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359A -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rt-pcr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rt-pcr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359A
KR20210142359A KR1020200059087A KR20200059087A KR20210142359A KR 20210142359 A KR20210142359 A KR 20210142359A KR 1020200059087 A KR1020200059087 A KR 1020200059087A KR 20200059087 A KR20200059087 A KR 20200059087A KR 20210142359 A KR20210142359 A KR 20210142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coronavirus
pcr
primer set
ca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2774B1 (ko
Inventor
천두성
이회규
임순애
김진선
Original Assignee
포스트바이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트바이오(주) filed Critical 포스트바이오(주)
Priority to KR1020200059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774B1/ko
Publication of KR20210142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7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rus or bacteriophag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21/00Reaction characterised by the enzymatic activity
    • C12Q2521/10Nucleotidyl transfering
    • C12Q2521/101DNA polymer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21/00Reaction characterised by the enzymatic activity
    • C12Q2521/10Nucleotidyl transfering
    • C12Q2521/107RNA dependent DNA polymerase,(i.e. reverse transcripta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Vi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RT-PCR용 조성물 및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RT-PCR을 통하여 전염성 복막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 및 위장관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를 구별할 수 있는 RT-PCR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RT-PCR용 조성물{RT-PCR COMPOSITION FOR DETECTING FELINE CORONAVIRUS}
본 발명은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RT-PCR용 조성물 및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RT-PCR을 통하여 전염성 복막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 및 위장관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를 구별할 수 있는 RT-PCR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는 위장관염의 주요한 원인바이러스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만성감염으로 진행하여 장내에 증식하다가 변이된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 바이러스의 조직친화성이 변화하여 장 이외의 조직으로 이동하여 육아종성 염증을 일으켜 고양이에 매우 치명적인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에 대한 발생빈도를 살펴보면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에 노출된 고양이 중 대부분 (약 80% 이상)에서 급성으로 감염되고 이 중 약 20%가 만성으로 진행하여 간헐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를 분변중에 배설하고 이 중 약 10% 정도가 즉 전체 고양이 중 약 1-3%가 전염성복막염(FIP)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는 장 코로나바이러스로부터 변이된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 체내 실질장기에서 만성염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매우 치명적인 전염성 복막염까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국내 유행하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의 진단 및 분석 (1형, 2형 코로나바이러스 및 전염성 복막염 바이러스 등으로)은 전염성 복막염으로 인한 반려묘의 치명적인 임상경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핵심분야이다.
코로나바이러스 양성시료를 대상으로 한 추적검사에서도 약 30% 이상의 케이스에서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가 수개월 이상 만성적으로 감염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FIP 의심사례 중 복수, 흉수 또는 복강내 매스 등의 다양한 장조직 이외의 검체에서 코로나바이러스 검출되어 FIP가 반려묘의 감염질환 중 가장 위협적인 감염병이라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FIP)은 고양이에서 사형선고와 같은 질병으로 FIP 진단을 받게 되면 거의 치료를 포기하는 임상적인 예후가 매우 좋지 않은 질환군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FIP는 고양이가 장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만성으로 감염이 경과하고 이러한 경과중 장코로나바이러스가 항체와 결합하여 백혈구에 탐식되고 백혈구에 탐식된 코로나바이러스가 유전자의 변이를 일으켜 장에서 증식하는 바이러스의 조직친화성이 다른 실질장기에서 증식이 가능한 형태로 조직의 친화성(Tropism)이 변화하여 발생한다.
