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105B1 -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105B1
KR101833105B1 KR1020150180022A KR20150180022A KR101833105B1 KR 101833105 B1 KR101833105 B1 KR 101833105B1 KR 1020150180022 A KR1020150180022 A KR 1020150180022A KR 20150180022 A KR20150180022 A KR 20150180022A KR 101833105 B1 KR101833105 B1 KR 101833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aquarium
unit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1858A (ko
Inventor
장윤정
Original Assignee
장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윤정 filed Critical 장윤정
Priority to KR1020150180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105B1/ko
Publication of KR20170071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0012Devices for disintegrating materials by collision of these materials against a breaking surface or breaking body and/or by friction between the material particles (also for gr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10Photocataly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된 본체(22)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본체(22)의 내부를 좌우로 분할하면서 좌우로 분할된 공간에 채워지는 용수가 소통되도록 하단 일측에 일정 크기로 관통구(42)가 형성된 수직격벽(40)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22)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용수 및 에어를 폭기시켜 거품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거품 및 이물질이 부상하여 본체(22)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면서 거품 및 이물질과 분리된 용수는 하단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수직격벽(40)으로 분할된 본체(22)의 내부 일측에 거품발생 및 배출부(B)가 형성되며, 상기 거품발생 및 배출부(B)에서 정화된 용수가 상기 수직격벽(40)의 관통구(42)를 통해 유입되면 살균장치(60)의 동작으로 용수에 포함된 각종 세균을 살균처리하여 수족관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수직격벽(40)으로 분할된 본체(22)의 내부 타측에 살균처리부(S)가 형성되며, 상기 거품발생 및 배출부(B)에서 폭기되는 용수가 부딪혀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분리 또는 큰 입자의 이물질이 분쇄되도록 상기 거품발생 및 배출부(B)의 하단에 이물질분쇄부(T)가 구비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Purifier of quality of water for aquarium}
본 발명은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식장, 수족관 등에 설치되어 양식 개체의 배설물이나 공급된 먹이의 잉여물, 기타 용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로 인해 수질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양식 개체들의 성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수어를 육상에서 양식하거나 각종 식당에서 해수어나 담수어를 살아 있는 상태로 보관하기 위해 양식장 또는 수족관(이하, 수족관으로 통칭함)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수족관에는 양식 개체들의 생존 및 성장을 위해 먹이를 공급해주고, 수시로 수족관의 물(이하, ‘용수’라 통칭하지만, 의미의 정확한 전달을 위해 그냥 ‘물’이라고 칭하기도 함)을 교체해주는 관리가 필요하다.
즉, 수족관에서 양식되고 있는 개체들에게 먹이를 공급하는 경우, 먹이 중 일부는 수족관 바닥으로 가라앉아 부패되어 각종 유해물질을 배출하게 되어 수생 개체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양식 개체들이 배출한 배설물이 용수에 떠 다니거나 가라 앉아 부패되면서 용수의 산소량을 감소시키고 질산 또는 암모니아이온 등의 유해성분의 증가로 수생 개체들의 생존 및 성장에 지장을 주게 되어 수시로 수족관의 용수 전부 또는 일부를 교체해주고, 수족관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해야 하는 관리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수족관의 용수를 교체하는데 비용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수족관의 청소 및 용수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잦은 청소 및 용수의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용수에 각종 세균이 증식하여 양식되고 있는 개체들의 폐사를 야기시키거나 개체들의 세균 감염을 일으켜 최종 소비자인 사람들에게조차도 그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수족관 용수의 잦은 교체 및 청소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수족관의 용수에 산소를 공급하여 용존 산소량을 높이기 위해 산소공급장치와 스키머를 포함하는 다양한 수질정화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수족관에 이용되고 있는 종래의 수질정화장치에 대한 대표적인 실시예로 도 1 및 도 2에 스키머의 개략적인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수질정화장치로 수족관에 사용되는 스키머는 수족관의 용수에 포함된 각종 부유물과 용존 유기물, 개체들의 배설물(이하, ‘이물질’이라 총칭함) 등이 거품과 함께 부상되면 이를 수족관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오염원의 배출을 통해 수족관의 용수를 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키머(10)의 경우, 수족관측에서 공급되는 용수가 본체(11)의 상부측에 마련된 용수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되면서 별도로 구비된 에어공급장치에서 에어유입구(14)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와 함께 본체의 내부 일측 하방으로 폭기되면서 거품을 발생시키고, 용수속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발생된 거품과 함께 본체(11)의 상부로 떠오르게 하여 거품배출구(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장치인 스키머(10)의 경우, 본체(12)의 하방 일측에 마련된 용수유입구(13) 및 에어유입구(14)를 통해 수족관의 용수와 에어가 공급되어 본체 내부에서 상방향을 향해 분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용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생성된 기포에 달라붙어 본체 내측 상부로 부상한 후에 거품배출구(15)를 통해 본체의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수족관의 용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 스키머(10)의 경우, 수족관의 용수가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공급된 에어와 함께 폭기되면서 발생된 거품과 함께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되는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져 있지만, 실질적으로 용수에 포함된 각종 용존 유기물이 물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중량에 의해 스키머의 하부로 가라앉아 다시 수족관으로 배출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물의 정화능력을 크게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었다.
