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718A - 애완동물용 정수구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정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718A
KR20170017718A KR1020160088398A KR20160088398A KR20170017718A KR 20170017718 A KR20170017718 A KR 20170017718A KR 1020160088398 A KR1020160088398 A KR 1020160088398A KR 20160088398 A KR20160088398 A KR 20160088398A KR 20170017718 A KR20170017718 A KR 20170017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ying
water tank
material layer
raw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로 오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이테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이테크
Publication of KR20170017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2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 B01D15/3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involving ionic interaction
    • B01D15/361Ion-exchange
    • B01D15/362Cation-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in parallel connection
    • B01D24/004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in parallel connection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07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in series connection
    • B01D24/00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in series connection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2Downward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supported by pervious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7/00Ion-exchange processe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B01J47/012Ion-exchange processe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using portable ion-exchang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7/00Ion-exchange processe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B01J47/02Column or bed processes
    • B01J47/022Column or be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column or container
    • B01J47/024Column or be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column or container where the ion-exchangers are in a removable cartri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02F2001/42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using cation exchan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4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itcher or ju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과제)
고양이, 개 등의 애완동물이 요로결석증, 방광염 등의 하부요로 질환에 걸리지 않도록 그 음료수 중으로부터 칼슘, 마그네슘 등을 손쉽게 경감시키고 정수화한다.
(해결수단)
하부에 정화수조부(2)를 형성하고, 전측부에 형성한 도출구(3)에 통하고 있는 개폐 밸브(8)를 가지는 정수조체(1)와, 정수조체(1)의 상부에 끼워넣어 지지한 원수조체(10)와, 원수조체(10)에 공급한 원수를 도입하여, 칼슘, 마그네슘을 경감 정화하여 정화수조부(2)에 정화수를 도출시키는 정화부(23)를 구비하고, 원수조체(10)의 바닥부에 지지한 필터 카트리지체(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필터 카트리지체(20)는 원수조체(10) 내에 위치 결정한 원수 도입 구멍(29)을 가지는 케이스 덮개(27)로 덮고, 또 정화수조부(2) 내에 위치 결정한 정수 구멍(22)을 가지는 정수 케이스(21) 내에, 중앙부에 배치장착된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24) 및 이것의 주위에 배치장착된 활성탄재층(26)으로 이루어지는 정화부(23)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정수구{WATER SOFTENING DEVICE FOR USE FOR A PET}
본 발명은 주로 고양이, 개 등의 펫으로서 기르고 있는 애완동물이 요로결석증, 방광염 등의 하부요로 질환에 걸리지 않도록, 예를 들면 수도물 등의 음용수 중으로부터 이들 질환의 원인이 되는 칼슘, 마그네슘, 미네랄 등을 손쉽게 경감시키고, 잔류 염소나 혼탁물(오염물)을 제거하여 애완동물의 음용수로서 적합하게 되도록 정수화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정수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일반가정 그 밖에 공급되는 상수인 수도물 등에는 인간의 음료로서 적합한 소정량의 마그네슘, 칼슘 등이 포함되어 있고, 또 건강상 미네랄 성분을 포함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수도물 등을 인간이 음용할 경우는 특별히 문제가 되지 않지만, 이것을 그대로 예를 들면 고양이, 개 등에게 줄 경우에는 애완동물에게 있어서는 지나치게 많은 마그네슘, 칼슘 등이 요결석 등의 하부요로 질환을 발생시키는 하나의 원인이 되고 있으므로 적당하지 않다.
