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680A - 펙틴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펙틴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680A
KR20210131680A KR1020200050078A KR20200050078A KR20210131680A KR 20210131680 A KR20210131680 A KR 20210131680A KR 1020200050078 A KR1020200050078 A KR 1020200050078A KR 20200050078 A KR20200050078 A KR 20200050078A KR 20210131680 A KR20210131680 A KR 20210131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alopecia
growth
pectin
prom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희
김은미
김수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200050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1680A/ko
Publication of KR20210131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6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2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펙틴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유두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모낭의 모발 성장을 증진시키며, 각질형성세포의 필라그린 유전자 및 인볼루크린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시키는 펙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펙틴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Pectin}
본 발명은 펙틴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유두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모낭의 모발 성장을 증진시키며, 각질형성세포의 필라그린 유전자 및 인볼루크린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시키는 펙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은 상피세포 유래의 모근 및 모낭(Hair Follicles)에서 성장한다. 모낭 위에 털을 지배하는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s)가 있으며, 이 모유두세포 바로 위에 털을 만들어내는 모모세포(Hair Mother Cells)가 있어, 분열을 계속하면서 새로운 털을 생산하여 위로 밀어 올린다.
모낭은 특이하게 신경이 매우 밀집된 말초 기관으로서, 모낭으로 특수 분화된 표피의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와 모유두를 형성하는 진피세포 군집 간의 표피-중간엽의 상호작용(epithelio-mesenchymal interactions)에 의해 형성되며, 발달된다. 따라서,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을 위해서는 각질형성세포를 보호하고,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킬 필요가 있다.
필라그린(Filament aggregating protein, filaggrin, FLG)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각질세포 간 지질의 합성을 유도하는 표피 분화 단백질(표피세포 유래 케라틴 결합 단백질)로서, 피부세포형성을 돕고 피부를 방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필라그린은 과립층에서 케라토히알린 과립(keratohyalin granule)을 구성하는 단백질인 프로필라그린(profilaggrin)의 형태로 존재하다가, 각질형성세포의 최종 분화 과정에서 필라그린으로 가수분해되어 케라틴 필라멘트를 응집시킴으로써, 각질형성세포의 단단하고 편평한 구조를 만들어 각질형성세포를 보호한다.
인볼루크린(Involucrin, IVL)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각질세포 간 지질의 합성을 유도하는 표피 분화 단백질(편평상피세포[Squamous Cell]의 세포질 단백질)로서, 각질형성세포의 가교(crosslink)를 이루는 요소 중의 하나이다. 정상 표피에서는 상부 유극층과 과립층에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고, 합성된 후에는 세포막 가까이에 위치하여 트랜스글루타미다제(transglutaminases)에 의해 막 단백질과 결합되어 있다.
인체의 각 모발은 독립적인 주기로 활동하며 진행하는데, 구체적인 주기로서 생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및 휴지기(telogen)를 거치면서 성장 및 탈락한다. 일반적으로 탈모 현상이라 함은 모발이 휴지기 상태에서 빠지는 일반적인 휴지기 탈모 현상과 비정상적인 탈모 현상인 생장기 탈모 현상으로 구별할 수 있는데, 특히 후자를 탈모증이라 일컫는다.
