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377A -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식물 유래 가공품 함유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식물 유래 가공품 함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377A
KR20210131377A KR1020217029941A KR20217029941A KR20210131377A KR 20210131377 A KR20210131377 A KR 20210131377A KR 1020217029941 A KR1020217029941 A KR 1020217029941A KR 20217029941 A KR20217029941 A KR 20217029941A KR 20210131377 A KR20210131377 A KR 20210131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rocessed
plant
derived
kaempfe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9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타카 이케다
츠바사 미조카미
미노루 아키야마
야스히로 아비루
아유코 오야마
Original Assignee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31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Pulmo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식물 유래 가공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효율 향상 조성물, 피로 경감 조성물 및 동체 시력 개선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식물 유래 가공품 함유 조성물
본원은 운동 효율 향상 조성물, 피로 경감 조성물 및 동체 시력 개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심한 트레이닝을 하는 운동 선수뿐만 아니라, 일반인의 일상적인 노동(예를 들어 가사, 짐 운반, 계단의 승강)에 있어서도 운동 효율의 향상, 피로 경감, 동체 시력 개선은 매우 중요하다. 산소 이용은 에너지 산생의 지표이며, 스포츠나 일상 생활에 있어서 피로나 숨참을 느끼지 않고 지속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기 위해서는, 산소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열쇠가 된다.
일반적으로 안정 시의 동맥혈 산소 포화도는 96% 이상이 정상으로 되어 있지만, 심한 운동 시에는 93 내지 88%까지 저하된다(비특허문헌 1). 또한 동맥혈 산소 포화도(안정 시)는 20대에서는 약 97%이기는 하지만 가령(加齡)과 함께 이 수치는 저하되고, 60대에서는 약 93%가 된다(비특허문헌 2). 즉 심한 스포츠 시의 급격한 산소 상태의 저하에 더하여, 일반인의 일상 생활에 있어서도 가령이나 노동, 또한 악천후(저기압)나 무호흡 증후군 등에 의해 산소 상태의 저하는 일어날 수 있다.
스포츠 시뿐만 아니라 일반인의 일상 생활에 있어서도 산소 상태의 저하는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통상적인 산소 상태에 더하여 산소 상태가 저하되고 있는 경우에도 산소 이용 효율을 개선할 수 있어, 운동 효율을 향상시키고, 피로가 쌓이기 어렵게 할 수 있거나, 또는 동체 시력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며, 일상적으로 계속해서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제제가 요망된다.
켐페롤은 차, 브로콜리, 자몽, 양배추, 케일, 콩류, 에스카롤, 리크, 토마토, 딸기, 포도, 방울다다기양배추, 사과, 키노아, 서양 고추냉이, 사프란, 프로폴리스, 갓, 루콜라 등 많은 식용 식물 등에 포함되는 천연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이다.
켐페롤을 포함하는 천연 플라보노이드에 대해서는 그의 다양한 생리 작용에 착안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고, 예를 들어 켐페롤의 미토콘드리아 기능에 대한 관여(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및 비특허문헌 3), 및 켐페롤의 세포 에너지 소비 및 갑상선 호르몬에 대한 영향(비특허문헌 4)을 들 수 있지만, 이들은 모두 인비트로(시험관내)의 연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3은 퀘르세틴의 락트산 농도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 개시하는 것이지만, 다른 플라보노이드를 사용한 구체적인 기재는 없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인용하는 선행 기술 문헌의 개시는 모두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국제 공개 제2014/171333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28855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13-542924호 공보
Williams JH, Powers SK, Stuart MK(1986) Hemoglobin desaturation in highly trained athletes during heavy exercise. Med Sci Sports Exerc 18: 168-173 Wilkins, R.L. et al. Clinical assessment in respiratory care, (2004), Relationship between Age, PaO, and Saturation M. Montero, C.D. Lobaton, E. Hernandez-Sanmiguel, et al., Direct activation of the mitochondrial calcium uniporter by natural plant flavonoids, Biochem. J. 384(2004) 19-24. da-Silva WS, Harney JW, Kim BW, Li J, Bianco SD, Crescenzi A, Christoffolete MA, Huang SA, Bianco AC 2007 The small polyphenolic molecule kaempferol increases cellular energy expenditure and thyroid hormone activation. Diabetes 56:767-776 Oxygen uptake effciency slope(OUES): 그 생리학적 기초와 임상 응용, 도카이 대학 스포츠 의과학 잡지 11, 9-14, 1999-03, 도카이 대학
본원의 과제는, 산소 이용 효율을 향상시킴(즉, 산소를 이용하는 능력을 높임)으로써 운동 효율의 저하를 억제 또는 운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거나 혹은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거나, 또는 동체 시력의 저하를 억제 또는 동체 시력을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로서, 통상적인 산소 상태에 더하여 산소 상태가 저하되어 있을 경우에도 이들의 작용을 발휘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한 바, 켐페롤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인간에게 경구 투여함으로써, 일상 생활 정도의 경도의 운동부터 심한 스포츠에 상당하는 강도의 운동에 걸친 넓은 강도 범위의 운동에 있어서 산소 이용 효율은 증가하고, 운동 효율은 향상되며, 피로감은 경감되고, 동체 시력은 개선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켐페롤(켐페롤 배당체를 포함함)을 포함한다고 알려져 있는 식용 식물 등 중에서, 특히 서양 고추냉이잎, 사프란, 홍찻잎, 케일, 프로폴리스, 루콜라, 키노아 및 갓에는 켐페롤 또는 켐페롤 배당체가 매우 많이 포함되는 것을 밝혀내어, 본원 발명에 이르렀다.
본원 발명은 하기를 제공한다:
[1] 서양 고추냉이 추출물, 사프란 추출물, 찻잎 추출물, 케일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갓 추출물, 루콜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서양 고추냉이 가공품, 사프란 가공품, 찻잎 가공품, 케일 가공품, 프로폴리스 가공품, 갓 가공품, 루콜라 가공품,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유래 가공품을 함유하는 운동 효율 향상 조성물.
[2] 해당 운동 효율 향상이 지구력의 향상인, [1]에 기재된 운동 효율 향상 조성물.
[3] 해당 운동 효율 향상이 숨참 경감인, [1]에 기재된 운동 효율 향상 조성물.
[4] 서양 고추냉이 추출물, 사프란 추출물, 찻잎 추출물, 케일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갓 추출물, 루콜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서양 고추냉이 가공품, 사프란 가공품, 찻잎 가공품, 케일 가공품, 프로폴리스 가공품, 갓 가공품, 루콜라 가공품,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유래 가공품을 함유하는 피로 경감 조성물.
[5] 서양 고추냉이 추출물, 사프란 추출물, 찻잎 추출물, 케일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갓 추출물, 루콜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서양 고추냉이 가공품, 사프란 가공품, 찻잎 가공품, 케일 가공품, 프로폴리스 가공품, 갓 가공품, 루콜라 가공품,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유래 가공품을 함유하는 동체 시력 개선 조성물.
