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869B1 - 헤드부 교체가 용이한 인터락 방식의 샤워기기 - Google Patents

헤드부 교체가 용이한 인터락 방식의 샤워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869B1
KR102331869B1 KR1020210079725A KR20210079725A KR102331869B1 KR 102331869 B1 KR102331869 B1 KR 102331869B1 KR 1020210079725 A KR1020210079725 A KR 1020210079725A KR 20210079725 A KR20210079725 A KR 20210079725A KR 102331869 B1 KR102331869 B1 KR 102331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ocking
protrusion
sleeve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플래닛
최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플래닛, 최진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플래닛
Priority to KR1020210079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05B1/185Roses; Shower heads characterised by their outlet element; Moun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일단으로 미정수된 물이 유입되며, 내부에 배치되는 제1필터모듈을 통해 정수된 제1물이 타단을 통해 유출되는 관형그립부; 제1물이 정수되어 제2물이 형성되도록 제2필터모듈이 배치되며 내주면 상부에 제1락킹부가 형성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연통되며 상기 관형그립부의 타단이 결합되어 제1물이 유입되는 인렛부를 포함하는 바디케이스; 및 상기 제1락킹부에 대응되는 제2락킹부가 형성되어 상기 바디케이스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면커버에 형성된 분사공을 통해 제2물이 분사되는 교체형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부 교체가 용이한 인터락 방식의 샤워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헤드부 교체가 용이한 인터락 방식의 샤워기기{inter-lock type device of shower easily replacing head part}
본 발명은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이 분사되는 헤드와 샤워기 바디의 결합 방식을 개선하여 헤드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새로운 인터락 방식의 샤워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기는 냉수 또는 온수를 뿌리는 물뿌리개 모양의 분사장치로 화장실, 싱크대, 욕조 등과 같은 가정용 및 바디 샤워기, 워터풀, 연수기, 욕조 등과 같은 업무용 등으로 널리 이용된다. 이러한 샤워기는, 수전과 일단이 연결되는 호스의 타단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샤워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외주면에는 토출되는 냉수 또는 온수의 형태를 제어하는 레버가 구비되며, 타단에는 상기 레버에 의해 제어되는 물이 토출되는 것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된 샤워헤드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샤워헤드를 통해 분사되는 물을 이용하여 머리를 감거나, 샤워 등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샤워기는 샤워헤드가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용도가 다른 종류의 샤워헤드를 사용하고자 할 때, 별도의 샤워기를 구매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샤워기의 종류가 다양하게 출시되는 상황에서 예를 들어, 애완견 목욕, 두피 마사지 등 용도 확장을 위한 별도의 샤워헤드에 대한 시장의 니즈가 부상하고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샤워헤드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샤워기에 대한 새로운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4118호 카트리지 교체형 샤워기(CARTRIDGE REPLACEABLE SHOWER)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91961호 헤드 부분을 교체할 수 있는 세척기 겸용 샤워기(HEADS REPLACEABLE SHOWER DEVICE WITH CLEANING FUNC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43221호 교체형 기능 모듈을 갖는 멀티 기능성 샤워기(MULTI FUNCTIONAL SHOWER WHITH REPLACEABLE FUNCTIONAL MODU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헤드부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여, 용도에 적합한 헤드부를 쉽게 변경 사용할 수 있는 헤드부 교체가 용이한 인터락 방식의 샤워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샤워기에 대한 이해력이 부족한 사용자의 경우에도 쉽게 헤드부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또한, 용도 별로 다양한 헤드부를 제공하여 활용도가 향상된 샤워기를 제공하고 한다.
