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028A - 배달음식 포장 패키지 - Google Patents

배달음식 포장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028A
KR20210135028A KR1020200053149A KR20200053149A KR20210135028A KR 20210135028 A KR20210135028 A KR 20210135028A KR 1020200053149 A KR1020200053149 A KR 1020200053149A KR 20200053149 A KR20200053149 A KR 20200053149A KR 20210135028 A KR20210135028 A KR 20210135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food
cover
contain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완영
Original Assignee
노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완영 filed Critical 노완영
Priority to KR1020200053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5028A/ko
Publication of KR20210135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0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84Packages having self-contained heating means, e.g. heating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wo chemic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본체 내부에 숯불이 살아있는 숯 덩어리, 시트형 숯불 덮개, 음식물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후 용기 덮개에 의하여 닫히도록 하여, 숯불이 살아있는 숯 덩어리의 열과 숯불향이 복수의 보온 및 가향용 구멍을 통하여 배달되는 도중에 음식물의 보온은 물론이며 배달되는 동안 숯불향이 음식물이 가향될 수 있어 음식물의 맛과 향을 더욱 돋울 수 있다.

Description

배달음식 포장 패키지{DELIVERY FOOD PACKAGE}
본 발명은 소비자에게 음식물을 따뜻하고 맛있는 상태로 배달하기 위한 배달음식 포장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직장에서 음식을 배달시켜 먹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주문하는 음식 중에는 따뜻한 상태가 유지되어야 제맛을 느낄 수 있는 음식들이 있는데, 음식을 배달하는 과정에서 음식이 식기 때문에 음식을 따뜻한 상태로 배달하기란 쉽지 않다.
한편, 음식이 배달하는 과정에서 식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기히팅 수단이 구비된 배달용 가방 등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가방을 구입하는데, 적지 않은 비용이 발생되므로 소규모의 업체에서는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0809호 "배달음식 보온포장패키지"(2018. 3.20. 공개)는, 외장용기의 내부에 발열팩, 메인음식이 담긴 메인용기, 보조음식이 담긴 보조용기가 순차적으로 포장되는 것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메인용기에 담긴 메인음식, 또는 보조용기에 담긴 보조음식은 발열팩에 의하여 직접 가열되는 것이 아니라 메인용기 혹은 보조용기를 매개하여 간접 가열되는 기술이다.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9100호 "식품용기" (1999.11.16. 등록)는, 용기와 뚜껑의 외주벽을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이중벽으로 형성하여, 그 공간부 내에 식품보존 및 인체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진 물질을 방출하는 보조물질을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혼합 주입시켜 식품용기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공간부 내에 주입된 보조물질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이나 살균작용을 갖는 물질 또는 자력선 등에 의하여 용기 내부에 담겨진 식품이 보온 보냉작용과 함께, 그 맛과 신선도가 원래 상태로 장시간 유지될 수 있게 하여 식품보관 및 건강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보조 물질로는 보온 보냉성과 함께, 원적외선을 방출하거나 살균작용을 갖고 있는 물질로서, 예컨대, 황토나 옥 또는 숯, 바이오 세라믹, 게르마늄, 맥반석 및 자성물질 등이 단독으로 또는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선택적으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종래 기술에서 보조 물질은 불타고 있는 것이 아니며, 보조 물질 자체로서는 보온 작용이나 가향 작용을 가지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 중에는 배달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을 보온할 수 있는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이들 종래 기술들은 음식물의 보온 기능에 그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0809호 "배달음식 보온포장패키지"(2018. 3.20.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9100호 "식품용기" (1999.11.16.