[6] 서양 고추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7] 서양 고추냉이 가공품을 포함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8] 해당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해당 식물 유래 가공품이 켐페롤을 함유하는,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9] 해당 켐페롤을 0.1mg 내지 200mg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10] 해당 켐페롤을 0.5mg 내지 100mg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11] 해당 켐페롤이 1회당 0.1mg 내지 200mg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12] 해당 켐페롤이 1회당 0.5mg 내지 100mg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13] 해당 켐페롤이 1일당 0.1mg 내지 600mg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14] 해당 켐페롤이 1일당 0.5mg 내지 200mg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15] 저산소 상태인 대상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16] 음식품인,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17] 의약 조성물인,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또한 본원 발명은 운동 효율 향상 조성물, 피로 경감 조성물 또는 동체 시력 개선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서양 고추냉이 추출물, 사프란 추출물, 찻잎 추출물, 케일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갓 추출물, 루콜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서양 고추냉이 가공품, 사프란 가공품, 찻잎 가공품, 케일 가공품, 프로폴리스 가공품, 갓 가공품, 루콜라 가공품,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유래 가공품의 사용을 제공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서양 고추냉이 추출물, 사프란 추출물, 찻잎 추출물, 케일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갓 추출물, 루콜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서양 고추냉이 가공품, 사프란 가공품, 찻잎 가공품, 케일 가공품, 프로폴리스 가공품, 갓 가공품, 루콜라 가공품,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유래 가공품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동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피로를 경감하는 방법, 또는 동체 시력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덧붙여, 본원 발명은 운동 효율 향상, 피로 경감 또는 동체 시력 개선에 있어서의 사용을 위한, 서양 고추냉이 추출물, 사프란 추출물, 찻잎 추출물, 케일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갓 추출물, 루콜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유래 추출물, 또는 서양 고추냉이 가공품, 사프란 가공품, 찻잎 가공품, 케일 가공품, 프로폴리스 가공품, 갓 가공품, 루콜라 가공품,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유래 가공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산소 이용 효율(산소를 이용하는 능력)을 높일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일상의 동작 및 스포츠를 포함하는 모든 「운동」에 있어서 그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 예를 들어 숨참이 경감된 상태 또는 지구력이 향상된 상태로 운동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숨참 경감 조성물 혹은 지구력 향상 조성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어, 스포츠나 일상의 가사 등을 피로를 느끼지 않고 행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동체 시력을 개선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스포츠에서의 성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각 운동 강도에 있어서의 산소 이용량(VO2)을 나타낸다.
도 2는 점증 부하 운동 개시 후의 산소 소비 효율(VO2/VE)을 나타낸다.
도 3은 점증 부하 운동에 있어서의 각 용량의 산소 섭취 효율 구배(OUES)를 나타낸다.
도 4는 점증 부하 운동에 있어서의 각 용량의 최대 산소 이용량(VO2peak)을 나타낸다.
도 5는 점증 부하 운동에 있어서의 각 용량의 최대 운동 부하량을 나타낸다.
도 6a는 계단을 오를 때 상당의 산소 이용량에 있어서의 운동 강도(%HR)와 자각 운동 강도(RPE)를 나타낸다.
도 6b는 조깅 시 상당의 산소 이용량에 있어서의 운동 강도(%HR)와 자각 운동 강도(RPE)를 나타낸다.
도 7은 점증 부하 운동 전후의 가로 방향 동체 시력(DVA)을 나타낸다.
도 8은 저산소 환경 하에 있어서의 각 화합물의 ATP 산생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다.
도 9a는 넙치근(Sol)에 있어서의 ATP 함량을 나타낸다.
도 9b는 전체 뇌에 있어서의 ATP 함량을 나타낸다.
도 10은 원료에 포함되는 켐페롤 및 켐페롤 배당체의 양을 나타낸다. KMP는 켐페롤이다.
본 발명은 운동 효율 향상 조성물, 피로 경감 조성물 또는 동체 시력 개선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이들 조성물은 서양 고추냉이 추출물, 사프란 추출물, 찻잎 추출물, 케일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갓 추출물, 루콜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유래 추출물(바람직하게는 서양 고추냉이 추출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서양 고추냉이잎 추출물), 및/또는 서양 고추냉이 가공품, 사프란 가공품, 찻잎 가공품, 케일 가공품, 프로폴리스 가공품, 갓 가공품, 루콜라 가공품,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유래 가공품(바람직하게는 서양 고추냉이 가공품, 더욱 바람직하게는 서양 고추냉이잎 가공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물 유래 추출물은 서양 고추냉이 추출물, 사프란 추출물, 찻잎 추출물, 케일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갓 추출물 및 루콜라 추출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물 유래 추출물은 1종 또는 복수종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양 고추냉이 추출물, 사프란 추출물, 찻잎 추출물, 케일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갓 추출물, 루콜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에 있어서의 「혼합」이란, 당해 열기된 추출물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물 유래 가공품은 서양 고추냉이 가공품, 사프란 가공품, 찻잎 가공품, 케일 가공품, 프로폴리스 가공품, 갓 가공품 및 루콜라 가공품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물 유래 가공품은 1종 또는 복수종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양 고추냉이 가공품, 사프란 가공품, 찻잎 가공품, 케일 가공품, 프로폴리스 가공품, 갓 가공품, 루콜라 가공품, 및 이들의 혼합」에 있어서의 「혼합」이란, 당해 열기된 가공품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물 유래 추출물이란, 원료(서양 고추냉이(예를 들어 그의 잎 부분), 사프란, 찻잎(예를 들어 홍찻잎), 케일, 프로폴리스, 갓 또는 루콜라)에 대하여, 켐페롤 배당체를 켐페롤 아글리콘으로 변환하기 위한 효소 처리(효소를 산생할 수 있는 미생물을 사용해도 됨) 및/또는 산 가수분해 처리, 및 추출 처리를 실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의미한다. 식물 유래 추출물의 제조는 추출 처리 후의 정제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물 유래 가공품이란, 원료(서양 고추냉이(예를 들어 그의 잎 부분), 사프란, 찻잎(예를 들어 홍찻잎), 케일, 프로폴리스, 갓 또는 루콜라)에 대하여, 켐페롤 배당체를 켐페롤 아글리콘으로 변환하기 위한 효소 처리(효소를 산생할 수 있는 미생물을 사용해도 됨) 및/또는 산 가수분해 처리를 실시하여 얻어진 가공품이며, 추출 공정을 포함하지 않고 제조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양 고추냉이 추출물이란, 서양 고추냉이(Armoracia rusticana)를 원료로 하여 얻어진 식물 유래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양 고추냉이 가공품이란, 서양 고추냉이(Armoracia rusticana)를 원료로 하여 얻어진 식물 유래 가공품을 의미한다. 서양 고추냉이의 잎에는 켐페롤 배당체(예를 들어 켐페롤3-O-크실로실갈락토시드)가 많이 포함되기 때문에, 원료로서 잎 부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양 고추냉이잎 추출물 및 서양 고추냉이잎 가공품이란, 주로 서양 고추냉이의 잎 부분을 사용하여 제조된 서양 고추냉이 추출물 및 서양 고추냉이 가공품을 각각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프란 추출물이란 사프란(Crocus sativus)을 원료로 하여 얻어진 식물 유래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프란 가공품이란 사프란(Crocus sativus)을 원료로 하여 얻어진 식물 유래 가공품을 의미한다.