이러한 점에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따른 동물용 음료수에 관한 비지니스 모델에 의하면 이들을 제거하는 것이 유효한 것이 나타나 있고, 특허문헌 2에 따른 정연수기에 의하면 용기 내에 봉입한 이온 교환 수지 등에 의해 이들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 나타나 있으며, 특허문헌 3에 따른 정수기에 의하면 활성탄 필터, 역침투 막 필터, 이온 교환 수지 등에 의해 정수화할 수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일본 특개 2006-833호 공보 일본 특개 2009-131768호 공보 일본 특개 2008-272693호 공보
단, 이들의 종래 제안되어 있는 특허문헌 1의 모델에서는 구체적인 정수기 구조가 나타나 있지 않고, 또 특허문헌 2의 정연수기, 특허문헌 3의 정수기에서는 예를 들면 수도관에 직접 접속하여 설치하는 것이므로, 애완동물에게 주는 음용수의 생성을 위한 것이라고 하기에 장치 자체가 대형이며, 손쉽게 설치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게다가 이들은 인간에게 있어 필요한 정수화 장치로서는 적합해도, 미네랄 성분을 포함시키도록 하는 형식의 정수기에서는 이 미네랄 성분의 섭취는 애완동물에게 있어서는 상기한 각종 질환의 하나의 원인이 되고 있으므로 경감할 필요가 있어, 결국 애완동물용의 음용수로 하기에는 부적합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종래 존재하는 여러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고양이, 개 등의 애완동물의 음용수로서, 요결석증, 방광염 그 밖의 요로질환의 원인이 되는 마그네슘, 칼슘, 미네랄 성분 등을 예를 들면 수도물로부터 경감시켜 조정하고, 잔류 염소나 혼탁물(오염물) 등을 제거하여 애완동물의 음용수로서 적합한 정수화가 가능하게 하며, 또 간단하며 손쉽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한 애완동물용 정수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있어서의 사용 부호를 부기하여 설명하면, 하부에 정화수조부(2)가 형성되어 있고, 전측부에 형성한 도출구(3)를 통하여 정화수를 도출시키는 개폐 밸브(8)를 가지는 정수조체(1)와, 이 정수조체(1)의 상부 내에 끼워넣어 지지되는 원수조체(10)와, 이 원수조체(10)에 공급된 원수를 도입하여, 칼슘, 마그네슘을 경감 정화하여 정화수조부(2)에 정화수를 도출시키도록 정화부(23)를 구비하고 있고, 원수조체(10)의 바닥부에 끼워넣어 지지되는 필터 카트리지체(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필터 카트리지체(20)는 원수조체(10)의 내부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원수 도입 구멍(29)을 가지는 케이스 덮개(27)에 의해 덮고, 정화수조부(2)의 내부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정수 구멍(22)을 가지는 정수 케이스(21)의 내부에, 중앙부에 배치장착되는 H형의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24) 및 이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24)의 주위에 배치장착되는 활성탄재층(26)으로 이루어지는 정화부(23)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부에 원수조체(10)를 끼워넣어 지지된 정수조체(1)의 상부 개구는 상기 개폐 밸브(8)가 요동 개폐 자유롭게 되어 설치되어 있는 착탈이 자유로운 덮개체(6)에 의해 덮어 구성할 수 있다.
원수조체(10)는 정수조체(1)의 내부에 끼워져 들어갔을 때 도출구(3)측에 공극을 설정하도록 전후 방향에서는 정수조체(1)에 비해 작게 하여 형성되어 있고, 원수조체(10)의 상부 개구 가장자리, 정수조체(1)의 상부 개구 가장자리 각각에 형성한 재치 지지부(11, 5) 상호를 서로 끼워맞춤으로써 정수조체(1)의 내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하여 장착되어 구성할 수 있다.
필터 카트리지체(20)는 원수조체(10)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지지부(16)에 끼워져 들어가 정화수조부(2)의 내부에 위치 결정 지지되고,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둘레벽에 다수의 정수 구멍(22)이 배열 개공되어 있는 정수 케이스(21)와, 이 정수 케이스(21)의 내부의 중앙부에 배치장착되는 H형의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24) 및 이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24)의 주위에 배치장착되는 활성탄재층(26)으로 이루어지는 정화부(23)와, 이 정화부(23)를 정수 케이스(21)의 내부에 유지시킨 상태에서 정수 케이스(21)의 상부 개구를 덮음과 아울러, 카트리지 지지부(16)에 거는 걸음부를 구비하고, 원수를 정수 케이스(21)의 내부로 도입시키는 원수 도입 구멍(29)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덮개(27)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필터 카트리지체(20)에는 정화부(23)의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24)을 거치지 않고 활성탄재층(26)을 거치도록 통수시키는 통수부(19)를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정수구에 있어서, 원수조체(10)의 내부에 부어서 공급된 예를 들면 수도물은 필터 카트리지체(20)를 거침으로써 정수조체(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정화수조부(2)의 내부에 칼슘, 마그네슘이 경감된 정화수가 되어 저류되고, 정수조체(1) 자체를 전방으로 기울임으로써 도출구(3)를 거쳐 외부에 도출되어, 고양이, 개 등의 애완동물 등에게 적합한 음용수가 된다.
또, 필터 카트리지체(20)의 내부에 배치된 통수부(19)를 거친 정화수는 정화수조부(2)에 도출될 때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24)을 거치지 않음으로써 원수 중의 칼슘, 마그네슘 등이 약간이라도 잔류되게 되고, 이들을 적당량으로 조정한 상태로 하여 애완동물 등에게 섭취 가능하게 한다.
