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598A -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 - Google Patents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598A
KR20210137598A KR1020200055574A KR20200055574A KR20210137598A KR 20210137598 A KR20210137598 A KR 20210137598A KR 1020200055574 A KR1020200055574 A KR 1020200055574A KR 20200055574 A KR20200055574 A KR 20200055574A KR 20210137598 A KR20210137598 A KR 20210137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arium
seawater
water
bubble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0663B1 (ko
Inventor
김조희
Original Assignee
김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조희 filed Critical 김조희
Priority to KR1020200055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663B1/ko
Publication of KR20210137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수족관에 저장된 해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는 급수관(30)을 통해 공급된 해수가 버블발생부(15)에 충돌하면서 다량의 거품이 발생되고, 이와 같이 발생된 거품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다량의 해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크기가 큰 수족관이나, 업소에서 사용하는 활어용 수족관에 저장된 해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skimmer for sea water aquarium}
본 발명은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수족관에 저장된 해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수를 저장하는 수족관의 경우, 해수에 포함된 부유물과 용존유기물, 물기고의 배설물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해수의 수질이 지속적으로 악화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족관에는 해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키머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키머는 수족관에 저장된 해수를 순환시키면서, 버블을 발생시켜 버블과 함께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해수의 수질을 정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스키머는 해수에 포함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속도가 낮아서, 사이즈가 큰 수족관이나, 업소에서 사용하는 활어용 수족관에서는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4124호( 2016. 07. 1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4130호( 2016. 06. 22)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수족관에 저장된 해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는, 하단이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내부에 구비된 격판(11)에 의해 내부공간이 정화챔버(12)와 저수챔버(13)로 구획되고 상기 정화챔버(12)의 내부 하측에는 상면이 개방된 버블발생부(15)가 형성된 정화케이스(A)와, 해수가 저장된 해수수족관(1)에서 연장되어 상기 버블발생부(15)의 상부로 연장된 급수관(30)과, 상기 급수관(3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해수수족관(1)에 저장된 해수가 상기 버블발생부(15)로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펌프(40)와, 상기 저수챔버(13)에서 상기 해수수족관(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저수챔버(13)에 저장된 정화된 물을 해수수족관(1)으로 배출하는 배수관(50)을 포함하고, 상기 정화케이스(A)의 상측 둘레부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6)가 구비되어 정화케이스(A)의 상측에 버블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7)가 형성되고, 상기 정화케이스(A)의 상면에는 상기 정화챔버(12)와 저장부(17)를 연결하는 배출공(18)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출공(18)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관(19)이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16)에는 저장부(17)에 저장된 버블이 터지면서 발생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보조배출공(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급수관(30)은 상기 해수수족관(1)과 급수펌프(40)를 연결하는 공급부(31)와, 상기 급수펌프(40)에서 상기 버블발생부(15)의 상부로 연장된 배출부(32)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부(32)의 중간부에는 벤츄리관(33)이 구비되고, 상기 벤츄리관(33)에는 급기관(34)이 연결되며, 상기 벤츄리관(33)은 중간부에 내경이 좁은 협경부(33a)가 형성되고 상기 협경부(33a)에는 외부로 연장된 흡기구(33b)가 형성되며, 상기 급기관(34)은 일단은 상기 흡기구(33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해수수족관(1)의 수위에 비해 높게 위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정화케이스(A)의 일측에는 상기 정화챔버(12)와 연결되는 관통공(22)이 내외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급수펌프(40)는 상기 급수관(30)의 중간부에 연결되고 내부에는 임펠러(41a)가 구비되며 상기 임펠러(41a)의 회전중심축이 상기 관통공(2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정화챔버(12)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고정결합된 하우징(41)과, 상기 정화케이스(A)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구동축이 상기 관통공(22)을 통해 상기 임펠러(41a)에 연결되는 구동모터(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17)에 