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366A - 이젝터의 용지 배출 동작에 연동되어 동작되는 용지 누름 구조 - Google Patents

이젝터의 용지 배출 동작에 연동되어 동작되는 용지 누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366A
KR20210136366A KR1020200054509A KR20200054509A KR20210136366A KR 20210136366 A KR20210136366 A KR 20210136366A KR 1020200054509 A KR1020200054509 A KR 1020200054509A KR 20200054509 A KR20200054509 A KR 20200054509A KR 20210136366 A KR20210136366 A KR 20210136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ejector
tray
paper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홍
안준식
태원익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00054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6366A/ko
Priority to PCT/US2020/053431 priority patent/WO2021225619A1/en
Publication of KR20210136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3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6Auxiliary devices for retaining articles in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36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in the output section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6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output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26Regis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2Pile receivers with stationary end support against which pile accumu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8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 B65H31/10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and applied at the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2Forming a pile of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3Forming a pile of a limited number of articles, e.g. buffering, forming bu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30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 B65H2402/31Pivoting suppor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3Belts with auxiliary hand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4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reciprocating perpendicularly to face of material, e.g. p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70Other elements in edg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e.g. registering, orientating, guiding devices
    • B65H2404/73Means for sliding the handled material on a surface, e.g. pushers
    • B65H2404/731Means for sliding the handled material on a surface, e.g. pushers moved in a path enclosing an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1Bottom
    • B65H2405/1115Bottom with surface inclined, e.g. in width-wise direction
    • B65H2405/11151Bottom with surface inclined, e.g. in width-wise direction with surface inclined upwardly in transport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8Form of handled article or web
    • B65H2701/182Piled package
    • B65H2701/1829Bound, bundled or stapled stacks or packages
    • B65H2701/18292Stapled sets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24Post -processing devices
    • B65H2801/27Devices located downstream of office-type machines

Abstract

개시된 후처리 장치는, 후처리 대상인 다수의 용지가 정렬되는 용지 정렬 트레이와, 상기 용지 정렬 트레이로부터 배출된 상기 다수의 용지가 적재되는 트레이와, 상기 용지 정렬 트레이 상의 상기 다수의 용지를 밀어 상기 트레이로 배출하는 이젝터와, 상기 이젝터의 배출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트레이 상에 적재된 용지를 누르는 누름 위치와 배출되는 상기 다수의 용지가 상기 트레이 상에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누름 위치로부터 도피된 도피 위치로 이동가능한 누름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젝터의 용지 배출 동작에 연동되어 동작되는 용지 누름 구조{Paper pressing structur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paper discharging operation of ejector}
후처리 장치는 시트 상의 매체, 예를 들어 용지에 후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후처리 장치는 단독(stand-alone) 장치일 수 있다. 후처리 장치는 인쇄 장치와 연결되어 화상형성장치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인쇄 장치에서 수행되는 인쇄 작업의 후속 공정으로서 인쇄가 완료된 용지에 대한 후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후처리 공정은 정렬된 여러 장의 용지를 제본하는 제본 공정, 한 장 또는 여러 장의 용지를 한 번 이상 접는 접이 공정, 한 장 또는 여러 장의 용지를 천공하는 펀칭 공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후처리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후처리 장치의 일 예에서 이젝터의 용지 배출 동작에 연동되어 동작되는 용지 누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이젝터가 정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이젝터가 배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벨트의 주행에 따른 이젝터의 이동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후처리 장치의 예에서 이젝터의 배출 동작에 연동하여 누름 부재가 도피 위치와 누름 위치로 회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과 도 12는 이젝터의 용지 배출 동작에 연동되어 동작되는 용지 누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들로서, 도 11은 이젝터가 정렬 위치에, 누름 부재가 누름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며, 도 12는 이젝터가 연결 구간에 진입되고 누름 부재가 도피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3은 이젝터의 용지 배출 동작에 연동되어 동작되는 용지 누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5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후처리 장치에서 후처리 작업을 마친 용지는 트레이로 배출되어 적재된다. 트레이 상의 용지가 들뜨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후처리 장치는 누름 부재를 구비한다. 누름 부재는 누름 위치에 위치되어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를 누른다. 후처리 작업을 마친 후에 배출되는 용지가 트레이에 안정적으로 적재되도록 하기 위하여, 누름 부재는 배출되는 용지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로 도피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누름 부재를 누름 위치와 도피 위치로 전환시키기 위한 구동원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의 후처리 장치에서는, 후처리 작업을 마친 용지를 배출하는 이젝터의 배출 동작에 연동하여 누름 부재를 누름 위치로부터 도피 위치로 전환시킨다. 이젝터의 배출 동작에 완료되면, 누름 부재는 누름 위치로 복귀되어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를 누른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누름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모터 등의 구동원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후처리 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후처리 장치의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누름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의 제어가 필요없고 이젝터의 배출 동작에 연동되어 누름 부재가 구동되므로, 제어 오류로 인한 누름 부재와 이젝터의 동작의 부조화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후처리 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후처리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후처리 장치의 일 예에서 이젝터(5)의 용지 배출 동작에 연동되어 동작되는 용지 누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이젝터(50)가 정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이젝터(50)가 배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후처리 장치는 용지(P)에 제본 침을 박는다.
