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878A -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 - Google Patents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878A
KR20210142878A KR1020200059604A KR20200059604A KR20210142878A KR 20210142878 A KR20210142878 A KR 20210142878A KR 1020200059604 A KR1020200059604 A KR 1020200059604A KR 20200059604 A KR20200059604 A KR 20200059604A KR 20210142878 A KR20210142878 A KR 20210142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stapler
suturing
vaginal
to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8585B1 (ko
Inventor
조현진
노현진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9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585B1/ko
Publication of KR20210142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7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4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68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U-shaped staples or clamps, e.g. without a forming anv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 A61B17/128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립 및
상기 클립이 장착되어 봉합 부위에 상기 클립을 가압 고정시킴으로써 봉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하는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Stapler for stitching vagina}
본 발명은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복강경적 전자궁 전제술을 시행할 때, 자궁을 질 쪽으로 제거한 후 남은 질의 상부를 봉합할 수 있는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이다.
외과의 많은 영역에서 복강경 또는 개복 외과의 많은 영역에서 복강경 혹은 개복수술 시 스테이플러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기술로 한국 공개특허 2012-0127661호는 의료용 스테이플러 및 매거진(magazine, 스테이플 장전부)에 관한 것으로, 의료용 스테이플러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매거진에 대한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개시된 발명은 기구의 두께가 두꺼워서 봉합할 곳이 충분히 박리되어 있어야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한편, 복강경적 전자궁 절제술에서 자궁이 제거되고 남은 질 상부은 그 해부학적 특성으로 인해 아직 스테이플러를 적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해부학적 특성은 자궁이 제거되고 남은 질 상부가 돌출되어 있지 않고 납작하게 되어 있을 뿐 아니라 서로 벌어져 있고 앞쪽에 방광, 뒤쪽에 직장과 매우 가깝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스테이플러를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복강경적 전자궁 절제술을 시행 시, 절제한 자궁을 질 쪽으로 제거한 후 남은 질의 상부를 보다 쉽게 봉합할 수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는 클립 및 상기 클립이 장착되어 봉합 부위에 상기 클립을 가압 고정시킴으로써 봉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클립이 장착되는 집게부; 내부가 관통되어 길이를 가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집게부가 전단측에 설치되는 로드; 상기 로드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집게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로드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탄성을 주는 스프링;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된 와이어 및 상기 로드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어 파지에 의해 상기 와이어를 잡아 당기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은, 'V'자 형태로 형성된 중심부; 상기 중심부 끝단에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봉합 부위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형성되며 봉합 부위로부터 상기 클립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한 개 이상의 삽입 돌기를 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의 클립은, 일측이 개방된 원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집게부는, 상기 집게부가 구부려질 수 있도록 중심이 되는 집게 축; 상기 집게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클립이 끼워질 수 있도록 내면을 따라 클립홈이 형성된 클립 거치부; 하나의 클립 거치부 끝단에 형성된 집게 돌기 및 나머지 하나의 클립 거치부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집게 돌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집게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의 클립은 상기 클립은, 'ㄷ' 자로 형성 되어,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이어지는 두 개의 다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가 구부러짐으로써, 상기 클립이 'ㅁ' 자 형태로 되어 봉합 부위에 가압 고정되어 봉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클립을 가압 시 내측으로 굴곡되는 제1 변곡점 및 제2 변곡점을 가지고, 두 개의 변곡점 사이 구간인 중간부; 상기 중간부로부터 굴곡되어 제1 변곡점과 끝단 사이의 구간인 제1 연결부 및 상기 중간부로부터 굴곡되어 제2 변곡점과 끝단 사이의 구간인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길이가 같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하면에 형성된 손잡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클립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클립이 끼워지는 홈을 포함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 후측에 형성된 스프링부 및 상기 클립을 잡아줄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 전측에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마주보는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립이 끼워질 수 있도록 'U'자 홈이 형성된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 하측 내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클립이 당겨지면서 'ㅁ' 형태가 될 수 있도록 모양을 잡아주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이동부에 막대 형태 형성되어 길이를 가지는 한 개 이상의 이탈부 및 상기 홈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가 후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탈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이탈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클립으로 봉합하기 전 봉합 부위에 접촉할 수 있는 고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부는,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의 하나의 다리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60 내지 87°각도를 가지며, 나머지 다리부는 93 내지 120°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는 복강경적 전자궁 절제술 시행 시, 자궁 제거 후 남은 질 상부에 클립으로 클리핑함으로써 손쉽고 정확하게 봉합 부위를 봉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봉합 부위를 빠르게 처치함으로써 수술 시 발생하는 출혈을 줄일 수 있으며, 수술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클립을 통해 봉합 부위에 적합한 약물을 투입함으로써, 보다 빠른 상처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의 (a), (b)는 도 1의 어플리케이터의 작동하는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투영도.
