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0828B1 - 음용 및 세정 목적의 수처리용 필터 카트리지 구조를 갖는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음용 및 세정 목적의 수처리용 필터 카트리지 구조를 갖는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828B1
KR100790828B1 KR1020060018766A KR20060018766A KR100790828B1 KR 100790828 B1 KR100790828 B1 KR 100790828B1 KR 1020060018766 A KR1020060018766 A KR 1020060018766A KR 20060018766 A KR20060018766 A KR 20060018766A KR 100790828 B1 KR100790828 B1 KR 100790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cartridge
filter
bracket
tr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2491A (ko
Inventor
윤재국
Original Assignee
(주)피엘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엘엠 filed Critical (주)피엘엠
Priority to KR1020060018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0828B1/ko
Publication of KR20060102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04C2/38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with a frame of other materials, e.g. fibres,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6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metal,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othe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원은 음용, 세정을 목적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장치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카트리지와 브라켓으로 구성된 여과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필터카트리지에는 처리대상수가 유입되는 유입홀과, 유입된 처리대상수와 혼합하여 용해됨으로서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갖는 내부충진물과, 처리대상수가 빠져나가는 유출홀을 구분하여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필터카트리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유입홀과 유출홀 간의 수압차를 발생시킴으로서 처리대상수가 필터카트리지에 유입되어 내부충진물과 혼합된 후 배출되도록 하고, 수압차를 조절하여 필터카트리지에 유입되는 처리대상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일반수와 여과된 정수를 쉽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처리용 필터카트리지를 구비한 여과장치 및 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카트리지에는 처리대상수와 내부충진물의 적절한 혼합을 돕기 위하여 배플부재와 거름막을 구비한 구조와, 다양한 피부미용 효과를 얻기 위하여 상기 필터카트리지를 내부충진물의 성분이 각각 다르도록 다수 개 구비하는 구조와, 세디멘트 필터, 중공사막필터(UF), 세라믹 필터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에 본원에서는 내부에 충진물을 내재하고 유입홀과 유출홀을 구비한 필터카트리지와; 처리대상수가 지나가는 유로와 배출구를 구비하되 유로에서 배출구쪽으로 점점 처리대상수가 지나갈 수 있는 통로의 폭이 좁아지다가 배출구에서 다시 폭이 넓어지는 브라켓으로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유로에는 상기 필터카트리지의 유입홀이 맞닿아 있고 배출구에는 유출홀이 맞닿아 있어 브라켓의 회전에 의해 유입홀과 유출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구조를 갖는 수처리용 필터카트리지의 구조를 개시한다.
여과장치, 필터, 카트리지, 브라켓, 전환장치, 정수기, 유압조절장치

Description

음용 및 세정 목적의 수처리용 필터 카트리지 구조를 갖는 여과장치{Filter structured by cartridge and bracket for treatment of eatable and cleanable water}
도 1은 브라켓과 필터카트리지를 구성한 여과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구성한 여과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a는 도 1에서 구성한 브라켓의 평면도.
도 3b는 도 1에서 구성한 브라켓의 저면도.
도 3c는 도 1에서 구성한 필터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4는 브라켓과 필터카트리지를 구성한 여과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도 4에서 구성한 브라켓의 평면도.
도 5b는 도 4에서 구성한 브라켓의 저면도.
도 5c는 도 4에서 구성한 필터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6은 필터카트리지의 유입홀을 필터카트리지의 측면에 구비한 실시예 를 구성한 예시도.
도 7a는 도 1에서 구성한 필터카트리지를 샤워기에 장착한 실시예를 도시하 는 단면도.
