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953B1 -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953B1
KR102323953B1 KR1020190085668A KR20190085668A KR102323953B1 KR 102323953 B1 KR102323953 B1 KR 102323953B1 KR 1020190085668 A KR1020190085668 A KR 1020190085668A KR 20190085668 A KR20190085668 A KR 20190085668A KR 102323953 B1 KR102323953 B1 KR 102323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using
companion animals
water purifie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9099A (ko
Inventor
김태형
김상혁
박동선
박순도
Original Assignee
태형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형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형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5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953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01D35/1435Filter condition indicators with 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순환 방식의 정수 물을 먹을 수 있도록 하면서, 반려동물에게 발생할 수 있는 방광염, 요로 결석 등의 비뇨기계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Pet-only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반려동물(예; 개, 고양이 등)이 순환 방식의 정수 물을 먹을 수 있도록 하면서, 반려동물에게 발생할 수 있는 비뇨기계 질환(예; 방광염, 요로 결석 등)을 예방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상수원에서 공급되는 상수를 물리적 및 화학적 방법으로 여과시켜 불순물을 제거한 후 공급하는 장치로, 정수기에서 출수되는 정수 물을 사람과 같은 주거 공간에서 생활하는 반려동물에게 제공하기 위한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가 개시되기에 이르렀다.
일예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0617호(등록일 2003.04.02. 이하 '선행기술 1' 이라함)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1167호(등록일 2003.04.21. 이하 '선행기술 2' 이라함)에서는, 정수필터를 장착하여둔 물통에 직수관을 연결하거나 또는 사람이 직접 물통에 물을 투입하면서, 상기 정수필터를 통과하여 정수된 물이 배출될 때 이를 반려동물이 먹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선행기술 1,2는 물통에 저장되어 정수된 물이 지속적으로 순환되는 것이 아니라 정체된 상태를 유지하는 관계로, 수질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렵다.
한편, 종래 공개된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7718호(공개일 2017.02.16. 이하 '선행기술 3' 이라함)에서는 정수필터가 장착된 물통을 사용자가 잡은 상태에서 정수된 물을 받침대 등에 직접 따라 주어야 하는 것으로, 이는 사용자가 외출하는 경우 반려동물이 필요로 하는 취수량만큼 정수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없는 제약이 있고, 특히 선행기술 1,2와 동일하게 물통에서 정수된 물을 지속적으로 순환시킬 수 없는 것이므로 이 또한 수질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는 없었다.
즉, 상기 설명되는 선행기술들은 비록 정수필터를 통해 정수된 물을 반려동물에게 제공하는 것이지만, 이는 물통에 대한 정화 성능과 청결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관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설명되는 선행기술들은 정수기에서 반려동물을 위해 구비되는 취수부는 물통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는데, 단순히 물이 담겨 있을 뿐 특별히 반려동물에게 흥미를 유발하기 어려운 형태를 가지고 있고, 취수부가 지면 가까이에 위치되어 먼지나 세균 등으로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종래의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는 본체의 하단에 일부 측면이 돌출되고, 상대적으로 정수기 본체에 비해 작은 크기의 물그릇이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관계로, 다수의 반려동물이 한꺼번에 정수를 음용하는 것이 불편하고, 노출되는 수면이 넓지 않아 반려동물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구조가 아닌 한계점이 있다.
한편, 종래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는 상기 선행기술들 이외에 펌프를 적용하여 정수된 물을 펌핑하는 경우도 있지만, 상기 펌프는 물이 없는 상태에서 작동하여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이에 따라 종래에는 사용자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함은 물론, 상기 펌프에 의해 물을 펌핑시 수격 작용(water hammer)으로 소음이 발생하게 되면서 정수 물을 음용하는 반려동물이 깜짝 놀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펌프가 적용되는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에서는 필터 교체 주기를 알려주지 않고, 사용자의 주관적인 관점에서 필터를 교체하게 되므로, 반려동물에게 양질의 식수를 제공하기는 어려웠다.
또한, 종래 펌프가 적용되는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는 주간과 야간에 따라 물 공급량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하게 공급되는 관계로, 야간에 잠들어 있는 보호자와 반려동물을 배려하고, 필터 사용 시간과 소비 전력을 줄일 수는 없었다.
또한, 종래 펌프가 적용되는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는 전선이 연결되는 펌프가 물통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소음이 많이 발생하고, 펌프에 대한 분해가 어려워 물통에 대한 청소가 불편하며, 특히 펌프에 대한 교체나 수리가 어려웠던 것이다.
또한, 종래 펌프가 적용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는 주기적인 세척이 필요로 하지만, 전기로 제어되는 제품이기 때문에 전선과 펌프, PCB 등이 삽입된 본체 혹은 물통을 소모품을 함께 세척할 수밖에 없으며, 이 경우 전선으로의 물 접촉을 차단하면서 세척을 진행하여야 하는 등 세척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펌프가 적용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는 오직 물이 흐르는 소리와 형상으로만 흥미를 유발하므로, 반려동물이 제대로 물을 음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았다.