도 3은 도 1의 어플리케이터의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투영도.
도 4의 (a),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의 클립이 클리핑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의 (a), (b)는 도 5의 어플리케이터의 작동하는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투영도.
도 7은 도 5의 어플리케이터의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투영도.
도 8의 (a),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의 클립이 클리핑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의 클립이 클리핑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의 (a),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의 클립의 클리핑 전/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의 돌기에 약물 침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도.
도 13의 (a), (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의 클립의 클리핑 전/후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1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의 어플리케이터의 장착부가 이탈부 및 이탈홀을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도.
도 15의 (a) 및 (b)는 도 14의 이동부가 이동함에 따라 이탈부가 홈에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도.
도 16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의 어플리케이터의 본체부가 고리부가 전후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복강경 전자궁절제술을 시행할 때, 절제한 자궁을 질쪽으로 제거한 후 남은 질의 상부를 봉합하는 것에 맞춰 형성됨으로써, 접근이 용이하고 손쉽게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클리핑할 수 있고, 질 앞쪽 벽과 뒤쪽벽을 함께 클리핑 할 수 있는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의 (a), (b)는 도 1의 어플리케이터의 작동하는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투영도이고, 도 3은 도 1의 어플리케이터의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투영도이며, 도 4의 (a),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의 클립이 클리핑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1)는 복강경 전자궁 전제술을 시행할 때, 질 봉합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클립(10) 및 어플리케이터(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터(20)는 클립이 장착되어 클리핑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집게부(21), 로드(22), 연결부재(23), 스프링(24), 와이어(25) 및 파지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집게부(21)는 클립(10)이 장착되는 것으로, 클립(10)이 끼워질 수 있도록 내면을 따라 형성된 클립 홈(2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집게부(21)는 와이어(25)에 의해 잡아 당겨지면 로드(22)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면서 가압됨으로써 집게부(21)에 장착된 클립(10)이 가압되고, 이에, 질 봉합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21)에 클립(10)이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기울어지거나 쉽게 이탈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로드(22)는 내부가 관통되어 길이를 가지는 원형 관 또는 다각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단측에 집게부(21)가 일부 삽입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타단은 파지부(26)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로드(22)의 내부에는 연결부재(23), 스프링(24) 및 와이어(25)가 설치되어 있다.
로드(22)를 통해 길이가 확보됨으로써, 복강경 절제술 시행 시, 클립(10)을 질쪽으로 용이하게 접근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연결부재(23)는 로드(22) 내부에 설치되어 집게부(21)에 연결되고, 후측에는 스프링(24)이 받쳐주도록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와이어(25)와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24)은 로드(22)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이 연결부재(23)와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25)에 의해 연결부재(23)가 후측으로 잡아 당겨지면 스프링(24)은 가압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와이어(25)에 의해 당겨지는 힘이 없어질 경우 탄성에 의해 연결부재(23)가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와이어(25)는 일단이 연결부재(23)에 연결되며 타단이 파지부(26)의 작동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파지부(26)의 작동부(260)를 사용자가 파지에 의해 누르게 되면 와이어(25)가 잡아 당겨지고 집게부(21)가 로드(2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파지부(26)는 건 형상으로 형성되어 로드(22) 후단에 설치되고, 와이어(25)와 연결되어 파지에 의해 상기 와이어를 잡아 당기는 작동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클립(10)은 어플리케이터(20)에 장착되어 클리핑됨으로써 봉합 부위를 봉합할 수 있다.
