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4416A - 봉합클립 - Google Patents

봉합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4416A
KR20110054416A KR1020090111045A KR20090111045A KR20110054416A KR 20110054416 A KR20110054416 A KR 20110054416A KR 1020090111045 A KR1020090111045 A KR 1020090111045A KR 20090111045 A KR20090111045 A KR 20090111045A KR 20110054416 A KR20110054416 A KR 20110054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suture
gap adjusting
tightening rod
l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1652B1 (ko
Inventor
김지형
Original Assignee
(주)드림메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림메딕스 filed Critical (주)드림메딕스
Priority to KR1020090111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1652B1/ko
Publication of KR20110054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7Suture clamps, clips or locks, e.g. for replacing suture knots;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clamps, clips or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2Material properties elastic or resilient

Abstract

본 발명은 환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환자에게 통증을 절감시키면서 피부조직을 봉합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이용하여 환부의 벌어진 간격을 점진적으로 좁힐 수 있는 봉합클립에 관한 것으로, 탄성부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클립다리; 상기 클립다리의 단부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바늘부; 및 상기 클립다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한다.
봉합클립, 연부조직 손상, 재건술

Description

봉합클립{Suturing clip}
본 발명은 봉합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환자에게 통증을 절감시키면서 피부조직을 봉합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이용하여 환부의 벌어진 간격을 점진적으로 좁힐 수 있는 봉합클립에 관한 것이다.
연부조직 손상은 외상 또는 수술 후에 생길 수 있는 널리 알려진 합병증으로 특히 하퇴부에 더 흔히 발생하며, 이를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치료법이 있지만, 그 효능이 확실한 치료방법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특히, 하퇴원위 1/3부위와 발뒤꿈치 주위의 재건은 가장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골의 전방은 피부 및 피하 연부조직이 얇고 손상에 노출되기 쉽다. 또한 이 부위의 피부 및 연부조직의 이완의 부족은 손상이 재건술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당한 어려움을 초래한다.
하퇴부의 연부조직 결손의 치료에 있어서 많은 다양한 근피판 이식술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피판이식 기법들은 수혜부와 이식 피판의 상이성과 피판의 괴사 및 공여부의 또 다른 합병증, 당뇨와 나이 등 환자의 전신상태 등으로 인해 시술이 제한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봉합사 대신 봉합와이어(20)를 사용하는 시술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봉합와이어를 이용하여 봉합 후 시간에 따라 철사를 꼬아 꼬임부(22)를 형성하여 점차적으로 피부를 늘이는 방법은 전통적으로 대부분의 술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봉합와이어(20)를 꼴 때 환자가 느끼는 통증이 크며, 사익 봉합와이어(20)를 꼬기 위한 와이어홀더(wire-holder)와 같은 별도의 도구가 필요할 다. 더욱이, 하퇴부와 같이 볼록한 면의 경우에는 2개의 수평한 봉합와이어의 사이에서 피부괴사를 유발할 수 있어서 적용하기 쉽지 않다.
또한, 과도히 꼬았다고 생각될 때 상기 봉합와이어(20)를 다시 이완시키기는 매우 힘들다. 이러한 단점 때문에 실제 임상에서는 사용하기 곤란하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환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환자에게 통증을 절감시키면서 피부조직을 봉합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이용하여 환부의 벌어진 간격을 점진적으로 좁힐 수 있는 봉합클립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탄성부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클립다리; 상기 클립다리의 단부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바늘부; 및 상기 클립다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봉합클립이다.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클립다리의 중간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간격조절와이어를 걸 수 있는 걸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간격조절와이어의 길이를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일단부에는 상기 간격조절와이어를 비틀어 꼴 수 있는 제1고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에 걸수 있는 제2고리가 형성된 꼬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한쌍의 클립다리 각각의 중간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모두 통과하는 조임로드; 및 상기 조임로드의 양측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한쌍의 클립다리 중 어느 하나의 중간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클립다리의 중간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타단이 통과하는 조임로드; 및 상기 조임로드의 타단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한쌍의 클립다리 각각의 중간부에 형성된 관통홀과 나사결합을 하며 통과하는 조임로드; 및 상기 조임로드의 중간에 일체로 고정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로드는 상기 조절부재를 중심으로 좌우측의 나사산이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간격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한쌍의 클립다리 중 어느 하나의 중간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다른 클립다리의 중간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며 상기 관통홀에 걸리도록 하나 이상의 스토퍼가 돌출형성되는 조임로드; 및 상기 관통홀에 설치되서 상기 스토퍼를 상기 관통홀에 걸리도록 가세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한다.
