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427A -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 및 그 매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 및 그 매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427A
KR20210142427A KR1020200059229A KR20200059229A KR20210142427A KR 20210142427 A KR20210142427 A KR 20210142427A KR 1020200059229 A KR1020200059229 A KR 1020200059229A KR 20200059229 A KR20200059229 A KR 20200059229A KR 20210142427 A KR20210142427 A KR 20210142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sheet
cement
maintaining member
concrete composite
shape main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한용
남경화
Original Assignee
전한용
남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한용, 남경화 filed Critical 전한용
Priority to KR1020200059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2427A/ko
Publication of KR20210142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4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 B32B13/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6Knitted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8Textiles 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 및 그 매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멘트 잡아주기 위한 형태유지부재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 하부시트 위에 적층 설치된 형태유지부재의 측면을 감싸 절첩되면서 하부시트의 끝단이 형태유지부재의 상부 일부를 덮도록 절첩되어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시멘트의 장입이 용이하고 측면으로 시멘트의 유실이 방지되며 길이방향으로 인장강도가 향상 및 매트를 다수개 설치시 인접되는 매트와 매트의 측면이 면접촉되게 설치되어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 등이 있는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는 콘크리트 복합매트에 있어서, 시멘트가 충진되기 위한 비체적 공간이 형성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틀은 일정한 규칙이 없이 형성된 형태유지부재와 상기 형태유지부재의 폭보다 연장되게 넓게 형성된 하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 위에 적층 설치된 형태유지부재보다 연장된 하부시트의 양단이 형태유지부재의 측면을 감싸 절첩되면서 하부시트의 끝단이 형태유지부재의 상부 일부를 덮도록 절첩되어 형성되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와 날개부 사이는 개방되어 시멘트가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를 이용하여 시멘트 장입 후 공간부를 폐쇄하는 덮개부재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Description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 및 그 매트의 제조방법{Concrete composite mat that can be assembled and installed on site}
본 발명의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 및 그 매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멘트 잡아주기 위한 형태유지부재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 하부시트 위에 적층 설치된 형태유지부재의 측면을 감싸 절첩되면서 하부시트의 끝단이 형태유지부재의 상부 일부를 덮도록 절첩되어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시멘트의 장입이 용이하고 측면으로 시멘트의 유실이 방지되며 길이방향으로 인장강도가 향상 및 매트를 다수개 설치시 인접되는 매트와 매트의 측면이 면접촉되게 설치되어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 등이 있는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 및 그 매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규모의 토지조성, 도로공사, 매립지 조정공사 등의 경우, 성토사면 및 절취사면이 필연적으로 형성되어지며, 그 사면의 표층의 보호를 위한 다양한 공법이 사용되는데 대표적인 사면표면 처리공법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이다. 레미콘 형태로 공장에서 제조된 습식 콘크리트를 차량으로 운반하여 포설하고자 하는 위치에 거푸집 등으로 형태를 잡고 타설·경화시켜 콘크리트 보호층을 조성한다. 급경사의 절취사면에서는 뿜어 붙이기 기술인 숏크리트공법이 적용되며, 숏크리트 공법은 표층이 불안정한 사면의 표면을 콘크리트로 피복하여 표층의 안정화를 유도하는 공법으로서 단기간의 효과가 뚜렷하다는 장점 때문에 흔히 시공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숏크리트 공법은 굴착된 면에 액체를 뿜어서 붙이는 작업으로 시설이 과다하게 사용되며, 사전 준비작업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또한 펌프를 이용하여 타설하기 때문에 작업시 소음이 발생과 노즐 끝단을 작업자가 잡고 작업을 실시하기 때문에 분사시 입자를 작업자가 흡입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저류조, 수로, 인공호수 등에서도 사면 마감을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이때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양생을 시키기 위한 거푸집 등이 사용되는데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고서는 콘크리트 타설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사전 준비작업 및 타설 작업시 시간이 많이 소요됨과 일력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현장수화 콘크리트 매트가 적용되는데, 건조 시멘트 혼합분말을 담지한 복합매트 형태로 현장에 포설된 후 단순한 물의 분사·살포로 수화시키고 시멘트혼합물이 경화되면 간편하게 콘크리트 보호층을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현장수화 콘크리트 매트에 대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17203호 함침된 천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밀하게 편직된 바닥 층(10), 더 느슨하게 편직된 상부 층(12), 및 하부의 바닥 층(10)과 상부의 상부 층(12) 사이의 공간(16)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연결 섬유(14)를 갖는 편직된 천을 제공한다.