사프란에는 켐페롤7-O-β-d-글루코피라노시드(kaempferol 7-O-β-d-glucopyranoside)가 포함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Mini Rev Med Chem. 11(4):298-344.2011).
본 발명에 있어서 찻잎 추출물이란 차(Camellia sinensis)의 잎(찻잎)을 원료로 하여 얻어진 식물 유래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찻잎 가공품이란 차(Camellia sinensis)의 잎(찻잎)을 원료로 하여 얻어진 식물 유래 가공품을 의미한다. 찻잎은 생이어도 되고, 건조 및/또는 발효시킨 것(예를 들어, 녹찻잎, 우롱찻잎, 홍찻잎)이어도 된다.
찻잎에는 켐페롤3-O-(2-O-β-D-갈락토피라노실-6-O-α-L-람노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kaempferol 3-O-(2-O-β-D-galactopyranosyl-6-0-α-L-rhamnopyranosyl)-β-D-glucopyranoside), 켐페롤3-O-(2-O-β-D-크실로피라노실-6-O-α-L-람노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kaempferol 3-O-(2-O-β-D-xylopyranosyl-6-O-α-L-rhamnopyranosyl)-β-D-glucopyranoside), 켐페롤3-글루코실-(1→3)-람노실(1→6)갈락토시드(kaempferol 3-glucosyl-(1→3)-rhamnosyl(1→6)galactoside), 켐페롤3-O-[2-쿠마로일-3-O-β-D-글루코실-3-O-β-D-글루코실루티노시드](kaempferol 3-O-[2-coumaroyl-3-O-β-D-glucosyl-3-O-β-D-glucosylrutinoside])가 포함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Mini Rev Med Chem. 11(4):298-344.2011).
본 발명에 있어서 케일 추출물이란 케일(Brassica oleracea)을 원료로 하여 얻어진 식물 유래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케일 가공품이란 케일(Brassica oleracea)을 원료로 하여 얻어진 식물 유래 가공품을 의미한다.
케일에는 켐페롤3-시나포일-디-글루코시드-7-디-글루코시드(kaempferol 3-sinapoyl-di-glucoside-7-di-glucoside)가 포함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Mini Rev Med Chem. 11(4):298-344.2011).
본 발명에 있어서 프로폴리스 추출물이란 프로폴리스를 원료로 하여 얻어진 식물 유래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로폴리스 가공품이란 프로폴리스를 원료로 하여 얻어진 식물 유래 가공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갓 추출물이란 갓(Brassica juncea)을 원료로 하여 얻어진 식물 유래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갓 가공품이란 갓(Brassica juncea)을 원료로 하여 얻어진 식물 유래 가공품을 의미한다.
갓에는 켐페롤7-O-β-D-글루코피라노실-(1→3)-[β-D-글루코피라노실-(1→6)]-글루코피라노시드(kaempferol 7-O-β-D-glucopyranosyl-(1→3)-[β-D-glucopyranosyl-(1→6)]-glucopyranoside)가 포함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Mini Rev Med Chem. 11(4):298-344.2011).
본 발명에 있어서 루콜라 추출물이란 루콜라(Eruca sativa)를 원료로 하여 얻어진 식물 유래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루콜라 가공품이란 루콜라(Eruca sativa)를 원료로 하여 얻어진 식물 유래 가공품을 의미한다.
루콜라에는 켐페롤디-O-글리코시드(kaempferol di-O-glycoside)가 포함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Mini Rev Med Chem. 11(4):298-344.2011).
식물 유래 추출물/가공품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원료는 생의 상태여도 되고, 건조품이나 조건조품이어도 되지만, 켐페롤 또는 그의 배당체를 효율적으로 효소 처리/산 가수분해 처리/추출한다는 관점에서, 원료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분쇄하고 나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제학 또는 식품 공학의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유기 용매, 또는 이들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는 추출을 들 수 있다.
식물체에는 통상, 아글리콘보다 배당체가 많이 포함되는 한편, 통상적으로 글루코오스 배당체 이외의 배당체는 아글리콘보다 체 내에서 흡수되기 어렵기 때문에, 본원의 식물 유래 추출물 및 식물 유래 가공품의 제조에 있어서는, 켐페롤 배당체를 켐페롤 아글리콘으로 변환하기 위한 효소 처리/산 가수분해 처리 공정이 포함된다. 상기 식물 유래 추출물의 원료에 포함될 수 있는 켐페롤 배당체로서는,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람노오스, 크실로오스 및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소포로오스(글루코오스+글루코오스), 루티노오스(람노오스+글루코오스), 네오헤스페리도스(람노오스+글루코오스))이, 켐페롤의 3위치, 6위치 및/또는 7위치에 O-글리코시드 결합하고 있는 켐페롤 배당체를 들 수 있다. 각 원료에 포함될 수 있는 배당체의 당으로서는,
사프란: 글루코오스;
찻잎: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람노오스+글루코오스, 크실로오스+람노오스+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글루코오스, 글루코오스+루티노오스(람노오스+글루코오스);
케일: 소포로오스(글루코오스+글루코오스);
갓: 글루코오스+글루코오스+글루코오스;
루콜라: 글루코오스;
서양 고추냉이잎: 갈락토오스+크실로오스
를 들 수 있다.
효소 처리는, 포함될 수 있는 배당체를 아글리콘으로 변환하기에 적합한 효소, 예를 들어 글루코시다아제(glucosidase), 아라비노시다아제(arabinosidase), 람노시다아제(rhamnosidase), 크실로시다아제(xylosidase), 셀룰라아제(cellulase), 헤스페리디나아제(hesperidinase), 나린기나아제(naringinase), 글루쿠로니다아제(glucuronidase), 펙티나아제(pectinase), 갈락토시다아제(galactosidase), 아밀로글루코시다아제(amyloglucosidase) 또는 아밀라아제(amylase)를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해당 효소를 산생할 수 있는 미생물, 예를 들어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속, 바실루스(bacillus)속, 페니실리움(penicillium)속, 거미줄곰팡이(rhizopus)속, 리조뮤코르(rhizomucor)속, 탈라로미세스(talaromyces)속,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속, 모르티에렐라(mortierella)속, 크립토코쿠스(cryptococcus)속 또는 마이크로박테리움(microbacterium)속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하여 효소 처리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서양 고추냉이 추출물의 제조에 있어서는, 글루코시다아제와 크실라나아제 혹은 이들을 산생할 수 있는 미생물을 사용하여 효소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혹은, 산 가수분해 처리에 의해 배당체를 아글리콘으로 변환해도 된다.
