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9566A -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 - Google Patents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9566A
KR20210129566A KR1020200096846A KR20200096846A KR20210129566A KR 20210129566 A KR20210129566 A KR 20210129566A KR 1020200096846 A KR1020200096846 A KR 1020200096846A KR 20200096846 A KR20200096846 A KR 20200096846A KR 20210129566 A KR20210129566 A KR 20210129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all
shower
viewing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장호
Original Assignee
고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장호 filed Critical 고장호
Publication of KR20210129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8Water installations especially for showers
    • E03C1/0409Shower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는 관체형태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부를 거친 물이 외부로 살수되게 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샤워기본체; 상기 손잡이부 또는 상기 헤드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볼수용공간을 구비한 볼수용통; 소정의 향과 피부미용성분을 갖으며 볼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볼수용통에 삽입장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자바라호스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볼수용통을 통과하는 물에 용해되어 수돗물 속 잔류염소를 제거하고 상기 소정의 향과 피부미용성분이 물에 섞여 배출되도록 구성된 기능성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shower unit with improved usability}
본 발명은 수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살수하도록 하는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능성볼을 용이하게 교체장착하여 기능성볼로부터 기능성성분이 물과 함께 용해되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기란 수전에 연결된 호스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헤드부에 형성된 여러개의 살수공을 통해 수전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소나기처럼 살수되도록 해주는 목욕용 기구이다.
최근에 인체 이로움을 주는 비타민제, 영양제, 향료 등 기능성 성분들이 충진되어 있는 카트리지를 장착하여 기능성 성분들이 살수되는 물과 함께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성 샤워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샤워기에 대해 공개실용신안 20-2011-0004345호, 등록실용신안 20-0184946호, 등록특허 10-159227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존의 기능성 샤워기는 샤워기 손잡이부에 별도의 기능형 카트리지를 삽입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교체를 위해서는 손잡이부에서 헤드부를 완전히 분해하여 카트리지를 삽입하고 다시 결합해야 하는 등 교체과정이 복잡하고 교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기존의 기능성 샤워기는 카트리지를 교체하는 방식으로서,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케이싱 내에 기능성 성분들이 충진되어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기능성 성분만을 교체하는 것이 어렵고, 카트리지 전체를 구입하여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카트리지 케이싱의 재활용률이 떨어져 친환경적이지 못할 뿐 아니라 사용자 입장에서는 고가의 카트리지 구입비용에 부담을 느끼는 아쉬움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기능성 샤워기는 1회 장착에 의해 수주 또는 수개월 동안 사용한 후, 교체가 이루어지는 타입이 대부분이었으며, 이는 호텔 등의 숙박업소와 같이 수일 마다 사용자가 변하는 곳에서 사용되는 샤워기로서는 적합하지 않았다. 즉, 호텔 등의 숙박업소 룸내 샤워실은 하루 또는 수일내로 투숙객이 바뀌게 되고, 호텔입장에서는 투숙객에게 서비스차원에서 투숙객이 원하는 새제품의 샤워기용 카트리지를 제공해주어야 하나, 기존 기능성 샤워기는 카트리지가 적어도 수주 내지 수개월동안 사용한 후 교체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숙박업소의 샤워기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았다.
한편, 등록특허 10-1832848에는 샤워기 손잡이 내에 삽입설치하는 구조가 아니라, 샤워기와 호스 사이에 결합하여 화장료를 공급하기 위한 샤워기용 화장수 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등록특허 10-1832848호는 화장수 공급장치를 교체하기 위해 샤워기와 호스를 각각 분리하여 새제품의 양단에 샤워기와 호스를 다시 결합해야하는 번거로움과 교체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등록특허 10-1832848호는 기능성 화장료만 교체하는 방식이 아니라, 화장수 공급장치를 전체적으로 교체하는 방식으로 하우징 등의 재활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사용자 입장에서 하우징을 포함하는 고가의 화장수 공급장치 전체를 구매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20-2011-0004345호 등록실용신안 20-0184946호 등록특허 10-1592278호 등록특허 10-183284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샤워기 일측에 볼수용통을 구성하여, 이 볼수용통에 기능성볼을 투입하여 샤워기에 유입된 물에 기능성볼이 용해되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편리성이 매우 향상될 뿐 아니라, 기존과 같이 카트리지 전체를 교체하는 방식이 아니라 기능성볼만을 투입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매우 친환경적이며, 저렴한 기능성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샤워시 마다 각기 다른 기능성볼을 선택하여 일회용으로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피부미용효과와 향테라피효능을 경험하도록 해줄 수 있는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기능성볼을 교체사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숙박업소의 투숙객 마다 새로운 기능성볼의 교체사용이 가능하여 투숙객에게 서비스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수용통에 내에 난류를 형성시켜 볼수용통에 수용된 기능성볼의 기능성성분이 물에 잘 섞여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를 갖는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시에 다른 종류의 기능성볼 2개를 수용하여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2개의 기능성볼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는, 관체형태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부를 거친 물이 외부로 살수되게 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샤워기본체; 상기 손잡이부 또는 상기 헤드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볼수용공간을 구비한 볼수용통; 소정의 향과 피부미용성분을 갖으며 볼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볼수용통에 삽입장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자바라호스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볼수용통을 