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236A -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유희용 비행체,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및 풍선 터트리기 유희 방법 - Google Patents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유희용 비행체,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및 풍선 터트리기 유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236A
KR20210130236A KR1020217032639A KR20217032639A KR20210130236A KR 20210130236 A KR20210130236 A KR 20210130236A KR 1020217032639 A KR1020217032639 A KR 1020217032639A KR 20217032639 A KR20217032639 A KR 20217032639A KR 20210130236 A KR20210130236 A KR 20210130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popping
container
pressed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오 카노마타
Original Assignee
유키오 카노마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키오 카노마타 filed Critical 유키오 카노마타
Publication of KR20210130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79Games using compressed air, e.g. with air blowers, balloons, vacuu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79Games using compressed air, e.g. with air blowers, balloons, vacuum
    • A63F2009/0083Games with balloons
    • A63F2009/0084Burs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250/0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 A63F2250/52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with a remot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63H2027/1008Anchoring means or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63H2027/1041Holding or sealing means, e.g. handling rods, clamps or plu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63H2027/1066Having means to guide movement, e.g. propeller or w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63H2027/1075Special shapes or constructions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유희용 비행체,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및 풍선 터트리기 유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원격 조작 가능한 드론(2)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1)로서, 상기 드론(2)에 장착부(3)를 갖고, 또한 풍선(4)을 부풀린 상태에서 수용 가능한 용기(5)와, 상기 용기(5)의 외측에 설치되는 피압압부(6)와, 상기 피압압부(6)가 눌려짐으로써 상기 용기(5) 내의 풍선(4)을 터트리도록 작용하는 풍선 터트림 부재(7)와, 다른 플레이어의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1)의 피압압부(6)에 충돌시키기 위한 압압부(8)를 구비하여,재미와 스릴감이 있는 전용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를 제안한다.

Description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유희용 비행체,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및 풍선 터트리기 유희 방법
본 발명은 플레이어끼리 드론을 원격 조작하면서 공중에서 풍선 터트리기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및 유희용 비행체, 받침대에 장착된 풍선을 터트리는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풍선 터트리기 유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격 조작에 의해 무인 비행 가능한 멀티콥터의 일종으로서, 취미로 즐기기 위한 취미용 드론이 있다. 이 드론을 이용한 경기 또는 유희의 일종으로서, 풍선을 장착한 복수의 드론으로 공중전을 실시하여, 상대방의 풍선을 먼저 터트리는 것을 겨루는 게임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드론을 이용하여 풍선을 터트리는데에 적합한 전용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나 받침대에 장착된 풍선을 터트리는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는 아직 제공되어 있지 않다. 풍선은 반드시 드론에 장착되고, 공중에서 터트려질 필요도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재미나 스릴감이 있는 전용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받침대에 장착된 풍선을 터트리는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를 갖는 유희용 비행체나 받침대에 장착된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를 갖는 유희용 비행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재미나 스릴감이 있는 풍선 터트리기 유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본 발명에 따른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는 풍선을 부풀린 상태에서 수용 가능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외측에 설치되는 피압압부와, 상기 피압압부가 눌려짐으로써 상기 용기 내의 풍선을 터트리도록 작용하는 풍선 터트리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2의 본 발명에 따른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는, 원격 조작 가능한 드론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로서, 상기 드론에 대한 장착부를 갖고, 또한 풍선을 부풀린 상태에서 수용 가능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외측에 설치되는 피압압부와, 상기 피압압부가 눌려짐으로써 상기 용기 내의 풍선을 터트리도록 작용하는 풍선 터트리기 부재와, 다른 플레이어의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의 피압압부에 충돌시키기 위한 압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플레이어가 각자,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를 장착한 상태에서 드론을 날리고, 다른 플레이어에게 자신의 풍선이 터지지 않도록 방어하면서 다른 플레이어의 풍선을 터트리도록 자신의 드론을 원격 조작하여, 공중에서 풍선 터트리기를 겨룰 수 있다. 즉, 각 플레이어는, 자신의 압압부를 다른 플레이어의 피압압부에 충돌시키도록, 또한 자신의 피압압부가 다른 플레이어의 압압부에서 눌려지지 않도록 드론을 제어한다. 자신의 압압부가 다른 플레이어의 피압압부에 접촉하면, 다른 플레이어의 풍선 터트리기 부재가 작용하여 상기 다른 플레이어의 풍선이 터진다.
청구항 3의 본 발명에 따른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는,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부풀어져 있지 않은 상태의 풍선을 상기 용기 내에 삽입 가능한 풍선 삽입 구멍이 상기 용기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풀어져 있지 않은 상태의 풍선을 풍선 삽입 구멍으로부터 용기 내로 삽입하고, 용기의 외측으로부터 공기를 공급하여 풍선을 부풀게 함으로써, 부풀린 상태의 풍선을 용기 내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풍선에는 공기의 유입만을 허용하는 역지 밸브를 장착해두면 편리하다.
청구항 4의 본 발명에 따른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는, 청구항 1,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피압압부가 상기 용기의 둘레에 복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본 발명에 의하면, 피압압부가 용기의 둘레에 복수 설치되므로, 피압압부가 단수의 경우에 비해 방어의 난이도가 올라가고, 경기성이 향상된다. 피압압부의 설치 수를 많게 하면 할수록 방어의 난이도가 올라간다.
청구항 5의 본 발명에 따른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는 청구항 1 내지 4에 있어서, 상기 풍선 터트리기 부재가 상기 용기 내의 풍선에 대해 비접촉의 후퇴 위치로 항상 힘이 가해지는 진퇴 부재이고, 상기 피압압부가 눌려짐으로써 상기 진퇴 부재가 상기 후퇴 위치에서 진출하여 상기 용기 내의 풍선을 터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본 발명에 따른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진퇴 부재의 선단부가 뾰족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의 본 발명에 따른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진퇴 부재의 선단부에, 풍선과 접촉함으로써 풍선이 터지는 물질이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 6 또는 7의 본 발명은 풍선 터트리기 부재의 구체예를 제시하는 것이다.