또한, 종래 펌프가 적용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는 필터가 누수 차단을 위한 방수용 오링 등을 통해 결합되어 있는 관계로, 필터 분리를 위해서는 일정한 힘이 필요로 하지만, 반려동물을 키우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여성인 점을 고려하면, 필터에 대한 분리가 어렵고, 필터를 분리한다 하더라도 이를 다시 결합시킬 때 그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방수 불량이 초래되어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종래 펌프가 적용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는 필터 내부에 형성되는 활성탄 및 바이오 슈어 팩을 단순히 통과하는 관계로 정수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0617호(등록일 2003.04.0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1167호(등록일 2003.04.21.)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7718호(공개일 2017.02.1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려동물이 순환 방식의 정수 물을 먹을 수 있도록 하면서, 반려동물에게 발생할 수 있는 방광염, 요로 결석 등의 비뇨기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물의 정수 효율을 높이고, 펌프에 의해 물 펌핑시 발생하는 수격 작용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인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는, 구동전원 공급과 전자 제어를 위한 회로부가 수납되는 크래들; 상기 크래들에 올려지고, 물이 저장되는 상부 개방형의 저장조; 상기 회로부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고,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순환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것으로, 정수에 필요로 하는 시간과 면적이 확대되도록 폼 형태의 제 1 필터와 마크론 단위의 필터 재료들로 이루어진 제 2 필터가 적층 수용되면서, 상기 펌프에 의해 물 펌핑시 발생하는 수격 작용(Water hammer)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댐퍼공간이 마련되는 필터 어셈블리; 및, 상기 펌프가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필터 어셈블리에 의해 정화된 정수 물을 반려동물이 음용 가능하게 하고, 음용되지 않은 정수 물 일부는 상기 저장조로 리턴 순환시키는 음용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펌프는 상기 음용대의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저장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크래들에는 상기 회로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직형의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는 덮개에 의해 밀폐되는 구조인 것이다.
또한, 상기 수납부의 상면에는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단자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크래들은 하부 크래들과 상부 크래들의 결합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크래들의 일측에 상기 수납부를 돌출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장조의 일측 둘레에는 상기 수납부를 수용하기 위해 내측방향으로 함몰되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음용대에 연결되는 입수구와 출수구를 가지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내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 1 하우징과의 사이에 수평 및 수직 라인의 제 1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며, 폼 형태의 제 1 필터와 마크론 단위의 필터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2 필터가 적층 수용되는 정수공간이 마련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부 중앙으로부터 상기 제 1 하우징의 출수구측으로 연장되며, 격벽을 사이에 두고 하단에 상기 댐퍼공간이 마련되고 상단에는 분출공간이 마련되는 제 3 하우징; 및, 상기 분출공간이 마련되는 상기 제 3 하우징의 상단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출수구측에 나선 결합되면서 상기 댐퍼공간이 마련되는 상기 제 3 하우징의 하단에 갭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정수공간과 연통되는 제 2 유로를 형성시키는 제 4 하우징;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1 하우징과의 사이에서 수직의 상기 제 1 유로가 형성되도록 가이드하는 수직의 가이드 리브를 돌출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음용대는, 상기 저장조의 상부측에 올려지는 하부대; 상기 하부대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하우징의 입수구측과 연통되는 제 3 유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펌프의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결합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수용하여 외측으로 정수 물을 상기 저장조로 리턴 순환시키는 배수공간과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배수홀을 형성하여둔 내부몸체; 상기 하부대와 상기 내부몸체의 상부측에 올려지는 것으로, 중심부에는 상기 배수공간과 연통되는 제 1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배수구 주변으로는 정수 물이 머무르는 음수영역을 형성하여둔 상부대; 및,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분출공간으로부터 출수되는 정화된 정수 물을 상기 음수영역에 분수 형태로 토출하는 급수구를 형성하여둔 급수 캡; 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급수 캡에는 상기 음수영역의 수용 수위를 초과하는 정수 물을 상기 제 1 배수구를 통해 상기 배수공간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제 2 배수구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음수영역은 상기 배수구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대 저면측 일단에는 상기 수납부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단자부와 전기적 접속이 가능한 제 2 단자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단자부는 단자홈 또는 단자핀이고, 상기 제 2 단자부는 단자핀 또는 단자홈인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의 저면에는 삽입홀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몸체의 내측 저면에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펌프에는 제 4 유로를 형성한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내부몸체의 제 1 결합부에 끼움방식으로 결합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장조에는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저장조내의 물 저장량을 체크하고 이를 상기 회로부에 전달하는 정전용량센서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로부에는 상기 정전용량센서에 의해 체크된 결과에 따라 상기 펌프의 구동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 출력에 따라 물 저장량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로부에는 필터 교체 주기를 체크하는 타이머를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의 타임 정보에 따라 필터 교체 주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상기 알림부를 통해 알림신호를 출력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알림부는 상기 덮개를 통해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LED램프인 것이다.