도 7b는 도 4에서 구성한 필터카트리지를 샤워기에 장착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필터카트리지를 수도관에 적용한 실시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은 필터카트리지에 세디멘트 필터(60)를 이용하여 2중 필터를 구성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필터카트리지에 중공사막필터(70)를 이용하여 2중필터를 구성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세디멘트 필터(60) 내부에 2중 필터를 구성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브라켓과 필터카트리지를 이중으로 구비한 여과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10' : 브라켓(braket) 11 : 유로
12 : 배출구 13 : 핸들
14 : 유출방지부재 15 : 핸들바
16 : 지지구 17 : 핸들링
18 :V-링 20, 20' : 필터카트리지
21, 21' : 내부충진물 22 : 유입홀
23 : 유출홀 24 : 배플부재
25 : 거름막 30 : 하우징
31 : 핸들지지구 40 : 샤워기
50 : 수도관 60 : 세디멘트 필터
70 :중공사막필터(UF)
본원 발명은 음용수, 세정수를 수처리하기 위한 필터 카트리지와 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충진물이 내재한 필터 카트리지에 1개 또는 다수개의 유입홀과 유출홀을 구비하고, 유입홀과 유출홀 간의 수압 차에 의해 처리대상수가 필터카트리지 내부로 유입되어 충진물과 혼합한 후 유출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임의로 유입홀과 유출홀 간의 수압차를 조절하여 원하는 만큼 처리대상수와 충진물의 혼합비율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 제공하는 필터카트리지를 다른 여과장치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보다 탁월한 효과를 갖는 여과장치 및 그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문명의 발전과 더불어 자연은 점점 오염되었으며, 오염된 물을 바로 음용하거나 사용하기는 어려우므로 상수처리시설에서 물을 소독하고 정수하여 수돗물로 사용하고 있으나, 소독과정에서 사용되는 염소성분은 쉽게 제거되지 않고 물속에 용해되어 잔류하기 때문에 수돗물에서는 특유의 염소 냄새가 나게 된다.
수돗물에 염소 잔류량이 높은 경우에는 어린이나 피부가 약한 사람에게 피부염과 아토피성 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며, 수돗물을 끓여서 사용한다고 하더라고 증발된 염소성분이 대기로 유출되어 기관지나 폐가 약한 사람에게 악영향을 끼칠 뿐 아니라 트리할로메탄(trihalomethane)이라는 발암물질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수돗물 내의 염소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음용수에 사용되는 정수기나 또는 샤워기 헤드 내부에 여과장치를 구비하여 수돗물에 내재한 염소성분을 제거하는 기술사상이 공지되어 있으며, 특히, 음용 목적이 아닌 신체의 세정 목적으로 사용되는 정수장치는 염소제거 목적 이외에도 피부에 좋은 알로에 성분이나 루이보스, 꽃향, 달맞이유, 올리브유 성분 등을 첨가함으로서 피부 미용 목적으로도 사용되어진다.
그러나 기존의 샤워기 필터는 잔류 염소성분의 제거 효율이 떨어지고 수압의 영향으로 저 수압의 샤워기에서는 효과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비타민 C를 충진하여 제작된 필터(등록특허 제473175호)를 개발하여 비타민 C가 하기 반응식과 같은 화학반응을 통하여 염소성분을 제거하는 것을 밝혀내었다.
C6H8O6(비타민) + HOCL(하이포아염소산) => C6H6O6-H2O + HCL(염산)
또한, 필터에 사용되는 고형체의 충진물은 고형화를 위해 사용된 과량의 황산칼슘으로 인하여 연수기에 장착할 경우 필터의 연수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사 용기간을 단축하는 문제점을 발견하여 필터 카트리지 내부에 비타민C 등의 내부충진물과 처리대상수가 효과적으로 접촉하여 혼합되도록 카트리지 상단에 유로를 바꿔주는 배플부재를 설치하여 처리대상수가 내부충진물과 충분히 혼합하여 용출될 수 있도록 개선된 필터구조(등록특허 제536638호)를 개시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필터와 그 구조는 염소의 제거효과는 탁월하나, 수압이 낮은 가정집의 샤워기에서는 충분하게 처리 대상수가 충진물과 혼합하여 용출되기가 어렵고, 또한 사용자가 임의로 충진물의 혼합량을 조절하거나 수처리된 정수와 일반수를 변경하기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방법은 공지되어 있지 않다.