청구항 8의 본 발명에 따른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는,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피압압부가 횡방향의 피압압부와, 상부 방향 또는/및 하부방향의 피압압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피압압부를 옆에서뿐만 아니라, 위에서 또는/및 아래에서도 누를 수 있으므로, 플레이어의 공방이 다양화되어, 플레이의 재미가 향상된다.
청구항 9의 본 발명에 따른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는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주위에 수평인 환형상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환형상 볼록부는 상기 피압압부보다 상기 용기의 바깥쪽까지 돌출되어 있고, 상기 환형상 볼록부가 상기 압압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의 본 발명은 압압부의 구체적인 태양을 예시한 것이다.
청구항 10의 본 발명에 따른 유희용 비행체는,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와, 상기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를 비행시키는 원격 조작 가능한 드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의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있다.
청구항 11의 본 발명에 따른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는 받침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로서, 받침대에 대한 장착부를 갖고, 또한 풍선을 부풀린 상태에서 수용 가능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외측에 설치되는 피압압부와, 상기 피압압부가 눌려짐으로써 상기 용기 내의 풍선을 터트리도록 작용하는 풍선 터트리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의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플레이어가 각자 드론을 날리고, 자신의 드론을 원격 조작하여, 다른 플레이어 보다 먼저 받침대에 장착된 풍선 터트리기 유희체구에 수용되어 있는 풍선을 터트리는 빠르기를 겨룰 수 있다. 즉, 각 플레이어는, 자신의 드론을 받침대에 장착된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의 피압압부에 충돌시키도록 드론을 제어한다. 자신의 드론이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의 피압압부에 접촉하면, 풍선 터트리기 부재가 작용하여 받침대에 장착된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에 수용된 풍선이 터진다.
청구항 12의 본 발명에 따른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부풀어져 있지 않은 상태의 풍선을 상기 용기 내에 삽입 가능한 풍선 삽입 구멍이 상기 용기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의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풀어져 있지 않은 상태의 풍선을 풍선 삽입 구멍으로부터 용기 내로 삽입하고, 용기의 외측으로부터 공기를 공급하여 풍선을 부풀게 함으로써, 부풀린 상태의 풍선을 용기 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풍선에는, 공기의 유입만을 허용하는 역지 밸브를 장착해두면 편리하다.
청구항 13의 본 발명에 따른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는, 청구항 11 또는 12에 있어서, 상기 피압압부가 상기 용기의 둘레에 복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3의 본 발명에 의하면, 피압압부가 용기의 둘레에 복수 설치되므로, 피압압부가 단수의 경우에 비해 방어의 난이도가 올라가고, 경기성이 향상된다. 피압압부의 설치 수를 많이 하면 할수록 방어의 난이도가 올라간다.
청구항 14의 본 발명에 따른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는 청구항 11, 12 또는 13에 있어서, 상기 풍선 터트리기 부재가 상기 용기 내의 풍선에 대해 비접촉의 후퇴 위치로 항상 힘이 가해지는 진퇴 부재이고, 상기 피압압부가 눌려짐으로써 상기 진퇴 부재가 상기 후퇴 위치에서 진출하여 상기 용기 내의 풍선을 터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5의 본 발명에 따른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진퇴 부재의 선단부가 뾰족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6의 본 발명에 따른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진퇴 부재의 선단부에, 풍선과 접촉함으로써 풍선이 터지는 물질이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4, 15 또는 16의 본 발명은, 풍선 터트리기부의 구체예를 제시하는 것이다.
청구항 17의 본 발명에 따른 유희용 비행체는, 청구항 1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와, 상기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를 비행시키는 원격 조작 가능한 드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7의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있다.
청구항 18의 본 발명에 따른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의 유희 방법은, 청구항 11~청구항 16에 기재된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또는 청구항 17의 유희용 비행체의 피압압부에 유희용 비행체 압압부를 충돌시킴으로써, 상기 피압압부가 눌려지는 것에 의해 상기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의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된 풍선을 터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를 갖는 비행체의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통체의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풍선 터트리기 부재의 다른 예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의 다른 예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 화살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의 풍선 터트리기부의 확대 표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의 풍선 터트리기부의 확대 이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의 풍선 터트리기부의 표면이 눌려진 경우의, 풍선 터트리기부의 확대 이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풍선 터트리기부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풍선 터트리기부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풍선 터트리기부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풍선 터트리기 유희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풍선 터트리기 유희 방법의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는 풍선을 부풀린 상태에서 수용 가능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외측에 설치되는 피압압부와, 상기 피압압부가 눌려지는 것에 의해 상기 용기 내의 풍선을 터트리도록 작용하는 풍선 터트리기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는 복수의 플레이어가 각자,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를 장착한 상태에서 드론을 날리고, 다른 플레이어에게 자신의 풍선이 터지지 않도록 방어하면서 다른 플레이어의 풍선을 터트리도록 자신의 드론을 원격 조작하여, 공중에서 풍선 터트리기를 겨루는 유희구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1)는, 원격 조작 가능한 드론(2)에 장착하여 사용된다. 드론(2)은 원격 조작에 의해 무인 비행 가능한 멀티콥터로서 공지이다. 드론에는 사용 목적에 따라서 각종의 것이 있지만, 본 발명의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는, 드론을 원격 조작하면서 공중에서의 풍선 터트리기를 겨루는 것이므로, 드론 중에서도 특히 취미로서 즐기기 위한 취미용 드론이 적합하다.
도 1의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1)는, 드론(2)에 대한 장착부(3)을 갖고, 또한 풍선(4)을 부풀린 상태에서 수용 가능한 용기(5)와, 상기 용기(5)의 외측에 설치되는 피압압부(6)와, 상기 피압압부(6)가 눌려짐으로써 용기(5) 내의 풍선을 터트리도록 작용하는 풍선 터트리기 부재(7)와, 다른 플레이어의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1)의 피압압부(6)에 충돌시키기 위한 압압부(8)를 구비한다.