도 1 내지 도 4는 참조하면, 후처리 장치는, 후처리 대상인 다수의 용지(P)가 정렬되는 용지 정렬 트레이(30), 용지 정렬 트레이(30)로부터 배출된 다수의 용지(P)가 적재되는 트레이(40), 용지 정렬 트레이(30) 상의 다수의 용지(P)를 밀어 트레이(40)로 배출하는 이젝터(50), 및 이젝터(50)의 배출동작에 연동하여 트레이(40) 상에 적재된 용지(P)를 누르는 누름 위치와 배출되는 다수의 용지(P)가 트레이(40) 상에 적재될 수 있도록 누름 위치로부터 도피된 도피 위치로 이동 가능한 누름 부재(60)를 포함한다.
용지 정렬 트레이(30) 상에는 다수의 용지(P)가 적재된다. 다수의 용지(P)의 폭방향(W)의 양단부는 한 쌍의 측부 가이드(32)에 의하여 정렬된다. 다수의 용지(P)의 길이방향(L)의 말단은 단부 가이드(33)에 의하여 정렬된다.
후처리 장치에는 용지(P)를 이송시키는 이송 구조가 마련된다. 일 실시예로서, 이송 구조는 이송 롤러들(11)(12)과 정렬 부재(13)를 구비할 수 있다. 이송 롤러들(11)(12) 각각은 서로 맞물려 회전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며, 유입구(91)를 통하여 유입되는 용지(P)를 이송시킨다. 정렬 부재(13)는 용지 정렬 트레이(3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정렬 부재(13)는 예를 들어 탄성 아암을 가진 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롤러들(11)(12)에 의하여 이송된 용지(P)는 용지 정렬 트레이(30)로 낙하된다. 정렬 부재(13)는 회전되면서 용지 정렬 트레이(30) 상의 용지(P)를 단부 가이드(33) 쪽으로 민다. 용지(P)의 폭방향(W)의 양단부는 한 쌍의 측부 가이드(32)에 의하여 정렬되며, 용지(P)의 길이방향(L)의 말단은 단부 가이드(33)에 의하여 정렬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다수의 용지(P)가 용지 정렬 트레이(30) 상에 정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후처리 장치는 다수의 용지(P)의 모서리에 제본 침을 박는 바인더(20)를 구비한다. 바인더(20)는 용지 정렬 트레이(30)의 말단의 일측 모서리에 정렬되며, 다수의 용지(P)의 모서리에 제본 침을 박는다.
바인딩 작업(후처리 작업)이 완료된 다수의 용지(P)는 이젝터(50)에 의하여 트레이(40)로 배출된다. 이젝터(50)는 용지(P)를 정렬하는 정렬 위치(도 3)와, 용지(P)를 배출하는 배출 위치(도 4)로 이동된다. 정렬 위치에 위치된 이젝터(50)는 단부 가이드(33)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은 정렬 위치에 위치된 이젝터(50)에 접촉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이젝터(50)는 벨트(100)에 연결되며, 벨트(100)가 순환 주행됨에 따라서 정렬 위치와 배출 위치로 순환된다. 벨트(100)는 벨트 프레임(110)에 지지된다. 벨트(100)는 도시되지 않은 다수의 풀리에 지지되어 순환주행될 수 있다.