이때, 클립(10)은 봉합 부위에 재질이 흡수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클립(10)이 봉합 부위에 결착되었을 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변조직에 유착되기 때문에 염증 가능성이 낮으며, 추후에 봉합 부위로부터 클립(10)을 제거하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이 있다.
또한, 클립(10)은 중심부(11), 삽입부(12) 및 삽입 돌기(13)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11)는 'ㅅ'자 형태로 형성되어 집게부(21)의 클립 홈(214)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중심부(11)의 형태는 'V'자 형태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삽입부(12)는 중심부(11)의 양 끝단에 내측을 향하도록 끝이 뾰족한 침 형태로 형성되어, 봉합 부위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2)는 중심부(11)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삽입부(12)는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삽입부(12)와 중심부(11)가 이루는 각도는 40 내지 70°각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삽입 돌기(13)는 삽입부(12)에 한 개 이상이 형성되어, 봉합 부위로부터 클립(1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삽입 돌기(13)는 봉합 부위에 삽입되도록 뾰족한 가시 형태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삽입 돌기(13)는 봉합 부위에 쉽게 삽입되고, 잘 빠지지 않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클립(10)이 가압되면 삽입 돌기(13)를 통해 봉합 부위로부터 클립(1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봉합 부위와 밀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의 (a), (b)는 도 5의 어플리케이터의 작동하는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투영도이고, 도 7은 도 5의 어플리케이터의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투영도이고, 도 8의 (a),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의 클립이 클리핑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1)의 클립(10)은 일측이 개방된 원형태로, 어플리케이터(20)로 클래핑을 하게 되면, 클립(10)의 끝단이 겹쳐짐으로써 봉합부위를 마치 실로 묶은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에, 집게부(21)는 집게 축(210), 클립 거치부(211), 집게 돌기(212) 및 집게 홀(213)을 포함할 수 있다.
집게 축(210)은 집게부(21)가 구부려질 수 있도록 중심이 되는 축으로, 연결부재(23)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클립 거치부(211)는 집게 축(210)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클립(10)이 끼워질 수 있도록 내면을 따라 클립 홈(214)이 형성될 수 있다.
집게 돌기(212)는 하나의 클립 거치부(211)의 끝단에 형성된 돌기로, 길이를 가진 막대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집게 홀(213)은 집게 돌기(212)가 끼워질 수 있도록 나머지 하나의 클립 거치부(211)의 끝단에 형성된 홀로, 집게 홀(213)에 집게 돌기(212)가 끼워짐으로써, 클립(10)이 클래핑될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게부(21)의 구성에 따라 클래핑 된 클립(10)의 모양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클립(10)은 클리핑 됐을 때 양 끝단이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뒤틀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클립(10)의 끝단이 겹쳐짐으로써 봉합 부위를 관통하여 클립(10)과 봉합 부위의 결합력이 강화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의 클립이 클리핑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의 (a),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의 클립의 클리핑 전/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의 돌기에 약물 침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도이고, 도 13의 (a), (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의 클립의 클리핑 전/후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의 어플리케이터의 장착부가 이탈부 및 이탈홀을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도이고, 도 15의 (a) 및 (b)는 도 14의 이동부가 이동함에 따라 이탈부가 홈에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도이며, 도 16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의 어플리케이터의 본체부가 고리부가 전후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클립(10)은 연결부(100) 및 다리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립(10)은 'ㄷ' 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클립(10)은 봉합 부위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쪽 끝이 서로 겹쳐지되 중첩되지 않게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립(10)의 끝단이 질 상부 봉합 시 겹쳐지게 고정됨으로써, 고정력이 우수할 수 있다.
도 11의 (a), (b)를 참조하면, 연결부(100)는 클립(10)을 가압 시 내측으로 굴곡되는 제1 변곡점(120) 및 제2 변곡점(130)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연결부(100)는 두 개의 변곡점을 기준으로 중간부(140), 제1 연결부(150) 및 제2 연결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부(140)는 두 개의 변곡점 사이 구간이며, 제1 연결부(150)는 중간부(140)로부터 굴곡되어 제1 변곡점(120)과 끝단 사이의 구간이며, 제2 연결부(160)는 중간부(140)로부터 굴곡되어 제2변곡점과 끝단 사이의 구간일 수 있다.
