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9238A - 쇼벨 - Google Patents

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9238A
KR20210139238A KR1020217027940A KR20217027940A KR20210139238A KR 20210139238 A KR20210139238 A KR 20210139238A KR 1020217027940 A KR1020217027940 A KR 1020217027940A KR 20217027940 A KR20217027940 A KR 20217027940A KR 20210139238 A KR20210139238 A KR 20210139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shovel
switch
image display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7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키 후쿠오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39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9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7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02F3/43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 E02F3/435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for dipper-arms, backho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32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one or more variable displacement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85Pilot-operated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2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6Systems with a variable displacement pu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하부주행체(1)와, 하부주행체(1)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선회체(3)와, 상부선회체(3)에 탑재되는 캐빈(10)과, 캐빈(10)에 마련되는 도어(10D)와, 캐빈(10) 내에 배치되는 표시장치(40)와, 도어(10D)의 근방에서 표시장치(4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작동스위치(51)를 갖는다. 그리고, 쇼벨(100)은, 작동스위치(51)가 전환되었을 때에, 쇼벨(100)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쇼벨
본 개시는, 쇼벨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누적가동시간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쇼벨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쇼벨은, 엔진의 제어상태, 연비상태, 냉각수온, 및 연료잔량 등과 함께 엔진의 누적가동시간을 표시장치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국제 공개공보 제2015/163381호
상술한 쇼벨은, 운전석에 앉은 쇼벨의 조작자가 각종 정보를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운전석에 앉지 않고 운전실의 밖에서 작업을 행하는 보수작업자, 수리작업자, 또는 관리자 등(이하, "보수작업자 등"이라고 한다.)이 원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는 않다. 그 때문에, 보수작업자 등은, 쇼벨에 탑재되어 있는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원하는 정보를 시인할 때에는, 운전실 내에 올라타 표시장치를 조작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복수의 쇼벨의 각각에 탑재된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시인하기 위하여, 쇼벨마다 운전실 내에 올라타 표시장치를 조작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다.
그래서, 쇼벨에 탑재된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보수작업자 등이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은,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선회체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운전실과, 상기 운전실에 마련되는 도어와, 상기 운전실 내에 배치되는 표시장치와, 상기 도어의 근방에서 상기 표시장치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스위치를 가지며, 상기 스위치가 전환되었을 때에, 쇼벨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수단에 의하여, 쇼벨에 탑재된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보수작업자 등이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쇼벨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쇼벨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쇼벨에 탑재되는 기본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가동상태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전환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비가동상태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도 1의 쇼벨의 좌측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굴삭기로서의 쇼벨(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쇼벨(100)의 측면도이며, 도 2는 쇼벨(100)의 상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쇼벨(100)의 하부주행체(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롤러(1C)를 포함한다. 크롤러(1C)는, 하부주행체(1)에 탑재되어 있는 주행용 유압모터(2M)에 의하여 구동된다. 단, 주행용 유압모터(2M)는, 전동액추에이터로서의 주행용 전동발전기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크롤러(1C)는 좌크롤러(1CL) 및 우크롤러(1CR)를 포함한다. 좌크롤러(1CL)는 좌주행용 유압모터(2ML)에 의하여 구동되고, 우크롤러(1CR)는 우주행용 유압모터(2MR)에 의하여 구동된다.
하부주행체(1)에는 선회기구(2)를 통하여 상부선회체(3)가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다. 선회기구(2)는, 상부선회체(3)에 탑재되어 있는 선회용 유압모터(2A)에 의하여 구동된다. 단, 선회용 유압모터(2A)는, 전동액추에이터로서의 선회용 전동발전기여도 된다.
상부선회체(3)에는 붐(4)이 장착되어 있다. 붐(4)의 선단에는 암(5)이 장착되고, 암(5)의 선단에 버킷(6)이 장착되어 있다. 붐(4), 암(5), 및 버킷(6)은, 어태치먼트의 일례인 굴삭어태치먼트를 구성한다. 붐(4)은 붐실린더(7)로 구동되고, 암(5)은 암실린더(8)로 구동되며, 버킷(6)은 버킷실린더(9)로 구동된다.
붐(4)에는 붐각도센서(S1)가 장착되고, 암(5)에는 암각도센서(S2)가 장착되며, 버킷(6)에는 버킷각도센서(S3)가 장착되어 있다.
붐각도센서(S1)는 붐(4)의 회동(回動)각도를 검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붐각도센서(S1)는 가속도센서이며, 상부선회체(3)에 대한 붐(4)의 회동각도인 붐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붐각도는, 예를 들면, 붐(4)을 최대로 하강시켰을 때에 최소각도가 되고, 붐(4)을 상승시킴에 따라 커진다.
암각도센서(S2)는 암(5)의 회동각도를 검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암각도센서(S2)는 가속도센서이며, 붐(4)에 대한 암(5)의 회동각도인 암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암각도는, 예를 들면, 암(5)을 최대로 접었을 때에 최소각도가 되고, 암(5)을 펼침에 따라 커진다.
버킷각도센서(S3)는 버킷(6)의 회동각도를 검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버킷각도센서(S3)는 가속도센서이며, 암(5)에 대한 버킷(6)의 회동각도인 버킷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버킷각도는, 예를 들면, 버킷(6)을 최대로 접었을 때에 최소각도가 되고, 버킷(6)을 펼침에 따라 커진다.
붐각도센서(S1), 암각도센서(S2), 및 버킷각도센서(S3)는 각각, 가변저항기를 이용한 퍼텐쇼미터, 대응하는 유압실린더의 스트로크양을 검출하는 스트로크센서, 연결핀 둘레의 회동각도를 검출하는 로터리인코더, 자이로센서, 또는,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의 조합 등이어도 된다.
상부선회체(3)에는, 운전실로서의 캐빈(10)이 마련되고, 또한, 엔진(11) 등의 동력원이 탑재되어 있다. 또, 상부선회체(3)에는, 컨트롤러(30), 물체검지장치(70), 촬상장치(80), 방향검출장치(85), 기체경사센서(S4), 및 선회각속도센서(S5) 등이 장착되어 있다. 캐빈(10)의 내부에는, 조작장치(26) 및 표시장치(40) 등이 마련되어 있다. 다만, 본서에서는, 편의상, 상부선회체(3)에 있어서의, 붐(4)이 장착되어 있는 측(+X측)을 전측으로 하고, 카운터웨이트가 장착되어 있는 측(-X측)을 후측으로 한다.
컨트롤러(30)는, 쇼벨(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러(30)는, CPU, 휘발성 기억장치, 및 불휘발성 기억장치 등을 구비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30)는, 각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불휘발성 기억장치로부터 독출하여 휘발성 기억장치에 로드하고, 대응하는 처리를 CPU에 실행시킨다.
표시장치(40)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장치(40)는, 캐빈(10) 내의 우전부(右前部)에 설치되며, 쇼벨(100)의 작업조건 및 동작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운전석에 앉는 조작자는, 표시장치(40)에 표시된 각종 정보를 확인하면서, 쇼벨(100)에 의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표시장치(40)는, 표시장치(40)로 표시되는 화상을 제어할 때에 이용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스위치를 갖고 있어도 된다.
물체검지장치(70)는, 쇼벨(100)의 주위에 존재하는 물체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체검지장치(70)는, 물체검지장치(70) 또는 쇼벨(100)과 인식된 물체의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물체는, 예를 들면, 사람, 동물, 차량, 건설기계, 건조물, 및 구멍 등을 포함한다. 물체검지장치(70)는, 예를 들면, 초음파센서, 밀리파레이더, 스테레오카메라, LIDAR, 거리화상센서, 또는 적외선센서 등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체검지장치(70)는, 캐빈(10)의 상면전단에 장착된 전센서(70F), 상부선회체(3)의 상면후단에 장착된 후센서(70B), 상부선회체(3)의 상면좌단에 장착된 좌센서(70L), 및, 상부선회체(3)의 상면우단에 장착된 우센서(70R)를 포함한다.