또한, 상기 알림부는 알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인 것이다.
또한, 상기 크래들과 상기 저장조 및 상기 음용대 중 어느 하나에는 조도센서를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펌프에 대한 온 또는 오프 구동, 그리고 상기 펌프의 온 구동시 그 구동량을 증감시키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음용대는 투명재질이고, 상기 음용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면서 반려동물에게 흥미를 유발시키도록 투명재질인 상기 음용대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여 순환되는 물을 조명하는 조명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첫째, 순환 방식의 정수 물을 제공하면서 필터로 유입된 물의 100%가 필터의 구성요소를 통과할 수밖에 없는 구조로 설계되어, 필터를 통해 배출된 물의 염소량과 탁도가 사람에게 제공되는 정수기에 준하게 낮추면서 방광염, 요로 결석 등의 비뇨기계 질환 예방이 가능하다.
둘째, 정전용량 센서를 통해 내부 물이 일정 이상 소진되었을때 이를 알려주면서 자동으로 펌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설계되어, 제품 자체를 보호하며, 반려동물에게 지속적으로 식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셋째, 타이머를 통해 필터 교체 주기를 알려 주면서, 필터 교체 주기를 사용자가 손쉽게 인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반려동물에게 양질의 식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넷째, 내부의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낮과 밤을 어둠과 밝음으로 구분하여 물이 나오는 시간과 양을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설계하여, 밤에 잠들어 있는 보호자와 반려동물을 배려하고, 필터 사용 시간과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다섯째, 세면대의 물마개가 열리는 구조를 착안하여 사용자가 원할 때 상단 급수 캡을 열어 취수부의 물을 아래로 급격하게 하강시켜, 취수부에 존재하는 반려동물의 털, 모래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세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섯째, 펌프를 상단 취수부에 고정하여, 상단 취수부를 열면 저조장에 어떠한 구조 장치가 없어 저장조 세척이 용이하고, 펌프를 상단 취수부에서 쉽게 분리하여 상단 취수부에 대한 세척은 물론, 수격 작용을 최소화시키면서 소음을 저감하고, 펌프 자체의 자가 교체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AS에 따른 불편함을 개선하는 것이다.
일곱째, 커피포트에서 착안한 하단 크래들 분리 구조를 적용하되, 상기 하단 크래들에 모든 회로기판(PCB)과 전자 제어 부품들을 구성하여, 정수기 세척시 전자계통 부품들을 손쉽게 분리하면서 세척 편의성을 높인 것이다.
여덟째, 취수부를 투명으로 제작하여 취수부에서 흐르는 물의 물결이 빛에 반사되어 투명 취수부 내부에 비춰지도록 구성하여, 빛에 관심이 많은 반려동물들이 더욱 물마시기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홉째, 필터의 삽입 구조를 회전 타입으로 구성하여, 일정한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필터 분리 또는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결합시 방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 구조를 상방향에서 바라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 구조를 하방향에서 바라본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회로부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필터 어셈블리 구조를 상방향에서 바라본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필터 어셈블리 구조를 하방향에서 바라본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필터 어셈블리 구조를 보인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정수된 물을 음수대에 급수시키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정수된 물을 저장조로 리턴 순환시키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 구조를 상방향에서 바라본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 구조를 하방향에서 바라본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회로부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필터 어셈블리 구조를 상방향에서 바라본 분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필터 어셈블리 구조를 하방향에서 바라본 분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필터 어셈블리 구조를 보인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는, 크래들(10), 저장조(20), 펌프(30), 필터 어셈블리(40), 음수대(50)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크래들(10)은 아답터를 통해 직류전원(DC 12V) 공급이 이루어질 때 그 상용전원으로부터 구동전원을 상기 펌프(30)에 공급하고 전자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회로부(100)를 수납하여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크래들(10)에는 상기 회로부(1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직형의 수납부(11)가 형성됨은 물론, 상기 수납부(11)는 덮개(12)에 의해 밀폐되는 구조로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수납부(11)의 상면에는 상기 회로부(1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단자부(13)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제 1 단자부(13)는 단자홈 또는 단자핀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크래들(10)은 하부 크래들(14)과 상부 크래들(15)의 결합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크래들(15)의 일측에는 수직형을 이루는 상기 수납부(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크래들(10)에 수직형의 상기 수납부(11)를 돌출 형성한 후 이에 상기 회로부(100)를 수납 고정하고 이를 덮개(12)로 밀폐하는 구조를 적용하는 이유는, 상기 크래들(10)로부터 상기 저장조(20)와 상기 펌프(30), 그리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40)와 