복수의 플레이어가 각자,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1)를 장착한 상태에서 드론(2)을 날리고, 다른 플레이어에게 자신의 풍선(4)이 터지지 않도록 방어하면서 다른 플레이어의 풍선(4)을 터트리도록 자신의 드론(2)을 원격 조작하여, 공중에서 풍선 터트리기를 겨룬다. 즉, 각 플레이어는 자신의 압압부(8)를 다른 플레이어의 피압압부(6)에 충돌시키도록, 또한 자신의 피압압부(6)가 다른 플레이어의 압압부(8)에서 눌려지지 않도록, 드론(2)을 원격 조작한다. 자신의 압압부(8)가 다른 플레이어의 피압압부(6)에 접촉하면, 다른 플레이어의 풍선 터트리기 부재(7)가 작용하여 상기 다른 플레이어의 풍선(4)이 터진다.
용기(5)는 풍선(4)을 부풀린 상태에서 수용하는 것이며, 드론(2)에 의한 공중 이송에 적합하도록, 합성수지 등의 경량인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용기(5)는 공중에서의 다른 플레이어의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1)와의 충돌을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그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요한다.
용기(5)는 장착부(3)에 의해 드론(2)에 장착된다. 드론(2)에 대한 장착부(3)는, 드론(2)에 대한 장착 상태에 있어서 용기(5)가 드론(2)의 안정적인 비행의 장해가 되지 않도록, 용기(5)가 드론(2)의 하방의 중앙에 위치하고, 드론(2)과의 상대 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장착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드론(2)에 대한 장착 방법으로서는, 나사 고정식과 끼워맞춤식 등,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용기(5)의 형상은 다면체여도 되고, 구체나 타원체라도 되지만, 부풀린 상태에서 수용되는 풍선(4)과의 적합성이 좋은 형상으로 한다. 도시예에서는 구체의 용기로 되어 있다. 용기(5)는 내부의 풍선(4)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그물형상 또는 격자 형상의 용기나, 투명 용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용기(5)에는, 부풀어져 있지 않은 상태의 풍선을 용기(5) 내에 삽입 가능한 풍선 삽입 구멍(10)이 설치되어 있다. 이 풍선 삽입 구멍(10)으로 부터 부풀어져 있지 않은 상태의 풍선(4)을 용기(5) 내로 삽입하고, 용기(5)의 외측으로부터 공기를 공급하여 풍선(4)을 부풀게 함으로써, 부풀어진 상태의 풍선(4)을 용기(5) 내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풍선(4)의 급기구(4a)에는, 공기의 유입만을 허용하는 역지 밸브(4b)를 장착해두면 편리하다. 풍선(4)은 용기(5) 내에서 부풀어짐으로써 용기(5)의 내면에 밀착되고, 용기(5)의 내면 형상을 따르는 형상이 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다른 태양의 용기로서, 2개의 용기 반체의 개폐 가능한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용기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부풀린 풍선을 2개의 용기 반체로 감싸도록 하여 용기 반체끼리 결합시키면 된다. 이 방법에 의해서도 부풀린 풍선을 용기의 내면에 밀착하여 용기의 내면 형상을 따르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과 같이, 풍선 삽입 구멍(10)으로 용기(5) 내에 풍선(4)을 넣고, 용기(5) 내에서 풍선(4)을 부풀리는 것이, 풍선(4)을 용기(5)의 내면 형상을 따르는 형상으로 하기 쉽기 때문에 적합하다.
용기(5)의 외측에는 스프링(11)을 내장한 신축 가능한 통체(12)가 고착되어 있다. 스프링(11)의 외단부는 판형상의 덮개체(6)에 고착되고, 상기 덮개체(6)가 통체(12)의 외단부(용기(5)의 중심에서 먼측의 단부)에 고착되어 있다. 통체(12)의 내단부(용기(5)의 중심에 가까운 측의 단부)는, 용기(5)의 외표면에 고착되어 있다. 피압압부로서의 덮개체(6)가 용기(5)에 가까운 방향으로 눌려지면 스프링(12)이 수축하여 통체(12)가 수축 상태로 이행하고, 덮개체(6)의 누름이 해제되면 스프링(12)의 부세력에 의해 통체(12)가 원래의 신장 상태로 복귀한다. 통체(12)의 신축 가능한 구성의 구체예로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체(12)를 신축 가능한 주름상자로 형성하는 것 외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 가능하고, 또한 빠지는 것이 불가능하게 끼워 맞추는 내부통(12a)과 외부통(12b)으로 통체(12)를 형성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있어서, 피압압부로서의 덮개체(6)가 눌려져 통체(12)와 스프링(11)이 수축되면, 풍선 터트리기 부재(7)가 용기(5) 내의 풍선(4)을 터트리도록 작용한다. 풍선 터트리기 부재(7)로서는, 용기(5) 내의 풍선(4)에 대해 비접촉의 후퇴 위치(도 1 및 도 3에 도시한 위치)로 항상 힘이 가해지는 진퇴 부재(7)를 채용할 수 있다. 이 진퇴 부재(7)는 통체(12) 내에 설치된다. 진퇴 부재(7)의 후단부(7a)는 덮개체(6)에 접속되고, 선단부(7b)는 뾰족하게 되어 있다. 덮개체(6)가 눌려짐으로써 진퇴 부재(7)가 후퇴 위치에서 진출하여, 뾰족한 선단부(7b)가 용기(5)의 구멍(5a)을 관통하여 용기(5) 내의 풍선(4)을 터트린다. 덮개체(6)의 누름이 해제되면, 스프링(11)의 부세력에 의해 진퇴 부재(7)가 원래의 후퇴 위치로 복귀한다.
진퇴 부재(7)는 선단부(7b)가 뾰족한 상태를 대신하여, 풍선(4)과 접촉함으로써 풍선(4)이 터지는 물질이 선단부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로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선(4)에 접촉하면 풍선(4)이 터지는 오일 등의 액체를 포함시킨 스폰지(7c)를 선단부에 구비한 진퇴 부재로 할 수 있다. 또한, 진퇴 부재(7)는 줄, 나일론, 철선 와이어, 낚싯줄이어도 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압압부로서의 덮개체(6)는, 용기(5)의 둘레에 복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피압압부(6)가 단수인 경우에 비해 방어의 난이도가 올라가고, 경기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피압압부(6)의 설치 수를 많이 하면 할수록 방어의 난이도가 올라간다.