물체검지장치(70)는, 쇼벨(100)의 주위에 설정된 소정 영역 내의 소정 물체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소정 물체인 사람과 사람 이외의 물체를 구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촬상장치(80)는, 쇼벨(100)의 주위를 촬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촬상장치(80)는, 예를 들면, 단안(單眼)카메라, 스테레오카메라, 거리화상카메라, 적외선카메라, 또는 LIDAR 등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장치(80)는, 상부선회체(3)의 상면후단에 장착된 후카메라(80B), 상부선회체(3)의 상면좌단에 장착된 좌카메라(80L), 및, 상부선회체(3)의 상면우단에 장착된 우카메라(80R)를 포함한다. 촬상장치(80)는, 전카메라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후카메라(80B)는 후센서(70B)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좌카메라(80L)는 좌센서(70L)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또한, 우카메라(80R)는 우센서(70R)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전카메라는, 전센서(70F)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촬상장치(80)가 촬상한 화상은, 캐빈(10) 내에 설치되어 있는 표시장치(40)에 표시된다. 촬상장치(80)는, 부감(俯瞰)화상 등의 시점변환화상을 표시장치(40)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부감화상은, 예를 들면, 후카메라(80B), 좌카메라(80L), 및 우카메라(80R)의 각각이 출력하는 화상을 합성하여 생성된다.
후카메라(80B), 좌카메라(80L), 및 우카메라(80R)는 모두, 광축이 경사하방을 향하도록, 또한, 상부선회체(3)의 일부가 촬상범위에 포함되도록 상부선회체(3)에 장착되어 있다. 후카메라(80B), 좌카메라(80L), 및 우카메라(80R)의 각각의 촬상범위는, 예를 들면, 상면시(上面視)에서 약 180도의 시야각을 갖는다.
촬상장치(80)는, 물체검지장치(70)로서 기능해도 된다. 이 경우, 물체검지장치(70)는 생략되어도 된다.
방향검출장치(85)는, 상부선회체(3)의 방향과 하부주행체(1)의 방향의 상대적인 관계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방향검출장치(85)는, 하부주행체(1)에 장착된 지자기(地磁氣)센서와 상부선회체(3)에 장착된 지자기센서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방향검출장치(85)는, 하부주행체(1)에 장착된 GNSS수신기와 상부선회체(3)에 장착된 GNSS수신기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방향검출장치(85)는, 리졸버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기체경사센서(S4)는, 소정의 평면에 대한 쇼벨(100)의 경사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체경사센서(S4)는, 수평면에 관한 상부선회체(3)의 전후축의 경사각 및 좌우축의 경사각을 검출하는 가속도센서이다. 기체경사센서(S4)는,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부선회체(3)의 전후축 및 좌우축은, 예를 들면, 서로 직교하여, 쇼벨(100)의 선회축 상의 한 점인 쇼벨중심점을 통과한다.
선회각속도센서(S5)는, 상부선회체(3)의 선회각속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회각속도센서(S5)는, 자이로센서이다. 선회각속도센서(S5)는, 리졸버 또는 로터리인코더 등이어도 된다. 선회각속도센서(S5)는, 선회속도를 검출해도 된다. 선회속도는, 선회각속도로부터 산출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도 1의 쇼벨(100)에 탑재되는 기본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쇼벨(100)에 탑재되는 기본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기계적 동력전달라인은 이중선, 작동유라인은 굵은 실선, 파일럿라인은 파선, 전원라인은 가는 실선, 전기제어라인은 일점쇄선으로 각각 나타나 있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기본시스템은, 주로, 엔진(11), 메인펌프(14), 파일럿펌프(15), 컨트롤밸브유닛(17), 조작장치(26), 조작압센서(29), 컨트롤러(30), 전환밸브(35), 표시장치(40), 작동스위치(51), 룸라이트(52), 메인전원(71), 전장품(73), 엔진컨트롤유닛(74),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 및 출력특성전환스위치(76) 등을 포함한다.
엔진(11)은, 부하의 증감에 관계없이 엔진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등시성(isochronous) 제어를 채용한 디젤엔진이다. 엔진(11)에 있어서의 연료분사량, 연료분사타이밍, 및 부스트압 등은, 엔진컨트롤유닛(74)에 의하여 제어된다.
엔진(11)의 출력축은, 유압펌프로서의 메인펌프(14) 및 파일럿펌프(15)의 각각의 입력축에 연결되어 있다. 메인펌프(14)는, 작동유라인을 통하여 컨트롤밸브유닛(17)에 작동유를 공급한다.
컨트롤밸브유닛(17)은, 쇼벨(100)의 유압계의 제어를 행하는 유압제어장치이다. 컨트롤밸브유닛(17)은, 좌주행용 유압모터(2ML), 우주행용 유압모터(2MR),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버킷실린더(9), 및 선회용 유압모터(2A) 등의 유압액추에이터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밸브유닛(17)은, 각 유압액추에이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스풀밸브를 포함한다. 각 스풀밸브는, PC포트의 개구면적 및 CT포트의 개구면적을 증감시킬 수 있도록, 조작장치(26)가 생성하는 파일럿압에 따라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PC포트는, 메인펌프(14)와 유압액추에이터를 연통시키는 포트이다. CT포트는, 유압액추에이터와 작동유탱크를 연통시키는 포트이다.
조작장치(26)는, 예를 들면, 좌조작레버, 우조작레버, 및 주행조작장치를 포함한다. 주행조작장치(26)는, 예를 들면, 주행레버 및 주행페달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장치(26)의 각각은, 파일럿펌프(15)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이용하는 유압식 조작장치이며, 파일럿라인을 통하여 컨트롤밸브유닛(17) 내에 있는 대응하는 스풀밸브의 파일럿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단, 조작장치(26)는, 전기식 조작장치여도 된다. 이 경우, 전기식 조작장치의 조작량은, 전기신호로서 컨트롤러(30)에 입력된다. 또, 파일럿펌프(15)와 각 스풀밸브의 파일럿포트의 사이에는 전자(電磁)밸브가 배치된다. 전자밸브는, 컨트롤러(30)로부터의 전기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전기식 조작장치를 이용한 수동조작이 행해지면, 컨트롤러(30)는, 조작량에 대응하는 전기신호에 의하여 전자밸브를 제어하여 파일럿압을 증감시킴으로써 각 스풀밸브를 컨트롤밸브유닛(17)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각 스풀밸브는 전자스풀밸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전자스풀밸브는, 전기식 조작장치의 조작량에 대응하는 컨트롤러(30)로부터의 전기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조작압센서(29)는, 조작장치(26)에 대한 조작의 내용을 압력의 형태로 검출한다. 조작압센서(29)는, 검출값을 컨트롤러(30)에 대하여 출력한다. 단, 조작장치(26)에 대한 조작의 내용은, 전기적으로 검출되어도 된다.
전환밸브(35)는, 조작장치(26)의 유효상태와 무효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장치(26)의 유효상태는, 조작자가 조작장치(26)를 이용하여 유압액추에이터를 조작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조작장치(26)의 무효상태는, 조작자가 조작장치(26)를 이용하여 유압액추에이터를 조작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환밸브(35)는, 컨트롤러(3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자밸브로서의 게이트로크밸브이다. 구체적으로는, 전환밸브(35)는, 파일럿펌프(15)와 조작장치(26)를 연결하는 파일럿라인에 배치되며, 컨트롤러(3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파일럿라인의 차단·연통을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장치(26)는, 예를 들면, 게이트로크레버(D4)가 당겨 올려져 전환밸브(35)(게이트로크밸브)가 폐쇄되었을 때에 무효상태가 되고, 게이트로크레버(D4)가 눌러 내려져 전환밸브(35)(게이트로크밸브)가 개방되었을 때에 유효상태가 된다.