도 5는 벨트(100)가 주행됨에 따른 이젝터(50)의 이동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벨트(100)는 정렬 위치로부터 배출 방향으로 연장된 배출 구간(100-1)과, 배출 구간(100-1)의 반대쪽에 위치되는 복귀 구간(100-3)과, 배출 구간(100-1)과 복귀 구간(100-3)을 연결하는 연결 구간(100-2)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 구간(100-1)은 직선 구간일 수 있다. 배출 구간(100-1)은 트레이(40) 쪽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된 구간일 수 있다. 이젝터(50)의 배출 위치는 배출 구간(100-1)의 단부 또는 연결 구간(100-2)의 소정 위치일 수 있다. 복귀 구간(100-3)은 반드시 직선 구간일 필요는 없다. 이젝터(50)의 배출 동작은 이젝터(50)가 정렬 위치로부터 배출 구간(100-1), 연결 구간(100-2), 및 복귀 구간(100-3)을 거쳐서 정렬 위치로 복귀되는 동작을 말한다. 이젝터(50)는 배출 구간(100-1)을 따라서 정렬 위치로부터 배출 위치로 이동되면서 용지 정렬 트레이(30) 상의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을 트레이(40) 쪽으로 민다. 다수의 용지(P)는 용지 정렬 트레이(40)를 벗어나서 트레이(40)에 적재된다. 이젝터(50)는 벨트(100)가 순환 주행됨에 따라서 연결 구간(100-2)과 복귀 구간(100-3)을 거쳐서 정렬 위치로 복귀된다.
트레이(40)에 적재된 용지(P1)가 위쪽으로 들뜨게 되면, 이젝터(50)에 의하여 트레이(40)로 배출되는 다수의 용지(P)와 트레이(40)에 적재된 용지(P1)가 서로 간섭될 수 있다. 그러면, 트레이(40)에 적재된 용지(P1)가 배출되는 다수의 용지(P)에 밀려서 트레이(40)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며, 배출되는 다수의 용지(P)가 트레이(40)에 적재된 용지(P1) 위에 순서대로 쌓이지 않고 적재된 용지(P1)의 아래로 배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의 후처리 장치는 누름 부재(60)를 구비한다. 누름 부재(60)는 트레이(40)에 적재된 용지(P1)를 들뜨지 않도록 누른다.
누름 부재(6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다수의 용지(P)가 배출되면, 누름 부재(60) 위에 다수의 용지(P)가 쌓일 수 있다. 누름 부재(60)는 배출되는 다수의 용지(P)가 트레이(40)에 적재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되는 다수의 용지(P)와 간섭되지 않는 도피 위치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다수의 용지(P)의 배출이 완료되면 누름 부재(60)는 누름 위치로 복귀되어 트레이(40)에 적재된 용지(P)를 누른다.
누름 부재(60)는 모터, 솔레노이드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누름 위치와 도피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액추에이터와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 등이 필요하여 후처리 장치의 제조 비용이 높아질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용지(P)의 배출 시점에 맞추어 누름 부재(60)를 도피 위치로 전환시키도록 제어되어야 하는데, 제어 오류가 발생되면 배출되는 다수의 용지(P)가 트레이(40)에 제대로 적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의 후처리 장치에서는 누름 부재(60)가 이젝터(50)의 배출 동작에 연동하여 누름 위치로부터 도피 위치로 전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누름 부재(6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후처리 장치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누름 부재(60)가 이젝터(50)의 배출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되므로 제어 오류로 인한 누름 부재(60)와 이젝터(50)와의 동작 부조화가 발생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서, 후처리 장치는 이젝터(50)의 배출 동작 시에 이젝터(50)와 간섭되어 누름 부재(60)를 누름 위치에서 도피 위치로 전환시키는 전환 부재(70)를 구비할 수 있다. 전환 부재(70)는 이젝터(50)가 연결 구간(100-2)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에 이젝터(50)와 간섭될 수 있다. 누름 부재(60)는 이젝터(50)가 연결 구간(100-2)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에 누름 위치로부터 도피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이젝터(50)가 연결 구간(100-2)을 벗어나면 전환 부재(70)와의 간섭이 종료되며, 누름 부재(60)는 누름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누름 부재(60)는 누름 위치와 도피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누름 부재(60)는 회전축(61)과, 회전축(61)으로부터 연장되어 트레이(40) 상의 용지(P1)를 누르는 누름 레버(62)와, 회전축(61)으로부터 연장된 연장 레버(63)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축(61)은 예를 들어 벨트 프레임(110)과 트레이(40)가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200)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누름 레버(62)는 회전축(61)로부터 트레이(40)의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 레버(63)는 회전축(61)으로부터 