즉, 스키머를 이용하여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배출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용수와 용존 유기물과의 분리가 선행되어야 거품과 함께 쉽게 수면위로 부상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지만, 종래의 스키머는 에어를 이용한 단순한 폭기방식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높인다 하여도 물분자와 강하게 결합된 각종 유기물이 쉽게 분리되지 않아 그 효과가 저조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였다.
- 한국 등록특허 제10-1049378호(등록일:2011.07.08, 발명의 명칭: 해수 수족관용 스키머) -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119280호(공개일: 2014.10.10, 발명의 명칭: 해수 수족관 정화용 스키머) - 한국 등록특허 제10-1445077호(등록일: 2014.09.22, 발명의 명칭: 해수 정화용 스키머의 기포발생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가 갖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질정화장치 내부로 유입된 용수가 공기와 함께 폭기되면서 충돌하여 물분자와 결합된 각종 유기물 및 이물질이 쉽게 탈리되도록 하여 발생된 거품과 함께 수면위로 신속하게 부상,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용수의 정화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거품과 함께 부상하는 이물질이 거품발생 및 배출부를 빠져나가는 용수와 다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화된 용수의 오염을 방지하고, 거품발생 및 배출부를 빠져나간 용수가 별도의 살균처리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물속에 생존 하는 각종 세균의 증식방지 및 이들의 멸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깨끗한 수족관 물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는 밀폐된 본체의 내부에 수직 설치되어 본체의 내부를 좌우로 분할하면서 좌우로 분할된 공간에 채워지는 용수가 소통되도록 하단 일측에 일정 크기로 관통구가 형성된 수직격벽과, 외부에서 유입되는 용수 및 에어의 폭기로 발생된 거품 및 이물질이 부상되어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면서 거품 및 이물질과 분리된 용수는 하단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수직격벽으로 분할된 본체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거품발생 및 배출부와, 상기 거품발생 및 배출부에서 정화된 용수가 상기 수직격벽의 관통구를 통해 유입되어 살균장치의 동작으로 용수에 포함된 각종 세균이 살균처리되어 수족관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수직격벽으로 분할된 본체의 내부 타측에 형성되는 살균처리부와, 상기 거품발생 및 배출부에서 폭기되는 용수가 부딪혀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분리 또는 큰 입자의 이물질이 분쇄되도록 상기 거품발생 및 배출부의 하단에 이물질분쇄부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물질분쇄부는, 상기 폭기장치에서 분출되는 용수가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막아주면서 내부로 유입되어 충돌되도록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원통형 또는 사각박스형 통체와, 상기 통체의 내부를 상하로 수평 또는 일정 기울기로 분리하도록 설치되어 통체의 내부로 유입된 용수가 그 표면에 부딪혀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용수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충격판과, 상기 충격판의 표면에서 상방향으로 뽀쪽하게 돌출 형성되어 물의 충격시 용수와 이물질의 분리 및 입자가 큰 이물질의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분쇄돌기와, 상기 통체의 내부에서 거품 및 이물질과 분리된 용수가 충격판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분쇄돌기 사이 또는 주변으로 상하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배출공;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살균처리부는 일정량의 용수가 채워져 상기 거품발생 및 배출부에서 유입된 용수가 살균장치에 의해 직접 살균이 이루어지는 살균부와, 일정 높이의 수직격벽에 의해 상기 살균부와 분리되어 상기 살균부에 저장된 정화된 용수가 상기 수직격벽을 월류하여 임시저장된 후에 용수배출구로 배출되는 정화용수 저장부;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격벽의 상단에는 상기 살균부에서 정화용수 저장부로 넘어가는 물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분리형 수위조절판이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거품발생 및 배출부는 그 내부를 상하로 구분하도록 수평 설치되면서 상호간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수평분리판과, 상부측에 위치한 상기 제1수평분리판의 일측에 상하 관통 설치되어 본체의 외부 수족관에서 유입된 용수를 제1수평분리판의 하부와 제2수평분리판의 상면 사이에 폭기시키면서 용수에서 거품을 발생시키는 폭기장치와, 상기 제1수평분리판의 하부에서 발생된 거품이 제1수평분리판과 본체의 내측 상면 사이에 형성된 거품 및 이물질저장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수평분리판의 