다른 플레이어의 풍선(4)을 터트리기 위한 압압부(8)는,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1) 내의 피압압부(6) 이외의 부위이다. 용기(5)의 외표면의 대부분이 압압부(8)가 된다. 각 플레이어는 자신의 덮개체(6) 이외의 부위(압압부(8))를 다른 플레이어의 덮개체(6)(피압압부)에 충돌시키도록 드론(2)을 원격 조작한다.
또한, 도 1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5)와 드론(2) 사이에 적절한 완충재 등으로 이루어진 추가 부재(9)를 설치하면, 상기 추가 부재(9)도 다른 플레이어의 풍선(4)을 터트리기 위한 압압부로서 기능한다.
한정되지 않지만, 도 1 및 도 2의 예에서는, 구형상의 용기(5)의 상하 방향의 중앙 위치의 수평 방향의 외부 둘레 상에 90도의 각도 간격을 두고 3개의 피압압부(6)를 설치하고, 용기(5)의 표면 중, 3개의 피압압부(6)와는 반대측의 180도의 각도 범위를 주요 압압부(8)로 하고 있다.
용기(5) 상에 있어서의 압압부(8)와 피압압부(6)의 설치 상태(설치 위치나 설치량)을 여러 가지 고안함으로써, 풍선 터트리기 경기의 난이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용기(5) 상에 있어서의 압압부(8)와 피압압부(6)의 설치 상태의 다른 예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실시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용기(5)의 형상이 구체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시킨 형상으로 되어 있고, 용기(5)의 상하 방향의 중앙 위치의 횡방향의 외부둘레 상에, 환형상 볼록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환형상 볼록부(13)가 압압부가 된다. 용기(5)와 환형상 볼록부(13)를 합한 전체의 형상은, 상하로 연장된 구체에 튜브를 끼운 형상이다. 환형상 볼록부(13)의 상하의 반구형상 용기(14) 상에는 각각 횡방향의 외부둘레 상에 90도의 각도 간격을 두고, 4개의 피압압부(6)가 설치되어 있다. 환형상 볼록부(13)는 피압압부(6) 보다도 바깥쪽까지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와 동일 또는 균등한 부재 또는 요소에는,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5 및 도 6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1 및 도 2의 실시형태와는 다른 난이도의 풍선 터트리기 경기를 즐길 수 있다.
이상의 예는, 모두 피압압부(6)를 드론(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용기(5)의 측면에 횡방향으로 설치(즉, 통체(12)가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한 예이다. 이 경우, 상대의 드론(2) 아래로 도망치는 것에 의해 상대의 공격을 간단히 피할 수 있기 때문에, 경기의 재미가 불충분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압압부(6)를 드론(2)의 위쪽으로 상부 방향으로 설치(즉, 통체(12)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자신의 드론(2) 아래로 상대의 드론(2)이 도망친 경우, 상대의 상부 방향의 피압압부(6)에 대해 위에서 공격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경기의 재미가 향상된다. 이 경우에는, 용기(5)의 하면이 상대의 상부 방향의 피압압부(6)를 공격하기 위한 압압부(8)가 된다.
또한, 상부 방향의 피압압부(6)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론(2)의 중앙부에 설치하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퇴 부재(7)를 드론(2)과 장착부(3)를 관통시켜 설치하면 된다.
도 5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5)의 하면에 하부방향의 피압압부(6)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자신의 드론(2)의 위쪽에 상대의 드론(2)이 도망친 경우, 상대의 하부방향의 피압압부(6)에 대해 아래에서 공격을 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드론(6)의 상부에 상부방향의 돌출부를 추가로 설치하고, 상기 돌출부를 상대방의 하부방향의 피압압부(6)를 공격하기 위한 압압부(8)로 하면 된다.
또한, 도 1~도 6에 있어서, 피압압부(6)는 용기에 대해 상부방향, 하부방향,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사 방향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진퇴 부재(7)는 통체(12)와 평행 방향으로 덮개체(6)와 수직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덮개체(6)에서 경사 방향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1)는 그 자체를 판매하고, 사용자 자신이 기존의 드론(2)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식의 판매 및 사용 형태를 취할 수도 있고, 드론(2)에 장착된 상태로 유희용 비행체로서 판매할 수도 있다.
도 7에서는 도 1~6과는 다른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22)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22)의 확대도이다.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22)는, 풍선(40)을 부풀린 상태에서 수용 가능한 용기(벨트(23))를 갖는다.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22)는, 후술하는 풍선 고정 막대(21)나 드론(500)에 대한 장착부(30)를 갖는다.
벨트(23)는 풍선(40)을 부풀린 상태로 풍선(40)을 고정하는 것이다. 합성수지 등의 경량인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에서는, 2개의 벨트(23)를 이용하여 풍선을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1개의 벨트(23)로 풍선을 고정해도 되고, 3개 이상의 벨트(23)를 사용해도 된다.
벨트(23)에는 풍선을 도입하는 풍선 장착 구멍(50)이 설치되어 있다. 도 7에서는, 2개의 벨트(23)가 교차하는 부분에 풍선 장착 구멍(50)이 설치되어 있다.
이 풍선 장착 구멍(50)으로 풍선(40)을 도입하고, 공기 도입 펌프를 사용하여 풍선을 부풀린다. 또한, 입으로 공기를 불어 풍선(40)을 부풀려도 된다. 또한,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22)로서, 벨트(23)가 아니라 부풀린 상태에서 풍선(40)을 수용할 수 있는 다면체 형상, 구체 형상, 타원체 형상의 용기를 사용해도 된다. 이 용기는 내부의 풍선이 밖에서 보이도록, 그물코 형상 또는 격자 형상의 용기나 투명 용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23)에는 상기 벨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피압압부(24)와, 상기 피압압부가 눌려짐으로써 상기 용기 내의 풍선을 터트리도록 작용하는 풍선 터트리기 부재(25)로 이루어진 풍선 터트리기부(60)가 설치되어 있다.
도 7에서는 1개의 밴드(23)에 2개의 풍선 터트리기부(60)가 설치되어 있다(도면에서는 또 하나의 풍선 터트리기부(60)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1개의 밴드(23)에 한개만 풍선 터트리기부(60)를 설치해도 되고, 3개 이상의 풍선 터트리기 부재(60)를 설치해도 된다.