또, 상기 클립다리는 환부가 상측에서 보았을 때 개방되도록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환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환자에게 통증을 절감시키면서 피부조직을 봉합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이용하여 환부의 벌어진 간격을 점진적으로 좁힐 수 있는 봉합클립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이러한 봉합클립을 통해 신체의 다른 부분의 피부를 이식하는 피부이식의 시술을 줄일 수 있어서, 환자에게 비용부담을 줄이고, 신체 다른 부분의 피부적출의 부담을 해소할 수 있다.
이러한, 봉합클립을 이용한 하퇴부 연부 조직 결손의 재건술은 국소 마취만을 필요로 하며, 사강(dead space)을 감소시켜서 감염치유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또, 시술 후에도 배액과 관주가 지속적으로 가능하다.
부드러운 봉합사를 이용하여 조이므로, 통증이 적고 과도한 조임의 경우에는 쉽게 조임을 풀 수 있는 가역적인 방법이다. 아울러 피판술과 같이 피부괴사 및 공여부의 문제도 없으므로 피판술 등에 앞서 시행할 수 있는 좋은 방법으로 생각된다. 또한, 피판술이 꼭 필요한 경우에도 이러한 기법을 추가적으로 시행하여 피판 자체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피판술의 일부가 괴사된 경우에 추가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봉합클립(100)의 개략도이다.
상기 봉합클립(100)는 상기 탄성부(104)와, 상기 탄성부(104)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클립다리(1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봉합클립(100)은 탄성을 가지면서, 인체에 무해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104)는 토크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실시예1에서는 한번의 꼬임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기 클립다리(102)의 단부에는 바늘부(108)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바늘부(108)의 끝은 첨예하게 가공되어, 환부를 찌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클립다리(10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간격조절부가 형성된다. 실시예1의 간격조절부는 상기 클립다리(102)의 중간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간격조절와이어(122)를 걸 수 있는 걸이부(106)이다.
상기 걸이부(106)의 위치는 상기 클립다리(102) 사이의 간격을 줄이기 쉽도록 상기 탄성부(104)보다 상기 바늘부(108)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걸이부(106)의 위치는 상기 간격조절와이어(122)가 환부와의 거리를 둘 수 있도록 고려되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봉합클립(100)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봉합클립(100)을 이용하여 봉합시술하는 과정에 대해 도 3을 통해 설명한다.
먼저, 벌어진 환부에 상기 봉합클립(100)의 바늘부(108)를 벌려 꽂는다. 그리고, 상기 봉합클립(100)의 걸이부(106)에 간격조절와이어(122)를 설치한다. 이 때, 상기 간결조절와이어(122)에 의한 상기 봉합클립(100)의 클립다리(102) 사이의 간격은 주위피부의 늘어나는 정도, 환자의 통증 등을 고려하여 조절한다.
이와 같은 봉합클립(100)의 시술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부를 따라 복수개 수행한다.
이 때, 각 봉합클립(100)의 클립다리(102) 사이의 간격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위치에 따라 상기 봉합클립(100)에 의해 조여지는 힘의 크기 및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봉합클립(100)이 쓰러지지 않도록 상기 탄성부(104)를 연결부재(120)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시킨다. 상기 연결부재(120)로는 철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술 후, 상처의 치유상태 및 주위피부의 늘어나는 정도, 환자의 통증 등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봉합클립(100)의 클립다리(102) 사이의 간격을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한다.
시간의 경과 후, 주위 피부조직의 전진 및 상처의 크기의 감소가 봉합이 가능할 정도로 진행되면 변연부를 적당히 다듬고 적절한 굵기의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하여 환부를 봉합한다.
상기 봉합클립(100)의 제거는 봉합부위의 안정성이 확보된 경우 시행한다. 즉, 상기 봉합클립(100)을 충분히 이완시켜도 봉합부위의 안전성이 확보된 경우, 상기 봉합클립(100)을 제거한 후, 상기 봉합사를 제거한다.
만일, 봉합부위의 안정성이 확보된 경우라면, 상기 봉합클립(100)을 먼저 제 거하고 봉합사에 의해 봉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봉합클립(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2의 봉합클립(200)에서 실시예1의 봉합클립(100)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봉합클립(200)은 실시예1의 간격조절와이어(122)의 묶고 푸는 불편함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간격조절부는, 한쌍의 클립다리(202) 각각의 중간부에 형성된 관통홀(미도시)을 모두 통과하는 조임로드(206)와, 상기 조임로드(206)의 양측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부재(210,212)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조절부재(210,212)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조절부재(210,21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상기 클립다리(202)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조임로드의 일단은 고정하고 타단에만 나사결합하는 조절부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실시예2는 실시예1에 비하여, 상기 클립다리(202) 사이의 미세조절이 가능하며, 특히 환자가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즉시 상기 클립다리(20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봉합클립(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3의 봉합클립(300)에서 실시예1의 봉합클립(100)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봉합클립(300)은 시술 후에 약품을 도포하거나 추가적인 시술이 필요한 경우, 또는 발등과 같이 봉합클립의 길이가 방해되는 경우 등에 사용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다리(302)를 절곡하였다.
