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365Y1 -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기헤드 - Google Patents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기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365Y1
KR200495365Y1 KR2020200001117U KR20200001117U KR200495365Y1 KR 200495365 Y1 KR200495365 Y1 KR 200495365Y1 KR 2020200001117 U KR2020200001117 U KR 2020200001117U KR 20200001117 U KR20200001117 U KR 20200001117U KR 200495365 Y1 KR200495365 Y1 KR 2004953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body
cover cap
shower head
cartridge
soluble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245U (ko
Inventor
윤재국
Original Assignee
(주)피엘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엘엠 filed Critical (주)피엘엠
Priority to KR2020200001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365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2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2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3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3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05B1/185Roses; Shower heads characterised by their outlet element; Mount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6Adding soap, disinfectant, or the like in the supply line or at the water out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돗물에 포함된 염소 성분 등을 제거할 수 있고 피부에 유익한 성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샤워기헤드에 내장되는 용해성 기능물질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용출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 및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샤워기헤드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기헤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용해성 기능물질을 수용하여 샤워기헤드에 내장되는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로서, 상부 개방된 함체형 카트리지 바디; 상기 카트리지 바디의 상부 개방부를 커버하는 커버 캡; 상기 카트리지 바디에 형성되는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구멍; 상기 카트리지 바디의 내부를 복수의 구획공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구멍으로 유입되는 물이 구획공간을 지그재그(zigsag)로 흐른 다음 다시 역으로 흘러 상기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구멍으로 빠져나오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구획벽; 및 상기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 간에 형성되어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 간을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기헤드{SOLUBILITY-FUNCTIONAL MATERIALS RELEASE CARTRIDGE OF BUILT-IN TYPE FOR SHOWER HEAD AND SHOWER HEAD COMPRISING THE SAME}
본 고안은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기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돗물에 포함된 염소 성분 등을 제거할 수 있고 피부에 유익한 성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샤워기헤드에 내장되는 용해성 기능물질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용출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 및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샤워기헤드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기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기는 내부에 수로가 형성되고, 그 선단부에는 수로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토출구가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샤워기는 생활용수를 제공받도록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급수 헤드는 장기간 사용시 내부의 수로에 유해 세균이 번식하게 되고, 샤워기에 번식한 유해 세균은 사용자가 이를 통해 배출된 물로 샤워할 경우 인체의 각 부위에 잔존하여 각종 피부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녹물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가 내장된 급수 헤드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다른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 급수 헤드가 개발 및 제안되고 있다.
일 예로, 은의 항균 기능을 이용하여 급수 헤드에 은봉과 같은 부재를 내장한 급수 헤드가 있다. 그러나 은은 이온화 경향이 작아 물에 잘 용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은봉은 비표면적이 작아 겨우 20ppb(part per billion) 미만의 미량의 은이온만이 용출되고, 용출되기까지의 시간 또한 매우 길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부분 수돗물은 차(치)아염소나트륨 등의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하고 있는바, 즉 정수장에서 1차 염소처리를 통해 살균과 함께 유기화합물을 제거하고, 가정에 급수하기 직전에 다시 2차 염소를 투여하여 잔류 염소를 보존 유지함으로써 원수 중의 병원성미생물(수행성 병원균으)로부터의 질병을 예방하도록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염소원자는 할로겐 원소의 하나로서 산화제, 표백제, 소독제 등의 용도로 쓰이는 유독성 물질이며 수돗물 속의 염소도 유기 화합물과 반응하여 유기염소 화합물(환경호르몬)을 생성하여 건강이나 환경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며, 특히 인체의 피부를 구성하는 피부 단백질과 반응하여 파괴시킴으로써 살결을 거칠게 하고 피부노화나 각종 피부 트러블의 원인물질로 분석되고 있다.