상기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17203호는 아래와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연결 섬유(14)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길이방향에 대한 인장력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고, 수직방향 연결섬유가 외력에 대해 취약점으로 작용하여 경화된 콘크리트 매트의 파단점이 되며 이로 인한 파단강도의 저하가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둘째, 매트를 절단하게 되면 절단면을 중심으로 충진물질인 시멘트가 다량으로 유실되는 문제가 있으며 수분(물)의 침투가 표면부와 중심부의 경화에 시간 차가 발생되어 물성이 변화되는 단점이 있으며, 셋째, 연결 섬유(14)를 이용하여 바닥 층(10)과 상부의 상부 층(12)의 간격 즉, 공간(16)을 형성하기 때문에 충전물의 양으로 경화 두께를 조절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109869호는 첨부도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메쉬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투과층(20)이 구조층(40)에 접합되고 상기 구조층(40)에 시트 형태의 불투수층(50)이 접합되어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구조층(40)에 시멘트 입자(31)가 충진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109869호의 시멘트 복합제는 [0013] 일측에 메쉬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투과층(20)에 의해 물의 투입은 용이하나 충전물인 시멘트 입자가 쉽게 유실되며 특히 시멘트 입자가 한쪽으로 몰려지게 되므로 두께가 고르지 못하게 되는 문제와 반드시 불투수층(50)이 바닥으로 향하도록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투과층(20), 구조층(40), 불투수층(50)의 접합 강도가 약해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며 특히 제품의 전체 강도가 구조층(40)에 의해 감소되는 문제가 있으며, 인장 외력에 강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또한, 무작위성에 의존한 구조층 구성으로 공극의 크기가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으로 이로 인해 최종 수화된 제품의 두께 편차가 크게 나타나는 단점이 있어 상대적으로 품질관리에 균일성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균일하지 못한 opening 크기와 분포를 보이며 이로 인해 매트 내 시멘트가 유동에 의한 쏠림으로 두께 편차가 크게 나타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85123호는 첨부도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경형 폴리머 시멘트(10), 부직포(20), 방수시트(30), 그리드(GRID)(40) 및 고정수단(50)을 포함하되, 상기 속경형 폴리머 시멘트(10)는 초미립 시멘트 50~60중량%, 고로슬래그 10~15중량%, 탄산칼슘 5~10중량%, 알루미네이트 속경제 5~10중량%, 알루미네이트 팽창제 1~2중량%, 유동화제 1~2중량%, 골재 001~20중량% 및 아크릴수지 또는 SBR(Styrene ButadieneRubber) 수지 중 어느 하나 5~1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부직포(20)는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레이온(rayon), 나일론, 카본섬유, PVC(Polyvinyl Chloride) 섬유 및 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며, 상기 방수시트(30)는 액상 방수재, ECB(Ethylene Copolymer Bitumen) 시트, EPDM(Ethylene Propylene DieneMonomer) 시트, EVA(Ethylene Vinyl Acetate) 시트 및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시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며, 상기 그리드(GRID)(40)는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를 사용하며, 상기 고정수단(5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사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85123호의 속경형 폴리머 시멘트가 내장된 방수고화매트는 상하면을 박음질된 실로 연결 고정하여, 중심층에서 건조시멘트 혼합분말층을 고정하는 담지효율이 매우 낮아 건조 시멘트 혼합분말의 유동이 심해 취급 및 현장 포설시 균일하지 못한 두께로 인한 경화 후 외력에 쉽게 파단되는 단점을 갖는다.
