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4807A - 압축기 구동 장치용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및 압축기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기 구동 장치용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및 압축기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4807A
KR20210134807A KR1020217034929A KR20217034929A KR20210134807A KR 20210134807 A KR20210134807 A KR 20210134807A KR 1020217034929 A KR1020217034929 A KR 1020217034929A KR 20217034929 A KR20217034929 A KR 20217034929A KR 20210134807 A KR20210134807 A KR 20210134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insulation arrangement
wall
insulating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4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1127B1 (ko
Inventor
세놀 게츠겔
베른트 건터만
에릭 룩스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34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4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2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ressor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2)을 통해 전기 연결부들을 통과시키기 위한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는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연결 요소(17) 및 홀딩 요소(18)를 갖는 연결 장치(9a, 9b) 및 벽(15)에 의해 둘러싸인 연결 통로(14b)를 갖는 수용 요소(14a)를 구비한 캐리어 요소(14)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연결 요소(17)는, 각각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상기 홀딩 요소(18)로부터 돌출하는 방식으로 상기 홀딩 요소(18)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배치되어 있고 성형 요소(19)를 통해 견고하게 그리고 상기 홀딩 요소(18)와 유체 기밀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 요소(17)는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연결 통로(14b)를 통해 상기 수용 요소(14a) 안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 요소(17)의 제1 영역이 절연 요소(21)에 의해 적어도 국부적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절연 요소는 상기 홀딩 요소(18)와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홀딩 요소(18)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캐리어 요소(14)의 벽(15)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벽(15)과 함께 상기 연결 요소(17)의 제1 영역을 유체 기밀 방식으로 둘러싼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를 구비한 증기 유체를 압축하기 위해 압축기 구동 장치, 특히 전기 모터 및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의 용도와도 관련이 있다.

Description

압축기 구동 장치용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및 압축기 구동 장치
본 발명은, 하우징의 벽을 통해 전기 연결부들을 통과시키기 위한 압축기 구동 장치용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sealing-insulating arrangement)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증기 유체, 특히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구동 장치, 특히 전기 모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압축기는 자동차의 공기 조화 시스템의 냉매 회로에 사용될 수 있다.
냉매 압축기로도 지칭되는 냉매 회로를 통해 냉매를 이송시키기 위한 종래 기술에 공지된 이동성 애플리케이션들, 특히 자동차 공기 조화 시스템들용 압축기들은 냉매와 무관하게 가변 행정 체적을 갖는 피스톤 압축기 또는 스크롤 압축기로서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상기 압축기들은 벨트 풀리(belt pulley)를 통해 구동되거나 전기적으로 구동된다.
전동 압축기는 개별 압축 기구(compacting mechanism)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 이외에 상기 전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인버터를 구비한다. 상기 인버터는 차량 배터리의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때 직류는 전기 연결부들에 의해 전기 모터에 공급된다.
전동 압축기의 종래 방식의 전기 모터들은 스테이터 코어 상에 배치되는 코일들을 갖는 링 모양의 스테이터 코어와 로터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경우 상기 로터는 스테이터 코어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로터와 스테이터는 로터의 공통 대칭축 또는 회전축 상에 정렬되어 있다.
인버터는 전기 모터의 단자들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핀(pin)으로서 형성된 플러그 커넥터용 플러그 단자들을 가지며, 상기 전기 모터의 단자들은 재차 스테이터 코일들의 도선(conducting wire)들의 접속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기 모터의 단자들은 커넥터 하우징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예를 들면, 스테이터의 축 방향으로 정렬된, 스테이터의 단부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압축기 조립 시, 핀으로서 형성된 플러그 커넥터는 각각 커넥터 하우징에 제공된 연결 단자에 삽입되고 각각의 경우 상응하는 도선, 특히 도선의 연결 라인과 연결된 단부 피스(end piece)와 접촉된다. 이 경우 단부 피스는 도선의 연결 라인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연결되므로, 각각의 경우에 인버터의 플러그 커넥터와 도선 사이에서는 작은 접촉 저항만 보장된다. 동시에 각각의 경우 절연 저항이 높은 전기적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위상 도체로도 지칭되는 연결 라인 또는 도선들의 절연되지 않은 단부 외에, 플러그 커넥터들은 서로 그리고 스테이터와 모터 하우징의 다른 전기 전도성 컴포넌트들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 특히 기밀 밀봉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압축기를 통과하는 유체, 즉 냉매와 오일의 혼합물이 플러그 커넥터와 연결 단자들 사이 또는 연결 단자들과 전기 모터 또는 모터 하우징의 다른 비활성 금속 부품들 사이에서 절연 저항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은 압축기 내에서 흐르는 냉매 및/또는 오일이 주변으로 방출되지 않고 인버터에서 단락 또는 특히, 인버터의 기판 상에 배치된 컴포넌트들에서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모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모터 하우징 외부에 배치된 인버터 쪽으로 정렬된 플러그 커넥터들에 대해 전기적으로 격리 및 기밀 밀봉되어야 한다.
전기 컴포넌트들의 요구되는 절연 저항을 준수하고 모터 하우징 내에서 흐르는 유체 및 발생하는 오염물로부터 전류가 흐르는 요소들을 확실하고 완전하게 격리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플러그 커넥터의 유리-금속 관통부들이 사용되며, 이 경우 전류가 흐르는 요소들은 탄성 성형 부품으로 밀봉된다. 절연 재료로서 역할을 하고 각각의 플러그 커넥터의 지지하는 데 사용되는 유리는 소정의 치수 및 필요한 전기적 파라미터로 인해 특정 형상을 갖는다.
유리 융기부로도 지칭되는, 유리-금속 관통부의 유리 돌출부의 형태는 조정 및 재생이 어렵고, 제조와 관련하여 형태 및 양의 편차가 매우 크다. 유리-금속 관통부 제조 시, 유리는 핀형 플러그 커넥터들 및 지지 몸체들과 함께 소결된 중공 실린더 형태로 용융 공구에 삽입된다. 연결해야 할 모든 컴포넌트의 공차가 합산된다. 원하는 유리 형태를 달성하고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상이한 양의 유리 및 생산 파라미터를 갖는 많은 시간 소모적인 실험이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복잡한 테스트 및 기능 증명을 통해 필수 한계가 안정적으로 준수된다는 증거를 제공해야 한다. 유리 표면을 덮거나 밀봉하려면 각 경우에 정확하게 피팅되는 표면을 갖는 슬리브(sleeve)가 필요하다. 이 경우 밀봉부들의 큰 편차는 높은 수준의 유연성과 높은 정확도 둘 모두로 보정되어야 한다. 특히, 고정밀도에 대한 요구 사항은 밀봉 요소(sealing element)로서 엘라스토머 성형 부품을 통한 보장이 매우 어렵다.