또한, 염소는 피부와 마찬가지로 모발 단백질을 파괴하여 푸석푸석한 머릿결을 만드는 원인이 되며, 두피의 건강을 해쳐 탈모에 영향을 줄뿐 아니라 아토피성 피부염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는 등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샤워기의 내부에 교체가 가능한 필터를 설치하고 이 필터에 비타민 성분을 넣어 수돗물이 샤워기 내부의 유로를 흐르면서 비타민을 녹임으로써 수돗물 속에 첨가되어 있는 염소를 제거함과 동시에 피부보습 등 미용에도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다수 특허 출원되어 있는 바, 비타민C는 수돗물 속의 염소를 중화시켜서 피부에 좋은 약산성으로 변화시키는 기전은 이미 밝혀져 있다.
따라서, 비타민C에 의해 염소가 중화된 상태의 수돗물을 이용하여 급수된 물을 이용하게 되면, 예를 들면 샤워기를 이용할 때, 피부와 모발, 두피 등에 좋은 영향을 줄뿐 아니라, 피부 보습의 효과도 함께 제공하게 되는 메카니즘도 이미 밝혀져 있다.
또한, 피부 노화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비타민C가 들어간 필터를 통해 적극적인 스킨케어와 모발관리를 할 수 있음도 밝혀지고 있는바, 이를 개괄적으로 화학식 형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C6H8O6(Vitamin-C) + HOCl(치아염소산) = C6H8O6-H2O + HCl(염산)
이러한 비타민C를 이용하는 수처리용 염소성분 제거 기능을 갖는 카트리지에 파우더 또는 겔 타입의 비타민을 넣는 방식과 별도 케이스(카트리지)를 이용하지 않고 석고와 같은 응고제를 이용하여 고형화 방식의 비타민고형체 필터류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응고제를 이용한 고체형 고형화필터의 경우에는 고형체의 모든 면(사방)이 물에 노출되어 최초 사용시에는 비타민의 농도가 필요 이상으로 과다하게 용출되다가 점차 농도가 낮아지는 문제점과 공기 중에 노출 시에는 산화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특히, 통상적으로 샤워기헤드는 넓고 짧으며 반원 또는 돔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이러한 샤워기헤드에 적용되는 비타민 내용물은 사용 초기 소모 속도에 큰 차이가 없으나, 사용 기간이 일정시간 경과 시에는 비타민 내용물이 유입된 물과 접촉하는 면이 넓어져 내용물의 녹는 속도가 빨라져서 비타민 성분이 과용출되어 기능물질의 수명이 짧아져서 안정적인 수명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기능성 물질이 효율적으로 용출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을 유지하면서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고, 다양한 샤워기헤드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교체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카트리지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05629(2009.06.30.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61585(2007.09.27.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66370(2013.05.22.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94241(2002.11.04. 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8-0001762(2018.06.14.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돗물에 포함된 염소 성분 등을 제거할 수 있고 피부에 유익한 성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샤워기헤드에 내장되는 기능물질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용출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 및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기헤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기능물질의 용출 기능에 더하여 녹물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 모듈이 적용되어 기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샤워기헤드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기헤드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관점에 따르면, 용해성 기능물질을 수용하여 샤워기 헤드에 내장되는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로서, 상부 개방된 함체형 카트리지 바디; 상기 카트리지 바디의 상부 개방부를 커버하는 커버 캡; 상기 카트리지 바디에 형성되는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구멍; 상기 카트리지 바디의 내부를 복수의 구획공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구멍으로 유입되는 물이 구획공간을 통과하여 흐른 다음 다시 역으로 흘러 상기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구멍으로 빠져나오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구획벽; 및 상기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 간에 형성되어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 간을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은 돔형이나 원형의 함체 또는 다각형의 함체로 형성되고, 상기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구멍은 상기 카트리지 바디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바디의 배면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의 용출 가이드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의 외면은 샤워기 헤드의 내면과 접촉되는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는 물 통과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카트리지 바디의 측벽 내면과 상기 커버 캡의 측벽 내면에 형성되어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 간이 억지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환형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바디와 결합되는 측의 반대 면인 상기 커버 캡의 상면에는 샤워기헤드의 출수판과의 간격을 확보하기 위한 간격 유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획벽은 상기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의 결합 시 상기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이 복수의 구획공간으로 구획하며, 하나의 구획벽을 제외한 나머지 구획벽에 연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바디와 결합되는 측의 반대 면인 상기 커버 캡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통 형상의 돌출 플랜지, 및 상기 커버 캡의 상면 중앙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벽은 상기 카트리지 바디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바닥면에 상기 용해성 기능물질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원통 구획벽, 및 상기 원통 구획벽의 둘레에 간격을 갖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선형 구획벽을 포함하며, 상기 연통로는 상기 원통 구획벽에 의한 구획공간과 상기 선형 구획벽 중 이웃하는 한 쌍의 선형 구획벽에 의해 형성되는 구획공간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원통 구획벽에 형성되는 제1 연통홈, 및 각 구획공간 간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통시키도록 상기 선형 구획벽에 형성되되 상기 원통 구획벽과 