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947A - 정수기용 필터케이스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필터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947A
KR20110009947A KR1020090067401A KR20090067401A KR20110009947A KR 20110009947 A KR20110009947 A KR 20110009947A KR 1020090067401 A KR1020090067401 A KR 1020090067401A KR 20090067401 A KR20090067401 A KR 20090067401A KR 20110009947 A KR20110009947 A KR 20110009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se
water
retainer
case body
fix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경택
Original Assignee
모경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경택 filed Critical 모경택
Priority to KR1020090067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9947A/ko
Publication of KR20110009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8Construction of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정수용카트리지(F)가 내설될 수 있도록 수용부가 마련된 필터케이스본체(10)와;
상면에 형성되어 정수용카트리지(F)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고정돌기(21) 또는 제2고정돌기(22)를 갖추고서, 필터케이스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정수용카트리지(F)의 하부 개구부를 밀폐하면서, 정수용카트리지(F)의 이탈을 방지토록 하는 하부리테이너(20)와;
저면에 형성되어 정수용카트리지(F)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3고정돌기(31) 또는 제4고정돌기(32)와, 상면에 형성되되, 제3고정돌기(31)를 기준으로 외측에 배치되고, 입수공이 마련된 유입관연결부(33)와, 상면에 형성되되, 제3고정돌기(31)를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되고, 출수공이 마련된 출수관연결부(34)를 갖추고서, 정수용카트리지(F)를 고정하면서 필터케이스본체(10)의 개구부를 덮는 상부리테이너(30)와;
필터케이스본체(10)의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체결되면서 상부리테이너(30)를 가압고정하는 체결부재(40)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상부리테이너와 체결부재를 분할형성하여 줌으로서, 종래에 관이음부재에 의해 유입관 또는 유출관이 손상되어 누수가 발생되었을 때에 일체로 형성된 상부리테이너와 체결부재를 전부 교체할 필요 없이 상부리테이너만 교체하면 되므로, 교체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상부리테이너의 하부에 유출관을 중심으로 적어도 3개 이상의 편심방지 용리브를 보강 구비하여 줌으로서, 상부리테이너를 필터케이스의 상면에 안착시켜 주었을 때에 내향 경사지게 형성된 편심방지용리브에 의해 항시 중심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부리테이너가 어느 한쪽으로 틀어지는(편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용이하게 중심을 맞출 수 있다.
필터케이스. 상·하부리테이너. 정수용카트리지. 편심방지용리브. 체결부재.

Description

정수기용 필터케이스{The Filter Case For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용 필터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상부리테이너와 체결부재를 분할형성하여 상부리테이너의 유입관 또는 유출관이 관이음부재에 의해 손상된 경우 상부리테이너만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교체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리테이너의 저면에 형성된 편심방지용리브를 통해 상부리테이너를 필터케이스의 중앙에 편리하게 맞춰 줄 수 있도록 된 정수기용 필터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정수대상 원수에 함유된 중금속과 불순물 등 유해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과정을 거쳐 음용수 상태의 정수를 얻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정수기는 원수로부터 정수를 얻기 위하여 다양한 여과필터가 장착되는데, 여과필터의 종류로는 침전필터(Sediment Filter)와 전카본필터(Pre-Carbon Filter), 역삼투압필터(Membrane Filter), 후카본필터(Post-Carbon Filter)가 있으며, 이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며, 필터에 의하여 정수된 물은 그대로 공급되기도 하지만 저수조에 저장되어 냉각장치(압축기,응축기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 가스 냉매 숭환사이클이나 열전소자가 주로 사용됨)에 의하여 냉각되거나 또는 가열장치(전열코일 등이 주로 사용됨)에 의하여 가열되어 냉수 또는 온수로 공급되기도 한다.