본원에 있어서, 식물 유래 추출물 및 식물 유래 가공품에는 켐페롤 아글리콘이 고농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품 조성물의 재료로서 사용 가능한 정도(예를 들어 1mg/g 이상, 혹은 3mg/g 이상, 바람직하게는 10mg/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mg/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mg/g 이상)로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식물 유래 추출물/가공품에는 켐페롤 배당체가 잔존하고 있어도 된다. 식물 유래 추출물 및 식물 유래 가공품에는 켐페롤3-O-글루코시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식물 유래 추출물 및 식물 유래 가공품 중의 켐페롤 아글리콘의 정량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행해질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본원 실시예의 시험예 6의 방법에 따라서 행해질 수 있다.
식물 유래 추출물의 제조에 있어서, 추출 공정과 효소/산 가수분해 처리의 순서 및 그들의 횟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원료를 용매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효소/산 가수분해 처리하여 제조해도 되고;
원료를 효소/산 가수분해 처리하고, 얻어진 처리물을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해도 되고; 또는
원료를 용매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효소/산 가수분해 처리하고, 얻어진 처리물을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해도 된다.
이들 제조 방법은 모두, 추출물에 정제 처리 및/또는 농축 처리를 적절히 행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물 유래 추출물/가공품은 물, 알코올, 당 등의 희석매로 희석한 것이어도 되고, 동결 건조시킨 분말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서양 고추냉이 추출물은 하기 (1) 내지 (6)의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1) 서양 고추냉이잎을 수확 후, 세정·살균하고, 열풍 건조시킨다.
(2) 건조시킨 서양 고추냉이잎을 0 내지 50v/v%의 물을 포함하는 에탄올로 추출한다.
(3) 추출액을 수지 칼럼으로 흡착, 탈리를 행하여 정제한다.
(4) 정제액을 적당한 산 또는 염기로 pH 3-7로 조정하고, 30-50℃에서 적당한 시간 가수분해 효소에 의한 효소 반응을 실시한다.
(5) 60℃ 이상에서 효소를 실활시킨다.
(6) 동결 건조시킨 것을 서양 고추냉이 추출물(분말)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가공품이 1회의 투여당, 예를 들어 0.05mg 내지 5g, 바람직하게는 0.1mg 내지 3g, 더욱 바람직하게는 0.5mg 내지 2g,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10mg 내지 1.5g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혹은 해당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가공품의 하한값의 예로서 0.05mg, 0.1mg, 0.5mg, 10mg, 20mg, 50mg, 100mg, 200mg, 500mg 및 700mg을 들 수 있고, 상한값의 예로서 1g, 1.5g, 2g, 3g 및 5g을 들 수 있고, 해당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가공품의 바람직한 범위는 해당 상한값과 해당 하한값의 조합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가공품은 1일당, 예를 들어 0.05mg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0.1mg 내지 7.5g, 더욱 바람직하게는 0.5mg 내지 5g 투여될 수 있다. 해당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가공품의 하한값의 예로서 0.05mg, 0.1mg, 0.5mg, 10mg, 20mg, 50mg, 200mg, 500mg 및 700mg을 들 수 있고, 상한값의 예로서 1g, 1.5g, 2g, 3g, 5g, 7.5g 및 10g을 들 수 있고, 해당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가공품의 바람직한 범위는 해당 상한값과 해당 하한값의 조합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1일당에 투여될 수 있는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가공품이 1회의 투여로 투여되어도 되고, 복수회(예를 들어 2회, 3회, 4회 및 5회)로 나누어 투여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음식품, 의약 조성물 등)에 포함될 수 있는,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가공품(혹은 켐페롤)의 양, 1회의 투여당에 투여되는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가공품(혹은 켐페롤)의 양, 및 1일당에 투여되는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가공품(혹은 켐페롤)의 양은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발휘될 수 있는 범위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조성물의 형태나 투여 횟수, 대상의 건강 상태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기간은 목적으로 하는 효과가 발휘될 수 있는 범위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단회여도 되고, 계속적으로 투여되어도 된다. 운동 효율 향상, 피로 경감 또는 동체 시력 개선의 효과를 계속적으로 얻기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장기간에 걸쳐 계속해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2일간, 3일간, 1주일, 10일간, 1개월, 3개월 이상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따라서 다르지만,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가공품은 켐페롤로서 예를 들어 0.1mg 내지 200mg, 바람직하게는 0.5mg 내지 100mg, 더욱 바람직하게는 1mg 내지 30mg,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2mg 내지 10mg 포함된다. 해당 켐페롤의 하한값의 예로서 0.1mg, 0.5mg, 1mg, 2mg 및 2.5mg을 들 수 있고, 상한값의 예로서 200mg, 150mg, 100mg, 50mg, 30mg, 25mg, 15mg, 10mg, 5mg, 3mg 및 2.5mg을 들 수 있고, 해당 켐페롤의 바람직한 범위는 해당 상한값과 해당 하한값의 조합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가공품이 1회의 투여당, 켐페롤로서 예를 들어 0.1mg 내지 200mg, 바람직하게는 0.5mg 내지 100mg, 더욱 바람직하게는 1mg 내지 30mg,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2mg 내지 10mg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해당 켐페롤의 하한값의 예로서 0.1mg, 0.5mg, 1mg, 2mg 및 2.5mg을 들 수 있고, 상한값의 예로서 200mg, 150mg, 100mg, 50mg, 30mg, 25mg, 15mg, 10mg, 5mg, 3mg 및 2.5mg을 들 수 있고, 해당 켐페롤의 바람직한 범위는 해당 상한값과 해당 하한값의 조합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가공품은 1일당 켐페롤로서, 예를 들어 0.1mg 내지 600mg, 바람직하게는 0.5mg 내지 200mg, 더욱 바람직하게는 1mg 내지 100mg 투여될 수 있다. 