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2972A - 액적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액적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2972A
KR20210132972A KR1020200051534A KR20200051534A KR20210132972A KR 20210132972 A KR20210132972 A KR 20210132972A KR 1020200051534 A KR1020200051534 A KR 1020200051534A KR 20200051534 A KR20200051534 A KR 20200051534A KR 20210132972 A KR20210132972 A KR 20210132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plate
region
droplet
area
guide v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9524B1 (ko
Inventor
육세진
김문원
노승윤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1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524B1/ko
Publication of KR20210132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 B01D45/08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액적 제거 장치가 개시된다. 액적 제거 장치는 서로 이격하여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액적제거판; 인접한 상기 액적제거판의 사이 공간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사이 공간을 따라 흐르는 기체의 흐름방향에 대항하여 배치되는 가이드 베인; 및 상기 가이드 베인의 전방에 위치하며, 개구가 형성된 상기 제 1슬릿판을 포함하되, 상기 사이 공간은 제 1방향으로 제공되는 제 1영역, 상기 제 1방향과 상이한 제 2방향으로 제공되는 제 2영역, 그리고 상기 제 1영역과 제 2영역을 연결하는 유로 변경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베인은 상기 유로 변경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1슬릿판은 제 1영역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액적 제거 장치{Apparatus for droplet removal}
본 발명은 액적 제거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체의 포함된 액적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이다.
화력 발전소에서는 많은 양의 대기 오염 물질이 생성되며, 이를 처리하기 위해 탈질장치, 탈황장치, 그리고 전기집진기 등의 다양한 저감 장치가 있다. 그러나 화력 발전소의 경우 그 규모가 매우 크고 24시간 가동되는 시설이므로 각 저감 장치의 효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 중 탈황장치의 경우 화학 반응을 통해 배출가스 내의 2차 대기오염 물질인 SOX를 저감하는 장치로, 탈황장치의 효율은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PM2.5의 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현재 탈황장치에서의 SOX 제거율은 약 95%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화력 발전소의 규모가 매우 크므로 화력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SOX의 양을 무시할 수 없으며, 탈황장치에서 상당한 양의 황산(H2SO4) 액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황산이 포함된 액적의 경우 화력 발전소 내의 열교환기와 같은 기타 시설을 부식시켜 기계 수명 감소, 기계 효율 감소 및 유지보수 비용 증가 등의 문제를 일으키며 대기 오염의 주요 원인이 된다.
때문에, 발전소 및 선박에 생성되는 배출가스 내의 황산이 포함된 액적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새로운 연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기체로부터 액적을 제거할 수 있는 액적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적 제거 장치는 서로 이격하여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액적 포집판; 인접한 상기 액적 포집판의 사이 공간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사이 공간을 따라 흐르는 기체의 흐름방향에 대항하여 배치되는 가이드 베인; 및 상기 가이드 베인의 전방에 위치하며, 개구가 형성된 상기 제 1슬릿판을 포함하되, 상기 사이 공간은 제 1방향으로 제공되는 제 1영역, 상기 제 1방향과 상이한 제 2방향으로 제공되는 제 2영역, 그리고 상기 제 1영역과 제 2영역을 연결하는 유로 변경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베인은 상기 유로 변경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1슬릿판은 제 1영역에 위치한다.
또한, 액적 제거 장치에 포함된 상기 가이드 베인과 상기 제 1슬릿판의 면적은 상기 사이 공간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액적 제거 장치에 포함된 상기 가이드 베인은 상기 기체의 흐름방향에 수직하게 제공되는 제 1영역; 및 상기 제 1영역의 상단에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기체의 흐름방향과 나란하게 제공되는 제 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적 제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제 1영역의 너비는 상기 개구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액적 제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제 1영역의 너비는 상기 개구의 너비의 2배일 수 있다.
