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3734A -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3734A
KR20210133734A KR1020200052716A KR20200052716A KR20210133734A KR 20210133734 A KR20210133734 A KR 20210133734A KR 1020200052716 A KR1020200052716 A KR 1020200052716A KR 20200052716 A KR20200052716 A KR 20200052716A KR 20210133734 A KR20210133734 A KR 20210133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volatile
slurry
ey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지연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200052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3734A/ko
Publication of KR20210133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7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와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 및 휘발성 용매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이용하여 습식 공정으로 제조되어,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 펄의 부착력 및 지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YE MAKEUP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색조 화장품은 용모를 아름답게 변화시켜 피부를 아름답게 연출시키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색조 화장품은 얼굴 전체의 피부색을 균일하게 하고, 결점을 커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베이스 메이크업과 입술, 눈, 손톱 등에 사용되어 부분적으로 입체감을 높이는 포인트 메이크업으로 구분된다.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으로는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등이 있고, 포인트 메이크업 제품으로는 입술용 화장품, 아이 메이크업 화장품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아이 메이크업 화장품은 눈 주변에 도포되어 눈의 윤곽을 강조하고, 눈매에 아름다움을 주는 목적으로 사용하며,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아이섀도우, 아이브로우 펜슬 등이 있다.
아이 메이크업 화장품은 눈 주변에 도포되기 때문에 눈에 대한 자극이 없어야 하며, 건조 속도가 빨라 도포 직후에 묻어남이 없어야 하고, 땀, 눈물 및 유분에 쉽게 번지지 않으면서, 가루 날림이 없도록 균일하게 발리며, 사용시 부담감이 없고, 미생물에 대한 오염가능성이 적으며, 세안 시 쉽게 지워져야 한다.
특히, 펄을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품의 경우 펄의 부착력과 지속력이 소비자의 선호도와 제품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 아이 메이크업 화장품 중 슬러리를 이용하는 습식 공정으로 제조된 습식 아이 메이크업 화장품이 맑게 발색되고, 촉촉한 반짝임으로 표현되는 등의 장점이 있어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습식 아이 섀도우와 같은 습식 아이 메이크업 화장품은 습식 공정으로 제조 시, 용매로서 습식 성형에 유리한 저점도의 휘발성 용매가 사용되었다. 상기 저점도의 휘발성 용매로는 휘발성 실리콘계 용매 또는 휘발성 하이드로 카본계 용매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휘발성 용매를 사용하게 되면 펄감이 저하되고, 오일 바인더를 원료 물질로 함께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펄 부착력 및 지속력이 크게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습식 아이 메이크업 화장품의 펄 부착력 및 지속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습식 공정에 끈끈한 사용감을 나타내는 페이스트형의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를 도입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101384호는 고함량의 펄 파우더 및 오일 바인더를 포함하는 루스 타입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아이 섀도우, 아이 브로우 등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용도를 개시한다. 상기 특허는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인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와 휘발성 하이드로 카본계 용매인 이소도데칸을 함께 습식 공정에 적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를 휘발성 하이드로 카본계 용매와 함께 습식 공정에 적용할 경우, 슬러리 형성시 용매 흡습 과정에서 펄 부착력을 향상시키는 상기 오일 바인더가 용매와 함께 흡수되어 제조된 성형물의 펄 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습식 공정에서 상기 페이스트형의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과 휘발성 실리콘계 용매를 함께 습식 공정에 적용할 경우, 상기 페이스트형의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의 분산성이 저하되어 펄과 페이스트형의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의 응집으로 인하여 불균일한 슬러리가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습식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습식 공정에서 펄의 부착력 및 지속력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하는 페이스트형의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의 기능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페이스트형의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과의 상용성이 좋은 원료 물질들을 함께 포함하는 습식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101384호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을 제조하기 위한 습식 공정에서,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에 의한 펄 부착력 및 지속력 효과를 저해시키지 않는 용매를 함께 사용하여, 성형성과 펄 부착력 및 지속력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펄의 부착력 및 지속력이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펄과 오일 바인더를 포함하는 파우더부, 및 용매를 포함하는 용매부를 포함하되, 상기 오일 바인더는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용매는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를 포함하는 것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S1) 펄과 오일 바인더를 포함하는 파우더부 및 용매를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S2) 상기 슬러리를 성형하는 단계; 및 (S3) 상기 성형된 슬러리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슬러리는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 및 휘발성 용매를 포함하는 것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의 사용으로 인하여 펄의 부착력 및 지속력이 향상되어, 반짝이고 빛나는 심미감이 