누름 레버(62)의 반대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 레버(6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출 동작되는 이젝터(50)와 간섭되어 누름 부재(60)를 누름 위치로부터 도피 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는 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누름 부재(60)는 자중에 의하여 누름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후처리 장치는, 누름 부재(60)에 누름 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제1탄성 부재(81)를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탄성 부재(81)는 토션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환 부재(70)는 이젝터(50)의 배출 동작시에 이젝터(50)와 간섭되어 누름 부재(60)를 누름 위치로부터 도피 위치로 회전시키는 제1위치로 이동된다. 전환 부재(70)는 이젝터(50)가 연결 구간(100-2)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에 이젝터(50)와 간섭되어 누름 부재(60)를 누름 위치로부터 도피 위치로 회전시키는 제1위치로 이동된다. 전환 부재(70)는 제1위치로 이동될 때에 누름 부재(60)의 연장 레버(63)와 간섭되어 누름 부재를 누름 위치로부터 도피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탄성 부재(82)는 이젝터(50)와 전환 부재(70)와의 간섭이 종료된 때에 전환 부재(70)가 누름 부재(60)가 자중에 의하여, 또는 제1탄성 부재(81)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피 위치로부터 누름 위치로 복귀되도록 허용하는 제2위치로 이동되도록 전환 부재(70)에 탄성력을 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환 부재(70)는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승강된다. 전환 부재(70)는 벨트 프레임(110)에 승강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전환 부재(70)는 이젝터(50)의 배출 동작시에 이젝터(50)와 간섭되어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하강된다. 전환 부재(70)에는 연장 레버(63)와 간섭되는 간섭부(71)가 마련될 수 있다. 전환 부재(70)가 제1위치로 하강될 때에 간섭부(71)는 연장 레버(63)를 아래쪽으로 누른다. 그러면, 누름 부재(60)가 회전되면서 누름 레버(62)는 위쪽으로 이동되어 도피 위치로 이동된다. 이젝터(50)와의 간섭이 종료되면 전환 부재(70)는 제2탄성 부재(82)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승하여 제2위치로 복귀된다. 제2탄성 부재(82)는 예를 들어, 일단부와 타단부가 전환 부재(70)와 벨트 프레임(110)에 각각 지지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후처리 장치의 예에서 이젝터(50)의 배출 동작에 연동하여 누름 부재(60)가 도피 위치와 누름 위치로 회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들이다.
후처리 작업이 완료된 후에 벨트(100)가 주행됨에 따라서 이젝터(50)는 배출 구간(100-1)을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정렬 위치로부터 도 4에 도시된 배출 위치로 이동된다. 이젝터(50)는 용지 정렬 트레이(30) 상의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을 민다. 다수의 용지(P)는 트레이(40)로 배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50)가 배출 위치에 도달된 때에 다수의 용지(P)의 선단은 트레이(40)에 지지되며, 말단은 아직 이젝터(50)의 지지부(51)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은 아직 트레이(40)에 낙하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젝터(50)의 지지부(51)는 제2위치에 위치된 전환 부재(70)의 상부에 접촉된다. 누름 부재(60)의 연장 레버(63)는 전환 부재(70)의 간섭부(71)에 접촉된다. 전환 부재(70)는 제2위치에 유지되며, 누름 부재(60)는 누름 위치에 위치되어 트레이(40) 상의 용지(P1)를 누른다.
벨트(100)가 주행됨에 따라 이젝터(50)는 정렬 위치로 복귀되기 위한 연결 구간(100-2)에 진입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50)가 하강된다. 전환 부재(70)는 이젝터(50)의 지지부(51)에 눌려서 하강된다. 전환 부재(70)의 간섭부(71)는 누름 부재(60)의 연장 레버(63)를 아래쪽으로 누른다. 그러면, 누름 부재(60)는 누름 레버(62)가 트레이(40) 상의 용지(P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벨트(100)가 주행됨에 따라 이젝터(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하강되며, 전환 부재(70)는 제1위치에 도달된다. 누름 레버(62)는 도피 위치에 도달된다. 도피 위치에서 누름 레버(62)는 다수의 용지(P)보다 위쪽에 위치된다.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은 아직 이젝터(50)의 지지부(51)에 지지되어 있다. 벨트(100)가 회전됨에 따라 이젝터(50)는 연결 구간(100-2)을 벗어나서 정렬 위치 쪽으로 이동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은 이젝터(50)의 지지부(51)로부터 이탈되며 다수의 용지(P)는 트레이(40) 상의 용지(P1) 위에 적재된다. 전환 부재(70)는 이젝터(50)와 접촉된 상태이므로 제2위치에 유지되며, 누름 부재(60)는 도피 위치에 유지된다.