연통되는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하나의 선형 구획벽에는 형성되지 않는 제2 연통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바디의 외측 하단부에 물 통과유로를 갖는 환형의 연장 플랜지가 더 형성되며, 상기 환형의 연장 플랜지는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가 샤워기 헤드에 장착될 때 물이 유입되는 측의 공간 또는 유로를 구획하는 직경 또는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바디 또는 커버 캡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는 장착 어댑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장착 어댑터는, 물 통과유로를 갖는 링형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상기 카트리지 바디의 외연에 형성된 장착홈에 장착되어 구비되거나, 각각 일면에 끼움 돌기를 갖는 복수의 바형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상기 카트리지 바디의 외연에 간격을 갖고 형성된 억지끼움 고정홈에 상기 끼움 돌기가 끼움 고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바디의 외면 중앙부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복수의 물 유통공이 형성되거나 메쉬형으로 형성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중간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환형 플랜지로 이루어지는 필터 장착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상의 환형 플랜지는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가 샤워기 헤드에 장착될 때 상기 샤워기 헤드의 물 유입부 측의 공간 또는 유로를 구획하는 직경 또는 형상을 갖는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은 돔형이나 원형의 함체 또는 다각형의 함체로 형성되고, 상기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구멍은 상기 카트리지 바디의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의 외면은 샤워기 헤드의 내면과 접촉되는 사이즈를 갖고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는 물 통과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카트리지 바디의 측벽 내면과 상기 커버 캡의 측벽 내면에 형성되어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 간이 억지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환형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트리지 바디와 결합되는 측의 반대 면인 상기 커버 캡의 상면에는 샤워기헤드의 출수판과의 간격을 확보하기 위한 간격 유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획벽은 상기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의 결합 시 상기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이 복수의 구획공간으로 구획하며, 하나의 구획벽을 제외한 나머지 구획벽에 연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기헤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고안은 샤워기헤드에 내장되는 기능물질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용출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 및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고안은 비타민의 용해성 기능물질이 적용되는 경우, 수돗물의 염소 성분을 제거할 수 있고 피부에 유익한 성분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고안은 용해성 기능물질의 용출 기능에 더하여 녹물 등의 이물질 성분을 여과시킬 수 있는 필터 모듈이 적용되어 기능성과 제품 경쟁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고안은 다양한 형태의 샤워기헤드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여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커버 캡을 상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커버 캡을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카트리지 바디를 상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카트리지 바디를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기헤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커버 캡을 상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커버 캡을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카트리지 바디를 상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카트리지 바디를 하부 즉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는, 유입되는 물이 지그재그로 통과하면서 내부에 수용된 용해성 기능물질과 혼합된 후, 그 기능물질이 용해되어 함유한 물이 용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카트리지 바디(110); 커버 캡(120); 구획벽(130); 및 결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에 형성되는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구멍(111)이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와 커버 캡(120) 중 적어도 하나에 물 통과 유로(113)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개방된 함체형 카트리지 바디(110);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의 상부 개방부를 커버하는 커버 캡(120);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에 형성되는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구멍(111);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의 내부를 복수의 구획공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구멍(111)으로 유입되는 물이 복수의 구획공간에서 순차적인 물 흐름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복수의 구획벽(130); 및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와 커버 캡(120) 간에 형성되어 카트리지 바디(110)와 커버 캡(120) 간을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돔형이나 원형의 함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사각형 등 다각형의 함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에는 고형의 용해성 기능물질(예를 들면, 고형 비타민)이 수용된다.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의 중앙부에는 상기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구멍(111)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구멍(111)은 카트리지 바디(110)의 하나의 공간에서 그 카트리지 바디(110)의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아래에서 설명되는 원통 구획벽(131)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의 배면(즉, 상기 커버 캡(120)과 결합되는 측의 반대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의 배면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의 용출 가이드 플레이트(112)이 형성된다.