이러한 종래의 정수기용 필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내부에 필터가 삽입되는 필터하우징과; 정화할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정화한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리테이너와, 리테이너와 상호 열 융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필터하우징의 상부에 체결고정되는 체결부재를 갖춘 고정부재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 고정부재의 경우 리테이너와 체결부재가 열융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리테이너의 유입구와 유출구에 설치되는 관이음부재를 청소 또는 교체를 위해 자주 착탈하게 되면, 유입구 또는 유입구가 관이음부재에 의해 쉽게 손상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없어 손상된 부분을 통해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경우가 빈번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리테이너를 교체해야하는 경우 교체가 불필요한 체결부재 역시 함께 교체해야함으로 교체비용이 불필요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리테이너와 체결부재를 각각 분할형성하여 상부리테이너의 기밀유지 상실시 상부리테이너만 교체함으로 교체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상부리테이너의 하부에 적어도 3개 이상의 편심방지용리브가 보강 구비되므로 항시 필터케이스의 중심에 위치시켜 줄 수 있는 정수기용 필터케이스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정수용카트리지(F)가 내설될 수 있도록 수용부가 마련된 필터케이스본체(10)와;
상면에 형성되어 정수용카트리지(F)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고정돌기(21) 또는 제2고정돌기(22)를 갖추고서, 필터케이스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정수용카트리지(F)의 하부 개구부를 밀폐하면서, 정수용카트리지(F)의 이탈을 방지토록 하는 하부리테이너(20)와;
저면에 형성되어 정수용카트리지(F)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3고정돌기(31) 또는 제4고정돌기(32)와, 상면에 형성되되, 제3고정돌기(31)를 기준으로 외측에 배치되고, 입수공이 마련된 유입관연결부(33)와, 상면에 형성되되, 제3고정돌기(31)를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되고, 출수공이 마련된 출수관연결부(34)를 갖추고서, 정수용 카트리지(F)를 고정하면서 필터케이스본체(10)의 개구부를 덮는 상부리테이너(30)와;
필터케이스본체(10)의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체결되면서 상부리테이너(30)를 가압고정하는 체결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부리테이너와 체결부재를 분할형성하여 줌으로서, 종래에 관이음부재에 의해 유입관 또는 유출관이 손상되어 누수가 발생되었을 때에 일체로 형성된 상부리테이너와 체결부재를 전부 교체할 필요 없이 상부리테이너만 교체하면 되므로, 교체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부리테이너의 하부에 유출관연결부를 중심으로 적어도 3개 이상의 편심방지용리브를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줌으로서, 상부리테이너를 필터케이스의 상면에 안착시켜 주었을 때에 내향 경사지게 형성된 편심방지용리브에 의해 항시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부리테이너가 어느 한쪽으로 틀어지는(편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위치설정에 있어서도 신속하고 정확한 중심설정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케이스의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단면결합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케이스에서 필터 케이스본체의 횡단면을 평면상에서 바라본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케이스에서 상부리테이너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저면사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케이스에서 상부리테이너의 작동관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케이스는, 상방으로 개구되어 내측으로 정수용카트리지(F)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마련된 필터케이스본체(10)와; 필터케이스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정수용카트리지(F)의 하부를 밀폐하면서 이탈을 방지토록 하는 하부리테이너(20)와; 정수용카트리지(F)의 상부를 밀폐하면서 이탈을 방지토록 하며, 필터케이스본체(10)의 상부에 얹혀지는 상부리테이너(30)와; 필터케이스본체(10)의 상부에 상호 체결되면서 상부리테이너(30)를 가압고정하는 체결부재(40)로 구성되며, 이를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상방으로 개구되어 내측으로 정수용카트리지(F)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마련된 필터케이스본체(10)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측 외주면에는 제1나사부(11)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오링(R)이 안착될 수 있도록 오링홈(12)이 형성되며, 하부 내주면에는 방사상으로 지지용리브(13)가 배치되며, 이를 도 3과 같이 도시하였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필터케이스본체(10)의 외형을 원통형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외형의 경우 사각 또는 다면체의 형상으로 변형 실시가 가능하므로, 외관의 모양을 원통형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내부의 경우 정수용카트리지(F)가 원기둥형상으로 한정됨으로, 내부는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케이스본체(10)의 