개선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습식 공정용 슬러리에 포함된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와 함께 사용된 용매의 조합으로 인하여, 상기 오일 바인더의 분산성이 개선되고, 습식 공정용 슬러리의 성형성이 좋아져 공정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a는 종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제조시 사용된 습식 공정용 용매에서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168ARV)의 분산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b는 종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제조시 사용된 습식 공정용 용매를 이용한 펄과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168ARV)의 성형물을 검은색 종이에 도포한 상태 및 성형 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c는 다양한 용매에서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168ARV)의 분산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슬러리의 레올로지를 측정하기 위한 레오미터의 회전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a 및 3b는 아이 섀도우 조성물 제조를 위한 습식 공정 중, 슬러리의 분산 전 및 후의 점도 데이터를 이용한 슬러리의 레올로지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2,3,5에서 형성된 슬러리의 분산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 펄의 부착력과 지속력이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부와 용매부를 포함한다. 상기 용어 “파우더부”는 파우더로만 이루어진다는 의미는 아니며, 파우더 형태의 성분을 일부 포함하며, 용매부와의 구분을 위해 파우더부라고 명명한 것이다. 상기 파우더부는 펄과 오일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용매부는 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오일 바인더는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용매는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슬러리를 이용하는 습식 공정으로 제조된다. 상기 슬러리 역시 파우더부 및 용매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러리에 포함된 파우더부의 조성은 상기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파우더부와 동일하며, 상기 슬러리에 포함된 용매부의 조성은 상기 아이 메이크 화장료 조성물의 용매와 비교하여 휘발성 용매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슬러리의 파우더부는 펄과 오일 바인더를 포함하고, 용매부는 용매를 포함하되, 상기 오일 바인더는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용매는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 및 휘발성 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슬러리에 포함된 용매 중 휘발성 용매는 습식 공정이 완료되면 모두 휘발되어 제거되므로, 상기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또는 슬러리에서 파우더부와 용매부의 중량비는,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이나 습식 성형 가능 여부에 의해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이나 습식 성형 가능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파우더부의 조성에 따라 상기 파우더부와 용매부의 중량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또는 슬러리에서 상기 파우더부와 용매부의 중량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파우더부와 용매부를 1 : 0.2 내지 1 : 1.8 의 중량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우더부와 용매부의 중량비는 1 : 0.2 이하, 1 : 0.4 이하, 1: 0.6 이하 또는 1 : 0.8 이하일 수 있고, 1 : 1.8 이상, 1 : 1.6 이상, 1 : 1.4 이상 또는 1 : 1.2 이상일 수 있으나, 상기 중량비는 일 예에 불과하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는 25℃에서 40Pa 내지 60Pa의 전단 응력(shear stress)을 가할 때 점도의 요변성(thixotropy)이 나타나는 레올로지(reogoloy) 특성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점도의 요변성이란, 상기 슬러리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되 상기 전단 응력의 크기가 점점 커지면서 가해질 때, 점도가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 상기 점도의 요변성이 나타나는 지점을 점도의 변곡점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점도의 변곡점이란 점도의 최저점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점도의 요변성이 나타나도록 하는 전단 응력은 40Pa 이상, 43Pa 이상, 45Pa 이상 또는 48Pa 이상일 수 있고, 53Pa 이하, 55Pa 이하, 58Pa 이하 또는 60Pa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전단 응력이 40Pa 미만에서 점도의 요변성이 나타난다면 성형이 불가능할 수 있고, 60Pa 초과에서 점도의 요변성이 나타나는 슬러리 역시 성형 공정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없다. 60Pa 초과에서 점도의 요변성이 나타나는 슬러리의 경우 슬러지 자체에 펄과 오일이 엉긴 덩어리가 있거나, 육안 상으로는 파우더가 분산이 잘 되어 보이나 슬러리가 매우 끈끈하게 늘어지는 양상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펄은 피부에 도포 시 빛나고 반짝이는 효과를 나타내어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펄은 마이카, 합성 마이카, 합성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알루미나, 보로실리케이트, 보론나이트라이드, 탈크 및 세리사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펄이라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펄은 코팅 물질에 의해 코팅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코팅 물질은 티타늄옥사이드, 틴옥사이드 및 아이런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펄은 평균 입경이 10 ㎛ 내지 200 ㎛이고, 종횡비(aspect ratio)가 60 내지 120인 입자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펄의 평균 입경은 10 ㎛ 이상, 30 ㎛ 이상 또는 50 ㎛ 이상 일 수 있고, 150 ㎛ 이하, 180 ㎛ 이하 또는 200 ㎛ 이하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펄의 종횡비는 60 이상, 70 이상 또는 80 이상 일 수 있고, 100 이하, 110 이하 또는 120 이하 일 수 있다. 