도 8~도 10은 풍선 터트리기부(60)(피압압부(24), 풍선 터트리기 부재(25))의 일 태양의 설명도이다.
도 8은 풍선 터트리기부(60)의 피압압부(24)의 확대도이다. 피압압부(24)는 탄성체(구체적으로는 실리콘 고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력을 부여하면 변형되지만, 높은 내부 응력에 의해 형상이 복원되는 것이면, 탄성체(고무)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에서는 판형상의 기부와 기부 상의 제1 층부와 제1 층부 상에 제2 층부로 피압압부(24)가 구성되어 있다.
도 8은 피압압부(24)의 표면이고, 도 9는 피압압부(24)의 이면(도 8을 180° 회전시킨 도면이다.
피압압부(24)의 이면은, 상기 제1 층부와 상기 제2 층부의 형상에 따라서 공동으로 되어 있다.
피압압부(24)의 이면의 공동 내부에는 풍선 터트리기 부재(25)(진퇴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도 9의 풍선 터트리기 부재(25)(진퇴 부재)는, 복수개의 나일론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나일론 대신에 복수개의 철선 와이어, 복수개의 낚싯줄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1개의 나일론, 철선 와이어, 나일론도 사용해도 된다.
또한, 풍선 터트리기 부재(25)로서, 도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선단부(7)가 뾰족한 바늘을 사용해도 된다. 이 바늘은 1개가 아니라 복수개여도 된다.
도 8의 피압압부(24)의 표면(24A)이 눌려지면(외력을 부여하면) 피압압부(24)가 변형되고, 풍선 터트리기 부재(25)(진퇴 부재)가 밴드(23)로 고정된 풍선(40) 방향으로 튀어나가 풍선(40)을 터트리도록 작용한다(도 7, 도 10 참조).
피압압부(24)의 누름이 해제되면, 피압압부(24)는 응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귀된다.
도 11에서는, 풍선 터트리기부(600)의 다른 형태(피압압부(240), 풍선 터트리기 부재(250))를 설명한다.
풍선 터트리기부(600)는, 피압압부(240)를 구성하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실리콘 스위치(270)와 상기 실리콘 스위치(270)의 한쪽(벨트(230)에서 떨어진 방향)에 설치된 판상의 덮개체(280)와, 실리콘 스위치(270)의 내부에 설치된 풍선 터트리기 부재(250)(진퇴 부재)를 갖는다.
실리콘 스위치(270)는 통형상이나 사다리꼴형상이여도 되고, 내부에 풍선 터트리기 부재(250)를 설치할 수 있으면 된다.
풍선 터트리기부(600)는 벨트(230)에 설치되어 있다. 벨트(230)에는, 풍선 터트리기 부재(250)(진퇴 부재)가 풍선을 터트릴 수 있도록 구멍(230A)이 설치되어 있다. 도 12는 풍선 터트리기 부재(600)와 벨트(230)의 평면도이다.
풍선 터트리기부(600)의 덮개체(280)가 눌려지면(외력을 부여하면) 풍선 터트리기부(600)의 실리콘 스위치(270)가 변형되고, 풍선 터트리기 부재(250)(진퇴 부재)가 벨트(220)에 설치된 구멍(220A)을 관통하여 밴드(220)로 고정된 풍선을 터트리도록 작용한다.
덮개체(280)에 대한 압압이 해제되면, 실리콘 스위치(270)는 응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귀된다.
도 11의 풍선 터트리기 부재(250)(진퇴 부재)는, 끝이 뾰족한 복수개의 바늘을 사용하고 있지만, 1개의 바늘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바늘 대신에 1개 또는 복수개의 나일론, 철선 와이어, 나일론도 사용해도 된다.
도 13에서는, 풍선 터트리기부의 다른 형태(풍선 터트리기부(700))를 설명한다.
풍선 터트리기부(700)는, 피압압부(340)를 해당하는 판형상의 덮개체(380)와 상기 덮개체(380)와 벨트(330)의 사이를 연결하는 통체(370)와, 통체(370)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390)과 풍선 터트리기 부재(350)(진퇴 부재)를 갖는다.
풍선 터트리기부(700)는 벨트(330)에 설치되어 있다. 벨트(330)에는 풍선 터트리기 부재(350)(진퇴 부재)가 풍선을 터트릴 수 있도록 구멍(330A)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390)의 외단부는 판형상의 덮개체(380)에 고착되고, 상기 덮개체(380)가 통체(370)의 일단(벨트(320)로부터 떨어지는 측의 단부)에 고착되어 있다. 통체(370)의 타단(벨트(320)에 가까운 측의 단부)은 벨트(330)의 외표면에 고착되어 있다. 피압압부(340)로서의 덮개체(380)가 벨트(330)에 가까운 방향으로 눌려지면 스프링(390)이 축소되어 통체(370)가 수축 상태로 이행하여, 덮개체(380)의 압압이 해제되면 스프링(390)의 부세력에 의해 통체(370)가 원래의 신장 상태로 복귀된다. 통체(370)의 신축 가능한 구성의 구체예로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체(370)를 신축 가능한 주름 상자로 형성하는 것 외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 가능하게, 또한 빠짐 불가능하게 끼워맞추는 내부통과 외부통으로 통체(370)를 형성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피압압부(340)로서의 덮개체(380)가 눌러져 통체(370)와 스프링(390)이 수축되면, 풍선 터트리기 부재(350)(진퇴 부재)가 벨트(330) 내의 풍선을 터트리도록 작용한다. 풍선 터트리기 부재(350)(진퇴 부재)는, 벨트(330) 내의 풍선에 대해 비접촉의 후퇴 위치로 항상 힘이 가해지는 부재를 채용할 수 있다.
이 풍선 터트리기 부재(350)(진퇴 부재)는 통체(370) 내에 설치된다. 진퇴 부재(360)의 일단은 덮개체(380)에 접속되고, 타단의 선단부(350A)는 뾰족하게 되어 있다.