또한, 필터카트리지에 내재된 내부충진물이 처리대상수와 혼합하여 용해되지 않고 입자 상태로 바로 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처리대상수에서 발생가능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여과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원에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필터카트리지에 처리대상수의 유입홀과 유출홀을 구비하고, 유입홀과 유출홀 간의 수압 차를 이용하여 처리대상수가 필터카트리지 내부의 충진물과 적절하게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전체적인 수압이 낮아도 사용가능한 여과장치 및 그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사용자가 임의로 유입홀과 유출홀 간의 수압 차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처리대상수의 용출량 조절이 가능할 뿐 아니라, 수처리된 정수와 일반수 를 쉽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터카트리지 내부에 배플부재를 구비하여 처리대상수와 카트리지의 내부충진물이 적절하게 혼합할 수 있도록 하는 여과장치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입홀과 유출홀은 1개 또는 다수 개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충진물은 피부의 미용효과를 주는 성분으로 파우더, 젤, 또는 고형체의 형태로 선택하여 구성되며, 충진물이 처리대상수와 혼합하여 용해되지 않고 입자 상태에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거름막을 충진물과 유입/유출 홀 사이에 구비하는 필터카트리지를 갖는 여과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필터카트리지를 내부충진물의 성분이 각각 다르도록 다수 개 구비하여 다양한 피부미용 효과를 얻는 구조를 갖거나, 세디멘트 필터, 중공사막필터(UF), 세라믹 필터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수처리용 필터카트리지 구조를 갖는 여과장치를 제공한다.
본원은 음용, 세정을 목적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장치 및 그 구조를 제공함에 있어서, 필터카트리지와 브라켓으로 구성된 여과장치를 구성하며, 상기 필터카트리지에는 처리대상수가 유입되는 유입홀과, 유입된 처리대상수와 혼합하여 용해됨으로서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갖는 내부충진물과, 처리대상수가 빠져나가는 유출홀을 구분하여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필터카트리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유입홀과 유출홀 간의 수압차를 발생시킴으로서, 처리대상수의 일부가 필 터카트리지에 유입되어 내부충진물과 혼합된 후 배출되도록 할 뿐 아니라 수압차를 조절하여 필터카트리지에 유입되는 처리대상수의 량을 조절할 수 있고 일반수와 여과된 정수를 쉽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처리용 필터카트리지를 구비한 여과장치 및 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양한 피부미용 효과를 얻기 위하여 상기 필터카트리지를 내부충진물의 성분이 각각 다르도록 다수 개 구비하는 구조와, 세디멘트 필터, 중공사막필터(UF), 세라믹 필터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에 본원에서는 내부에 충진물을 내재하고 유입홀과 유출홀을 구비한 필터카트리지와; 처리대상수가 지나가는 유로와 배출구를 구비하되 유로에서 배출구쪽으로 점점 처리대상수가 지나갈 수 있는 통로의 폭이 좁아지다가 배출구에서 다시 폭이 넓어지는 브라켓으로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유로에는 상기 필터카트리지의 유입홀이 맞닿아 있고 배출구에는 유출홀이 맞닿아 있어 브라켓의 회전에 의해 유입홀과 유출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구조를 갖는 수처리용 필터카트리지의 구조를 개시한다.
상기 필터카트리지의 내부충진물은 알로에, 모과, 비타민 C, 비타민 B2, 향, 루이보스, 달맞이유, 올리브유 등 피부미용에 좋은 성분으로 구성하며 파우더 형태, 젤 형태, 고형체 형태, 구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내재가능하다.
상기 필터카트리지의 유입홀과 유출홀은 1개 또는 다수개의 구멍으로 구성되며 위치는 필터카트리지의 상단부분, 측면부분 등 적용 용도에 알맞도록 변형 가능하다.