FIP로 질병이 진전되면 다양한 실질장기에서 대식세포, 다핵의 호중구 등이 염증에 관여하여 화농을 동반한 육아종성 염증을 일으키면서 복강이나 흉강 내에 체액이 저류되거나 (wet form FIP) 신장, 임파절, 뇌, 간장 등 실질장기에 매스를 형성하지만 체액의 저류를 관찰할 수 없는 형태의 dry form의 FIP로 진전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치료가 어려워 치사율이 거의 100%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FIP의 임상적인 중요성이 높은 이유로 FIP로 진전된 이후에는 적절한 치료를 수행하기 곤란하므로 장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을 원천적으로 예방하거나 만성감염시 바이러스의 지속적인 증식을 억제해주는 것이 FIP로 진행되는 중간의 과정을 차단하는 좋은 수단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22255호
본 발명자는 효율성이 향상된 새로운 프라이머를 디자인하고 이를 이용한 RT-PCR, 바람직하게는 실시간 RT-PCR을 수행함으로써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를 검출하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본 발명은 전염성 복막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 및 위장관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를 구별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1)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세트; 및 2)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고, 전염성 복막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인 경우 1)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RT-PCR에 의하여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고, 2)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RT-PCR에 의하여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지 않고, 위장관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인 경우 1) 프라이머 세트 및 2)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RT-PCR에 의하여 모두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RT-PCR(reverse transcript-polymerase chain reaction)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서열번호 1]
5′-ATCCATATGGTTCTGGCATGG-3
[서열번호 2]
5′-TTTAGCYGTACTATAATCATTGAGCA-3′
[서열번호 3]
5′-CCCACAATGACTCAAATGAA-3′
[서열번호 4]
5′-TCTGGTTCYACCCAACACTT-3′.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3)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세트; 및 4)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세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전염성 복막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인 경우 3)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RT-PCR에 의하여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고, 4)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RT-PCR에 의하여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지 않고, 위장관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인 경우 3) 프라이머 세트 및 4)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RT-PCR에 의하여 모두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RT-PCR(reverse transcript-polymerase chain reaction)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서열번호 5]
5′-TCTGTKGCCATCAAAATCAC-3′
[서열번호 6]
5′-CATTAACATCHACCATTACATCTG-3′
[서열번호 7]
5′-GCGGTTMTAAACGAAATTGA-3′
[서열번호 8]
5′-TGAGTAATCACCRGCTTTAGATTT-3′.
상기 1) 프라이머 세트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NSP3 유전자를 증폭시키고, 상기 2) 프라이머 세트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NSP12 유전자를 증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 프라이머 세트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스파이크(Spike) 유전자를 증폭시키고, 상기 4) 프라이머 세트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멤브레인(Membrane) 유전자를 증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고, 전염성 복막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와 위장관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를 구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검출용 키트는 반응 완충액, DNA 중합효소 및 역전사효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1)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RT-PCR(reverse transcript-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는 단계; 및 2)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RT-PCR(reverse transcript-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단계의 RT-PCR 결과에 의하여 전염성 복막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와 위장관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를 구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서열번호 1]
5′-ATCCATATGGTTCTGGCATGG-3
[서열번호 2]
5′-TTTAGCYGTACTATAATCATTGAGCA-3′
[서열번호 3]
5′-CCCACAATGACTCAAATGAA-3′
[서열번호 4]
5′-TCTGGTTCYACCCAACACTT-3′.
여기서 전염성 복막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인 경우 1) 단계의 RT-PCR에 의하여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고, 2) 단계의 RT-PCR에 의하여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지 않고, 위장관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인 경우 1) 단계 및 2) 단계의 RT-PCR에 의하여 모두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3)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RT-PCR(reverse transcript-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는 단계; 및 4)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RT-PCR(reverse transcript-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단계의 RT-PCR 결과에 의하여 전염성 복막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와 위장관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를 구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서열번호 5]
5′-TCTGTKGCCATCAAAATCAC-3′
[서열번호 6]
5′-CATTAACATCHACCATTACATCTG-3′
[서열번호 7]
5′-GCGGTTMTAAACGAAATTGA-3′
[서열번호 8]
5′-TGAGTAATCACCRGCTTTAGATTT-3′.
여기서 전염성 복막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인 경우 3) 단계의 RT-PCR에 의하여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고, 4) 단계의 RT-PCR에 의하여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지 않고, 위장관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인 경우 3) 단계 및 4) 단계의 RT-PCR에 의하여 모두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프라이머'는 짧은 자유 3 말단 수산화기(free 3' hydroxyl group)를 가지는 핵산 서열로 상보적인 핵산의 주형 (template)과 염기쌍(base pair)을 형성할 수 있고 핵산 주형의 가닥 복사를 위한 시작 지점으로 기능하는 짧은 핵산 서열을 의미한다. 상기 프라이머는 적절한 완충용액 및 온도에서 중합반응(즉, DNA 폴리머레이즈 또는 역전사효소)을 위한 시약 및 상이한 4가지 뉴클레오사이드 트리포스페이트의 존재 하에서 DNA 합성을 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RT-PCR (reverse transcript-polymerase chain reaction) 조성물'은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유전형을 검출하기 위한 조성물로, 상기 조성물에는 본 발명에서 설계한 프라이머 이외에 역전사 반응과 중합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당업계에 공지된 DNA 중합효소, 역전사효소, dNTP 및 반응 완충액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필요한 경우 DNase, RNase 억제제, DEPC-수(DEPC-water), 멸균수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RT-PCR 키트'는 상기 RT-PCR 조성물을 동결 건조된 형태로 플라스틱 튜브에 담아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키트는 RT-PCR 조성물 외에, 분석에 사용되는 적절한 시약 및 도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약 및 도구로는 적합한 담체, 검출 가능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표지, 용해제, 세정제 등이 포함된다.