상기 음수대(50)를 각각 분리시켜 세척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에따라 종래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의 문제로 지적된 전선과 펌프, PCB 등이 삽입된 본체 혹은 물탱크의 세척 작업 어려움을 간편하게 해소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납부(11)를 수직형으로 구성함에 따라, 상기 수납부(11)에 물이 접촉하더라도 이는 정체되지 않고 상기 수납부(11)를 따라 흘러내리게 되면서, 상기 수납부(11)내의 회로부(100)는 물 접촉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납부(11)에는 상기 회로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덮개(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작동스위치(16)를 가지며, 상기 작동스위치(16)에 의해 상기 펌프(30)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저장조(20)는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는 상부 개방형의 구조물로, 상기 크래들(10)에 올려지는 것이며, 상기 저장조(20)의 일측 둘레에는 상기 수납부(11)를 수용하기 위해 내측방향으로 함몰되는 수용홈(21)을 형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저장조(20)에는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회로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정전용량센서(200)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정전용량센서(200)는 상기 저장조(20)내의 물 저장량을 체크하고 이를 상기 회로부(100)에 전달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회로부(100)에는 상기 정전용량센서(200)에 의해 체크된 결과에 따라 상기 펌프(30)의 구동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제어부(101), 그리고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신호 출력에 따라 물 저장량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알림부(102)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 필터 교체 주기를 체크하는 타이머(10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타이머(103)의 타임 정보에 따라 필터 교체 주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상기 알림부(102)를 통해 알림신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알림부(102)는 상기 덮개(12)를 통해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LED램프 또는 '삐∼"와 같은 알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4의 블럭도에서와 같이, 크래들(10)과 저장조(20) 및 음용대(50) 중 어느 하나에는 조도센서(300)가 더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조도센서(3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펌프(30)에 대한 온 또는 오프 구동, 그리고 상기 펌프(30)의 온 구동시 그 구동량을 증감시키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는 상기 알림부(102)를 통해 사용자가 필터 교체 또는 물 부족 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면서, 반려동물의 건강한 생활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 상기 조도센서(300)를 통해서는 낮과 밤을 어둠과 밝음으로 구분하여 물이 나오는 시간과 양의 자동 조절이 가능하게 되면서 밤에 잠들어 있는 보호자와 반려동물을 배려할 수 있음은 물론, 필터 사용시간과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설명되는 타이머(103)를 적용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적절한 시기에 필터 교체 주기를 인지하도록 하여 반려동물에게 양질의 식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전용량센서(200)를 적용함에 따라, 상기 저장조(20)의 내부에 물이 일정 이상 소진되었을 경우에 알림부(102)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보하게 되면서, 상기 제어부(101)가 자동으로 펌프(30)에 공급하는 구동전원을 차단하게 되므로, 제품 자체를 보호하고, 반려동물에게 지속적으로 식수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종래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의 경우 순환 방식 펌프의 특성상 물이 없는 상태에서 작동할 때 고장의 위험성, 그리고 저장조(20)내에 물이 전부 소진되었을 때에도 지속적으로 상기 펌프(30)가 작동하게 되는 문제를 개선한 것이다.
상기 펌프(30)는 상기 회로부(100)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고, 상기 저장조(20)에 저장된 물을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를 거쳐 상기 음수대(50)로 펌핑시키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때, 상기 펌프(30)에는 제 4 유로(U4)를 형성한 연결부(31)가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연결부(31)는 상기 음수대(50)에 구성되는 후술하는 내부몸체(52)의 제 1 결합부(52a)에 끼움방식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펌프(30)는 상기 저장조(20)의 내부에서 상기 저장조(2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공중 부양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펌프(30)가 상기 저장조(2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공중 부양 형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펌프(30)의 펌핑동작에 따른 소음 차단 효과가 증대되고, 상기 저장조(20)의 상단으로부터 음용대(50)를 분리시킬 때, 상기 펌프(30)도 함께 분리되므로, 상기 저장조(20)에 대한 세척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펌프(30)를 상기 음용대(50)로부터 손쉽게 분리 가능하므로, 상기 음용대(50)에 대한 세척도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상기 펌프(30)에 대한 사용자의 자가 교체가 가능하게 되면서 A/S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결합부(52a)에 상기 연결부(31)를 끼움 결합시, 