또한, 액적 제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제 2영역의 길이는 상기 제 1슬릿판과 상기 제 2영역의 끝단의 사이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액적 제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제 2영역의 길이는 상기 제 1슬릿판과 상기 제 2영역의 끝단의 사이 거리에 1/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슬릿판에 전방에 배치되고, 개구가 형성된 제 2슬릿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 2슬릿판에 형성된 개구는 상기 제 1슬릿판에 형성된 개구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이격하여 나란하게 배치되는 액적제거판의 사이 공간에 개구가 형성된 슬릿판과 상기 슬릿판의 후방에 가이드베인의 제공으로 상기 사이 공간을 통해 배출되는 기체로부터 액적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액적 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적 제거 장치에서 기체의 유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비교예에 따른 액적 제거 장치에서 기체의 유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과 도 4의 액적 제거 장치의 기체 이동 유로에 흐르는 기체의 속도 변화에 따른 압력 강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적 제거 장치와 제 1슬릿판이 없는 액적 제거 장치에 따른 액적제거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 예에 따른 가이드 베인의 너비와 상기 제 1슬릿판의 개구의 너비(A/LDC), 그리고 가이드 베인의 제 2액적 포집 영역의 길이에 대한 상기 가이드 베인과 상기 제 1슬릿판의 이격 거리의 비(B/WDC)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8은 제1 내지 5실험예에 따른 액적포집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제6 내지 10실험예에 따른 액적포집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제11 내지 15실험예에 따른 액적포집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적 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적 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적 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액적 제거 장치(10)는 기체(20)에 포함된 액적을 제거한다. 상기 액적 제거 장치(10)는 화력 발전소, 선박, 차량, 그리고 미세 먼지 저감 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액적 제거 장치(10)는 화력 발전소 나 선박에서 배기 가스에 포함된 액적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액적 제거 장치(10)는 액적 포집판(100), 가이드 베인(200), 그리고 제 1슬릿판(300)을 포함한다.
상기 액적 포집판(100)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하여 나란하게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액적 포집판(100)들은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액적 포집판(100)들은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액적 포집판(100)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적 포집판(100)은 제 1영역(101)과 제 2영역(102)이 교대로 반복된다. 상기 제 1영역(101)은 선단에서 후단으로 상향경사지고, 상기 제 2영역(102)은 선단에서 후단으로 하향경사지게 제공된다.
상기 액적 포집판(100)과 상기 액적 포집판(100)의 사이 공간에는 기체 이동 유로(110)가 형성된다. 상기 기체 이동 유로(110)는 상기 제 1이동 유로(111), 상기 제 2이동 유로(112), 그리고 유로 변경 영역(113)을 포함한다.
상기 제 1이동 유로(111)는 상기 액적 포집판(100)들의 상기 제 1영역(101) 사이에 위치하고,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제공된다. 상기 제 2이동 유로(112)는 상기 액적 포집판(100)들의 상기 제 2 영역(102) 사이에 위치하고,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제공된다. 상기 유로 변경 영역(113)은 상기 제 1이동 유로(111)와 상기 제 2이동 유로(112)를 연결한다.
상기 가이드 베인(200)은 상기 액적 포집판(100)의 기체 이동 유로(110)들 각각에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 베인(200)은 소정 너비를 가지는 판이다. 상기 가이드 베인(200)은 상기 기체 이동 유로(110)를 따라 흐르는 기체(20)의 흐름방향에 대항하여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베인(200)은 서로 마주 배치되는 상기 액적 포집판(100)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 결합하되, 상기 유로 변경 영역(113)에서 상기 기체(20)의 이동반경이 작은 상기 액적 포집판(100)에 고정 결합한다.
상기 가이드 베인(200)은 제 1액적 포집 영역(201)과 제 2액적 포집 영역(20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액적 포집 영역(201)은 상기 제1이동 유로(111)의 경사 방향에 대항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2이동 유로(112)의 경사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액적 포집 영역(201)의 면적은 상기 기체 이동 유로(110)보다 작다.
상기 제 2액적 포집 영역(202)은 상기 제 1액적 포집 영역(20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 1이동 유로(111)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제공되고, 상기 제 1액적 포집 영역(201)과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액적 포집 영역(202)의 길이는 상기 제 1슬릿판(300)과 상기 제 2액적 포집 영역(202)의 끝단의 사이 거리보다 작다.