필터 카트리지체(20)의 내부에 배치된 정화부(23)의 H형의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24)은 원수 중의 칼슘, 마그네슘을 포착 경감하고, 활성탄재층(26)은 원수 중으로부터 유리 잔류 염소, 트리할로메탄, 용해성 납 등을 제거시킨다.
정수조체(1)의 전측부측에 형성한 도출구(3)는 정수조체(1) 자체의 기울임 조작에 의해 정화수조부(2)의 내부의 정화수를 필터 카트리지체(20)를 거쳐 역류시키지 않고, 덮개체(6)의 개폐 밸브(8)를 개방시켜 외부로 정화수를 도출시킨다.
필터 카트리지체(20)의 케이스 덮개(27)의 원수 도입 구멍(29)은 원수조체(10)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것으로 원수조체(10)의 내부의 원수를 필터 카트리지체(20) 내에 도입시키고, 정수 케이스(21)의 정수 구멍(22)은 정화수조부(2)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것으로 정화 후의 정화수를 정화수조부(2)의 내부에 도출시키고 저류시킨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양이, 개 등의 애완동물에게 음용시키는 음용수 중으로부터 요결석증, 방광염 등의 하부요로 질환의 하나의 원인이 되는 마그네슘, 칼슘 등을 경감하고, 잔류 염소나 혼탁물(오염물)을 제거한 상태에서 애완동물에게 줄 수 있다. 즉, 원수 중에 포함되는 지나치게 많은 마그네슘, 칼슘 등을 필요한 적당량으로 조정하고, 이것에 의해 하부요로 질환 등에 걸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정수조체(1) 내에 원수가 부어지는 원수조체(10)와, 원수를 정화하는 필터 카트리지체(20)를 설치하고, 정화수조부(2) 내에 정화수를 저류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간이소형화된 정수구로서 휴대성도 양호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이것은 본 발명에 있어서, 하부에 정화수조부(2)가 형성되어 있고, 전측부에 형성한 도출구(3)를 통하여 정화수를 도출시키는 개폐 밸브(8)를 가지는 정수조체(1)와, 이 정수조체(1)의 상부 내에 끼워넣어 지지되는 원수조체(10)와, 이 원수조체(10)에 공급된 원수를 도입하여, 칼슘, 마그네슘을 경감 정화하여 정화수조부(2)에 정화수를 도출시키도록 정화부(23)를 구비하고 있고, 원수조체(10)의 바닥부에 끼워넣어 지지되는 필터 카트리지체(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이며, 원수로부터의 칼슘, 마그네슘의 경감 정화, 간이소형화에 의한 취급의 용이성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정수조체(1)의 상부에 원수조체(10)를 배치하고, 정수조체(1)의 하부에 설치한 정화수조부(2)에 위치하는 필터 카트리지체(20)를 원수조체(10)의 바닥부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원수조체(10) 내에 원수를 부어둠으로써, 원수 도입 구멍(29)을 거쳐 원수가 침투되는 필터 카트리지체(20)를 경유함으로써 정화된 정화수를 정수 구멍(22)을 거쳐 정화수조부(2)에 저류할 수 있다.
원수조체(10)를 끼워넣어 지지한 정수조체(1)의 상부 개구는 덮개체(6)에 의해 덮여 있고, 덮개체(6)에 설치한 개폐 밸브(8)는 정수조체(1)의 전측부에 형성한 도출구(3)에 통하고 있으므로, 정수조체(1)를 전방으로 기울였을 때에는 정화수조부(2)에 저류되어 있는 정화수를 도출구(3), 개폐 밸브(8)를 거쳐 외부로 간단히 도출 공급할 수 있어 취급도 용이하다.
필터 카트리지체(20) 내에 설치한 정화부(23)는 정수 케이스(21) 내의 중앙부에 배치장착되는 H형의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24) 및 이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24)의 주위에 배치장착되는 활성탄재층(26)으로 이루어지므로, 원수 도입 구멍(29)으로부터 도입된 원수가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24) 내에 침투될 때 원수 중에 포함되는 소정량의 칼슘, 마그네슘을 수소 이온으로 치환하여 경감하고,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24)으로부터 삼출되어 활성탄재층(26)을 거칠 때에는 유리 잔류 염소, 트리할로메탄, 용해성 납 등을 제거할 수 있어, 애완동물에게 있어서 적합한 정화수로 할 수 있다.