통과하는 물에 용해되어 수돗물 속 잔류염소를 제거하고 상기 소정의 향과 피부미용성분이 물에 섞여 배출되도록 구성된 기능성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수용통은 상기 헤드부의 후면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후방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헤드부의 내부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유출입홀이 관통형성되며, 개방된 후방부는 캡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 내측에는 유입된 물에서 이물질을 여과하여 여과된 물을 상기 헤드부 내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필터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볼수용통은 외주면에 상기 기능성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볼수용통은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에 설치되되, 상기 손잡이부에 대해 하부로 이동시 상기 기능성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외부에 노출되며, 하단에는 자바라호스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에는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수용통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체결되는 수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투입구는 상기 수나사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볼수용통이 상기 손잡이부에 대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볼수용통이 상기 손잡이부에 대해 하향이동하여 상기 수나사부가 상기 손잡이부에서 하향 인출되어 상기 투입구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볼수용통은, 상기 수나사부의 상부에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수나사부가 상기 손잡이부에서 인출되는 경우, 상기 볼수용통이 상기 손잡이부에서 완전분리되지 않고 걸려있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암나사부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도록 빠짐방지부가 구비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볼수용통의 하부에는 상기 자라바호스와 결합되는 호스결합관부가 형성되어 상기 호스결합관부가 상기 자바라호스와 나사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볼수용통의 내부 하측 및 상측에는 하부타공판과 상부타공판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타공판과 상기 상부타공판 사이에는 상기 투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상기 기능성볼이 삽입수용되는 볼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수용공간의 하부에 필터가 구성되어, 상기 필터를 통해 여과된 물이 상기 볼수용공간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샤워기는 기능성볼을 매우 간단한 교체방식에 의해 교체할 수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기능성볼을 교체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편리성이 매우 향상될 뿐 아니라, 기존과 같이 카트리지 전체를 교체하는 방식이 아니라 기능성볼만을 투입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매우 친환경적이며, 저렴한 기능성볼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숙박업소에서 투숙객에게 고퀄리티의 어메니티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고객만족도를 매우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기능성볼이 물에 잘 섞여 용해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기능성볼의 기능성 성분들 중 비타민C는 수돗물 속 잔류염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뿐 아니라 그 외 다른 피부미용성분들과 함께 물에 용해된 후 사용자의 피부에 제공되어 피부미용효과와 향테라피효능 뿐 아니라 수돗물의 필터로써의 효능도 매우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샤워기에 2개의 서로 다른 종류의 기능성볼을 투입장착하고,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2개의 기능성볼 중 하나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용편리성이 더욱 향상되고,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수용통을 하향이동시켜 기능성볼을 투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의 도 1의 요부단면이고,
도 4는 도 2의 요부단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샤워기에서 다른형태의 필터설치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샤워기의 수류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수용통을 하향이동시켜 기능성볼을 투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의 샤워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샤워기에 기능성볼을 투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에 기능성볼이 투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샤워기(10)는 샤워기본체(110), 볼수용통(120), 기능성볼(1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샤워기본체(110)는 전면에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되어 물이 여러 줄기로 갈라져 살수되도록 하는 헤드부(114)와, 헤드부(114)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관체형태로 이루어져 수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헤드부(114)에 공급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되고, 하단 내주면에 암나사부(116)가 형성된 손잡이부(1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볼수용통(120)은 손잡이부(112)와 샤워기용 자바라호스(20)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어, 자바라호스(20)와 손잡이부(112)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볼수용통(120)은 상하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손잡이부(112)와 동일한 외경을 갖으며 하부에는 자바라호스(20)의 연결부(24)와 나사체결되는 호스결합관부(122)가 구비된 통본체(121)와, 통본체(12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암나사부(116)에 나사체결되는 나사산(123a)이 형성된 수나사부(123)와, 수나사부(123)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며 상단 외주연에 빠짐방지부(126)가 돌출되도록 마련된 연장부(125)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자바라호스(20)는 통상의 샤워기와 연결되는 공지된 자바라호스로서 암나사산(24a)이 형성된 연결부(24)가 구비된 것이다. 자바라호스(20)의 연결부(24)와 볼수용통(120) 사이에는 패킹부재(p)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통본체(121)와 손잡이부(112) 사이에
또한, 볼수용통(120)은 내부 상측과 하측에는 다수의 물유입공(127a)이 구비된 하부타공판(127)과, 다수의 물배출공(128a)이 구비된 상부타공판(128)이 구성되어, 하부타공판(127)과 상부타공판(128) 사이에 볼수용공간(s)이 형성되며, 이때, 수나사부(123)의 외주면 상에는 볼수용공간(s)과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기능성볼(130)이 투입되기 위한 투입구(124)가 관통형성된다.