첨부도면 도 1d는 상기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85123호의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는 바닥층(1)과; 상기 바닥층(1) 위에 미리 제조되어 분포되는 콘크리트 혼합 분말층(2)과; 상기 혼합 분말층을 덮는 섬유층(3)과; 상기 섬유층(3)의 바깥에서 상기 바닥층(1)에 이르는 깊이로 바늘로 찔렀다가 빼는 것에 의하여, 상기 섬유층(3)으로부터의 섬유가 상기 바닥층(1)과 연결되는 연결 섬유사를 포함하여 구성된 구조이다.
상기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85123호는 첨부도면 도 1c와 기술적 요지가 극히 유사한 구조로 상하면을 박음질된 실로 연결 고정하여, 중심층에서 건조시멘트 혼합분말층을 고정하는 담지효율이 매우 낮아 건조 시멘트 혼합 분말의 유동이 심해 취급 및 현장 포설시 균일하지 못한 두께로 인한 경화 후 외력에 쉽게 파단되는 단점을 갖는다.
한편 첨부도면 도 1e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6-32357호의 섬유보강 현장수화 콘크리트매트는 단섬유를 일정한 두께로 펼쳐 적층하고 니들펀칭한 후 가열 가압하여 이루어진 제1부직포층과 제2부직포층과; 상기 제1부직포층 및 제2부직포층의 사이에 충진되는 혼합 시멘트층과; 상기 시멘트층에 매립 설치되는 섬유강화보강층과; 상기 제1부직포층과 제2부직포층을 니들펀칭하여 접합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6-32357호는 포설된 시멘트의 중앙부에 메쉬 또는 그리드 형태의 구조물이 더 설치되고 제1부직포층과 제2부직포층을 니들펀칭하여 결속한 것으로 인장강도는 증대되는 효과는 있으나 이 또한 상하면을 박음질된 실로 연결 고정하여, 중심층에서 건조시멘트 혼합분말층을 고정하는 담지효율이 매우 낮아 건조 시멘트 혼합분말의 유동이 심해 취급 및 현장 포설시 균일하지 못한 두께로 인한 경화 후 외력에 쉽게 파단되는 단점을 갖는다.
첨부도면 도 1f는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2017-17637호의 발포 폼 메쉬를 이용한 현장수화 섬유강화 콘크리트 매트는 그물망 형태이고 길이방향으로 장공 형상의 오픈셀 구조이며 포어수가 10~25ppi, 두께는 5~30mm인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형성된 담지체의 양면에 직포 또는 부직포가 부착 설치되며, 상기 담지체에는 수화용 시멘트 혼합분말이 충진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셀이 장공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상하로 건조 시멘트혼합분말의 충진은 용이하면서 좌우로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며, 수분이 침투되었을 때 유로의 역할을 수행하여 수분확산을 촉진 시킬 수 있고 콘크리트가 충입되면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형성시킨 담지체는 제조가 용이하지 않는 단점이 있어 대량생산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 콘크리트매트는 측면이 개방되어 있어 시멘트 유실의 문제가 있으며 더불어 측면으로 세어나온 시멘트가 이동중 날려 작업자가 흡입하게 되어 건강을 해하는 문제와 따라서 콘크리트매트의 폭방향 연결이 잘 이루어지질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상부에 시트 내지 섬유로 이루어진 원단이 설치되어 시멘트의 장입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길이방향의 인장강도가 떨어져 내측에 별도의 보강섬유를 설치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매트를 연결 설치시 측면의 시멘트가 유실되어 있어 인접되는 매트와 매트의 측면 연결이 어렵고 매트를 연속하여 설치하여도 매트와 인접하는 매트의 부위가 약하여 상부에서 하중 전달되면 하중에 의한 파손이 수비게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1720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109869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8512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127324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6-32357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7-17637호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시멘트 잡아주기 위한 형태유지부재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 하부시트 위에 적층 설치된 형태유지부재의 측면을 감싸 절첩되면서 하부시트의 끝단이 형태유지부재의 상부 일부를 덮도록 절첩되어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시멘트의 장입이 용이하고 측면으로 시멘트의 유실이 방지되며 길이방향으로 인장강도가 향상 및 매트를 다수개 설치시 인접되는 매트와 매트의 측면이 면접촉되게 설치되어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 등이 있는 현장에서 조립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 및 그 매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복합매트에 있어서, 시멘트가 충진되기 위한 비체적 공간이 형성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틀은 일정한 규칙이 없이 형성된 형태유지부재와; 상기 형태유지부재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 