상기 적합한 담체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가용성 담체, 예를 들어 당 분야에 공지된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완충액, 예를 들어 PBS, 불용성 담체, 예를 들어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불소 수지, 가교 덱스트란, 폴리사카라이드, 라텍스에 금속을 도금한 자성 미립자와 같은 고분자, 기타 종이, 유리, 금속, 아가로스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RT-PCR은 생물 시료로부터 RNA를 수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생물시료는 조직, 세포, 전혈, 혈청, 혈장, 타액, 객담, 뇌척수액 또는 분뇨와 같은 시료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생물시료로부터 RNA를 수득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당업자들이 사용하는 RNA 추출키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RT-PCR 수행시 반응 온도 및 시간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역전사 반응을 40 내지 50℃에서 5분 내지 15분, 90 내지 100℃ 5분 내지 15분으로 수행하고 PCR 반응은 90 내지 100℃에서 10 내지 20초, 50 내지 70℃에서 40초 내지 80초일 수 있으며, 상기 PCR 반응은 20 내지 50회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증폭산물의 검출은 통상적인 실시간 RT-PCR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PCR 방법은 DNA 중합효소와 형광공명 에너지이동(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FRET)의 원리에 의해 PCR의 매 주기마다 실시간으로 시행되는 형광을 검출하고 정량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특이적인 증폭산물을 비 특이적인 증폭산물로부터 구별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자동화된 양상으로 분석 결과를 쉽게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은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에만 특이적으로 반응하며,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뿐만 아니라 전염성 복막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와 위장관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를 동시에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양성시료에 대한 바이러스 검출역가의 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장코로나바이러스 vs FIP).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코로나바이러스 양성시료 확보
팝애니랩에 검사의뢰되는 다양한 검체 중 고양이 위장관염 검체(분변) 및 FIP 의심검체를 대상으로 (주)포스트바이오에서 제공되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특이 프로브를 사용한 real time RT-qPCR 진단키트를 이용하여 코로나바이러스의 존재여부 및 바이러스의 양을 정량하였다.
2018년 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포스트바이오에서 운영중인 반려동물 수탁검사 서비스(팝애니랩)로 의뢰된 고양이 검체 중 위장관염 검사로 의뢰된 642건의 분변검체에 대해서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였으며 검사결과 642건 중 316건에서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가 검출되었으며 검출된 코로나바이러스의 검출결과의 Ct의 평균값은 27.71로 확인되었다.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된 316건에 대한 분석결과 316건 중 81건(25.6%)은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단독감염으로 확인되었고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과 함께 고양이에서 위장관염을 유발할 수 있는 세균, 바이러스, 원충 등 18종의 추가 감염병 병원체에 대해 혼합감염된 사례는 235건으로 약 74.4%를 차지하였다.
2018년 1월부터 11월 사이 위장관염 의뢰사례 중 장코로나바이러스 검출된 검체의 수량 및 양성률을 비교분석한 결과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성 질환이 겨울에 유행하고 세균성 질환이 여름에 유행하는 양상과는 다르게 양성률이 높은 시기는 약 56%, 양성률이 낮은 시기는 42.3%로 시기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연중 발생률이 매우 높고 시기에 따른 감염률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18년 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포스트바이오에서 운영 중인 반려동물 수탁검사 서비스(팝애니랩)로 의뢰된 고양이 검체 중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FIP) 검사로 의뢰된 43건의 체액(복수 또는 흉수 등)에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였으며 검사결과 43건의 검체 중 14건에서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가 검출되었으며 검출된 코로나바이러스의 검출결과의 Ct의 평균값은 32.68로 확인되었다.