따라서, 상기 봉합클립(300)을 상측에서 봤을 때 환부가 개방된 상태로 도니다.
이 때, 간격조절부인 걸이부(306)는 상기 클립다리(302)가 절곡되는 부분과 바늘부(308) 사이에 배치되서, 간격조절와이어(미도시)에 의한 힘의 조절이 상기 바늘부(308)에 잘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봉합클립(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4의 봉합클립(400)에서 실시예2의 봉합클립(200)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4의 봉합클립(400)은 하나의 조절부재(410)을 이용하여 양측의 클립다리(402)를 모두 조이거나 간격을 벌릴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서, 조임로드(406)의 중간에 조절부재(410)를 일체로 고정하였으며, 상기 조임로드(406)의 표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상기 조절부재(410)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각설된다.
따라서, 실시예4는 실시예2보다 조작이 좀 더 간편한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봉합클립(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5의 봉합클립(500)에서 실시예2의 봉합클립(200)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5의 봉합클립(500)은 실시예2의 봉합클립(200)처럼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스토퍼를 사용하여 일정간격마다 고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봉합클립(500)의 간격조절부는 일단이 한쌍의 클립다리(502) 중 어느 하나의 중간부에 회전가능하게 조인트(510)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이 다른 클립다리(502)의 중간에 형성된 관통홀(518)을 통과하며 상기 관통홀(518)에 걸리도록 하나 이상의 스토퍼(512)가 상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조임로드(506)와, 상기 관통홀(518)에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512)를 상기 관통홀(518)에 걸리도록 상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516)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스프링(516)에는 상기 조임로드(506)와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푸싱바(5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상기 조임로드(506)를 손으로 내리는 것에 의해, 빠르게 상기 클립다리(502) 사이의 간격을 넓힐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클립다리(502)를 외측에서 안쪽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인접하는 스토퍼(512) 사이의 간격을 1단위로 하여 상기 클립다리(502)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실시예5는 실시예4보다 정밀한 간격제어는 안되지만, 환자가 고통을 호소할 경우, 빠르게 상기 클립다리(502) 사이의 간격을 넓게 하여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따른 봉합클립(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6의 봉합클립(600)에서 실시예1의 봉합클립(100)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6은 실시예1과 동일한 구성에 꼬임수단(624)를 추가하여, 실시예1이 가지고 있는 간격조절와이어(122)의 불편함을 해소한 것이다. 다시 말해, 실시예1의 봉합클립(600)의 경우, 간격을 넓히거나 좁힐 경우 상기 간격조절와이어(122)에만 의존하므로, 상기 간격조절와이어(122)를 풀거나 다시 묶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간격조절와이어(122)에 의한 클립다리(102) 사이의 간격의 조절이 상당한 시간을 요하게 되며, 시술자의 숙련도가 요구된다. 특히, 클립다리(102)의 간격을 넓혀야 하는 경우, 환자의 고통의 완화를 위해 상기 간격조절와이어(122)를 절단해야 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실시예6에서는 꼬임수단(624)를 사용한다. 상기 꼬임수단(624)은 일단부에 간격조절와이어(622)를 비틀어 꼴 수 있는 제1고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탄성부(604)에 걸수 있는 제2고리가 형성된다.
상기 제1고리 및 제2고리는 대략 C자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고리와 제2고리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클립다리(602) 사이의 간격을 줄이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제1고리를 이미 설치되어 있는 상기 간격조절와이어(622)에 건 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 기 간격조절와이어(622)를 꼰 후에, 상기 제2고리를 탄성부(604)에 건다. 이 때, 상기 제1고리에 의해 상기 간격조절와이어(622)를 꼬는 양에 따라 상기 클립다리(602) 사이의 간격이 정밀하게 조절된다.
또, 상기 클립다리(602) 사이의 간격을 넓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고리를 상기 탄성부(604)로부터 이탈시키고, 상기 제1고리를 회전시켜 원하는 양만큼 상기 간격조절와이어(622)를 풀어 준다.
그러므로, 실시예6의 봉합클립(600)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실시예2,3에 버금가는 정밀한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봉합와이어를 이용한 봉합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봉합클립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봉합클립을 이용한 봉합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봉합클립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봉합클립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대한 봉합클립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대한 봉합클립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대한 봉합클립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2: 환부 20: 봉합와이어
22: 꼬임부 100,200,300,400,500,600: 봉합클립
102,202,302,402: 클립다리 104,204,304,404,504,604: 탄성부
106,306,606: 걸이부 108,208,308,408,508,608: 바늘부
120: 연결부재 122,622: 간격조절와이어
206,406,506:조임로드 210,212,410: 조절부재
510: 조인트 512: 스토퍼
514: 푸싱바 516: 스프링
518: 관통홀 624: 꼬임수단