또, 필터 카트리지체(20)의 정수 케이스(21)는 둘레벽에 정수 구멍(22)이 배열 개공되어 있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이므로, 이 정수 케이스(21) 내에 배치한 정화부(23)가 내외 이중층형상인 것과 더불어 정수 케이스(21)에 덮이는 케이스 덮개(27)에 개공되어 있는 원수 도입 구멍(29)으로부터 도입된 원수는 정화부(23)에 의해 정화된 후, 정화수조부(2) 내에 원활하게 도출된다.
필터 카트리지체(20)에는 정화부(23)의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24)을 거치지 않고 활성탄재층(26)을 거치도록 통수시키는 통수부(19)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원수인 수도물 중의 애완동물에게 있어서는 지나치게 많은 칼슘, 마그네슘 등의 필요한 적당량을 조정하여 잔류시킬 수 있어, 필요량 정도의 칼슘, 마그네슘 등을 애완동물에게 섭취시킬 수 있다. 그 뿐만아니라 활성탄재층(26)을 거침으로써 원수 중의 잔류 염소, 혼탁물 등을 제거한 건강한 정화수로서 애완동물에게 섭취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발명의 효과의 항 각각에 있어서 부기한 부호는 도면 중에 기재한 구성 각 부를 나타내는 부분과의 참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붙였다. 본 발명은 이들 기재, 도면 중의 부호 등에 의해 표시된 구조·형상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마찬가지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마찬가지의 덮개체 부분에 있어서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마찬가지의 사용 상태의 개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형태를 설명하면, 도면에 있어서 표시되는 부호 1은 바람직하게는 내부를 외관시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 수지 소재에 의해 형성된 그릇형상의 정수조체이며, 이 정수조체(1)에는 예를 들면 정화해야 할 수도물이 원수로서 공급되어, 일시적으로 저류시키기에 충분한 소정 용적의 원수조체(10)가 상부 내에 수용 배치되어 있고, 이 원수조체(10)의 하방이 정화 후의 정화수가 저류되기에 충분한 소정 용적의 정화수조부(2)가 되어 형성되어 있다.
정수조체(1)는 예를 들면 한쪽 손의 손가락에 의해 쥘 수 있는 좌우 폭이며, 전측 방향으로 경사시킴으로써 정화수를 도출할 수 있도록 전후에서 폭이 넓게 함과 아울러, 전측벽의 상부는 상방에 이름에 따라 점차 산형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한 도출구(3)를 설치함으로써 대략 편평한 직육면체형상을 나타내고, 좌우의 측벽의 외측면에는 손가락이 끼워져 들어가도록 한 오목부형상의 손걸이 함몰부(4)가 형성되어 있다.
원수조체(10)는 정수조체(1) 내에 끼워넣었을 때 도출구(3)측에 공극을 설정하도록 전후 방향에서는 정수조체(1)에 비해 작게 하여 형성되어 있고, 원수조체(10)의 상부 개구 가장자리, 정수조체(1)의 상부 개구 가장자리 각각에 예를 들면 바깥쪽으로 단차부형상으로 돌출 형성한 재치 지지부(11, 5) 상호를 끼워맞춤으로써, 정수조체(1) 내에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장착되고, 정수조체(1)의 상부 내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이중조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원수조체(10)의 바닥부에 관통삽입 배치한 필터 카트리지체(20)가 정화수조부(2) 내에 돌출되게 되어 있고, 원수조체(10) 내에 공급 저류된 원수는 필터 카트리지체(20)를 거침으로써 정수화되고, 이 정화수는 정화수조부(2) 내에 저류되도록 되어 있다. 또, 원수조체(10) 내에 부어진 원수와, 정화 후의 정화수는 서로 섞일 일이 없도록 배려되어 있다.
또, 정수조체(1) 내에 수용 배치된 원수조체(10)의 상부 개구는 착탈이 자유로운 덮개체(6)에 의해 덮여 있고, 이 덮개체(6)는 정수조체(1)의 상부 개구 가장자리에 형성한 상기 재치 지지부(5)에 끼워맞춰져 거는 걸음 가장자리부(7)를 외주 가장자리에 구비하고 있고, 재치 지지부(5)에 대한 예를 들면 강제적인 끼워맞춤 또는 분리에 의해 착탈되도록 되어 있다.
이 덮개체(6)의 전측부에는 요동 개폐가 자유로운 개폐 밸브(8)가 도출구(3)에 통하도록 합치시켜 힌지(9)를 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정수조체(1)를 전방으로 기울임으로써 정화수조부(2) 내의 정화수가 도출구(3)에 이끌려, 개폐 밸브(8)를 약간 누르도록 하여 개방하고, 그대로 도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부호 15는 칸막이판이며, 정수조체(1)를 전방으로 기울여서 도출구(3)로부터 정화수를 도출시킬 때, 원수조체(10) 내에 저류되어 있는 원수가 도출구(3)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고 있다.
