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641B1 - 복분자 추출물 함유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분자 추출물 함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641B1
KR101297641B1 KR1020100067409A KR20100067409A KR101297641B1 KR 101297641 B1 KR101297641 B1 KR 101297641B1 KR 1020100067409 A KR1020100067409 A KR 1020100067409A KR 20100067409 A KR20100067409 A KR 20100067409A KR 101297641 B1 KR101297641 B1 KR 101297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hair
bokbunja
ethyl acetate
f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4433A (ko
Inventor
류성렬
문규환
Original Assignee
전라북도 고창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북도 고창군 filed Critical 전라북도 고창군
Priority to KR1020100067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641B1/ko
Publication of KR20100094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r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복분자로부터 분리한 천연원료로 피부에 대한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15-하이드록시프로스타글란딘 디하이드로게나아제(15-hydroxyprostaglandin dehydrogenase, 15-PGDH)의 활성을 억제하여 탈모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분자 추출물 함유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Rubus coreanum Miquel}
본 발명은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5-PGDH의 활성을 억제하여 탈모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복분자 딸기(Rubus coreanum Miquel)는 장미과 (Ros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중국, 일본, 우리나라 남부지역 및 제주도 그리고 중부지방의 비교적 높은 산기슭 양지에서 자생하며 6-7월에 열매가 성숙하여 검붉은 색으로 변한다. 이러한 복분자 딸기의 열매를 복분자(Rubi Fructus)라고 하며, 술 및 한과 그리고 기타 음료와 같이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과실이 미숙할 때 채취하여 끓는 물에 약간 익힌 다음 양건한 것을 한약재로 사용하여 왔다. 생약학에서 복분자는 신정(腎精), 태생(胎生), 음위(陰.), 신(身)및 간(肝)을 보호하고 눈을 밝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복분자는 총당(17.3%), 환원당(8.6%), 조단백질(10.6%), 조회분(4.5%), 조지방(3.1%) 및 조섬유(3.9%)와 같은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아밀알코올을 포함하는 11종의 알코올류, 발레르산을 포함하는 산(acid)류, 헥산알을 포함하는 20종의 카보닐류, 2-헵타논을 포함하는 5종류의 하이드로카본, 및 메틸팔미트산염을 포함하는 3종류의 에스테르류의 향기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최근 식생활과 환경의 변화, 각종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인해 탈모또는 박모로 고민하는 성인들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탈모증이란 모발이 정상적으로 존재하여야 하는 부위에서 소실되는 질환으로 주로 두부에 발생하며, 그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나 유전적 소인, 내분비 이상, 정신적 원인, 자가 면역반응, 기타 감염질환, 외상, 아토피 및 지루피부염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모낭의 손상여부에 따라 비반흔성 탈모증과 반흔성 탈모증으로 분류하며, 탈모증의 가장 많은 유형인 남성형 탈모증과 원형 탈모는 영구탈모라 해서 모발의 재생이 불가능하며, 비반흔성 탈모증은 이론적으로 모발이 다시 성장할 수 있으나 현재까지 확실한 특효약이 발견되지 않고 있다.
모발은 계속적으로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모발이 성장하는 성장기(anagen), 성장을 멈추고 모공이 축소되면서 대사과정이 늦어지는 퇴행기(catagen), 모낭이 수축되면서 위쪽으로 올라가는 휴지기(telogen)와 같은 모발주기(hair cycle)를 가지고 동일한 곳에서 일생동안 생성, 성장 및 탈락을 반복한다. 모발주기는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략 3~6년 정도이고, 전체 모발 중 80∼90%가 성장기 모발이며, 하루에 0.3mm정도 성장한다. 탈모증상을 보이는 환자의 경우 모발주기에서 성장기가 짧아지고, 전체 모발에서 차지하는 성장기 모발의 비율이 줄어드는 특성이 나타난다. 남성형 탈모의 경우, 그 발생 기전이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남성호르몬에 의존적이고, 휴지기 모낭의 비율이 증가되고 모낭이 왜소화되는 현상을 보인다.