이젝터(50)가 복귀 구간(100-3)에 진입되면, 이젝터(50)와 전환 부재(70)와의 간섭이 종료된다. 전환 부재(70)는 제2탄성 부재(82)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승되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로 복귀된다. 누름 부재(60)는 자중에 의하여, 또는 제1탄성 부재(81)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피 위치로부터 누름 위치로 복귀된다. 누름 레버(62)는 용지(P1) 위에 적재된 다수의 용지(P)를 누른다. 벨트(100)는 이젝터(5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주행된다. 이젝터(50)가 정렬 위치에 도달되면, 이젝터(50)의 배출 동작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이젝터(50)의 배출 동작에 연동하여 누름 부재(60)가 누름 위치에서 도피 위치로 회전된 후에 누름 위치로 다시 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되는 다수의 용지(P)가 트레이(40)에 적재된 용지(P1) 위에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 이젝터(50)가 연결 구간(100-2)을 통과하는 동안에 기울어지면 이젝터(50)의 배출 동작 불량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환 부재(70)가 이젝터(50)의 아래에서 승강된다. 이젝터(50)가 연결 구간(100-2)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에 전환 부재(70)에 의하여 수평 상태로 지지된다. 따라서, 이젝터(50)가 안정적으로 연결 구간(100-2)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제2탄성 부재(82)에 의하여 전환 부재(70)는 상승되는 방향, 즉 이젝터(50)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따라서, 연결 구간(100-2)을 통과하는 동안에 이젝터(50)가 더욱 안정적으로 수평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후처리 장치는 용지(P)의 폭방향(W)으로 이격된 한 쌍의 누름 부재(60)와 한 쌍의 이젝터(50)를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누름 부재(60)는 각각 벨트 프레임(110)과 지지 프레임(200)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된다. 한 쌍의 이젝터(50)는 벨트(100)의 폭방향(W)의 양측에 위치되며 연결부(5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연결부(52)는 벨트(100)에 연결된다. 벨트(100)가 주행됨에 따라 한 쌍의 이젝터(50)는 함께 이동된다.
전환 부재(70)는 한 쌍의 누름 부재(60) 사이에 위치되며 벨트 프레임(110)에 제1, 제2위치로 승강될 수 있게 지지된다. 한 쌍의 이젝터(50) 각각은 연결 구간(100-2)에서 전환 부재(70)와 간섭되어 전환 부재(70)를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하강시킨다. 한 쌍의 누름 부재(60)는 전환 부재(70)가 제1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누름 위치에서 도피 위치로 회전된다. 한 쌍의 이젝터(50)가 연결 구간(100-2)을 벗어나서 복귀 구간(100-3)으로 진입되면 전환 부재(70)와의 간섭이 종료되며, 한 쌍의 누름 부재(60)는 도피 위치로부터 누름 위치로 복귀된다.
도 11과 도 12는 이젝터(50)의 용지 배출 동작에 연동되어 동작되는 용지 누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11은 이젝터(50)가 정렬 위치에, 누름 부재(60a)가 누름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2는 이젝터(50)가 연결 구간(100-2)에 진입되고 누름 부재(60a)가 도피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한 쌍의 이젝터(50)는 벨트(100)에 지지되어 정렬 위치와 배출 위치로 순환 주행된다.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젝터(50)는배출 구간(100-1)을 따라서 정렬 위치로부터 배출 위치로 이동되면서 용지 정렬 트레이(30) 상의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을 트레이(40) 쪽으로 밀어 다수의 용지(P)를 트레이(40)로 배출하며, 연결 구간(100-2)과 복귀 구간(100-3)을 거쳐서 정렬 위치로 복귀된다.