필터 카트리지체(20)는 원수조체(10)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있는 예를 들면 평면에서 원형을 나타내는 통단차부형상의 카트리지 지지부(16)에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정화수조부(2) 내에 위치 결정되도록 장착 지지된다. 이 필터 카트리지체(20)에 의해 원수가 정화됨으로써, 예를 들면 수도물인 원수 중의 칼슘, 마그네슘 등의 대부분이 제거되어 적당량으로 경감되고, 또 유리 잔류 염소, 트리할로메탄, 용해성 납 등이 제거되도록 되어 있다.
즉, 필터 카트리지체(20) 자체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둘레벽에 다수의 정수 구멍(22)이 배열 개공되어 있는 정수 케이스(21)와, 이 정수 케이스(21) 내의 중앙부에 배치장착되는 H형의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24) 및 이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24)의 주위에 배치장착되는 활성탄재층(26)으로 이루어지는 정화부(23)와, 이 정화부(23)를 정수 케이스(21) 내에 유지시킨 상태에서 정수 케이스(21)의 상부 개구에 착탈이 자유롭게 덮임과 아울러, 카트리지 지지부(16)에 거는 걸음부를 구비하고, 원수를 정수 케이스(21) 내로 도입시키는 원수 도입 구멍(29)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덮개(27)를 구비하고, 또 정화부(23)의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24)을 거치지 않고 활성탄재층(26)을 거치도록 통수시켜 필터 카트리지체(20)로부터 도출시키도록 한 통수부(19)를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카트리지 지지부(16)는 원수조체(10)의 바닥부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원수조체(10)의 내측으로부터 필터 카트리지체(20)를 끼워넣음으로써, 필터 카트리지체(20)는 케이스 덮개(27)에 설치되어 있는 걸음부에 의해, 정화수조부(2) 내에 돌출 상태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정수 케이스(21)는 이것의 둘레벽에 배열 개공되는 정수 구멍(22)이 예를 들면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형상으로 되어 상하 방향, 주위 방향을 따라 개구되어 있는 것으로 둘레벽 자체는 격자형상을 나타내고, 정수 케이스(21) 내에서 정화된 정화수가 정화수조부(2) 내에 원활하게 도출되도록 되어 있다.
정화부(23)는 내외 방향에서의 H형의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24), 활성탄재층(26)의 이중층 구성으로 되어 있고, 도시와 같이 케이스 덮개(27)의 원수 도입 구멍(29)으로부터 도입된 원수가 제1 단계에서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24) 내에 침투하고, 이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24)을 거쳐 제2 단계에서 활성탄재층(26) 내에 침투한 후에는, 원수 중으로부터 칼슘, 마그네슘분이 경감된 정화수가 정수 구멍(22)을 거쳐 도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24)과 활성탄재층(26) 사이에는 소정의 원통형상으로 성형된 부직포재(25)가 개재장착되어 있고, 활성탄재층(26)의 외주도 소정의 원통형상으로 성형된 부직포재(25)로 덮여 있다.
케이스 덮개(27)는 이것의 상벽, 둘레벽에 배열 개공되는 원수 도입 구멍(29)이 예를 들면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형상으로 되어 상하 방향, 주위 방향 등을 따라 개구되어 있는 것으로 둘레벽 자체는 격자형상을 나타내고, 또 이 케이스 덮개(27) 내에서는 정화부(23)에 있어서의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24)에 원수가 직접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 덮개(27)의 외측에는 상기 카트리지 지지부(16)에 걸도록 한 플랜지형상의 걸음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부호 31은 케이스 덮개(27)의 상벽에 설치한 대략 링형상을 나타내는 손잡이이며, 소정 일시의 경과에 따른 사용에 의해 여과 성능이 저하된 경우에, 필터 카트리지체(20) 자체를 교환하도록 취출하고, 또는 필터 카트리지체(20)에 있어서의 정수 케이스(21)로부터 케이스 덮개(27)를 개방함으로써 내부에 배치장착되는 정화부(23)를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통수부(19)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 카트리지체(20)의 내부에 있어서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필터 카트리지체(20)의 내부에 장입되는 정화부(23)의 상방에서 원수 도입 구멍(29)으로부터 도입된 원수를 이 정화부(23)에 있어서의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24)을 거치지 않고 활성탄재층(26)을 거치도록 통수시켜 필터 카트리지체(20)의 외부 도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통수부(19)의 용적은 필터 카트리지체(20) 전체에 비해 예를 들면 대략 20%정도로 되어 있어, 칼슘, 마그네슘 등의 제거율이 100%가 안되도록 하여, 애완동물에게 있어서 필요한 정도의 칼슘, 마그네슘 등이 섭취되도록 배려하고, 또 활성탄재층(26)에 의해 잔류 염소, 혼탁물 등은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24)은 칼슘, 마그네슘을 수소 이온으로 치환하는 H형의 양이온 교환 수지재를 채용하고 있다. 이것은 칼슘, 마그네슘을 나트륨 이온으로 치환하는 Na형의 양이온 교환 수지재에서는 수용액 중에 방출되는 나트륨 이온이 애완동물에게 있어서의 음용수로서 부적합하기 때문이며, H형의 양이온 교환 수지재를 채용함으로써 칼슘, 마그네슘 등의 50~80%를 제거하여, 정화수 중에 칼슘, 마그네슘을 적당량으로 약간 잔류시킴으로써, 풍미를 유지하고, 미네랄 결핍증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H형의 양이온 교환 수지재에 의해 정화수 중에 수소 이온이 방출되어도, 이것은 애완동물에게 있어서는 무해하며, 건강에 영향을 주지 않을 뿐만아니라, 정화수의 pH값이 0.5~0.8정도로 산성화되도록 하여, pH 제어에도 도움이 되는 것이다.