상기 필터카트리지의 유입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처리대상수를 필터카트리지 내부에 골고루 분산시켜 효과적으로 처리대상수가 내부충진물과 혼합할 수 있도록 필터카트리지 내부의 유입홀 부근에 배플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필터카트리지에 내재된 내부충진물이 처리대상수와 혼합하여 용해된 후 배출되지 않고 입자상태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거름막이 충진물과 유입홀·유출홀 사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름막은 0.4~1mm의 폴리에스테르와 비스코스레이온이 혼합된 얇고 일반적인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부직포는 물은 잘 통과되나 입자상태에서는 통과가 되지 않는다.
상기 브라켓은 필터카트리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분리할 수도 있다. 브라켓의 외부에서 내부로 처리대상수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가 있으며, 유로의 끝에는 외부로 유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다. 유로에서 배출구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다가 배출구에서 다시 폭이 넓어지게 되어, 즉 유로는 필터카트리지의 유입홀의 수압을 높이고 배출구는 유출홀의 수압을 낮추는 구조를 갖게 된다.
필터카트리지의 내부충진물의 유출량은 유입홀과 유출홀간의 수압차와 홀의 면적에 비례하게 되며, 상기 브라켓을 회전시킴으로 인해 유입홀과 유출홀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브라켓의 회전반경은 유입홀과 유출홀을 모두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을 정도로 넓은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임의로 브라켓을 회전할 수 있으며 이때 처리대상수가 누수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원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발명자는 발명의 기술사상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폭넓게 균등론적으로 해석하여야 할 내용임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원에서 제공하는 브라켓(10)과 필터카트리지(20)를 구성한 여과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필터카트리지(20) 상부로 브라켓(10)을 연결하여 결합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브라켓(10)은 처리대상수가 유입되는 유로(11)와 처리대상수가 빠져나가는 배출구(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상기 브라켓을 회전하기 위한 핸들바(13)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브라켓이 회전하여도 필터카트리지(20)는 회전하지 않는 구조다.
도 2는 도 1에서 구성한 여과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브라켓(10), 필터카트리지(20) 외에 하우징(30)을 추가한 위치와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브라켓(10)의 핸들바(13)에는 유출방지부재(14)가 끼워지고 하우징(30)의 핸들지지구(31)로 빠져나오게 된다. 유로(11)는 배출구(12) 쪽으로 들어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구조로 수압을 올리는 역할을 하게 되어 유입홀로 처리대상수가 유입되며, 배출구(12)에서 폭이 넓어져 배출구에 구비된 유출홀의 수압이 내려가게 되어 필터카트리지 내의 처리대상수가 유출홀을 빠져 나오게 된다.
상기 필터카트리지(20)의 내부에는 충진물(21)이 내재되어 있으며, 브라켓의 유로(11)쪽으로는 처리대상수가 유입되는 유입홀(22)을 구비하고, 브라켓의 배출구(12)쪽으로는 유입된 처리대상수를 유출하는 유출홀(23)을 구비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유입홀(22)로 유입되는 처리대상수를 분산시키는 배플부재가(24) 필터카트리지(20) 내부에서 유입홀 쪽으로 구비되고, 내부충진물을 감싸는 거름막(25)이 유입홀·유출홀과 내부충진물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도 3a는 도 1에서 구성한 브라켓의 평면도이며, 도 3b는 도 1에서 구성한 브라켓의 저면도이다.
상기 브라켓(10)은 유로(11)와 배출구(12)가 연결되어 있어 처리 대상수가 필터 카트리지를 통과하지 않고도 배출 가능하다. 또한, 배출구(12)의 직경보다 넓은 반경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이때 핸들바(13)을 이용하여 회전하게 된다.
특히, 유로(11)는 배출구와 가까울수록 점점 좁아져서 유로에서의 수압을 높여주고, 배출구(12)는 좁아진 유로(11)보다 넓어짐으로서 처리대상수의 수압을 낮춰주는 역할을 하여 필터카트리지 내의 처리대상수가 유출홀로 빠져 나오게 된다.