볼수용통(120)은 도 1 및 도 3과 같이, 수나사부(123)가 손잡이부(112)의 암나사부(116)에 나사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고, 이와 같이 볼수용통(120)이 손잡이부(112)에 결합된 상태에서 볼수용통(120)과 손잡이부(112)를 체결해제방향으로 상대회전시키게 되면 도 2 및 도 4와 같이, 손잡이부(112)에 대해 볼수용통(120)이 하부로 위치이동되어 수나사부(123)가 손잡이부(112)로부터 인출되어 수나사부(123)에 형성된 투입구(124)에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도 4와 같이, 수나사부(123)가 손잡이부(112)에 대해 인출되는 경우, 연장부(125)의 상단외주면에 형성된 빠짐방지부(126)가 암나사부(116)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115)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볼수용통(120)이 손잡이부(112)에서 완전분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걸려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빠짐방지부(126)의 외주연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실링부재(126a)가 구비되어, 실링부재(126a)가 손잡이부(112)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빠짐방지부(126)와 손잡이부(112) 내주면 사이에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볼수용통(120)을 손잡이부(112)에 대해 나사체결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대회전시켜 수나사부(123)가 손잡이부(112)에서 인출되게 한 후, 외부에 노출된 투입구(124)을 통해 기능성볼(130)을 볼수용공간(s)으로 집어넣은 다음, 다시 도 1 및 도 3과 같이 볼수용통(120)을 손잡이부(112)에 결합하여 기능성볼(130)을 간단하게 교체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볼수용통(120)의 내부공간 중 볼수용공간(s)의 하부공간 즉, 하부타공판(127)의 하측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부직포, 스펀지 형태의 플랙서블한 필터(f)가 장착되어 호스결합관부(122)를 통과한 물이 여과되어 볼수용공간(s)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필터(f)는 호스결합관부(122)를 통해 교체될 수 있다. 아울러, 필터(f)는 부직포, 스펀지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과하는 녹물, 불순물이 포함된 오염된 물을 여과하여 여과된 물을 볼수용공간(s)에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면 다양한 재질 및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하부타공판(127)이 볼수용통(120)의 저부에서 소정간격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볼수용통(120)의 저부와 하부타공판(127) 사이에 필터(f)를 삽입설치하여 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하여 볼수용공간(s)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5와 같이 하부타공판(127)이 볼수용통(120)의 하단에 설치되고, 필터(f)가 호스결합관부(122) 내부에 삽입설치되어 호스결합관(122)을 통과하는 물이 여과된 후 볼수용공간(s)으로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하부타공판(127)은 도 5와 같이 볼수용통(120)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어 볼수용통(120)의 저면부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부타공판(127)의 직경은 호스결합관(122)의 내경과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호스결합관(122)의 내부 상단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필터(f)는 볼수용공간(s)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여과된 물을 볼수용공간(s)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필터(f)의 설치구조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능성볼(130)은 볼수용통(120) 내부의 볼수용공간(s)에 수용된 상태에서, 볼수용공간(s)을 유동하는 물에 녹아 용해되면서 기능성성분이 물과 함께 헤드부(114)를 통해 살수되도록 구성된다.