구비되어 저장부(17)에 저장된 버블을 감지하는 버블감지수단(61,62)과, 상기 저장부(17)에 구비되어 저장부(17)에 저장된 버블을 강제로 터트리는 버블제거수단(70)과, 상기 버블감지수단(61,62)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버블제거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블제거수단(70)은 상기 저장부(17)의 양측에 구비된 연장부(16)의 내주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71)과, 상기 가이드레일(71)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슬라이드구동수단(73)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블록(72)과,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슬라이드블록(72)에 고정되며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을 하는 열선(74)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버블감지수단(61,62)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17)에 저장된 버블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버블제거수단(70)을 제어하여 상기 저장부(17)에 저장된 버블을 제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는 급수관(30)을 통해 공급된 해수가 버블발생부(15)에 충돌하면서 다량의 거품이 발생되고, 이와 같이 발생된 거품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다량의 해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크기가 큰 수족관이나, 업소에서 사용하는 활어용 수족관에 저장된 해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를 확대도시한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의 급수펌프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의 작용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를 도시한 것으로, 정화케이스(A)와, 해수가 저장된 해수수족관(1)에서 연장되어 상기 버블발생부(15)의 상부로 연장된 급수관(30)과, 상기 급수관(3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해수수족관(1)에 저장된 해수가 상기 버블발생부(15)로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펌프(40)와, 상기 정화케이스(A)에서 해수수족관(1)으로 연장된 배수관(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정화케이스(A)는 사각의 박스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내부에 구비된 격판(11)에 의해 내부공간이 내부로 공급된 해수를 정화하는 정화챔버(12)와, 상기 정화챔버(12)에서 정화된 해수를 저장하는 저수챔버(13)로 구획된다.
상기 격판(11)은 하단이 정화케이스(A)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정화챔버(12)와 저수챔버(13)가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정화챔버(12)의 내부 하측에는 상면이 개방된 버블발생부(15)가 형성된다.
상기 버블발생부(15)는 상기 정화챔버(12)의 내부 바닥면에 수직판(15a)을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설치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단의 높이가 상기 격판(11)의 하단의 높이보다 상측을 높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정화케이스(A)의 상측 둘레부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6)가 구비되어 정화케이스(A)의 상측에 버블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7)가 형성되고, 상기 정화케이스(A)의 상면에는 상기 정화챔버(12)와 저장부(17)를 연결하는 배출공(18)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18)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관(19)이 구비된다.
상기 연장관(19)은 상단의 높이가 상기 연장부(16)의 높이에 비해 낮게 구성된다.
상기 연장부(16)에는 저장부(17)에 저장된 버블이 터지면서 발생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보조배출공(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정화케이스(A)의 일측에는 상기 정화챔버(12)와 연결되는 관통공(22)이 내외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급수관(30)은 상기 해수수족관(1)과 급수펌프(40)를 연결하는 공급부(31)와, 상기 급수펌프(40)에서 상기 버블발생부(15)의 상부로 연장된 배출부(3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부(32)의 단부는 상기 버블발생부(15)의 상단으로부터 조금 상측으로 이격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32)의 중간부에는 벤츄리관(33)이 구비되며, 상기 벤츄리관(33)에는 급기관(34)이 연결된다.
상기 벤츄리관(33)은 중간부에 내경이 좁은 협경부(33a)가 형성되고 상기 협경부(33a)에는 외부로 연장된 흡기구(33b)가 형성된다.
상기 급기관(34)은 일단은 상기 흡기구(33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해수수족관(1)의 수위에 비해 높게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수펌프(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수관(30)의 중간부에 연결되고 내부에는 임펠러(41a)가 구비되며 상기 임펠러(41a)의 회전중심축이 상기 관통공(2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정화챔버(12)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고정결합된 하우징(41)과, 상기 정화케이스(A)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구동축이 상기 관통공(22)을 통해 상기 임펠러(41a)에 연결되는 구동모터(4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42)는 상기 정화케이스(A)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모터(42)를 유지보수할 경우, 구동모터(42)를 정화케이스(A)에서 분리하여 구동모터(42)를 별도로 유지보수할 수 있다.
상기 배수관(50)은 상기 정화케이스(A)의 둘레면에 상기 저수챔버(13)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배수공(23)에 연결된다.