상기 연결부(31)의 외주면에는 패킹(미도시)가 형성되며, 이에따라 상기 펌프(30)에 의해 물이 펌핑되어 상기 제 4 유로(U4)에 유입될 때, 상기 제 1 결합부(52a)와 상기 연결부(31)의 사이에서는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는 상기 펌프(30)에 의해 펌핑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것으로, 제 1 내지 제 4 하우징(41, 42, 43, 44)의 결합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하우징(41)은 상기 음용대(40)에 연결되는 입수구(41a)와 출수구(41b)를 각각 가지는 제 1 및 제 2 케이스(C1, C2)의 결합체로서, 상기 제 1 하우징(41)에 포함되는 제 2 케이스(C2)의 저면에는 삽입홀(41c)을 형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제 2 하우징(42)은 상기 제 1 하우징(41)내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 1 하우징(41)과의 사이에 수평 및 수직 라인의 제 1 유로(U1, U1')를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폼 형태의 제 1 필터(F1)와 마크론 단위의 필터 재료들로 이루어진 제 2 필터(F2)를 적층 수용하는 정수 공간(P1)을 마련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제 2 하우징(42)은 상부가 개방된 것으로, 상기 정수 공간(P1)의 하단에는 폼 형태의 제 1 필터(F1)가 적층되고, 상기 제 1 필터(F1) 위에 마크론 단위의 필터 재료(예; 활성탄, 카본블럭, 세디먼트 등)들로 이루어진 제 2 필터(F2)가 채워질 수 있는 것이며, 이에따라 상기 제 1 하우징(41)의 입수구(41a)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상기 수평 및 수직 라인의 제 1 유로(U1, U1')을 거쳐 상기 제 2 하우징(42)의 상부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정수 공간(P1)으로 유입되어 낙하되면, 그 낙하되는 물은 마크론 단위로 이루어진 필터 재료들로 이루어진 제 2 필터(F2)를 통과하면서 1차 정화된 후 폼 형태를 이루는 제 1 필터(F1)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지는 2차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 하우징(42)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1 하우징(41)과의 사이에서 상기 수직라인의 제 1 유로(U1')가 형성되도록 가이드하는 수직의 가이드 리브(42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3 하우징(43)은 상기 제 2 하우징(42)의 내부 중앙에서 상기 제 1 하우징(41)의 출수구(41b)측으로 돌출되는 것이며, 이는 격벽(43a)을 사이에 두고 상기 댐퍼 공간(P2)이 하단에 마련되고 상단에는 분출공간(P3)을 마련하여둔 것이다.
이때, 상기 댐퍼 공간(P2)은 상기 펌프(30)의 펌핑 동작으로 상기 수평 라인의 제 1 유로(U1)에 물이 유입될 때 발생하는 수격 작용(water hammer)을 완화시키는 ∩자형 구조를 이룬 것이다.
상기 제 4 하우징(44)은 상기 분출공간(P3)이 마련되는 상기 제 3 하우징(43)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하우징(41)의 출수구(41b)측에 나선 결합되면서 상기 댐퍼 공간(P2)이 마련되는 상기 제 3 하우징(43)의 하단에 갭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정수 공간(P1)과 연통되는 제 2 유로(U2)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4 하우징(44)의 상단은 상기 제 1 하우징(41)의 출수구(41b)측에 나선 결합되면서 상기 제 3 하우징(43)의 상단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 4 하우징(44)의 하단은 상기 제 3 하우징(43)의 하단 외주면에서 일정 갭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 2 유로(U2)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 4 하우징(44)의 하단 끝단은 상기 제 2 하우징(42)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떨어져 제 1 유로홀(44a)을 형성하게 되면서, 상기 제 2 하우징(42)의 정수 공간(P1)에 수용되는 폼 형태의 제 1 필터(F1)를 통과하는 정수된 물이 상기 제 1 유로홀(44a)을 통해 상기 제 2 유로(U2)에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분출공간(P3)이 형성되는 제 3 하우징(43)의 상단에는 상기 제 2 유로(U2)와 상기 제 3 하우징(43)내 수용공간(P3)의 내부로 연통시키는 제 2 유로홀(43b)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제 4 하우징(44)의 분출공간(P3)으로 유입되는 정수된 물은 상기 음용대(50)에 제공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40)는, 펌프(30)의 펌핑 동작에 따라 펌핑되는 물은 입수구(41a)→수평 라인의 제 1 유로(U1)→수직 라인의 제 1 유로(U1')→정수공간(P1)→제 1 유로홀(44a)→제 2 유로(U2)→제 1 유로홀(43a)→분출공간(P3)을 거쳐 음용대(50)로 배출되는 경로 제공을 통해, 물이 닿아 있는 시간과 면적을 늘릴 수 있게 되면서, 최종적으로 상기 음용대(50)에서 배출되는 정수된 물은 염소량과 탁도가 사람에게 제공하는 정수기와 동일하게 낮춰지면서 그 정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음용대(50)에 포함되는 후술하는 내부몸체(52)의 내측 저면에는 고정돌기(52c)가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돌기(52c)는 상기 제 1 하우징(41)에 포함되는 제 2 케이스(C2)의 삽입홀(41c)에 진입하여 고정되는 것이며, 이는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의 사용자가 여성인점을 고려하여 오링을 사용한 힘으로 삽입하는 일반적인 필터 삽입 구조가 아닌 끼움 삽입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약한 힘으로도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그 결합시 효과적인 방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 음용대(50)는 상기 펌프(30)가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40)에 포함되는 제 1 하우징(41)의 출수구(41b)측이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필터 어셈블리(40)에 의해 정화된 정수 물을 반려동물이 음용 가능하게 하고, 음용되지 않은 정수 물 일부는 상기 저장조(20)로 리턴 순환시키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며, 하부대(51), 내부몸체(52), 상부대(53), 급수 캡(54)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대(51)는 상기 저장조(20)의 상부측에 올려지는 구조물이다.