누름 부재(60a)는 회전축(61a)과, 회전축(61a)으로부터 연장되어 트레이 상의 용지(P1)를 누르는 누름 레버(62a)를 포함한다. 회전축(61a)은 벨트 프레임(110)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회전축(61a)은 벨트 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지지 프레임(도 2: 200)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될 수도 있다. 누름 부재(60a)는 회전축(61a)에 연결된 연장 레버(63a)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 레버(63a)는 회전축(61a)으로부터 누름 레버(62a)의 반대쪽으로 연장된다. 연장 레버(63a)는 회전축(61a)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축(61a)에 결합될 수도 있다. 연장 레버(63a)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전환 부재(70)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어, 연장 레버(63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출 동작되는 이젝터(50)와 간섭되어 누름 부재(60a)를 누름 위치로부터 도피 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는 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누름 부재(60a)는 누름 위치(도 11)와 도피 위치(도 12)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누름 부재(60a)는 폭방향(W)으로 이격된 한 쌍의 누름 레버(62a)를 구비하며, 연장 레버(63a)는 한 쌍의 누름 부재(60a) 사이에 위치된다. 누름 부재(60a)는 자중에 의하여 누름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후처리 장치는 누름 부재(60a)에 누름 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제1탄성 부재(81)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제1탄성 부재(81)는 예를 들어 토션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50)는 정렬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용지 정렬 트레이(도 2: 40)에 다수의 용지(P)가 정렬된다. 바인더(도 1: 20)는 다수의 용지(P)의 모서리에 후처리 작업 예를 들어 제본 침을 박는 스테이플링 작업을 수행한다. 후처리 작업이 완료되면, 다수의 용지(P)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동작이 수행된다. 이젝터(50)는 배출 동작 시에 연장 레버(63a)와 간섭되어 누름 부재(60a)를 누름 위치로부터 도피 위치로 회전시킨다. 벨트(100)가 주행되며 이젝터(50)가 이동된다. 이젝터(50)는 배출 구간(100-1)을 따라 이동되면서 다수의 용지(P)를 트레이(40)로 배출한다. 이젝터(50)가 연결 구간(100-2)에 진입되면, 이젝터(50)의 지지부(51)는 연장 레버(63a)에 접촉되어 연장 레버(63a)를 아래쪽으로 누른다. 누름 부재(60a)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피 위치로 회전된다. 다수의 용지(P)는 트레이(40)에 적재된다. 이젝터(50)가 연결 구간(100-2)을 벗어나서 복귀 구간(100-3)으로 진입되면, 이젝터(50)와 연장 레버(63a)와의 간섭이 종료되며, 누름 부재(60a)는 자중에 의하여, 또는 제1탄성 부재(81)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피 위치로부터 도 11에 도시된 누름 위치로 복귀된다.
도 13은 이젝터(50)의 용지 배출 동작에 연동되어 동작되는 용지 누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용지 누름 구조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용지 누름 구조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연장 레버(63a) 대신이 피니언(63b)가 채용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젝터(50)에는 랙 기어부(53)가 마련된다. 랙 기어부(53)는 지지부(51)의 하면에 마련될 수 있다. 누름 부재(60b)는 회전축(61b)과, 회전축(61b)으로부터 연장되어 트레이 상의 용지(P1)를 누르는 누름 레버(62b)를 포함한다. 회전축(61b)은 벨트 프레임(110)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회전축(61b)은 벨트 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지지 프레임(도 2: 200)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될 수도 있다. 전환 부재는 누름 부재(60b)와 연결되어 이젝터(50)의 배출 동작시에 랙 기어부(53)와 맞물려 누름 부재(60b)를 도피 위치로 회전시키는 피니언(63b)을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63b)은 누름 부재(60b)의 회전축(61b)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축(61b)에 결합될 수도 있다. 누름 부재(60b)는 누름 위치(도 13)와 도피 위치(도 14)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누름 부재(60b)는 폭방향(W)으로 이격된 한 쌍의 누름 레버(62b)를 구비하며, 피니언(63b)는 한 쌍의 누름 부재(60b) 사이에 위치된다. 누름 부재(60b)는 자중에 의하여 도피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후처리 장치는 누름 부재(60b)에 누름 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제1탄성 부재(81)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제1탄성 부재(81)는 예를 들어 토션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50)가 정렬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용지 정렬 트레이(도 2: 40)에 다수의 용지(P)가 정렬된다. 바인더(도 1: 20)는 다수의 용지(P)의 모서리에 후처리 작업 예를 들어 제본 침을 박는 스테이플링 작업을 수행한다. 후처리 작업이 완료되면, 다수의 용지(P)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동작이 수행된다. 이젝터(50)는 배출 구간(100-1)을 따라 이동되면서 다수의 용지(P)를 트레이(40)로 배출한다. 이젝터(50)가 연결 구간(100-2)에 진입되면, 이젝터(50)의 랙 기어부(53)는 배출 동작 시에 피니언(63b)과 맞물린다. 이젝터(50)가 이동됨에 따라서 피니언(63b)이 회전되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 부재(60b)는 누름 위치로부터 도피 위치로 회전된다. 다수의 용지(P)는 트레이(40)에 적재된다. 이젝터(50)와 랙 기어부(53)와의 맞물림이 종료되며, 누름 부재(60b)는 자중에 의하여, 또는 제1탄성 부재(81)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피 위치로부터 도 13에 도시된 누름 위치로 복귀된다.