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식물과 함께 숯불이 살아있는 숯 덩어리가 함께 배달되도록 하고, 배달되는 도중에 숯불에 의한 보온은 물론이며 배달되는 동안 숯불향이 음식물에 가향될 수 있어 음식물의 맛과 향을 돋울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배달음식 포장 패키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태로서, 하부에 제1바닥면과 상기 제1바닥면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1외측 측벽에 의하여 감싸인 숯 덩어리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숯 덩어리 수용공간의 상부에 상기 제1외측 측벽의 상부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바닥면과 상기 제2바닥면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2외측 측벽에 의하여 감싸이며 상기 숯 덩어리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음식물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본체 ; 상기 숯 덩어리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숯불이 살아있는 복수의 숯 덩어리 ; 가장자리가 상기 제2바닥면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숯 덩어리 수용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덮되, 복수의 보온 및 가향용 구멍이 형성되는 시트형 숯불 덮개 ; 상기 시트형 숯불 덮개의 상부에 안치되면서 상기 음식물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음식물 ;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용기 덮개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숯불 덮개의 중앙부 하면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바닥면의 중앙부에서 기둥 또는 뿔대 형태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시트형 숯불 덮개의 중앙부 하면과 접하는 제2보조 바닥면과 상기 제2보조 바닥면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1바닥면과 연결되는 제1내측 측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조 돌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음식물과 숯불이 살아있는 숯 덩어리가 용기 본체에 함께 내장되도록 하고, 배달하는 도중에 불타고 있는 숯 덩어리의 열과 숯불향이 음식물에 전달되어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숯불향이 음식물에 가향되어 음식물의 맛과 향을 더욱 돋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배달음식 포장 패키지의 개념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의 개념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숯 덩어리가 수용된 용기 본체와 시트형 숯불 덮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시트형 숯불 덮개가 용기 본체에 안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시트형 숯불 덮개의 상부에 음식물이 안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배달음식 포장 패키지의 개념 단면도,
도 7은 도 6의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의 개념 단면도,
도 8은 도 6에서 숯 덩어리가 수용된 용기 본체의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달음식 포장 패키지의 개념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음식물용 용기 덮개를 분리하여 도시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각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상태의 개념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서 이용된 숯불용 용기 본체와 숯불용 용기 덮개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달음식 포장 패키지에서 음식물용 용기 덮개 및 숯불용 용기 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사진이다.
본 배달음식 포장 패키지는, 크게 용기 본체(110), 시트형 숯불 덮개(120), 용기 덮개(130), 숯불이 살아있는 숯 덩어리(200), 음식물(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용기 본체(110)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태로서 내부에 숯 덩어리 수용공간(111)과 음식물 수용공간(112)이 형성된다.
용기 본체(110)의 내부 하부에 숯 덩어리 수용공간(111)이 형성되며, 용기 본체(110)의 내부 상부에 숯 덩어리 수용공간(111)과 연통되는 형태로 음식물 수용공간(112)이 형성된다.
숯 덩어리 수용공간(111)은, 제1바닥면(111a)과 제1바닥면(111a)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1외측 측벽(111b)에 의하여 감싸인 공간이다.
음식물 수용공간(112)은, 제1외측 측벽(111b)의 상부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바닥면(112a)과 제2바닥면(112a)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2외측 측벽(112b)에 의하여 감싸인 공간이다.
이와 같이 음식물 수용공간(112)의 평면상 면적은 숯 덩어리 수용공간(111)의 평면상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며, 음식물 수용공간(112)과 숯 덩어리 수용공간(111)은 서로 연속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은 용기 본체(110)의 숯 덩어리 수용공간(111)에 숯불이 살아있는 복수의 숯 덩어리(200)를 넣고, 다음으로 시트형 숯불 덮개(120)에 의하여 숯 덩어리 수용공간(111)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다음으로 음식물(200)을 음식물 수용공간에 넣고, 다음으로 용기 덮개(130)로 용기 본체(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다.