상기 용출 가이드 플레이트(112)는 상기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구멍(111)에서 용출되어 나오는 기능물질이 방사상으로 원활하게 분산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와 커버 캡(120) 간의 결합과 분리 시 그 용출 가이드 플레이트(112)를 잡고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의 외연에는 물 통과유로(113)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물 통과유로(113)는,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가 샤워기 헤드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어 그 카트리지 바디(110)의 외연이 샤워기 헤드의 내연에 밀착 장착될 때, 카트리지에서 용출되어 나오는 용해된 기능물질이 함유된 물이 흐를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물 통과유로(113)는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와 커버 캡(120)가 결합될 때 외측으로 노출되는 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카트리지 바디(110)와 커버 캡(120)이 일부가 정합되어 결합되는 경우에는 카트리지 바디(110)와 커버 캡(120) 모두의 외연에 형성되게 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물 통과유로(113)가 카트리지 바디(110)와 커버 캡(120)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계속해서, 상기 커버 캡(120)은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커버 캡(120)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가 원형 또는 돔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커버 캡(120)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가 사각형 등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커버 캡(120)은 사각형 등 다각형의 캡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는 물 흐름의 상류 측을 향하고, 커버 캡(120)의 물 흐름의 하류 측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커버 캡(120)의 상면, 즉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와 결합되는 측의 반대 면에는 샤워기헤드의 출수판과의 간격을 확보하기 위한 간격 유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간격 유지부는 상기 커버 캡(120)의 상면의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물 흐름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 플랜지(121), 및 상기 커버 캡(120)의 상면 중앙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기(1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 캡(120)에 간격 유지부가 형성됨으로써 카트리지 바디(110)의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구멍(111)으로부터 용출되어 나오는 기능물질 함유의 물은 물 통과유로(113)를 거쳐 커버 캡(120)의 상면 측으로 흐르고, 상기 커버 캡(120)은 상기 간격 유지부에 의해 샤워기헤드의 출수판과 밀착되지 않고 일정 공간이 확보되어 그 공간으로부터 충분한 양의 기능물질 함유 물이 출수판을 통해 출수 되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 캡(120)의 외연에는 앞서 카트리지 바디(110)의 설명에서 설명한 물 통과유로(113)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획벽(130)은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와 커버 캡(120)의 결합 시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와 커버 캡(1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이 복수의 구획공간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의 수용부 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구획벽(130)은 카트리지 바디(110)의 내측 수용 공간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와 커버 캡(120) 간의 결합 시 상기 커버 캡(120)에 의해 상단이 폐쇄될 수 있는 높이를 갖고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구획벽(130)에는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구멍(111)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만 순차적으로 연통되고, 최종 흐름의 구획벽에서는 물 흐름이 연통되지 않게 형성되는 복수의 연통홈(133) 또는 연통홀(이하, "연통로"로 통칭함)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로(133)는 각 구획벽(130)에 동심원상에 위치되지 않게 형성되되, 상기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구멍(111)으로부터 하나의 유입 구획공간으로 유입된 후 다음 구획 공간으로 순차적으로 또는 지그재그(zigsag)로 연통되도록 하며, 최종 구획공간은 유입 구획획공간과 연통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획벽(130)은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바닥면에 상기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구멍(111)이 형성되는 원통 구획벽(131), 및 상기 원통 구획벽(131)의 둘레에 간격을 갖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선형 구획벽(132)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용해성 기능물질 용충 구멍(111)이 카트리지 바디(110)의 측부(측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원통 구획벽(131)은 생략되며, 상기 선형 구획벽(132)에 의해서만 카트리지 바디(110)의 내부가 구획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연통로(133)는, 상기 원통 구획벽(131)에 의한 구획공간(P1)과 