덮개체(380)가 눌려짐으로써 풍선 터트리기 부재(350)(진퇴 부재)가 후퇴 위치에서 진출하고, 뾰족한 선단부(350A)가 벨트(320)의 구멍(320A)을 관통하여 벨트(320) 내의 풍선을 터트린다. 덮개체(380)의 압압이 해제되면, 스프링(390)의 부세력에 의해 풍선 터트리기 부재(350)(진퇴 부재)가 원래의 후퇴 위치로 복귀한다.
도 13의 풍선 터트리기 부재(350)(진퇴 부재)는 선단이 뾰족한 1개의 바늘을 사용하고 있지만, 복수개의 바늘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바늘 대신에 1개 또는 복수개의 나일론, 철선 와이어, 나일론도 사용해도 된다.
한, 풍선과 접촉함으로써 풍선이 터지는 물질이 선단부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로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선(4)에 접촉하면 풍선(4)이 터지는 오일 등의 액체를 포함시킨 스폰지(7c)를 선단부에 구비한 진퇴 부재로 할 수 있다.
한, 도 7~도 13에 있어서, 피압압부(6)는 용기(벨트)에 대해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사 방향으로 설치해도 된다. 또한, 진퇴 부재(7)는 피압압부와 수직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피압압부에서 경사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22)는 그 자체를 판매하고, 사용자 자신이 기존의 드론(2)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식의 판매 및 사용 형태를 취할 수도 있고, 드론(2)에 장착한 상태에서 유희용 비행체로서 판매할 수도 있다.
도 14~15에서 풍선 터트리기 유희 방법을 설명한다.
도 14에서는, 풍선 고정부(15)에 대해 설명한다. 풍선 고정부(15)는 직사각형의 고정대(20)를 갖는다. 고정대(20)는 집안의 바닥이나 책상 위, 외부의 지면 상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대(20) 상에 복수의 풍선 고정 막대(21)가 설치되어 있다. 풍선 고정 막대(21)는 고정대(20)의 상부 방향(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풍선 고정 막대(21)는 1개만이어도 된다.
풍선 고정 막대(21)의 선단에는, 도 7~13에 기재된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22)가 설치된다. 또한,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22)는 반드시 풍선 고정 막대(21)의 선단에 설치될 필요는 없고, 상기 풍선 고정 막대(21)의 도중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설치 방향도 풍선 삽입 구멍(50)이 천정 방향을 향하고 있지 않아도 되고, 풍선 고정 막대(21)의 측면에 설치되어도 된다.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22)는 풍선 고정 막대(21)로부터 낙하하지 않도록, 테이프로 풍선 고정 막대(21)에 고정된다.
풍선 고정 막대(21)에 대한 고정 방법은, 테이프가 아니어도 된다.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22)의 선단에 나사부를 설치하여 풍선 고정 막대(21)에 나사부를 조여 고정해도 된다.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22)에는, 풍선이 부풀어진 상태에서 수납되어 있다.
도 15에는 유희용 비행체(500)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희용 비행체(500)는, 원격 조작 가능한 드론을 사용하고 있다. 드론은 원격 조작에 의해 무인 비행 가능한 멀티콥터로서 공지이다. 드론에는 사용 목적에 따라서 각종의 것이 있지만, 본 발명의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는, 드론을 원격 조작하면서 풍선 터트리기를 겨루는 것이므로, 드론 중에서도 특히 취미로서 즐기기 위한 취미용 드론이 적합하다.
도 15의 유희용 비행체(500)는, 드론의 날개 부분을 압압부로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드론(500)의 날개 부분에 판형상 부재를 설치하는 등, 유희용 비행체(500)에 압압부재를 설치하여 압압부로 해도 된다.
2인 이상 플레이어가 유희용 비행체(500)를 조작하고,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22)의 피압압부에 압압부를 접촉시킴으로써 풍선이 터진다. 터진 풍선의 수의 많음으로 승자를 결정한다.
또한, 1인씩 풍선 터트리기를 실시하여, 풍선을 터트리기까지 타임을 겨루어도 된다.
또한, 유희용 비행체(500)에 풍선 터트리기 유희체(22)를 장착하여, 2인 이상의 플레이어가 풍선을 터트리는 공중전을 실시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해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의 변경 등이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는, 그 목적 및 구성 등에 특별히 모순이나 문제가 없는 한, 서로의 기술을 유용하여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2: 드론
3: 장착부
4: 풍선
5: 용기
6: 피압압부(덮개)
7: 풍선 터트리기 부재(진퇴 부재)
8: 압압부
9: 완충재
10: 풍선 삽입 구멍
13: 압압부(환형상 볼록부)
15: 풍선 고정부
20: 고정대
21: 풍선 고정 막대
22: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23, 230, 330: 용기 (벨트)
24, 240, 340: 피압압부
24A: 피압압부 표면
25, 250, 350: 풍선 터트리기 부재
30: 장착부
50: 풍선 장착 구멍
60, 600, 700: 풍선 터트리기부
230A, 330A: 구멍
270: 실리콘 스위치
280, 380: 덮개체
370: 통체
390: 스프링
500: 유희용 비행체(드론)

Claims (18)

  1.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로서, 풍선을 부풀린 상태에서 수용 가능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외측에 설치되는 피압압부와, 상기 피압압부가 눌려짐으로써 상기 용기 내의 풍선을 터트리도록 작용하는 풍선 터트리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2. 원격 조작 가능한 드론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로서, 상기 드론에 대한 장착부를 갖고, 또한 풍선을 부풀린 상태에서 수용 가능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외측에 설치되는 피압압부와, 상기 피압압부가 눌려짐으로써 상기 용기 내의 풍선을 터트리도록 작용하는 풍선 터트리기 부재와, 다른 플레이어의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의 피압압부에 충돌시키기 위한 압압부를 구비하는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부풀어져 있지 않은 상태의 풍선을 상기 용기 내에 삽입 가능한 풍선 삽입 구멍이 상기 용기에 설치되어 있는,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압압부가 상기 용기의 둘레에 복수 설치되는,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 터트리기 부재가 상기 용기 내의 풍선에 대해 비접촉의 후퇴 위치로 항상 힘이 가해지는 진퇴 부재이고, 상기 피압압부가 눌려짐으로써 상기 진퇴 부재가 상기 후퇴 위치에서 진출하여 상기 용기 내의 풍선을 터트리는,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퇴 부재의 선단부가 뾰족하게 되어 있는,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퇴 부재의 선단부에 풍선과 접촉함으로써 풍선이 터지는 물질이 유지되어 있는,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압압부가 횡방향의 피압압부와, 상부방향 또는/및 하부방향의 피압압부인,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주위에 수평인 환형상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환형상 볼록부는 상기 피압압부보다 상기 용기의 바깥쪽까지 돌출되어 있고, 상기 환형상 볼록부가 상기 압압부로 되어 있는,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와, 상기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를 비행시키는 원격 조작 가능한 드론을 구비하는, 유희용 비행체.