이그니션스위치(도시하지 않음.)는, 쇼벨(100)의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그니션스위치는, 쇼벨(100)의 상태를 키온상태와 키오프상태의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키온상태는, 쇼벨(100)의 상태의 하나이며, 예를 들면, 키실린더에 삽입된 메커니컬키가 제1 위치(엔진(11)의 가동 중에 선택되는 위치)까지 회전되었을 때에 실현된다. 키오프상태는, 쇼벨(100)의 상태의 다른 하나이며, 예를 들면, 키실린더에 삽입된 메커니컬키가 제2 위치(메커니컬키를 키실린더로부터 빼낼 수 있는 위치)까지 회전되었을 때, 혹은, 메커니컬키가 키실린더로부터 빼내졌을 때에 실현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그니션스위치는, 키실린더형의 스위치이다. 쇼벨(100)의 조작자는, 키실린더에 삽입된 메커니컬키를 회전시킴으로써, 이그니션스위치의 위치를 OFF위치, ACC위치(액세서리위치), ON위치, 및 START위치 중 어느 하나에 맞출 수 있다. 이그니션스위치의 위치가 OFF위치에 있는 경우, 쇼벨(100)의 상태는 키오프상태가 된다. 이그니션스위치의 위치가 ACC위치, ON위치, 또는 START위치에 있는 경우, 쇼벨(100)의 상태는 키온상태가 된다. 조작자는, 이그니션스위치의 위치를 ACC위치 또는 ON위치에 맞춤으로써, 엔진(11)을 시동시키지 않고, 쇼벨(100)에 탑재되어 있는 전장품(73)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 조작자는, 이그니션스위치의 위치를 START위치에 맞춤으로써, 스타터(11b)에 의하여 엔진(11)을 시동시킬 수 있다. 또, 조작자는, 엔진(11)을 시동시킨 후에 이그니션스위치의 위치를 ON위치로 해둠으로써, 엔진(11)을 계속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메인전원(71)은, 키온상태 및 키오프상태의 쌍방에서 이용되는 전원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인전원(71)은, 얼터네이터(11a)로 발전한 전기로 충전되는 축전지이다. 메인전원(71)은, 키온상태에서, 스타터(11b), 컨트롤러(30), 표시장치(40), 및 전장품(73) 등의 전기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또한, 키오프상태에서 표시장치(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타터(11b)는, 메인전원(71)으로부터의 전력으로 구동되며, 엔진(11)을 시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메인전원(71)은, 전원라인(PL1)을 통하여 접지되고, 또한, 스위치(71a), 전원라인(PL2), 및 백업전원라인(PL3)을 통하여 표시장치(40)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메인전원(71)은, 스위치(71a), 전원라인(PL2), 릴레이(71b), 및 메인전원라인(PL4)을 통하여 전기부하의 각각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메인전원(71)은, 스위치(71a), 전원라인(PL2), 스위치(71c), 및 전원라인(PL5)을 통하여 릴레이(71b)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71a)는, 메인전원(71)으로부터 전기부하를 분리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71a)는, 보수작업자 등이 조작할 수 있도록 메인전원(71)의 가까이에 설치되며, 보수작업 시에 보수작업자 등이 메인전원(71)으로부터 전기부하를 분리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스위치(71a)는, 기본적으로는, 보수작업이 행해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키오프상태이더라도 도통(導通)상태로 유지된다.
릴레이(71b)는, 스위치(71c)가 도통상태일 때에 도통상태가 되고, 스위치(71c)가 차단상태일 때에 차단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71c)는, 이그니션스위치의 위치가 ACC위치, ON위치, 또는 START위치에 있는 경우에 도통상태가 되도록, 또한, 이그니션스위치의 위치가 OFF위치일 때에 차단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71c)가 도통상태가 되면, 릴레이(71b)는, 메인전원(71)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아 작동하여, 도통상태가 된다. 릴레이(71b)가 도통상태가 되면, 전원라인(PL2)과 메인전원라인(PL4)이 접속되고, 전기부하의 각각은, 메인전원(71)으로부터 메인전원라인(PL4)을 통하여 전력의 공급을 받는다.
표시장치(40)는, CAN 등의 통신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트롤러(30)에 접속되어 있어도 되고, 전용선을 통하여 컨트롤러(30)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장치(40)는, CAN을 통하여 컨트롤러(30)에 접속되어 있다.
표시장치(40)는, 제어부(40a), 화상표시부(41), 및 조작부(42)를 갖는다. 제어부(40a)는,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상을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40a)는, CPU, 휘발성 기억장치, 및 불휘발성 기억장치 등을 구비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a)는, 각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불휘발성 기억장치로부터 독출하여 휘발성 기억장치에 읽어 들이고, 대응하는 처리를 CPU에 실행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a)는, 키온상태에 있어서, 메인전원(71)으로부터 메인전원라인(PL4)을 통하여 전력의 공급을 받아 동작하고, 키오프상태에 있어서, 메인전원(71)으로부터 백업전원라인(PL3)을 통하여 전력의 공급을 받아 동작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40a)는, 엔진(11)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 혹은, 메커니컬키가 키실린더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더라도, 화상표시부(41)의 작동·정지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키오프상태에 있어서, 제어부(40a)는 메인전원(71)으로부터 백업전원라인(PL3)을 통하여 전력의 공급을 받아 동작하고, 컨트롤러(30) 등의 다른 장치(전기부하)는, 전력의 공급을 받은 동작은 하지 않는다.
화상표시부(41)는, 각종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표시부(41)는, 액정 디스플레이이며, 키온상태에 있어서, 가동상태화면(도 4 참조.)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동상태화면은, 예를 들면, 촬상장치(80) 중 적어도 하나가 촬상한 촬상화상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혹은, 가동상태화면은, 쇼벨(1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화면, 또는, 쇼벨(100)의 각종 설정을 나타내는 설정화면 등을 포함하는 메뉴화면이어도 된다.
촬상화상은, 예를 들면, 후카메라(80B)가 촬상한 후화상, 좌카메라(80L)가 촬상한 좌화상, 또는, 우카메라(80R)가 촬상한 우화상이어도 된다. 또, 촬상화상은, 예를 들면, 후카메라(80B), 좌카메라(80L), 및 우카메라(80R)의 각각에 의하여 촬상된 촬상화상이 합성된 부감화상이어도 된다. 또, 촬상화상은, 후화상, 좌화상, 우화상, 및 부감화상으로부터 선택되는 2 이상의 화상이어도 된다.
또, 화상표시부(41)는, 키오프상태에 있어서, 가동상태화면과는 다른 비가동상태화면(도 6 참조.)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비가동상태화면은, 예를 들면, 쇼벨(100)의 메인터넌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메인터넌스정보화면이어도 된다. 메인터넌스정보화면은, 예를 들면, 엔진(11)의 가동시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이어도 된다. 비가동상태화면은, 키온상태인지 키오프상태인지에 관계없이, 화상표시부(41)의 주위에 마련된 소정의 버튼이 조작된 경우에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어도 된다.
다만, 화상표시부(41)는, 키온상태에 있어서, 컨트롤러(30)와 표시장치(40)의 사이의 CAN통신이 두절된 경우에, 비가동상태화면의 다른 일례인 이상상태화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이상상태화면은, 예를 들면, CAN통신이상이 발생한 취지를 전달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40a)는, 키오프상태에 있어서 소정의 작동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화상표시부(41)를 작동시킨다. 즉, 제어부(40a)는, 메인전원(71)으로부터 백업전원라인(PL3)을 통하여 화상표시부(41)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 결과, 화상표시부(41)는, 비가동 시 화면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소정의 작동조건은, 예를 들면, 작동스위치(51)의 상태가 전환된 것 등을 포함한다.
작동스위치(51)는, 캐빈(10)의 도어(10D)(도 1 참조.)의 근방에서 표시장치(4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동스위치(51)는, 도어(10D)가 개방된 것을 검출하는 도어스위치이며, 리밋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단, 작동스위치(51)는, 도어(10D)의 노브(10N)(도 1 참조.)가 조작된 것을 검출하는 리밋스위치로서의 노브스위치여도 된다. 혹은, 작동스위치(51)는, 보수작업자 등의 손이 노브(10N)에 닿은 것을 검출하는 정전스위치여도 된다. 혹은, 작동스위치(51)는, 도어(10D)의 외측에 있는 보수작업자 등을 검지하는 비접촉형의 인체감지스위치여도 된다. 혹은, 작동스위치(51)는, 도어(10D)의 외측에 있는 보수작업자 등이 도어(10D)를 개방하지 않고 조작할 수 있도록 캐빈(10)의 외측에 배치된 누름버튼스위치여도 된다. 혹은, 작동스위치(51)는, 캐빈(10)의 내측이며, 또한, 도어(10D)의 근방에 배치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작동스위치(51)는, 운전석의 좌측에 있는 좌콘솔에, 누름버튼스위치로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작동스위치(51)는, 상술한 복수 종류의 스위치의 조합이어도 된다.