상기 제 1슬릿판(300)은 상기 기체 이동 유로(110)에 각각에 제공된다. 상기 제 1슬릿판(300)은 제 1이동 유로(111)에 위치한다. 상기 제 1슬릿판(300)은 상기 가이드 베인(200)으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하여 상기 가이드 베인(2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 1슬릿판(300)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판 형상이다. 상기 제 1슬릿판(300)은 제 1이동 유로(111)의 기류방향에 대항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 1슬릿판(300)의 하단부는 서로 마주 배치되는 상기 액적 포집판(100) 중 어느 하나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제 1슬릿판(300)의 면적은 상기 기체 이동 유로(110)보다 작다. 상기 제 1슬릿판(300)은 상기 제 1액적 포집 영역(201)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진다. 상기 제 1슬릿판(300)에는 개구(301)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301)는 상기 제 1슬릿판(300)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관통 홀이다. 상기 개구(301)의 너비는 상기 제 1액적 포집 영역(201)의 너비보다 작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적 제거 장치에서 기체의 유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비교예에 따른 액적 제거 장치에서 기체의 유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실시 예와 도 4의 비교 예에 따른 압력 강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은 기체 이동 유로를 따라 흐르는 기체의 유속 변화에 따른 도 3의 실시 예와 도 4의 비교 예의 액적 포집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의 비교예에 따른 상기 액적 제거 장치(10)에는 본 발명의 제 1슬릿판(300)이 제공되지 않는다. 도 6에서는 기체의 유속을 2m/s, 3m/s, 4m/s, 그리고 5m/s로 달리하여 액적 포집 효율을 측정하였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기체(20)는 상기 기체 이동 유로(110)를 따라 이동한다. 이동 과정에서 상기 기체(20) 중 일부는 상기 제 1슬릿판(300)의 개구(301)를 통과하고, 상기 가이드 베인(200)과 충돌한다. 이 과정에서 기체(20)에 포함된 액적은 상기 가이드 베인(200)의 표면에 부착된다. 기체(20)는 상기 제 1슬릿판(300)의 개구(30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속도가 증가되어, 충분한 유량으로 상기 가이드 베인(200)에 도달할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기체(20)는 상기 기체 이동 유로(110)를 따라 이동한다. 기체(20) 중 일부는 상기 가이드 베인(200)에 의해 흐름이 방해되며, 이에 의해 상기 가이드 베인(200)의 전방 영역은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아진다. 이러한 압력 증가는 상기 가이드 베인(200) 측으로 기체(20)의 추가 유입을 방해하기 때문에, 기체(20)는 상기 가이드 베인(200) 측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대부분 상기 가이드 베인(200)의 상부 영역으로 이동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비교 예에 비해 낮은 압력 강하(pressure drop)이 발생하고, 상기 제 1슬릿판(300)의 제공으로 액적의 포집 효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 베인(200)의 너비와 상기 제 1슬릿판(300)의 개구(301)의 너비에 따른 액적 포집 효율 변화와 상기 가이드 베인(200)과 상기 제 1슬릿판(300)의 사이 거리에 따른 액적 포집 효율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조건을 달리 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 15 실험 예에 따른 가이드 베인의 너비와 상기 제 1슬릿판의 개구의 너비(A/LDC), 그리고 가이드 베인의 제 2액적 포집 영역의 길이에 대한 상기 가이드 베인과 상기 제 1슬릿판의 이격 거리의 비(B/WDC)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8은 제1 내지 5실험예에 따른 액적 포집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9는 제6 내지 10실험예에 따른 액적 포집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0은 제11 내지 15실험예에 따른 액적 포집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실험 예들에서 액적 포집 효율이 가장 높은 실험 예는 상기 제 7실험예로 확인된다.
이는 상기 가이드 베인(200)의 너비와 상기 제 1슬릿판(300)의 개구(301)의 너비(A/LDC)가 0.5이고, 상기 가이드 베인(200)의 제 2액적 포집 영역(202)의 길이에 대한 상기 가이드 베인(200)과 상기 제 1슬릿판(300)의 이격 거리(B/WDC)가 2인 경우, 액적 포집 효율이 가장 우수함을 나타낸다.
도 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적 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액적 제거 장치(10)는 제 2슬릿판(4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슬릿판(400)은 제 1이동 유로(111)에 위치한다. 상기 제 2슬릿판(400)은 상기 제 1슬릿판(300)으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하여 상기 제 1슬릿판(3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 2슬릿판(400)의 하단부는 서로 마주 배치되는 상기 액적 포집판(100) 중 어느 하나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제 2슬릿판(400)은 상기 제 1슬릿판(30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 2슬릿판(400)은 상기 제 1슬릿판(300)과 마주 배치된다. 상기 제 2슬릿판(400)에는 상기 제 1슬릿판(300)에 형성된 개구(301)보다 큰 개구(401)가 형성된다.