해당 켐페롤의 하한값의 예로서 0.1mg, 0.5mg, 1mg, 2mg 및 2.5mg을 들 수 있고, 상한값의 예로서 600mg, 300mg, 200mg, 150mg, 100mg, 50mg, 30mg, 25mg, 15mg, 10mg, 5mg, 3mg 및 2.5mg을 들 수 있고, 해당 켐페롤의 바람직한 범위는 해당 상한값과 해당 하한값의 조합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1일당에 투여될 수 있는 켐페롤이 1회의 투여로 투여되어도 되고, 복수회(예를 들어 2회, 3회, 4회 및 5회)로 나누어 투여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제제로서 제제화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제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정제, 과립제, 캡슐제, 분말제, 츄어블정, 과자류(쿠키, 비스킷, 초콜릿 과자, 칩스, 케이크, 껌, 캔디, 구미, 만주, 양갱, 푸딩, 젤리, 요구르트, 아이스크림, 샤베트 등), 빵, 면류, 밥류, 시리얼 식품, 음료(액제, 청량 음료, 탄산 음료, 영양 음료, 분말 음료, 과실 음료, 우유 음료, 젤리 음료 등), 스프(분말, 냉동 건조), 된장국(분말, 냉동 건조) 등의 통상적인 식품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음식품 또는 의약 조성물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기능성 표시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건강 식품, 영양 보조 식품(서플리먼트), 의료용 식품 등의 음식품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물 유래 추출물/가공품 이외에도,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기제나 담체, 식품에 사용 가능한 첨가물 등을 첨가하여, 경구 투여 제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식물 유래 추출물/가공품 이외의 재료는 켐페롤의 안정성을 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예를 들어 산소 이용 효율 향상, 운동 효율 향상, 피로 경감 또는 동체 시력 개선)를 해치는 것이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산소 이용 효율 향상」이란, 산소를 이용하는 능력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예로서, 본원 실시예에 기재된 산소 소비 효율(VO2/VE)의 증가에 더하여, 소정의 운동 강도 하에서의 산소 이용량(VO2)의 증가, 산소 섭취 효율 구배(OUES)의 증가 및 최대 산소 이용량(VO2peak)의 증가를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운동」이란 몸을 움직이게 하는 것을 의미하고, 일상의 가사, 짐 운반, 계단의 승강, 스포츠 등 모든 양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운동 효율 향상」이란, 모든 운동의 장면에서 몸을 보다 편하게 움직이게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지구력이 향상되어 보다 편한 상태에서 오래 운동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또는 숨참이 경감된 상태에서 보다 편하게 운동할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운동 효율 향상의 지표의 예로서는, 소정의 운동 강도 하에서의 산소 이용량(VO2)의 증가, 산소 소비 효율(VO2/VE)의 증가, 산소 섭취 효율 구배(OUES)의 증가, 최대 산소 이용량(VO2peak)의 증가, 최대 운동 부하량의 증가, 소정의 산소 이용량(VO2) 하에서의 운동 강도의 감소, 또는 자각 운동 강도의 감소(이들 용어는 본원 실시예에 설명됨)를 들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조성물이 운동 효율 향상을 위해 투여되는 경우, 그 용량 및 투여 횟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에 예시하는 투여량, 투여 횟수, 투여 기간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로 경감이란, 모든 운동의 장면에서 보다 피로가 적게 운동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피로 경감의 지표의 예로서는 운동 강도 또는 자각 운동 강도(이들 용어는 본원 실시예에 설명됨)가 감소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조성물이 피로 경감을 위해 투여되는 경우, 그 용량 및 투여 횟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에 예시하는 투여량, 투여 횟수, 투여 기간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동체 시력 개선이란, 동체 시력의 저하를 방지하거나 또는 동체 시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발명의 조성물이 동체 시력 개선을 위해 투여되는 경우, 그 용량 및 투여 횟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에 예시하는 투여량, 투여 횟수, 투여 기간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산소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즉, 산소를 이용하는 능력이 높아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산소 이용 효율 향상제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저산소 상태란 체 내의 산소가 부족한 상태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동맥혈 산소 포화도가 95% 미만의 상태인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저산소 상태의 대상에 있어서도 산소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당해 저산소 상태의 대상에 있어서도 운동 효율 향상, 피로 경감, 동체 시력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대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스포츠 전후, 옥외에서의 작업 전후, 일상의 노동(계단의 오르내림, 가사 등) 전후, 평소의 피로가 없어지지 않는다고 느낄 때, 효율적으로 작업을 하고 싶을 때, 가령으로 움직임이 둔해졌다고 느꼈을 때에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제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쿠키(켐페롤 함량 2.5mg/1장)
키노아 추출물* 37중량%
메이플 시럽 22중량%
우유 22중량%
버터(함염) 15중량%
그래뉴당 4중량%
합계 100중량%
이들을 혼합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오븐 온도 약 140℃에서 20분간 소성하여 쿠키를 제조하였다. 쿠키 1장당의 켐페롤의 함량은 2.5mg(HPLC에 의함)이었다.
키노아 추출물*: 효소 처리에 의해 켐페롤 배당체를 켐페롤 아글리콘으로 변환한 추출물.
<시험예 1: 자전거 타기 점증 부하 운동 시험>
건강한 성인 남성 25명에 대하여, 3용량의 켐페롤 함유 쿠키 형상 식품(켐페롤로서, 2.5mg, 10mg, 25mg을 포함함) 및 플라세보 쿠키 형상 식품(켐페롤을 포함하지 않음)을 시험 식품으로 하여, 1일 1회 8일간의 연속 섭취를 크로스오버법으로 4세트 반복하였다. 섭취 1일째(단회 섭취 시) 및 섭취 8일째(연속 섭취 시)의 시험 식품 섭취 3시간 후부터, 호기 가스를 채취하면서 자전거 타기 점증 부하 운동을 실시하고, 산소 이용량을 산출하였다. 운동 중에는, 심박수 및 자각적 운동 강도를 모니터하였다. 또한, 운동 전후에 동체 시력을 측정하였다. 각 평가 항목의 상세를 이하에 나타낸다.
<1: 산소 이용량(VO2)의 평가>
산소 이용량(VO2)(mL/min/kg)을, 흡입한 숨(대기)에 포함되는 산소의 양과 호기 가스에 포함되는 산소의 양의 차로부터 산출하였다.
자전거 타기 점증 부하 운동에 있어서, 페달의 무게가 피험자의 한계에 가까워지면 심박수(HR)는 최대가 된다. 안정 시의 심박수로부터 최대 심박수까지의 심박수의 증가를 운동 강도의 100%로 하여, 각 운동 강도에 있어서의 산소 이용량(VO2)을 플롯하였다.
즉, 예를 들어 운동 강도 50%HR의 경우, 하기 식:
100×(x-안정 시 심박수)/(최대 심박수-안정 시 심박수)=50%HR
중의 「x」의 심박수를 나타낼 때의 산소 이용량(VO2)이 「운동 강도 50%HR에 있어서의 산소 이용량(VO2)」이 된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나는 대로 단회 섭취 후 및 연속 섭취 후 모두, 운동 강도 50%, 60%, 70%, 80%, 90% 및 100% 모두에 있어서, 켐페롤을 섭취한 쪽이 켐페롤을 섭취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산소 이용량은 증가한 것이 확인되었다.