상기 펄의 평균 입경이 10 ㎛ 미만이면 백탁 현상과 가루 날림이 나타나고, 200 ㎛ 초과이면 피부 부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펄의 종횡비가 60 미만이면 가루 날림이 생기며 빛나고 반짝이는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120 초과이면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펄은 파우더부 총 중량에 대해 40 중량% 내지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펄의 함량은 40 중량% 이상, 43 중량% 이상, 45 중량% 이상 또는 48 중량% 이상일 수 있고, 52 중량% 이하, 55 중량% 이하, 58 중량% 이하, 또는 6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펄의 함량이 40 중량% 미만이면 빛나고 반짝이는 효과를 충분히 나타낼 수 없을 수 있고, 60 중량% 초과이면 펄의 함량이 과도하여 피부 부착력이 저하되고 부착이 된다 하더라도 가루 날림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일 바인더는 조성물 내에 포함된 파우더 사이에 스며들어, 조성물을 점성이 있는 상태로 유지시켜 피부 밀착력과 지속력을 향상시키고, 제조 공정에서는 성형성을 좋게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오일 바인더로서, 펄의 부착력과 지속력을 좋게 하기 위하여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를 포함하며, 추가로 에스터계 오일 바인더 및 실리콘계 오일 바인더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는 끈끈한 사용감을 나타내어, 펄이 피부에 잘 부착되게 하며, 펄이 부착된 상태를 오랜 시간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는 다이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Dipentaerythrityl Hexahydroxystearate/Hexastearate/Hexarosin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이소스테아레이트(HYDROGENATED CASTOR OIL ISOSTEAR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및 폴리부텐(Polybut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펄의 부착력 및 지속력 측면에서 다이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는 파우더부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의 함량은 0.1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또는 1.5 중량% 이상일 수 있고, 2.5 중량% 이하, 3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또는 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펄의 부착력 및 지속력이 저하될 수 있고, 5 중량% 초과이면 끈끈한 사용감이 과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스터계 오일 바인더는 피부 밀착력과 보습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에스터계 오일 바인더는 옥틸도데실스테아로일스테아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디헵타노에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스터계 오일 바인더는 파우더부 총 중량에 대해 10 중량%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에스터계 오일 바인더의 함량은 10 중량% 이상, 13 중량% 이상, 또는 15 중량% 이상일 수 있고, 20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또는 3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에스터계 오일 바인더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밀착력과 보습력이 저하될 수 있고, 30 중량% 초과이면 끈적이는 사용감이 과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오일 바인더는 조성물 내에서 펄의 분산성을 높여 서로 뭉치지 않게 하고, 발림성을 개선하여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시 뭉치지 않고 매끄럽고 균일하게 도포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 바인더는 디메티콘(dimethicone), 사이클로메티콘(cyclomethicone), 알킬트리메티콘(alkyltrimethicone) 및 메틸페닐실록산(methylphenylsiloxa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 바인더는 25℃에서의 점도가 6cs 이상, 6.5cs 이상, 7cs 이상 또는 7.5cs 이상의 오일 바인더 일 수 있으며, 이에 실리콘계 오일 바인더로 사용된 디메티콘 역시 점도 6 cs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계 오일 바인더는 파우더부 총 중량에 대해 3 중량%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에스터계 오일 바인더의 함량은 3 중량% 이상, 3.2 중량% 이상, 또는 3.5 중량% 이상일 수 있고, 4.5 중량% 이하, 4.7 중량% 이하, 또는 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 바인더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이면 펄의 뭉침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5 중량% 초과이면 펄의 부착력과 지속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파우더부는 파우더를 더 포함할 수 있어 피부에 도포 시 피부 결점을 감추고 자연스러운 발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파우더는 형상에 따라 판상 파우더, 구형 파우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 가능한 파우더라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판상 파우더는 압축 성형성, 커버력, 피부 부착성 및 밀착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판상 파우더의 종류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당 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판상 파우더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판상 파우더는 평균 두께가 0.1 내지 1.0 ㎛이고 평균 입자 직경이 1 내지 100 ㎛이며 평균 두께로 평균 입자 직경을 나눠 얻은 종횡비는 10 이상인 것이 압축 성형성, 커버력, 피부 부착성 및 사용감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상 파우더는 탈크(Talc), 마이카(Mica), 보론나이트라이드(Boron nitride), 바륨설페이트(Barium sulfate), 알루미나(Alumina) 세리사이트(sericite), 카올린(Kaolin), 및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Synthetic Fluorphlogopit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 탈크를 사용한다. 탈크는 탄성이 없는 특징을 가지며 평균 입자 크기가 10 ㎛ 이내인 경우 거의 모든 종류가 성형이 가능하고, 성형 이후 가루 날림이 적으며 낙하 안정성이 강하므로, 압축 파우더 제형을 구현하기에 적합하다. 탈크 파우더의 크기가 클수록 조밀함이 떨어져 성형성이 저하되므로, 4 ㎛ 이상 또는 6 ㎛ 이상이거나 7 ㎛ 이하 또는 9 ㎛ 이하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탈크 파우더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상 파우더의 함량은 상기 파우더부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내지 40 중량%일 수 있으며, 구체적로는 20 중량% 이상, 22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27 중량% 이상일 수 있고, 32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8 중량% 이하 또는 4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판상 파우더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성형성과 피부 결정 커버력이 저하될 수 있고, 40 중량% 초과인 경우, 구상 파우더의 함량이 낮아져 뭉침 현상이 적은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없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한다.