현재 서양 의학적으로는 부신피질호르몬제의 전신적 투여, 스테로이드제의 국소도포 및 국소주사, Foltene 국소도포, KW-8701 국소도포, Phenol 자극법, monoxidil 국소도포제, 국소광화학요법(PUVA), DNCB(Dinitro chlorobenzene), DPCP(Dipehncycloprope-none)등을 이용한 국소접촉 면역요법 등이 탈모치료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외에 Zhang FaBao(102-A)와 두피절개법, 조직 확장기를 이용한 두피결손재건법, 인공모식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유기합성 의약을 사용하는 치료법의 경우에는 두피에 어느 정도 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며, 외과적인 수술에 의한 치료법의 경우에는 치료시 통증과 같은 문제가 유발될 수 있어 두피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탈모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하여, 기존의 치료시에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는 생물학적 천연 원료를 사용한 의약 또는 피부용품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두피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탈모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복분자로부터 분리한 천연원료로 두피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15-PGDH의 활성을 억제하여 탈모를 방지하거나 발모를 촉진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복분자 열매의 착즙액 및 잔사로부터 에탄올-가용 획분을 추출하는 과정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복분자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NADH 생성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4의 발모 효능 시험에서의 해당 실험군 마우스의 육모 발육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여드름 또는 탈모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성물 내에서 복분자 추출물의 농도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복분자는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통상의 생약 원물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 생약의 전초, 가지, 껍질, 잎, 순, 뿌리, 내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현재까지 복분자 열매에서는 가수분해성 탄닌인 갈산(gallicacid), 2.3-(s)-HHDP-D-glucopyranose, sanguiin H-4/H-6 및 quercetin, 줄기에서 플라바놀(flavanol)인 (-)-epicatechin, (+)-catechin, procyanidin인 procyanidin B-4, ellagitannin인 sanguiin B-4, 및 ellagitannin인 sanguiin H-4가 분리 및 동정되었으며, 잎에서는 플라보노이드(flavonnoid)인 kaempferol, quercetin, quercetin3-O-β-D-glucuronide의 나트륨염, quercetin3-O-β-D-glucuronide의 Nacarboxylate 및 ellagitannin인 ellagicacid, sanguiin H-5등이 분리 및 동정되었다. 복분자는 상기와 같이 플라보노이드, 카테킨류 및 안토시안류와 같은 페놀성 화합물이 5.28%로 기타 생약재 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어, superoxidiseanion radical 소거작용, 크산틴산화효소(xanthineoxidase) 억제작용, 항암, 항바이러스 작용, 지질산화반응 억제활성, 항돌연변이 활성 등의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din)은 생체 내에서 합성되는 생리활성 물질로 장기나 체액 속에 널리 분포하며 극히 미량으로도 생리작용을 나타낸다. 특히, 프로스글란딘 E-2는 체내에서 사람들의 머리에 세포분열을 촉진하고 머리내 혈관에 혈류를 확장시켜서 영양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킨다. 일반적으로 식이 중 섭취된 필수 지방산은 PLA 2 효소에 의해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 분해되며, COX-2 효소에 의해 다시 프로스타글란딘으로 분해된다. 이때, 15-하이드록시프로스타글란딘 디하이드로게나아제(15-hydroxyprostaglandin dehydrogenase, 15-PGDH)은 프로스타글란딘을 분해시켜 NAD+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15-PGDH의 작용을 억제시킨다면 프로스타글란딘의 분해를 억제하여 발모를 촉진하거나 탈모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복분자 추출물은 열매, 줄기, 잎, 뿌리 등, 바람직하게는 열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물 또는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서 추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통상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용매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물, C1 - 4알콜(예: 메탄올, 에탄올 등) 등의 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복분자 추출물은 50 내지 70%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열탕추출, 소니케이션 등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 추출물의 동결건조물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통상의 분획법 또는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보다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획물 또는 정제물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의 복분자 추출물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성분, 예를 들면 수용성 성분, 분말 성분,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도조절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향료, 색소 등을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제형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종래의 화장료 제형인 영양크림, 영양로션, 맛사지 크림, 영양에센스, 유연화장수, 팩, 유화형파운데이션 등 뿐만 아니라, 비누, 세안품과 같은 세안료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분야에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제화할 수 있고, 추출물 자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과 혼합하여 통상의 약학적 제제, 예를 들면 액제, 시럽제, 캡슐제, 과립제, 분말, 연고, 에멀젼, 겔, 크림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이를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 와 같이 여러 경로로 투여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복분자의 추출 및 용매분획
복분자(2kg)를 착즙기(Juice master Japan)로 착즙하여 착즙액(0.5L)을 얻었으며, 나머지 잔사를 24시간 동안 MeOH(2L)에 침지시킨 후 filter paper(Whatman No.2)로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1.8L)은 cooling aspirator(CA-111. Eyela, Tokyo, Japan)를 사용하여 38℃에서 감압 농축하여 잔사의 MeOH 추출물을 얻었다.