<2: 산소 소비 효율(VO2/VE)의 평가>
산소 소비 효율을 하기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산소 소비 효율(VO2/VE)=산소 이용량/환기량
도 2에 나타나는 대로 단회 섭취 후 및 연속 섭취 후 모두, 켐페롤을 섭취한 쪽이 켐페롤을 섭취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산소 소비 효율(VO2/VE)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3: 산소 섭취 효율 구배(OUES)의 평가>
점증 부하 운동 개시 시부터 1분마다의 환기량과 VO2를 이용하여 산소 섭취 효율 구배(OUES)를 산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횡축에 「환기량(VE)의 log값」, 종축에 「VO2」를 플롯한 직선성의 그래프를 얻고, 그의 1차 함수 그래프의 기울기를 OUES로 한다. 상세하게는 비특허문헌 5를 참조.
도 3에 나타나는 대로 단회 섭취 후 및 연속 섭취 후 모두, 켐페롤을 섭취한 쪽이 켐페롤을 섭취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산소 섭취 효율 구배(OUES)는 증가하고, 점증 부하 운동하는 동안을 통해 산소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4: 최대 산소 이용량(VO2peak)의 평가>
도 4에 나타내는 대로 단회 섭취 후 및 연속 섭취 후 모두, 켐페롤을 섭취한 쪽이 켐페롤을 섭취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최대 산소 이용량(VO2peak)(mL/min/kg)은 증가하였다.
<5: 최대 운동 부하량의 평가>
도 5에 나타내는 대로 단회 섭취 후 및 연속 섭취 후 모두, 켐페롤을 섭취한 쪽이 켐페롤을 섭취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최대 운동 부하량(페달의 무게(watt))은 증가하였다.
<6: 일상 생활에 있어서의 운동 강도에 대한 영향>
계단을 오를 때 및 조깅 시의 산소 이용량(VO2)은 일반적으로 각각 14mL/min/kg 및 24.5mL/min/kg이라는 보고가 있다.
점증 부하 운동에 있어서, 산소 이용량(VO2)이 계단 오르기 및 조깅에 각각 상당하는 14mL/min/kg 및 24.5mL/min/kg일 때의 운동 강도(%HR)와 자각 운동 강도(RPE)를 평가하였다.
산소 이용량(VO2) 및 운동 강도(%HR)의 산출 방법은 상기와 동일하다.
자각 운동 강도(RPE)는 하기 표에 따라서 점증 부하 운동 개시 시부터 1분 간격으로 피험자가 평가하고, 각 피험자의 회답값을 평균하여 산출하였다.
도 6a 및 6b에 나타내는 대로 계단을 오를 때 및 조깅 시에 상당하는 산소 이용량(VO2)의 양쪽에 있어서, 단회 섭취 후 및 연속 섭취 후 모두, 켐페롤을 섭취한 쪽이 켐페롤을 섭취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운동 강도 및 자각 운동 강도는 저하되었다.
Figure pct00001
상기 1 내지 6의 평가 결과에 나타난 대로 켐페롤 함유 식품의 섭취에 의해, 동일한 운동 강도 하에서 산소 이용량, 산소 이용 효율은 증가하였다. 또한 최대 운동 부하량이 증대되었다. 또한, 동일한 산소 이용량 하에서의 운동 강도를 상정한 경우, 심박수는 저하되어 있고, 피험자는 지구력이 향상되어 숨참 없이 편하게 운동할 수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이렇게 운동 효율이 향상되었기 때문에, 피험자의 피로감도 경감된다고 생각된다. 실제로, 켐페롤 함유 식품의 섭취에 의해, 피험자가 자각하는 운동 강도는 저하되어 있고, 숨참이나 피로감은 경감되었다. 따라서, 본 조성물은 숨참 경감 조성물 및/또는 지구력 향상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시사되었다.
<7: 동체 시력에 대한 영향>
점증 부하 운동의 전과 후(운동 후 약 1분 이내)에 가로 방향 동체 시력(DVA) 및 깊이 방향 동체 시력(KVA)을 측정하고, 동체 시력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1) 가로 방향 동체 시력(DVA: Dynamic Visual Acuity)의 측정
측정 기기:
동체 시력계 HI-10Dynamic Vision Tester(고와 가부시키가이샤)
측정 방법:
피험자를 중심으로 하여 원호 위를 수평으로 이동하는 란돌트 환을 시인할 수 있는 가장 빠른 스피드를 측정하였다. 목표물은 회전할 때마다 자동적으로 서서히 감속해가고, 란돌트 환의 절단부를 알았을 때, 피험자는 주변의 스위치를 누르고, 절단부의 방향(상하 좌우)을 대답하게 하였다. 디지털 표시된 그 때의 회전수를 기록 용지에 기재하고, 검사 성적으로 하였다.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시험예 2: 저산소 환경 하에 있어서의 ATP 산생에 대한 영향>
말 혈청에 의해 분화시킨 C2C12 골격근 세포를 얻고, 각종 화합물(최종 농도 20μM) 혹은 음성 대조로서 디메틸술폭시드(DMSO)를 첨가하고, 저산소 인큐베이터(3% O2)에서 24시간 배양 후, 세포 중의 ATP 함량을 도요 비넷(주)제 키트(루시페라아제 발광법)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활성값은 DMSO 첨가 샘플의 ATP 함량을 100%로 하였을 때의 %값으로 표시하였다.
결과를 도 8에 나타낸다.
<시험예 3: 래트에 있어서의 켐페롤 또는 켐페롤3-O-글루코시드의 영향>
9주령 웅성 SD 래트에 대하여, 켐페롤(KMP; 1.0mg/kg 체중) 또는 켐페롤3-O-글루코시드(K3G; KMP 아글리콘 환산값으로서 0.1, 0.2 또는 1mg/kg 체중)를 매일 아침 9시에 1일 1회, 8일간 연속 경구 투여하였다(산소 21%로 사육하였다). 투여 8일째에, Cont군은 산소 21%에 1시간 폭로한 후, 그 이외의 군은 산소 농도 12%에 1시간 폭로한 후, 넙치근(Sol), 전체 뇌를 적출하고, 조직 중의 ATP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9a 내지 9b에 나타낸다.
<시험예 4: 원료에 포함되는 켐페롤 및 켐페롤 배당체의 양>
서양 고추냉이잎, 사프란, 홍찻잎, 케일, 프로폴리스, 갓 및 루콜라를 검체로 하여, 이들에 포함되는 켐페롤 및 켐페롤 배당체의 양을 하기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0에 나타낸다.
(1) 50mL PP 튜브에 검체 0.8g을 전자 천칭으로 칭량하고(N=1 내지 3), 메스실린더로 70% 에탄올 수용액 40mL를 분취하고, 첨가·칭량한다. 폴리트론 균질기로 실온, 2,000rpm, 1분간 현탁을 행하였다.
(2) 현탁액을 충분히 반전 혼화하고, 현탁액 1mL를 1mL 피펫맨으로 14mL 유리 시험관에 분주·칭량하였다(N=1 내지 3).
(3) 2N 염산 1mL를 1mL 피펫맨으로 첨가하고, 볼텍스로 혼합 후, 히트 블록으로 100℃, 20분간 가열하였다(산 가수분해에 의한 켐페롤 배당체의 켐페롤 아글리콘으로의 변환). 가열 종료 후 5분 이상 빙랭하였다.