상기 구상 파우더는 입자의 형태가 구형을 이루는 파우더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어 매끄럽고 가벼운 감촉을 부여한다. 구상 파우더는 광을 모든 방향으로 확산하는 효과가 있어, 판상 파우더에 비하여 피부의 결점을 은폐시켜주는 효과가 우수하다. 이에, 구상 파우더의 비율이 높은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자연스러운 피부 연출에 효과적이며, 화장막의 유지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구상 파우더의 함량은 1 중량% 내지 10 중량%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또는 3 중량% 이상일 수 있고 8 중량% 이하, 9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구상 파우더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피부 결점 은폐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10 중량% 초과이면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력이 다소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구상 파우더는 평균 입경 1 ㎛ 내지 50 ㎛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 ㎛ 이상, 5 ㎛ 이상, 10 ㎛ 이상, 15 ㎛ 이상, 20 ㎛ 이상일 수 있고, 30 ㎛ 이하, 35 ㎛ 이하, 40 ㎛ 이하, 45 ㎛ 이하 또는 5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구상 파우더의 평균 입경이 1 ㎛ 미만이면 가루 날림이 있을 수 있고, 50 ㎛ 초과이면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상 파우더는 무기 입자, 유기 입자 및 유무기 복합 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입자는 바람직하기로 실리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는 다공질의 구상 파우더로서 흡유량이 높아 화장막의 지속성을 유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며, 굴절률이 낮아 투명성이 높고, 다른 파우더를 고르게 도포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기 입자는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나일론, 에틸렌/아크릴산 코폴리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폴리알릴메타크릴레이트/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가교 아크릴레이트/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무기 복합입자는 예를 들어 나일론/실리칸/엘라스토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실리콘레진 파우더, 유기 실리콘 입자, 유기물질로 표면 처리된 실리카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레진 파우더는 구체적으로 실세스퀴옥산 레진과 같은 실리콘 레진이 코팅된 유기폴리실록산 엘라스토머 파우더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실리콘 입자는 예를 들어 메틸실란올/실리케이트 크로스폴리머일 수 있고, 상기 유기 물질로 표면 처리된 실리카는 예를 들어 표면이 폴리디메틸실록산으로 코팅된 실리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용매부에 포함된 용매는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 상태에서는 상기 용매부에는 상기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가 용매부 총 중량에 대하여 10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습식 공정에 사용된 습식 공정용 슬러리에 포함된 용매는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 및 휘발성 용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휘발성 용매는 슬러리 형성 단계, 성형 단계 및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습식 공정 중 건조 단계에서 모두 휘발되므로, 제조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는 휘발성 용매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상기 슬러리에 포함된 용매의 종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펄의 부착력 및 지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오일 바인더인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와의 상용성을 고려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는 상기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의 분산성을 개선하여 펄의 피부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휘발성 용매는 습식 공정에서 성형성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습식 공정에서 용매로서 상기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 및 휘발성 용매를 함께 사용할 경우에 이와 같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만약, 상기 습식 공정에서 슬러리 제조시 상기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만을 사용할 경우 성형성이 좋지 않고, 상기 휘발성 용매만을 사용할 경우 제조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펄 부착력과 지속력이 저하되고 가루날림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는 오일 바인더인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에 의한 펄 부착력 및 지속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는 습식 공정에서 상기 오일 바인더의 분산성을 좋게 하여 펄과의 뭉침을 방지하는 기능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는 저점도의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일 수 있으며, 상기 저점도는 25℃에서 점도가 100 mPas 이하, 80 mPas 이하, 60 mPas 이하, 50 mPas 이하, 40 mPas 이하 또는 30 mPas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는 저점도인 특성으로 인하여 습식 설비에서 흡습이 잘 되어 성형성 개선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의 백본에 치환된 페닐기를 포함하는 구조로 인하여 상기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와의 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는 다이페닐실록시페닐트라이메티콘, 디메티콘 및 카프릴릴메티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용매는 습식 공정에서 성형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휘발성 용매는 습식 공정의 건조 단계에서 모두 휘발되어 제거되므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상기 휘발성 용매는 25℃에서 점도가 1cs 이하, 0.8cs 이하, 0.7cs 이하 또는 0.65cs 이하의 저점도 휘발성 용매일 수 있으며, 이에 하기 휘발성 실리콘계 용매인 디메티콘 역시 상기 점도 범위에 속하는 휘발성 용매일 수 있다.
상기 휘발성 용매는 휘발성 실리콘계 용매 및 휘발성 하이드로 카본계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휘발성 실리콘계 용매는 디메티콘, 사이클로메티콘, 알킬트리메티콘 및 메틸페닐실록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휘발성 하이드로 카본계 용매는 이소도데칸, 이소프로필알코올, 이소파라핀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의 용매부에 포함된 휘발성 용매의 종류에 따라, 상기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와 휘발성 용매의 중량비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휘발성 용매 중 휘발성 하이드로 카본계 용매일 경우 상기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를 잘 분산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휘발성 용매 중 휘발성 실리콘계 용매는 상기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와의 상용성이 좋지 않아 상기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를 잘 분산시킬 수 없으므로, 습식 성형시 상기 휘발성 실리콘계 용매와 상기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와의 중량비에 더 민감할 수 있다.
상기 슬러리의 용매부에 포함된 휘발성 용매가 휘발성 실리콘계 용매일 경우, 상기 용매부는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 5 중량% 내지 30 중량% 및 휘발성 실리콘계 용매 70 중량% 내지 9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가 5 중량% 미만이거나 상기 휘발성 실리콘계 용매가 95 중량% 초과일 경우 펄의 부착력과 지속력이 저하될 수 있고 가루 날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가 30 중량% 초과이거나 상기 휘발성 실리콘계 용매가 70 중량% 미만이면 상기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를 더 분산을 잘 시켜주어 상용성은 더 우수하나, 상기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 특유의 끈끈함이 남아있어 솔벤트 흡습이 잘 되지 않으므로, 습식 설비에서 성형이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러리의 용매부에 포함된 휘발성 용매가 휘발성 하이드로 카본계 용매일 경우, 상기 용매부는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 60 중량% 내지 90 중량% 및 휘발성 하이드로 카본계 용매 10 중량%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가 60 중량% 미만이거나, 상기 휘발성 하이드로 카본계 용매가 40 중량% 초과이면 펄의 부착력과 지속력이 저하될 수 있고 가루 날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가 90 중량% 초과이거나, 상기 휘발성 하이드로 카본계 용매가 10 중량% 미만이면 상기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와의 상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아이 섀도우, 아이 프라이머 또는 아이 메이크업 베이스로 제형화 되는 것일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보습제, 방부제, 자외선 흡수제, 색소, 무기염 또는 유기산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스테아르산나트륨, 팔미트산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지방산 비누로 대표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과 같이 화장료 조성물에 범용되는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는, 예를 들어, 소르비톨, 자일리톨, 글리세린, 멀티톨,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1,4-부틸렌글리콜,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락트산, 락트산나트륨,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화장료에 범용되는 보습제를 들 수 있다.