하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 위에 적층 설치된 형태유지부재보다 연장된 하부시트의 양단이 형태유지부재의 측면을 감싸 절첩되면서 하부시트의 끝단이 형태유지부재의 상부 일부를 덮도록 절첩되어 형성되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와 날개부 사이는 개방되어 시멘트가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를 이용하여 시멘트 장입 후 공간부를 폐쇄하는 덮개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형태유지부재는 발포 폼 또는 필라멘트사를 무방사하여 형성시킨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도록 하는 충진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날개부와 형태유지부재 및 하부시트를 관통하는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날개부와 덮개시트 사이에 접착재층이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하부시트는 직포, 부직포 또는 필름, 시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덮개부재는 물 살포시 살포되는 물이 통과되는 직포, 부직포, 매쉬망 종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인 콘크리트 매트의 제조방법은 시멘트가 충진되기 위한 비체적 공간이 형성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틀은 일정한 규칙이 없이 형성된 형태유지부재와 상기 형태유지부재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 하부시트를 공급하여 적층시키는 제1단계와; 상기 하부시트 위에 적층 설치된 형태유지부재보다 연장된 하부시트의 양단이 형태유지부재의 측면을 감싸 절첩되면서 하부시트의 끝단이 형태유지부재의 상부 일부를 날개부가 덮도록 절첩하는 제2단계와; 상기 날개부와 날개부 사이의 개방된 공간부를 이용하여 시멘트를 충입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완료 후 날개부재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부를 폐쇄시키는 덮개부재를 설치하는 제4단계 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2단계 실시 후 상기 날개부와 형태유지부재 및 하부시트를 관통하는 고정부재를 설치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봉재에 의한 고정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3단계 실시 후 날개부재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6단계를 실시하고 날개부재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부를 폐쇄시키는 덮개부재를 설치하는 제4단계 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시멘트 잡아주기 위한 형태유지부재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 하부시트 위에 적층 설치된 형태유지부재의 측면을 감싸 절첩되면서 하부시트의 끝단이 형태유지부재의 상부 일부를 덮도록 절첩되어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시멘트의 장입이 용이하고 측면으로 시멘트의 유실이 방지되며 길이방향으로 인장강도가 향상 및 매트를 다수개 설치시 인접되는 매트와 매트의 측면이 면접촉되게 설치되어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a 내지 도 1f는 종래 콘크리트 복합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콘크리트 복합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콘크리트 복합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
도 4는 하부시트에 형태유지부재를 올려놓고 하부시트를 절첩하여 날개부를 형성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
도 5a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콘크리트 복합매트의 기술요점인 형태유지부재가 발포 폼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보여주는 사진.
도 5b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콘크리트 복합매트의 기술요점인 형태유지부재가 필라멘트사를 무규칙적으로 방사하여 형성된 필라멘트사 적층물로 이루어진 구조를 보여주는 사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인 콘크리트 복합매트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콘크리트 복합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콘크리트 복합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로써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복합매트는 시멘트가 충진되기 위한 비체적 공간이 형성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틀은 일정한 규칙이 없이 형성된 형태유지부재(200)와 상기 형태유지부재(200)의 폭보다 연장되게 넓게 형성된 하부시트(100)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시트(100) 위에 적층 설치된 형태유지부재(200)보다 연장된 하부시트(100)의 양단이 형태유지부재(200)의 측면을 감싸 절첩되면서 하부시트(100)의 끝단이 형태유지부재(200)의 상부 일부를 덮도록 절첩하여 날개부(110)를 형성시킨다.