착즙액을 1N HCl로 pH 3.0으로 조정하고, EtOAc(2L)로 분배하여 수상획분(aqueous layer)과 EtOAc-가용 산성·중성획분(EtOAc-soluble acidic · neutral fraction)을 얻었다. EtOAc-가용 산성·중성획분을 완충용액(5%) NaHCO, pH 8.0)으로 분배하여 EtOAc-가용 중성획분(EtOAc-doluble neutral fraction)과 수상획분으로 분획하고, 수상획분에 다시 1N HCl을 가하여 pH 3.0으로 조정한 후, EtOAc로 분배하여 EtOAc-가용 산성획분(EtOAc-soluble acidic fraction)을 얻었다.
잔사의 MeOH 추출물을 착즙액의 경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용매 분획하였다. 즉, EtOAc와 잔사 MeOH 추출물의 5% NaHCO₃완충용액(pH 8.0)을 분해하여 수상 획분과 EtOAc-가용 중성획분을 얻었다. 수상획분을 1N HCl로 pH 3.0으로 조정한 후, EtOAc로 분배하여 EtOAc-가용 산성 획분을 얻었다 (도 1).
실시예 2. 15- 하이드록시프로스타글란딘 디하이드로게나아제 (15- PGDH ) 억제 활성 측정
복분자 추출물이 15-PGDH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를 일정한 수준까지 배양한 후 15-PGDH 효소와 프로스타글란딘 E-2를 넣고 복분자 추출물의 작용을 측정하였다. 15-PGDH 효소는 프로스타글란딘 E-2를 분해하여 NAD+를 발생시키는데, 여기에 H-이온을 넣어주면 NADH로 전환되고, 프로로센스를 적용하여 나타나는 형광을 관찰하였다 (도 2).
그 결과, 본 발명의 복분자 추출물은 그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NADH의 양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복분자 추출물이 15-PGDH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여 프로스타글란딘 E-2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복분자 추출물 함유 발모제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의 복분자 추출물에 하기와 같은 조성비로 에탄올 및 정제수를 첨가하여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0045128432-pat00001
실시예 4. 발모제 조성물의 동물 효능 시험
동물에 대하여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의 효능을 실험하였다. 휴지기 상태에 있는 5주령 C57BL/5 마우스 암컷 30 마리를 온도 25±1℃, 습도 55±10%의 실험실에서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고형사료와 물은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적응 기간 중 건강에 이상이 없는 5 마리를 선택하여, 등판의 털을 동물용 전기 이발기로 제거한 후, 다시 치오글리콜산 성분의 제모제를 바르고 10분 후에 부드러운 휴지로 털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제모 후 3일간 안정시킨 후,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발모제 조성물(3-1, 3-2, 3-3)을 하루 3시간 간격으로 각각 면봉을 이용하여 경피 도포하며 2주 내지 3주간 발모촉진 효과를 관찰하였다(도 3).
그 결과, 참조 화합물(에탄올)을 도포한 마우스에서는 발모가 나타난 마우스가 없었으나,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을 도포한 마우스에서는 우수한 발모 효과를 보였다(표 1 내지 3).