혹은, 작동스위치(51)는,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하여, 보수작업자 등이 휴대하고 있는 단말의 접근을 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보수작업자 등이 휴대하고 있는 단말은, 예를 들면, 키리스 엔트리시스템 또는 스마트키리스 엔트리시스템 등의 전자키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단말이다. 전형적으로는, 단말은, 전자키 또는 스마트폰 등이다. 이 경우, 쇼벨(100)의 도어(10D)의 내부에 설치된 작동스위치(51)의 상태는, 예를 들면, 보수작업자 등이 휴대하고 있는 단말이 도어(10D)에 접근하면, 차단상태로부터 도통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a)는, 키오프상태에 있어서, 도어(10D)가 개방된 경우에, 작동스위치(51)의 상태가 차단상태로부터 도통상태로 전환된 것을 검출하여, 소정의 작동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정한다.
제어부(40a)는, 키오프상태에 있어서 소정의 정지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화상표시부(41)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즉, 제어부(40a)는, 메인전원(71)으로부터 백업전원라인(PL3)을 통하여 화상표시부(41)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그 결과, 화상표시부(41)는, 비가동 시 화면을 표시할 수 없게 된다.
소정의 정지조건은, 예를 들면, 작동스위치(51)의 상태가 원래대로 되돌아간 것, 또는, 화상표시부(41)를 작동시킨 후에 소정의 최대작동시간이 경과한 것 등을 포함한다. 최대작동시간은, 예를 들면, 수십 초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a)는, 키오프상태에 있어서, 개방되어 있던 도어(10D)가 폐쇄된 경우에, 작동스위치(51)의 상태가 도통상태로부터 차단상태로 되돌아간 것을 검출하여, 소정의 정지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정한다. 혹은, 제어부(40a)는, 키오프상태에 있어서, 화상표시부(41)를 작동시킨 후에 소정의 최대작동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소정의 정지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정해도 된다.
조작부(42)는, 하드웨어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패널이다. 조작부(42)는, 터치패널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부(42)는, 화상표시부(41)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단, 조작부(42)는, 예를 들면, 조작레버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운전석의 좌측에 있는 좌콘솔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며, 혹은, 운전석의 우측에 있는 우콘솔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룸라이트(52)는, 캐빈(10) 내를 비추는 조명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룸라이트(52)는, 도어(10D)가 개방되었을 때에 점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40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스위치(51)의 상태에 근거하여, 캐빈(10)의 도어(10D)가 개방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제어부(40a)는, 도어(10D)가 개방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룸라이트(52)에 대하여 제어지령을 출력하여, 룸라이트(52)를 점등시킬 수 있다. 다만, 룸라이트(52)는, 키오프상태에서는, 메인전원(71)으로부터 백업전원라인(PL3)을 통하여 전력의 공급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컨트롤유닛(74)은, 냉각수온 등, 엔진(11)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컨트롤러(3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메인펌프(14)의 레귤레이터(14a)는, 사판경전각(傾轉角)에 관한 데이터를 컨트롤러(3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토출압센서(14b)는, 메인펌프(14)의 토출압에 관한 데이터를 컨트롤러(3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동유탱크와 메인펌프(14)의 사이의 관로에 마련된 유온센서(14c)는, 그 관로를 흐르는 작동유의 온도에 관한 데이터를 컨트롤러(3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압센서(29)는, 조작장치(26)가 조작되었을 때에 생성되는 파일럿압에 관한 데이터를 컨트롤러(3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컨트롤러(30)는 휘발성 기억장치 또는 불휘발성 기억장치에 이들 데이터를 축적해 두고, 필요한 때에 표시장치(40)에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은, 엔진(11)의 회전수를 조정하기 위한 다이얼이다.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은, 엔진회전수의 설정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컨트롤러(3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은, SP모드, H모드, A모드, 및 IDLE모드의 4단계로 엔진회전수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SP모드는, 작업량을 우선하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되는 회전수모드이고, 가장 높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한다. H모드는, 작업량과 연비를 양립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되는 회전수모드이고, 두 번째로 높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한다. A모드는, 연비를 우선시키면서 저소음으로 쇼벨(100)을 가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되는 회전수모드이고, 세 번째로 높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한다. IDLE모드는, 엔진(11)을 아이들링상태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되는 회전수모드이고, 가장 낮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한다. 엔진(11)은,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로 설정된 회전수모드에 대응하는 엔진회전수로 일정해지도록 제어된다.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에는 출력특성전환스위치(76)가 마련되어 있다. 쇼벨(100)의 조작자는, 출력특성전환스위치(76)의 압하(壓下)에 의하여 쇼벨(100)의 출력특성을 전환할 수 있다. 출력특성전환스위치(76)는, 예를 들면, 압하되었을 때에, 엔진출력토크선도(線圖)를 변경시켜도 되고,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에 있어서의 각 단계의 엔진회전수를 소정 값만큼 감소시켜도 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가동상태화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가동상태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키온상태에서는, 화상표시부(41)는, 일시표시영역(41a), 주행모드표시영역(41b), 어태치먼트표시영역(41c), 연비표시영역(41d), 엔진제어상태표시영역(41e), 엔진가동시간표시영역(41f), 냉각수온표시영역(41g), 연료잔량표시영역(41h), 회전수모드표시영역(41i), 요소수잔량표시영역(41j), 작동유온표시영역(41k), 에어컨운전상태표시영역(41m), 화상표시영역(41n), 및 메뉴표시영역(41p)을 포함한다.
주행모드표시영역(41b), 어태치먼트표시영역(41c), 엔진제어상태표시영역(41e), 회전수모드표시영역(41i), 및 에어컨운전상태표시영역(41m)은, 쇼벨(100)의 설정상태에 관한 정보인 설정상태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연비표시영역(41d), 엔진가동시간표시영역(41f), 냉각수온표시영역(41g), 연료잔량표시영역(41h), 요소수잔량표시영역(41j), 및 작동유온표시영역(41k)은, 쇼벨(100)의 가동상태에 관한 정보인 가동상태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일시표시영역(41a)은, 현재의 일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주행모드표시영역(41b)은, 현재의 주행모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어태치먼트표시영역(41c)은, 현재 장착되어 있는 어태치먼트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연비표시영역(41d)은, 컨트롤러(30)에 의하여 산출된 연비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연비표시영역(41d)은, 전기간에 관한 평균연비 또는 일부기간에 관한 평균연비를 표시하는 평균연비표시영역(41d1), 및, 순간연비를 표시하는 순간연비표시영역(41d2)을 포함한다. 전기간은, 예를 들면, 쇼벨(100)이 출하된 후의 전기간을 의미한다. 일부기간은, 예를 들면, 조작자가 임의로 설정한 기간을 의미한다.
엔진제어상태표시영역(41e)은, 엔진(11)의 제어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엔진가동시간표시영역(41f)은, 엔진(11)의 가동시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냉각수온표시영역(41g)은, 현재의 엔진냉각수의 온도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연료잔량표시영역(41h)은,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잔량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회전수모드표시영역(41i)은,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에 의하여 설정된 현재의 회전수모드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영역이다. 요소수잔량표시영역(41j)은, 요소수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영역이다. 작동유온표시영역(41k)은, 작동유탱크 내의 작동유의 온도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에어컨운전상태표시영역(41m)은, 현재의 분출구의 위치를 표시하는 분출구표시영역(41m1), 현재의 운전모드를 표시하는 운전모드표시영역(41m2), 현재의 설정온도를 표시하는 온도표시영역(41m3), 및, 현재의 설정풍량을 표시하는 풍량표시영역(41m4)을 포함한다.