기능성볼(130)은 비타민c, 우유분말, 선인장추출물, 달팽이점액성분, 올리브오일, 아로마향성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된 고형체로 이루어지며, 볼형태로 이루어지되, 완전한 구체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울퉁불퉁한 불규칙한 구면을 갖는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능성볼(130)에 포함된 비타민c, 우유분말, 선인장추출물(트레할로스), 달팽이점액성분, 올리브오일, 아로마향성분과 같은 기능성성분(피부미용성분,향테라피성분)들은 볼수용공간(s)을 통과하는 물에 녹아 용해되어 수돗물 속 잔류염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해 줄 뿐만 아니라 헤드부(114)를 통해 살수되어 피부에 도포됨으로써, 피부보습기능, 피부영양공급, 피부에 향기성분 등의 피부미용 효능과 더불어, 향성분이 피부에 남도록 하여 향테라피 효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서 아로마향성분은 라벤더향, 장미향, 민트향, 오렌지향 등 다양한 향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비타민C는 수돗물 속 잔류염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필터로써의 효능 뿐만 아니라,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로 피부의 탄력저하,노화,기미,주근깨 등에 효과적이며 모발을 건강하고 탄력적으로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우유분말은 피부의 당김없이 묵은 때와 각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해 피부를 부드럽게 하며, 트레할로스(선인장추출물)는 세포막을 보호 피부 속 수분이 마르는 것을 막아 촉촉한 피부를 유지도록 하며, 달팽이 점액성분은 자외선 및 외부환경으로 손상된 피부의 재생능력을 향상시켜 주며 주름,여드름 자국 및 튼 살에도 도움을 주며, 올리브오일은 활성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해 주름을 방지, 피부재생에 도움을 주며 모발손상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아로마 향성분은 화장품에 사용되는 스킨케어용 향으로 아로마테라피(향테라피)를 통한 릴렉싱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능성볼(130)은 비타민c, 우유분말, 선인장추출물, 달팽이점액성분, 올리브오일, 아로마향성분 이외에도 알로에 베라잎 추출물, 천연에션설 오일, 연꽃뿌리성분, 선인장씨드오일, 비타민E, 비타민 A 등의 성분 중에 하나 또는 복수가 추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전을 열어주면 물이 자라바호스(20)를 통해 호스결합관부(122)로 공급되어지고, 호스결합관부(122)를 통해 볼수용통(120) 내부로 유입된 물은 필터(f)를 거치면서 여과되고, 여과된 물은 하부타공판(127)의 물유입공(127a)을 거쳐 볼수용공간(s)으로 유입된 후 상부타공판(128)의 물배출공(128a)을 통해 배출된 다음, 손잡이부(112) 및 헤드부(114)를 거쳐 살수되게 된다. 이때,물이 볼수용공간(s)을 통과할 때, 볼수용공간(s)에 수용된 기능성볼(130)의 기능성성분들이 물에 녹으면서 기능성성분들이 물과 함께 헤드부(114)를 통해 분사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볼수용통(120)과 손잡이부(112)를 나사체결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대회전시키면 손잡이부(112)에 대해 볼수용통(120)이 하향이동되어 수나사부(123)가 손잡이부(112)의 하단에서 하향되게 인출되고, 이에 따라 수나사부(123)에 형성된 투입구(124)를 통해 기능성볼(130)을 투입하고, 다시 볼수용통(120)과 손잡이부(112)를 결합하여 간단하게 기능성볼(130)을 교체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볼수용통(120)을 한손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 손잡이부(112)를 나사체결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손잡이부(112)에 대해 볼수용통(120)이 도 2 및 도 4와 같이 하향이동되게 조작할 수도 있고, 손잡이부(112)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 볼수용통(120)을 나사체결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볼수용통(120)이 도 2 및 도 4와 같이 하향이동되게 조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샤워기는 다양한 향, 다양한 미용성분들로 이루어진 복수의 기능성볼(130)들을 구비하도록 구성하여, 호텔등과 같은 숙박업소에서 체크인시, 투숙객이 복수의 기능성볼(130) 중 원하는 향과 미용성분을 갖는 기능성볼(130)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한 기능성볼(130)을 맞춤형 어메니티(amenity)로서 제공하여, 고객이 제공된 기능성볼(130)을 간편하게 볼수용통(120)에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만족도를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수일 내로 바뀌는 투숙객에게 기능성볼(130)만을 제공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고가이면서 장시간 사용 교체하는 카트리지 교환방식의 샤워기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저렴한 기능성볼의 공급이 가능하여 숙박업소의 고객맞춤형 서비스로서 매우 적합한 모델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는 제 1 실시 예에 비해 볼수용공간(s)을 통과하는 물의 체류시간을 늘리면서 볼수용공간(s) 내에서 난류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물이 기능성볼(s)과 잘 섞여 기능성볼(s)의 기능성성분의 용해도를 높여주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하며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제 2 실시 예에서, 하부타공판(127')은 테두리에 원주상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형성되는 복수의 제1물유입공(127b)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중심부에는 상부로 돌출연장되는 물분사관(127c)이 구성되고, 이 물분사관(127c)의 외주면에는 제2물유입공(127ca)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제1물유입공(127b)은 하부타공판(127')을 경사지게 타공하도록 구성되어, 복수의 제1물유입공(127b)을 통해 볼수용공간(s)내로 유입된 물이 상승선회수류(A1)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물유입공(127ca)은 물분사관(127c)의 측방을 향해 물이 분사되는 형태로 볼수용공간(s)으로 유입되도록 하되, 상승선회수류(A1)의 선회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측방수류(A2)가 형성되도록 물분사관(127c)의 외주면 접선의 직각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태로 관통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2물유입공(127ca)은 물분사관(127c)의 외주면을 관통형성되되, 물분사관(127c) 외주면에 대한 접선의 직각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태로 관통형성되어 물분사관(127c)으로부터 상승선회수류(A1)의 선회방향과 반대방향의 향하는 측방수류(A2)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1물유입공(127b)을 통해 유입되어 볼수용공간(s) 내에서 형성되는 상승선회수류(A1)와, 물분사관(127c)으로부터 분사되는 측방수류(A2)가 서로 충돌하면서 강력한 난류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볼수용공간(s) 내를 통과하는 물의 체류시간이 상승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생되는 강력한 난류에 의해 볼수용공간(s) 내에 수용된 기능성볼(130)과 물이 잘 섞이면서 기능성볼(130)의 용해가 잘 이루어지고 용해된 기능성볼(130)의 기능성성분이 물과 함께 잘 섞여 볼수용공간(s)을 빠져나갈 수 있다.
