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288Y1 - 필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샤워기 - Google Patents

필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샤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288Y1
KR200491288Y1 KR2020180000875U KR20180000875U KR200491288Y1 KR 200491288 Y1 KR200491288 Y1 KR 200491288Y1 KR 2020180000875 U KR2020180000875 U KR 2020180000875U KR 20180000875 U KR20180000875 U KR 20180000875U KR 200491288 Y1 KR200491288 Y1 KR 2004912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ousing
filter member
flow path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231U (ko
Inventor
이진욱
Original Assignee
이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욱 filed Critical 이진욱
Priority to KR2020180000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288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2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2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2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2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1Accessories for showers or bathing douches, e.g. cleaning devices for walls or floors of sho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필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샤워기는 급수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샤워수가 유동하는 제 1 유로와, 샤워헤드로 배출되는 샤워수가 유동하는 제 2 유로가 배치되는 필터하우징, 필터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 1 유로로부터 제 2 유로로 유동하는 샤워수가 지나도록 마련되는 필터부재, 필터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 2 유로를 유동하는 샤워수에 기능성물질을 공급하는 첨가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필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샤워기{Filter assembly and Shower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필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구조를 개선한 필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기는 냉수 또는 온수를 뿌리는 물뿌리개 모양의 분사장치로서, 화장실, 싱크대, 워터풀, 연수기, 욕실등에 널리 이용된다.
이러한 샤워기는 호스와, 호스와 연결되어 물을 분사시키는 다수의 살수홀이 형성된 샤워 헤드로 구성된다.
최근 들어, 샤워기는 잔류염소를 제거하고 여과, 이온화, 항균, 탈취 등과 같은 다양한 수처리 기능을 수행하거나 마사지 기능을 수행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갖는 샤워기가 개발되고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은 필터구조를 개선한 필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샤워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은 유로구조를 개선한 필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샤워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은 기능성물질을 함유된 샤워수를 제공하는 필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샤워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는 급수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샤워수가 유동하는 제 1 유로와, 샤워헤드로 배출되는 샤워수가 유동하는 제 2 유로가 배치되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유로로부터 상기 제 2 유로로 유동하는 샤워수가 지나도록 마련되는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유로를 유동하는 샤워수에 기능성물질을 공급하는 첨가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첨가장치는, 상기 기능성물질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구성되는 잔량체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잔량체크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구성되는 필터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은, 상기 필터창에 대응되는 부분에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구성되는 하우징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하우징과 상기 첨가장치는 동심원을 형성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면과 상기 필터부재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필터부재의 내면과 상기 첨가장치의 외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첨가장치는, 일측에 케이스개구가 형성되며 그 내부에 상기 기능성물질이 배치되는 케이스몸체; 상기 케이스개구를 개폐하는 케이스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하우징은 상기 필터부재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케이스몸체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장치는, 상기 케이스몸체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필터부재가 상기 케이스몸체로부터 제 1 간격 이격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필터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장착부는, 상기 케이스몸체보다 큰 둘레를 형성하는 이격단차부; 상기 이격단차부보다 큰 둘레를 형성하는 장착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재는 그 내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격단차부의 둘레에 의해 지지되며, 그 단부가 상기 장착단차부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첨가장치는, 상기 필터부재의 내면과 상기 케이스몸체가 상기 제 1 간격과 동일한 제 2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케이스커버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복수의 갭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커버는, 상기 기능성물질이 상기 제 2 유로를 통해 유동하도록 상기 케이스커버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유동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은, 상기 급수공급관에 결합되는 제 1 하우징; 상기 샤워헤드와 결합되되, 상기 필터부재와 상기 첨가장치의 삽입 및 이탈을 위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2 하우징의 결합부분은 원통형의 상기 필터부재보다 반경방향에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물질은, 비타민C, 우유와 사포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샤워기는 샤워헤드로 공급되는 샤워수가 지나는 필터어셈블리가 장착된 샤워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샤워수가 유입되는 인렛과, 샤워수가 배출되는 아웃렛을 갖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에서 인렛으로 유입되는 샤워수가 유동하는 제 1 유로와, 아웃렛으로 유출되는 샤워수가 유동하는 제 2 유로를 구획하는 필터부재로서, 상기 제 1 유로의 샤워수가 필터링되어 상기 제 2 유로를 유동하도록 구성되는 필터부재; 상기 제 2 유로를 유동하는 샤워수에 기능성물질을 공급하는 첨가장치;을 포함하고, 상기 첨가장치는, 그 내부에 상기 기능성물질이 배치되는 장치케이스로서, 상기 필터부재의 내면과 상기 장치케이스사이에 상기 제 2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장치케이스; 상기 기능성물질이 상기 제 2 유로로 공급되도록 상기 장치케이스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유동홀;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기능성물질이 함유된 샤워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외부에서 기능성물질의 잔량 및 종류를 확인하고 교환 또는 충전가능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필터어셈블리 내부의 유로구조를 개선하여, 샤워수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필터어셈블리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필터와 기능성물질의 교체 또는 충전을 쉽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가 장착된 샤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를 지나는 샤워수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고안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고안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가 장착된 샤워기의 사시도이다.