장코로나바이러스 검출된 양성시료와 전염성 복막염 양성시료에 대해서 Realtime RT-PCR을 이용하여 상대적인 바이러스의 정량값을 비교한 결과 장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양성케이스는 전염성 복막염에 비해서 36배 가량 바이러스의 역가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어 전염성 복막염의 경우 만성으로 염증이 진행되어 바이러스의 역가가 낮을 뿐 아니라 임상증상으로는 전염성 복막염이 의심되지만 코로나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도 약 67.4%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
2.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유전자 염기서열분석
다양한 임상증례에서 확보한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의 구조단백질 및 비구조단백질 유전자를 대상으로 RT-PCR을 수행한 후 증폭된 산물을 일반적인 염기서열분석방식을 통해 유전자형 및 국내유행하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의 유전자변이를 확인하였다.
RT-PCR에 사용된 프라이머는 [표 1]에 기재된 서열을 갖는다.
표적 유전자 프라이머 명칭 서열
NSP3 FCoV nsp3 F1(서열번호 1) 5′-ATCCATATGGTTCTGGCATGG-3
FCoV nsp3 R1(서열번호 2) 5′-TTTAGCYGTACTATAATCATTGAGCA-3′
NSP12 FCoV nsp12 F1(서열번호 3) 5′-CCCACAATGACTCAAATGAA-3′
FCoV nsp12 R1(서열번호 4) 5′-TCTGGTTCYACCCAACACTT-3′
spike FCoV S F1(서열번호 5) 5′-TCTGTKGCCATCAAAATCAC-3′
FCoV S R1(서열번호 6) 5′-CATTAACATCHACCATTACATCTG-3′
Membrane glycoprotein FCoV M F1(서열번호 7) 5′-GCGGTTMTAAACGAAATTGA-3′
FCoV M R1(서열번호 8) 5′-TGAGTAATCACCRGCTTTAGATTT-3′
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표적 유전자 서열에 대한 리얼타임 PCR을 수행하기 위한 프라이머 농도는 최종 농도가 500nM, 증폭반응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는 형광표지가 된 프로브는 최종 농도가 250nM이 되도록 PCR 반응액에 첨가하였다. RT-PCR은 15℃에서 역전사(reverse transcription) 반응을 수행한 후, 95℃에서 10분간 변성하고 나서 45 사이클로 95℃ 10초, 55℃ 30초 조건을 반복하여 각각의 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표적 유전자 서열을 증폭하여 수행되었다. RT-PCR 증폭반응시 주형은 상기 확보한 고양이 코로나 바이러스에서 추출된 RNA를 10배씩 연속 희석한 시료를 6단계로 준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리얼 타임 PCR 증폭 반응결과물을 확인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프로브는 형광물질 및 소광물질로 이중 표지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코로나바이러스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프로브의 경우에는 5' 말단에 형광 물질인 FAM(최대 흡수파장: 495nm, 최대 방출 파장: 520nm)으로 표지하였고, 3' 말단에는 IDT사의 소광물질인 ZEN-IBFQ로 표지하였다.
Serial No. 증상분류 Ct Value RT-PCR 결과
NSP3 NSP12 Spike Membrane
1 FIP 18.59 + +
2 FIP 34.86 + +
3 FIP 33.87 + +
4 FIP 33.50 + +
5 FIP 33.80
6 FIP 32.51
7 FIP 22.51 + +
8 Enteric FCoV 29.22 + +
9 Enteric FCoV 23.75 + + + +
10 Enteric FCoV 26.61 + + +
11 Enteric FCoV 19.05 + + + +
12 Enteric FCoV 27.05 + + +
13 Enteric FCoV 24.59 + + +
14 Enteric FCoV 21.67 + + + +
15 Enteric FCoV 26.00 + + + +
시험에 사용된 두 가지 임상증상(위장관염과 전염성 복막염)으로부터 양성으로 확인된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서 4개의 유전자에 대해 RT-PCR을 수행한 결과 비구조단백질은 NSP3와 구조단백질인 Spike 단백질에 대해서 시험에 사용한 검체 중 두 가지 질환군에 대해서 유전자증폭이 되는 것을 확인한 반면 NSP12와 Membrane 단백질의 경우 전염성 복막염 검체에서는 유전자증폭을 확인할 수 없었던 반면 위장관염 검체에서는 유전자의 증폭이 확인되었다.