이에, 클립(10)은 클립(10)이 봉합 부위에 장착될 때, 연결부(100)가 두 개의 변곡점을 기점으로 구부러짐으로써, 클립(10)이 'ㅁ'자 형태가 되어 봉합 부위에 가압 및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연결부(100)의 제1 연결부(150)와 제2 연결부(160)의 길이가 같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연결부(100)가 구부러짐으로써, 클립(10)이 'ㅁ'자 형태로 되어 봉합 부위에 고정될 때, 양쪽 끝이 서로 겹쳐지되 중첩되지 않게 맞물릴 수 있다.
클립(10)의 다리부(110)는 연결부(100)로부터 이어지는 두 개의 다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리부(110)는 다리부(110)의 끝단에 형성되어 봉합 부위로부터 클립(1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돌기(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70)는 봉합 부위에 삽입되도록 뾰족한 가시 형태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돌기(170)는 봉합 부위로부터 쉽게 삽입되며, 잘 빠지지 않도록 연결부(100)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클립(10)이 가압되면 하나의 다리부의 돌기(170)와 다른 다리부의 돌기(170)가 엇갈리게 고정되어 봉합 부위로부터 클립(1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봉합 부위와 밀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다리부(110)의 돌기(170)는 끝단에 약물 침(180)을 포함할 수 있다.
약물 침(180)은 봉합 부위에 적합한 약물을 포함하며, 이를 봉합 부위에 주입함으로써 보다 빠른 회복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침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약물 침(180)은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13를 참조하면, 클립(10)의 다리부(110)는 제1 연결부(150) 및 제2 연결부(160)의 길이가 같을 경우, 연결부(100)로부터 다리부(110)가 각도를 가짐에 따라, 다리부(110)의 양쪽 끝이 서로 겹쳐지되 중첩되지 않게 맞물릴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다리부는 연결부(100)로부터 60 내지 87 °각도를 가지며, 나머지 다리부는 93 내지 120°각도를 가질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다리부의 각도가 60°각도를 갖고, 나머지 다리부는 120°각도를 가지며, 두 다리부의 각도의 합이 180°가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1)의 어플리케이터(20)는 본체부(200), 손잡이부(240) 및 장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00)는 길이를 가지며 내부가 관통된 막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240)는 본체부(200) 하면에 두 개의 손잡이가 형성되고, 전면에 위치한 손잡이를 당겨줌으로써, 클립(10)이 'ㅁ' 형태로 바뀌며 봉합 부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손잡이부(240)의 형태는 두 개의 손잡이가 하측으로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장착부(220)는 본체부(200)에 형성되어 클립(10)이 장착될 수 있는 것으로, 이동부(222), 스프링부(221), 고정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장착부(220)는 본체부(200)의 전측에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동부(222)는 길이를 가진 막대 형태로 본체부(200) 내면에 설치되되, 전측이 본체부(200)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222)는 전측에 클립(10)이 끼워지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222)는 손잡이부(240)를 당겨줌으로써 클립(10)을 봉합 부위에 고정시킬 때, 본체부(200)의 후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이동부(222)가 본체부(200)의 후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클립(10)이 이동부(222)의 홈에 끼워진 상태로 함께 이동하며, 'ㄷ' 자 형태에서 'ㅁ' 자 형태로 바뀔 수 있다.