Claims (8)

  1. 탄성부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클립다리;
    상기 클립다리의 단부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바늘부; 및
    상기 클립다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봉합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클립다리의 중간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간격조절와이어를 걸 수 있는 걸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클립.
  3. 제2항에 있어서, 일단부에는 상기 간격조절와이어를 비틀어 꼴 수 있는 제1고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에 걸수 있는 제2고리가 형성된 꼬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클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한쌍의 클립다리 각각의 중간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모두 통과하는 조임로드; 및 상기 조임로드의 양측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클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한쌍의 클립다리 중 어느 하나의 중간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클립다리의 중간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타단이 통과하는 조임로드; 및 상기 조임로드의 타단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클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한쌍의 클립다리 각각의 중간부에 형성된 관통홀과 나사결합을 하며 통과하는 조임로드; 및 상기 조임로드의 중간에 일체로 고정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로드는 상기 조절부재를 중심으로 좌우측의 나사산이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클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한쌍의 클립다리 중 어느 하나의 중간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다른 클립다리의 중간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며 상기 관통홀에 걸리도록 하나 이상의 스토퍼가 돌출형성되는 조임로드; 및 상기 관통홀에 설치되서 상기 스토퍼를 상기 관통홀에 걸리도록 가세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클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다리는 환부가 상측에서 보았을 때 개방되도록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클립.
KR1020090111045A 2009-11-17 2009-11-17 봉합클립 KR101161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045A KR101161652B1 (ko) 2009-11-17 2009-11-17 봉합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045A KR101161652B1 (ko) 2009-11-17 2009-11-17 봉합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416A true KR20110054416A (ko) 2011-05-25
KR101161652B1 KR101161652B1 (ko) 2012-07-02

Family

ID=44363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045A KR101161652B1 (ko) 2009-11-17 2009-11-17 봉합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16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2538A (zh) * 2016-03-29 2016-06-15 苏州瑞华医院有限公司 一种显微组织钳
KR20210142878A (ko) * 2020-05-19 2021-11-2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C20010072A1 (it) * 2001-07-03 2003-01-03 Piergiacomi Sud Srl Pinza chirurgica per la riduzione cruenta delle fratture dello scheletro faccia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2538A (zh) * 2016-03-29 2016-06-15 苏州瑞华医院有限公司 一种显微组织钳
KR20210142878A (ko) * 2020-05-19 2021-11-2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질 봉합용 스테이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1652B1 (ko) 201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60488A (en) Internal bone fixation apparatus
US5766218A (en) Surgical bind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Taylor et al. Early results using a dynamic method for delayed primary closure of fasciotomy wounds
US10631896B2 (en) Elongated pin for an external modular fixation system for temporary and/or permanent fixation applications and external modular fixation system
US8915914B2 (en) Method for treating a fracture of a bone having a medullary canal
MXPA02010751A (es) Sistema y metodo para mover y estirar tejido plastico.
MXPA05000379A (es) Sistema y metodo para mover y tensar tejido plastico.
RU2718320C2 (ru) Устройство растяжения кожи
CN105455861A (zh) 一种环形皮肤牵张器
US5611814A (en) Resorbable surgical appliances and endoscopic soft tissue suspension procedure
US20180368896A1 (en) Rib fixation device
RU2579351C1 (ru)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лагофтальма при хроническом параличе лицевого нерва
CN103654893B (zh) 医用调节式伤口缝合器
CN111643140A (zh) 一种组装式多节可伸缩皮肤牵张器
KR101161652B1 (ko) 봉합클립
EP2937050A1 (en) Minimally invasive fixation plate for the correction of bunions
CN213098092U (zh) 一种可伸缩皮肤牵张器
CN108498128B (zh) 皮肤牵张闭合器
RU2341210C2 (ru) Способ устранения морщин и лифтинг кожи лица и/или тела пациента и игла для него
CN205234557U (zh) 环形皮肤牵张器
US9517137B2 (en) Minimally invasive internal elbow fixation hinge apparatus and surgical method of applying said device
RU2681056C1 (ru) Способ оперативного лечения острых разрывов ахиллова сухожилия
RU2669988C1 (ru) Имплантат для устранения деформирующего птоза мягких тканей лица
US20180368897A1 (en) Rib fixation device
WO2017037733A1 (en) External fixator for trauma management of lim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