일측에 상하 관통된 제1거품배출구와, 상기 거품 및 이물질저장부로 유입된 거품을 본체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거품 및 이물질저장부 일측에서 본체의 외부로 관통 형성된 제2거품배출구와, 상기 제2수평분리판의 상부에서 거품 및 이물질과 분리된 물이 하향 배출된 후에 수직격벽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해 상기 살균처리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수평분리판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배출공;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특히, 상기 살균처리부의 살균장치는 UV광촉매를 이용하여 물속에 포함된 각종 세균 및 유기화합물을 효과적으로 살균 및 정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충격판은 그 수직단면 형상이 톱니형, 요철형, 오목 또는 볼록한 라운드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는 그 내부가 거품이 발생되어 제거되는 거품발생 및 배출부와 거품이 제거된 용수를 살균하는 살균처리부가 수직격벽에 의해 분리구성되어 거품에 포함된 이물질이 다시 수족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수족관의 수질을 신속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거품발생 및 배출부를 통해 이물질이 일차적으로 제거되면서 정화된 후 수족관으로 배출되기 전에 다시 한번 살균처리부를 통과하면서 물속에 포함된 각종 세균을 살균 처리하여 수질 향상은 물론 수족관에서 양식되는 개체들의 건강한 성장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최종 소비자인 사람들에서 건강한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족관의 용수가 유입되어 에어와 함께 폭기가 이루어지는 거품발생 및 배출부 하단에 이물질분쇄부가 구비되어 폭기장치에서 분출되는 용수가 부딪히는 충격판의 표면이 상방으로 뽀쪽하게 돌출된 분쇄돌기가 형성되어 용수의 충돌시 각종 이물질의 분리 및 입자가 큰 이물질의 분쇄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물질의 제거효율을 높여 고품질의 수질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품이 제거된 용수가 살균처리부의 살균부에서 일정 높이 저장되면서 살균이 이루어지고, 살균이 이루어진 용수는 일정 높이의 수직격벽을 월류하여 정화용수 저장부로 이동된 후에 수족관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직격벽의 높이를 조절하여 살균부의 수위 조절과, 이의 수위 조절을 통해 거품발생 및 배출부의 수위 및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수질의 상태에 따라 수처리의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장치의 개략적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의 외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의 내부 구성을 표현한 투시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에서 용수의 흐름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본체의 평면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의 본체에서 거품발생 및 배출부만을 따로 분리하여 정면에서 본 수직절단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에 구성되는 이물질분쇄부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수직절단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의 본체에서 살균처리부만을 따로 분리하여 측면에서 본 수직절단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이하, ‘수질정화장치’로 약칭함)는 수족관의 내측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한 수족관의 외측에 별도로 설치되어 수족관으로부터 용수가 일측으로 유입되어 본체 내부를 통과하면서 용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제거되고, 이물질이 제거된 용수에 서식하는 각종 곰팡이, 바이러스 및 세균을 살균처리한 후에 다시 수족관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수질정화 및 살균처리가 가능한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장치는 본체의 내부가 수직격벽에 의해 좌우로 분할되어 일측에 거품발생 및 배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살균처리부가 형성되어 거품발생 및 배출부에서 폭기과정에 발생된 거품과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되어 정화된 용수가 살균처리부로 이동되어 용수에 포함된 각종 세균을 살균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살균처리부는 그 내부가 또 하나의 수직격벽에 의해 전후로 구분되어 상기 거품발생 및 배출부에서 정화된 용수가 유입된 후에 그 내부에 설치된 살균장치를 통해 살균작업이 수행되는 살균부와, 상기 살균부에서 살균된 용수가 일정 높이의 수위를 넘게 되면 수직격벽을 월류하여 본체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임시 저장될 수 있는 공간부를 제공하는 정화용수 저장부로 구분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살균처리부에 설치되는 수직격벽은 그 상단부가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살균부에 저장되는 