샤워기(1)는 수도관의 밸브와 연결되어 수도를 통해 진행되는 물을 여러갈래로 나누어 목적하는 압력으로 분사하도록 한 장치이다. 이와 같은 샤워기(1)는 밸브와 연결되는 호스가 일단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샤워기(1)는 주로 수돗물을 샤워수로 분사시키도록 하고 있는데, 이때 일반적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은 염소살균을 수행하여 각종 수행성 병원균을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살균제등이 수돗물에 잔류된 상태로 상수를 통해 공급되며, 살균제는 산화제, 표백제, 소독제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유독성 성분이기 때문에 인체, 특히, 피부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돗물에는 살균제에 의해 처리되지 않는 여러 중금속 성분이 함유되고, 이외에도 각종 이물질이 미량이나마 포함되어 공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샤워기(1)는 샤워헤드(10), 필터어셈블리(30), 급수공급관(20)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공급관(20)으로부터 공급되는 샤워수는 필터어셈블리(30)를 지나 샤워헤드(10)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급수공급관(20)은 내부에 샤워수가 지나도록 중공이 형성되며, 샤워수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급수공급관(20)을 통해 공급되는 샤워수는 필터어셈블리(30)로 공급될 수 있다.
샤워헤드(10)는 복수의 배출홀(미도시)을 포함하며, 필터어셈블리(30)를 거친 샤워수가 복수의 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필터어셈블리(30)는 급수공급관(20)과 샤워헤드(10)사이에 마련되어, 샤워수에 포함된 불순물 또는 유해성분을 걸러내도록 구성된다. 또한 필터어셈블리(30)는 불순물 또는 유해성분이 걸러진 샤워수에 피부 또는 건강에 유익한 기능성물질(90)을 첨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필터어셈블리(30)는 샤워기(1)에 결합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터어셈블리(30)의 무게와 부피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물이 공급되는 수도꼭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인렛(44)은 수도꼭지와 연결되며, 아웃렛(46)은 개방되거나 별도의 배출도구(샤워기 또는 호스)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필터어셈블리(30)는 필터하우징(40)과, 필터부재(60)와, 첨가장치(7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하우징(40)은 필터어셈블리(30)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터하우징(40)은 일단이 급수공급관(20)에 결합되며, 타단은 샤워헤드(10)에 결합될 수 있다. 필터하우징(40)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하우징(40)은 급수공급관(20)의 중공과 연통되는 인렛(44)과, 샤워헤드(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아웃렛(46)을 포함할 수 있다. 인렛(44)과 아웃렛(46)은 필터하우징(40)의 일단과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하우징(40)은 급수공급관(20)에 결합되며 인렛(44)이 형성된 제 1 하우징(42a)과, 샤워헤드(10)에 결합되며 아웃렛(46)이 형성된 제 2 하우징(4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하우징(42a, 42b)은 분리가능하게 마련되어, 그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부재(60) 또는 첨가장치(70)를 교체 또는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 1, 2 하우징(42a, 42b)의 결합부분(47)은 필터부재(60)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결합부분(47)이 필터부재(60)의 외측에 배치됨으로서, 제 1, 2 하우징(42a, 42b)의 분리를 통해 필터부재(60) 또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첨가장치(70)의 장착 및 분리를 쉽게 할 수 있다. 필터하우징(40)은 제 2 하우징(42b)의 내면에 형성되는 필터안착돌기(5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안착돌기(50)는 이후 설명하는 필터부재(60)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필터안착돌기(50)는 일면이 경사지도록 마련되어, 양단이 개방되는 필터부재(60)의 일측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필터부재(60)는 필터안착돌기(50)의 경사진 일면을 따라 이동하여, 필터하우징(40)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필터부재(60)는 필터하우징(40)의 내부에 형성되는 배치공간(48, 도 3참고)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재(60)는 급수공급관(20)으로부터 공급되는 샤워수에 포함된 불순물 또는 유해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필터부재(60)는 그 내측에 중공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하우징(40)은 그 내부에 급수공급관(20)으로부터 공급되는 샤워수가 유동하는 제 1 유로(P1)와, 샤워헤드(10)로 배출되는 샤워수가 유동하는 제 2 유로(P2)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유로(P1)의 적어도 일부는 필터하우징(40)과 필터부재(60)사이에 위치하며, 제 2 유로(P2)의 적어도 일부는 필터부재(60)와 첨가장치(7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필터부재(60)와 필터하우징(40)과 첨가장치(70)는 동심원을 형성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 5와 같이 인렛(44)으로 유입되는 샤워수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필터부재(60)의 전방향으로 향할 수 있게 된다.