상기 선형 구획벽(132) 중 이웃하는 한 쌍의 선형 구획벽(132)에 의해 형성되는 구획공간(P2)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원통 구획벽(131)에 형성되는 제1 연통로(133a), 및 각 구획공간 간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연통시키도록 상기 선형 구획벽(132)에 형성되되 상기 원통 구획벽(131)과 연통되는 구획공간(P2)을 형성하는 하나의 선형 구획벽에는 형성되지 않는 제2 연통로(133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연통로(133b)는 선형 구획벽(132)에서 기단부(proximal end)와 선단부(proximal end)에 번갈아 형성되며, 하나의 선형 구획벽(132)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에는 상기한 구획벽(130)과 연통로(133)이 형성됨으로써 그 카트리지 바디(110)에 수용된 용해성 기능물질이 순차적으로 용해되어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구멍(111)을 통해 용출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와 커버 캡(120) 간에 형성되어 카트리지 바디(110)와 커버 캡(120) 간을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의 측벽 외면과 상기 커버 캡(120)의 측벽 내면에 형성되어 카트리지 바디(110)와 커버 캡(120) 간이 억지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환형 돌기(141)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상기 착탈 수단은 카트리지 바디(110)의 측벽과 커버 캡(120)의 측벽 간에 형성되어 요철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카트리지 바디(110)와 커버 캡(120) 간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면서도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다른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 제2 실시 예에서 상기한 제1 실시 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며, 제1 실시 예와 차이점이 있는 구성부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캡(120)의 외측 일단부(상단부)에 물 통과유로(113)을 갖는 환형의 연장 플랜지(123)가 더 형성된다.
상기 환형의 연장 플랜지(114)의 직경 또는 형상은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가 샤워기 헤드에 장착될 때 물이 유입되는 측의 공간 또는 유로를 구획하는 직경 또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2 실시 예는 구획벽(130)을 형성되는 원통 구획벽(131)이 이중으로 형성되며, 그 원통 구획벽(131) 간에도 제2 선형 구획벽(134)에 의해 복수의 구획공간으로 구획되며, 각 구획공간은 상기한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연통로가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 또는 커버 캡(120)의 외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는 장착 어댑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착 어댑터는 물 통과유로를 갖는 링형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카트리지 바디(110)의 외연에 형성된 장착홈에 장착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장착 어댑터는 각각 일면에 끼움 돌기를 갖는 복수의 바형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카트리지 바디(110)의 외연에 간격을 갖고 형성된 억지끼움 고정홈에 상기 끼움 돌기를 끼움 고정하여 구비된다.
이러한 장착 어댑터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를 샤워기 헤드 내에 내장시켜 장착함에 있어 사이즈가 다른 샤워기 헤드의 내부 공간에 상기 장착 어댑터를 이용하여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는, 물 연통이 가능하며, 세드멘트필터나 ACF(활성탄필터) 또는 활성탄블럭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필터 부재가 수용되는 필터 장착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로, 상기 필터 장착구는 상기 카트리지 바디(110)의 외면 중앙부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복수의 물 유통공이 형성되거나 메쉬형으로 형성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중간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환형 플랜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판상의 환형 플랜지의 직경 또는 형상은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가 샤워기 헤드에 장착될 때 상기 샤워기 헤드의 상류 측에서 그 샤워기 헤드의 공간을 구획하는 직경 또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원통형의 필터 부재는 상기 원통부의 자유 단부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필터 장착구가 카트리지 바디(11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유입되는 물이 상기 필터 부재에 의해 상류 측(환형 플랜지의 하부 측)에서 먼저 필터링되도록 하고, 필터링되어 나오는 물이 카트리지 바디(110)로 유입되어 용해성 기능물질을 용해시키고, 용해된 기능물질이 함유된 물이 환형 플랜지부의 상부 측에서 상기 원통부의 물 유통공이나 메쉬를 통해 빠져나온 다음 물 통과유로(113)를 거쳐 출수판 측으로 흘러들러감으로써 용해성 기능물질의 제공뿐만 아니라 필터링 기능도 부가할 수 있어 기능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기헤드에 의하면, 샤워기헤드에 내장되는 기능물질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용출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 및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비타민의 용해성 기능물질이 적용되는 경우, 수돗물의 염소 성분을 제거할 수 있고 피부에 유익한 성분을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용해성 기능물질의 용출 기능에 더하여 녹물 등의 이물질 성분을 여과시킬 수 있는 필터 모듈이 적용되어 기능성과 제품 경쟁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샤워기헤드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여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고안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카트리지 바디