WO 2015 146677 A1호에는 압축 어레인지먼트, 압축 어레인지먼트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 및 전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를 구비한 전동 압축기가 개시된다. 상기 전기 모터는 로터 및 스테이터 코어의 일 단부에 배치된 전기 절연 코일 몸체, 이러한 코일 몸체에 배치된 코일들을 갖는 스테이터 그리고 상기 코일들을 인버터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단자들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을 갖는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코일 몸체의 단부면에서 상기 스테이터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 내에 제공된 연결 단자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들은 각각 기밀 밀봉 플레이트에 대한 연결을 형성하는 링형 절연체들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여 있다. 한편으로는 플레이트와 인버터 쪽을 향하는, 모터 하우징의 격벽 사이에 기밀 밀봉부가 배치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각 절연체와 커넥터 하우징 사이, 즉 각각의 경우 플러그 커넥터의 절연체의 외주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링형 밀봉 요소들이 제공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는 절연체들 및 밀봉 요소들과 함께 커넥터 하우징 내에 형성된 개구들 내에 삽입되며, 그 결과 상기 플러그 커넥터들이 유체 기밀 방식으로 모터 하우징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밀봉 요소들은 단지 플러그 커넥터들을 반경 방향으로 밀봉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조립 시 반경 방향 및 이를테면, 축 방향 대칭이 없기 때문에 삽입 방향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충분한 밀봉 기능, 특히 주변에 대한 압축기의 충분한 밀봉과 압축기를 관류하는 냉매에 대한 충분한 절연 그리고 인접하게 배치되는 하우징 요소들을 보장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들은 다수의 상이한 밀봉 요소와 함께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는데, 이는 다수의 컴포넌트 배열과 조립을 매우 복잡하게 만든다. 또한, 많은 수의 다른 컴포넌트 사용으로 인해 고장 위험과 오류 위험이 매우 높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하고 신속하게(expeditiously) 조립 가능한 증기 유체의 전동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 특히 전기 모터용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어레인지먼트는 제조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한 적은 수의 개별 컴포넌트를 갖고 구조적으로 간단히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경우 특히, 상기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의 구조 복잡성 및 이에 따라 상기 압축기 구동 장치의 구조 복잡성이 최소화되고 부정확성이 제거되며, 동시에 주변에 대한 밀폐 시스템의 밀봉 및 압축기 내부에서 전기 절연이 최적화된다. 상기 어레인지먼트는 또한, 시스템의 필요한 절연 저항을 보장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과제는 독립항들의 특징들을 갖는 대상에 의해 해결된다. 개선 예들은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과제는 하우징, 특히 하우징의 벽을 통해 전기 연결부들을 통과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용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에 의해 해결된다. 상기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는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연결 요소 및 홀딩 요소(holding element)를 갖는 연결 장치 및 연결 통로를 갖는 수용 요소를 구비한 캐리어 요소(carrier element)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통로는 벽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연결 요소는, 각각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상기 홀딩 요소로부터 돌출하는 방식으로, 상기 홀딩 요소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도록 배치되어 있고 성형 요소를 통해 견고하게 그리고 상기 홀딩 요소와 유체 기밀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 요소는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연결 통로를 통해 상기 수용 요소 안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연결 요소의 적어도 제1 영역은 절연 요소에 의해 적어도 국부적으로 완전히 둘러싸여 있다. 상기 홀딩 요소와 견고하게 연결되고 홀딩 요소로부터 캐리어 요소의 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연 요소는 연결 통로를 형성하는 벽과 함께 연결 요소의 제1 영역을 유체 기밀 방식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요소 내에 배치된 전기 단자들과 하우징 외부에 배치된 전기 단자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수용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전기 단자들과 함께 커넥터 하우징을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결 요소는 커넥터 하우징 및 이러한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전기 단자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의 제1 영역만 절연 요소에 의해 적어도 국부적으로 완전히 둘러싸여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요소는 핀형 플러그 커넥터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직선형 핀의 형상을 갖는다. 연결 요소는 특히 원형-원통형으로 일정한 외경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수용 요소의 연결 통로를 둘러싸는 벽은 축 방향으로 하우징을 향해 정렬되고 수용 요소로부터 돌출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수용 요소의 연결 통로를 둘러싸는 벽은 바람직하게는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 방향으로 정렬된 제1 단부면에 의해 전체적으로 상기 수용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 제1 단부면의 말단(distal)에 형성된 벽의 제2 단부면은 연결 장치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장점은 절연 요소가 슬리브의 형상, 특히 일정한 내경을 갖고 2개의 단부면을 갖는 중공 원통형 슬리브를 갖는다는 점이다.
절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제1 단부면 상에서 견고하게 그리고 홀딩 요소와 완전히 유체 기밀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단부면의 말단에 정렬된, 절연 요소의 제2 단부면은 캐리어 요소 쪽으로 정렬되어 있고 자유 단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라믹 재료로 형성된 절연 요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전히 둘러싸인 연결 요소는 제1 영역이 절연 요소의 제2 단부면 상에서 상기 절연 요소로부터 돌출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요소와 절연 요소는, 연결 요소와 절연 요소 사이에 갭(gap)이 형성되도록 서로 동축으로 정렬되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개선 예에 따르면, 홀딩 요소는 대향 배치된 표면들 및 하나 이상의 연결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로 개구를 구비하여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연결 요소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홀딩 요소의 대향 표면들로부터 돌출하도록 그리고 연결 요소의 제3 영역이 상기 관통 개구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 요소의 영역들은 연장하는 공통 축, 특히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방식으로 정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연결 요소, 특히 연결 요소의 제3 영역과 홀딩 요소 사이, 특히 연결 요소와 관통 개구를 둘러싸는 홀딩 요소의 벽 사이에 형성된 갭이 성형 요소에 의해 채워진다는 점이다. 상기 성형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유리 성형 요소 또는 유리 몸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대안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는 수용 요소의 벽과 절연 요소를 서로 밀봉하는 방식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기능 요소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능 요소는 전기 연결부들의 유체 밀봉뿐만 아니라 전기 연결부들의 전기 절연을 위해서도 형성되었다.
하나 이상의 기능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제1 섹션 및 제2 섹션을 갖는 슬리브 형태, 특히 실제로 중공 원통형 슬리브 형태를 갖는다. 상기 두 섹션은 각각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지지면으로서 형성된 제3 섹션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섹션은 제1 단부면으로부터 지지면까지 연장되고, 제2 섹션은 제2 단부면에서 지지면까지 연장된다. 기능 요소의 지지면은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으로 제1 또는 제2 섹션의 외부 표면보다 돌출하도록 그리고 기능 요소는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기능 요소는 또한, 축 방향으로 제1 단부면으로부터 제2 단부면으로 연장되는, 연결 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관통 개구를 갖는다.
본 발명의 개선 예에 따르면, 기능 요소의 제1 섹션 및 제2 섹션은 각각 실제로 일정한 벽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각각 섹션들의 외부 표면 상에는 상기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밀봉립(sealing lip)이 제공될 수 있다. 밀봉립들, 특히 각각의 경우 2개 이상의 밀봉립이 각 섹션의 외부 표면은 완전히 둘러싸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능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제1 섹션이 연결 요소와 절연 요소 사이에 형성된 갭 형태의 간극에서 그리고 제2 섹션이 연결 요소와 수용 요소의 연결 통로의 벽 사이에 형성된 갭 형태의 간극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기능 요소는 제1 섹션의 외부 표면 및 이러한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밀봉립이 절연 요소의 벽의 내부 표면에 그리고 제2 섹션의 외부 표면 및 이러한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밀봉립이 절연 요소의 연결 통로의 벽의 내부 표면에 접한다.
또한, 기능 요소는 지지면이 한편으로는 절연 요소의 제2 단부면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연결 통로의 벽의 제2 단부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기능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접촉면 또는 밀봉면 상에서 전기 절연 및 밀봉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엘라스토머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는 각각 2개 이상의 연결 요소, 연결 통로의 벽들 및 절연 요소를 형성할 때 동일한 수의 기능 요소를 갖는다. 상기 기능 요소들은 일체형 기능 요소 장치로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경우에 인접하게 배열된 2개의 기능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지지면의 영역에서 연결 웨브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기능 요소들의 종축들은 각각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고, 인접한 기능 요소들의 종축들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균일하게 이격되어 정렬되어 있다. 기능 요소들의 종축들은 공통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하나 이상의 기능 요소가 캐리어 요소와 함께 일체형 컴포넌트, 특히 2-컴포넌트 요소 또는 1-컴포넌트 요소로 형성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수용 요소의 벽과 연결 장치의 절연 요소는 서로 밀봉 방식으로, 중간에 지지된 기능 요소 없이 서로 인접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개선 예에 따르면, 연결 통로를 둘러싸는 벽은 제1 단부면의 말단에 형성된 제2 단부면 영역에서 외부 표면 상에 비드형 몰딩부(molding)를 갖고, 이러한 몰딩부는 벽 둘레 전체에 걸쳐 연장된다.
절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제1 단부면의 말단에 형성된 제2 단부면 영역에서 내부 표면 상에, 챔퍼(chamfer) 형태로 전체적으로 배치되는 밀봉면을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절연 요소의 내경은 바람직하게는 제2 단부면 쪽으로 확장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 통로를 둘러싸는 벽의 몰딩부의 외경에 상응한다.