또한, 상부타공판(128')은 테두리에 원주상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형성되는 복수의 제1물배출공(128b)과, 복수의 제2물배출공(128c)가 각각 형성되되, 제1복수의 제1물배출공(128b)은 복수의 제2물배출공(128c)의 외곽둘레에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제1물배출공(128b)는 볼수용공간(s)으로부터 빠져나와 손잡이부(112) 내부로 배출되는 물이 일방향으로 선회하는 제1배출수류(A3)가 형성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관통형성되며, 복수의 제2물배출공(128c)는 볼수용공간(s)으로부터 빠져나와 손잡이부(112)로 내부로 배출되는 물이 타방향으로 선회하는 제2배출수류(A4)가 형성되도록 복수의 제1물배출공(128b)과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배출수류(A3)는 제2배출수류(A4)의 외곽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승선회하는 제1배출수류(A3)와 제2배출수류(A4)의 경계부에서 강력한 수류충돌이 일어나 손잡이부(112) 내에서도 매우 강한 난류가 형성되어 기능성볼(130)에서 물에 용해된 기능성성분들이 물에 더욱 잘 섞인 상태가 되게 한 후 헤드부(114)를 통해 분사되게 할 수 있다.
이처럼, 제 2 실시 예의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는 자바라호스(2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볼수용통(120) 내에서 체류시간이 늘어나고 강력한 난류가 형성되도록 하여 기능성볼(130)의 기능성성분이 더 잘 용해되고 섞이게 하며, 볼수용통(120)을 빠져나가 손잡이부(112)로 배출되는 물도 서로 상대선회하는 두 배출수류를 형성하여 충돌하도록 함으로써 물에 용해된 기능성볼(130)의 기능성성분이 물과 더욱 잘 섞이게 하여 헤드부(114)를 통해 살수 즉 분사되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샤워기를 사용하는 경우, 기능성성분의 배출량을 높여 필터로서의 효과, 피부미용효과, 향테라피기능, 보습기능등의 다양한 효과가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10')에 대해 설명한다.
제 3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10')는 제 1 실시 예에 비해 서로 다른 종류의 기능성볼 2개를 투입하고,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2개의 기능성볼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제 3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10')는 샤워기본체(110), 볼수용통(140), 밸브부재(150), 복수의 기능성볼(16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샤워기본체(110)는 전면에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되어 물이 여러 줄기로 갈라져 살수되도록 하는 헤드부(114)와, 헤드부(114)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관체형태로 이루어져 수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헤드부(114)에 공급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되고, 하단 내주면에 암나사부(116)가 형성된 손잡이부(1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볼수용통(140)은 상하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손잡이부(112)의 하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볼수용통(140)은 손잡이부(112)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통본체(141)와, 통본체(14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암나사부(116)에 나사체결되는 나사산(143a)이 형성된 수나사부(143)와, 수나사부(143)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며 상단 외측둘레에 빠짐방지부(146)가 돌출되도록 마련된 연장부(145)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볼수용통(140)은 내부 상측과 하부에 하부타공판(147)과 상부타공판(148)이 구성되고, 하부타공판(147)과 상부타공판(148)의 사이공간을 좌측 볼수용공간(sa)과 우측 볼수용공간(sb)으로 구획하는 격판(149)이 구성된다. 이때, 하부타공판(147)에는 좌측볼수용공간(sa)과 연결되는 복수의 좌측물유입공(147a)과 우측볼수용공간(sb)과 연결되는 복수의 좌측물유입공(147b)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부타공판(148)에는 좌측볼수용공간(sa)과 연결되는 복수의 좌측물배출공(148a) 및 우측볼수용공간(sb)과 연결되는 복수의 좌측물배출공(148b)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수나사부(143)의 좌측과 우측에는 좌측 볼수용공간(sa)에 연결되어 제1기능성볼(161)을 투입하기 위한 좌측투입구(144a)가 구성되고, 우측 볼수용공간(sb)에 연결되어 제2기능성볼(163)을 투입하기 위한 우측투입구(144b)가 구성된다.