상기 방부제로는, 예를 들어, 파라옥시벤조산알킬에스테르, 벤조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등의 화장료에 범용되는 방부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파라아미노벤조산계 자외선 흡수제, 안트라닐계 자외선 흡수제,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계피산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등의 화장료에 범용되는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색소로는, 예를 들어, 적색 3 호, 적색 104 호, 적색 106 호, 적색 201 호, 적색 202 호, 적색 204 호, 적색 205 호, 적색 220 호, 적색 226 호, 적색 227 호, 적색 228 호, 적색 230 호, 적색 401 호, 적색 505 호, 황색 4 호, 황색 5 호, 황색 202 호, 황색 203 호, 황색 204 호, 황색 401 호, 청색 1 호, 청색 2 호, 청색 201 호, 청색 404 호, 녹색 3 호, 녹색 201 호, 녹색 204 호, 녹색 205 호, 등색 201 호, 등색 203 호, 등색 204 호, 등색 206 호, 등색 207 호 등의 타르 색소 ; 카민산, 락카인산, 브라질린, 크로신 등의 천연 색소 등의 화장료에 범용되는 색소를 들 수 있다.
상기 무기염 또는 유기산염으로는, 염산, 황산, 질산 등의 무기산 ;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말산 등의 옥시카르복실산 ; 포름산, 아세트산, 소르브산 등의 카르복실산 ; 또는 살리실산, 벤조산 등의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또는 알루미늄염을 들 수 있다.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조방법은 (S1) 펄과 오일 바인더를 포함하는 파우더부 및 용매를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S2) 상기 슬러리를 성형하는 단계; 및 (S3) 상기 성형된 슬러리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슬러리는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 및 휘발성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1) 단계에서는, 펄과 오일 바인더를 포함하는 파우더부 및 용매를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펄, 오일 바인더 및 용매의 종류와 함량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혼합 방법으로 당업계에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습식 공정에 적용되는 혼합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혼합기 또는 교반기에 용매를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 용매에 파우더부에 포함된 펄과 오일 바인더를 분산시키고 교반 및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우더부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는 각종 파우더와 첨가제를 함께 교반 및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슬러리를 형성하기 위한 용매는 비휩라성 실리콘계 용매 및 휘발성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2) 단계에서는, 상기 (S1) 단계에서 얻은 슬러리를 원하는 형태로 성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성형 방법 역시 당업계에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습식 공정에 적용되는 성형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최종적으로 얻고자 하는 형상의 용기에 슬러리를 충진시켜 성형시킬 수 있다.
상기 (S3) 단계에서는, 상기 (S2) 단계에서 얻은 성형된 슬러리를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건조 후에는 상기 (S1) 단계에서 사용된 휘발성 용매가 모두 휘발되어 제거되어,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45℃ 내지 55℃ 의 온도에서 건조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시험예 1: 습식 공정에서,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와 상용성이 좋은 용매 선정
펄의 부착력 및 지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로서 다이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Cosmol 168ARV, Nisshin OilliO)(이하, "168ARV"라 함.)를 준비하였다.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를 제조하기 위한 습식 공정에, 상기 168ARV와 상용성이 좋으면서도 상기 168ARV에 의한 펄의 부착력 및 지속력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는 용매를 선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용매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168ARV의 분산성 및 성형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1-1. 종래 습식 공정용 용매에서의 분산성 시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제조를 위한 종래 습식 공정용 용매인 이소도데칸(휘발성 하이드로 카본계 용매)(이하, "휘발성 HC 용매"라 함.) 및 디메티콘(휘발성 실리콘계 용매, 이하, "휘발성 SC 용매"라 함.)를 준비하였다.
상기 168ARV 0.3g을 상기 이소도데칸 20g 및 디메티콘 20g에 각각 분산시키고 10회 쉐이킹(shaking) 후, 분산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도 1a는 종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제조시 사용된 습식 공정용 용매에서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168ARV)의 분산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168ARV은 휘발성 HC 용매인 이소도데칸에서는 분산성이 좋으나, 휘발성 SC 용매인 디메티콘에서는 분산성이 좋지 않을 것을 알 수 있었다.
1-2. 종래 습식 공정용 용매에서의 성형성 시험
종래 습식 공정용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168ARV의 성형성을 시험하였다.