용수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수질정화장치 자체의 구성 및 구조에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이 설치되어 사용되는 수족관 및 본 발명의 장치 구동에 관여하는 전기적인 구성은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현 가능한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장치(20)의 일측방향에 대한 외관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장치(20)는 그 본체(22)의 형상이 박스형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수족관(도시 생략)측으로부터 용수가 유입되고 별도의 에어공급장치(도시 생략)로부터 에어가 본체(22)의 상방 일측 내부로 유입되도록 본체(22)의 상면 일측에 용수유입구(23)와 에어유입구(24)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2)의 내부로 유입된 용수가 본체의 내부 일측에 마련된 거품발생 및 배출부(B)에서 폭기되면서 발생된 거품 및 물속에 포함된 이물질 중 거품에 응집된 이물질이 거품과 함께 부상하여 본체(2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본체(22)의 상방 일측면에 거품배출구(25)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거품발생 및 배출부(B)가 형성된 대향측의 본체(22) 타측에 상기 거품발생 및 배출부(B)에서 정화된 용수가 유입되어 살균처리과정이 수행되는 살균처리부(S)가 형성되고, 상기 균처리부(S)는 그 내부에 설치된 설치된 수직격벽에 의해 전후방 공간이 양분되어 살균장치가 설치된 살균부(S1)와, 살균된 용수가 임시 저장된 후에 본체(2)의 전면에 형성된 용수배출구(26)로 배출되도록 하는 정화용수 저장부(S2)로 분할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22)의 전면 및 상면에는 상기 본체(22)의 내부를 청소할 때 이용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소제구(27,28)이 각각 형성되어 마개(부호생략)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4에는 상술한 수질정화장치(20)의 내부 구성 및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내부 투시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장치(20)의 주요 구성 및 용수의 처리흐름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장치(20)는 본체(22)의 내부가 중앙에 수직 설치된 수직격벽(40)에 의해 좌우 양쪽으로 일측에 거품발생 및 배출부(B)가 구비되고, 타측에 살균처리부(S)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체(22)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상기 거품발생 및 배출부(B)는 수족관측으로부터 용수가 유입되어 폭기과정을 통해 거품이 발생되고, 거품발생시 용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분리 또는 분쇄되어 거품과 함께 부상된 후에 본체(22)의 외부로 배출되고, 정화된 용수는 그 하단부로 이동하여 수직격벽(40)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관통구(42)를 통해 상기 살균처리부(S)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살균처리부(S)는 상기 거품발생 및 배출부(B)에서 거품 및 이물질이 제거되어 정화된 용수가 유입, 살균처리가 이루어진 후에 수족관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살균처리부(S)는 상기 거품발생 및 배출부(B)와 수직격벽(40)에 의해 상호 분할되어 상기 거품발생 및 배출부(B)의 폭기과정에서 발생되는 거품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거품 및 이물질이 제거된 용수만 상기 수직격벽(40)의 하단부 일측에 형성된 관통구(42)를 통해 유입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거품발생 및 배출부(B)의 내측에는 용수의 폭기시에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용수와 쉽게 분리되도록 하면서 큰 입자의 이물질은 본쇄될 수 있도록 폭기장치(35)의 하단측에 이물질분쇄부(T)가 추가로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살균처리부(S)는 그 내부가 또 하나의 수직격벽(50)이 설치되어 상기 거품발생 및 배출부(B)에서 유입된 용수가 살균장치(60)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지는 살균부(S1)와, 상기 살균부(S1)에서 살균처리된 용수가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임시 저장되는 정화용수 저장부(S2)로 구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살균부(S1)에 유입된 용수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상기 수직격벽(50)을 월류하여 정화용수 저장부(S2)로 넘어가게 되며, 상기 수직격벽(50)은 그 상단부에 분리형 수위조절판(52)이 설치되어 그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위조절판(52)는 양쪽 가이드바(54)에 끼움 고정되어 분리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장치(20)는 도 5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2)의 일측 거품발생 및 배출부(B)로 용수가 먼저 유입(a)된 후에 폭기과정을 통해 이물질이 제거되고, 이물질이 제거된 용수는 수직격벽의 하단 관통구를 통해 살균처리부(S)의 살균부(S1)로 이동(b)된다.