상기 활성탄재층(26)은 JIS13 항목에 대응한 정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고, 예를 들면 유리 잔류 염소, 곰팡이 냄새(2-MIB), 혼탁물, 총 트리할로메탄(클로로포름, 브로모디클로로메탄, 디브로모클로로메탄, 브로모포름의 총칭), 농약(CAT),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용해성 납, 1,1,1-트리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브로모디클로로메탄, 디브로모클로로메탄, 브로모포름 등을 제거하고, 예를 들면 수도물 중의 빨간 녹 등의 혼탁물(오염물)을 제거함으로써 신장 기능이 약한 애완동물에게 있어서 특별히 배려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이것의 사용의 일례를 설명하면, 고양이, 개 등의 애완동물에게 음용수 등을 줄 때에, 덮개체(6)를 분리하여 개방한 원수조체(10) 내에 예를 들면 수도물을 원수로 하여 부우면 되고, 부어진 원수는 필터 카트리지체(20)의 통수부(19), 정화부(23)를 거침으로써, 원수 중의 칼슘, 마그네슘 등이 경감되어 연수화되고, 또 잔류 염소, 혼탁물 등이 제거된 후, 정수조체(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정화수조부(3) 내에 저류된다. 이 저류된 정화수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구 자체의 전측부 즉 정수조체(1)의 전측부를 하방으로 기울임으로써 개방되는 개폐 밸브(8)를 거쳐 외부로 도출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소정의 음용수 용기 내에 정화수를 부우면 되는 것이다.
또, 사용에 의해 필터 카트리지체(20)에 있어서의 정화 기능이 저하되면, 필터 카트리지체(20) 자체를 교환하도록 취출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필터 카트리지체(20)에 있어서의 정화부(23)만을 교환함으로써 반복해서 사용되는 것이다.
1…정수조체
2…정화수조부
3…도출구
4…손걸이 함몰부
5…재치 지지부
6…덮개체
7…걸음 가장자리부
8…개폐 밸브
9…힌지
10…원수조체
11…재치 지지부
15…칸막이판
16…카트리지 지지부
19…통수부
20…필터 카트리지체
21…정수 케이스
22…정수 구멍
23…정화부
24…양이온 교환 수지재층
25…부직포재
26…활성탄재층
27…케이스 덮개
29…원수 도입 구멍
31…손잡이

Claims (6)

  1. 하부에 정화수조부가 형성되어 있고, 전측부에 형성한 도출구를 통하여 정화수를 도출시키는 개폐 밸브를 가지는 정수조체와, 이 정수조체의 상부 내에 끼워넣어 지지되는 원수조체와, 이 원수조체에 공급된 원수를 도입하여, 칼슘, 마그네슘을 경감 정화하여 정화수조부에 정화수를 도출시키도록 정화부를 구비하고 있고, 원수조체의 바닥부에 끼워넣어 지지되는 필터 카트리지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정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체는 상기 원수조체의 내부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원수 도입 구멍을 가지는 케이스 덮개에 의해 덮여 있고, 상기 정화수조부의 내부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정수 구멍을 가지는 정수 케이스의 내부에, 중앙부에 배치장착되는 H형의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 및 이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의 주위에 배치장착되는 활성탄재층으로 이루어지는 정화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정수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 원수조체를 끼워넣어 지지된 상기 정수조체의 상부 개구는 상기 개폐 밸브가 요동 개폐 자유롭게 되어 설치되어 있는 착탈이 자유로운 덮개체에 의해 덮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정수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조체는 상기 정수조체의 내부에 끼워넣었을 때 도출구측에 공극을 설정하도록 전후 방향에서는 상기 정수조체에 비해 작게 하여 형성되어 있고, 원수조체의 상부 개구 가장자리, 정수조체의 상부 개구 가장자리 각각에 형성한 재치 지지부 상호를 끼워맞춤으로써 정수조체의 내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하여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정수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체는 상기 원수조체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지지부에 끼워져 들어가 상기 정화수조부의 내부에 위치 결정 지지되고,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둘레벽에 다수의 정수 구멍이 배열 개공되어 있는 정수 케이스와, 이 정수 케이스의 내부의 중앙부에 배치장착되는 H형의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 및 이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의 주위에 배치장착되는 활성탄재층으로 이루어지는 정화부와, 이 정화부를 정수 케이스 내부에 유지시킨 상태에서 정수 케이스의 상부 개구에 덮임과 아울러, 카트리지 지지부에 거는 걸음부를 구비하고, 원수를 정수 케이스의 내부로 도입시키는 원수 도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덮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정수구.