연결 통로를 둘러싸는 벽은 바람직하게는 연결 요소와 절연 요소 사이에 형성된 갭 형태의 간극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벽은 몰딩부에 의해 절연 요소의 밀봉면에 유체 기밀 방식으로 접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또한, 증기 유체의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특히 전기 모터에 의해 해결된다. 상기 장치는 공통의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로터와 고정식 스테이터 그리고 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스테이터는 바람직하게는 로터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로터의 외부 표면에 반경 방향으로 위치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커넥터 하우징을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 요소를 갖는 캐리어 요소는 축 방향으로 정렬된 스테이터의 제1 단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수용 요소는 하나 이상의 연결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벽을 갖는 하나 이상의 연결 통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장치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축 방향은 이 경우 스테이터의 종축의 방향을 의미하며, 상기 스테이터의 종축은 또한, 로터의 종축과 회전축에 상응한다. 축 방향으로 정렬된 단부면은 종축에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하나 이상의 커넥터 하우징을 위한 캐리어 요소 및 하나 이상의 수용 요소가 연결된 유닛 및 일체형 컴포넌트로서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수용 요소가 캐리어 요소의 구성 부품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캐리어 요소는 특히 스테이터의 다기능 컴포넌트로서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수지와 같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증기 유체의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 특히 전기 모터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 하나 이상의 기능 요소를 연결 장치의 플러그 커넥터에 부착하고, 동시에 기능 요소의 제1 부분을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절연 요소 사이 갭 형태, 특히 환형 갭 형태의 간극에 삽입하는 단계로서, 이때 상기 기능 요소는 절연 요소의 벽이 기능 요소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상기 벽에 접하고,
- 스테이터를 캐리어 요소와 함께 하우징 내에 조립하는 동안 기능 요소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 요소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수용 요소 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연결 통로를 통해 수용 요소 내에 배치된 플러그 하우징 내에 삽입하는 단계로서, 이때 상기 기능 요소의 제2 섹션은 상기 벽이 상기 기능 요소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상기 연결 통로 벽을 둘러싸는 수용 요소의 벽에 접한다.
기능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기능 요소의 지지면이 절연 요소의 단부면에 접할 때까지 절연 요소 내로 삽입된다. 또한, 기능 요소의 지지면이 연결 통로를 둘러싸는 벽의 단부면에 접할 때까지 기능 요소를 갖는 연결 장치가 수용 요소에 삽입될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요소 상에 형성된 수용 요소에 삽입되어 상기 캐리어 요소에 고정된다.
장치를 장착하는 동안, 로터와 스테이터는 바람직하게는 스테이터가 로터를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도록 공통 종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자동차 공기 조화 시스템의 냉매 회로에서 냉매의 압축기를 위한 증기 유체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특히 전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및 이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를 구비하는 증기 유체의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추가로 다양한 장점을 갖는다:
- 최소한의 컴포넌트 수; 예를 들면, 기능 요소 및 캐리어 요소에 형성된 벽과 함께 연결 요소의 사용으로 종래 기술의 어레인지먼트에 비해 연결 요소의 개수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의 개별 밀봉 요소 및 추가 고정 수단이 생략되므로 최소한의 컴포넌트 수가 달성되고, 이 경우에는 또한, 벽이 사출 성형 공정에서 캐리어 요소와 함께 형성되고, 기능 요소의 정확성과 기능 요소의 돌출부에 대한 요구 사항이 더 낮으며,
- 간단한 조립; 특히, 연결 요소들을 통과시키기 위한 수용 요소의 개구로서 연결 통로들을 밀봉하기 위한 추가의 밀봉 요소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 로터와 함께 스테이터를 삽입할 때의 간단한 조립이 달성되고, 하우징 내부로의 스테이터의 수축 삽입 및 밀봉이 하나의 조립 단계에서 이루어지며, 그리고 연결 요소 주위에서의 각 배열이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 반경 방향과 축 방향으로의 조합으로 인해 최대 수준의 기능적 신뢰성.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추가적인 세부 사항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실시 예들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드러난다. 도면부에서:
도 1a는 압축 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 특히 전기 모터 및 인버터(inverter) 장치를 구비한 전동 압축기를 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1b는 스테이터 코어, 코일들, 절연체 및 캐리어 요소를 구비한 전기 모터의 스테이터를 사시도로 도시하며,
도 2a는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된 단자들과 인버터 단자들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홀딩 요소와 성형 요소들을 구비한 연결 요소들을 위한 종래 기술에 공지된 밀봉 장치의 관통부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2b는 밀봉 요소와 함께 도 2a의 관통부를 구비한 종래 기술에 공지된 밀봉 장치의 컷아웃(cut-out)을 단면도로 도시하며,
도 3a는 수용 요소를 갖는 캐리어 요소, 연결 요소들 및 홀딩 요소를 갖는 연결 장치 및 기능 요소들을 구비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의 기능 요소 장치를 사시 분해도로 도시하고,
도 3b 및 3c는 도 3a의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의 기능 요소 장치를 각각 사시도로 도시하며,
도 4a는 수용 요소를 갖는 캐리어 요소, 홀딩 요소 및 연결 요소들을 갖는 연결 장치 및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의 기능 요소들을 사시 분해도로 도시하고,
도 4b는 홀딩 요소, 연결 요소 및 절연 요소 그리고 상기 절연 요소 내에 배치된,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의 기능 요소를 구비한 연결 장치를 측면도로 상세히 도시하고,
도 4c는 연결 요소와 기능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벽을 갖는 캐리어 요소의 연결 통로를 상세도로 도시하며,
도 4d는 수용 요소를 갖는 캐리어 요소 및 상기 캐리어 요소와 연결 장치 상에 배치된,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의 기능 요소를 구비한 연결 장치를 측면도로 상세히 도시하고, 그리고
도 5는 수용 요소의 벽을 갖는 캐리어 요소 및 기능 요소 또는 밀봉 요소들을 포함하지 않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의 대안적인 실시 형태로 연결 요소와 홀딩 요소를 갖는 연결 장치를 측면도와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1a에는, 압축 기구(4)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3)로서, 하우징(2) 내에 배치된 전기 모터(3)와 인버터(5) 장치를 구비한, 냉매 회로를 통해 증기 유체, 특히 냉매를 이송시키기 위한 자동차 공기 조화 시스템용 전동 압축기(1)가 개시된다. 상기 전기 모터(3)는 상기 인버터(5)의 스위칭 장치(6)를 통해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는다.
전기 모터(3)는 실제로 중공 원통형 스테이터 코어 및 이 스테이터 코어 상에 권취된 코일들을 갖는 스테이터(7) 및 이 스테이터(7) 내부에 배치된 로터(8)를 구비한다. 상기 로터(8)는 연결 장치(9)를 통해 스테이터(7)의 코일들에 전기 에너지가 공급될 때 회전 운동으로 설정된다. 상기 연결 장치(9)는 스테이터(7)의 단부면 상에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전기 연결부를 갖는다.
로터(8)는 스테이터(7) 내부에 동축으로 그리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구동 샤프트(10)는 로터(8)와 일체로 또는 별도의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전기 모터(3) 그리고 고정식 및 선회식 스크롤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로 형성된 압축 기구(4)는 하우징(2)에 의해 둘러싸인 체적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하우징(2)은 전기 모터(3)를 수용하기 위한 제1 하우징 요소와 압축 기구(4)를 수용하기 위한 제2 하우징 요소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있다.
증기 유체, 특히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 기구(4)의 선회식 스크롤은 전기 모터(3)의 로터(8)와 연결된 구동 샤프트(10)를 통해 구동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압축 기구는 예를 들어 사판(swash plat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 모터(3)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장치(6)는 다양한 스위칭 소자(11)들을 구비하여 형성된 회로 기판(12)을 갖는다. 상기 회로 기판(12) 상에는 외부 전류원으로부터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는 상이한 구동 제어 회로들과 컴포넌트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장착되어 있다.
도 1b에는 전기 모터(3)의 스테이터(7)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스테이터(7)는 스테이터 코어(7a), 코일(7b)들, 절연체(7c) 및 커넥터 하우징(14c)을 위한 수용 요소(14a)를 갖는 캐리어 요소(14)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전기 모터(3), 예를 들어 3개의 위상을 갖는 AC 모터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로터와, 로터의 외부면에서 그리고 이에 따라 로터 둘레에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스테이터 코어(7a)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연철판(bundle of laminations)으로서 설계되는 스테이터 코어(7a) 및 전기 절연 재료로 형성된 절연체(7c)는 각각 종축(13)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종축은 또한, 스테이터의 제1 단부면으로부터 제2 단부면으로의 스테이터(7)의 종축 및 로터의 회전축에 상응한다.