필터부재(60)는 제 1, 2 유로(P1, P2)를 구획하도록 구성된다. 자세하게는 필터부재(60)는 그 외면이 제 1 유로(P1)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그 내면이 제 2 유로(P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유로(P1)를 유동하는 샤워수는 필터부재(60)를 지나 제 2 유로(P2)를 유동하도록 구성된다.
필터부재(6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나, 일례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재(60)는 5마이크로미터이하의 고밀도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재(60)는 세그먼트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첨가장치(70)는 샤워수에 기능성물질(90)을 첨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첨가장치(70)는 필터부재(60)에 의해 불순물 또는 유해물질이 걸러진 샤워수에 기능성물질(90)을 첨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능성물질은 비타민C, 우유와 사포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유로(P2)를 지나는 샤워수에 비타민C가 함유시켜, 샤워수의 염소를 제거하거나 사용자의 피부상태를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2 유로(P2)를 지나는 샤워수에 우유성분이 함유시켜, 사용자 피부의 보습효과를 주게되어 과도한 기름기 제거를 막고 피부 보호막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유로(P2)를 지나는 샤워수에 사포닌성분이 함유시켜, 사용자에게 피로회복의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첨가장치(70)는 필터부재(60)의 중공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첨가장치(70)는 필터부재(6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첨가장치(70)는 필터부재(60)의 내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필터부재(60)에 의해 불순물 또는 유해물질이 걸러진 샤워수의 유동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첨가장치(70)는 장치케이스(72)와, 장치케이스(72) 내부에 충진되는 기능성물질(9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케이스(72)의 내부에는 샤워수에 공급되는 기능성물질(90)이 배치될 수 있다.
장치케이스(72)는 케이스개구(75)가 형성되는 케이스몸체(74)와 케이스개구(75)를 개폐하는 케이스커버(78)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몸체(74)는 일측에 케이스개구(75)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몸체(74)의 케이스개구(75)는 케이스커버(78)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기능성물질(90)은 케이스몸체(7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케이스개구(75)를 개방하여 기능성물질(90)을 충진 또는 다른 물질로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제 1, 2 유로(P1, P2)의 적어도 일부는 필터하우징(40)과, 필터부재(60)와, 첨가장치(70)의 각각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필터하우징(40)의 측면을 형성하는 필터하우징(40)의 몸체는 필터부재(60)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필터부재(60)는 케이스몸체(74)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커버(78)는 장치케이스(72) 내부에 배치되는 기능성물질(90)이 제 2 유로(P2)로 공급되도록 유동홀(78a)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동홀(78a)은 케이스커버(78)의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케이스(72)는 필터장착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장착부(80)는 필터부재(60)와 첨가장치(70)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유로(P2)의 간격을 유지하되, 필터부재(60)의 일측이 첨가장치(70)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필터장착부(80)는 케이스몸체(74)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장착부(80)에는 필터부재(60)의 일측이 안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터부재(60)는 양측이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일단은 필터안착돌기(50)에 의해, 타단은 필터장착부(80)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필터부재(60)는 양단이 필터안착돌기(50)가 형성된 제 2 하우징(42b)의 내면과, 필터장착부(80)에 의해 밀폐됨으로서, 제 1 유로(P1)를 유동하는 샤워수가 필터부재(60)를 통해서만 제 2 유로(P2)를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필터장착부(80)는 케이스몸체(74)로부터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필터장착부(80)는 케이스몸체(74)보다 큰 둘레를 형성하는 이격단차부(82)와, 이격단차부(82)보다 큰 둘레를 형성하는 장착단차부(8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케이스몸체(74)의 반경을 r1, 이격단차부(82)의 반경을 r2, 장착단착부의 반경을 r3라 할 때, r1 < r2 < r3를 만족할 수 있다. 필터부재(60)의 내면은 이격단차부(82)에 의해 케이스몸체(74)의 외면과 제 1 간격(d1)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재(60)의 일측은 장착단차부(84)에 안착되되, 그 내면은 이격단차부(82)의 둘레면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터부재(60)는 일단이 장착단차부(84)에 의해 지지되며, 타단은 필터하우징(40)의 내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부재(60)는 제 1, 2 유로를 구획할 수 있다.