도 15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용지(P), 예를 들어 인쇄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부(1)와, 인쇄부(1)로부터 배출되는 용지(P)에 후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후처리 장치(2)를 포함한다.
인쇄부(1)은 전자사진 방식,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열승화방식, 등 다양한 인쇄 방식에 의하여 용지(P)에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전술한 인쇄방식은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용지(P)는 급지 장치(4)로부터 인쇄부(1)로 공급될 수 있다. 급지 장치(4)는 하나 이상의 급지 카세트, 예를 들어 주 카세트 급지 장치(main cassette feeder), 부 카세트 급지 장치(secondary cassette feeder), 대용량 급지 장치(high capacity feeder)(23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지 장치(4)는 인쇄부(1)의 측부에 설치되는 다목적 트레이(MPT: multi-purpose tray)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인쇄가 완료된 용지(P)는 후처리 장치(2)를 거쳐서 트레이(40)로 배출될 수 있다. 후처리 장치(2)는 용지(P)에 후처리 작업, 예를 들어 바인딩, 펀칭, 폴딩 중 적어도 하나의 후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후처리 장치(2)는 도 1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다수의 용지(P)에 제본 침을 박는다. 후처리 장치(2)는 용지(P)에 후처리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트레이(40)로 배출할 수도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읽어들이는 스캐너부(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스캐너부(3)는 원고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독취부재가 이동되면서 화상을 읽어들이는 플랫베드(flatbed)방식과, 독취부재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원고가 이송되는 원고이송(document feed)방식과, 이들의 복합 방식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스캐너부(3)의 원리와 구조는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5)

  1. 후처리 대상인 다수의 용지가 정렬되는 용지 정렬 트레이;
    상기 용지 정렬 트레이로부터 배출된 상기 다수의 용지가 적재되는 트레이;
    상기 용지 정렬 트레이 상의 상기 다수의 용지를 밀어 상기 트레이로 배출하는 이젝터;
    상기 이젝터의 배출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트레이 상에 적재된 용지를 누르는 누름 위치와 배출되는 상기 다수의 용지가 상기 트레이 상에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누름 위치로부터 도피된 도피 위치로 이동가능한 누름 부재;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에 상기 누름 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제1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의 배출 동작시에 상기 이젝터와 간섭되어 상기 누름 부재를 상기 누름 위치로부터 상기 도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위치로 이동되는 전환 부재;를 구비하는 후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와 상기 전환 부재와의 간섭이 종료된 때에 상기 전환 부재가 상기 누름 부재가 상기 도피 위치로부터 상기 누름 위치로 복귀되도록 허용하는 제2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전환 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2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로 승강되는 후처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트레이 상의 용지를 누르는 누름 레버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된 연장 레버를 구비하며,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제1위치로 이동될 때에 상기 연장 레버와 간섭되어 상기 누름 부재를 상기 누름 위치로부터 상기 도피 위치로 회전시키는 후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트레이 상의 용지를 누르는 누름 레버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된 연장 레버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 동작시에 상기 이젝터는 상기 연장 레버와 간섭되어 상기 누름 부재를 상기 도피 위치로 회전시키는 후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트레이 상의 용지를 누르는 누름 레버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에는 피니언이 연결되며,
    상기 이젝터에는 배출 동작시에 상기 피니언과 맞물려 상기 누름 부재를 상기 도피 위치로 회전시키는 랙 기어가 마련된 후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정렬 트레이 상의 다수의 용지에 제본 침을 박는 바인더;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10. 후처리 대상인 다수의 용지가 정렬되는 용지 정렬 트레이;
    상기 용지 정렬 트레이로부터 배출된 상기 다수의 용지가 적재되는 트레이;
    정렬 위치로부터 상기 용지 정렬 트레이 상의 상기 다수의 용지를 밀어 상기 트레이로 배출하는 배출 구간과, 상기 정렬 위치로 복귀되는 복귀 구간과, 상기 배출 구간과 상기 복귀 구간을 연결하는 연결 구간을 따라 이동되는 이젝터;
    상기 트레이 상에 적재된 용지를 누르는 누름 위치와 배출되는 상기 다수의 용지가 상기 트레이 상에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누름 위치로부터 도피된 도피 위치로 전환 가능한 누름 부재;