또한, 핸들바(13)의 회전에 의해 필터카트리지(20)의 유입홀(22)의 면적을 좁히거나 넓힘으로서 처리대상수에 혼합되는 충진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3c는 도 1에서 구성한 필터카트리지의 단면도로서, 하우징(30) 안에서의 브라켓(10)과 필터카트리지(20)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처리대상수는 하우징의 하단부로부터 위로 올라가게 되며, 브라켓(10)과 필터카트리지(20) 사이의 유로(11)를 통해서 배출구(12)로 배출된다. 이때 유로(11)는 배출구(12) 쪽으로 들어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구조이고 배출구(12)는 좁아진 유로보다 넓어짐으로서, 유로(11)에서의 수압이 배출구(12)의 수압보다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유입홀과 유출홀에 작용하는 압력차 만큼 유로(11)상에 위치한 유입홀(22)로 처리배출수의 일부가 유입되게 되며, 배플부재(24)와 거름막(25)을 이용하여 유입된 처리배출수를 카트리지 내에 분산시키고, 분산된 처리배출수가 내부충진물(21)과 혼합된 후, 상대적으로 수압이 낮은 유출홀(23)을 통해 유출되게 된다.
도 4는 브라켓(10)과 필터카트리지(20)를 구성한 여과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브라켓에 핸들바(15)와 지지구(16), 핸들링(17)을 이용하는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기 브라켓(10)의 양쪽으로 핸들바(15)가 돌출되어 있으며, 브라켓의 회전반경만큼 핸들바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지지구(16)가 있으며, 상기 핸들바(15)와 물려 브라켓을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링(17)이 있어 브라켓을 회전시킨다. 상기 핸들링(17)에 핸들바(15)의 끝단이 끼는 홈이 있어 핸들링의 회전에 핸들바와 브라켓이 같이 돌아가게 된다.
또한, 상기 필터카트리지(20)는 유입홀(22)과 유출홀(23)을 다수개 구비하였으며, 브라켓의 회전 반경에 맞게 유입홀과 유출홀의 갯수를 지정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5a는 도 4에서 구성한 브라켓의 평면도이며, 도 5b는 도 4에서 구성한 브라켓의 저면도이다.
상기 브라켓(10)의 배출구는 브라켓의 중앙에 있지 않고 약간 옆으로 치우쳐 있어서 브라켓의 회전에 의하여 필터카트리지의 유출홀(23)까지 폐쇄할 수 있다.
도 5c는 도 4에서 구성한 필터카트리지의 단면도로서, 처리대상수가 누수되지 않고 브라켓(10)을 회전시키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지지구(16)사이로 핸들바(15)가 나와서 핸들링(17)에 물리고, 핸들링(17)의 상단과 하단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v-링을 구비하여 누수되지 않고도 브라켓을 회전시키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필터카트리지(20)의 유입홀을 필터카트리지의 측면에 구비한 실시예를 구성한 예시도로서, 상기 필터카트리지의 유입홀(22)과 유출홀(23)의 위치가 유동적으로 변동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7a는 도 1에서 구성한 필터카트리지를 샤워기에 장착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4에서 구성한 필터카트리지를 샤워기에 장착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본원의 브라켓과 필터카트리지를 이용한 여과장치가 실제적으로 적용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7a에서는 브라켓의 핸들(13) 부재가 샤워기 외부까지 도출되어 있어 사용자가 직접 핸들을 돌려 내부충진물의 혼합량을 조절 가능함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7b에서는 핸들링(17)을 돌려 핸들바(15)와 함께 브라켓을 회전시키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필터카트리지를 수도관에 적용한 실시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처리대상수는 파이프(50)의 오른쪽에서부터 왼쪽으로 흐르게 되었을 때, 수도관(50)의 중앙을 차단하여 처리 대상수가 브라켓(10)과 필터카트리지(20)를 통해서만 이동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은 필터카트리지에 세디멘트 필터(60)를 이용하여 2중 필터를 구성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필터카트리지에 중공사막필터(70)를 이용하여 2중필터를 구성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1은 세디멘트 필터(60) 내부에 2중 필터를 구성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본원에서 제공하는 브라켓과 필터카트리지는 단독 여과장치로도 사용 가능하지만 다른 필터와 연결하여 융통성있게 사용이 가능함을 나타내고 있다.
