되는 하부 증발기;
    상기 상부 저장 공간의 하면과 연통되어 제상수를 배출하는 상부 드레인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드레인 호스는 상기 하부 증발기를 가로질러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의 후벽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증발기와 마주보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하면에는 상기 드레인 호스와 연결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의 하면에는 상기 홀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드레인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저장 공간의 하방에는,
    압축기와, 응축기가 배치되는 기계실이 형성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는
    제상수가 집수되는 드레인 팬이 구비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 공간과, 외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흡입 공간 측에 배치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호스의 하단은 상기 기계실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레인 팬으로 연장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호스는,
    상기 이너 케이스와 연결되는 유입부,
    상기 기계실을 관통하는 유출부, 및
    상기 유입부와 유출부를 연결하되, 상기 상부 증발기를 가로지르는 중앙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후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냉장고.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는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측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냉장고.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는 상기 하부 저장 공간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는,
    상기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돌출형성된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중앙부 양측 둘레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리브와, 상기 수직리브에서 전방으로 돌출연장된 전방리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하측증발기 후방에 구비되는 냉장고.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리브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전방리브간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리브는 상기 전방리브 중앙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호스는 상기 이너 케이스와의 거리보다 상기 아웃 케이스와의 거리가 더 짧게 배치되는 냉장고.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호스는,
    상기 중앙부 전면 둘레를 따라 부착된 열선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200027414A 2020-03-04 2020-03-04 냉장고 KR202101121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414A KR20210112183A (ko) 2020-03-04 2020-03-04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414A KR20210112183A (ko) 2020-03-04 2020-03-04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183A true KR20210112183A (ko) 2021-09-14

Family

ID=77774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414A KR20210112183A (ko) 2020-03-04 2020-03-04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218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8044A (ko) 2002-12-24 2004-07-03 미츠이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자부품 실장용 필름 캐리어 테이프
KR20170046545A (ko) 2015-10-21 201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8044A (ko) 2002-12-24 2004-07-03 미츠이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자부품 실장용 필름 캐리어 테이프
KR20170046545A (ko) 2015-10-21 201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4833B1 (ko) 냉장고
KR102632585B1 (ko) 냉장고
KR10129120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증발기 장착구조
US6997008B2 (en) Defrost water draining unit for a refrigerator
EP2519793B1 (en) Refrigerator
CN108571852B (zh) 冰箱
CN110440504B (zh) 一种冰箱
US5784896A (en) Freezer or refrigerator construction suitable for food service use
WO2009008613A2 (en) Refrigerator
US10837693B2 (en) Refrigerator
US11754333B2 (en) Refrigerator
JP2012127629A (ja) 冷却貯蔵庫
US20220397329A1 (en) Refrigerator
KR20210058240A (ko) 냉장고
JP2007064601A (ja) 冷蔵庫
KR20210112183A (ko) 냉장고
CN210772966U (zh) 一种冰箱
CN211739628U (zh) 一种冰箱
CN211739629U (zh) 一种冰箱
CN110440513B (zh) 一种冰箱
JP5514037B2 (ja) 冷蔵庫
KR102406029B1 (ko) 냉장고
US20230122785A1 (en) Refrigerator
US20220136756A1 (en) Refrigerator
CN114719516B (zh) 冰箱门体及其制造方法和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