먼저 숯 덩어리 수용공간(111)에 하나 또는 복수의 숯 덩어리(200)가 수용되며, 숯 덩어리(200)는 숯불이 살아있는 상태이다.
즉 본 발명은 불타고 있는 숯 덩어리(200)가 용기 본체(110)에 내장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시트형 숯불 덮개(120)를 삽입하여, 시트형 숯불 덮개(120)의 가장자리가 제2바닥면(112a)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숯 덩어리 수용공간(111)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한다.
시트형 숯불 덮개(120)에 의하여 숯 덩어리 수용공간(111)과 음식물 수용공간(112)이 명확히 구분된다.
시트형 숯불 덮개(120)에는 복수의 보온 및 가향용 구멍(1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숯불이 살아있는 숯 덩어리(200)에서 발생하는 열기와 향이 복수의 보온 및 가향용 구멍(121)을 통하여 음식물(300)에 그대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복수의 보온 및 가향용 구멍(121)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음식물(300)은 용기 본체(110) 내부에 그대로 안치될 뿐이며, 보온 내지 가향을 방해할 수 있는 별도의 포장은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식물(300)은 뜨거운 음식물 또는 보온이 필요한 음식물이 해당될 수 있으며, 특히 보쌈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음식물(300)은 용기 본체(110)의 음식물 수용공간(112)에 다른 포장용기에 의하여 포장되지 않은 상태로 직접 투입된다. 이는 음식물(300)이 숯불이 살아있는 숯 덩어리(200)에 의하여 가열되며 또한 가향되기 위함이다.
결과적으로 음식물(300)은 시트형 숯불 덮개의 상부에 안치된다.
용기 덮개(130)는 용기 본체(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다.
본 실시예의 숯 덩어리(200)는 직경이 1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온 및 가향용 구멍(121)은 직경이 5~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달 과정에서 심하게 흔들리는 경우에도, 보온 및 가향용 구멍(121)으로 숯 덩어리(200)가 외부로 빠져나가 음식물(30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숯 덩어리(200)는 가급적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본체(110)와 용기 덮개(130)는 시판되고 있는 일회용 내열성 알루미늄 용기가 이용될 수 있다.
용기 덮개(130)가 용기 본체(110)를 덮는 형태 또한 다양한 방식이 알려져 있으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시트형 숯불 덮개(120)는 시판되고 있는 일회용 내열성 알루미늄 시트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소비자로부터 음식배달을 주문받아 보쌈 등의 음식물을 요리한다.
매장에서는 주문받은 음식, 즉, 보쌈을 요리한 후, 용기 본체(110)에 보쌈 등의 음식물(300)과 함께 숯불이 살아있는 숯 덩어리(200)도 함께 집어넣는다.
즉 타고 있는 숯 덩어리(200)를 미리 준비하고, 음식물(300)을 집어넣기 전에 도 3과 같이 타고 있는 숯 덩어리(200)를 먼저 집어 넣고, 다음으로 도 4와 같이 시트형 숯불 덮개(120)를 깐 후, 다음으로 도 5와 같이 음식물(300)을 용기 본체(110)에 집어넣는다.
그리고 용기 덮개(12l0)로 용기 본체(110)를 닫는다.
이와 같은 상태로 배달에 소요되는 시간은 10~30분 정도이며, 통상 소비자가 본 배달음식 포장 패키지를 받았을 때 숯 덩어리(200)는 여전히 숯불이 살아있는 상태(즉 타고 있는 상태)이다.
즉 10~30분 정도 숯불이 살아있는 숯 덩어리(200)의 열 및 숯불향이 보온 및 가향용 구멍(121)을 통하여 음식물(300)에 그대로 전달되고, 이에 의하여 음식물(300)은 그 따뜻함이 그대로 유지될 뿐만 아니라 음식물(300)에는 숯불의 향이 깊게 스며들어 그 맛과 향을 더욱 돋우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숯불이 살아있는 숯 덩어리(200)는 의도적으로 음식 맛을 돋우기 위하여 매우 긴 시간동안(즉 배달하는 시간동안) 숯불향을 가향한 것과 마찬가지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배달음식 포장 패키지의 개념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의 개념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서 숯 덩어리가 수용된 용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1실시예에 동일하며, 다만 숯 덩어리 수용공간(111)에 보조 돌출부(113)가 더 형성된다.
보조 돌출부(113)는 시트형 숯불 덮개(120)의 중앙부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보조 돌출부(113)는 제1바닥면(111a)의 중앙부에서 기둥 또는 뿔대 형태로 상부로 돌출된다.
보조 돌출부(113)는, 시트형 숯불 덮개(120)의 중앙부 하면과 접하는 제2보조 바닥면(113a)과 제2보조 바닥면(113a)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제1바닥면(111a)과 연결되는 제1내측 측벽(113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보조 돌출부(113)는 시트형 숯불 덮개(120)의 중앙부가 하부로 처지면서 음식물(300)의 배치 상태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용기 본체
111 : 숯 덩어리 수용공간 112 : 음식물 수용공간
113 : 보조 돌출부
120 : 시트형 숯불 덮개 121 : 보온 및 가향용 구멍
130 : 용기 덮개
200 : 숯불이 살아있는 숯 덩어리
300 : 음식물