첨부도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110)와 날개부(110) 사이는 개방되어 시멘트가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공간부(120)를 형성시키며 상기 공간부(120)를 이용하여 시멘트 장입 후 공간부(120)를 폐쇄하는 덮개부재(300)가 부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때 상기 형태유지부재(200)는 첨부도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레탄또는 PE를 발포하여 형성시키되 오픈셀 구조를 갖으며 바람직하게는 10~20ppi의 것을 사용한다. 상기 셀 수가 10ppi 이하일 경우 제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셀 수가 20ppi 이상일 경우 시멘트가 셀 속으로 충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첨부도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레탄을 이용하여 발포한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첨부도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멘트사를 불규칙하게 방사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시트(100) 위에 적층 설치된 형태유지부재(200)보다 연장된 하부시트(100)의 양단이 형태유지부재(200)의 측면을 감싸 절첩되면서 하부시트(100)의 끝단이 형태유지부재(200)의 상부 일부를 덮도록 절첩하여 날개부(110)를 형성시킬 때 날개부(110)가 펼쳐질 수 있으므로 봉재 또는 핀을 꽂아 고정부재(400)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여 펼쳐짐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봉재하여 고정실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400)에 의해 상기 날개부(110)와 형태유지부재(200) 및 하부시트(100)를 관통하도록 고정하면 물 살포시 살포되는 물이 고정부재(400)를 따라 이동되면서 유입되어 시멘트의 물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얻게 된다.
또한 첨부도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110)와 덮개부재(300) 사이에 접착재층(500)을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를 사용하면 덮개부재(300)를 용이하게 부착 설치할 수 있는 이점과 인장강도 향상의 효과도 얻을 수 있는 이점도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물이 통과하는 재료와 물이 통과할 수 없는 재료 모두 사용할 수 있어 상기 하부시트를 직포, 부직포 또는 필름, 시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덮개부재(300)는 물 살포시 살포되는 물이 통과되는 직포, 부직포, 매쉬망 종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고 필름, 시트와 같이 물이 통과할 수 없는 재료는 사용할 수 없다. 상기 공간부(120)는 상기 날개부(110)와 날개부(110) 사이는 개방되어 시멘트가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공간부(120)는 물 살포시 물을 일시 저장하는 효과가 있다.
종래의 콘크리트 매트의 경우 물 살포가 진행되면 상부의 천 또는 원단 및 섬유제품이 물을 흡수하여야 하고 시멘트와 상부에 설치된 원단 사이에 공간이 없어 시멘트가 물을 흡수하여 젖게 되면 공급된 물에 의해 수막현상이 발생되어 공급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유입되는 물이 일시적으로 공간부(120)에 저장되어 있어 공간부(120)에 들어온 물이 서서히 시멘트로 유입되기 때문에 물공급에 의한 시멘트의 수화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인 콘크리트 매트의 제조방법은 첨부도면 도 6a,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멘트가 충진되기 위한 비체적 공간이 형성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틀은 일정한 규칙이 없이 형성된 형태유지부재(200)와 상기 형태유지부재(200)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 하부시트(100)를 공급하여 적층시키는 제1단계(S100)를 수행한다.