코일(7b)들은 각각, 도선(16)으로도 지칭되는 전기 도체로서, 스테이터 코어(7a)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영역 둘레에 권취된 와이어로 형성되어 있다. 권취되지 않은 상기 도선(16)들의 단부들은 연결 라인으로서 각각의 권선으로부터 유도되어 나온다. 도선(16)들은 코일(7b)들 영역에 바람직하게는 래커 처리 및 권취된 구리 와이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권취되지 않은 도선(16)들의 단부들은 연결 라인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피복되어 절연되어 있다.
스테이터 코어(7a), 절연체(7c) 및 코일(7b)들은 전기 모터(3)의 스테이터 유닛을 형성한다.
스테이터(7)의 제1 단부면 상에는, 연결 단자들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14c)을 위한, 연결 통로(14b)들을 갖는 수용 요소(14a)를 구비한 캐리어 요소(14)가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14c)의 연결 단자들은 각각 전기 모터(3)의 코일(7b)들과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인버터(5)의 전기 접속 컴포넌트, 특히 전기 전도성으로 형성된 핀형 연결 요소로서 사용되며, 상기 연결 요소들은 캐리어 요소(14)의 수용 요소(14a)의 연결 통로(14b)들을 통과하여 커넥터 하우징(14c)의 연결 단자들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코일(7b)들의 도선(16)들의 연결 라인들과 수용 요소(14a) 내에 배치된 커넥터 하우징(14c)의 연결 단자들은 서로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되어 있다.
수용 요소(14a) 및 이러한 수용 요소(14a) 내에 배치된 커넥터 하우징(14c)을 갖는 캐리어 요소(14)는 스테이터(7)의 장착된 상태에서 스테이터(7), 특히 스테이터 코어(7a)에 축 방향으로 접한다. 이 경우 커넥터 하우징(14c)을 위한 수용 요소(14a)는 캐리어 요소(14)의 구성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연결 단자들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14c)을 위한, 연결 통로(14b)들을 갖는 수용 요소(14a)를 구비한 캐리어 요소(14)는 유닛, 특히 일체형 사출 성형 요소로서 형성되어 있다. 일체형 형성은 성형 공정 내에서 실현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인버터(5)에 대한 전기 커넥터로서 연결 요소들을 수용 요소(14a)의 인클로저(enclosure)를 통해 커넥터 하우징(14c)에 삽입하기 위해, 상기 수용 요소(14a)의 인클로저 내부에는 연결 통로(14b)들이 제공되어 있다. 연결 통로(14b)들은 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연결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요소(14a)의 각각의 연결 통로(14b)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15)을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경우에 벽(15)은 연결 통로(14b)의 영역에서 커넥터 하우징(14c)을 둘러싸는, 수용 요소(14a)의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중공 원형 실린더의 형상을 갖는다. 벽(15)은 각각의 경우 연결 통로(14b)의 영역에, 수용 요소(14a)의 일부로서, 특히 커넥터 하우징(14c)을 둘러싸는 수용 요소(14a)의 인클로저로서 원형 연결 통로(14b)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연결 통로(14b)의 벽(15)은 축 방향으로 정렬된 제1 단부 또는 제1 단부면에 의해 상기 연결 통로(14b) 주위에서 수용 요소(14a)의 인클로저와 연결되어 있다.
도 2a에는 홀딩 요소(18) 및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 하우징(14c) 내에 배치된 단자들과 마찬가지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인버터(5)의 단자들의 전기 접속을 위한 성형 요소(19')를 갖는 연결 요소(17)들을 위한 밀봉 장치의 연결 장치(9'), 특히 유리-금속 전기 관통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2b에는 하우징(2) 및 수용 요소(14a)에 대해 밀봉하기 위한 밀봉 요소(20'), 특히 플러그 커넥터(17)를 갖는 연결 장치(9')를 갖는 밀봉 장치의 컷아웃이 단면도로 개시된다.
특히, 도 2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 요소(17)들은 판형 홀딩 요소(18)를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하기에서 플러그 커넥터(17)로도 지칭되는 직선 핀 형태를 갖는 각각의 연결 형태는 공통 축을 따라, 특히 종축을 따라 정렬되는 3개의 상이한 영역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각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판형 홀딩 요소(18)의 대향 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플러그 커넥터(17)의 제3 영역은 각각의 경우 홀딩 요소(18)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길이가 일정한 직경의 직선 원형 실린더로서 형성된 플러그 커넥터(17)들은 각각 제3 영역이 홀딩 요소(18)에 제공된 관통 개구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관통 개구의 내경은 관통 개구 내부에 플러그 커넥터(17)를 장착 및 고정하기 위한 유격을 포함해서 플러그 커넥터(17)의 외경에 상응한다. 플러그 커넥터(17)와 관통 개구 주변을 둘러싸는, 홀딩 요소(18)의 벽 사이에 형성된 간극은 성형 요소(19'), 특히 유리 성형 요소 또는 유리 몸체에 의해 충전되어 있다. 간극을 충전하는, 바람직하게는 유리로 형성된 성형 요소(19')는 한편으로는 관통 개구 내부에 그리고 이와 더불어 홀딩 요소(18) 상에 플러그 커넥터(17)를 고정하기 위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홀딩 요소(18)에 대해 전기 전도성 플러그 커넥터(17)를 절연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 경우 성형 요소(19')는 홀딩 요소(18)의 개별 표면의 평면으로부터 플러그 커넥터(17)의 방향으로 돌출한다. 성형 요소(19')의 돌출부는 각각 실제로 원추형 또는 절두 원추형의 형상을 갖는다.
조정 및 재현이 매우 어려운 돌출부 형태, 특히 유리 돌출부 형태는, 제조 시 전체 공구의 공차가 가산되기 때문에 제조로 인한 편차가 매우 크다. 성형 요소(19')의 돌출부의 자유 표면을 덮거나 밀봉하기 위해, 각각의 경우 슬리브 형상을 갖고 정확하게 피팅되는 표면을 갖는 밀봉 요소(20')가 필요하며, 이러한 밀봉 요소는 높은 유연성뿐만 아니라 높은 정확도로 큰 편차를 보상해야 한다.
도 2b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밀봉 요소(20')는 하우징(2) 또는 캐리어 요소(14)의 수용 요소(14a) 쪽으로 정렬된, 홀딩 요소(18)의 측면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밀봉 요소는 홀딩 요소(18)로부터 돌출되는 플러그 커넥터(17)를 갖는 홀딩 요소(18) 및 성형 요소(19')를 수용 요소(14a) 쪽으로 밀봉시킨다. 이 경우에 플러그 커넥터(17) 및 성형 요소(19')는 바람직하게는 정확하게 피팅되는 표면을 갖는 탄성 중합체 슬리브 또는 탄성 중합체 슬리브로서 형성된 밀봉 요소(20')에 의해 수용 요소(14a)에 대해서도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연결 통로(14b)를 둘러싸는, 수용 요소(14a)의 벽(15)에 인접한 밀봉 요소(20')의 영역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 추가 밀봉 립들을 갖는다.
밀봉 요소(20')는 전기 연결부의 절연 저항에 대한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17)의 개방된 또는 자유 금속 표면을 덮는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7)의 자유 금속 표면 외에, 밀봉 요소(20')에 의해서는 오일의 임의의 축적과 성형 요소(19') 상의 먼지를 방지하기 위해 성형 요소(19')의 자유 표면도 덮인다. 이 경우 밀봉 요소(20')는 또한, 플러그 커넥터(17)와 홀딩 요소(18)의 금속판 사이의 연면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특히 엘라스토머 성형 부품으로서 형성된 밀봉 요소(20')에 의해서는 높은 정확도에 대한 요구 사항이 보장될 수는 없다.