상기 배수공(23)은 하측 둘레부의 높이가 상기 버블발생부(15)의 상단이 높이에 비해 상측으로 높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급수펌프(40)가 구동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해수수족관(1)에 저장된 해수가 급수관(30)을 통해 상기 버블발생부(15)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급수관(30)의 배출부(32)에는 벤츄리관(33)이 구비되고, 상기 벤츄리관(33)에는 급기관(34)이 연결됨으로, 해수가 벤츄리관(33)을 통과할 때, 외부의 공기가 상기 급기관(34)과 흡기구(23b)를 통해 벤츄리관(33)의 내부로 유입되어, 해수와 혼합된다.
따라서, 상기 버블발생부(15)로 공급되는 해수에는 다량의 공기가 혼합되어, 해수가 상기 버블발생부(15)로 공급되어 버블발생부(15)와 충돌하면서, 다량의 버블이 발생되며 상기 버블발생부(15)로 공급된 해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은 버블과 함께 수면의 상부로 떠오르게 된다.
그리고, 오염물질이 제거된 해수는 격판(11) 하측을 통해 저수부로 공급된 후, 상기 배수공(23)과 배수관(50)을 통해 해수수족관(1)으로 순환되어, 해수수족관(1)에 저장된 해수를 정화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버블발생부(15)에서 발생된 버블은 상기 배출공(18)을 통해 저장부(17)로 배출되어 저장된 후 자연적으로 터져서 물의 형태로 저장부(17)의 하측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배출공(18)에는 연장관(19)이 구비됨으로, 저장부(17)에 저장된 물은 배출공(18)을 역류하여 정화챔버(12)로 유입되지 못하고, 저장부(17)의 일측에 형성된 보조배출공(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는 급수관(30)을 통해 공급된 해수가 버블발생부(15)에 충돌하면서 다량의 거품이 발생되고, 이와 같이 발생된 거품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다량의 해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저장부(17)에 구비되어 저장부(17)에 저장된 버블을 감지하는 버블감지수단(61,62)과, 상기 저장부(17)에 구비되어 저장부(17)에 저장된 버블을 강제로 터트리는 버블제거수단(70)과, 상기 버블감지수단(61,62)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버블제거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버블감지수단(61,62)은 상기 저장부(17)의 양측에 위치된 연장부(16)의 내주면에 상호 마주보도록 구비된 발광부(61)와 수광부(62)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부(61)는 상기 수광부(62)를 향해 빛을 조사하고, 상기 수광부(62)는 상기 발광부(61)에서 조사된 빛을 수신하도록 된 것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부(17)에 저장된 버블이 터지지 않고 쌓여서 버블 상단의 높이가 상기 버블감지수단(61,62)의 높이보다 높아질 경우, 상기 발광부(61)에서 조사된 빛이 버블에 의해 가려져 수광부(62)에 수신되지 못하게 됨으로, 저장부(17)에 저장된 버블의 높이가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버블제거수단(70)은 상기 저장부(17)의 양측에 구비된 연장부(16)의 내주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71)과, 상기 가이드레일(71)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슬라이드구동수단(73)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블록(72)과,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슬라이드블록(72)에 고정되며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을 하는 열선(74)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73)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중간부가 상기 슬라이드블록(72)을 관통하도록 결합된 리드스크류(73a)와, 상기 리드스크류(73a)에 연결된 구동모터(73b)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73b)로 리드스크류(73a)를 정역회전시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블록(72)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이때, 상기 버블제거수단(70)은 상기 열선(74)이 상기 연장관(19) 상단에 비해 조금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위치설정되다.