상기 내부몸체(52)는 상기 하부대(51)의 중심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 1 하우징(41)의 입수구(41a)과 연통되는 제 3 유로(U3)를 형성하면서 상기 펌프(30)의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결합부(52a)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를 수용하여 외측으로 정수 물을 상기 저장조(20)로 리턴 순환시키는 배수공간(A1)과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배수홀(52b)을 형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상부대(53)는 상기 하부대(51)와 상기 내부몸체(52)의 상부측에 올려지는 것으로, 중심부에는 상기 배수공간(A1)과 연통되는 제 1 배수구(53a)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배수구(53a)의 주변으로는 정수 물이 머무르는 음수영역(53b)을 형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급수 캡(54)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40)의 상단에 올려지는 것으로,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를 통해 정화된 정수 물을 상기 음수영역(53b)으로 분수 형태로 토출하는 급수구(54a)를 형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40)의 상단에 상기 급수 캡(54)을 올려 놓을 때, 상기 급수 캡(54)에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제 2 배수구(54b)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배수구(54b)는 상기 음수영역(53b)의 수용 수위를 초과하는 정수 물을 상기 제 1 배수구(53a)를 통해 상기 배수공간(A1)으로 배수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배수공간(A1)으로 배수된 정수 물은 상기 배수홀(52b)을 통해 상기 저장조(20)로 리턴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다시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로 재순환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급수 캡(54)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므로, 상기 상부대(53)에 형성되는 제 1 배수구(53a)의 개방 면적은 넓어질 수 있으며, 이에따라 경사진 음수영역(53b)에 존재하는 정수 물은 물론, 정수 물을 음용시 발생하는 반려동물의 털이나 모래 등의 이물질이 상기 음수영역(53b)에 떨어지더라도, 상기 이물질은 개방면적이 확장된 상기 제 1 배수구(53a)를 통해 배수공간(A1)으로 급격하게 배수되면서, 음용대(50)의 음수영역(53b)에 존재하는 반려동물의 털이나 모래 등의 이물질을 손쉽게 치울 수 있고, 이에따라 종래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에서 발생하는 제품을 분해한 뒤 세척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대(51)의 저면측 일단에는 상기 수납부(11)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단자부(13)와 전기적 접속이 가능한 단자핀 또는 단자홈 형태의 제 2 단자부(51a)를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음용대(50)를 저장조(20)의 위에 올려놓을 때 상기 회로부(100)를 통해 상기 펌프(30)로의 구동전원 공급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음용대(50)를 이루는 하부대(51)와 내부몸체(52)는 물론 상부대(53), 및/또는 급수 캡(54)은 투명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음용대(50)를 이루는 하부대(51) 및/또는 상부재(53)의 외주면에 상기 제어부(101)에 의해 제어되는 조명부(400)를 구성할 수 있고, 이에따라 상기 조명부(400)에서 상기 음용대(50)측으로 조명을 조사하여 정수 물을 비추게 되면, 반려동물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게 되면서, 반려동물의 적정량 수분 섭취를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펌프(30)에 의해 저장조(20)의 물을 펌핑하여 필터 어셈블리(40)를 통해 정화시킨 후 이를 음용대(50)에 급수시키므로, 반려동물은 음용대(50)로 급수된 정수 물 음용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반려동물이 취수량 부족으로 발생하는 비뇨기계 질환(예; 방광염, 요로 결석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상기 음용대(50)에서 급수된 정수 물이 경사진 상기 음수영역(53b)의 높이를 초과하여 급수되는 경우, 상기 정수 물은 급수 캡(54)의 제 2 배수구(54b)→제 1 배수구(53a)→배수유로(A1)→배수홀(52b)을 통해 저장조(20)로 리턴 순환되고, 이렇게 리턴 순환된 정수 물이 다시 상기 펌프(30)에 의해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를 거쳐 상기 음용대(50)로 급수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므로, 반려동물에게 보다 쾌적한 식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는, 크래들(10)로부터 저장조(20)가 분리 가능하고, 상기 저장조(20)로부터 음용대(50)가 분리 가능함은 물론, 상기 음용대(50)에서는 필터 어셈블리(40)와 펌프(30)가 손쉽게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저장조(20)와 상기 음용대(40)를 손쉽게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그 유지 관리가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크래들 11; 수납부
12; 덮개 13; 제 1 단자부
14; 하부 크래들 15; 상부 크래들
16; 작동스위치 20; 저장조
21; 수용홈 30; 펌프
31; 연결부 40; 필터 어셈블리
41; 제 1 하우징 41a; 입수구
41b; 출수구 41c; 삽입홀
42; 제 2 하우징 43; 제 3 하우징
43a; 격벽 43b; 제 2 유로홀
44; 제 4 하우징 44a; 제 1 유로홀
50; 음용대 51; 하부대
51a; 제 2 단자부 52; 내부몸체
52a; 제 1 결합부 52b; 배수홀
52c; 고정돌기 53; 상부대
53a; 제 1 배수구 53b; 음수영역
54; 급수 캡 54a; 급수구
54b; 제 2 배수구 100; 회로부
101; 제어부 102; 알림부
103; 타이머 200; 정전용량센서
300; 조도센서 400; 조명부
A1; 배수공간 U1; 제 1 유로
U2; 제 2 유로 U3; 제 3 유로
U4; 제 4 유로 P1; 정수공간