화상표시영역(41n)은, 촬상장치(80)가 촬상한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화상표시영역(41n)은, 상방에 위치하는 제1 화상표시영역(41n1)과 하방에 위치하는 제2 화상표시영역(41n2)을 갖는다. 도 4의 예에서는, 부감화상(FV)을 제1 화상표시영역(41n1)에 배치하고, 또한, 후화상(CBT)을 제2 화상표시영역(41n2)에 배치하고 있다. 단, 화상표시영역(41n)은, 부감화상(FV)을 제2 화상표시영역(41n2)에 배치하고, 또한, 후화상(CBT)을 제1 화상표시영역(41n1)에 배치해도 된다. 또, 도 4의 예에서는, 부감화상(FV)과 후화상(CBT)은 상하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지만,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부감화상(FV)은, 제어부(40a)에 의하여 생성되는 가상시점화상이며, 후카메라(80B), 좌카메라(80L), 및 우카메라(80R)의 각각이 취득한 화상에 근거하여 생성된다. 또, 부감화상(FV)의 중앙부분에는, 쇼벨(100)에 대응하는 쇼벨도형(GE)이 배치되어 있다. 쇼벨(100)과 쇼벨(100)의 주위에 존재하는 물체의 위치관계를 조작자에게 보다 직감적으로 파악시키기 위함이다. 후화상(CBT)은, 쇼벨(100)의 후방의 공간을 비추는 화상이며, 카운터웨이트의 상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화상(GC)을 포함한다. 후화상(CBT)은, 제어부(40a)에 의하여 생성되는 실(實)시점화상이며, 후카메라(80B)가 취득한 화상에 근거하여 생성된다.
도 4의 예에서는, 화상표시영역(41n)은, 세로로 긴 영역이지만, 가로로 긴 영역이어도 된다. 화상표시영역(41n)이 가로로 긴 영역인 경우, 화상표시영역(41n)은, 좌측에 제1 화상표시영역(41n1)으로서 부감화상(FV)을 포함하고, 우측에 제2 화상표시영역(41n2)으로서 후화상(CBT)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부감화상(FV)은, 후화상(CBT)의 좌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부감화상(FV)은, 후화상(CBT)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메뉴표시영역(41p)은, 탭영역(41p1~41p7)을 갖는다. 도 4의 예에서는, 화상표시부(41)의 최하부에, 탭영역(41p1~41p7)이 좌우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탭영역(41p1~41p7)의 각각에는, 관련되는 정보의 내용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탭영역(41p1)에는, 메뉴상세항목을 표시하기 위한 메뉴상세항목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탭영역(41p1)이 선택되면, 탭영역(41p2~41p7)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이 메뉴상세항목에 관련지어진 아이콘으로 전환된다.
탭영역(41p4)에는, 디지털수준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탭영역(41p4)이 선택되면, 후화상(CBT)이 디지털수준기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1 화면으로 전환된다.
탭영역(41p6)에는, 정보화 시공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탭영역(41p6)이 선택되면, 후화상(CBT)이 정보화 시공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2 화면으로 전환된다.
탭영역(41p7)에는, 크레인모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탭영역(41p7)이 선택되면, 후화상(CBT)이 크레인모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3 화면으로 전환된다.
단, 제1 화면, 제2 화면, 또는 제3 화면 등의 메뉴화면은 모두, 후화상(CBT) 상에 중첩표시되어도 된다. 혹은, 후화상(CBT)은, 메뉴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장소를 비우도록 축소되어도 된다. 혹은, 부감화상(FV)이 메뉴화면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메뉴화면은, 부감화상(FV) 상에 중첩표시되어도 된다. 혹은, 부감화상(FV)은, 메뉴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장소를 비우도록 축소되어도 된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탭영역(41p2, 41p3, 및 41p5)에는,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조작자에 의하여 탭영역(41p2, 41p3, 또는 41p5)이 조작되어도,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상에 변화는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탭영역(41p1~41p7)에 표시되는 아이콘은 상기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어도 된다.
도 4의 예에서는, 조작부(42)는, 조작자가 탭영역(41p1~41p7)의 선택, 및, 설정입력 등을 행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식의 스위치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42)는, 상단에 배치된 7개의 스위치(42a1~42a7)와, 하단에 배치된 7개의 스위치(42b1~42b7)를 포함한다. 스위치(42b1~42b7)는, 스위치(42a1~42a7)의 각각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단, 조작부(42)의 스위치의 수, 형태, 및 배치는, 상기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조작부(42)는, 조그휠 또는 조그스위치 등과 같이, 복수의 버튼식의 스위치의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형태여도 된다. 또, 조작부(42)는, 표시장치(40)로부터 독립적인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탭영역(41p1~41p7)은, 소프트웨어버튼으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조작자는, 탭영역(41p1~41p7)을 터치조작함으로써 임의의 탭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스위치(42a1)는, 탭영역(41p1)의 하방에, 탭영역(41p1)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탭영역(41p1)을 선택하는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스위치(42a2~42a7)의 각각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조작자는, 탭영역(41p1~41p7) 중 원하는 하나를 선택할 때에 스위치(42a1~42a7) 중 어느 것을 조작하면 될지를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스위치(42b1)는, 화상표시영역(41n)에 표시되는 촬상화상을 전환하는 스위치이다. 표시장치(40)는, 스위치(42b1)가 조작될 때마다 화상표시영역(41n)의 제1 화상표시영역(41n1)에 표시되는 촬상화상이, 예를 들면, 후화상, 좌화상, 우화상, 및 부감화상의 순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혹은, 표시장치(40)는, 스위치(42b1)가 조작될 때마다 화상표시영역(41n)의 제2 화상표시영역(41n2)에 표시되는 촬상화상이, 예를 들면, 후화상, 좌화상, 우화상, 및 부감화상의 순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표시장치(40)는, 스위치(42b1)가 조작될 때마다 화상표시영역(41n)의 제1 화상표시영역(41n1)에 표시되는 촬상화상과 제2 화상표시영역(41n2)에 표시되는 촬상화상이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조작자는, 조작부(42)로서의 스위치(42b1)를 조작함으로써, 제1 화상표시영역(41n1) 또는 제2 화상표시영역(41n2)에 표시되는 화면을 전환해도 된다. 혹은, 조작자는, 스위치(42b1)를 조작함으로써, 제1 화상표시영역(41n)과 제2 화상표시영역(41n2)에 표시되는 화면을 전환해도 된다. 표시장치(40)는, 제2 화상표시영역(41n2)에 표시되는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스위치(42b2 및 42b3)는, 에어컨의 풍량을 조절하는 스위치이다. 도 4의 예에서는, 조작부(42)는, 스위치(42b2)가 조작되면 에어컨의 풍량이 작아지고, 스위치(42b3)가 조작되면 에어컨의 풍량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42b4)는, 냉방·난방기능의 ON·OFF를 전환하는 스위치이다. 도 4의 예에서는, 조작부(42)는, 스위치(42b4)가 조작될 때마다 냉방·난방기능의 ON·OFF가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42b5 및 42b6)는, 에어컨의 설정온도를 조절하는 스위치이다. 도 4의 예에서는, 조작부(42)는, 스위치(42b5)가 조작되면 설정온도가 낮아지고, 스위치(42b6)가 조작되면 설정온도가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42b7)는, 엔진가동시간표시영역(41f)에 표시되는, 엔진(11)의 가동시간에 관한 정보의 내용을 전환하는 스위치이다. 엔진(11)의 가동시간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전기간에 관한 누적가동시간 및 일부기간에 관한 누적가동시간 등을 포함한다.
또, 스위치(42a2~42a6 및 42b2~42b6)는, 각각의 스위치 또는 스위치 근방에 표시된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스위치(42a3, 42a4, 42a5, 42b4)는, 화상표시부(41)에 커서가 표시되었을 때, 커서를 각각 좌, 상, 우, 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만, 스위치(42a1~42a7 및 42b1~42b7)의 각각에 주어진 상술한 기능은 일례이다. 스위치(42a1~42a7 및 42b1~42b7)의 각각은, 다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키오프상태에 있어서 제어부(40a)가 화상표시부(41)의 작동·정지를 전환하는 처리(이하, "전환처리"라고 한다.)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전환처리의 일례의 플로차트이다. 제어부(40a)는, 키오프상태에 있어서, 메인전원(71)(도 3 참조.)으로부터 백업전원라인(PL3)을 통하여 전력의 공급을 받고, 소정의 제어주기로 반복하여 이 전환처리를 실행한다.