따라서, 상기 열선(74)에 전원을 인가하여 열선(74)이 발열을 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73)을 이용하여 슬라이드블록(72)을 전후진시키면, 가열된 열선(74)이 전후진되면서 버블을 터트리게 된다.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버블감지수단(61,62)의 신호를 수신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부(17)에 저장된 버블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버블제거수단(70)을 제어하여 상기 저장부(17)에 저장된 버블을 제거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 상기 급수관(30)의 공급부(31)와 급기관(34)은 상기 정화케이스(A)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급수관(30)의 공급부(31)와 급기관(34)은 정화케이스(A)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열선(74)이 상기 급수관(30)의 공급부(31)와 급기관(34)에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는 저장부(17)에 저장된 버블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 즉, 상기 버블감지수단(70)의 위치보다 높아질 경우, 자동으로 버블제거수단(70)을 작동시켜 저장부(17)에 저장된 버블을 터트려 제거함으로서, 저장부(17)에 저장된 버블이 외부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저장부(17)에 저장된 버블은 높이가 높아지기 전에 터져서 물형태로 상기 배수공(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는데, 버블이 과도하게 빠른 속도로 생성되거나, 기타 다양한 이유로 버블이 터지지 않고 남을 경우, 버블이 상기 연장부(16)의 높이보다 높아져 외부로 흘러넘침으로써, 주변을 오염시킬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버블의 높이가 높아지면 자동으로 버블을 터뜨림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A. 정화케이스 30. 급수관
40. 급수펌프 50. 배수관

Claims (5)

  1. 하단이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내부에 구비된 격판(11)에 의해 내부공간이 정화챔버(12)와 저수챔버(13)로 구획되고 상기 정화챔버(12)의 내부 하측에는 상면이 개방된 버블발생부(15)가 형성된 정화케이스(A)와,
    해수가 저장된 해수수족관(1)에서 연장되어 상기 버블발생부(15)의 상부로 연장된 급수관(30)과,
    상기 급수관(3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해수수족관(1)에 저장된 해수가 상기 버블발생부(15)로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펌프(40)와,
    상기 저수챔버(13)에서 상기 해수수족관(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저수챔버(13)에 저장된 정화된 물을 해수수족관(1)으로 배출하는 배수관(50)을 포함하고,
    상기 정화케이스(A)의 상측 둘레부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6)가 구비되어 정화케이스(A)의 상측에 버블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7)가 형성되고,
    상기 정화케이스(A)의 상면에는 상기 정화챔버(12)와 저장부(17)를 연결하는 배출공(18)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18)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관(19)이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16)에는 저장부(17)에 저장된 버블이 터지면서 발생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보조배출공(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30)은
    상기 해수수족관(1)과 급수펌프(40)를 연결하는 공급부(31)와,
    상기 급수펌프(40)에서 상기 버블발생부(15)의 상부로 연장된 배출부(32)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부(32)의 중간부에는 벤츄리관(33)이 구비되고,
    상기 벤츄리관(33)에는 급기관(34)이 연결되며,
    상기 벤츄리관(33)은 중간부에 내경이 좁은 협경부(33a)가 형성되고 상기 협경부(33a)에는 외부로 연장된 흡기구(33b)가 형성되며,
    상기 급기관(34)은 일단은 상기 흡기구(33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해수수족관(1)의 수위에 비해 높게 위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
  4. 제 3항에 있어서,
    정화케이스(A)의 일측에는 상기 정화챔버(12)와 연결되는 관통공(22)이 내외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급수펌프(40)는
    상기 급수관(30)의 중간부에 연결되고 내부에는 임펠러(41a)가 구비되며 상기 임펠러(41a)의 회전중심축이 상기 관통공(2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정화챔버(12)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고정결합된 하우징(41)과,
    상기 정화케이스(A)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구동축이 상기 관통공(22)을 통해 상기 임펠러(41a)에 연결되는 구동모터(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17)에 구비되어 저장부(17)에 저장된 버블을 감지하는 버블감지수단(61,62)과,
    상기 저장부(17)에 구비되어 저장부(17)에 저장된 버블을 강제로 터트리는 버블제거수단(70)과,
    상기 버블감지수단(61,62)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버블제거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블제거수단(70)은
    상기 저장부(17)의 양측에 구비된 연장부(16)의 내주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71)과,