Claims (2)

  1.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태로서, 하부에 제1바닥면과 상기 제1바닥면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1외측 측벽에 의하여 감싸인 숯 덩어리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숯 덩어리 수용공간의 상부에 상기 제1외측 측벽의 상부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바닥면과 상기 제2바닥면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2외측 측벽에 의하여 감싸이며 상기 숯 덩어리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음식물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본체 ;
    상기 숯 덩어리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숯불이 살아있는 복수의 숯 덩어리 ;
    가장자리가 상기 제2바닥면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숯 덩어리 수용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덮되, 복수의 보온 및 가향용 구멍이 형성되는 시트형 숯불 덮개 ;
    상기 시트형 숯불 덮개의 상부에 안치되면서 상기 음식물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음식물 ;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용기 덮개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음식 포장 패키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숯불 덮개의 중앙부 하면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바닥면의 중앙부에서 기둥 또는 뿔대 형태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시트형 숯불 덮개의 중앙부 하면과 접하는 제2보조 바닥면과 상기 제2보조 바닥면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1바닥면과 연결되는 제1내측 측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조 돌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음식 포장 패키지.
KR1020200053149A 2020-05-04 2020-05-04 배달음식 포장 패키지 KR20210135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149A KR20210135028A (ko) 2020-05-04 2020-05-04 배달음식 포장 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149A KR20210135028A (ko) 2020-05-04 2020-05-04 배달음식 포장 패키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028A true KR20210135028A (ko) 2021-11-12

Family

ID=78487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149A KR20210135028A (ko) 2020-05-04 2020-05-04 배달음식 포장 패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502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100Y1 (ko) 1999-09-03 2000-02-15 이상협 식품용기
KR20180000809U (ko) 2016-09-10 2018-03-20 강상채 배달음식 보온포장패키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100Y1 (ko) 1999-09-03 2000-02-15 이상협 식품용기
KR20180000809U (ko) 2016-09-10 2018-03-20 강상채 배달음식 보온포장패키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01085U (ko) 배달음식 포장 패키지
US7879381B2 (en) Cooking utensil with flavoring infuser
US10575679B1 (en) Air or deep fryer
US10588457B2 (en) Portable wood smoker
US3611911A (en) Smoke-producing device
KR20210135028A (ko) 배달음식 포장 패키지
US2036611A (en) Container
JP2019000611A (ja) 温度および水の制御を備える自動ポッド調理の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WO2006129451A1 (ja) 液体加熱容器
KR20120034851A (ko) 구이,찜 겸용 조리기
KR101828024B1 (ko) 농산물 가공 장치
CN213736324U (zh) 一种包装盒
KR101023206B1 (ko) 바비큐 그릴장치
KR101598125B1 (ko) 다용도 로스팅용기
ES2965256T3 (es) Método y envase para tostar semillas de forma uniforme en un microondas
JP2002177059A (ja) 調理保温カート及びカート用調理トレイ
KR200259355Y1 (ko) 전자레인지용 1회용 편의 식품용기
KR20200014144A (ko) 고기류 배달을 위한 보온유지용 밀봉 패킹 구조
US20210331854A1 (en) Method and package for evenly roasting seeds in a microwave
KR20160137000A (ko) 떡찜기용 떡용기
JP5921488B2 (ja) 燻製製造用缶詰
JPH03285646A (ja) 包装食品の加温調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858583A (en) Heating device.
JP2022551210A (ja) マイクロ波で種子を均一にロースト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パッケージ
KR100529374B1 (ko) 육류의 가열 및 조리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