탈모의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유전적인 원인이 크게 자리하고 있으며, 두피 내 혈액 순환 불량, 남성 호르몬의 과잉 작용, 피지 분비 과잉, 노화, 스트레스 등에 의해서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다양한 원인에 따라 다양한 탈모 방지 및 발모용제가 개발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두피에 충분한 혈액을 순환시키기 위한 염화카프로니움, 미녹시딜 및 각종 식물의 추출물 등의 혈관확장제나, 모발을 탈락시키는 남성 호르몬의 작용을 억제하기 위한 에스트로겐, 에스트라지올, 프로게스테론 등의 여성 호르몬제, 또는 펜타데칸산, 피나스테라이드 등의 남성 호르몬 활성화 억제제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양모제들은 탈모 방지에는 어느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지만 발모와 관련된 효과는 그리 만족할 만한 것이 아니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7568호에는 미녹시딜, 피부연화제 및 피부저류제를 필수적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의 발모 효과를 기재하고 있으나, 상기 특허를 포함한 종래기술은 어떠한 유효성분으로 인하여 발모 효과가 발휘되는지 여부를 예측하지 못하고 있으며, 여전히 만족할만한 효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필수적인 유효성분을 함유하여 우수한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펙틴은 인체 적용에 있어서 안전성이 높고, 우수한 피부 침투 효능을 나타내는 천연 소재로 알려져 있으나, 펙틴의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효능을 밝힌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펙틴이 모유두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 모낭의 모발 성장을 증진시키는 효과와, 각질형성세포의 필라그린 유전자 및 인볼루크린 유전자의 발현 촉진으로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각질형성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효과들을 통하여 펙틴을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지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7568호(공고일자: 2014.12.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펙틴을 필수적인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모유두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모낭의 모발 성장을 증진시키며, 각질형성세포의 필라그린 유전자 및 인볼루크린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시켜, 우수한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펙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서 펙틴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펙틴을 필수적인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모유두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모낭의 모발 성장을 증진시키며, 각질형성세포의 필라그린 유전자 및 인볼루크린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시켜, 우수한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펙틴이 인간 모유두세포(Human dermal papilla cell)의 성장(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펙틴이 모낭의 모발 성장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펙틴이 각질형성세포의 필라그린(FLG)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펙틴이 각질형성세포의 인볼루크린(IVL)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길이, 면적, 부피, 시간(기간), 농도, 함량, 온도, 개수, 퍼센트(%), 배수 등을 표현하는데 사용된 용어 "약"은 해당 수치 또는 수치 범위에서 최대 10%의 허용오차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펙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탈모증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갖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탈모증 개선 용도를 갖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펙틴의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펙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을 피검체(인간 등의 포유류)에게 (국소적으로) 적용 또는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탈모증의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을 갖는 의약 제제 또는 탈모증의 개선 효능을 갖는 화장품 제제를 생산하기 위한, 펙틴의 용도(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발모 또는 육모용 약학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펙틴의 용도(사용)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탈모증(또는 탈모 질환)은 형태, 증상, 또는 원인 등에 따라, 원형 탈모증, 유전성 안드로겐 탈모증, 휴지기 탈모증, 외상성 탈모증, 발모벽 탈모증, 압박성 탈모증, 생장기 탈모증, 비강성 탈모증, 매독성 탈모증, 지루 탈모증, 증후성 탈모증, 비반흔성 탈모증, 반흔성 탈모증 및 선천성 탈모증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펙틴(Pectin)'은 식물세포의 세포벽이나 중간층에 존재하는 다양한 분자량의 다당체 화합물로서, 세포막이나 세포와 세포 사이에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등과 함께 존재하면서 세포와 세포를 결착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펙틴은 감귤, 사과, 오렌지, 레몬, 사탕수수 등 거의 모든 식물에 존재하고 있으며, 과일에서는 과육보다는 껍질과 과육 주변에 더 많이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펙틴은 상업적으로 구입 혹은 과일의 껍질, 사탕수수의 분리 및 추출에 이용되는 공지의 방법을 단독 또는 적합하게 조합하여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펙틴은 모유두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고, 모낭의 모발 성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각질형성세포의 필라그린을 엔코딩(encoding)하는 유전자 및 인볼루크린을 엔코딩하는 유전자 각각의 mRNA 발현량을 촉진시킴으로써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촉진 및 각질형성세포의 보호로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일 수 있으며,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다. 또한,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제, 비경구용 제제, 주사 제형, 및 국소 투여 제제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경구형 제제 중 경구용 고형 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구형 제제 중 경구용 액상 제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을 포함하며, 물, 리퀴드 파라핀 등의 희석제,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용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를 포함하며, 비수성 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터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아니하는 포유류에 다양한 경로로, 예를 들면, 경구, 정맥, 근육, 또는 피하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국소로 투여될 수 있다. 국소 투여는 피부 및/또는 모발에 대한 유효성분 또는 조성물의 직접적인 적용을 의미하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국소용 조성물은 용액, 로숀, 납고, 크림, 연고, 리포좀, 스프레이, 젤, 포움(foam), 롤러스틱(roller stick), 또는 피부과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그 밖의 모든 제형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용도 및 방법에 있어서,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기간 등에 따라 다르지만, 경우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 번 또는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펙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통상의 화장료 제조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펙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스프레이, 헤어에어졸, 포마드, 분말, 젤, 헤어팩, 헤어트리트먼트, 눈썹 발모제, 속눈썹 발모제, 속눈썹 영양제 또는 연고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고 화장품용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용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에는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 계면활성제, 흡습제, 증점제, 점도 안정화제, 킬레이팅제, 완충제, 방부제, 저급 알코올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보습제, 항염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 비타민, 자외선 차단제, 항생제, 향수, 염료가 포함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펙틴을 처리한 인간 모유두세포의 성장 효과 확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펙틴(Pectin from citrus peel, P9195, Sigma Aldrich)이 인간 모유두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단국대학교 피부과로부터 제공받은 인간 모유두세포에 펙틴을 처리한 후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1-1]: 모유두세포 배양 및 펙틴 처리
10% FBS(Fetal Bovine Serum, Cambrex), 1% 항생제(antibiotics), 및 0.1% 펑자이존(fungizone)을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a, HyClone GE Healthcare) 배지를 이용하여 인간 모유두세포를 웰(well) 당 2 × 103 cells/200㎕이 되도록 96 웰 플레이트에 시딩(seeding)하여, 72시간 동안, 37℃, 5% CO2 습윤 조건 하에서 배양(인큐베이터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상기 96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서 배양에 사용되었던 배지를 제거하고, 각 웰에 DPBS(Dulbecco's Phosphate Buffer Saline, Sigma Aldrich, USA)를 첨가하여 2회 세척한 다음, FBS가 부재한 배지(serum free DMEM)를 첨가하였다.