P2; 댐퍼공간 P3; 분출공간
F1; 제 1 필터 F2; 제 2 필터

Claims (22)

  1. 구동전원 공급과 전자 제어를 위한 회로부가 수납되는 크래들;
    상기 크래들에 올려지고, 물이 저장되는 상부 개방형의 저장조;
    상기 회로부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고,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순환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것으로, 정수에 필요로 하는 시간과 면적이 확대되도록 폼 형태의 제 1 필터와 마크론 단위의 필터 재료들로 이루어진 제 2 필터가 적층 수용되면서, 상기 펌프에 의해 물 펌핑시 발생하는 수격 작용(Water hammer)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댐퍼 공간이 마련되는 필터 어셈블리; 및,
    상기 펌프가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필터 어셈블리에 의해 정화된 정수 물을 반려동물이 음용 가능하게 하고, 음용되지 않은 정수 물 일부는 상기 저장조로 리턴 순환시키는 음용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음용대의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저장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에는 상기 회로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직형의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는 덮개에 의해 밀폐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상면에는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단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하부 크래들과 상부 크래들의 결합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크래들의 일측에 상기 수납부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의 일측 둘레에는 상기 수납부를 수용하기 위해 내측방향으로 함몰되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음용대에 연결되는 입수구와 출수구를 가지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내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 1 하우징과의 사이에 수평 및 수직 라인의 제 1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며, 폼 형태의 제 1 필터와 마크론 단위의 필터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2 필터가 적층 수용되는 정수공간이 마련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부 중앙으로부터 상기 제 1 하우징의 출수구측으로 연장되며, 격벽을 사이에 두고 하단에 상기 댐퍼공간이 마련되고 상단에는 분출공간이 마련되는 제 3 하우징; 및,
    상기 분출공간이 마련되는 상기 제 3 하우징의 상단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출수구측에 나선 결합되면서 상기 댐퍼공간이 마련되는 상기 제 3 하우징의 하단에 갭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정수공간과 연통되는 제 2 유로를 형성시키는 제 4 하우징;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1 하우징과의 사이에서 수직의 상기 제 1 유로가 형성되도록 가이드하는 수직의 가이드 리브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대는,
    상기 저장조의 상부측에 올려지는 하부대;
    상기 하부대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하우징의 입수구측과 연통되는 제 3 유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펌프의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결합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수용하여 외측으로 정수 물을 상기 저장조로 리턴 순환시키는 배수공간과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배수홀을 형성하여둔 내부몸체;
    상기 하부대와 상기 내부몸체의 상부측에 올려지는 것으로, 중심부에는 상기 배수공간과 연통되는 제 1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배수구 주변으로는 정수 물이 머무르는 음수영역을 형성하여둔 상부대; 및,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분출공간으로부터 출수되는 정화된 정수 물을 상기 음수영역에 분수형태로 토출하는 급수구를 형성하여둔 급수 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캡에는 상기 음수영역의 수용 수위를 초과하는 정수 물을 상기 제 1 배수구를 통해 상기 배수공간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제 2 배수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음수영역은 상기 배수구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대 저면측 일단에는 상기 수납부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단자부와 전기적 접속이 가능한 제 2 단자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부는 단자홈 또는 단자핀이고, 상기 제 2 단자부는 단자핀 또는 단자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저면에는 삽입홀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몸체의 내측 저면에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에는 제 4 유로를 형성한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내부몸체의 제 1 결합부에 끼움방식으로 결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1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에는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저장조내의 물 저장량을 체크하고 이를 상기 회로부에 전달하는 정전용량센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에는 상기 정전용량센서에 의해 체크된 결과에 따라 상기 펌프의 구동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 출력에 따라 물 