살균부(S1)로 이동된 용수는 살균과정을 거친 후에 다시 수직격벽을 월류(c)하여 정화용수 저장부(S2)로 이동된 후에 용수배출구(26)를 통해 본체 외부로 배출(d)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거품발생 및 배출부(B)의 구성에 대해서 도 4 및 도 6을 참고하면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장치(20)에서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거품발생 및 배출부(B)만을 따로 분리하여 정면상태의 수직단면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품발생 및 배출부(B)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그 내부를 상하로 구분하도록 상하부에 각각 제1수평분리판(31)과 제2수평분리판(37)이 수평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22)의 외부에서 유입된 용수를 제1수평분리판(31)의 하부와 제2수평분리판(37)의 상면 사이의 공간부에 폭기시킬 수 있도록 제1수평분리판(31)의 일측에서 제1수평분리판(31)에 상하 관통되게 폭기장치(35)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1수평분리판(31)의 하부에서 용수의 폭기과정에서 발생된 거품이 제1수평분리판(31)의 상부로 올라와 본체(22)의 내측 상면 사이에 형성된 거품 및 이물질저장부(29)에 임시 저장되도록 제1수평분리판(31)의 일측에 제1거품배출구(25a)가 마련되고, 상기 거품 및 이물질저장부(29)로 유입된 거품 및 이물질이 본체(2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본체(22)의 일측면에 제2거품배출구(25b)가 관통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폭기장치(35)에 대응하는 상기 제2수평분리판(37)의 상부에는 폭기되는 용수가 충돌되어 이물질이 용수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이물질 분쇄부(T)가 구비되고, 상기 제2수평분리판(37)의 표면에는 상하로 복수개의 배출공(38)이 관통 형성되어 거품 및 이물질과 분리된 용수가 제2수평분리판(37)의 하단으로 배출된 후에 수직격벽(40)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관통구(42)를 통해 상기 살균처리부(S)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거품발생 및 배출부(B)의 폭기장치(35) 하단에 설치되는 이물질분쇄부(T)에 대해서 좀더 상술하면, 상기 이물질분쇄부(T)는 그 상방에 설치된 폭기장치(35)에서 분출되는 용수가 그 내측으로 낙하되어 충돌하면서 거품이 발생되도록 하고, 거품발생과 함께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시키거나 큰 입자의 이물질을 분쇄하여 부상하는 거품에 쉽게 응집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분쇄부(T)는 상기 폭기장치(35)에서 하방으로 분출되는 용수가 내측으로 유입되어 충돌된 후에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막아주는 원통형 또는 사각박스형 통체(30)와, 상기 통체(30)의 내부를 상하로 분리하도록 통체(30)의 내부에 설치된 충격판(32)과, 상기 충격판(32)의 표면에서 상방향으로 뽀쪽하게 돌출되어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분리 및 큰 입자의 이물질을 분쇄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분쇄돌기(34)와, 상기 충격판(32)에 부딪힌 용수 중 일부가 충격판(32)의 하부로 통과되도록 충격판(32) 표면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배출공(36)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체(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충격판(32)은 충돌하는 물과 직각 또는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충격판(32)의 표면에 형성된 배출공(36)은 복수개의 분쇄돌기(34) 사이 또는 그 주변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7 내지 도 9에는 상술한 이물질분쇄부(T)의 다양한 실시예의 수직절단면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체(30)의 내부에 구비되는 충격판(32)은 그 표면에 선단부가 뽀족한 분쇄돌기(34)가 돌출 형성된 기본적인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충격판(32)이 폭기가 이루어지는 용수의 분출방향이나 위치 등에 따라 효율적인 접촉 및 대면적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형상이 산형, 골형, 요철형, 볼록 또는 오목한 라운드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충격판(32)의 형상은 낙하되는 용수와의 충격력을 높이면서 용수의 충격시 이물질의 분리 및 입자가 큰 이물질의 분쇄가 용이한 형상이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10에는 본체(22)의 타측에 구비되는 살균처리부(S)만을 발췌하여 그 측면단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균처리부(S)는 살균장치(60)가 내부에 설치된 살균부(S1)와, 상기 살균부(S1)와 수직격벽(50)으로 분리된 정화용수 저장부(S2)로 구성된다.