111: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구멍
112: 용출 가이드 플레이트
113: 물 통과유로
120: 커버 캡
121: 돌출 플랜지
122: 돌기
123: 연장 플랜지
130: 구획벽
131: 원통 구획벽
132: 선형 구획벽
133: 연통홈(연통홀)
133a: 제1 연통홈
133b: 제2 연통홈
134: 제2 선형 구획벽
141: 환형 돌기
P1, P2: 구획공간

Claims (9)

  1. 용해성 기능물질을 수용하여 샤워기 헤드에 내장되는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로서,
    상부 개방된 함체형 카트리지 바디;
    상기 카트리지 바디의 상부 개방부를 커버하는 커버 캡;
    상기 카트리지 바디에 형성되는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구멍;
    상기 카트리지 바디의 내부를 복수의 구획공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구멍으로 유입되는 물이 구획공간을 순차적으로 흐른 다음 다시 역으로 흘러 상기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구멍으로 빠져나오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구획벽; 및
    상기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 간에 형성되어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 간을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바디의 외면 중앙부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복수의 물 유통공이 형성되거나 메쉬형으로 형성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중간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환형 플랜지로 이루어지는 필터 장착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상의 환형 플랜지는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가 샤워기 헤드에 장착될 때 상기 샤워기 헤드의 물 유입부 측의 공간 또는 유로를 구획하는 직경 또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은 돔형이나 원형의 함체 또는 다각형의 함체로 형성되고,
    상기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구멍은 상기 카트리지 바디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바디의 배면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의 용출 가이드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의 외면은 샤워기 헤드의 내면과 접촉되는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는 물 통과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카트리지 바디의 측벽 내면과 상기 커버 캡의 측벽 내면에 형성되어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 간이 억지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환형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바디와 결합되는 측의 반대 면인 상기 커버 캡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통 형상의 돌출 플랜지, 및 상기 커버 캡의 상면 중앙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벽은 상기 카트리지 바디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내측 바닥면에 상기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구멍이 형성되는 원통 구획벽, 및 상기 원통 구획벽의 둘레에 간격을 갖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선형 구획벽을 포함하며,
    연통로는 상기 원통 구획벽에 의한 구획공간과 상기 선형 구획벽 중 이웃하는 한 쌍의 선형 구획벽에 의해 형성되는 구획공간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원통 구획벽에 형성되는 제1 연통홈, 및 각 구획공간 간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연통시키도록 상기 선형 구획벽에 형성되되 상기 원통 구획벽과 연통되는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하나의 선형 구획벽에는 형성되지 않는 제2 연통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바디의 외측 하단부에 물 통과유로를 갖는 환형의 연장 플랜지가 더 형성되며,
    상기 환형의 연장 플랜지는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가 샤워기 헤드에 장착될 때 물이 유입되는 측의 공간 또는 유로를 구획하는 직경 또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바디 또는 커버 캡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는 장착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어댑터는,
    물 통과유로를 갖는 링형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상기 카트리지 바디의 외연에 형성된 장착홈에 장착되어 구비되거나, 각각 일면에 끼움 돌기를 갖는 복수의 바형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상기 카트리지 바디의 외연에 간격을 갖고 형성된 억지끼움 고정홈에 상기 끼움 돌기가 끼움 고정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은 돔형이나 원형의 함체 또는 다각형의 함체로 형성되고,