하부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지지용리브(13)의 경우 본 실시 예에서는‘ㄴ’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지용리브(13)의 상측으로 이후에 설명될 하부리테이너(20)이 안착되며, 안착된 하부리테이너(20)은 필터케이스본체(10)의 바닥면에서 임의 높이에 설치되며, 이를 도 4와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필터케이스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정수용카트리지(F)의 하부를 밀폐하면서 이탈을 방지토록 하는 하부리테이너(20)는, 전체적인 형상이 임의 두께는 갖는 원형플레이트로, 상면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정수용카트리지(F)를 밀폐하는 제1고정돌기(21)와; 상면 중앙에 입설되어 정수용카트리지(F)의 이탈을 방지토록 하는 제2고정돌기(22)로 이루어지며, 이를 도 2와 같이 도시하였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하부리테이너(20)의 제1고정돌기(21)와 제2고정돌기(22)에 의해 정수용카트리지(F)의 하부를 감싸 고정토록 함으로서, 정수용카트리지(F)의 저면을 용이하게 밀폐시켜 줌과 동시에 제2고정돌기(22)에 의해 정수용카트리지(F)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리테이너(20)의 제1고정돌기(21)와 제2고정돌기(22)는 필요에 따라 둘 중 하나만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필터케이스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되어 하부리테이너(20)와 상부리테이너(30)에 의해 고정되고, 내부로 유입된 물을 통과시켜 정화하는 정수용카트리지(F)는 공지된 통상의 여과필터로서, 침전필터(Sediment Filter)와 전카본필터(Pre-Carbon Filter), 역삼투압필터(Membrane Filter), 후카본필터(Post-Carbon Filter)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된다.
상기 정수용카트리지(F)의 필터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부리테이너(30)의 유입관연결부(33)을 통해 정화할 물이 유입되어 필터케이스본체(10)의 하부로 낙하되는 과정에 정화할 물의 일부가 정수용카트리지(F)의 상부 측벽을 통과하여 여과(정수)되고, 나머지 잉여의 정화할 물은 서서히 하강되면서 정수용카트리지(F)의 외벽으로 흡수되어 여과(정수)된다.
따라서, 상기 정수용카트리지(F)의 중앙으로 집수된 여과(정수)된 물은 차오르는 수압에 의해 상승되어 최종적으로 상부리테이너(30)의 유출관연결부(34)을 통해 정화된 물이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필터케이스본체(10)의 상면에 안착되어 누수를 차단하는 오링(R)은, 통상의 실리콘 또는 고무재로 이루어져 상부리테이너(30)와 체결부재(40)에 의해 압착되어져 타원형을 이루며, 필터케이스본체(10)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게 되며, 이를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정수용카트리지(F)의 상부를 밀폐하면서 이탈을 방지토록 하며, 필터케이스본체(10)의 상부에 밀폐되게 얹혀지는 상부리테이너(30)는, 저면에 형성되어 정수용카트리지(F)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3고정돌기(31) 또는 제4고정돌기(32)와, 상면에 형성되되, 제3고정돌기(31)를 기준으로 외측에 배치되고, 입수공이 마련된 유입관연결부(33)와, 상면에 형성되되, 제3고정돌기(31)를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되고, 출수공이 마련된 출수관연결부(34)로 구성되며, 이를 도 2 및 도 5와 같이 도시하였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3고정돌기(31)와 제4고정돌기(32)는 선택사항으로, 상부리테이너(30)에 형성되는 제3고정돌기(31)와 제4고정돌기(32)가 함께 형성되거나 또는 제3고정돌기(31) 및 제4고정돌기(32)가 각각 별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리테이너(30)의 하부에 제4고정돌기(32)가 형성되는 경우 제4고정돌기(32)와 동일수직선상에 형성된 유출관연결부(34)의 출수공은 제4고정돌기(32)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부리테이너(30)의 제3고정돌기(31) 외주면에는 유출관연결부(34)를 중심으로 적어도 3개 이상의 편심방지용리브(35)가 방사상으로 보강 구비되며, 이를 도 5와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상부리테이너(30)의 제3고정돌기(31) 외주면으로 유출관(34)을 중심으로 적어도 3개 이상의 편심방지용리브(35)를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줌으로서, 상부리테이너(30)를 필터케이스본체(10)의 상면에 안착시켜 주었을 때에 내향 경사지게 형성된 편심방지용리브(35)에 의해 항시 필터케이스본체(10)의 중앙에 위치(배치)되도록 하여 상부리테이너(30)가 어느 한쪽으로 틀어지는(편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중심설정이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도 6a 내지 도 6b와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필터케이스본체(10)의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리테이너(30)를 가압고정하는 체결부재(40)는, 전체적인 형상이 너트형상으로, 내주면에는 필터케이스본체(10)의 제1나사부(11)와 대응되는 제2나사부(41)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리테이너(30)와 체결부재(40)를 분할형성하여 줌으로서, 내주면에 고정돌부(51-1,52-1)가 마련된 관이음부재(51,52)의 잦은 착탈로 인하여 유입관연결부(33) 또는 유출관연결부(34)가 마모되거나 손상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종래와 같이 상부리테이너(30)와 체결부재(40)를 전부 교체할 필요 없이 상부리테이너(30)만 교체하면 되므로, 교체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부리테이너(30)의 유입관연결부(33)와 유출관연결부(34)에는 일단에 정화할 물이 이송되는 유입관(61)과 정화된 물이 이송되는 유출관(62)이 각각 설치된 관이음부재(51,52)가 설치된다.