도 3a에는 수용 요소(14a)를 갖는 캐리어 요소(14), 연결 요소(17)들 및 홀딩 요소(18)을 갖는 연결 장치(9a), 특히 유리-금속 전기 관통부, 및 분해도에서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를 갖는 기능 요소 장치(20-1)의 기능 요소(20)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연결 장치(9a)는 판형 홀딩 요소(18)와 성형 요소(19)를 갖는 연결 요소(17)들을 위한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의 컴포넌트로서 캐리어 요소(14)에 배치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 하우징(14c) 내에 제공된 단자들과 마찬가지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인버터(5)의 단자들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형성되어 있다.
판형 홀딩 요소(18)를 통해 안내되고 각각 직선 핀 형상을 갖는 연결 요소(17)들은 공통 축을 따라, 특히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3개의 상이한 영역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홀딩 요소(18)의 대향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반면에 각각의 플러그 커넥터(17)의 제3 영역은 홀딩 요소(18)의 관통 개구 내에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길이에 걸쳐 일정한 직경을 갖는 직선 원형 실린더로서 형성된 플러그 커넥터(17)는 제3 영역에 의해 홀딩 요소(18)에 고정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17), 특히 플러그 커넥터(17)의 제3 영역과 관통 개구를 둘러싸는, 홀딩 요소(18)의 벽 사이에 형성된 간극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17)와 홀딩 요소(18)의 전기 절연체로서 성형 요소(19), 특히 유리 성형 요소 또는 유리 몸체에 의해 채워진다. 이 경우에 성형 요소(19)는 플러그 커넥터(17)의 제2 영역의 방향으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인버터(5) 쪽으로 정렬된 홀딩 요소(18)의 표면의 평면으로부터 돌출한다. 각각의 경우에 돌출부는 실제로 원추형 또는 절두 원추형의 형상을 갖는다.
캐리어 요소(14) 쪽으로 정렬된 홀딩 요소(18)의 표면으로부터 캐리어 요소(14) 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러그 커넥터(17)의 제1 영역은 적어도 홀딩 요소(18) 로의 전이 영역에서 절연 요소(21)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 있다. 상기 절연 요소(21)는 바람직하게는 슬리브, 특히 중공 원통형 슬리브 형태의 세라믹 재료로 만들어지며, 2개의 단부면을 구비하여 형성되고, 제1 단부면 상에서 홀딩 요소(18)와 완전히 유체 기밀 방식으로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특히, 세라믹 슬리브로서 형성된 절연 요소(21)는 단순한 표면 윤곽 및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단순하고 정확한 형상을 제공한다. 이 경우 세라믹 슬리브는 제조가 용이하다. 질량이 매우 부정확한 종래 기술에 공지된 유리 돌출부는 공구에서 세라믹 슬리브의 정확한 위치 설정으로 대체된다.
제1 단부면의 영역에서, 절연 요소(21)는 단부면 쪽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직경을 갖는다. 제1 단부면의 말단에 정렬된 캐리어 요소(14) 쪽으로 정렬되는 제2 단부면은 자유 단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17)는 절연 요소(21)의 제2 단부면의 제1 영역이 상기 절연 요소(21)로부터 돌출한다.
예를 들어, 원형 원통형으로 일정한 외경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17) 및 특히, 원형 중공형으로 일정한 내경을 갖는 절연 요소(21)는, 플러그 커넥터(17)와 절연 요소(21) 사이에서 간극이 실제로 일정한 폭을 갖도록 서로 동축으로 정렬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17)와 절연 요소(21) 사이 갭 형태의 간극은 각각의 경우 기능 요소(2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기능 요소(20)는 한편으로는 제1 섹션의 외부 표면에 의해 적어도 절연 요소(21)의 벽의 내부 표면에 접한다. 다른 한편으로 기능 요소(20)는 벽(15)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고 플러그 커넥터(17)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수용 요소(14a)의 연결 통로(14b) 내로 도입될 수 있고, 따라서 기능 요소(20)는 제2 섹션의 외부 표면에 의해 연결 통로(14b)의 벽(15)의 내부 표면에 접한다.
연결 장치(9a)가 3개의 플러그 커넥터(17)를 갖기 때문에, 각각 플러그 커넥터(17)에 속하는 기능 요소(20)들은 기능 요소 장치(20-1)에 결합되어 일체형 컴포넌트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3b 및 3c에는 각각 기능 요소(20)로 형성된 도 3a의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의 기능 요소 장치(20-1)들이 각각 분해도 및 사시도로 나타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플러그 커넥터(17) 및 각각의 절연 요소(21)는 대칭적으로, 유연하게 또는 탄성적으로 형성된 기능 요소(20)에 의해 캐리어 요소(14) 쪽으로 밀봉된다.
각각의 기능 요소(20)는 실제로 슬리브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지지면(20d)으로서 형성된 섹션을 통해 서로 연결된 제1 섹션(20a) 및 제2 섹션(20b)을 갖는 중공 원통형 슬리브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섹션(20a)은 슬리브의 제1 단부면으로부터 지지면(20d)까지 연장되고, 제2 섹션(20b)은 슬리브의 제2 단부면으로부터 지지면(20d)까지 연장된다. 슬리브는 또한, 연속적으로 그리고 그에 따라 슬리브의 제1 단부면으로부터 제2 단부면으로 연장되는 관통 개구(20c)를 가지며, 이 관통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길이에 걸쳐 일정한, 플러그 커넥터(17)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직경을 갖는다.
제1 섹션(20a) 및 제2 섹션(20b) 모두에서, 중공 원통형 기능 요소(20)는 실제로 일정한 벽두께를 갖는다. 각각 섹션(20a, 20b)들의 외부 표면 상에 각각 제공된 밀봉립(20e)들의 영역에서만 벽두께가 증가된다. 밀봉립(20e)들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쌍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섹션(20a, 20b)들의 외부 표면은 완전히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밀봉립(20e)은 중공 원통형 기능 요소(20)의 종축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에 정렬되어 있다. 쌍으로 형성된 밀봉립(20e)들은 각각 서로 균일하게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지지면(20d)은 밀봉립(20e)과 같이 중공 원형 원통형 기능 요소(20)의 종축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에 정렬되어 있고 반경 방향으로 섹션(20a, 20b)들의 외부 표면을 넘어 돌출한다. 그 결과 지지면(20d)의 영역에서도 기능 요소(20)는 밀봉립(20e)이 없는 섹션(20a, 20b)들의 영역보다 더 큰 벽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실제로 기능 요소(20)의 대칭 평면에 배치되고 기능 요소(20)를 완전히 둘러싸는 지지면(20d)은 축 방향으로의 특정 두께를 갖고, 이러한 두께는 밀봉립(20e)의 두께보다 더 크다. 기능 요소(20)의 벽두께도 마찬가지로 지지면(20d)의 영역에서 밀봉립(20e)의 영역보다 더 크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장치(9a)는 3개의 절연 요소(21)를 갖는 3개의 플러그 커넥터(17)를 갖기 때문에, 각각 연관된 3개의 기능 요소(20)는 바람직하게는 공통 컴포넌트인 기능 요소 장치(20-1)로 통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3개의 기능 요소(20)는 지지면(20d)의 영역에서, 기능 요소(20)들의 종축이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인접한 기능 요소(20)들의 종축이 서로 균일하게 이격되도록 각각 연결 웨브(20f)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3개의 기능 요소(20)의 종축은 공통 평면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 웨브(20f)를 통해 서로 연결된 기능 요소(20)들은 연속하는 단일 부품 또는 일체형 컴포넌트로서 기능 요소 장치(20-1)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4a에는 수용 요소(14a)를 갖는 캐리어 요소(14), 홀딩 요소(18) 및 연결 요소(17)들을 갖는 연결 장치(9a) 및 분해도로 도시된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의 기능 요소(20)가 사시도로 나타나고, 반면에 도 4b에서 홀딩 요소(18), 연결 요소(17) 및 절연 요소(21) 및 절연 요소(21) 내에 배치된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의 기능 요소(20)를 갖는 연결 장치(9a)가 측면도로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연결 장치(9a) 및 기능 요소 장치(20-1)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기능 요소(20)들은 각각 플러그 커넥터(17) 상에 설치되고, 제1 섹션(20a)과 함께 갭 형태의, 특히 플러그 커넥터(17)와 절연 요소(21) 사이 환형 갭 형태의 간극에 삽입된다. 이 경우 기능 요소(20)는 바람직하게는 기능 요소(20)의 지지면(20d)이 절연성 요소(21)의 제2 단부면에 접할 때까지 절연 요소(21) 내로 삽입된다. 제1 단부면의 영역에서, 절연 요소(21)는 단부면 쪽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직경을 가지며 홀딩 요소(18)와 유체 기밀 방식으로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삽입 후, 기능 요소(20)는 또한, 각각의 경우에 도면에서 보이지 않는 제1 섹션(20a)의 외부 표면 및 이러한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된 밀봉립(20e)들에 의해 절연 요소(21)의 벽의 내부 표면에 접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도면에서 보이지 않는 통로 개구(20c)의 내부 표면을 갖는 기능 요소(20)는 플러그 커넥터(17)에 접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섹션을 갖는 기능 요소는 각 경우에 절연 요소의 외부 표면 상에, 절연 요소를 원주 방향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절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도 3a, 4a 또는 4b에 따른 실시 형태에서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와 절연 요소의 내부 표면 사이의 간극은 최소 폭을 갖는다.