상기 하부시트(100) 위에 적층 설치된 형태유지부재(200)보다 연장된 하부시트(100)의 양단이 형태유지부재(200)의 측면을 감싸 절첩되면서 하부시트(100)의 끝단이 형태유지부재(200)의 상부 일부를 날개부가 덮도록 절첩하는 제2단계(S200)와 상기 날개부(110)와 날개부(110) 사이의 개방된 공간부(120)를 이용하여 시멘트를 충입하는 제3단계(S300)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3단계(S300) 완료 후 날개부(11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부(120)를 폐쇄시키는 덮개부재(300)를 설치하는 제4단계(S400) 순으로 본 발명인 콘크리트 복합매트를 제조한다. 그러나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단계(S200) 실시 후 상기 날개부(110)와 형태유지부재(200) 및 하부시트(100)를 관통하는 고정부재(400)를 설치하는 제5단계(S500)를 더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재(400)는 봉재에 의한 고정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3단계(S300) 실시 후 시멘트를 공급하는 제4단계(S400)와 상기 날개부(110)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5단계(S500)를 실시하고 날개부(11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부(120)를 폐쇄시키는 덮개부재(300)를 설치하는 제4단계(S400)을 실시하여 본 발명의 매트를 제조한다.
상기 시멘트(cement)는 블레인 분말도(Blaine fineness) 가 4,000~6,000㎠/g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멘트는 일반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블레인 분말도(Blaine fineness) 2,800~3,500㎠/g과 비교하여 매우 미립으로 물과 접촉하여 시멘트의 수화반응이 빨리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시멘트 잡아주기 위한 형태유지부재(200)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 하부시트(100) 위에 적층 설치된 형태유지부재(200)의 측면을 감싸 절첩되면서 하부시트(100)의 끝단이 형태유지부재(200)의 상부 일부를 덮도록 절첩되어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시멘트의 장입이 용이하고 측면으로 시멘트의 유실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형태유지부재(200)의 상부로 절첩되어 형성된 날개부(110)에 접착제가 전면 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도포되면 덮개부재(300)가 접착되는데 상기 접착제가 날개부(110)의 전면에 도포되면 길이방향으로 인장강도가 향상 및 매트를 다수개 설치시 인접되는 매트와 매트의 측면이 면접촉되게 설치되어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00 : 하부시트 110 : 날개부
120 : 공간부 200 : 형태유지부재
300 : 덮개부재 400 : 고정부재
500 : 접착재층 S100 : 제1단계
S200 : 제2단계 S300 : 제3단계
S400 : 제4단계 S500 : 제5단계

Claims (10)

  1. 콘크리트 복합매트에 있어서,
    시멘트가 충진되기 위한 비체적 공간이 형성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틀은 일정한 규칙이 없이 형성된 형태유지부재와;
    상기 형태유지부재의 폭보다 연장되게 넓게 형성된 하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 위에 적층 설치된 형태유지부재보다 연장된 하부시트의 양단이 형태유지부재의 측면을 감싸 절첩되면서 하부시트의 끝단이 형태유지부재의 상부 일부를 덮도록 절첩되어 형성되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와 날개부 사이는 개방되어 시멘트가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를 이용하여 시멘트 장입 후 공간부를 폐쇄하는 덮개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유지부재는 발포 폼 또는 필라멘트사를 무방사하여 형성시킨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도록 하는 충진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와 형태유지부재 및 하부시트를 관통하는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와 덮개부재 사이에 접착재층이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시트는 직포, 부직포 또는 필름, 시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물 살포시 살포되는 물이 통과되는 직포, 부직포, 매쉬망 종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
  7. 콘크리트 매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시멘트가 충진되기 위한 비체적 공간이 형성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틀은 일정한 규칙이 없이 형성된 형태유지부재와 상기 형태유지부재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 하부시트를 공급하여 적층시키는 제1단계와;
    상기 하부시트 위에 적층 설치된 형태유지부재보다 연장된 하부시트의 양단이 형태유지부재의 측면을 감싸 절첩되면서 하부시트의 끝단이 형태유지부재의 상부 일부를 날개부가 덮도록 절첩하는 제2단계와;
    상기 날개부와 날개부 사이의 개방된 공간부를 이용하여 시멘트를 충입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완료 후 날개부재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부를 폐쇄시키는 덮개부재를 설치하는 제4단계 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실시 후 상기 날개부와 형태유지부재 및 하부시트를 관통하는 고정부재를 설치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봉재에 의한 고정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실시 후 날개부재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6단계를 실시하고 날개부재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부를 폐쇄시키는 덮개부재를 설치하는 제4단계 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의 제조방법.