제 1이동 유로(111)를 따라 흐르는 상기 기체(20)의 일부는 상기 제 2슬릿판(400)과 상기 제 1슬릿판(300)에 형성된 개구(401,301)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상기 개구(401,301)를 통과한 상기 기체(20)는 속도가 증가되어, 충분한 유속으로 상기 가이드 베인(200)의 내측으로 도달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적 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액적 제거 장치(1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기체 흐름으로부터 액적을 제거한다.
상기 액적 제거 장치(10)는 상기 액적 포집판(100), 상기 가이드 베인(200), 제 1슬릿판(300)을 포함한다.
상기 액적 포집판(100)은 도 1에서 설명한 상기 액적 포집판(100)의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그 길이 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액적 포집판(100)은 상기 제 1영역(101)과 상기 제 2영역(102)이 상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반복배치된다. 상기 액적 포집판(100)은 복수 개로 제공된다. 상기 액적 포집판(100)들은 수평방향으로 서로 마주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한 상기 액적 포집판(100)의 사이 공간에는 기체 이동 유로(110)가 형성된다. 상기 기체 이동 유로(110)는 상기 제 1이동 유로(111)와 상기 제 2이동 유로(112), 그리고 유로 변경 영역(113)을 포함한다. 상기 제 1이동 유로(111)와 상기 제 2이동 유로(112), 그리고 유로 변경 영역(113)은 도 2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게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 베인(200)은 도 1에서 설명한 상기 가이드 베인(20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유로 변경 영역(113)에 위치한다. 상기 가이드 베인(200)은 수평방향으로 서로 마주 배치되는 상기 액적 포집판(100)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 결합하되, 상기 유로 변경 영역(113)에서 상기 기체의 이동 반경이 작은 상기 액적 포집판(100)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제 1슬릿판(300)은 도 1에서 설명한 상기 제 1슬릿판(300)의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 1슬릿판(300)은 상기 제 1이동 유로(111)의 기류 방향에 대항하여 상기 가이드 베인(200)의 전방에 위치한다. 상기 제 1슬릿판(300)의 하단부는 상기 가이드 베인(200)이 결합된 상기 액적 포집판(100)에 고정 결합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액적 제거 장치
20: 기체
100: 액적 포집판 101: 제 1영역 102: 제 2영역
110: 기체 이동 유로 111: 제 1이동 유로 112: 제 2이동 유로 113: 유로 변경 영역
200: 가이드 베인 201: 제 1액적 포집 영역 202: 제 2액적 포집 영역
300: 제 1슬릿판 301: 개구
400: 제 2슬릿판 401: 개구

Claims (8)

  1. 서로 이격하여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액적제거판;
    인접한 상기 액적제거판의 사이 공간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사이 공간을 따라 흐르는 기체의 흐름방향에 대항하여 배치되는 가이드 베인; 및
    상기 가이드 베인의 전방에 위치하며, 개구가 형성된 상기 제 1슬릿판을 포함하되,
    상기 사이 공간은
    제 1방향으로 제공되는 제 1영역, 상기 제 1방향과 상이한 제 2방향으로 제공되는 제 2영역, 그리고 상기 제 1영역과 제 2영역을 연결하는 유로 변경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베인은 상기 유로 변경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1슬릿판은 제 1영역에 위치하는 액적 제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베인과 상기 제 1슬릿판의 면적은 상기 사이 공간보다 작은 액적 제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베인은
    상기 기체의 흐름방향에 수직하게 제공되는 제 1영역; 및
    상기 제 1영역의 상단에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기체의 흐름방향과 나란하게 제공되는 제 2영역을 포함하는 액적 제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영역의 너비는
    상기 개구의 너비보다 큰 액적 제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영역의 너비는 상기 개구의 너비의 2배인 액적 제거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영역의 길이는 상기 제 1슬릿판과 상기 제 2영역의 끝단의 사이 거리보다 작은 액적 제거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영역의 길이는
    상기 제 1슬릿판과 상기 제 2영역의 끝단의 사이 거리에 1/2인 액적 제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슬릿판에 전방에 배치되고, 개구가 형성된 제 2슬릿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 2슬릿판에 형성된 개구는 상기 제 1슬릿판에 형성된 개구보다 큰 액적 제거 장치.