장치케이스(72)는 갭형성부(86)를 포함할 수 있다.
갭형성부(86)는 케이스커버(78)에 형성될 수 있다. 갭형성부(86)는 케이스커버(78)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네 개의 갭형성부(86)를 도시하고 설명하나, 그 개수 및 배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갭형성부(86)는 케이스커버(78)의 둘레로부터 돌출되는 돌기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갭형성부(86)는 필터부재(60)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케이스커버(78)와 제 2 간격(d2)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이격단차부(82)에 의해 필터부재(60)의 내면과 케이스몸체(74)사이에 형성되는 제 1 간격(d1)과, 갭형성부(86)에 의해 필터부재(60)의 내면과 케이스몸체(74)사이에 형성되는 제 2 간격(d2)은 동일할 수 있다. 필터부재(60)가 케이스몸체(74)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됨에 따라, 필터부재(60)의 제 2 유로(P2)에 노출되는 면적을 넓힐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필터부재(60)에 의해 불순물 또는 유해물질이 걸러진 샤워수의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필터하우징(40)은 첨가장치(70)의 안착을 위해 안착돌기(49)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돌기(49)는 필터하우징(40)의 내면 바닥부에 형성될 수 있다. 안착돌기(49)는 첨가장치(70)의 하부를 지지하되, 필터하우징(40)과, 첨가장치(70) 또는 필터하우징(40)과 필터부재(60)간을 이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렛(44)으로 유입되는 샤워수가 원활하게 필터부재(60)를 향할 수 있다.
안착돌기(49)의 배치와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네 개의 안착돌기(49)가 마련되며, 원통형의 필터하우징(40) 내면 바닥부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장치케이스(72)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잔량체크부(76)를 포함할 수 있다. 잔량체크부(76)는 장치케이스(72)의 외부에서 기능성물질(90)의 잔량을 확인하거나, 기능성물질(90)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잔량체크부(76)에는 기능성물질(90) 잔량을 표시하도록 수치눈금이 기재될 수 있다.
필터부재(60)는 잔량체크부(76)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잔량체크부(76)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필터창(62)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창(62)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필터창(62)은 길게 배치되는 수치눈금에 대응되도록 필터부재(6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재(60)는 필터창(62)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필터부재(60)는 필터창(62)에 해당하는 필터홀이 형성되며, 잔량체크부(76)는 케이스몸체(74)로부터 돌출되어 필터홀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필터창(62) 또는 필터홀을 통해 잔량체크부(76)가 필터부재(60))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
필터하우징(40)은 필터부재(60) 및 필터하우징(40)의 내부가 보이도록, 필터하우징(40) 전체가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터하우징(40)에는 필터창(62) 또는 필터홀에 대응되는 부분에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구성되는 하우징창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2 하우징(42a, 42b) 중 어느 하나의 하우징만 투명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하우징(42a)만 투명한 것을 일례로 드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를 지나는 샤워수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급수공급관(20)과 인렛(44)을 통해 유입된 샤워수는 제 1 유로(P1)를 유동하게 된다. 제 1 유로(P1)의 샤워수는 필터부재(60)를 지나며 불순물 또는 유해물질이 걸러지며, 필터부재(60)와 첨가장치(70)사이 또는 필터부재(60)의 상부를 지나며 제 2 유로(P2)를 유동한다. 제 2 유로(P2)에서의 샤워수는 일부가 유동홀(78a)로 유입되어 기능성물질(90)과 섞여 다시 유동홀(78a)로 배출되거나, 유동홀(78a)로부터 기능성물질(90)이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유로(P2)를 유동하는 샤워수는 아웃렛(46)을 통해 필터어셈블리(30)로부터 배출되어 샤워헤드(10)로 이동하고, 샤워헤드(10)의 복수의 배출홀을 통해 샤워기(1)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샤워수는 필터어셈블리(30)를 거침으로서, 불순물 또는 유해물질이 걸러지게 되며, 기능성물질을 갖게 함으로서 사용자의 피부 또는 건강에 이로운 성분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샤워기 10 : 샤워헤드