볼수용통(140)은 도 8 및 도 10과 같이 수나사부(143)가 손잡이부(112)의 암나사부(116)에 나사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고, 이와 같이 볼수용통(120)이 손잡이부(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볼수용통(140)과 손잡이부(112)를 체결해제방향으로 상대회전시키게 되면 손잡이부(112)에 대해 볼수용통(140)이 하부로 위치이동되어 도 9와 같이 수나사부(143)가 손잡이부(112)로부터 인출되어 수나사부(143)에 형성된 2개의 투입구, 즉, 좌측투입구(144a) 및 우측투입구(144b)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수나사부(143)가 손잡이부(112)에 대해 인출되는 경우, 연장부(145)의 상단외주면에 형성된 빠짐방지부(146)가 암나사부(116)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115)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볼수용통(140)이 손잡이부(112)에서 완전분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걸려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볼수용통(140)을 손잡이부(112)에 대해 나사체결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대회전시켜 수나사부(143)가 손잡이부(112)에서 인출되게 한 후, 외부에 노출된 2개의 투입구(144a,144b)을 통해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기능성볼(161,163)을 좌측볼수용공간(sa) 및 우측볼수용공간(sb)으로 집어넣은 다음, 다시 볼수용통(140)을 손잡이부(112)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밸브부재(150)는 관체형태로 이루어지고 볼수용통(140)과 연결되도록 볼수용통(140)의 하부에 설치되되, 볼수용통(140)에 대해 회전조작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밸브부재(150)의 상단에는 반원형태의 개폐판(151)이 마련되며, 이 개폐판(151)은 하부타공판(147)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밸브부재(150)의 회전조작에 따라 하부타공판(147)의 좌측반원영역 또는 우측반원영역을 밀착되게 차단해줌으로써 복수의 좌측물유입공(147a) 또는 복수의 우측물유입공(147b)을 선택하여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밸브부재(150)의 하부에는 자바라호스(20)의 연결부(24)와 나사체결되는 호스결합관부(152)가 구비되어, 밸브부재(150)의 하단은 자바라호스(20)의 연결부(24)와 결합되어 자바라호스(20)로부터 수전의 물이 밸브부재(150)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밸브부재(150)의 내측 하부에는 중공부를 갖는 필터지지링(155)이 구성되어, 밸브부재(150)의 하부공간에는 필터(f)가 장착되어 호스결합관부(152)를 통과한 물이 여과되어 밸브부재(150)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필터(f)는 호스결합관부(152)를 통해 교체될 수 있다. 아울러, 필터(f)는 부직포, 스펀지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과하는 녹물, 불순물이 포함된 오염된 물을 여과하여 여과된 물을 볼수용공간(s)에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면 다양한 재질 및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능성볼(161,163)은 비타민c, 우유분말, 선인장추출물, 달팽이점액성분, 올리브오일, 아로마향성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된 고형체로 이루어지며, 볼형태로 이루어지되, 완전한 구체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울퉁불퉁한 불규칙한 구면을 갖는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로마향성분은 라벤더향, 장미향, 민트향, 오렌지향 등 다양한 향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능성볼(161,163)은 비타민c, 우유분말, 선인장추출물, 달팽이점액성분, 올리브오일, 아로마향성분 이외에도 알로에 베라잎 추출물, 천연에션설 오일, 연꽃뿌리성분, 선인장씨드오일, 비타민E, 비타민 A 등의 성분 중에 하나 또는 복수가 추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볼(161,163)은 서로 다른 향, 서로 다른 영양성분을 갖는 다른 종류의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기능성볼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2개의 볼을 좌측투입구(144a) 및 우측투입구(144b)를 통해 좌측볼수용공간(sa)과 우측볼수용공간(sb)에 수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성볼(161,163)들은 남성이 선호하는 향과 미용성분을 갖는 남성용 기능성볼, 여성이 선호하는 향과 미용성분을 갖는 여성용 기능성볼, 지성피부용 기능성볼, 건성피부용 기능성볼 등 다양한 기능과 향을 갖는 기능성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볼수용통(140)에 대해 밸브부재(150)를 회전조작하여 도 10과 같이 개폐판(151)이 복수의 우측물유입공(148b)을 차단한 상태에서, 수전을 열러주면, 자바라호스(2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밸브부재(150)를 거쳐 좌측물유입공(147a)을 통해 좌측볼수용공간(sa)에 공급된 후, 좌측물배출공(148a)을 통해 배출된 다음, 손잡이부(112) 및 헤드부(114)를 거쳐 살수되며, 이때, 좌측볼수용공간(sa)에 수용된 제1기능성볼(161)의 기능성성분들이 물에 녹아 물과 함께 헤드부(114)를 통해 살수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볼수용통(140)에 대해 밸브부재(150)를 90도 회전조작하여 개폐판(151)이 복수의 좌측물유입공(148a)을 차단한 상태에서, 수전을 열러주면, 자바라호스(2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밸브부재(150)를 거쳐 우측물유입공(147b)을 통해 우측볼수용공간(sb)에 공급된 후, 우측물배출공(148b)을 통해 배출된 다음, 손잡이부(112) 및 헤드부(114)를 거쳐 살수되며, 이때, 우측볼수용공간(sb)에 수용된 제2기능성볼(16e)의 기능성성분들이 물에 녹아 물과 함께 헤드부(114)를 통해 살수될 수 있다.