KR1020200051534A 2020-04-28 2020-04-28 액적 제거 장치 KR102389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534A KR102389524B1 (ko) 2020-04-28 2020-04-28 액적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534A KR102389524B1 (ko) 2020-04-28 2020-04-28 액적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972A true KR20210132972A (ko) 2021-11-05
KR102389524B1 KR102389524B1 (ko) 2022-04-22

Family

ID=7850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534A KR102389524B1 (ko) 2020-04-28 2020-04-28 액적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52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2190A (ja) * 1992-12-03 1994-08-12 Hitachi Ltd 蒸気乾燥器及び気水分離システム並びに湿分分離器
JP2002126429A (ja) * 2000-10-20 2002-05-08 Mitsubishi Heavy Ind Ltd 湿分分離器
JP2003307584A (ja) * 2002-04-15 2003-10-31 Toshiba Corp 気水分離装置
KR100394519B1 (ko) * 1994-03-30 2003-11-20 피어리스 매뉴팩쳐링 캄파니 고성능해수분리기
JP2012143710A (ja) * 2011-01-12 2012-08-02 Toshiba Corp 湿分分離ユニットおよび当該湿分分離ユニットを備えた湿分分離装置
KR20170049409A (ko) * 2015-10-27 2017-05-10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베인 팩 타입의 미스트 익스트랙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2190A (ja) * 1992-12-03 1994-08-12 Hitachi Ltd 蒸気乾燥器及び気水分離システム並びに湿分分離器
KR100394519B1 (ko) * 1994-03-30 2003-11-20 피어리스 매뉴팩쳐링 캄파니 고성능해수분리기
JP2002126429A (ja) * 2000-10-20 2002-05-08 Mitsubishi Heavy Ind Ltd 湿分分離器
JP2003307584A (ja) * 2002-04-15 2003-10-31 Toshiba Corp 気水分離装置
JP2012143710A (ja) * 2011-01-12 2012-08-02 Toshiba Corp 湿分分離ユニットおよび当該湿分分離ユニットを備えた湿分分離装置
KR20170049409A (ko) * 2015-10-27 2017-05-10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베인 팩 타입의 미스트 익스트랙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524B1 (ko) 202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8960A (en)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s
US3958961A (en)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s
US6399030B1 (en) Combined flue gas desulfurization and carbon dioxide removal system
US9839916B2 (en) Wet-type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and dust removal method
US6923852B2 (en) Flue gas desulfurization system with a stepped tray
SE530738C2 (sv) Våtelfilter samt sätt att rengöra en utfällningselektrod
JP2015174025A (ja) 海水排煙脱硫装置とその運用方法
KR102026054B1 (ko) 정전 미스트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복합된 탈황장치
JP2009131795A (ja) 湿式電気集塵機
AU2015397599B2 (en) Multi-level gas scrubber with multiple flooded scrubber heads
US7540896B2 (en) Air handling system
KR102026010B1 (ko) 정전 미스트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복합된 탈황장치
CN110652807B (zh) 一种应用于降膜除尘的非均匀降膜管及单元和装置
JP5281858B2 (ja) 排ガス処理装置
KR102389524B1 (ko) 액적 제거 장치
JP4795801B2 (ja) ガス浄化装置及び排ガス処理方法
EP3507544B1 (en) Scr-system for removing ash from a flue gas stream generated in a combustion system
JP2001293330A (ja) 気液接触方法と装置
KR102270176B1 (ko) 초고속 정전 초미세입자 제거장치가 장착된 탈황장치
JPH07275652A (ja) 一体型排煙浄化装置
JPH09206550A (ja) 湿式排煙脱硫装置
EP0149307B1 (en) Fluid treating
KR102330326B1 (ko) 습식 타워용 냉각 어셈블리
JPH119956A (ja) 湿式排煙脱硫装置の吸収塔
JP2009106899A (ja) 湿式電気集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