먼저, 제어부(40a)는, 쇼벨(100)의 상태가 키오프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T1).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40a)는, 백업전원라인(PL3) 또는 메인전원라인(PL4) 중 어느 전원라인을 통하여 전력의 공급을 받고 있는지에 근거하여 쇼벨(100)의 상태가 키오프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a)는, 백업전원라인(PL3)을 통하여 전력의 공급을 받고 있는 경우에, 쇼벨(100)의 상태가 키오프상태라고 판정하고, 메인전원라인(PL4)을 통하여 전력의 공급을 받고 있는 경우에, 쇼벨(100)의 상태가 키오프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한다.
키오프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ST1의 NO), 제어부(40a)는, 이번 전환처리를 종료시킨다.
키오프상태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ST1의 YES), 제어부(40a)는, 캐빈(10)의 도어(10D)가 개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T2).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40a)는, 작동스위치(51)로서의 도어스위치의 출력에 근거하여 도어(10D)가 개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도어(10D)가 개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T2의 NO), 제어부(40a)는, 이번 전환처리를 종료시킨다.
도어(10D)가 개방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T2의 YES), 제어부(40a)는, 화상표시부(41)를 작동시켜 쇼벨(100)의 가동시간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킨다(스텝 ST3).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40a)는, 메인전원(71)으로부터 백업전원라인(PL3)을 통하여 화상표시부(41)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비가동상태화면으로서의 메인터넌스정보화면(도 6 참조.)이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도록 한다.
그 후, 제어부(40a)는, 최대작동시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T4).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40a)는, 부속된 타이머기능을 이용하여, 화상표시부(41)를 작동시킨 후의 경과시간이 소정의 최대작동시간에 도달했는지 아닌지를 감시한다. 그리고, 제어부(40a)는, 경과시간이 최대작동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소정의 제어주기마다 이 판정을 반복한다(스텝 ST4의 NO).
최대작동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T4의 YES), 제어부(40a)는, 화상표시부(41)의 작동을 정지시켜 쇼벨(100)의 가동시간에 관한 정보의 표시를 중지시킨다(스텝 ST5).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40a)는, 메인전원(71)으로부터 백업전원라인(PL3)을 통하여 화상표시부(41)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상표시부(41)에 있어서의 메인터넌스정보화면의 표시가 중지되도록 한다. 그 결과,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어 있던 메인터넌스정보화면은, 작동스위치(51)의 상태와는 무관하게 꺼진다.
이 전환처리에 의하여, 보수작업자 등은, 캐빈(10) 내에 올라타지 않아도, 캐빈(10)의 도어(10D)를 개방하는 것만으로,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된 쇼벨(100)의 가동시간에 관한 정보를 시인할 수 있다. 다만, 보수작업자는, 예를 들면, 보수점검가이드라인 등에 따라, 쇼벨(100)의 메인터넌스를 행했을 때에, 쇼벨(100)의 가동시간 및 일자 등을 체크시트에 기입하도록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보수작업자는,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된 쇼벨(100)의 가동시간에 관한 정보를 시인함으로써, 캐빈(10) 내에 올라타 표시장치(40)를 기동시키지 않아도, 쇼벨(100)의 가동시간을 체크시트에 기입할 수 있다.
또, 표시장치(40)는, 도어(10D)의 외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위치에 화상표시부(41)를 구비하고 있다. 즉, 화상표시부(41)는, 도어(10D)의 외측에 있는 보수작업자 등이 볼 때, 조작레버 등의 뒤에 가려지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보수작업자 등은, 무리한 자세를 취하지 않고,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된 쇼벨(100)의 가동시간에 관한 정보를 시인할 수 있다.
또, 도어(10D)에는 유리창(10W)(도 1 참조.)이 장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보수작업자 등은, 도어(10D)를 전체개방시키지 않고 약간 개방하는 것만으로,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된 쇼벨(100)의 가동시간에 관한 정보를 유리창 너머로 시인할 수 있다.
혹은, 보수작업자 등이 휴대하고 있는 단말의 접근을 작동스위치(51)가 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수작업자 등은, 도어(10D)에 가까워지는 것만으로,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된 쇼벨(100)의 가동시간에 관한 정보를 유리창 너머로 시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수작업자 등은,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된 쇼벨(100)의 가동시간에 관한 정보를 시인하기 위하여 도어(10D)를 개방할 필요는 없다.
다만, 화상표시부(41)는, 쇼벨(100)의 상태가 키온상태로부터 키오프상태로 이행한 후의 작동스위치(51)의 최초의 전환에 따라서는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화상표시부(41)는, 키온상태로부터 키오프상태로 이행한 후에 소정의 작동금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쇼벨(100)의 조작을 끝낸 조작자가 캐빈(10)으로부터 나오기 위하여 도어(10D)를 개방했을 때에 화상표시부(41)가 작동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표시부(41)는, 통상, 쇼벨(100)의 상태가 키온상태로부터 키오프상태로 이행했을 때에,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어 작동이 정지된다. 그 때문에, 조작자가 캐빈(10)으로부터 나오기 위하여 도어(10D)를 개방했을 때에 화상표시부(41)가 작동해 버리면, 조작자는, 화상표시부(41)의 작동이 적절히 정지되어 있지 않다고 오인해 버릴 우려가 있다. 상술한 기능은, 이와 같은 오인을 발생시켜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 화상표시부(41)는, 쇼벨(100)의 상태가 키온상태로부터 키오프상태로 이행한 후의 작동스위치(51)의 최초의 전환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화상표시부(41)는, 키온상태로부터 키오프상태로 이행한 직후이더라도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외적인 처리를 생략함으로써 기능을 단순화하여, 고장 등의 트러블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비가동상태화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비가동상태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키오프상태에 있어서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비가동상태화면은, 일시표시영역(41a) 및 엔진가동시간표시영역(41f)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a)는, 화상표시부(41)의 전체표시영역을 흑색으로 표시시키고, 중앙에 누적가동시간을 백색으로 표시시키며, 우상모서리에 일시를 백색으로 표시시키고 있다.
비가동상태화면에 포함되는 엔진가동시간표시영역(41f)에 표시되는 문자(예를 들면 숫자)의 크기는, 가동상태화면(도 4 참조.)에 포함되는 엔진가동시간표시영역(41f)에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보다 크다.
또, 비가동상태화면은, 일시표시영역(41a) 및 엔진가동시간표시영역(41f) 이외의 전체표시영역을 하나의 색(흑색)으로 표시하고, 일시표시영역(41a) 및 엔진가동시간표시영역(41f)의 각각에 있어서의 수치 및 기호 등을 다른 하나의 색(백색)으로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비가동상태화면은, 중앙에 배치된 엔진가동시간표시영역(41f)의 주위에는 다른 정보를 표시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이, 비가동상태화면은, 도어(10D)의 외측에 있는 보수작업자 등이더라도, 가동시간에 관한 정보를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어(10D)의 외측에 있는 보수작업자 등, 즉, 표시장치(40)에서 봤을 때 운전석에 앉는 조작자보다 멀리 있는 보수작업자 등이더라도, 엔진가동시간표시영역(41f)에 표시되는 문자를 용이하게 시인(식별)할 수 있다.
다만, 비가동상태화면은, 일시표시영역(41a)의 표시를 생략해도 된다. 보수작업자 등에게 필요로 하는 정보(예를 들면, 가동시간에 관한 정보) 이외의 정보의 표시를 생략함으로써, 보수작업자 등에게 필요로 하는 정보의 시인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혹은, 비가동상태화면은, 보수작업자 등에게 필요로 하는 정보로서, 연료의 잔량에 관한 정보, 요소수의 잔량에 관한 정보, 및 에러에 관한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해도 된다. 이 경우, 연료의 잔량에 관한 정보, 요소수의 잔량에 관한 정보, 및 에러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쇼벨(100)의 상태가 최근의 키온상태로부터 현재의 키오프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 기억장치에 기억된 정보이다.