저장량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에는 필터 교체 주기를 체크하는 타이머를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의 타임 정보에 따라 필터 교체 주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상기 알림부를 통해 알림신호를 출력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덮개를 통해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LED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알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과 상기 저장조 및 상기 음용대 중 어느 하나에는 조도센서를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펌프에 대한 온 또는 오프 구동, 그리고 상기 펌프의 온 구동시 그 구동량을 증감시키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대는 투명재질이고, 상기 음용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면서 반려동물에게 흥미를 유발시키도록 투명재질인 상기 음용대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여 순환되는 물을 조명하는 조명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KR1020190085668A 2019-07-16 2019-07-16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KR102323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668A KR102323953B1 (ko) 2019-07-16 2019-07-16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668A KR102323953B1 (ko) 2019-07-16 2019-07-16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099A KR20210009099A (ko) 2021-01-26
KR102323953B1 true KR102323953B1 (ko) 2021-11-09

Family

ID=74310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668A KR102323953B1 (ko) 2019-07-16 2019-07-16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9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757B1 (ko) 2021-11-23 2022-08-08 주식회사 씨엔엠테크코리아 고양이용 정수기
KR102429759B1 (ko) 2021-12-15 2022-08-08 주식회사 씨엔엠테크코리아 pH 조절 기능을 갖는 반려묘 정수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498Y1 (ko) 2002-02-07 2002-05-11 정휘철 조명 취수레버를 가지는 정수기
JP4504858B2 (ja) 2005-03-29 2010-07-14 日本碍子株式会社 浄水器
JP2017148018A (ja) 2016-02-26 2017-08-31 株式会社マルカン ペット用飲料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8253U (ja) * 1991-02-28 1993-12-03 平山 勲 小動物用自動エサ与え機
KR200310617Y1 (ko) 2003-01-27 2003-04-18 김기호 직결식 애완동물용 정수기
KR200311167Y1 (ko) 2003-02-05 2003-04-21 김기호 애완동물전용 정수기
KR101910571B1 (ko) * 2012-03-21 2019-01-04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자외선 led를 이용한 휴대용 정수 시스템
JP3200546U (ja) 2015-08-07 2015-10-22 株式会社イーテック 愛玩動物用浄水具
KR102656807B1 (ko) * 2016-06-17 2024-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101358B1 (ko) * 2018-07-26 2020-04-17 태형물산 주식회사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498Y1 (ko) 2002-02-07 2002-05-11 정휘철 조명 취수레버를 가지는 정수기
JP4504858B2 (ja) 2005-03-29 2010-07-14 日本碍子株式会社 浄水器
JP2017148018A (ja) 2016-02-26 2017-08-31 株式会社マルカン ペット用飲料供給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757B1 (ko) 2021-11-23 2022-08-08 주식회사 씨엔엠테크코리아 고양이용 정수기
KR102429759B1 (ko) 2021-12-15 2022-08-08 주식회사 씨엔엠테크코리아 pH 조절 기능을 갖는 반려묘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099A (ko)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358B1 (ko)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US11412719B2 (en) Pump assembly including clip or snap on filter
US20080257272A1 (en) Disinfecting pet watering device and method
US8770147B2 (en) Animal watering device
JP3200546U (ja) 愛玩動物用浄水具
KR102323953B1 (ko)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KR102057934B1 (ko) 무선전력을 이용한 동물용 정수기
US20090039032A1 (en) Portable filtration and ozonation apparatus
KR102656807B1 (ko) 정수기
KR101021911B1 (ko) 전시용 해수어 수조 순환여과시스템
CN210695461U (zh) 深紫外led杀菌宠物饮水机
US20110260077A1 (en) Disinfecting liquid dispenser
CN215774856U (zh) 一种可循环的宠物饮水装置
CN110663572A (zh) 便携式喂水器
CN212971195U (zh) 一种宠物饮水机
JP2007222700A (ja) し尿浄化システム
CN213587167U (zh) 一种山羊自动饮水装置
KR200445575Y1 (ko) 활어수족관용 살균정수장치
KR20210054216A (ko)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휴대용 정수 장치
CN214047074U (zh) 宠物用饮水机
CN216088267U (zh) 一种磁力泵及宠物饮水器
JP6788467B2 (ja) 小動物飲用容器
CN213187617U (zh) 一种宠物饮水机的上水结构
CN217657623U (zh) 一种宠物饮水机
CN213192799U (zh) 一种宠物饮水机的滤芯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