또한, 각 부품 별 조립 관계를 단순하게 하여 샤워기의 제조 공정을 개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일단으로 미정수된 물이 유입되며, 내부에 배치되는 제1필터모듈을 통해 정수된 제1물이 타단을 통해 유출되는 관형그립부; 제1물이 정수되어 제2물이 형성되도록 제2필터모듈이 배치되며 내주면 상부에 제1락킹부가 형성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연통되며 상기 관형그립부의 타단이 결합되어 제1물이 유입되는 인렛부를 포함하는 바디케이스; 및 상기 제1락킹부에 대응되는 제2락킹부가 형성되어 상기 바디케이스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면커버에 형성된 분사공을 통해 제2물이 분사되는 교체형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부 교체가 용이한 인터락 방식의 샤워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락킹부는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상기 바디부의 내주면에서 연직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락킹편수용돌기이며, 상기 락킹편수용돌기는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이고, 상기 락킹편수용돌기는 가이드돌기부와, 상기 교체형헤드부의 락킹 방향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체형헤드부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후면커버의 하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디부와 체결되며, 상기 제2필터모듈이 삽입 결합되는 내측 공간이 형성되는 락킹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락킹슬리브의 외주면에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 회동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교체형헤드부가 상기 바디케이스와 체결되거나 분리 이탈되도록 하는 제2락킹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체형헤드부는 제2물이 미세입자 형태로 분사되도록 하는 미세입자생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세입자생성부재는 제2물이 유입되는 절개유입홈이 형성되는 유입바디; 및 상기 유입바디의 중앙에서 연직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홈부를 포함하는 와류생성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홈부는, 상기 와류생성돌기의 외주면에 상기 와류생성돌기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직선형유도홈부와, 상기 직선형유도홈부에서 연장되며 제2물이 선회하면서 와류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나선형유도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형유도홈부에는 제2물이 선회할 때, 제2물과 접촉되는 전방경사면의 면적이 갈수록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 교체가 용이한 인터락 방식의 샤워기기는 헤드부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여, 용도에 적합한 헤드부를 쉽게 변경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샤워기에 대한 이해력이 부족한 사용자의 경우에도 쉽게 헤드부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용도 별로 다양한 헤드부를 제공하여 샤워기에 대한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각 부품 별 조립 관계를 단순하게 하여 샤워기의 제조 공정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유로 구조가 개선된 절수형 샤워기에 대한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관형그립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종방향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전면커버와 후면커버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미세입자생성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미세입자생성부재가 와류생성실돌기에 배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1의 바디부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1의 후면커버의 후방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1의 제2필터모듈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1의 제2상단캡을 보여주는 도면.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유로 구조가 개선된 절수형 샤워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관형그립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전면커버와 후면커버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미세입자생성부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미세입자생성부재가 와류생성실돌기에 배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바디부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후면커버의 후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이다. 도 9는 도 1의 제2필터모듈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1의 제2상단캡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유로 구조가 개선된 절수형 샤워기는 관형그립부(100), 바디케이스(200), 교체형헤드부(300)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샤워기는 먼저 미정수된 물을 2단에 걸쳐 단계적으로 정수한 이후, 정수된 물을 미세입자 크기 예를 들어, 미스트 등의 형태로 전환하여 분사 또는 분무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미세입자로 인해 피분사대상과 접촉되는 물의 전체 표면적의 크기는 상당히 증가하게 된다. 된다. 그 결과, 물의 사용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관형그립부(100)는 사용자가 샤워기를 사용할 때, 손으로 그립하는 부분이다. 관형그립부(100)는 일단으로 미정수된 물이 유입되며, 내부에 배치되는 제1필터모듈(1200)을 통해 정수된 제1물이 타단을 통해 유출되도록 한다. 미정수된 물은 관형그립부(100)의 후단을 통해 유입된다. 관형그립부(100)는 그립부케이스(110), 제1필터모듈(1200), 실링부재(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립부케이스(110)는 합성수지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제1필터모듈(1200)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립부케이스(110)의 전단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바디케이스(200)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그립부케이스(110)에는 후술할 윈도우돌부(1222)가 관통되면서 끼움 결합되는 윈도우홀(111)이 형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필터모듈(1200)은 예를 들어, 제1필터(1210), 제1필터케이스(1220), 제1하단캡(1230), 제1상단캡(12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필터모듈(1200)은 미정수된 물에 포함되는 바이러스, 세균 등을 흡착하거나 포집하는 방법으로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런 제1필터모듈(1200)은 누적되는 정수량이 많아지면 필터의 기능이 저하되는 바, 일정 기간 사용에 따른 교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제1필터모듈(1200)은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다.