기능 요소 장치(20-1)의 기능 요소(20)들은 각각 제2 섹션(20b)에 의해 수용 요소(14) 쪽으로, 특히, 수용 요소(14a)의 벽(15)들을 갖는 연결 통로(14b)들 쪽으로 정렬되어 배치되어 있다.
도 4c에는, 플러그 커넥터(17) 및 기능 요소(20)를 수용하기 위해 연결 통로(14b)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15)을 갖는 캐리어 요소(14)의 연결 통로(14b)가 상세도로 도시되어 있다. 중공 원형 실린더의 형상을 갖는 벽(15)은 연결 통로(14b)의 영역에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 하우징(14c)을 둘러싸는 수용 요소(14a)의 인클로저로부터 돌출되고, 축 방향으로 정렬된 제1 평면 또는 제1 단부면이 연결 통로(14b) 둘레에서 수용 요소(14a)의 인클로저와 유체 기밀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 단부 또는 제2 단부면은 도 4a에 따르면 연결 장치(9a)의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기능 요소 장치(20-1)를 갖는 연결 어레인지먼트(9a)를 장착하는 추가 공정에서, 기능 요소(20)들이 배치된 플러그 커넥터(17)는 캐리어 요소(14)의 수용 요소(14a)의 연결 통로(14b)에 삽입된다.
도 4d에는, 수용 요소(14a)를 갖는 캐리어 요소(14) 및 벽(15)과 연결 장치(9a) 상에 배치된,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의 기능 요소(20)를 갖는 연결 장치(9a)가 조립된 상태로 상세하게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의 조립된 상태에서, 도면에서 보이지 않는 제2 섹션(20b)을 갖는 기능 요소 장치(20-1)의 기능 요소(20)들은 플러그 커넥터(17)와 수용 요소(14a)의 벽(15) 사이 갭 형태의, 특히 환형 갭 형태의 간극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기능 요소(20)들을 갖는 연결 장치(9a)는 바람직하게는 기능 요소(20)의 지지면(20d)이 벽(15)의 제2 단부면에 접할 때까지 수용 요소(14a)에 삽입된다.
삽입 후, 기능 요소(20)는 또한, 각각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2 섹션(20b)의 외부 표면 및 상기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된 밀봉립(20e)들에 의해 수용 요소(14a)의 벽(15)의 내부 표면에 접한다.
벽(15)과 절연 요소(21)의 단부면들 사이에 배치된 기능 요소(20)의 지지면(20d)은 또한, 축 방향으로 컴포넌트들의 공차 보상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기능 요소(20)들은 전기 연결부들의 유체 기밀 방식의 밀봉 외에, 특히 압축기의 하우징 내부에서,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된 단자들과 압축기의 하우징 외부에 배치된 인버터의 단자들 사이에서 기능상 밀봉 요소 및 절연 요소로서, 또한 전기 절연에, 특히 전기 전도성 금속 표면 커버 및 잠재적인 스파크 갭 또는 특히, 고전압에서 라이브 및 접지 전위 상에 놓인 컴포넌트들 사이 연면 거리로서 에어 갭의 중단에 사용된다. 각각의 절연 저항이 증가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 주변에서 오일, 오염물 및 입자가 축적이 방지된다.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는 결과적으로 수용 요소(14a) 또는 캐리어 요소(14) 및 하우징(2)과 관련하여, 한편으로는 주변에 대해 스테이터(7) 및 로터(8)를 구비한 전기 모터(3)의 내부, 즉 하우징(2)의 내부를 밀봉하기 위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우징(2) 내부로 그리고 그에 따라 하우징(2) 내에서 흐르는 유체에 대해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플러그 커넥터 또는 단자들을 밀봉하고 분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바람직한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능 요소들은 캐리어 요소와 단일 부품 또는 일체형 컴포넌트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기능 요소들과 캐리어 요소는 2-컴포넌트 요소로서 또는 동일한 재료로 그리고 그에 따라 1-컴포넌트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두 실시 형태 모두에서 개별적인 기능 요소의 형성이 방지된다.
도 5에는 기능 요소들 또는 밀봉 요소들이 없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의 대안적인 실시 형태로 수용 요소(14a)의 벽(15)을 갖는 캐리어 요소(14) 및 연결 요소(17) 및 홀딩 요소(18)를 갖는 연결 장치(9b)가 측면도와 단면도로 나타난다.
플러그 커넥터(17), 홀딩 요소(18), 성형 요소(19) 및 절연 요소(21)를 갖는 연결 장치(9b)의 형성은 언급한 컴포넌트들에서 실제로 전술한 도면들, 특히 도 3a에 도시된 연결 장치(9a)의 형성에 상응하므로, 도면들의 실시 예들이 참조된다.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는 대안적인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기능 요소를 갖지 않는다.
판형 홀딩 요소(18)를 통해 안내되는 플러그 커넥터(17)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홀딩 요소(18)의 대향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반면에 플러그 커넥터(17)의 제3 영역은 홀딩 요소(18)의 관통 개구 내에 배치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17)의 제3 영역과 관통 개구를 둘러싸는 홀딩 요소(18)의 벽 사이에 형성된 간극은 성형 요소(19)에 의해 채워지며, 상기 성형 요소는 플러그 커넥터(17)의 제2 섹션 방향으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인버터(5) 쪽으로 정렬된 홀딩 요소(18)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캐리어 요소(14) 쪽으로 정렬된 홀딩 요소(18)의 평면으로부터 캐리어 요소(14) 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러그 커넥터(17)의 제1 영역은, 적어도 홀딩 요소(18)로의 전이 영역에서 절연 요소(21)에 의해 완전히 밀폐되어 있다. 절연 요소(21)는 바람직하게는 슬리브, 특히 중공 원통형 슬리브 형태의 세라믹 재료로 만들어지며, 2개의 단부면을 갖고 제1 단부면 상에서 홀딩 요소(18)와 완전히 유체 기밀 방식으로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절연 요소(21)는 제1 단부면의 영역에서 단부면 쪽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직경을 갖는다. 제1 단부면의 말단에 그리고 캐리어 요소(14) 쪽으로 정렬된 제2 단부면은 자유 단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17)는 절연 요소(21)의 제2 단부면의 제1 영역이 절연 요소(21)로부터 돌출한다. 일정한 외경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17)와 절연 요소(2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17)와 절연 요소(21) 사이에 간극이 제공되도록 축(22)을 따라 서로 동축으로 정렬되어 배치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17)와 절연 요소(21) 사이 갭 형태의 간극은 수용 요소(14a)의 벽(15)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 통로(14b) 주위에 형성된 수용 요소(14a)의 벽(15)은 축(22)의 방향으로, 절연 요소(21) 쪽으로 정렬되어 수용 요소(14a)로부터 돌출한다. 플러그 커넥터(17)는 제1 영역이 연결 통로(14b)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벽(15)은 제2 단부면의 영역이 플러그 커넥터(17)와 절연 요소(21) 사이 갭 형태의 간극에 삽입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연결 장치(9b)는 제2 단부면을 갖는 절연 요소(21)가 먼저 벽(15)의 제2 단부면을 지나 벽(15) 위로 슬라이딩되도록 이동되었다.