스프링부(221)는 이동부(222)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부(222)와 연결되어 본체부(200) 후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스프링부(221)는 한 개 이상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프링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스프링부(221)는 클립(10)을 봉합 부위에 고정시킨 후 제자리로 돌아갈 수 있도록 복원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부(223)는 클립(10)을 잡아줄 수 있도록 본체부(200) 전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끼움부(224) 및 경사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부(224)는 한 쌍으로 본체부(200)의 전면 양측에 형성되고, 클립(10)이 끼워질 수 있도록 'U'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225)는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끼움부(224) 하측 내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클립(10)이 이동부(222)에 끼워진 상태로 당겨질 때, 'ㅁ' 형태가 될 수 있도록 모양을 잡아줄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터(20)의 장착부(220)는 이탈부(226) 및 이탈홀(2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부(226)는 이동부(222)에 한 개 이상의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이탈부(226)의 형태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탈홀(227)은 이동부(222)의 홈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이탈부(226)가 설치되고, 이동부(222)가 후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탈부(226)가 전방향으로 이동되어 홈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홈에 끼워져 있던 클립(10)이 봉합 부위에 장착된 후, 이동부(222)로부터 클립(10)이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터(20)의 본체부(200)는 고리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리부(230)는 본체부(20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클립(10)으로 봉합하기 전에 봉합 부위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고리부(230)로 봉합 부위를 미리 고정시켜줌으로써, 클립(10)이 봉합 부위에 보다 쉽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리부(230)는 본체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고리부(230)는 본체부(200)에 형성된 고리 이동부(2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리 이동부(231)를 전후방향으로 움직여줌으로써 고리부(2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고리부(230)가 전측으로 이동되어있을 경우, 보다 쉽게 봉합 부위에 접촉할 수 있으며, 고리부(230)를 봉합 부위에 걸린 상태로 고리 이동부(231)를 통해 후측으로 이동하여 클립(10)을 바로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봉합 부위를 집게나 핀셋 등으로 잡아주지 않아도 고리부(230)를 이용하고, 바로 클립(10)을 클리핑함으로써 보다 쉽고 빠르게 봉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를 제1 내지 4 실시예로 나누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성 및 이해가 쉽도록 하기 위해 실시예를 나눠 설명한 것으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구성은 설계 변경하여 서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스테이플러
10: 클립
11: 중심부
12: 삽입부
13: 삽입 돌기
100: 연결부
110: 다리부
120: 제1변곡점
130: 제2변곡점
140: 중간부
150: 제1연결부
160: 제2연결부
170: 돌기
180: 약물 침
20: 어플리케이터
21: 집게부
22: 로드
23: 연결부재
24: 스프링
25: 와이어
26: 파지부
200: 본체부
210: 집게 축
211: 클립 거치부
212: 집게 돌기
213: 집게 홀
214: 클립 홈
220: 장착부
221: 스프링부
222: 이동부
223: 고정부
224: 끼움부
225: 경사부
226: 이탈부
227: 이탈홀
230: 고리부
231: 고리이동부
240: 손잡이부
260: 작동부

Claims (12)

  1. 클립 및
    상기 클립이 장착되어 봉합 부위에 상기 클립을 가압 고정시킴으로써 봉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하는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클립이 장착되는 집게부;
    내부가 관통되어 길이를 가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집게부가 전단측에 설치되는 로드;
    상기 로드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집게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로드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탄성을 주는 스프링;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된 와이어 및
    상기 로드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어 파지에 의해 상기 와이어를 잡아 당기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V'자 형태로 형성된 중심부;
    상기 중심부 끝단에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봉합 부위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형성되며 봉합 부위로부터 상기 클립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한 개 이상의 삽입 돌기를 포함하는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일측이 개방된 원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집게부는,
    상기 집게부가 구부려질 수 있도록 중심이 되는 집게 축;
    상기 집게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클립이 끼워질 수 있도록 내면을 따라 클립홈이 형성된 클립 거치부;
    하나의 클립 거치부 끝단에 형성된 집게 돌기 및
    나머지 하나의 클립 거치부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집게 돌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집게 홀을 포함하는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ㄷ' 자로 형성 되어,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이어지는 두 개의 다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가 구부러짐으로써, 상기 클립이 'ㅁ' 자 형태로 되어 봉합 부위에 가압 고정되어 봉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클립을 가압 시 내측으로 굴곡되는 제1 변곡점 및 제2 변곡점을 가지고,