  11.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는 받침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로서, 받침대에 대한 장착부를 갖고, 또한 풍선을 부풀린 상태에서 수용 가능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외측에 설치되는 피압압부와, 상기 피압압부가 눌려짐으로써 상기 용기 내의 풍선을 터트리도록 작용하는 풍선 터트리기부를 구비하는,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부풀어져 있지 않은 상태의 풍선을 상기 용기 내에 삽입 가능한 풍선 삽입 구멍이 상기 용기에 설치되어 있는,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압압부가 상기 용기의 둘레에 복수 설치되는,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 터트리기 부재가 상기 용기 내의 풍선에 대해 비접촉의 후퇴 위치로 항상 힘이 가해지는 진퇴 부재이고, 상기 피압압부가 눌려짐으로써 상기 진퇴 부재가 상기 후퇴 위치에서 진출하여 상기 용기 내의 풍선을 터트리는,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진퇴 부재의 선단부가 뾰족하게 되어 있는,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진퇴 부재의 선단부에 풍선과 접촉함으로써 풍선이 터지는 물질이 유지되어 있는,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17.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와, 상기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를 비행시키는 원격 조작 가능한 드론을 구비하는, 유희체 비행체.
  18.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또는 제 17 항의 유희용 비행체의 피압압부에 유희용 비행체의 압압부를 충돌시킴으로써, 상기 피압압부가 눌려지는 것에 의해 상기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의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된 풍선을 터트리는,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의 유희 방법.
KR1020217032639A 2019-03-13 2020-03-12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유희용 비행체,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및 풍선 터트리기 유희 방법 KR202101302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45723 2019-03-13
JP2019045723 2019-03-13
PCT/JP2020/010765 WO2020184656A1 (ja) 2019-03-13 2020-03-12 空中風船割り遊戯具、遊戯用飛行体、風船割り遊戯具及び風船割り遊戯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236A true KR20210130236A (ko) 2021-10-29

Family

ID=72427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639A KR20210130236A (ko) 2019-03-13 2020-03-12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유희용 비행체,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및 풍선 터트리기 유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43491A1 (ko)
JP (1) JP7182032B2 (ko)
KR (1) KR20210130236A (ko)
CN (1) CN113784769B (ko)
WO (1) WO20201846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9351A (zh) * 2021-06-28 2021-08-24 杭州电子科技大学 飞艇式无人机操控烯爆气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58460A (en) * 1928-07-21 1932-05-17 Mauritz C Ranseen Aerial toy
US2912791A (en) * 1955-02-10 1959-11-17 Cohen Benjamin Toy
US2856732A (en) * 1957-07-23 1958-10-21 Leo J Weismantel Simulated firecracker
US3092388A (en) * 1961-04-06 1963-06-04 Wagenheim Charles Balloon game
US3204369A (en) * 1964-02-14 1965-09-07 Miner Ind Inc Device for making noise by the puncturing of inflated balloons
US3357128A (en) * 1964-10-19 1967-12-12 John R Geiser Toy detonator box
DE1802813A1 (de) * 1968-10-12 1970-06-11 Seefluth Uwe C Ballon-Flugspielzeug
US3608903A (en) * 1969-11-19 1971-09-28 Ideal Toy Corp Game box enclosing inflated balloons
US3685825A (en) * 1971-04-01 1972-08-22 John D Del Ponti Balloon bursting game apparatus
US3795400A (en) * 1971-12-27 1974-03-05 Marvin Glass & Associates Game device
US3861684A (en) * 1973-10-29 1975-01-21 David R Gastin Game apparatus
US3878640A (en) * 1974-09-09 1975-04-22 Charles E Kauffman Noise producing amusement device
US4015364A (en) * 1975-09-29 1977-04-05 Ramiro Oquita Pinata having weakened bottom wall and means for breaking same
US4113261A (en) * 1976-09-16 1978-09-12 Aurora Products Corporation Jaw breaker game
US4155552A (en) * 1977-11-25 1979-05-22 Emilio Jacobo Dumbbell shaped projectile and balloon target game
US4169593A (en) * 1978-05-12 1979-10-02 Wood Arthur R Balloon bursting game
US4201387A (en) * 1978-08-18 1980-05-06 Mike Revermann Balloon buster game
US4453711A (en) * 1982-02-16 1984-06-12 Abram Gin Inflatable body breaking game
US4538817A (en) * 1984-08-06 1985-09-03 Louis E. Bonomi Balloon target game apparatus
JPH0446797Y2 (ko) * 1987-02-02 1992-11-04
JPS63154506U (ko) * 1987-03-27 1988-10-11
US4826161A (en) * 1987-07-31 1989-05-02 Tom Franklin Fikkert Balloon game
US4881733A (en) * 1988-03-14 1989-11-21 C&S Distributing Co. Balloon popping mechanism
US4900020A (en) * 1988-03-14 1990-02-13 C&S Distributing Co. Balloon popping mechanism
US4932915A (en) * 1988-04-01 1990-06-12 Paul Boris Bursting balloon which embodies toys and related items
US4991847A (en) * 1989-01-23 1991-02-12 Elliot Rudell Timed water release toy
US4936532A (en) * 1989-07-10 1990-06-26 Jesse Williams Balloon closure and hanger device
GB2264879A (en) * 1992-03-10 1993-09-15 Wu Jenn Jia Entertaining target.