종래 습식 공정용 용매로는 각각 휘발성 HC 용매 및 휘발성 SC 용매를 이용하였으며, 각각 표 1의 비교예 3(휘발성 SC 용매, 디메티콘) 및 비교예 4(휘발성 HC 용매, 이소도데칸)의 조성을 혼합하여 성형물을 제조한 후 상기 성형물을 잘 형성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도 1b는 종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제조시 사용된 습식 공정용 용매를 이용한 펄과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168ARV)의 성형물을 검은색 종이에 도포한 상태 및 성형 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습식 공정용 용매 중 휘발성 HC 용매인 이소도데칸을 이용한 성형물을 검은색 종이에 도포한 경우, 펄의 밀착력이 좋지 않고 가루 날림이 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습식 공정용 용매 중 휘발성 SC 용매인 디메티콘을 이용하여 성형물을 제조할 경우, 상기 펄과 168ARV의 뭉침 현상이 관찰되고, 슬러리가 분리되어 성형이 불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3. 신규 용매 선정
종래 습식 공정용 용매 이 외에, 다양한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168ARV의 성형성을 시험하였다.
상기 168ARV 0.3g을 용매 20g에 분산시키고 10회 쉐이킹(shaking) 후, 분산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이때, 상기 용매로는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인 다이페닐실록시페닐트라이메티콘(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KF-56A, Shin-Etsu Chemical Co., Ltd)(이하, KF-56A라 함.), DUBTM DNPG, BGC(butylene glycol), Cetiol® A(BASF), Cetiol® CC(BASF), CSA(camphorsulfonic acid) 및 스쿠알란(Squalane)을 사용하였다.
도 1c는 다양한 용매에서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168ARV)의 분산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용매 중에서 저점도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인 KF-56A(25℃에서 점도: 15 ㎟/s)에서 168ARV의 분산성이 가장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1-1 내지 1-3으로부터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인 다이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168ARV)는 종래 습식 공정용 용매 중 휘발성 HC 용매인 이소도데칸에서 분산성이 좋고, 또한,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인 다이페닐실록시페닐트라이메티콘에서도 분산성이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오일 바인더인 상기 168ARV로 인한 펄 부착력과 지속력 향상 효과를 유지시켜 주면서 성형성까지 개선시킬 수 있는 단일 용매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서, 상기 168ARV의 펄 부착력과 지속력 향상 특성 및 성형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용매의 조합을 확인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6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파우더부의 성분들을 1200 rpm으로 4분간 교반시킨 후, 용매부의 용매를 첨가하여 3분간 혼합하여 습식 아이 섀도우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슬러리 형성시 사용한 휘발성 용매는 건조시 휘발되어 제거되므로, 제조된 습식 아이 섀도우 조성물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구분 (단위: 중량%)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파우더부 판상
파우더
탈크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마이카*티타늄옥사이드*아이런옥사이드 50 50 50 50 50 50 50 50 50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티타늄디옥사이드*틴옥사이드
마이카*아이런옥사이드
구상 파우더 나일론/실리카/엘라스토머 파우더 5 5 5 5 5 5 5 5 5
오일 바인더
(페이스트)
다이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0 2 2 2 2 2 2 2 2
디메티콘*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2 0 0 0 0 0 0 0 0
오일 바인더 옥틸도데실스테아로일스테아레이트 15 15 15 15 15 15 15 15 15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3 3 3 3 3 3 3 3 3
사이클로디메티콘 4 4 4 4 4 4 4 4 4
기타 방부제 0.3 0.3 0.3 0.3 0.3 0.3 0.3 0.3 0.3
파우더부 총합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용매부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 다이페닐실록시페닐트라이메티콘 10 100 - - 60 33.3 28.5 10 66.7
휘발성 용매 디메티콘 90 - 100 - 40 66.7 71.5 90 -
이소도데칸 - - - 100 - - - - 33.3
용매부 총합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1: 사용감 평가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1, 4에서 각각 제조된 습식 아이 섀도우 조성물의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1은 슬러리 제조시 오일 바인더로는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인 다이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를 포함하는 오일 바인더를 사용하였고, 용매로는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와 휘발성 용매를 사용하되 중량비를 달리하여 사용한 것이다.
비교예 1은 슬러리 제조시 오일 바인더로는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인 다이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대신 실리콘 젤인 디메티콘*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하는 오일 바인더를 사용한 것이다.
사용감 평가 항목은 펄 부착력과 지속력, 펄 광택감 및 가루날림이며, 사용감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이 4가지 단계로 구분하여 평가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사용감 평가 기준>
◎ : 매우 안정함
○ : 안정함
△ : 보통
X : 나쁨
시험항목 비교예1 비교예4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펄 부착력과 지속력 X X
펄 광택 X
가루 날림 X X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2, 3의 경우 사용감 평가 결과가 비교예 1, 4 에 비해 상대적으로 좋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1은 오일 바인더로서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 대신 실리콘 젤을 사용한 경우로서 사용감 평가 결과가 모두 "나쁨"인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4는 슬러리 제조시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휘발성 용매만을 사용한 경우로서, 습식 공정이 완료되면 휘발성 용매가 모두 휘발되어 건조되어, 최종 제조된 아이 섀도우 조성물에는 용매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사용감 평가 결과가 모두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습식 공정에서,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와 상용성이 좋은 용매의 조합 확인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2 내지 6은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를 공통적으로 포함하며, 서로 다른 단일 용매 또는 용매의 조합을 포함하므로, 습식 공정에서 이들의 성형성을 평가하여 상기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과 상용성이 좋은 용매를 선정하였다.