KR1020200059229A 2020-05-18 2020-05-18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 및 그 매트의 제조방법 KR202101424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229A KR20210142427A (ko) 2020-05-18 2020-05-18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 및 그 매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229A KR20210142427A (ko) 2020-05-18 2020-05-18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 및 그 매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427A true KR20210142427A (ko) 2021-11-25

Family

ID=78745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229A KR20210142427A (ko) 2020-05-18 2020-05-18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 및 그 매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24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4887A (zh) * 2022-01-24 2022-05-06 安徽皖升力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三维复合填充水泥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7203A (ko) 2009-01-29 2011-10-26 콘크리트 캔버스 테크놀로지 엘티디 함침된 천
KR20140109869A (ko) 2011-11-01 2014-09-16 코르텍스 콤포지츠, 엘엘씨 현장 수화용 부직 시멘트 복합재
KR101585123B1 (ko) 2015-09-22 2016-01-13 주식회사 유시티 속경형 폴리머 시멘트가 내장된 방수고화매트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이 적용된 방수고화매트의 제조방법
KR20160127324A (ko) 2015-04-26 2016-11-03 지엔펑 지아오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7203A (ko) 2009-01-29 2011-10-26 콘크리트 캔버스 테크놀로지 엘티디 함침된 천
KR20140109869A (ko) 2011-11-01 2014-09-16 코르텍스 콤포지츠, 엘엘씨 현장 수화용 부직 시멘트 복합재
KR20160127324A (ko) 2015-04-26 2016-11-03 지엔펑 지아오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카펫 복합체
KR101585123B1 (ko) 2015-09-22 2016-01-13 주식회사 유시티 속경형 폴리머 시멘트가 내장된 방수고화매트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이 적용된 방수고화매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4887A (zh) * 2022-01-24 2022-05-06 安徽皖升力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三维复合填充水泥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389B1 (ko) 현장 수화 콘크리트 매트
US10870964B2 (en) Cementitious composite mat
JP6552589B2 (ja) その場水和のための不織セメント系複合材料
KR102520816B1 (ko) 가요성 복합재
KR101812476B1 (ko) 함침된 천
US20200376806A1 (en) Cementitious composite mat
RU2076914C1 (ru)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водо- и маслонепроницаемого уплотняющего мата (варианты)
KR102003415B1 (ko)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 및 그 집합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매트
KR20210142427A (ko) 현장에서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 및 그 매트의 제조방법
KR20210118649A (ko) 보강부재의 손상방지를 위한 패턴 니들펀칭 공정으로 제조된 콘크리트 복합매트
KR102411840B1 (ko) 지지력 보강 현장 수화 콘크리트 매트
KR20210082916A (ko) 현장에서 조립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복합매트
KR102271040B1 (ko) 터프팅 연결사를 이용한 현장 수화형 보강매트와 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 방법
JP7264947B2 (ja) ブロックマット、ブロックマ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護岸構造
KR20210115197A (ko) 시멘트를 구속하는 저장공간을 갖는 현장 수화 콘크리트 매트
JP2905150B2 (ja) 遮水用複合シート
KR102303324B1 (ko) 현장에서 시멘트 장입이 가능한 콘크리트매트의 설치방법
KR102265893B1 (ko) 텍스타일 그리드를 구비한 현장 수화형 보강매트와 그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급속시공하는 구조물 보강방법
EP1416094B1 (en) A multilayer sealing mat
JP2000080894A (ja) 遮水シ―トおよび遮水工法
WO2021026220A1 (en) Tensioned structure layer for a cementitious composite mat
KR20160086797A (ko) 기능성 벤토텍스, 벤토쉬트 및 벤토텍스쉬트
JP3916890B2 (ja) 地下構造物底盤部防水処理方法及びその底盤部構造物
JP3854098B2 (ja) 地下構造物先防水用シート間の接合方法
JPH108356A (ja) 遮水シート用基布及び現場施工遮水シート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