상기 살균부(S1)와 정화용수 저장부(S2) 사이에 설치된 격벽(50)은 전체 높이 중 일정 부분(하단부)은 고정벽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정 부분(상단부)이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분리형 구조를 갖도록 상기 수직격벽(50)의 상단부에는 분리형 수위조절판(52)이 설치되어 상기 수위조절판(52)을 조립하거나 빼냄으로써 상기 살균부(S1)에서 정화용수 저장부(S2)로 넘어가는 수위 및 용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상기 수위조절판(52)은 좌우 양쪽에 내벽에 구비된 가이드바(54)에 양단이 끼움 고정되어 상부로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살균부(S1)와 정화용수 저장부(S2) 사이에 구비된 수직격벽(50)의 높이 조절은 살균부(S1)에 유입되어 저장되는 용수의 수위 조절을 통해 거품발생 및 배출부(B)에서 유입되는 유량조절과, 거품발생 및 배출부(B) 내부의 수위조절, 살균부(S1)에서 정화용수 저장부(S2)로 넘어가는 수량 조절을 통해 수질정화장치의 수처리시간(정수 및 살균처리 시간)을 전체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살균처리부(S)의 살균장치(60)는 UV광촉매를 이용하여 물속에 포함된 각종 세균 및 유기화합물을 살균 및 정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살균장치(60)는 그 중심부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UV램프(62) 및 석영관(63)이 구성되고, 석영관(63)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원주방향으로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UV램프(62)에서 발광되는 빛을 수광하여 살균작용을 하도록 그 내주면에 이산화티탄늄이 코팅된 광촉매코팅판(64)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살균장치(60)는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중앙의 UV램프(62)가 점등되면서 발광된 빛이 그 주변 광촉매코팅판(64)의 표면에 수광되어 코팅된 이산화티탄늄의 산화반응에 의해 물속에 포함된 각종 세균을 살균하도록 한다.
이산화티타늄(TiO2)에 의한 살균기능은 종래에 다양한 문헌을 통해 그 살균효과가 널리 공지되어 있어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장치(20)는 본체의 내부 일측에 마련된 거품발생 및 배출부(B)에서 수족관의 용수가 유입되면서 폭기과정이 수행되고, 이 폭기과정에서 발생된 거품과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거품과 함께 제1수평분리판(31)의 상부로 모여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거품 및 이물질이 제거된 정화된 용수는 제2수평분리판(37)의 배출공(38)을 통해 그 하부로 낙하되어 수직격벽(40)에 의해 분리되어 본체의 타측에 마련된 살균처리부(S)로 유입하게 된다.