    두 개의 변곡점 사이 구간인 중간부;
    상기 중간부로부터 굴곡되어 제1 변곡점과 끝단 사이의 구간인 제1 연결부 및
    상기 중간부로부터 굴곡되어 제2 변곡점과 끝단 사이의 구간인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길이가 같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
  7. 제6항에 있어서,
    하나의 다리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60 내지 87°각도를 가지며, 나머지 다리부는 93 내지 120°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하면에 형성된 손잡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클립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클립이 끼워지는 홈을 포함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 후측에 형성된 스프링부 및
    상기 클립을 잡아줄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 전측에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마주보는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립이 끼워질 수 있도록 'U'자 홈이 형성된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 하측 내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클립이 당겨지면서 'ㅁ' 형태가 될 수 있도록 모양을 잡아주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이동부에 막대 형태 형성되어 길이를 가지는 한 개 이상의 이탈부 및
    상기 홈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가 후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탈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이탈홀을 더 포함하는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클립으로 봉합하기 전 봉합 부위에 접촉할 수 있는 고리부를 더 포함하는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
KR1020200059604A 2020-05-19 2020-05-19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 KR102398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604A KR102398585B1 (ko) 2020-05-19 2020-05-19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604A KR102398585B1 (ko) 2020-05-19 2020-05-19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878A true KR20210142878A (ko) 2021-11-26
KR102398585B1 KR102398585B1 (ko) 2022-05-17

Family

ID=78700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604A KR102398585B1 (ko) 2020-05-19 2020-05-19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5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9152A (en) * 1987-03-02 1990-04-24 Ralph Ger Method of closing the opening of a hernial sac
KR20110054416A (ko) * 2009-11-17 2011-05-25 (주)드림메딕스 봉합클립
JP2013000600A (ja) * 2011-06-21 2013-01-07 Ethicon Endo Surgery Inc 小さな送達ポートを通って大きなステープルを適用するための外科用締結具
US8979872B2 (en) * 2007-03-13 2015-03-17 Longevity Surgical, Inc. Devices for engaging, approximating and fastening tissu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9152A (en) * 1987-03-02 1990-04-24 Ralph Ger Method of closing the opening of a hernial sac
US8979872B2 (en) * 2007-03-13 2015-03-17 Longevity Surgical, Inc. Devices for engaging, approximating and fastening tissue
KR20110054416A (ko) * 2009-11-17 2011-05-25 (주)드림메딕스 봉합클립
JP2013000600A (ja) * 2011-06-21 2013-01-07 Ethicon Endo Surgery Inc 小さな送達ポートを通って大きなステープルを適用するための外科用締結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585B1 (ko)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8361B2 (en) Clip applying apparatus with angled jaw
US7343920B2 (en) Connective tissue repair system
US5984949A (en) Tissue hooks and tools for applying same
US20170000483A1 (en) Surgical instrument
US5445167A (en) Methods of applying surgical chips and suture tie devices to bodily tissue during endoscopic procedures
EP0664688B1 (en) Suture grasping device
US5158567A (en) One-piece surgical staple
EP0306298A2 (en) A staple cartridge and an anvilless surgical stapler
US20080027468A1 (en) Suture needle, suture needle/suture assembly and suture passer device
JPS59501656A (ja) 外科手術用クリップ取付方法、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クリップ、クリップ列
JP4674114B2 (ja) 医療用装置および生体組織用処置システム
JPH05503442A (ja) 内視鏡形のステープル留め装置及び方法
WO2006082810A1 (ja) 医療用縫合結紮装置及び医療用縫合結紮具
JP6594418B2 (ja) 組織を縫合する器具および方法
JP2004500209A (ja) グラフトおよびコネクタの移送
JPH03155851A (ja) 外科用留め具を付けるための装置
JP2004537364A (ja) 外科用ステープル留め器
JPH0380019B2 (ko)
JP2010524509A (ja) 外科強化部組立体及びその使用方法
AU2011200086A1 (en) Suture and retainer assembly and sulu
KR20150112760A (ko) 외과용 혈관 클립 및 이를 이용하는 혈관 클립 어플라이어
EP2491869B1 (en) Stapling device for closing perforations
KR102608073B1 (ko) 횡방향 연결 영역에 의해 연결된 두 개의 가동 아암을 가지는 수술용 스테이플
JP2017525476A (ja) 組織手術用のアンカ及び締結具
US10478164B2 (en) Jaw for a surgical tubular shaft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