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체에는 정화부의 양이온 교환 수지재층을 거치지 않고 활성탄재층을 거치도록 통수시키는 통수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정수구.
KR1020160088398A 2015-08-07 2016-07-13 애완동물용 정수구 KR201700177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04017U JP3200546U (ja) 2015-08-07 2015-08-07 愛玩動物用浄水具
JPJP-U-2015-004017 2015-08-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718A true KR20170017718A (ko) 2017-02-15

Family

ID=54477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398A KR20170017718A (ko) 2015-08-07 2016-07-13 애완동물용 정수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53377B2 (ko)
JP (1) JP3200546U (ko)
KR (1) KR20170017718A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166A (ko) 2018-07-26 2020-02-05 태형물산 주식회사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CN110915693A (zh) * 2018-09-19 2020-03-27 Lg电子株式会社 用于动物的液体分配器
KR20210009099A (ko) 2019-07-16 2021-01-26 태형물산 주식회사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US11160250B2 (en) 2018-09-19 2021-11-02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191252B2 (en) 2018-09-19 2021-12-07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527906B2 (en) 2018-09-19 2022-12-13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565202B2 (en) 2018-09-19 2023-01-31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590438B2 (en) 2018-09-19 2023-02-28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596127B2 (en) 2018-09-19 2023-03-07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653627B2 (en) 2018-09-19 2023-05-23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659813B2 (en) 2018-09-19 2023-05-30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659812B2 (en) 2018-09-19 2023-05-30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771058B2 (en) 2018-09-19 2023-10-03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793160B2 (en) 2018-09-19 2023-10-24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871732B2 (en) 2018-09-19 2024-01-16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07485A1 (de) * 2016-04-22 2017-10-26 Poromembrane Gmbh Wasseraufbereitungsvorrichtung
US10758080B2 (en) * 2017-06-01 2020-09-0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and extraction fluid assembly
CH714085A1 (de) * 2017-08-28 2019-02-28 Wrh Walter Reist Holding Ag Förderanlage.