특히, 상기 거품발생 및 배출부(B)에소 폭기가 이루어지는 용수가 제2수평분리판(37) 상면에 구비된 이물질분쇄부(T)에 충돌되면서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분리되면서 큰 입자의 이물질은 그 충격력에 의해 소립자로 분쇄되고, 이렇게 분리 및 분쇄된 이물질은 거품과 함께 부상되어 본체 외부로 배출되게 되므로, 용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신속하면서 효율적으로 분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살균처리부(S)로 유입된 용수는 살균부(S1)에서 살균이 이루어지고, 살균부(S1)에서 살균된 용수는 또 다른 수직격벽(50)을 월류하여 정화용수 저장부(S2)로 넘어간 후에 용수배출구(26)를 통해 다시 수족관측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의 범위 내에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구성을 토대로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 이러한 변형실시예 또한 본원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0 : 스키머 11,12 : 본체
13 : 용수 유입구 14 : 에어 유입구
15 : 거품배출구 16 : 용수 배출구
20 : 수질정화장치 22 : 본체
23 : 용수 유입구 24 : 에어 유입구
25a,25b : 제1 및 제2거품 배출구 26 : 용수 배출구
27,28 : 소제구 29 : 거품 및 이물질저장부
30 : 통체 31 : 제1수평분리판
32 : 충격판 34 : 분쇄돌기
35 : 폭기장치 36,38 : 배출공
37 : 제2수평분리판 40,50 : 격벽
42 : 관통구 52 : 수위조절판
54 : 가이드 바 60 : 살균장치
62 : UV램프 63 : 석영관
64 : 광촉매코팅판 B : 거품발생 및 배출부
S : 살균처리부 S1 : 살균부
S2 : 정화용수 저장부 T : 이물질 분쇄부

Claims (6)

  1. 밀폐된 본체(22)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본체(22)의 내부를 좌우로 분할하면서 좌우로 분할된 공간에 채워지는 용수가 소통되도록 하단 일측에 일정 크기로 관통구(42)가 형성된 수직격벽(40)과, 외부에서 유입되는 용수 및 에어의 폭기로 발생된 거품 및 이물질이 부상되어 본체(22)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면서 거품 및 이물질과 분리된 용수는 하단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수직격벽(40)으로 분할된 본체(22)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거품발생 및 배출부(B)와, 상기 거품발생 및 배출부(B)에서 정화된 용수가 상기 수직격벽(40)의 관통구(42)를 통해 유입되어 살균장치(60)의 동작으로 용수에 포함된 각종 세균이 살균처리되어 수족관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수직격벽(40)으로 분할된 본체(22)의 내부 타측에 형성되는 살균처리부(S)와, 상기 거품발생 및 배출부(B)에서 폭기되는 용수가 부딪혀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분리 또는 큰 입자의 이물질이 분쇄되도록 상기 거품발생 및 배출부(B)의 하단에 이물질분쇄부(T)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물질분쇄부(T)는,
    상기 폭기장치(35)에서 분출되는 용수가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막아주면서 내부로 유입되어 충돌되도록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원통형 또는 사각박스형 통체(30)와,
    상기 통체(30)의 내부를 상하로 수평 또는 일정 기울기로 분리하도록 설치되어 통체(30)의 내부로 유입된 용수가 그 표면에 부딪혀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용수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충격판(32)과,
    상기 충격판(32)의 표면에서 상방향으로 뽀쪽하게 돌출 형성되어 물의 충격시 용수와 이물질의 분리 및 입자가 큰 이물질의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분쇄돌기(34)와,
    상기 통체(30)의 내부에서 거품 및 이물질과 분리된 용수가 충격판(32)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분쇄돌기(34) 사이 또는 주변으로 상하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배출공(36);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처리부(S)는
    상기 거품발생 및 배출부(B)에서 유입된 정화된 용수가 일정량 채워지면 내부에 설치된 살균장치가 동작되어 용수에 포함된 각종 세균을 살균하는 살균부(S1)와,
    상기 살균부(S1)와 일정 높이의 수직격벽(50)에 의해 분리되어 살균처리된 용수가 상기 수직격벽(50)을 월류하여 수족관측으로 배출되기 전에 임시 저장되는 정화용수 저장부(S2);로 구성되되,
    상기 수직격벽(50)의 상단에는 상기 살균부(S1)에서 정화용수 저장부(S2)로 넘어가는 용수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분리형 수위조절판(52)이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발생 및 배출부(B)는
    상호간에 일정거리 이격되면서 그 내부를 상하로 구분하도록 상하부에 각각 수평 설치되는 제1 및 제2수평분리판(31,37)과,
    상부에 위치한 상기 제1수평분리판(31)의 일측에 상하 관통 설치되어 본체(22)의 외부 에서 유입된 용수를 제1수평분리판(31)의 하부와 제2수평분리판(37)의 상면 사이의 공간부에 폭기시키면서 용수에서 거품을 발생시키는 폭기장치(35)와,