US5403222A (en) * 1993-04-12 1995-04-04 Koenig; Theodore L. Self-propelled amusement object
US5324045A (en) * 1993-05-24 1994-06-28 Trawick Phyllis A Blow out game
US5527222A (en) * 1995-03-22 1996-06-18 Demita; Tab A. Balloon popping device
US6402582B1 (en) * 1995-08-15 2002-06-11 Ronald B. Sherer Mechanical balloon bursting systems
US5577732A (en) * 1996-02-05 1996-11-26 Spector; Donald Toy missile
TWM248499U (en) * 2003-12-19 2004-11-01 Rung-De Tsai Smoke-free balloon type firecracker
US7159725B1 (en) * 2004-01-23 2007-01-09 Gates James P Balloon holding assembly
US7134665B2 (en) * 2005-02-03 2006-11-14 Holsten William A Balloon bursting game
GB0512871D0 (en) * 2005-06-24 2005-08-03 Hyland Alastair M Apparatus for playing a balloon bursting game
CN1986333A (zh) * 2005-12-19 2007-06-27 杨健世 大型气球升空后的自动消毁装置
US20080216803A1 (en) * 2007-03-07 2008-09-11 Cuisinier Jarret P Water balloon catching toy shield
US7481727B2 (en) * 2007-04-02 2009-01-27 Francis See Chong Chia Water-release toy
US8257134B2 (en) * 2010-01-19 2012-09-04 Steve Zuloff Game device and method thereof
GB2489025B (en) * 2011-03-16 2015-01-14 Seatriever Int Holdings Ltd Illuminated balloon
US20160158638A1 (en) * 2012-01-26 2016-06-09 Jedd Olsen Three dimensional obstacle course and navigation game kit
CN202715240U (zh) * 2012-08-10 2013-02-06 蓝帽子(厦门)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用于爆破气球的玩具
US9011258B2 (en) * 2013-08-12 2015-04-21 Tailloon Balloons Co., Ltd. Balloon firecracker device
US9254444B1 (en) * 2013-09-17 2016-02-09 Rocky Toomey Balloon bursting system and device
US9389049B2 (en) * 2013-11-22 2016-07-12 Ralph HOETGER Shooting target apparatus
US9409100B2 (en) * 2014-06-13 2016-08-09 Jonathan Paul Hillery Confetti popper
US9737988B2 (en) * 2014-10-31 2017-08-22 Intelligent Fusion Technolog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demonstrating three-player pursuit-evasion game
US10286330B2 (en) * 2015-02-27 2019-05-14 Joseph S. Yatsko Apparatus and method for arial game playing
JP2017061174A (ja) * 2015-09-24 2017-03-30 廣田 祐次 風船つきドローン
US10040551B2 (en) * 2015-12-22 2018-08-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rone delivery of coffee based on a cognitive state of an individual
US10758835B1 (en) * 2016-02-12 2020-09-01 Perry Teri Toys, Llc Pop sensor system and device for revealing a winner
US10293267B2 (en) * 2016-07-07 2019-05-21 Rehco, Llc Battle system for toy characters including an expandable housing
US10525332B2 (en) * 2016-08-03 2020-01-07 OnPoynt Unmanned System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a drone race or game
US10336469B2 (en) * 2016-09-30 2019-07-02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Unmanned aerial vehicle movement via environmental interactions
US11097198B2 (en) * 2017-02-11 2021-08-24 Perry Teri Toys, Llc Pop mechanism and device for revealing a winner
CN206715301U (zh) * 2017-04-20 2017-12-08 杜恒广 心跳爆破气球危机桌面游戏玩具
JP2018197003A (ja) * 2017-05-23 2018-12-13 祐次 廣田 衝突安全ドローン
US10518187B2 (en) * 2017-07-31 2019-12-31 Brian Zima Lighter than air hovering drone
US11352134B2 (en) * 2018-01-05 2022-06-07 Raytheon Company Flight vehicle with drone and lift-producing protrusion
CN208278324U (zh) * 2018-03-21 2018-12-25 北京中科遥数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多功能无人机
KR102166179B1 (ko) * 2019-03-04 2020-10-15 주식회사 매드벤처 드론 통과 다중 감지 센서 게이트 및 이를 이용한 드론 게임 시스템
US10500516B1 (en) * 2019-06-13 2019-12-10 Uriel Macias-Castillo Burstable balloon entertainment device
CN114450074A (zh) * 2019-09-26 2022-05-06 捷尔吉·科瓦奇 具有协调发射器和接收器的战斗无人机
US11623150B2 (en) * 2021-06-24 2023-04-11 Compal Electronics, Inc Rendering method for drone g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4656A1 (ja) 2020-09-17
US20220143491A1 (en) 2022-05-12
CN113784769A (zh) 2021-12-10
JPWO2020184656A1 (ja) 2021-10-28
CN113784769B (zh) 2023-10-03
JP7182032B2 (ja)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2672A (en) Nonlethal hand grenade
US7134665B2 (en) Balloon bursting game
JP5894281B2 (ja) 乗員推進装置及び乗員推進システム
US9757642B2 (en) Device for revealing a winner
US4149338A (en) Child's toy and game
US5471968A (en) Projectile launcher with folding housing
US20060156943A1 (en) Paintball grenade
US9393499B1 (en) Water rocket toys, assemblies, components, and methods
KR20210130236A (ko) 공중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유희용 비행체, 풍선 터트리기 유희구 및 풍선 터트리기 유희 방법
US5031908A (en) Balloon game set for ceiling play
US20020164921A1 (en) Jumping, leaping toy
CN104998416A (zh) 一种旋转玩具游戏装置
US20220072440A1 (en) Inflatable sprinkler with integral catch system
US10864449B2 (en) Rotatable chair with projectile launcher
CN101310158B (zh) 流体射弹射击设备及游戏
US20160367878A1 (en) Flexible tether ball
US5362065A (en) Flying saucer projecting and catching device
US4216610A (en) Pop-up toy
US5380234A (en) Inflatable and deflatable combatant action toy
CN202892915U (zh) 一种可发射公仔玩具的筒状玩具
US20030060308A1 (en) Inflatable bunker system kit with impact dampening anchors
JP2022066641A (ja) 風船割り遊戯具及び遊戯用飛行体
US20050191929A1 (en) Flying device and catch game
US20180200600A1 (en) Mounting board
JPS623191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