CN107822571A (zh) * 2017-12-08 2018-03-23 广州大学 辅助智能拖地机器人的带过滤功能的充电基站
US11872506B2 (en) * 2018-07-07 2024-01-16 Paragon Water Systems, Inc. Water filter cartridge having an air vent
CN110228655A (zh) * 2019-07-17 2019-09-13 莱克电气绿能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水箱及具有该水箱的净水器
CN110673458B (zh) * 2019-11-11 2021-04-06 漳州市英姿钟表有限公司 一种组合式多功能电子时钟
USD1016971S1 (en) * 2021-08-18 2024-03-05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Filter core for po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0833A (ja) 2004-06-15 2006-01-05 Mind Bank:Kk 動物用飲料水に関するビジネスモデル
JP2008272693A (ja) 2007-05-01 2008-11-13 Cosmo Health Kk 浄水器
JP2009131768A (ja) 2007-11-29 2009-06-18 Inax Corp 浄軟水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72771A (en) * 1931-03-13 1932-08-23 Little Ernest Lamar Container
US5082568A (en) * 1989-03-17 1992-01-21 Ametek, Inc. Method for removing low concentrations of metal contaminants from water
US5637214A (en) * 1995-11-09 1997-06-10 Kahana; Dov Filter assembly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US6524477B1 (en) * 1997-08-27 2003-02-25 Rich Buhler Gravity-flow filtration cartridge for the removal of microorganisms and/or other contaminants
US6103114A (en) * 1998-01-09 2000-08-15 Recovery Engineering, Inc. Pour-through water treatment carafe
WO2002051755A1 (en) * 2000-12-25 2002-07-04 Mitsubishi Rayon Co., Ltd. Pitcher type water purifier and purification cartridge for the water purifier
US20020193453A1 (en) * 2001-06-04 2002-12-19 Bohling James Charles Preparation of weak acid cation exchange resins
US20050115879A1 (en) 2002-09-03 2005-06-02 Kochergin Stanislav M. Water filter and the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20060000763A1 (en) * 2004-06-30 2006-01-05 Rinker Edward B Gravity flow carbon block filter
US8097159B1 (en) 2009-10-28 2012-01-17 Ming-Tsai Tsai Pressure filter type water kettle
US20130092090A1 (en) 2011-09-12 2013-04-18 Scott D. McCallum Pet watering system for cage, crate, or kennel
US9388058B2 (en) 2012-11-19 2016-07-12 Kenneth A. Koch Water soften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0833A (ja) 2004-06-15 2006-01-05 Mind Bank:Kk 動物用飲料水に関するビジネスモデル
JP2008272693A (ja) 2007-05-01 2008-11-13 Cosmo Health Kk 浄水器
JP2009131768A (ja) 2007-11-29 2009-06-18 Inax Corp 浄軟水器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166A (ko) 2018-07-26 2020-02-05 태형물산 주식회사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US11589555B2 (en) 2018-09-19 2023-02-28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having dispensing assembly
US11793160B2 (en) 2018-09-19 2023-10-24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154034B2 (en) 2018-09-19 2021-10-26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having sensors
US11160250B2 (en) 2018-09-19 2021-11-02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191252B2 (en) 2018-09-19 2021-12-07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527906B2 (en) 2018-09-19 2022-12-13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565202B2 (en) 2018-09-19 2023-01-31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596127B2 (en) 2018-09-19 2023-03-07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871732B2 (en) 2018-09-19 2024-01-16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590438B2 (en) 2018-09-19 2023-02-28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570968B2 (en) 2018-09-19 2023-02-07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having peltier
US11617348B2 (en) 2018-09-19 2023-04-04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having filter assembly
US11653627B2 (en) 2018-09-19 2023-05-23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659813B2 (en) 2018-09-19 2023-05-30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659812B2 (en) 2018-09-19 2023-05-30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766026B2 (en) 2018-09-19 2023-09-26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771058B2 (en) 2018-09-19 2023-10-03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CN110915693A (zh) * 2018-09-19 2020-03-27 Lg电子株式会社 用于动物的液体分配器
US11839202B2 (en) 2018-09-19 2023-12-12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having container
KR20210009099A (ko) 2019-07-16 2021-01-26 태형물산 주식회사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53377B2 (en) 2018-08-21
JP3200546U (ja) 2015-10-22
US20170036925A1 (en)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7718A (ko) 애완동물용 정수구
US6120686A (en) Water treatment device with drinking water filter, regeneration device and process for treatment of drinking water
US20050098506A1 (en) Water purification cartridge
KR20180138238A (ko) 정수필터가 내장된 애완용정수기
KR200458705Y1 (ko) 탈착 가능한 카트리지형 필터
KR101552394B1 (ko) 순환식 여과조가 구비되는 수족관
JP4906797B2 (ja) 浄水器
JP5641375B2 (ja) 浄水器
JP2016055913A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WO2017109813A1 (ja) 浄水方法及び浄水装置
KR20140147623A (ko) 농작물 절임수 및 세척수의 정수시스템
KR102323953B1 (ko)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CN204173968U (zh) 抗菌滤芯和具有其的净水设备
KR200429134Y1 (ko) 자연 여과식 정수기능을 구비한 알칼리 환원수 생성기
CN208250021U (zh) 净化滤芯及净水杯
WO2011032848A1 (en) A water purification device
CA2981484C (en) Time-release tablet and methods
KR101833105B1 (ko)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CN213037549U (zh) 一种集成式净软水一体机
KR100859375B1 (ko) 연수기용 필터장치
JPH01262983A (ja) 浄水器
KR20060100293A (ko)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
KR20120008427U (ko) 살균 가능한 저장탱크
WO1999033539A1 (en) Water purification filter
KR200495365Y1 (ko) 샤워기헤드 내장용 용해성 기능물질 용출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기헤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