세디멘트 필터(60)는 처리 대상수의 부유물과 녹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이며, 중공사막필터는 가느다란 미세파이프가 여러겹 연결되어 작은 구멍으로만 처리대상수가 이동하면서 유해한 균과 중금속을 걸러내는 필터이다.
도 12는 브라켓(10, 10')과 필터카트리지(20, 20')를 이중으로 걸쳐서 구비한 이중 여과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로서, 각각의 내부충진물(21, 21')의 성분을 달리하여 구성한 여과장치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예를 들면, 하단의 내부충진물(21')에는 염소제거에 탁월한 비타민 C를 내재한 내부충진물로 구성하고, 상단의 내부충진물(21)에는 피부에 좋은 알로에 성분으로 구성하여, 보다 효과적인 정수가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특정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하기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다양하게 변형 및 개조되거나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며, 본원의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보호범위, 즉 필터카트리지와 상기 필터카 트리지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처리대상수와 필터카트리지에 내재된 내부충진물과의 혼합량을 사용자가 직접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으며, 다른 필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본원의 기술사상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균등론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원에서 제공하는 브라켓과 필터카트리지의 구조는, 상기 필터카트리지의 유입홀과 유출홀간의 수압차를 발생시켜 처리대상수가 필터카트리지에 유입되도록 하는 구조로서, 수압이 낮은 곳에서도 효과적인 여과가 가능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내부충진물의 혼합량을 조절가능하여 일반수와 정수로 분리 전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배플부재와 거름막을 사용하여 충진물의 혼합 효과를 높이고, 내부충진물의 구성에는 피부미용에 좋은 성분으로 구성함으로서 탁월한 피부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세디멘트 필터, 중공사막 필터(UF), 세라믹 필터 등과 결합하거나 2중 구조를 갖는 여과장치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더욱 효과적인 음용 여과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필터카트리지와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카트리지는 내부충진물을 내재하고 있으며, 처리 대상수가 유입.유출될 수 있도록 1개 또는 다수개의 유입홀과 유출홀을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필터카트리지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필터 카트리지의 유입홀에는 유로가, 유출홀에는 배출구가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되, 상기 유로는 배출구 쪽으로 점점 폭이 좁아지고, 배출구는 유로보다 큰 직경을 갖는 구조로서,
    상기 브라켓의 회전에 의해 유입홀과 유출홀 간의 수압차를 조절하여 처리대상수가 필터카트리지 내부로 유입되는 양을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를 갖는 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카트리지의 유입홀에는 유입되는 처리대상수가 카트리지에 고루 분산되도록 하는 배플 부재와, 내부충진물이 처리대상수에 용해되지 않고 바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폴리에스테르와 비스코스레이온이 혼합된 얇은 부직포로 이루어진 거름막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카트리지의 내부충진물로는 파우더, 젤, 또는 고형체 형태로서, 알로에, 모과, 비타민 C, 비타민 B2, 향, 루이보스, 달맞이유, 올리브유 중 1개 이상의 성분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회전되어, 상기 필터카트리지의 유입홀과 유출홀을 차단하거나 개방하여 카트리지 내부로 유입되는 처리대상수의 량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5. 필터카트리지와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카트리지는 내부충진물을 내재하고, 처리대상수가 유입.유출될 수 있도록 1개 또는 다수 개의 유입홀과 유출홀을 구비하고, 유입되는 처리대상수가 필터카트리지 내부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배플 부재를 구비하고, 내부충진물이 입자상태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름막이 있으며,