그다음, 상기 96웰 플레이트의 웰 당 최종 농도가 10ppm, 50ppm이 되도록 펙틴을 첨가하여 처리군을 준비한 다음, 인큐베이터(37℃, CO2 습윤 조건)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한 후, CCK-8(Cell Counting Kit-8, CK04-11, Dojindo Molecular Technologies, Inc, MA, USA)을 2시간 동안 처리한 후, 450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평판배양측정기(microplate reader)로 측정하여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양성대조군에서는 펙틴 대신 5%(v/v)의 FBS를 함유하는 DMEM('FBS 5%')을 사용하였다. 또, 펙틴 또는 FBS로 처리되지 않은 무처리군은 대조군(Control)으로 준비하였다.
상기 [1-1]의 시험 단계는 3회 반복하였다.
[1-2]: 모유두세포의 성장 효과 확인 결과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펙틴을 10ppm의 농도로 처리한 처리군은 대조군(100%) 대비 인간 모유두세포의 성장을 약 140% 이상의 수준으로 향상시켰고, 펙틴을 50ppm의 농도로 처리한 처리군은 대조군(100%) 대비 인간 모유두세포의 성장을 약 150% 이상의 수준으로 향상시켰다(도 1의 적색 점선: 인간 모유두세포의 성장 정도가 대조군 대비 120% 이상일 경우 모유두세포의 성장 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판정함).
결국, 도 1의 결과로부터, 펙틴은 뛰어난 모유두세포 성장 촉진 활성을 나타내어, 우수한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펙틴을 처리한 모낭(Hair Follicles)의 모발 성장 효과 확인
단국대학교 피부과에서 제공 받은 57세 여성의 인체 후두부 두피 조직으로부터 분리한 모낭을 기관 배양(Organ culture)한 후, 펙틴을 처리하여 펙틴이 모낭의 모발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2-1]: 모낭의 기관 배양 및 펙틴 처리
2mM L-글루타민(L-glutamine), 10ng/㎖ 히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 1% 항생제 및 0.1% 펑자이존을 포함하는 William's E 배지(ThermoFisher Scientific)를 24 웰 플레이트에 웰 당 500㎕씩 분주한 후, 상기 분리한 모낭을 웰 당 6개씩 시딩하여 배양하였다. 그다음, 모낭을 시딩한 웰의 William's E 배지에 펙틴을 최종 농도가 20ppm이 되도록 처리하였고(도 1의 결과로부터 10ppm 및 50ppm의 농도로 펙틴을 처리한 인간 모유두세포에서 유의미한 성장 효과를 얻었으므로, 10~50ppm 범위에 속하는 20ppm의 농도로 펙틴을 모낭에 처리함), 7일간의 배양기간 동안 2~3일 간격으로 모낭 배양에 사용한 배지를 새 William's E 배지(20ppm 펙틴 함유)로 교환하였다(펙틴 처리군). 이때, 펙틴 무처리군은 대조군(Control)으로 준비하였다.