20 : 공급관 30 : 필터어셈블리
40 : 필터하우징 44 : 인렛
46 : 아웃렛 60 : 필터부재
70 : 첨가장치 72 : 장치케이스
74 : 케이스몸체 76 : 잔량체크부
78 : 케이스커버 80 : 필터장착부
82 : 이격단차부 84 : 장착단차부
86 : 갭형성부 90 : 기능성물질

Claims (14)

  1. 급수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샤워수가 유동하는 제 1 유로와, 샤워헤드로 배출되는 샤워수가 유동하는 제 2 유로가 배치되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유로로부터 상기 제 2 유로로 유동하는 샤워수가 지나도록 마련되는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유로를 유동하는 샤워수에 기능성물질을 공급하는 첨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하우징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제1개구부보다 작은 크기의 제2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면 바닥면에 상기 첨가장치의 안착을 위한 복수의 안착돌기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1 하우징;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제3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제3개구부보다 큰 크기의 제4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면 천장면에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는 필터안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안착돌기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일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첨가장치는,
    일측에 케이스개구가 형성되며 그 내부에 상기 기능성물질이 배치되는 케이스몸체;
    하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에 의해 상기 케이스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개구를 개폐하며, 유동홀이 관통 형성되는 케이스커버;
    상기 케이스몸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몸체보다 큰 둘레를 갖는 이격단차부 및 상기 이격단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격단차부보다 큰 둘레를 갖고, 상기 필터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며 상기 안착돌기에 안착되는 장착단차부로 이루어진 필터장착부; 및
    상기 필터부재의 내면과 상기 케이스몸체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케이스커버의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갭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갭형성부는,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안착돌기는, 하면이 상기 제1하우징의 내면 바닥면과 결합되고, 상면이 상기 장착단차부와 접촉되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의 선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면과 결합되는 수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2하우징의 내면 천장면에 접촉하고, 타단이 상기 장착단차부의 상면에 접촉하며,
    상기 케이스커버는, 상기 필터안착돌기와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필터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장치는,
    상기 기능성물질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구성되는 잔량체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잔량체크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구성되는 필터창;을 포함하는 필터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은,
    상기 필터창에 대응되는 부분에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구성되는 하우징창;을 포함하는 필터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하우징과 상기 첨가장치는 동심원을 형성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필터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면과 상기 필터부재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필터부재의 내면과 상기 첨가장치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는 필터어셈블리.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하우징의 결합부분은 원통형의 상기 필터부재보다 반경방향에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필터어셈블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물질은,
    비타민C, 우유와 사포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필터어셈블리.