벽(15)은 제2 단부면의 영역에서 전체적으로 형성된, 비드 형태의 몰딩부(15a)의 외부 표면을 갖는다. 절연 요소(21)는 제2 단부면 영역에서 내부 표면 상에 전체적으로 배치된 챔퍼를 가지므로, 절연 요소(21)의 내경은 제2 단부면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챔퍼의 표면은 하기에서 밀봉면(21a)으로도 지칭된다. 벽(15)의 몰딩부(15a) 및 절연 요소(21)의 밀봉면(21a)은 각각 축(22)에 수직인 평면에 정렬되어 있다.
제2 단부면의 영역을 갖는 벽(15)을 먼저 플러그 커넥터(17)와 절연 요소(21) 사이 갭 형태의 간극에 삽입하는 공정 후에, 몰딩부(15a)가 밀봉면(21a)에 유체 기밀 방식으로 접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벽(15)과 절연 요소(21)가 서로 밀봉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축(22)을 따라 이루어지는 밀봉면(21a)의 원추형 형성으로 인해, 벽(15)이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벽(15)의 몰딩부(15a)와 절연 요소(21)의 밀봉면(21a) 사이에서 전체적인 밀봉 연결이 형성되도록 절연 요소(21)와 벽(15)이 축(2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밀봉면(21a)은 벽(15)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몰딩부(15a)를 완전히 둘러싼다.
벽(15)은 절연 요소(21) 내로 가압된다. 끝 위치에서, 원추형으로 줄어드는 밀봉면(21a)의 직경은, 전체적으로 충분히 큰 가압 압력이 가해지고 밀봉 기능이 생성되도록 작다. 그 결과 원추형으로 형성된, 절연 요소(21)의 밀봉면(21a)에 몰딩부(15a)를 갖는 벽(15)을 가압함으로써 배열의 견고성이 얻어지며, 이 경우 관련된 컴포넌트들, 즉 벽(15)과 절연 요소(21) 사이에서, 밀봉에 필요한 표면 압력이 야기된다. 밀봉면(21a)의 개방 각도는 필요한 접촉력을 발생시키는 자동 잠금식 죔쇠 끼워맞춤을 형성하도록 치수 설계되어 있다.
1: 압축기
2: 하우징
3: 장치, 전기 모터
4: 압축 기구
5: 인버터
6: 스위칭 장치
7: 스테이터
7a: 스테이터 코어
7b: 코일
7c: 절연체
8: 로터
9, 9a, 9b, 9': 연결 장치
10: 구동 샤프트
11: 스위칭 소자
12: 회로 기판
13: 종축
14: 캐리어 요소
14a: 수용 요소
14b: 연결 통로
14c: 커넥터 하우징
15: 연결 통로(14b)의 벽
15a: 몰딩부
16: 도선
17: 연결 요소, 플러그 커넥터
18: 홀딩 요소
19, 19': 성형 요소
20': 밀봉 요소
20: 기능 요소
20-1: 기능 요소 장치
20a: 기능 요소(20)의 제1 섹션
20b: 기능 요소(20)의 제2 섹션
20c: 기능 요소(20)의 관통 개구
20d: 기능 요소(20)의 지지면
20e: 기능 요소(20)의 밀봉립
20f: 기능 요소 장치(20-1)의 연결 웨브
21: 절연 요소
21a: 밀봉면
22: 축

Claims (29)

  1. 하우징(2)을 통해 전기 연결부들을 통과시키기 위한 압축기 구동 장치용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로서,
    상기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는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연결 요소(17) 및 홀딩 요소(18)를 갖는 연결 장치(9a, 9b) 및 벽(15)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 연결 통로(14b)를 갖는 수용 요소(14a)를 구비한 캐리어 요소(14)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요소(17)는, 각각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상기 홀딩 요소(18)로부터 돌출하는 방식으로 상기 홀딩 요소(18)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도록 배치되어 있고 성형 요소(19)를 통해 견고하게 그리고 상기 홀딩 요소(18)와 유체 기밀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요소(17)는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연결 통로(14b)를 통해 상기 수용 요소(14a) 안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연결 요소(17)의 적어도 제1 영역이 절연 요소(21)에 의해 적어도 국부적으로 완전히 둘러싸이고, 상기 절연 요소는 상기 홀딩 요소(18)와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홀딩 요소(18)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캐리어 요소(14)의 벽(15)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벽(15)과 함께 상기 연결 요소(17)의 제1 영역을 유체 기밀 방식으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17)의 제1 영역만 상기 절연 요소(21)에 의해 적어도 국부적으로 완전히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17)가 핀형 플러그 커넥터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17)가 원형-원통형으로 일정한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요소(14a)의 연결 통로(14b)를 둘러싸는 벽(15)이 축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2) 쪽으로 정렬되어, 상기 수용 요소(14a)로부터 돌출하는 방식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벽(15)이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 방향으로 정렬된 제1 단부면에 의해 전체적으로 상기 수용 요소(14a)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2 단부면은 상기 연결 장치(9a, 9b) 방향으로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요소(21)가 2개의 단부면을 갖는 슬리브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요소(21)가 제1 단부면 상에서 견고하게 그리고 상기 홀딩 요소(18)와 완전히 유체 기밀 방식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부면의 말단에 정렬된, 상기 절연 요소(21)의 제2 단부면은 상기 캐리어 요소(14) 쪽으로 정렬되어 있고 자유 단부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요소(21)가 세라믹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17)와 절연 요소(21)가, 연결 요소(17)와 절연 요소(21)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서로 동축으로 정렬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요소(18)가 대향 배치된 표면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연결 요소(17)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관통 개구를 구비하여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 요소(17)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상기 홀딩 요소(18)의 대향 표면들로부터 돌출하도록 그리고 상기 연결 요소(17)의 제3 영역이 상기 관통 개구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17)와 홀딩 요소(18) 사이에 형성된 갭이 상기 성형 요소(19)에 의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요소(19)가 유리 성형 요소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기능 요소(20)가 형성되어 있고, 이 기능 요소는 상기 수용 요소(14a)의 벽(15)과 절연 요소(21)를 서로 밀봉하는 방식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 요소(20)가 각각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지지면(20d)으로서 형성된 섹션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제1 섹션(20a) 및 제2 섹션(20b)을 갖는 슬리브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섹션(20a)과 제2 섹션(20b)은 각각 실제로 일정한 벽두께를 가지며, 각각의 경우 상기 섹션(20a, 20b)들의 외부 표면 상에 상기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밀봉립(20e)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립(20e)들이 각 섹션(20a, 20b)의 외부 표면을 완전히 둘러싸는 방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요소(20)의 지지면(20d)이 상기 섹션(20a, 20b)들의 외부 표면에 걸쳐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그리고 상기 기능 요소(20)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요소(20)는 제1 섹션(20a)이 상기 연결 요소(17)와 절연 요소(21) 사이에 형성된 갭 형태의 간극 내에 그리고 상기 제2 섹션(20b)이 상기 연결 요소(17)와 수용 요소(14a)의 연결 통로(14b)의 벽(15) 사이에 형성된 갭 형태의 간극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요소(20)는 상기 제1 섹션(20a)의 외부 표면이 상기 절연 요소(21)의 벽(15)의 내부 표면에 그리고 상기 제2 섹션(20b)의 외부 표면이 상기 수용 요소(14a)의 연결 통로(14b)의 벽(15)의 내부 표면에 접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21. 제14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연결 요소(17), 연결 통로(14b)의 벽(15)들 및 절연 요소(21)를 형성할 때 동일한 수의 기능 요소(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능 요소(20)는 일체형 기능 요소 장치(20-1)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22. 제21항에 있어서,
    각각 2개의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기능 요소(20)가 상기 지지면(20d) 영역에서 연결 웨브(20f)를 통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23. 제14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 요소(20)가 상기 캐리어 요소(14)와 함께 일체형 컴포넌트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2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요소(14a)의 벽(15)과 상기 연결 장치(9b)의 절연 요소(21)가 서로에 대해 밀봉 방식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벽(15)이 제1 단부면의 말단에 형성된 제2 단부면 영역에서 외부 표면 상에, 벽(15) 둘레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비드형 몰딩부(15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요소(21)가 제1 단부면의 말단에 형성된 제2 단부면 영역에서 내부 표면 상에, 챔퍼 형태로 전체적으로 배치되는 밀봉면(21a)을 갖고, 상기 절연 요소(21)의 내경은 상기 제2 단부면 쪽으로 확장되는 방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벽(15)이 상기 연결 요소(17)와 상기 절연 요소(21) 사이에 형성된 갭 형태의 간극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몰딩부(15a)를 갖는 벽(15)은 상기 절연 요소(21)의 밀봉면(21a)에 유체 기밀 방식으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28. 공통의 종축(13)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 로터(8)와 스테이터(7) 그리고 하우징(2)을 구비하는, 증기 유체의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 특히 전기 모터로서,
    축 방향으로 정렬된, 상기 스테이터(7)의 제1 단부면 상에 하나 이상의 커넥터 하우징(14c)을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 요소(14a)를 갖는 캐리어 요소(14)가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수용 요소(14a)는 하나 이상의 연결 요소(17)를 수용하기 위한 벽(15)을 갖는 하나 이상의 연결 통로(14b)를 갖고, 그리고 상기 압축기 구동 장치가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를 구비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자동차의 공기 조화 시스템의 냉매 회로에서 냉매의 압축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증기 유체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 특히 전기 모터의 용도.