(4) 드래프트 내에서, 디스펜서로 헥산 5mL를 첨가하였다. 손으로 수평으로 20회 진탕하였다. 대형 냉각 원심기로 4℃, 12,000rpm, 5분간 원심을 행하였다.
(5) 드래프트 내에서, 파스퇴르 피펫으로 상층을 폐기하였다. 디스펜서로 아세트산에틸 5mL를 첨가하였다. 진탕기로 실온, 150rpm, 10분간 수평으로 진탕하였다. 대형 냉각 원심기로 4℃, 12,000rpm, 5분간 원심을 행하였다.
(6) 드래프트 내에서, 파스퇴르 피펫으로 상층을 건고용의 14mL 유리 시험관에 회수하였다. 회수한 상층은 분사식 질소 건고기에서 60℃에서 질소 건고를 행하였다. 하층에는 디스펜서로 아세트산에틸 5mL를 첨가하였다. 진탕기로 실온, 150rpm, 10분간 수평으로 진탕하였다.
대형 냉각 원심기로 4℃, 12,000rpm, 5분간 원심을 행하였다.
(7) 건고용의 14mL 유리 시험관을 취출하였다(건고가 완료되지 않아도 됨). 드래프트 내에서, 파스퇴르 피펫으로 상층을 건고용의 14mL 유리 시험관에 회수하였다. 회수한 상층은 분사식 질소 건고기에서 60℃에서 질소 건고를 행하였다.
(8) 건고가 종료되면 14mL 유리 시험관을 취출하고, 70% 에탄올 수용액 1mL를 1mL 피펫맨으로 첨가하고, 볼텍스로 용해시켰다. 초음파 발생 장치로 1분간x2회 초음파 처리하여 볼텍스로 용해시켰다. 미니 유니필터에 1mL 피펫맨으로 용해액 400mL를 첨가하여 필터를 통과시켰다.
(9) HPLC 분석에 제공하였다.
<시험예 5: 서양 고추냉이 추출물의 제조>
서양 고추냉이 추출물을 하기 (1) 내지 (6)의 공정에 의해 제조하였다.
(1) 서양 고추냉이잎을 수확 후, 세정·살균하고, 열풍 건조시켰다.
(2) 건조된 서양 고추냉이잎(켐페롤 함량(아글리콘 환산) 11mg/g)을 50% 에탄올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3) 추출 농축액을 수지 칼럼에 흡착 및 탈리하여, 켐페롤을 정제·농축하였다.
(4) 정제액을 적당한 산 또는 염기로 pH 5.0으로 조정하고, 50℃에서 적당한 시간 가수분해 효소에 의한 효소 반응을 실시하였다.
(5) 80℃에서 효소를 실활시켰다.
(6) 동결 건조시킨 것을 서양 고추냉이 추출물(분말)로 하였다.
<시험예 6: 서양 고추냉이 추출물 중의 켐페롤의 정량>
시험예 5에서 얻어진 서양 고추냉이 추출물(분말, 건조 중량)에 포함되는 켐페롤 아글리콘의 양을 하기 방법으로 정량하였다. 서양 고추냉이 추출물(분말, 건조 중량) 중의 켐페롤 함량은 161mg/g이었다.
정량 방법
(1) 50mL PP 튜브에 검체 0.2g을 전자 천칭으로 칭량하고(N=1 내지 3), 메스실린더로 70% 에탄올 수용액 40mL를 분취하고, 첨가·칭량한다. 폴리트론 균질기로 실온, 2,000rpm, 1분간 현탁을 행하였다.
(2) 현탁액을 충분히 반전 혼화하고, 현탁액 1mL를 1mL 피펫맨으로 14mL 유리 시험관에 분주·칭량하였다(N=1 내지 3).
(3) 밀리Q 1mL를 1mL 피펫맨으로 첨가하고, 볼텍스로 혼합 후, 히트 블록으로 100℃, 20분간 가열하였다. 가열 종료 후 5분 이상 빙랭하였다.
(4) 드래프트 내에서, 디스펜서로 헥산 5mL를 첨가하였다. 손으로 수평으로 20회 진탕하였다. 대형 냉각 원심기로 4℃, 12,000rpm, 5분간 원심을 행하였다.
(5) 드래프트 내에서, 파스퇴르 피펫으로 상층을 폐기하였다. 디스펜서로 아세트산에틸 5mL를 첨가하였다. 진탕기로 실온, 150rpm, 10분간 수평으로 진탕하였다. 대형 냉각 원심기로 4℃, 12,000rpm, 5분간 원심을 행하였다.
(6) 드래프트 내에서, 파스퇴르 피펫으로 상층을 건고용의 14mL 유리 시험관에 회수하였다. 회수한 상층은 분사식 질소 건고기에서 60℃에서 질소 건고를 행하였다. 하층에는 디스펜서로 아세트산에틸 5mL를 첨가하였다. 진탕기로 실온, 150rpm, 10분간 수평으로 진탕하였다.
대형 냉각 원심기로 4℃, 12,000rpm, 5분간 원심을 행하였다.
(7) 건고용의 14mL 유리 시험관을 취출하였다(건고가 완료되지 않아도 됨). 드래프트 내에서, 파스퇴르 피펫으로 상층을 건고용의 14mL 유리 시험관에 회수하였다. 회수한 상층은 분사식 질소 건고기에서 60℃에서 질소 건고를 행하였다.
(8) 건고가 종료되면 14mL 유리 시험관을 취출하고, 70% 에탄올 수용액 10mL를 10mL 피펫맨으로 첨가하고, 볼텍스로 용해시켰다. 초음파 발생 장치로 1분간x2회 초음파 처리하여 볼텍스로 용해시켰다. 미니 유니필터에 1mL 피펫맨으로 용해액 400mL를 첨가하여 필터를 통과시켰다.
(9) HPLC 분석에 제공하였다.

Claims (14)

  1. 서양 고추냉이 추출물, 사프란 추출물, 찻잎 추출물, 케일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갓 추출물, 루콜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서양 고추냉이 가공품, 사프란 가공품, 찻잎 가공품, 케일 가공품, 프로폴리스 가공품, 갓 가공품, 루콜라 가공품,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유래 가공품을 함유하는 운동 효율 향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해당 운동 효율 향상이 지구력의 향상인 운동 효율 향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해당 운동 효율 향상이 숨참 경감인 운동 효율 향상 조성물.
  4. 서양 고추냉이 추출물, 사프란 추출물, 찻잎 추출물, 케일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갓 추출물, 루콜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서양 고추냉이 가공품, 사프란 가공품, 찻잎 가공품, 케일 가공품, 프로폴리스 가공품, 갓 가공품, 루콜라 가공품,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유래 가공품을 함유하는 피로 경감 조성물.