  14. 샤워헤드로 공급되는 샤워수가 지나는 필터어셈블리가 장착된 샤워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샤워수가 유입되는 인렛과, 샤워수가 배출되는 아웃렛을 갖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에서 인렛으로 유입되는 샤워수가 유동하는 제 1 유로와, 아웃렛으로 유출되는 샤워수가 유동하는 제 2 유로를 구획하는 필터부재로서,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유로의 샤워수가 필터링되어 상기 제 2 유로를 유동하도록 구성되는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유로를 유동하는 샤워수에 기능성물질을 공급하는 첨가장치;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하우징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제1개구부보다 작은 크기의 제2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면 바닥면에 상기 첨가장치의 안착을 위한 복수의 안착돌기가 상호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1하우징;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제3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제3개구부보다 큰 크기의 제4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면 천장면에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는 필터안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안착돌기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일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첨가장치는,
    그 내부에 상기 기능성물질이 배치되는 장치케이스로서, 상기 필터부재의 내면과 상기 장치케이스 사이에 상기 제 2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장치케이스;
    상기 기능성물질이 상기 제 2 유로로 공급되도록 상기 장치케이스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유동홀;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케이스는,
    일측에 케이스개구가 형성되며 그 내부에 상기 기능성물질이 배치되는 케이스몸체;
    하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에 의해 상기 케이스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개구를 개폐하며, 상기 유동홀이 관통 형성되는 케이스커버;
    상기 케이스몸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몸체보다 큰 둘레를 갖는 이격단차부 및 상기 이격단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격단차부보다 큰 둘레를 갖고, 상기 필터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며 상기 안착돌기에 안착되는 장착단차부로 이루어진 필터장착부; 및
    상기 필터부재의 내면과 상기 케이스몸체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케이스커버의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갭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갭형성부는,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안착돌기는, 하면이 상기 제1하우징의 내면 바닥면과 결합되며, 상면이 상기 장착단차부와 접촉되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의 선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면과 결합되는 수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2하우징의 내면 천장면에 접촉하고, 타단이 상기 장착단차부의 상면에 접촉하며,
    상기 케이스커버는, 상기 필터안착돌기와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샤워기.
KR2020180000875U 2018-02-27 2018-02-27 필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샤워기 KR2004912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875U KR200491288Y1 (ko) 2018-02-27 2018-02-27 필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샤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875U KR200491288Y1 (ko) 2018-02-27 2018-02-27 필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샤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231U KR20190002231U (ko) 2019-09-04
KR200491288Y1 true KR200491288Y1 (ko) 2020-05-15

Family

ID=67903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875U KR200491288Y1 (ko) 2018-02-27 2018-02-27 필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샤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2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620B1 (ko) * 2022-04-26 2022-09-26 장필수 기능성 샤워기 필터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219B1 (ko) 2020-01-09 2020-04-23 주식회사 포디믹스 회전여과체가 구비되는 정수 장치
KR102491185B1 (ko) 2021-03-31 2023-01-25 주식회사 포디믹스 Uv 램프가 구비되는 정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052B1 (ko) * 2006-12-11 2007-12-24 주식회사 위너스 샤워 필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828B1 (ko) * 2006-02-27 2008-01-02 (주)피엘엠 음용 및 세정 목적의 수처리용 필터 카트리지 구조를 갖는여과장치
KR20110009947A (ko) * 2009-07-23 2011-01-31 모경택 정수기용 필터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052B1 (ko) * 2006-12-11 2007-12-24 주식회사 위너스 샤워 필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620B1 (ko) * 2022-04-26 2022-09-26 장필수 기능성 샤워기 필터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231U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1288Y1 (ko) 필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샤워기
US8920743B2 (en) Faucet mountable water conditioning devices
CA2950409C (en) Sanitaryware cleaning system
KR101993535B1 (ko) 샤워 카트리지
TWI580385B (zh) 蓮蓬頭及匣
CN110603101A (zh) 带消毒剂的自封式淋浴头
KR20190126983A (ko) 필터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샤워기 연결바
KR102255895B1 (ko) 필터를 갖는 샤워기
JP2016020611A (ja) 局部洗浄装置、局部洗浄装置付便器、局部洗浄装置用切換弁並びに局部洗浄装置用浄水部
JP7268029B2 (ja) 逆流防止デバイスおよび逆流防止デバイスを有する透析装置
KR200473545Y1 (ko)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
KR101359546B1 (ko) 정수 장치
KR102122016B1 (ko) 샤워기
KR20150138553A (ko) 기능성 캡슐 장착이 가능한 샤워 헤드
WO2015163050A1 (ja) シャワーヘッド及びこれを用いた洗浄方法
JP4162576B2 (ja) 混合用アタッチメント
JP2009233541A (ja) 浄水ユニット
KR20140101157A (ko) 정수기능이 구비된 샤워기
JP6801190B2 (ja) シャワーヘッド
KR200237204Y1 (ko) 욕실용 샤워헤드
KR101522566B1 (ko) 토수기구용 필터링 및 기능성 물 공급장치
KR200495365Y1 (ko)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기헤드
KR200322739Y1 (ko) 샤워기 헤드
KR101960882B1 (ko) 샤워기에 설치되는 기능성 제재 공급장치
KR100478354B1 (ko) 정수기능을 갖는 수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