비가동상태화면은, 보수작업자 등에게 필요로 하는 정보가 아닌, 쇼벨(100)의 조작자에게 필요로 하는 정보를 표시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비가동상태화면은, 예를 들면, 키리스 엔트리시스템 또는 스마트키리스 엔트리시스템 등의 전자키시스템을 쇼벨(100)이 탑재하고 있는 경우, 엔진의 시동수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전환처리를 실행 가능한 제어부(40a)를 구비한 쇼벨(100)이 가져오는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쇼벨(100)의 좌측면도이며, 도어(10D)의 외측에 있는 헬멧을 장착한 보수작업자에 의하여 도어(10D)가 크게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장치(40)는, 우측필러(10P)와 운전석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시장치(40)는, 우측필러(10P)의 앞에 있는 우전콘솔(10C)에 있어서, 화면이 운전석측을 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보수작업자가 도어(10D)를 개방하면, 표시장치(40)의 제어부(40a)는, 화상표시부(41)를 작동시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비가동상태화면을 표시시킨다. 이 기능에 의하여, 보수작업자는, 캐빈(10) 내에 올라타지 않고, 비가동상태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쇼벨(100)의 가동시간을 시인할 수 있다. 화상표시부(41)는, 운전석 및 조작레버 등의 뒤에 가려져 버리는 일도 없다.
보수작업자는, 도어(10D)를 약간 개방하는 것만으로, 화상표시부(41)를 작동시켜 비가동상태화면을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보수작업자는, 도어(10D)의 하부에 끼워진 유리창(10W)을 통하여 비가동상태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쇼벨(100)의 가동시간을 시인할 수 있다.
혹은, 쇼벨(100)은, 보수작업자가 도어(10D)의 노브(10N)를 조작했을 때에, 혹은, 노브(10N)에 닿았을 때에, 화상표시부(41)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쇼벨(100)은, 도어(10D)의 외측의 바로 가까이에 있는 보수작업자를 비접촉으로 검지했을 때에, 화상표시부(41)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의 경우, 보수작업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10D)의 하부에 끼워진 유리창(10W)을 통하여 비가동상태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쇼벨(100)의 가동시간을 시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100)은, 하부주행체(1)와, 하부주행체(1)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선회체(3)와, 상부선회체(3)에 탑재되는 운전실로서의 캐빈(10)과, 캐빈(10)에 마련되는 도어(10D)와, 캐빈(10) 내에 배치되는 표시장치(40)와, 도어(10D)의 근방에서 표시장치(4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스위치인 작동스위치(51)를 갖는다. 그리고, 쇼벨(100)은, 작동스위치(51)가 전환되었을 때에, 쇼벨(100)에 탑재된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쇼벨(100)은,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보수작업자 등이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쇼벨(100)은, 키오프상태에 있어서, 표시장치(40)의 화상표시부(41)를 작동시킴으로써, 쇼벨(100)에 탑재된 불휘발성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캐빈(10)의 밖에 있는 보수작업자 등에게 제시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혹은, 쇼벨(100)은, 키오프상태에 있어서, 소리출력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불휘발성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캐빈(10)의 밖에 있는 보수작업자 등에게 음성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보수작업자 등은, 캐빈(10) 내에 올라타지 않고, 캐빈(10)의 밖으로부터, 불휘발성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작동스위치(51)는, 바람직하게는, 도어(10D)의 개폐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도어스위치이다. 이 구성에 의하여, 제어부(40a)는, 룸라이트(52)를 점등시킬지 아닐지를 판정할 때에 이용하는 기존에 설치된 도어스위치의 출력에 근거하여, 키오프상태에 있어서 화상표시부(41)를 작동시킬지 아닐지를 판정할 수 있다. 즉, 쇼벨(100)은, 새로운 스위치의 설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상술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표시장치(40)는, 바람직하게는, 엔진(11)의 가동시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보수작업자 등은, 쇼벨(100)에 올라타지 않고, 엔진(11)의 가동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표시장치(40)는, 바람직하게는, 도어(10D)의 외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위치에 화상표시부(4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쇼벨(100)은, 바람직하게는, 작동스위치(51)가 전환되었을 때에 화상표시부(41)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도어(10D)의 외측에 있는 보수작업자 등은, 도어(10D)를 개방하는 것만으로, 무리한 자세를 취하지 않고, 원하는 정보를 시인할 수 있다.
쇼벨(100)은, 도어(10D)의 개방에 따라 화상표시부(41)를 작동시킨 후에 소정의 제1 시간인 최대작동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화상표시부(41)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쇼벨(100)은, 키오프상태에 있어서, 화상표시부(41)가 장시간에 걸쳐 작동된 상태로 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화상표시부(41)는, 쇼벨(100)의 상태가 키온상태로부터 키오프상태로 이행한 후의 작동스위치(51)의 최초의 전환에 따라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화상표시부(41)는, 쇼벨(100)의 상태가 키온상태로부터 키오프상태로 이행한 후에 소정의 제2 시간인 작동금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쇼벨(100)은, 쇼벨(100)의 조작을 끝낸 조작자가 캐빈(10)으로부터 나오기 위하여 도어(10D)를 개방했을 때에 화상표시부(41)가 작동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작자가 캐빈(10)으로부터 나오기 위하여 도어(10D)를 개방했을 때에 화상표시부(41)가 작동해 버리면, 조작자는, 화상표시부(41)가 작동된 상태로 되어 있다고 오인해 버리기 때문이다.
표시장치(40)는, 바람직하게는, 작동스위치(51)가 전환되었을 때에, 키온상태일 때에 화상표시부에 표시되는 가동상태화면(도 4 참조.)과는 다른 비가동상태화면(도 6 참조.)을 화상표시부(41)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비가동상태화면에서 표시되는 문자는, 바람직하게는, 가동상태화면에서 표시되는 문자보다 크다. 가동상태화면은, 캐빈(10) 내의 운전석에 앉는 조작자에 의하여 시인되는 데 대하여, 비가동상태화면은, 도어(10D)의 외측에 있는 보수작업자 등에 의하여 시인되기 때문이다.
또, 비가동상태화면에 있어서의 소정의 정보의 표시위치는, 바람직하게는, 가동상태화면에 있어서의 소정의 정보의 표시위치와는 다르다. 예를 들면, 엔진가동시간표시영역(41f)은, 도 4에 나타내는 가동상태화면에서는, 화상표시부(41)의 좌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지만, 도 6에 나타내는 비가동상태화면에서는, 화상표시부(41)의 중앙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비가동상태화면을 시인하는 보수작업자 등이 원하는 정보(엔진(11)의 가동시간에 관한 정보)를 보다 확실히 시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비가동상태화면에 표시되는 정보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가동상태화면에 표시되는 정보의 수보다 적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가동상태화면에서는, 화상표시부(41)는, 일시표시영역(41a), 주행모드표시영역(41b), 어태치먼트표시영역(41c), 연비표시영역(41d), 엔진제어상태표시영역(41e), 엔진가동시간표시영역(41f), 냉각수온표시영역(41g), 연료잔량표시영역(41h), 회전수모드표시영역(41i), 요소수잔량표시영역(41j), 작동유온표시영역(41k), 에어컨운전상태표시영역(41m), 화상표시영역(41n), 및 메뉴표시영역(41p)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4에 나타내는 비가동상태화면에서는, 화상표시부(41)는, 일시표시영역(41a) 및 엔진가동시간표시영역(41f)을 포함할 뿐이다. 이것은, 보수작업자 등이 원하는 정보(엔진(11)의 가동시간에 관한 정보)를 헤매지 않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동일한 이유에 의하여, 비가동상태화면은, 바람직하게는, 화상표시영역(41n)과 같은, 동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 비가동상태화면에서 사용되는 색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가동상태화면에서 사용되는 색의 수보다 적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가동상태화면에서 사용되는 색의 수는, 실질적으로 무제한인 데 대하여, 도 6에 나타내는 비가동상태화면에서 사용되는 색의 수는, 2색(배경색으로서의 흑색과 문자색으로서의 백색)으로 제한되어 있다. 이것은, 보수작업자 등에게 필요로 하는 정보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일은 없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또는 치환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 별개로 설명된 특징은, 기술적인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한, 조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키오프상태에서의 화상표시부(41)의 작동·정지는, 키오프상태에 있어서 메인전원(71)으로부터 백업전원라인(PL3)을 통하여 전력의 공급을 받고 있는 제어부(40a)에 의하여 제어된다. 그러나, 키오프상태에서의 화상표시부(41)의 작동·정지는, 키오프상태에 있어서 메인전원(71)으로부터 백업전원라인(PL3)을 통하여 전력의 공급을 받고 있는 다른 장치(예를 들면, 컨트롤러(30) 또는 촬상장치(80) 등)에 의하여 제어되어도 된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40a)는, 소정의 작동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화상표시부(41)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어부(40a)는, 소정의 작동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소리출력장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소리출력장치는, 예를 들면, 캐빈(10)의 외측에 있는 보수작업자 등을 향하여 메인터넌스에 관한 음성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소리출력장치는, 예를 들면, 엔진(11)의 가동시간에 관한 음성정보를 보수작업자 등을 향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작동스위치(51)로서의 도어스위치는, 키오프상태에 있어서 화상표시부(41)를 작동시킬지 아닐지를 제어부(40a)가 판정할 때에 이용되며, 또한, 룸라이트(52)를 점등시킬지 아닐지를 제어부(40a)가 판정할 때에 이용되고 있다. 즉, 작동스위치(51)는, 2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작동스위치(51)는, 키오프상태에 있어서 화상표시부(41)를 작동시킬지 아닐지를 제어부(40a)가 판정하기 위해서만 이용되는 전용의 스위치여도 된다. 이 경우, 작동스위치(51)는, 캐빈(10)의 외측에 배치된 누름버튼이어도 된다.