    상기 제1수평분리판(31)의 하부에서 발생된 거품이 제1수평분리판(31)과 본체(22)의 내측 상면 사이에 형성된 거품 및 이물질저장부(29)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수평분리판(31)의 일측에 상하 관통된 제1거품배출구(25a)와,
    상기 거품 및 이물질저장부(29)로 유입된 거품을 본체(22)의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거품 및 이물질저장부(29)의 일측에서 본체(22)의 외부로 관통 형성된 제2거품배출구(25b)와,
    상기 제2수평분리판(37)의 상부에서 거품 및 이물질과 분리된 용수가 하향 배출된 후에 수직격벽(40)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관통구(42)를 통해 상기 살균처리부(S)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수평분리판(37)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배출공(38);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장치(60)는 살균처리부(S)로 유입된 용수가 수족관으로 다시 배출되기 전 임시 저장된 상태에서 광촉매 반응을 통해 각종 세균 및 유기화합물을 살균 정화할 수 있도록 UV광촉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판(32)은 그 수직단면 형상이 톱니형, 요철형, 오목 또는 볼록한 라운드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KR1020150180022A 2015-12-16 2015-12-16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KR101833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022A KR101833105B1 (ko) 2015-12-16 2015-12-16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022A KR101833105B1 (ko) 2015-12-16 2015-12-16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858A KR20170071858A (ko) 2017-06-26
KR101833105B1 true KR101833105B1 (ko) 2018-02-27

Family

ID=59282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022A KR101833105B1 (ko) 2015-12-16 2015-12-16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1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264A (ko) * 2018-09-06 2020-03-16 (주)유니텍솔루션 해수 정화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020B1 (ko) * 2011-12-02 2012-07-13 조석찬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KR101507544B1 (ko) * 2014-10-20 2015-04-08 가람환경기술(주) 수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020B1 (ko) * 2011-12-02 2012-07-13 조석찬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KR101507544B1 (ko) * 2014-10-20 2015-04-08 가람환경기술(주) 수처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264A (ko) * 2018-09-06 2020-03-16 (주)유니텍솔루션 해수 정화장치
KR102190367B1 (ko) * 2018-09-06 2020-12-11 (주)제이와이씨 해수 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858A (ko) 201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1935B2 (en) Waste water treatment process
KR20170017718A (ko) 애완동물용 정수구
JP2013103184A (ja) 浄化装置
KR101738124B1 (ko) 전기분해법에 의한 패각의 염분 제거 방법
KR101610807B1 (ko) 사이펀에 의한 역세척 기능을 갖는 생물막 여과 수처리 장치
US6197203B1 (en) Filtration method and filtration apparatus
JP2018094543A (ja) 機能液製造装置及び機能液製造方法
JP2012239938A (ja) 水質改善装置、水質改善方法、および金属イオン水生成装置
JP2006116536A (ja) 小型紫外線殺菌浄水装置
JP2018094541A (ja) 機能液製造装置及び機能液製造方法
ES2243446T3 (es) Dispositivo para tratamiento de agua.
KR101833105B1 (ko)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KR100922918B1 (ko) 해수 청정장치
JP2003144002A (ja) 活魚搬送コンテナ
KR101289909B1 (ko) 수족관용 해수살균정수장치
JP5340856B2 (ja) 空気除菌装置
JP7106089B2 (ja) 微細気泡殺菌システム、ならびに、魚介類、飲料および食品の殺菌方法
KR200445575Y1 (ko) 활어수족관용 살균정수장치
KR20200017707A (ko) 오존공급유닛 및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수질개선시스템
KR101181632B1 (ko) 정수기의 정수탱크에 설치되는 살균 및 필터유닛
KR102120078B1 (ko) 선체 외면의 수중생물 청소/사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체 외면 청소 로봇
RU244668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ения пчел на пасеке
KR19980067547U (ko) 수족관 물정화장치
JP2022113450A (ja) 空気清浄装置
JP2018119352A (ja) 飲料水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