KR1020217034929A 2019-10-01 2020-09-25 압축기 구동 장치용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및 압축기 구동 장치 KR1026611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26499.5 2019-10-01
DE102019126499.5A DE102019126499A1 (de) 2019-10-01 2019-10-01 Dichtungs-Isolier-Anordnung für eine Vorrichtung zum Antreiben eines Verdichters und Vorrichtung zum Antreiben eines Verdichters
PCT/KR2020/013137 WO2021066428A1 (en) 2019-10-01 2020-09-25 Sealing-and-insulating arrangement for a device used for driving a compressor and device for driving a compres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807A true KR20210134807A (ko) 2021-11-10
KR102661127B1 KR102661127B1 (ko) 2024-04-26

Family

ID=74872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4929A KR102661127B1 (ko) 2019-10-01 2020-09-25 압축기 구동 장치용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및 압축기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228599A1 (ko)
EP (1) EP4038699A4 (ko)
JP (1) JP7372989B2 (ko)
KR (1) KR102661127B1 (ko)
CN (1) CN114051680B (ko)
DE (1) DE102019126499A1 (ko)
WO (1) WO20210664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13402B2 (ja) 2019-02-19 2022-01-31 ショット日本株式会社 電動コンプレッサ用気密端子
DE102021108952A1 (de) 2021-04-10 2022-10-1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Elektrische Maschine
DE102022110839A1 (de) * 2021-05-10 2022-11-10 Hanon Systems Durchführungs- und Abdichtungsanordnung
DE102021124522A1 (de) 2021-09-22 2023-03-2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Dichtungsstopfen zum elektrischen Anschluss eines Bürstenmoduls einer elektrischen Maschine
EP4203274A1 (en) * 2021-12-23 2023-06-28 Rolls-Royce Deutschland Ltd & Co KG Electrical generator system
DE102022209762A1 (de) * 2022-09-16 2024-03-21 Rolls-Royce Deutschland Ltd & Co Kg Elektrische Maschine mit offener Spulenwicklung zur Direktkühl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1983U (ko) * 1986-09-22 1988-04-07
JP2011241799A (ja) * 2010-05-21 2011-12-01 Valeo Japan Co Ltd 電動圧縮機の中継接続構造
JP2015183668A (ja) * 2014-03-26 2015-10-22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動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4973A (en) * 1990-03-21 1991-01-15 Tecumseh Products Company Hermetic motor compressor unit having a hermetic terminal with electrically insulating anti-tracking cap
JP3020341B2 (ja) * 1992-03-18 2000-03-15 松下冷機株式会社 気密端子保護カバー
US5830012A (en) * 1996-08-30 1998-11-03 Berg Technology, Inc. Continuous plastic strip for use in manufacturing insulative housings in electrical connectors
DE10117976A1 (de) * 2001-01-25 2002-08-22 Siemens Ag Einrichtung zur Durchführung von elektrischen Leitungen durch die Wandung eines Kraftstoffbehälters
JP2005155369A (ja) * 2003-11-21 2005-06-16 Toyota Industries Corp 電動圧縮機
JP4926922B2 (ja) * 2007-11-19 2012-05-09 サンデン株式会社 電動圧縮機の端子装置
JP2010001859A (ja) * 2008-06-23 2010-01-07 Sanden Corp 電動圧縮機
JP5278956B2 (ja) * 2009-04-08 2013-09-04 エヌイーシー ショット 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高耐圧気密端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98931B2 (ja) * 2010-02-10 2012-03-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JP5252006B2 (ja) * 2011-03-08 2013-07-3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5267601B2 (ja) * 2011-03-08 2013-08-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FR2973604B1 (fr) 2011-03-31 2014-10-31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Dispositif de fixation d'un conducteur electrique dans un compresseur
JP5944169B2 (ja) * 2012-01-20 2016-07-05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動圧縮機
CN204144463U (zh) * 2014-08-28 2015-02-04 潮州三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接线端子及由其构成的压缩机
DE102015122342A1 (de) * 2015-12-21 2017-06-22 OET GmbH Kompressor
KR102583934B1 (ko) * 2016-09-08 2023-10-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압축기
US10454334B2 (en) * 2016-04-22 2019-10-22 Hanon Systems Compressor
KR102559314B1 (ko) * 2016-08-25 2023-07-2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클러스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압축기
FR3064827B1 (fr) * 2017-03-28 2020-10-23 Valeo Japan Co Ltd Connecteur electrique pour composant electrique d'un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au moins deux dispositifs d'etancheite
CN208718931U (zh) * 2018-08-20 2019-04-09 上海本菱涡旋压缩机有限公司 一种涡旋压缩机的电机端子盒结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1983U (ko) * 1986-09-22 1988-04-07
JP2011241799A (ja) * 2010-05-21 2011-12-01 Valeo Japan Co Ltd 電動圧縮機の中継接続構造
JP2015183668A (ja) * 2014-03-26 2015-10-22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動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51680B (zh) 2024-04-19
KR102661127B1 (ko) 2024-04-26
DE102019126499A1 (de) 2021-04-01
US20220228599A1 (en) 2022-07-21
EP4038699A4 (en) 2023-11-01
JP7372989B2 (ja) 2023-11-01
EP4038699A1 (en) 2022-08-10
WO2021066428A1 (en) 2021-04-08
JP2022535203A (ja) 2022-08-05
CN114051680A (zh) 202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1127B1 (ko) 압축기 구동 장치용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및 압축기 구동 장치
KR102184065B1 (ko) 압축기 구동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조립 방법
JP7228700B2 (ja) 電気端子をプラグ-イン接続するための装置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102259901B1 (ko) 압축기 구동 장치용 밀봉 어레인지먼트 및 압축기 구동 장치
US20220278481A1 (en) Seal arrangement of a plug-in connection for establishing electrical connections and a device for driving a compressor with the seal arrangement
KR20230101852A (ko) 압축기 구동 장치를 위한 밀봉 장치 및 압축기 구동 장치 및 밀봉 장치를 장착하는 방법
US20220399677A1 (en) Arrangement for plug-connecting electrical connections, and device for driving a compressor with the arrangement
CN110323871B (zh) 电动压缩机
CN111953111A (zh) 具有绝缘组件的用于驱动压缩机的装置
CN117955288A (zh) 驱动压缩机的装置所用的密封布置结构和驱动压缩机的装置及制造连接布置结构的方法
KR20240016338A (ko) 압축기 구동을 위한 장치를 위한 밀봉장치
US20240171033A1 (en) Sealing arrangement of a device for driving a compressor
KR102671771B1 (ko) 압축기 구동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제조 방법
CN217485778U (zh) 法兰连接件和连接器
US20240014703A1 (en) Assembly for establishing electrical contact with an electric motor for driving a refrigerant compressor, electric motor for driving a refrigerant compressor, and method for establishing electrical contact with the electric motor
KR20240076381A (ko) 압축기 구동을 위한 장치의 밀봉장치
CN117199883A (zh) 法兰连接件和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