    상기 가이드레일(71)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슬라이드구동수단(73)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블록(72)과,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슬라이드블록(72)에 고정되며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을 하는 열선(74)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버블감지수단(61,62)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17)에 저장된 버블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버블제거수단(70)을 제어하여 상기 저장부(17)에 저장된 버블을 제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
KR1020200055574A 2020-05-11 2020-05-11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 KR102380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574A KR102380663B1 (ko) 2020-05-11 2020-05-11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574A KR102380663B1 (ko) 2020-05-11 2020-05-11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598A true KR20210137598A (ko) 2021-11-18
KR102380663B1 KR102380663B1 (ko) 2022-03-29

Family

ID=78717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574A KR102380663B1 (ko) 2020-05-11 2020-05-11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6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708B1 (ko) * 2023-08-23 2024-01-29 주식회사 다봄씨엔에스 수중환경에서 발생하는 오염물 처리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3028B1 (en) * 2000-04-23 2001-10-16 Neil Marks Protein skimmer
KR20120108585A (ko) * 2011-03-25 2012-10-05 김재철 해수 정수장치
KR20140119279A (ko) * 2013-03-28 2014-10-10 이전상 해수 수족관 정화 시스템
KR101634130B1 (ko) 2013-03-28 2016-07-12 주식회사 미르티앤엠 해수 수족관 정화용 스키머
KR20170044270A (ko) * 2015-10-14 2017-04-25 이윤자 신속한 수질 정화가 가능한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KR101934124B1 (ko) 2012-03-30 2018-12-31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zt 계 강유전체 박막의 제조 방법
KR20210063692A (ko) * 2019-11-25 2021-06-02 이정석 포말분리식 여과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3028B1 (en) * 2000-04-23 2001-10-16 Neil Marks Protein skimmer
JP2002331285A (ja) * 2000-04-23 2002-11-19 Red Sea Fish Pharm Ltd タンパク質スキマー
KR20120108585A (ko) * 2011-03-25 2012-10-05 김재철 해수 정수장치
KR101934124B1 (ko) 2012-03-30 2018-12-31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zt 계 강유전체 박막의 제조 방법
KR20140119279A (ko) * 2013-03-28 2014-10-10 이전상 해수 수족관 정화 시스템
KR101634130B1 (ko) 2013-03-28 2016-07-12 주식회사 미르티앤엠 해수 수족관 정화용 스키머
KR20170044270A (ko) * 2015-10-14 2017-04-25 이윤자 신속한 수질 정화가 가능한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KR20210063692A (ko) * 2019-11-25 2021-06-02 이정석 포말분리식 여과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708B1 (ko) * 2023-08-23 2024-01-29 주식회사 다봄씨엔에스 수중환경에서 발생하는 오염물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663B1 (ko)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9344B2 (ja) 水槽用オーバーフロー装置
JP2009202038A (ja) 太陽光発電による浮体式水循環ろ過エアレーション水質浄化装置
CN101613151B (zh) 用于废水生物综合性处理的装置
KR101461719B1 (ko) 자동 역세척 필터 장치
KR101910856B1 (ko)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스컴 슬러지 제거장치
JP2014209899A (ja) 省エネルギー陸上養殖方法及び陸上養殖施設
KR102380663B1 (ko) 해수수족관 정화용 스키머
JPH0999227A (ja) 浸漬型膜分離装置
JPWO2007125996A1 (ja) 水質改善器及び水質改善装置
JP2007245034A (ja) 膜モジュールを用いた膜処理方法及び膜処理装置
KR102419362B1 (ko) 녹조제거장치 및 부양장치
JP3621859B2 (ja) 泡沫分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水浄化システム
JP2007144302A (ja) 汚水処理装置
JP2005052773A (ja) 排水処理装置
JP5546330B2 (ja) 泡沫分離装置
JP4732882B2 (ja) 海苔貯蔵槽の海水循環システム
JP5595777B2 (ja) 泡沫分離装置
KR101762181B1 (ko) 양식장용 미세기포 필터링장치
KR102239314B1 (ko) 해수어 수족관용 스키머
JP2006136767A (ja) 汚水処理装置
JP4369804B2 (ja) 有機性廃水の浮上分離処理方法
JP2005279495A (ja) 浸漬型膜分離装置、散気装置の洗浄方法および膜分離方法
JP2008142603A (ja) 下水処理装置
JP4773237B2 (ja) 水槽用オーバーフロー装置
JP2005007378A (ja) 木炭式水質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