이처럼, 제 3 실시 예의 샤워기는 2개의 서로 다른 기능성볼을 각각 볼수용통(140)의 좌측볼수용공간(sa) 및 우측볼수용공간(sb)에 삽입장착한 후, 밸브부재(150)를 회전조작하여 공급되는 물이 좌측볼수용공간(sa) 또는 우측볼수용공간(sb) 중 하나를 통과하여 2개의 기능성볼 중 하나의 기능성볼이 물에 용해되어 헤드부(114)로 살수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기능성볼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하게 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숙박업소에서 제 3 실시 예의 샤워기를 적용하는 경우, 체크인시 투숙객이 복수의 기능성볼 중 2개의 기능성볼을 선택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투숙객이 선택한 2개의 기능성볼을 입실 후 샤워기의 좌측볼수용공간(sa) 및 우측볼수용공간(sb)에 투입하고, 밸브부재(150)를 간단하게 회전조작하여 2개의 기능성볼 중 원하는 기능성볼이 물에 용해되어 헤드부로 살수되도록 하여 기분좋고 상쾌한 샤워를 진행할 수 있게 하여 고객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200)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내지 제 3 실시 예에서는 샤워기 손잡이부의 하단에 기능성볼이 구성된 구조였으나, 제 4 실시 예의 샤워기(200)는 샤워기 헤드부(214)의 후면에 볼수용통(220)이 일체로 돌출형성된 것이며, 이 볼수용통(220)은 후방을 향해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수나사산(222)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볼수용통(220)의 저면에는 샤워기 헤드부(214)의 내부와 연통되어 헤드부(214) 내부의 물이 볼수용통(220)으로 유입되고, 볼수용통(220)에 수용된 물이 헤드부(214) 내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물 유출입홀(224)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볼수용통(220)의 개방된 후방을 개폐하는 캡(226)이 구성된다. 캡(226)은 볼수용통(220)에 나사방식으로 분리 및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226)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볼수용통(2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222)에 나사체결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캡(226)을 볼수용통(220)에서 분리하여 기능성볼(130)을 볼수용통(220)의 볼수용공간(s)으로 집어넣은 다음, 캡(226)을 볼수용통(220)에 결합하여, 기능성볼(130)을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능성볼(130)이 볼수용통(22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샤워기 호스 및 손잡이부(212)를 거쳐 샤워기 헤드부(214)로 유입된 물은 수압에 의해 물유출입홀(224)을 통과하여 볼수용통(220)으로 유입되고, 볼수용통(220)에 수용된 기능성볼(130)을 용해시키며, 기능성볼(130)이 용해되어 기능성볼이 용해된 물은 볼수용통(220)에서 물유출입홀(224)을 통해 헤드부(130) 내부로 배출되어, 헤드부(214) 내부에서 헤드부(214) 전면에 구비된 분사노즐을 통해 살수되는 물과 함께 합류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물유출입홀(224)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고, 홀의 크기도 조절함으로써 볼수용공간(s)의 기능성볼(130)에 대한 용해 속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
한편, 제 4 실시 예의 샤워기(200)는 샤워기 호스로부터 손잡이부(212)를 통과하는 물을 여과하여 헤드부(214)로 공급해, 여과된 물이 볼수용통(220)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손잡이부(212)의 내부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필터(f)가 삽입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손잡이부(212)로 유입된 물은 필터(f)를 거치면서 녹물, 불순물이 포함된 오염된 물을 여과하고, 여과된 물이 헤드부(214)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 4 실시 예의 샤워기(200)에서 볼수용통(22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222)의 하부에 링형 고무패킹(미참조부호)이 구성되어, 볼수용통(220)과 캡(226)의 실링이 향상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부(214)와 손잡이부(212)는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도 13과 같이 헤드부(214)에는 하단부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손잡이부(212)의 상단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헤드부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헤드부(214)에 형성된 수나사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링형 패킹이 구성되어, 헤드부(214)와 손잡이부(212)가 나사결합시 실링이 향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212)의 하단부에는 샤워기 호스와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기 위한 수나사산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나사산의 상측에도 링형 패킹이 구성되어 손잡이부와 샤워기 호스의 실링이 향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 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샤워기
20...자바라호스
24...연결부
110...샤워기본체
112...손잡이부
114...헤드부
115...걸림턱
116...암나사부
120...볼수용통
121...통본체
122...호스결합관부
123...암나사부
125...연장부
126...빠짐방지부
127...하부타공판
128...상부타공판
130...기능성볼
200...샤워기
210...샤워기본체
212...손잡이부
224...헤드부
220...볼수용통

Claims (9)

  1. 관체형태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부를 거친 물이 외부로 살수되게 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샤워기본체;
    상기 손잡이부 또는 상기 헤드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볼수용공간을 구비한 볼수용통;