성형성은 좋음(○) 및 나쁨(X)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용매 중량% 성형성
비교예 2 KF-56A 100 X
비교예 3 디메티콘 100 X
비교예 4 이소도데칸 100
비교예 5 KF-56A : 디메티콘 60 : 40 X
비교예 6 KF-56A : 디메티콘 33.3 : 66.7 X
실시예 1 KF-56A : 디메티콘 28.5 : 71.5
실시예 2 KF-56A : 디메티콘 10 : 90
실시예 3 KF-56A : 이소도데칸 66.7 : 33.3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비교예 2는 시험예 1의 1-3에서 168ARV에 대하여 우수한 분산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확인된 KF-56A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이고, 비교예 3은 종래 습식 공정용 용매인 디메티콘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로서, 비교예 2,3은 모두 성형성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4는 종래 습식 공정용 용매인 이소도데칸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로서 성형성은 좋으나, 시험예 1의 1-2에서 확인 바와 같이 펄의 밀착력이 감소하고 가루 날림이 심한 문제가 있다.
또한, 비교예 5,6 및 실시예 1,2은 KF-56A와 종래 습식 공정용 용매인 디메티콘을 조합하여 사용한 것이다. 비교예 5,6은 실시예 1,2에 비해 KF-56A에 대한 디메티콘의 중량이 상대적으로 작으며, 이 경우 성형성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3은 KF-56A와 종래 습식 공정용 용매인 이소도데칸을 적정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성형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레올로지를 이용한 습식 공정에서의 성형 가능여부 평가
3-1. 점도 및 레올로지 측정
습식 공정에서의 성형 가능 여부와 관련성이 있는 물성인, 슬러리의 레올로지(rheology)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레올로지란 물질이 흐르는 방식이나 변형을 의미한다.
레올로지의 측정 대상은 용매 중에 KF-56A를 포함하되, 상기 실험예 2에서 성형성이 좋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비교예 2,3,5,6과 성형성이 좋은 것으로 확인된 실시예 1,2,3을 대상으로 하였다.
습식 공정에서 슬러리의 레올로지는 레오미터(Rheometer, AR-2000, TA Instrumen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슬러리의 레올로지 측정 중 점도가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요변성(thixotropy) 현상이 발생하는 지점을 점도의 변곡점이라고도 한다.
도 2는 슬러리의 레올로지를 측정하기 위한 레오미터의 회전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레오미터의 회전축은 원뿔-평판(Cone and plate type) 회전축을 사용하였고, 측정 대상인 슬러리 시편과 레오미터의 간격(gap size)은 31㎛로 설정하였다. 상기 시편은 지름 40 mm의 크기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Oscillation procedure 중 stress sweep test를 진행하였다. 전단 응력(shear stress)는 0.1 ~ 1000 (Pa)까지 가해지도록 하였다. 가해지는 전단 응력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점도는 log 값으로 산출하였고, 25
Figure pat00001
에서 측정하였다.
도 3a 및 3b는 아이 섀도우 조성물 제조를 위한 습식 공정 중, 슬러리의 분산 전 및 후의 점도 데이터를 이용한 슬러리의 레올로지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한,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3은 50 Pa 정도의 전단 응력이 가해질 때 슬러리의 점도 변곡점이 나타나는 반면, 비교예 2,5 및 6은 100Pa, 비교예 3은 200Pa 정도의 전단 응력이 가해질 때 슬러리의 점도 변곡점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2. 레올로지에 따른 습식 공정에서의 슬러리 특성 평가
상기 3-1에서 전단 응력이 각각 50Pa, 100Pa 및 200Pa일 때 최저 점도를 나타내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2, 3, 5, 6에 대하여, 습식 공정에서 슬러리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는 표 5에 기재된 바와 같다.
상기 습식 공정에서의 슬러리 특성의 구체적인 항목은, 요변성이 발생하는 점도 변곡점이 나타날 때의 전단 응력, 즉, 최저 점도에서의 전단 응력(@ 최저 점도)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슬러리 형태, 토출 양상 및 용매 흡습 양상으로 구분하여 각각 평가하였다.
상기 슬러리 형태는 오일 바인더(168ARV)의 덩어리 관찰 여부에 따라 판단하였다.
상기 토출 양상은 슬러리 형성 후 토출 관을 통해 반응기 외부로 토출되는 슬러리의 형상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상기 흡습 양상은 오일 바인더(168ARV)가 용매를 흡습 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척도이며, 상기 오일 바인더에 용매 흡습이 되지 않을 경우 오일막이 형성되고, 용매 흡습이 되는 경우 오일막이 형성되지 않았다.