[발모 효과=완전히 발모된 마우스의 수/시험된 마우스의 수]
시험 화합물 2주 후 발모된 마우스 3주 후 발모 마우스
실시예 3-1 조성물 0/5 1/5
참조 화합물(에탄올) 0/5 0/5
시험 화합물 2주 후 발모된 마우스 3주 후 발모 마우스
실시예 3-2 조성물 1/5 2/5
참조 화합물(에탄올) 0/5 0/5
시험 화합물 2주 후 발모된 마우스 3주 후 발모 마우스
실시예 3-1 조성물 3/5 5/5
참조 화합물(에탄올) 0/5 0/5

Claims (2)

  1. (a) 복분자를 착즙하여 얻은 착즙액에 산을 가한 뒤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수상획분(aqueous layer), 및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산성 및 중성 획분(EtOAc-soluble acidic and neutral fraction)으로 분획하는 단계;
    (b) 단계 (a)의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산성 및 중성 획분에 완충용액을 첨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가용 중성획분(EtOAc-soluble neutral fraction) 및 수상획분으로 분획하는 단계; 및
    (c) 단계 (b)의 수상획분에 산을 가한 뒤 에틸아세테이트로 분배하여 에틸아세테이트-가용 산성획분(EtOAc-soluble acidic fraction)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15-하이드록시프로스타글란딘 디하이드로게나아제(15-hydroxyprostaglandin dehydrogenase, 15-PGDH) 억제 효능을 나타내는 복분자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유효성분으로서 제1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분자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용 조성물.
KR1020100067409A 2010-07-13 2010-07-13 복분자 추출물 함유 조성물 KR101297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409A KR101297641B1 (ko) 2010-07-13 2010-07-13 복분자 추출물 함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409A KR101297641B1 (ko) 2010-07-13 2010-07-13 복분자 추출물 함유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090A Division KR20090070180A (ko) 2007-12-27 2007-12-27 복분자 추출물 함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433A KR20100094433A (ko) 2010-08-26
KR101297641B1 true KR101297641B1 (ko) 2013-08-19

Family

ID=42758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409A KR101297641B1 (ko) 2010-07-13 2010-07-13 복분자 추출물 함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6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32654A (zh) * 2017-09-29 2020-05-08 Ucl有限公司 具有预防和缓解头皮炎症及预防脱发的效果的化妆品组合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441B1 (ko) * 2018-12-28 2022-03-11 주식회사 큐제네틱스 한약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복분자, 석창포, 상기자 및 숙지황이 모발 성장과 면포에 미치는 실험적 연구", 오영선,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02.) *
대한이비인후과피부과학회지, 제15권, 제2호, 53-79 페이지 (2002.12.) *
대한이비인후과피부과학회지, 제15권, 제2호, 53-79 페이지 (2002.12.)*
동의생리병리학회지, 18권, 2호, 561-570 페이지 (200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32654A (zh) * 2017-09-29 2020-05-08 Ucl有限公司 具有预防和缓解头皮炎症及预防脱发的效果的化妆品组合物
CN111132654B (zh) * 2017-09-29 2022-11-04 Ucl有限公司 具有预防和缓解头皮炎症及预防脱发的效果的化妆品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433A (ko)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538B1 (ko) 에델바이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모발 성장 촉진제
KR20140115400A (ko) 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두피케어조성물
KR101957849B1 (ko)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및 항염용 조성물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20170025375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6709783B2 (ja) アルパインワームウッド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KR20150007975A (ko)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JP6437297B2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セージ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101297641B1 (ko) 복분자 추출물 함유 조성물
JP6647292B2 (ja) スクテラリア・アルピナ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EP3165231A1 (en) Composition containing scutellaria alpina extract
KR20200064309A (ko) 탈모 또는 피부 염증 억제용 조성물
KR101679391B1 (ko) 피뿌리풀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개체의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
KR20050102346A (ko)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
KR102061716B1 (ko)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 e3을 포함하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967338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70025363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090070180A (ko) 복분자 추출물 함유 조성물
KR20140115228A (ko) 생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99144B1 (ko) 영지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406692B1 (ko) 콩발아배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TW201636013A (zh) 含有補骨脂定的生髮及/或育髮促進用組合物及其應用
KR20170025370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20003850A (ko) 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TWI685355B (zh) 以大星芹(Peucedanum Ostruthium)萃取物製備組成物作為美白肌膚、減少黑色素及抑制色素沉著的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