    상기 브라켓은 필터카트리지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필터카트리지의 유입홀과 유출홀 측으로 설치되며, 처리대상수가 상기 브라켓의 유로로 유입되어 배출구로 유출되는 구조를 갖되, 유로상의 유입홀을 차단하거나 개방하고 배출구상의 유출홀을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하며, 유로는 통로의 폭이 점점 좁아지다가 배출구에서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카트리지와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여과장치가 다수 개 연결되고, 각각의 필터카트리지 내부 충진물의 성분을 달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카트리지와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여과장치에 세디멘트 필터, 중공사막필터(UF), 세라믹 필터 중에서 1개 이상이 추가로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KR1020060018766A 2006-02-27 2006-02-27 음용 및 세정 목적의 수처리용 필터 카트리지 구조를 갖는여과장치 KR100790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766A KR100790828B1 (ko) 2006-02-27 2006-02-27 음용 및 세정 목적의 수처리용 필터 카트리지 구조를 갖는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766A KR100790828B1 (ko) 2006-02-27 2006-02-27 음용 및 세정 목적의 수처리용 필터 카트리지 구조를 갖는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491A KR20060102491A (ko) 2006-09-27
KR100790828B1 true KR100790828B1 (ko) 2008-01-02

Family

ID=37633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766A KR100790828B1 (ko) 2006-02-27 2006-02-27 음용 및 세정 목적의 수처리용 필터 카트리지 구조를 갖는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08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2627A1 (ko) * 2010-06-29 2012-01-05 주식회사 워터스 수처리용 카트리지 유닛
KR200461431Y1 (ko) * 2008-10-28 2012-07-12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시스템용 필터 카트리지
KR20210141105A (ko) * 2020-05-15 2021-11-23 주식회사 듀벨 직수형 정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528B1 (ko) * 2007-02-07 2008-07-0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연수기의 비타민 수용체
KR100835020B1 (ko) * 2007-04-11 2008-06-0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비타민 수용체
KR102074996B1 (ko) * 2017-01-12 2020-02-07 주식회사 로운코리아 샤워 필터 장치
CN107879399A (zh) * 2017-12-14 2018-04-06 蒋云龙 可回收余热的废液净化设备
KR200491288Y1 (ko) * 2018-02-27 2020-05-15 이진욱 필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샤워기
KR102566206B1 (ko) * 2021-01-15 2023-08-11 주식회사 라비코리아 반려동물을 위한 수처리 필터용 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수처리 필터
CN117919799A (zh) * 2024-03-20 2024-04-26 通渭县食品药品检验检测中心 一种可食用微生物提取后的废水过滤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647A (ko) * 2002-08-28 2004-03-0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의 필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647A (ko) * 2002-08-28 2004-03-0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의 필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431Y1 (ko) * 2008-10-28 2012-07-12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시스템용 필터 카트리지
WO2012002627A1 (ko) * 2010-06-29 2012-01-05 주식회사 워터스 수처리용 카트리지 유닛
KR20210141105A (ko) * 2020-05-15 2021-11-23 주식회사 듀벨 직수형 정수기
KR102420258B1 (ko) 2020-05-15 2022-07-14 주식회사 듀벨 직수형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491A (ko)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828B1 (ko) 음용 및 세정 목적의 수처리용 필터 카트리지 구조를 갖는여과장치
CN100556821C (zh) 水净化系统
US20160340217A1 (en) Water treatment system
US9206058B2 (en) Water purification and enhancement systems
JP2007501703A (ja) 水処理カートリッジ
US8696893B2 (en) Water enhancement system
KR102257584B1 (ko) 복합 다단 기능성 정수필터
JPS60220107A (ja) 浄水器
CN201010530Y (zh) 复合式净水系统
KR200450007Y1 (ko) 정수기의 카본필터
JP2003164714A (ja) 濾過装置
KR100536638B1 (ko) 필터형 카트리지 및 수처리 방법
KR102049321B1 (ko) 정수장치
KR20180083037A (ko) 샤워 필터 장치
KR101564265B1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JP2013063379A (ja) セントラル浄水装置および浄水システム
KR20020093663A (ko) 정수기
GB2386117A (en) Fluid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0331519Y1 (ko) 연수기용 필터
KR200402258Y1 (ko) 정수기용 필터장치
JP3647724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
JP3069019U (ja) 活性常水製造装置
US10786758B2 (en) Water sterilization system with multipurpose degasser
WO2022201709A1 (ja) 水浄化装置及びその運用方法
JPS631467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