전단 응력
(@ 최저 점도)
슬러리 형태 토출 양상 흡습 양상
비교예 3 200Pa 오일 바인더의 응집 덩어리 관찰됨 토출 불가능 오일막 형성
비교예 5,6 100Pa 오일 바인더의 덩어리 관찰됨 토출 가능 오일막 형성
실시예 1 50Pa 오일 바인더가 균일하게 분산됨 토출 가능 오일막 미형성
비교예 2 100Pa 슬러리가 끊어지지 않고 늘어지는 형태 토출 관 입구에서 슬러리가 새어나감 오일막 형성
상기 표 4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전단 응력을 가할 경우에도 오일 바인더가 균일하게 분산되며, 용매도 흡습되어 오일막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의 경우, 슬러리에서 오일 바인더의 응집 덩어리가 형성되어, 상기 응집 덩어리가 반응기의 토출 관을 막고 있기 때문에 반응기 외부로 슬러리가 토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2,3,5에서 형성된 슬러리의 분산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비교예 6은 비교예 5와 유사한 분산성을 나타내므로 생략하였다.
도 4에서 (+) 방향으로 갈수록 분산성이 좋아지는 것을 의미하나, 비교예 2의 경우, 분산성은 좋으나 슬러리가 끊어지지 않고 늘어지는 형태를 나타내어, 토출 관 입구에서 슬러리가 정상적으로 토출되는 것이 아닌 늘어지는 형태로 새어나가 성형이 불가능한 것을 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교예 2는 슬러리 제조시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를 사용하여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와의 사용성은 좋으나, 상기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 특유의 끈끈한 성질이 많이 남아 있어 슬러리의 점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Claims (13)

  1. 펄과 오일 바인더를 포함하는 파우더부, 및 용매를 포함하는 용매부를 포함하되,
    상기 오일 바인더는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용매는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를 포함하는 것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습식 공정용 슬러리로 제조되며,
    상기 습식 공정용 슬러리는 용매부의 용매로서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 및 휘발성 용매를 포함하는 것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는, 25℃에서 40Pa 내지 60Pa의 전단 응력(shear stress)을 가할 때 점도의 요변성(thixotropy)이 나타나는 것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는 다이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Dipentaerythrityl Hexahydroxystearate/Hexastearate/Hexarosin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이소스테아레이트 (HYDROGENATED CASTOR OIL ISOSTEAR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Hydrogenated Polyisobutene) 및 폴리부텐 (POLYBUTE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는 다이페닐실록시페닐트라이메티콘 및 카프릴릴메티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형 하이드로 카본계 오일 바인더는 상기 파우더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 포함된 것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용매는 휘발성 실리콘계 용매 및 휘발성 하이드로 카본계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실리콘계 용매는 디메티콘, 사이클로메티콘, 알킬트리메티콘 및 메틸페닐실록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하이드로 카본계 용매는 이소도데칸,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이소파라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용매는 휘발성 실리콘계 용매이고,
    상기 용매부는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 5 중량% 내지 30 중량% 및 휘발성 실리콘계 용매 70 중량% 내지 9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용매는 휘발성 하이드로 카본계 용매이고,
    상기 용매부는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 60 중량% 내지 90 중량% 및 휘발성 하이드로 카본계 용매 10 중량%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아이 섀도우, 아이 프라이머 또는 아이 메이크업 베이스 제형인 것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13. (S1) 펄, 오일 바인더 및 용매를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S2) 상기 슬러리를 성형하는 단계; 및
    (S3) 상기 성형된 슬러리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용매는 비휘발성 실리콘계 용매 및 휘발성 용매를 포함하는 것인,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00052716A 2020-04-29 2020-04-29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33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716A KR20210133734A (ko) 2020-04-29 2020-04-29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716A KR20210133734A (ko) 2020-04-29 2020-04-29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734A true KR20210133734A (ko) 2021-11-08

Family

ID=78497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716A KR20210133734A (ko) 2020-04-29 2020-04-29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373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1384A (ko) 2012-03-05 2013-09-13 한국콜마주식회사 고함량 펄 파우더 및 오일바인더를 포함하는 루스타입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1384A (ko) 2012-03-05 2013-09-13 한국콜마주식회사 고함량 펄 파우더 및 오일바인더를 포함하는 루스타입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56511B (zh) 用于化妆和护理角蛋白材料的美容组合物
CN102666665B (zh) 包含溶胀的硅酮凝胶的硅酮组合物
KR100854566B1 (ko) 화장료 제제
KR101064504B1 (ko) 반고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TWI739880B (zh) 具有改善敷塗特性以及成形性的壓粉化妝品組成物
KR20150121211A (ko) 겔 유형 화장용 조성물
TW200934524A (en) Gel technology suitable for use in cosmetic compositions
CN111107904A (zh) 具有高颜料含量的分散脂肪相的分散体
JP2009235017A (ja) 非固形状油性化粧料
JP5080919B2 (ja) 液状油性口唇化粧料
KR101630825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6085475B2 (ja) 固形粉末化粧料
KR102598490B1 (ko) 고함량의 젤 및 오일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17023691A1 (en) Cosmetic compositions for minimizing skin imperfections
JP7081784B2 (ja) 固形粉末化粧料及び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JP2018199653A (ja) 化粧料
JP7098384B2 (ja) 粉末化粧料
KR20210038006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6190837A (ja) 固形化粧料
KR20210133734A (ko)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78370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0185818B1 (ko) 보습효과를 갖는 화장료용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고형분말 색조화장료
JP2008007536A (ja) 複合粒子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CN116782874A (zh) 化妆品
JP5399052B2 (ja) 油性化粧料および化粧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