    소정의 향과 피부미용성분을 갖으며 볼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볼수용통에 삽입장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자바라호스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볼수용통을 통과하는 물에 용해되어 수돗물 속 잔류염소를 제거하고 상기 소정의 향과 피부미용성분이 물에 섞여 배출되도록 구성된 기능성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수용통은 상기 헤드부의 후면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후방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헤드부의 내부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유출입홀이 관통형성되며, 개방된 후방부는 캡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내측에는 유입된 물에서 이물질을 여과하여 여과된 물을 상기 헤드부 내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필터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수용통은 외주면에 상기 기능성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볼수용통은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에 설치되되, 상기 손잡이부에 대해 하부로 이동시 상기 기능성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외부에 노출되며, 하단에는 자바라호스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에는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수용통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체결되는 수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투입구는 상기 수나사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볼수용통이 상기 손잡이부에 대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볼수용통이 상기 손잡이부에 대해 하향이동하여 상기 수나사부가 상기 손잡이부에서 하향 인출되어 상기 투입구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볼수용통은, 상기 수나사부의 상부에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수나사부가 상기 손잡이부에서 인출되는 경우, 상기 볼수용통이 상기 손잡이부에서 완전분리되지 않고 걸려있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암나사부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도록 빠짐방지부가 구비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수용통의 하부에는 상기 자라바호스와 결합되는 호스결합관부가 형성되어 상기 호스결합관부가 상기 자바라호스와 나사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수용통의 내부 하측 및 상측에는 하부타공판과 상부타공판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타공판과 상기 상부타공판 사이에는 상기 투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상기 기능성볼이 삽입수용되는 볼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볼수용공간의 하부에 필터가 구성되어, 상기 필터를 통해 여과된 물이 상기 볼수용공간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




KR1020200096846A 2020-04-20 2020-08-03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 KR202101295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380 2020-04-20
KR20200047380 2020-04-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566A true KR20210129566A (ko) 2021-10-28

Family

ID=78232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846A KR20210129566A (ko) 2020-04-20 2020-08-03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956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946Y1 (ko) 2000-01-14 2000-06-01 송영근 비타민이 채워진 교체형 필터가 내장된 샤워기
KR20110004345U (ko) 2009-10-26 2011-05-04 주식회사 아이지테크 샤워기 헤드
KR101592278B1 (ko) 2014-08-06 2016-02-05 (주)피엘엠 기능성이 향상된 필터카트리지를 내장한 다기능 샤워기
KR101832848B1 (ko) 2017-04-11 2018-02-28 주식회사 비비드앤컴퍼니 샤워기용 화장수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946Y1 (ko) 2000-01-14 2000-06-01 송영근 비타민이 채워진 교체형 필터가 내장된 샤워기
KR20110004345U (ko) 2009-10-26 2011-05-04 주식회사 아이지테크 샤워기 헤드
KR101592278B1 (ko) 2014-08-06 2016-02-05 (주)피엘엠 기능성이 향상된 필터카트리지를 내장한 다기능 샤워기
KR101832848B1 (ko) 2017-04-11 2018-02-28 주식회사 비비드앤컴퍼니 샤워기용 화장수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3011636A (es) Dispositivos de acondicionamiento de agua montables en grifos.
US6245230B1 (en) Immersible portable dechlorinator
KR101832848B1 (ko) 샤워기용 화장수 공급 장치
KR20090003277U (ko) 미용성분 카트리지를 갖는 샤워기
KR102119124B1 (ko) 샤워 헤드
KR101828567B1 (ko) 음용 및 세척수용 비타민 공급장치
KR20210129566A (ko) 사용성이 향상된 샤워기
KR200491288Y1 (ko) 필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샤워기
KR102368934B1 (ko) 샤워필터 장치
JPH11333328A (ja) 浄水機能付シャワーヘッドとその浄水カートリッジ
JP2016020611A (ja) 局部洗浄装置、局部洗浄装置付便器、局部洗浄装置用切換弁並びに局部洗浄装置用浄水部
KR101185606B1 (ko) 유체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부재
JP3908827B2 (ja) 浄水シャワー
JP3691284B2 (ja) 浄水機能付きシャワーヘッド
CN215784182U (zh) 一种花洒
KR200473266Y1 (ko) 수도직결식 관장기
KR102074996B1 (ko) 샤워 필터 장치
KR102331869B1 (ko) 헤드부 교체가 용이한 인터락 방식의 샤워기기
CN104254401B (zh) 淋浴喷头
KR102053416B1 (ko) 화장수 공급장치
KR102119129B1 (ko) 자화수 생성 샤워 헤드
KR200473265Y1 (ko) 비데 기능을 갖는 관장기
KR20200042695A (ko) 샤워기 헤드용 필터 카트리지
JP4509410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およびシャワーヘッド
JP2000135174A (ja) 浄水機能付きシャワー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