    상기 연결 구간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이젝터와 간섭되어 상기 누름 부재를 상기 누름 위치에서 상기 도피 위치로 전환시키는 전환 부재;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연결 구간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이젝터와 간섭되어 상기 누름 부재를 상기 도피 위치로 전환시키는 제1위치와, 상기 이젝터와의 간섭이 종료된 때에 상기 누름 부재를 상기 도피 위치로부터 상기 누름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위치로 승강되는 후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에 상기 누름 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제1탄성 부재;
    상기 전환 부재에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제2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트레이 상의 용지를 누르는 누름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회전축과 연결된 연장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이젝터는 상기 연결 구간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에 상기 연장 레버와 간섭되어 상기 누름 부재를 상기 누름 위치로부터 상기 도피 위치로 회전시키는 후처리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에는 랙 기어부가 마련되며,
    상기 전환 부재는, 누름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이젝터가 상기 연결 구간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에 상기 랙 기어부와 맞물려 상기 누름 부재를 상기 도피 위치로 회전시키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15.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부;
    상기 인쇄부로부터 배출되는 용지에 후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제1항에 기재된 후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200054509A 2020-05-07 2020-05-07 이젝터의 용지 배출 동작에 연동되어 동작되는 용지 누름 구조 KR2021013636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509A KR20210136366A (ko) 2020-05-07 2020-05-07 이젝터의 용지 배출 동작에 연동되어 동작되는 용지 누름 구조
PCT/US2020/053431 WO2021225619A1 (en) 2020-05-07 2020-09-30 Paper pressing structur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paper discharging operation of ej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509A KR20210136366A (ko) 2020-05-07 2020-05-07 이젝터의 용지 배출 동작에 연동되어 동작되는 용지 누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366A true KR20210136366A (ko) 2021-11-17

Family

ID=78468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509A KR20210136366A (ko) 2020-05-07 2020-05-07 이젝터의 용지 배출 동작에 연동되어 동작되는 용지 누름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36366A (ko)
WO (1) WO202122561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8332A (ja) * 2001-10-25 2003-05-08 Sharp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JP4976246B2 (ja) * 2007-09-14 2012-07-18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処理装置
JP4932675B2 (ja) * 2007-10-30 2012-05-16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3124178A (ja) * 2011-12-16 2013-06-24 Ricoh Co Ltd 用紙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3245070A (ja) * 2012-05-25 2013-12-09 Ricoh Co Ltd 用紙処理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用紙処理装置の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25619A1 (en)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8141B2 (en) Sheet transport device and image forming system
JP3744234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630681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302606B1 (en) Sheet receiving/stack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H07228401A (ja) シート後処理装置
JP5608479B2 (ja) 後処理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096624B2 (ja) 用紙スタッカー
US6352253B1 (en) Discharged sheet stack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uch stacking apparatus
JP4184971B2 (ja) コピー機の用紙処理装置
CN113387223B (zh) 介质排出装置、介质处理装置以及记录系统
KR20210136366A (ko) 이젝터의 용지 배출 동작에 연동되어 동작되는 용지 누름 구조
JP2013189277A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H07383B2 (ja) プリンタ装置
JPH0632443U (ja) 画像記録装置のフィニッシャ
US20230085336A1 (en) Paper separation mechanism of stapleless binder
JP3972201B2 (ja) 記録装置におけるホッパ上昇タイミング遅延装置
JP2000289909A (ja) 画像形成装置の用紙後処理装置
US11104539B1 (en)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system
KR101147464B1 (ko)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
JP5948968B2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5479062B2 (ja) 記録装置
JP5441112B2 (ja) シート処理装置
JPH0867400A (ja) シート後処理装置
JP2000086059A (ja) 用紙揃え機構
JP2005231802A (ja) 被記録材の自動給送装置、記録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