  5. 서양 고추냉이 추출물, 사프란 추출물, 찻잎 추출물, 케일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갓 추출물, 루콜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서양 고추냉이 가공품, 사프란 가공품, 찻잎 가공품, 케일 가공품, 프로폴리스 가공품, 갓 가공품, 루콜라 가공품,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유래 가공품을 함유하는 동체 시력 개선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양 고추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양 고추냉이 가공품을 포함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당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해당 식물 유래 가공품이 켐페롤을 함유하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당 켐페롤을 0.1mg 내지 200mg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당 켐페롤이 1회당 0.1mg 내지 200mg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당 켐페롤이 1회당 0.5mg 내지 100mg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산소 상태인 대상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식품인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 조성물인 조성물.
KR1020217029941A 2019-02-27 2020-02-26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식물 유래 가공품 함유 조성물 KR202101313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34822 2019-02-27
JPJP-P-2019-034822 2019-02-27
PCT/JP2020/007858 WO2020175579A1 (ja) 2019-02-27 2020-02-26 植物由来エキス及び/又は植物由来加工品含有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377A true KR20210131377A (ko) 2021-11-02

Family

ID=72240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9941A KR20210131377A (ko) 2019-02-27 2020-02-26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식물 유래 가공품 함유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20151276A1 (ko)
EP (1) EP3932485A4 (ko)
JP (1) JPWO2020175579A1 (ko)
KR (1) KR20210131377A (ko)
CN (1) CN113474042A (ko)
AU (1) AU2020227525A1 (ko)
BR (1) BR112021016883A2 (ko)
CA (1) CA3131373A1 (ko)
MX (1) MX2021010346A (ko)
SG (1) SG11202109239VA (ko)
TW (1) TW202100175A (ko)
WO (1) WO20201755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67956B2 (ja) * 2019-07-05 2023-10-24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動体視力向上用組成物
WO2022255282A1 (ja) * 2021-05-31 2022-12-08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動体視力向上用組成物
WO2022269931A1 (ja) * 2021-06-25 2022-12-29 大塚製薬株式会社 筋損傷抑制用組成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8855A (ja) 2006-02-28 2007-09-13 Univ Of Tokushima 抗肥満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JP2013542924A (ja) 2010-09-17 2013-11-28 ストークリー−ヴァン キャン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血中乳酸濃度を減少させる方法
WO2014171333A1 (ja) 2013-04-17 2014-10-23 株式会社フローラ ミトコンドリア活性化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5333A (ja) * 2009-01-13 2009-07-16 Tsujido Chemical Corp 抗疲労剤
WO2010086972A1 (ja) * 2009-01-28 2010-08-05 Sekiyama Atsuo 抗ストレス剤
CN102138998B (zh) * 2011-04-08 2013-04-24 中国人民解放军总后勤部卫生部药品仪器检验所 枳椇子总黄酮提取物及其在制备抗疲劳、抗缺氧或抗高原缺氧药物或食品中的应用
WO2019043846A1 (ja) * 2017-08-30 2019-03-07 大塚製薬株式会社 ケンペロール類縁体含有組成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8855A (ja) 2006-02-28 2007-09-13 Univ Of Tokushima 抗肥満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JP2013542924A (ja) 2010-09-17 2013-11-28 ストークリー−ヴァン キャン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血中乳酸濃度を減少させる方法
WO2014171333A1 (ja) 2013-04-17 2014-10-23 株式会社フローラ ミトコンドリア活性化剤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a-Silva WS, Harney JW, Kim BW, Li J, Bianco SD, Crescenzi A, Christoffolete MA, Huang SA, Bianco AC 2007 The small polyphenolic molecule kaempferol increases cellular energy expenditure and thyroid hormone activation. Diabetes 56:767-776
M. Montero, C.D. Lobaton, E. Hernandez-Sanmiguel, et al., Direct activation of the mitochondrial calcium uniporter by natural plant flavonoids, Biochem. J. 384(2004) 19-24.
Oxygen uptake effciency slope(OUES): 그 생리학적 기초와 임상 응용, 도카이 대학 스포츠 의과학 잡지 11, 9-14, 1999-03, 도카이 대학
Wilkins, R.L. et al. Clinical assessment in respiratory care, (2004), Relationship between Age, PaO, and Saturation
Williams JH, Powers SK, Stuart MK(1986) Hemoglobin desaturation in highly trained athletes during heavy exercise. Med Sci Sports Exerc 18: 168-17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32485A1 (en) 2022-01-05
WO2020175579A1 (ja) 2020-09-03
AU2020227525A1 (en) 2021-09-30
MX2021010346A (es) 2021-12-15
CN113474042A (zh) 2021-10-01
EP3932485A4 (en) 2022-11-23
JPWO2020175579A1 (ja) 2021-12-23
US20220151276A1 (en) 2022-05-19
SG11202109239VA (en) 2021-09-29
CA3131373A1 (en) 2020-09-03
BR112021016883A2 (pt) 2021-11-03
TW202100175A (zh) 2021-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31377A (ko) 식물 유래 추출물 및/또는 식물 유래 가공품 함유 조성물
WO2001049285A1 (en) Flavonoid drug and dosage form, its production and use
JP2012528125A (ja) バイオアベイラビリティを改善した緑茶抽出物
JP6335508B2 (ja) 成長ホルモン分泌促進剤
WO2009048249A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pid metabolic disorders comprising fucoxanthin or marine plant extract containing same
JP7372149B2 (ja) ケンペロール類縁体含有組成物
JP2018070570A (ja) クロモジ抽出物
JP2001046037A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の渋味低減方法
KR101819026B1 (ko) 제주도 자생식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위 손상 억제, 알코올 흡수 억제 또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US20070003685A1 (en) Prostacyclin production-increasing agent and blood flow enhancer
KR20190140737A (ko) 디톡스-다이어트 물질을 포함하는 식초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04201598A (ja) 発酵処理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92346A (ja) 機能性食品組成物
JP5176176B2 (ja) 脂質代謝改善物、飲食品、および医薬品
JP4542765B2 (ja) 酵素阻害剤
JP4040070B2 (ja) 筋肉損傷抑制組成物
KR20150084488A (ko) 부지깽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224008B1 (ja) 経口組成物
WO2023074709A1 (ja) リラックス感向上剤、同リラックス感向上剤を含む機能性食品及び医薬部外品
WO2022270616A1 (ja) 筋損傷抑制用組成物
JP7095872B2 (ja) インターロイキン-33産生抑制剤並びにインターロイキン-33の増加に関連するアレルギー疾患の予防、治療又は抑制用の医薬品、医薬部外品、化粧料及び飲食品組成物
JP2010254590A (ja) 膵リパーゼ阻害剤
KR101439925B1 (ko) 된장차 조성물
KR101521176B1 (ko) 삼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00339487A1 (en) Cannabinoid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Bioactivity and Methods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