본원은, 2019년 3월 26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출원 2019-059334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일본 특허출원의 전체내용을 본원에 참조에 의하여 원용한다.
1···하부주행체
1C···크롤러
2···선회기구
2A···선회용 유압모터
2M···주행용 유압모터
3···상부선회체
4···붐
5···암
6···버킷
7···붐실린더
8···암실린더
9···버킷실린더
10···캐빈
10D···도어
10N···노브
10W···유리창
11···엔진
11a···얼터네이터
11b···스타터
14···메인펌프
14a···레귤레이터
14b···토출압센서
14c···유온센서
15···파일럿펌프
17···컨트롤밸브유닛
26···조작장치
29···조작압센서
30···컨트롤러
35···전환밸브
40···표시장치
40a···제어부
41···화상표시부
42···조작부
51···작동스위치
52···룸라이트
70···물체검지장치
71···메인전원
71a, 71c···스위치
71b···릴레이
73···전장품
74···엔진컨트롤유닛
75···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
76···출력특성전환스위치
80···촬상장치
85···방향검출장치
100···쇼벨
D4···게이트로크레버
S1···붐각도센서
S2···암각도센서
S3···버킷각도센서
S4···기체경사센서
S5···선회각속도센서

Claims (13)

  1.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선회체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운전실과,
    상기 운전실에 마련되는 도어와,
    상기 운전실 내에 배치되는 표시장치와,
    상기 도어의 근방에서 상기 표시장치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스위치를 가지며,
    상기 스위치가 전환되었을 때에, 쇼벨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쇼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쇼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엔진의 가동시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쇼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도어의 외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위치에 화상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는, 쇼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전환되었을 때에 상기 화상표시부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쇼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부를 작동시킨 후에 소정의 제1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상기 화상표시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쇼벨.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부는, 키온상태로부터 키오프상태로 이행한 후의 상기 스위치의 최초의 전환에 따라서는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쇼벨.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부는, 키온상태로부터 키오프상태로 이행한 후에 소정의 제2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쇼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스위치가 전환되었을 때에, 키온상태일 때에 화상표시부에 표시되는 가동상태화면과는 다른 비가동상태화면을 상기 화상표시부에 표시하는, 쇼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동상태화면에서 표시되는 문자는, 상기 가동상태화면에서 표시되는 문자보다 큰, 쇼벨.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동상태화면에 있어서의 소정의 정보의 표시위치는, 상기 가동상태화면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의 정보의 표시위치와는 다른, 쇼벨.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동상태화면에 표시되는 정보의 수는, 상기 가동상태화면에 표시되는 정보의 수보다 적은, 쇼벨.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동상태화면에서 사용되는 색의 수는, 상기 가동상태화면에서 사용되는 색의 수보다 적은, 쇼벨.
KR1020217027940A 2019-03-26 2020-03-24 쇼벨 KR202101392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59334 2019-03-26
JP2019059334 2019-03-26
PCT/JP2020/013005 WO2020196516A1 (ja) 2019-03-26 2020-03-24 ショベ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9238A true KR20210139238A (ko) 2021-11-22

Family

ID=72610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7940A KR20210139238A (ko) 2019-03-26 2020-03-24 쇼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13197B2 (ko)
EP (1) EP3951104A4 (ko)
JP (1) JPWO2020196516A1 (ko)
KR (1) KR20210139238A (ko)
CN (1) CN113544343B (ko)
WO (1) WO20201965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43122C2 (sv) * 2019-02-05 2020-10-13 Brokk Ab Förfarande, anordning och användargränssnitt som beskriver ett operativt drifttillstånd hos en demoleringsrobot
US11698624B2 (en) * 2020-09-23 2023-07-11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Actuation assembly for display for industrial automation component
JP7422650B2 (ja) * 2020-12-04 2024-01-26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23051224A (ja) * 2021-09-30 2023-04-1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3381A1 (ja) 2014-04-25 2015-10-29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5233B2 (ja) * 2003-01-20 2008-10-15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ー抜き忘れ防止装置
JP4079113B2 (ja) * 2004-04-19 2008-04-2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表示装置
US7388471B2 (en) * 2005-07-25 2008-06-17 Deere & Company Anti-theft system and method
JP2012224118A (ja) * 2011-04-15 2012-11-15 Nippon Seiki Co Ltd 車両用計器
JP5852815B2 (ja) * 2011-08-31 2016-02-03 京浜物流株式会社 昇降式キャブを有する作業機械の安全装置
JP6505356B2 (ja) * 2013-07-17 2019-04-24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JP6411769B2 (ja) * 2014-04-14 2018-10-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状態監視装置
KR101790860B1 (ko) * 2014-07-30 2017-10-26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작업 차량의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방법 그리고 작업 차량
CN109790704B (zh) * 2016-09-29 2022-08-16 住友建机株式会社 挖土机
JP6966224B2 (ja) 2017-06-01 2021-11-10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建設機械
JP6766789B2 (ja) 2017-09-26 2020-10-14 豊田合成株式会社 バックドアハンドル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3381A1 (ja) 2014-04-25 2015-10-29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96516A1 (ja) 2020-10-01
US20220002976A1 (en) 2022-01-06
US11913197B2 (en) 2024-02-27
EP3951104A1 (en) 2022-02-09
EP3951104A4 (en) 2022-05-18
JPWO2020196516A1 (ko) 2020-10-01
CN113544343B (zh) 2023-12-22
CN113544343A (zh) 2021-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39238A (ko) 쇼벨
KR102652955B1 (ko) 쇼벨
US10927528B2 (en) Shovel
EP3779066B1 (en) Shovel
JP2017110472A (ja) ショベル
KR102333458B1 (ko) 쇼벨 및 쇼벨의 표시장치
WO2005103397A1 (ja) 建設機械の表示装置
KR102566896B1 (ko) 쇼벨 및 쇼벨용의 표시장치
CN114514354A (zh) 挖土机、挖土机的管理装置、挖土机的管理系统、挖土机的支援装置
US20240018749A1 (en) Shovel and display device for shovel
WO2022210858A1 (ja) ショベル
WO2020027139A1 (ja) ショベル
WO2023190120A1 (ja) ショベル
CN114423909B (zh) 挖土机
JP2023151686A (ja) ショベ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