    상기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구멍은 상기 카트리지 바디의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의 외면은 샤워기 헤드의 내면과 접촉되는 사이즈를 갖고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는 물 통과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카트리지 바디의 측벽 내면과 상기 커버 캡의 측벽 내면에 형성되어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 간이 억지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환형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트리지 바디와 결합되는 측의 반대 면인 상기 커버 캡의 상면에는 샤워기헤드의 출수판과의 간격을 확보하기 위한 간격 유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획벽은 상기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의 결합 시 상기 카트리지 바디와 커버 캡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이 복수의 구획공간으로 구획하며, 하나의 구획벽을 제외한 나머지 구획벽에 연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
KR2020200001117U 2020-04-01 2020-04-01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기헤드 KR2004953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117U KR200495365Y1 (ko) 2020-04-01 2020-04-01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기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117U KR200495365Y1 (ko) 2020-04-01 2020-04-01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기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245U KR20210002245U (ko) 2021-10-12
KR200495365Y1 true KR200495365Y1 (ko) 2022-05-10

Family

ID=78077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117U KR200495365Y1 (ko) 2020-04-01 2020-04-01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기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36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9271A (ja) * 2000-09-07 2002-03-19 Nihon Hels Industry Corp 脱塩素装置
KR200396548Y1 (ko) * 2005-07-11 2005-09-22 주식회사 오성사 가습기물탱크의 이온교환수지카트리지장치
KR102078939B1 (ko) * 2018-11-20 2020-02-18 김용숙 급수헤드용 교체형 복합기능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급수 헤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241Y1 (ko) 2002-08-21 2002-11-04 영 근 송 비타민필터가 내장된 샤워기
KR100761585B1 (ko) 2006-10-02 2007-09-27 최영철 급수 헤드
KR100905629B1 (ko) 2009-02-24 2009-06-30 배익주 진동 충격 분사장치
KR101266370B1 (ko) 2011-08-10 2013-05-22 김학주 싱크대용 물 분사기
KR20180001762U (ko) 2018-05-25 2018-06-14 조현철 볼탑기능을 구비한 수전헤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9271A (ja) * 2000-09-07 2002-03-19 Nihon Hels Industry Corp 脱塩素装置
KR200396548Y1 (ko) * 2005-07-11 2005-09-22 주식회사 오성사 가습기물탱크의 이온교환수지카트리지장치
KR102078939B1 (ko) * 2018-11-20 2020-02-18 김용숙 급수헤드용 교체형 복합기능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급수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245U (ko) 202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7718A (ko) 애완동물용 정수구
KR101828567B1 (ko) 음용 및 세척수용 비타민 공급장치
JP2006035214A (ja) 浄水システム用フィルター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取り付けたフィルターハウジング組立体
US20200247700A1 (en) Multistage shower water filter and water filtering method
KR20190126983A (ko) 필터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샤워기 연결바
KR20190059852A (ko) 교체형 복합기능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급수 장치
KR200495365Y1 (ko)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기헤드
KR102078939B1 (ko) 급수헤드용 교체형 복합기능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급수 헤드
KR200491288Y1 (ko) 필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샤워기
KR102243221B1 (ko) 교체형 기능 모듈을 갖는 멀티 기능성 샤워기
KR20130125859A (ko) 두피마사지 기능 및 수량 조절기능을 구비한 음이온 샤워장치
KR101594130B1 (ko) 음용 및 샤워용 비타민 공급 장치
KR20050045492A (ko) 음용 또는 미용 목적의 기능성 필터 카트리지
KR200429134Y1 (ko) 자연 여과식 정수기능을 구비한 알칼리 환원수 생성기
KR20180083037A (ko) 샤워 필터 장치
JP2008264613A (ja) 浄水装置
KR102358567B1 (ko) 기능수공급장치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교체형 기능성모듈의 모방품 방지구조 및 모방품 유통 방지방법
CN112661238A (zh) 软水器及具有其的加湿器
KR20150144541A (ko) 다단 필터를 가지는 수도직결형 정수기
KR200325992Y1 (ko) 여과체가 구비된 샤워기 헤드
JP6801190B2 (ja) シャワーヘッド
JP2003285052A (j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
JP2005205379A (ja) 水処理装置
JP2001000351A (ja) 浄水シャワーヘッド
JPH11290232A (ja) シャワー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