두가지 임상증상 예에서 모두 유전자가 검출된 Spike 단백질의 경우 두가지 임상증례에서 모두 유전자가 증폭되었지만 임상검체에 따라서 증폭된 산물의 사이즈가 달라 전염성 복막염과 급성 위장관염에서 검출된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사이에 상당한 유전자 변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Claims (10)

1)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세트; 및
2)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고,
전염성 복막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인 경우 1)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RT-PCR에 의하여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고, 2)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RT-PCR에 의하여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지 않고,
위장관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인 경우 1) 프라이머 세트 및 2)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RT-PCR에 의하여 모두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RT-PCR(reverse transcript-polymerase chain reaction)용 조성물;
[서열번호 1]
5′-ATCCATATGGTTCTGGCATGG-3
[서열번호 2]
5′-TTTAGCYGTACTATAATCATTGAGCA-3′
[서열번호 3]
5′-CCCACAATGACTCAAATGAA-3′
[서열번호 4]
5′-TCTGGTTCYACCCAACACTT-3′.
제1항에 있어서,
3)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세트; 및
4)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세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전염성 복막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인 경우 3)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RT-PCR에 의하여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고, 4)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RT-PCR에 의하여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지 않고,
위장관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인 경우 3) 프라이머 세트 및 4)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RT-PCR에 의하여 모두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RT-PCR(reverse transcript-polymerase chain reaction)용 조성물;
[서열번호 5]
5′-TCTGTKGCCATCAAAATCAC-3′
[서열번호 6]
5′-CATTAACATCHACCATTACATCTG-3′
[서열번호 7]
5′-GCGGTTMTAAACGAAATTGA-3′
[서열번호 8]
5′-TGAGTAATCACCRGCTTTAGATTT-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프라이머 세트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NSP3 유전자를 증폭시키고,
상기 2) 프라이머 세트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NSP12 유전자를 증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RT-PCR(reverse transcript-polymerase chain reaction)용 조성물.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 프라이머 세트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스파이크(Spike) 유전자를 증폭시키고,
상기 4) 프라이머 세트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멤브레인(Membrane) 유전자를 증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RT-PCR(reverse transcript-polymerase chain reaction)용 조성물.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고,
전염성 복막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와 위장관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를 구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용 키트.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용 키트는 반응 완충액, DNA 중합효소 및 역전사효소를 포함하는 것인 검출용 키트.
1)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RT-PCR(reverse transcript-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는 단계; 및
2)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RT-PCR(reverse transcript-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단계의 RT-PCR 결과에 의하여 전염성 복막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와 위장관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를 구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방법;
[서열번호 1]
5′-ATCCATATGGTTCTGGCATGG-3
[서열번호 2]
5′-TTTAGCYGTACTATAATCATTGAGCA-3′
[서열번호 3]
5′-CCCACAATGACTCAAATGAA-3′
[서열번호 4]
5′-TCTGGTTCYACCCAACACTT-3′.
제7항에 있어서,
전염성 복막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인 경우 1) 단계의 RT-PCR에 의하여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고, 2) 단계의 RT-PCR에 의하여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지 않고,
위장관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인 경우 1) 단계 및 2) 단계의 RT-PCR에 의하여 모두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방법.
3)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RT-PCR(reverse transcript-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는 단계; 및
4)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RT-PCR(reverse transcript-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단계의 RT-PCR 결과에 의하여 전염성 복막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와 위장관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를 구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방법;
[서열번호 5]
5′-TCTGTKGCCATCAAAATCAC-3′
[서열번호 6]
5′-CATTAACATCHACCATTACATCTG-3′
[서열번호 7]
5′-GCGGTTMTAAACGAAATTGA-3′
[서열번호 8]
5′-TGAGTAATCACCRGCTTTAGATTT-3′.
제9항에 있어서,
전염성 복막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인 경우 3) 단계의 RT-PCR에 의하여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고, 4) 단계의 RT-PCR에 의하여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지 않고,
위장관염-유발 코로나 바이러스인 경우 3) 단계 및 4) 단계의 RT-PCR에 의하여 모두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방법.