[2-2]: 모낭의 모발 성장 효과 확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낭의 모발 성장 정도는 모낭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발의 기준선(적색 점선)에 맞추어 절단된 모발의 길이를 실체현미경 하에서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배양 7일차에 모낭의 모발 길이를 확인한 결과, 펙틴 처리군은 대조군보다 모낭의 모발 길이가 평균적으로 1.3~1.7배 더 긴 것으로 나타나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즉, 펙틴은 모낭의 모발 성장을 촉진하여, 탈모 방지 효과 및 육모 촉진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 시험예 3> 펙틴을 처리한 각질형성세포의 필라그린 유전자의 발현 증가 효과 확인
[3-1]: 각질형성세포의 배양 및 펙틴 처리
10% FBS(ScienCell Research Laboratories, #0500)가 포함된 KCM(Keratinocyte Medium, ScienCell Research Laboratories, Catalog #2101) 배지에 인간 두피에서 분리한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 ScienCell Research Laboratories, Catalog #2440)를 웰 당 0.3 × 105 cells/㎖이 되도록 6 웰 플레이트에 시딩하여, 24시간 동안 37℃, 5% CO2 습윤 조건 하에서 배양(인큐베이터 배양)하였다.
펙틴 처리는 모낭을 시딩한 웰의 KCM 배지에 펙틴의 최종 농도가 50ppm이 되도록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펙틴 처리군). 이때, 펙틴 무처리군은 대조군(Control)으로 준비하였다.
[3-2]: RT- qPCR (Real-Time quantitative PCR )을 이용한 필라그린 유전자의 mRNA 발현량 확인 방법
펙틴 처리 유무에 따른 필라그린(FLG) 유전자의 mRNA 발현량을 확인하기 위해, QIAGEN사의 RNeasy Mini Kit(Cat No./ID: 74106)를 사용하여 [3-1]에서 배양한 각질형성세포의 RNA를 추출한 후, Invitrogen사의 SuperScript III Reverse Transcriptase Kit(Cat No. 18080085)를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한 다음, 2X TaqMan universal PCR mixture(10μl), 20X TaqMan expression assay mix(1μl), cDNA(50ng) 및 FLG 검출용 TaqMan probe(Hs00856927_g1, ThermoFisher Scientific)를 사용하여 7500 Fast Real-Time PCR(ThermoFisher Scientific)에서 PCR을 수행하여 필라그린 유전자의 mRNA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펙틴 처리군 및 대조군 각각에 대한 필라그린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GAPDH(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의 mRNA 발현량을 기준으로 보정하였다.
PCR 조건: 예비 변성(Pre-Denaturation) 단계에서 95℃/10분 진행 후, 사이클 단계에서 변성(Denaturation) 95℃/15초 및 결합/신장(Annealing/Elongation) 60℃/60초를 40회 반복하여 진행하였음.
상기 [3-1]~[3-2]의 시험 단계는 3회 반복하였고, 그 결과를 통계처리하였다.
[3-3]: 필라그린 유전자의 mRNA 발현량 확인 결과
펙틴 처리군의 필라그린(FLG) 유전자의 mRNA 발현량은 대조군의 발현율을 1로 정하여 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해 상대값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펙틴 처리군은 대조군보다 각질형성세포의 필라그린 유전자의 mRNA 발현량을 약 1.8배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펙틴은 각질형성세포의 필라그린 유전자의 mRNA 발현량을 현저하게 증가시키고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킴으로써, 각질형성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 시험예 4> 펙틴을 처리한 각질형성세포의 인볼루크린 유전자의 발현 증가 효과 확인
[4-1]: 각질형성세포의 배양 및 펙틴 처리
시험예 3의 세포배양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질형성세포를 배양하고 펙틴을 처리하였다(펙틴 처리군). 펙틴 무처리군은 대조군(Control)으로 준비하였다.
[4-2]: RT-qPCR을 이용한 인볼루크린 유전자의 mRNA 발현량 확인 방법
펙틴 처리 유무에 따른 인볼루크린(Involucrin, IVL) 유전자의 mRNA 발현량을 확인하기 위해, 시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4-1]에서 배양한 각질형성세포의 RNA를 추출한 후, cDNA를 합성하되, FLG 검출용 TaqMan probe 대신 IVL 검출용 TaqMan probe(Hs00846307_s1, ThermoFisher Scientific)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여 인볼루크린 유전자의 mRNA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펙틴 처리군 및 대조군 각각에 대한 인볼루크린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GAPDH의 mRNA 발현량을 기준으로 보정하였다.