상기 관이음부재(51,52)의 경우 내주면에 내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돌부(51-1,52-1)가 마련되고, 관이음부재(51,52)가 유입관연결부(33)과 유출관연결부(34)의 상부로 각각 장착되었을 때에 고정돌부(51-1,52-1)에 의해 압입 고정됨으로, 견실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설치하여 준 상태에서, 유입관(61)으로 정화할 물을 유입시켜 주게 되면, 유입관(61)을 따라 이송되는 정화할 물은 관이음부재(51)를 통과하여 유입관연결부(33)를 지나 필터케이스본체(10)의 내부로 진입되어져 정수용카트리지(F)에 의해 정화가 이루어지며, 이 과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상부리테이너(30)의 유입관연결부(33)을 통해 정화할 물이 유입되어 필터케이스본체(10)의 하부로 낙하되는 과정에 정화할 물의 일부가 정수용카트리지(F)의 상부 측벽을 통과하여 여과(정수)되고, 나머지 잉여의 정화할 물은 서서히 하강되면서 정수용카트리지(F)의 외벽으로 흡수되어 여과(정수)된다.
이와 같이 여과(정수)된 물은 상기 정수용카트리지(F)의 중앙으로 집수되게 되고, 내부로 유입되는 여과(정수)된 물로 인하여 서서히 차오르면서 상승되어 상부리테이너(30)의 유출관연결부(34)를 통해 정화된 물이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출관연결부(34)를 통과한 정수된 물은 관이음부재(52)을 지나 최종적으로 유출관(62)을 통해 사용자에게 음료용으로 제공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정화되지 않은 물을 정화하여 음료로 이용하면 된다.
만약,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케이스를 일정기간 사용중 정수용카트리지(F)의 기능이 상실된 경우 체결부재(40)를 필터케이스본체(10)에서 분리하고, 내부에 정수용카트리지(F)를 외부로 인출한 상태에서 새로운 정수용카트리지(F)를 필터케이스본체(10)에 삽입시켜주고, 분리한 체결부재(40)를 재차 필터케이스본체(10)에 체결시켜 고정시켜 주며, 청소를 위해 유입관연결부(33)와 유출관연결부(34)에 고정된 관이음부재(51,52)를 자주 착탈하여 유입관연결부(33)와 유출관연결부(34)에 마모 또는 손상으로 인해 내부에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경우 상부리테이너(30)만 따로 분리하여 새것으로 교체해주면 되므로, 종래에 비해 교체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케이스의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단면결합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케이스에서 필터케이스본체의 횡단면을 평면상에서 바라본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케이스에서 상부리테이너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저면사시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케이스에서 상부리테이너의 작동관계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케이스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필터케이스 11: 제1나사부 12: 오링홈
13: 지지용리브 20: 하부리테이너 21: 제1고정돌기
22: 제2고정돌기 F: 정수용카트리지 R: 오링
30: 상부리테이너 31: 제3고정돌기 32: 제4고정돌기
33: 유입관연결부 34: 유출관연결부 35: 편심방지용리브
40: 체결부재 51. 52: 관이음부재 61: 유입관
62: 유출관

Claims (2)

  1. 내부에 정수용카트리지(F)가 내설될 수 있도록 수용부가 마련된 필터케이스본체(10)와;
    상면에 형성되어 정수용카트리지(F)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고정돌기(21) 또는 제2고정돌기(22)를 갖추고서, 필터케이스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정수용카트리지(F)의 하부 개구부를 밀폐하면서, 정수용카트리지(F)의 이탈을 방지토록 하는 하부리테이너(20)와;
    저면에 형성되어 정수용카트리지(F)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3고정돌기(31) 또는 제4고정돌기(32)와, 상면에 형성되되, 제3고정돌기(31)를 기준으로 외측에 배치되고, 입수공이 마련된 유입관연결부(33)와, 상면에 형성되되, 제3고정돌기(31)를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되고, 출수공이 마련된 출수관연결부(34)를 갖추고서, 정수용카트리지(F)를 고정하면서 필터케이스본체(10)의 개구부를 덮는 상부리테이너(30)와;