KR1020200059087A 2020-05-18 2020-05-18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rt-pcr용 조성물 KR102392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087A KR102392774B1 (ko) 2020-05-18 2020-05-18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rt-pcr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087A KR102392774B1 (ko) 2020-05-18 2020-05-18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rt-pcr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359A true KR20210142359A (ko) 2021-11-25
KR102392774B1 KR102392774B1 (ko) 2022-04-29

Family

ID=78745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087A KR102392774B1 (ko) 2020-05-18 2020-05-18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rt-pcr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7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0759A (ko) * 2010-01-18 2012-12-03 유니버시테이트 우트레크트 홀딩 비.브이. Fecv 및 fipv를 구별하는 수단 및 방법
KR20190122255A (ko) 2017-03-14 2019-10-29 길리애드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치료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0759A (ko) * 2010-01-18 2012-12-03 유니버시테이트 우트레크트 홀딩 비.브이. Fecv 및 fipv를 구별하는 수단 및 방법
KR20190122255A (ko) 2017-03-14 2019-10-29 길리애드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치료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774B1 (ko)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0983B2 (ja) ウイルスおよび細菌病原体の直接増幅および検出
JP6329370B2 (ja) 呼吸器系ウイルスによる疾患の同時診断キット
CN110106290B (zh) 一种基于CRISPR/Cas系统用于检测ASFV的现场快速检测方法及试剂盒
US20090226888A1 (en) Diagnostic Primers And Method For Detecting Avian Influenza Virus Subtype H5 And H5N1
CN110791578B (zh) 用于百日咳博德特氏杆菌的crispr检测引物组及其用途
KR102468839B1 (ko) Rna 검출 방법
CN110804669A (zh) 用于肺炎支原体的crispr检测引物组及其用途
CN107828915A (zh) 虾黄头病毒(yhv)的raa恒温荧光检测方法及试剂
JP2023541767A (ja) 特定の人工ヌクレオチド配列を用いた偽陽性判断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偽陽性判断方法
RU2422536C1 (ru) НАБОР СИНТЕТИЧЕСКИХ ОЛИГОНУКЛЕОТИДОВ ДЛЯ ВЫЯВЛЕНИЯ ДНК В КРОВИ И ДРУГИХ БИОМАТЕРИАЛАХ ВОЗБУДИТЕЛЯ ЛАТЕНТНОЙ ВИРУСНОЙ ИНФЕКЦИИ - ВИРУСА Torque teno virus СЕМЕЙСТВА Circoviridae МЕТОДОМ ПОЛИМЕРАЗНОЙ ЦЕПНОЙ РЕАКЦИИ
KR102551477B1 (ko) 표적 물질의 검출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하여 표적 물질을 검출하는 방법
CN111549109A (zh) 一种高通量的病原体微生物基因检测筛查方法
CN111926110B (zh) 非洲猪瘟病毒实时荧光pcr扩增引物对、探针引物、及制备的试剂盒
KR102392774B1 (ko)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rt-pcr용 조성물
WO2006132601A1 (en) Diagnostic primers and method for detecting avian influenza virus subtype h5 and h5n1
CN110592269A (zh) 草鱼出血病2型病毒(gcrv-2)的raa恒温荧光检测方法及试剂
WO2013049822A2 (en) Diagnostic method for determining animals persistently infected (pi) with bovine viral diarrhea virus (bvdv)
CN110894551A (zh) 草鱼出血病i型病毒(gcrv-i)的raa恒温荧光检测方法及试剂
CN110592267A (zh) 鲤春病毒血症病毒(svcv)的raa恒温荧光检测方法及试剂
CN116334264B (zh) 传染性腹泻病原体电化学芯片检测试剂盒及检测方法
CN110592271A (zh) 传染性造血器官坏死症病毒(ihnv)的raa恒温荧光检测方法及试剂
KR102395969B1 (ko) 코로나바이러스의 검출을 위한 루프-매개 등온증폭반응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0138395B1 (ko) 유전자 프로브를 이용한 돼지의 유행성 설사병과 전염성 위장염의 진단방법
KR20230087965A (ko) CRISPR-Cas 기반의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검출방법
CN117551817A (zh) 一种检测甲型流感病毒的靶基因、引物探针组合以及试剂盒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