상기 [4-1]~[4-2]의 시험단계는 3회 반복하였고, 그 결과를 통계처리하였다.
[4-3]: 인볼루크린 유전자의 mRNA 발현량 확인 결과
펙틴 처리군의 인볼루크린(IVL) 유전자의 mRNA 발현량은 대조군의 발현율을 1로 정하여 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해 상대값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펙틴 처리군은 대조군보다 각질형성세포의 인볼루크린 유전자의 mRNA 발현량을 약 3.6배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펙틴은 각질형성세포의 인볼루크린 유전자의 mRNA 발현량을 현저하게 증가시키고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킴으로써, 각질형성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통계처리
통계분석은 두 그룹 간 유의성 검사로 t-test 검정법을 이용하였고, 대조군과 비교하여 *P<0.05, **P<0.01, ***P<0.001인 경우 유효한 차이로 간주하였다.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13)

  1. 펙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탈모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인,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약학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모증은 원형 탈모증, 유전성 안드로겐 탈모증, 휴지기 탈모증, 외상성 탈모증, 발모벽 탈모증, 압박성 탈모증, 생장기 탈모증, 비강성 탈모증, 매독성 탈모증, 지루 탈모증, 증후성 탈모증, 비반흔성 탈모증, 반흔성 탈모증 및 선천성 탈모증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펙틴은 모유두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모낭의 모발 성장을 증진시키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펙틴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각질형성세포를 보호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는 필라그린을 엔코딩하는 유전자 및 인볼루크린을 엔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시키는 기작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작에 의한 것인,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약학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인,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약학 조성물.
  8. 펙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펙틴은 모유두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모낭의 모발 성장을 증진시키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펙틴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각질형성세포를 보호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는 필라그린을 엔코딩하는 유전자 및 인볼루크린을 엔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시키는 기작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작에 의한 것인,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인,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은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스프레이, 헤어에어졸, 포마드, 분말, 젤, 헤어팩, 헤어트리트먼트, 눈썹 발모제, 속눈썹 발모제, 속눈썹 영양제 또는 연고제인,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50078A 2020-04-24 2020-04-24 펙틴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101316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078A KR20210131680A (ko) 2020-04-24 2020-04-24 펙틴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078A KR20210131680A (ko) 2020-04-24 2020-04-24 펙틴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680A true KR20210131680A (ko) 2021-11-03

Family

ID=78505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078A KR20210131680A (ko) 2020-04-24 2020-04-24 펙틴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16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0205A (ko) 2022-03-02 2023-09-1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프린팅 기반 다점 멀티 노즐을 이용한 인공 두피 모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성된 인공 두피 모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568B1 (ko) 2008-02-14 2014-12-02 동아제약 주식회사 개선된 피부 저류 및 발모 효과를 갖는 미녹시딜 함유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568B1 (ko) 2008-02-14 2014-12-02 동아제약 주식회사 개선된 피부 저류 및 발모 효과를 갖는 미녹시딜 함유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0205A (ko) 2022-03-02 2023-09-1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프린팅 기반 다점 멀티 노즐을 이용한 인공 두피 모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성된 인공 두피 모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8785B1 (ko) 식물 착즙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0296430B1 (ko) 1종이상의진세노사이드계사포닌을함유하는화장료또는피부용조성물
KR101881417B1 (ko) 멘톨, 은행잎, 알로에, 녹차, 병풀 및 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35165A (ko) 효소처리 에델바이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및 모발 개선 촉진제
KR20120010699A (ko) 발효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230147028A (ko) 대마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항염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1698922B1 (ko)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190013575A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75249B1 (ko) 인삼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820531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210131680A (ko) 펙틴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484033B1 (ko) 땅콩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210151575A (ko)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612128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용 조성물
KR101541470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40091376A (ko) 국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40056990A (ko) 바이칼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EP3205346A1 (en) Composition for hair loss prevention or hair growth stimulation comprising scutellaria alpina extract
KR101430636B1 (ko) 진세노사이드 Rh2 및 진세노사이드 Rg3를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WO2015141926A1 (ko) 능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자극에 의한 피부노화 억제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438332B1 (ko) 포시티아사이드-에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039608B1 (ko) 미도드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297641B1 (ko) 복분자 추출물 함유 조성물
WO2010005256A2 (ko) 산사나무의 열매 또는 씨앗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70117929A (ko) 산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