    필터케이스본체(10)의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체결되면서 상부리테이너(30)를 가압고정하는 체결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필터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리테이너(30)의 제3고정돌기(31) 외주면에는 유출관연결부(34)를 중심으로 적어도 3개 이상의 편심방지용리브(35)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필터케이스본체(10)의 상면에 상부리테이너(30)를 얹혔을 때에 편심방지용리브(35)에 의해 유출관연결부(34)가 필터케이스본체(10)의 중심에 자연스럽게 위치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필터.
KR1020090067401A 2009-07-23 2009-07-23 정수기용 필터케이스 KR20110009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401A KR20110009947A (ko) 2009-07-23 2009-07-23 정수기용 필터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401A KR20110009947A (ko) 2009-07-23 2009-07-23 정수기용 필터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947A true KR20110009947A (ko) 2011-01-31

Family

ID=43615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401A KR20110009947A (ko) 2009-07-23 2009-07-23 정수기용 필터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99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837Y1 (ko) * 2012-02-29 2014-01-15 이평호 정수기필터용 리테이너
KR200472475Y1 (ko) * 2012-07-30 2014-04-30 이평호 한 방향 정수기필터의 물 고임 방지 리테이너
KR20190002231U (ko) * 2018-02-27 2019-09-04 이진욱 필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샤워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837Y1 (ko) * 2012-02-29 2014-01-15 이평호 정수기필터용 리테이너
KR200472475Y1 (ko) * 2012-07-30 2014-04-30 이평호 한 방향 정수기필터의 물 고임 방지 리테이너
KR20190002231U (ko) * 2018-02-27 2019-09-04 이진욱 필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샤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620B1 (ko) 복합 필터 소자, 정수기용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와 정수기
US7506666B2 (en) Anti-drip ring and drip seal
KR100804302B1 (ko)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 결합구조
US8216463B1 (en) Refrigerator water filter cartridge with leakage indicator
CN105983269B (zh) 过滤器组件
JP2009528166A (ja) フィルター組立体
US9139452B2 (en) Water filter assembly
KR102071130B1 (ko) 착탈식 필터 카트리지를 갖는 정수기
RU2730537C1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перколяционного типа
KR20110009947A (ko) 정수기용 필터케이스
KR101604173B1 (ko) 카트리지(cartridge)형 오일 분리기
CN208769508U (zh) 水处理装置
CN103170246B (zh) 一种三连体超滤机
KR101765666B1 (ko) 상하 분리형 탱크구조
US11167228B2 (en) Point of entry water filter assembly
WO2008035830A1 (en) A purification manifold and filter cartridge for filtration system
JP2007245128A (ja) カートリッジ型浄水器及びこれに用いるカートリッジフィルタ体
KR100516197B1 (ko) 수도 직결식 정수기
KR20110075982A (ko) 정수기용 필터
KR20160022709A (ko) 정수기용 필터 연결장치
CN104609481B (zh) 净饮一体机
US20180050284A1 (en) Capsule intended for a liquid flow comprising an inner casing and an outer unit
KR200202974Y1 (ko) 정수기의 휠터 카트리지 장착장치
JPH11253936A (ja) 浄水器
JPH0483578A (ja) 濾過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