제1필터(1210)는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연장 형성되어 양단이 연통되는 관형 구조를 갖는다. 제1필터(1210)는 외주면과 내주면이 양전하 등으로 코팅 처리된 부직포 재질로 형성된다. 이런 부직포는 내부적으로 복수의 층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미정수된 물은 제1필터(1210)의 외부에서 외주면과 내주면을 통과하여 제1필터(121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제1필터케이스(1220)는 관형으로 제1필터(121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한편, 제1필터케이스(1220)의 내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필터케이스(1220)의 내주면과 제1필터(1210)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간격유지돌기(12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필터케이스(1220)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제1필터(1210)의 오염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 재질의 윈도우돌부(12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하단캡(1230)은 제1필터(1210)의 하단에 끼움 결합된다. 제1하단캡(1230)은 원형플레이트(1231), 원형플레이트(1231)의 일 측면에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부에서 미리 설정되는 각도로 절곡되는 날개돌기(1232), 원형플레이트(1231)의 타 측면에 환형으로 이격 배치되어 제1필터(1210)의 내주면과 면 접촉 결합되는 결합돌편(1233) 및 원형플레이트(1231)의 일 부분에 형성되어 간격유지돌기(1221)가 끼워지는 고정홈(1234)을 포함할 수 있다.
날개돌기(1232)는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제1필터케이스(1220)의 후단 중앙 개구를 통해 유입되는 미정수된 물이 방사 방향으로 분산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미정수된 물은 제1필터(1210)의 외주연에 제1필터(1210)를 둘러싸는 형태로 분포하게 된다.
제1상단캡(1240)은 제1필터(1210)의 상단에 압입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상단캡(1240)은 제1필터(1210)를 통해 정수된 제1물이 유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출공이 형성되는 캡바디(1241), 캡바디(1241)의 일 측면에 제1물이 이동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돌출 형성되며, 인렛부(220)에 밀폐 결합되는 실링슬리브(1242), 캡바디(1241)의 타 측면에 환형으로 이격 배치되어 제1필터(1210)의 내주면에 삽입되면 가압되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압입되며,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에 의해 걸림 결합되는 걸림돌편(1243)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케이스(200)는 제1물이 정수되어 제2물이 형성되도록 제2필터모듈(2300)이 배치되는 바디부(210)와, 바디부(210)에 연통되며 관형그립부(100)의 타단이 결합되어 제1물이 유입되는 인렛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210)는 전체적으로 높이가 낮은 원통형 구조에 그 상면이 개구되어 있다. 또한, 바디부(210)의 중간 높이 어느 일 부분에는 제2필터케이스(2320)의 윈도우돌부(2322)가 관통되면서 끼움 결합되는 윈도우홀(21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윈도우홀(211)을 바디부(210)를 따라 곡선으로 형성된다. 윈도우홀(211)은 바디부(210)와 인렛부(220)가 연통되는 연통개구의 맞은 편에 형성된다.
바디부(210)의 내주면 상부에는 제1락킹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락킹부(212)는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바디부의 내주면에서 연직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락킹편수용돌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락킹편수용돌기는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일 수 있다. 이런 락킹편수용돌기는 가이드돌기부(212(a))와, 교체형헤드부의 락킹 방향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돌기부(212(b))를 포함할 수 있다. 락킹편수용돌기는 교체형헤드부(300)가 락킹 방향 또는 언락킹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런, 회동 방향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일 수 있다.
가이드돌기부(212(a))는 교체형헤드부(300)에 형성되는 제2락킹부(331)가 스토퍼돌기부(212(b))에 의해 회동이 제한될 때까지 교체형헤드부(300)가 회동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한다. 스토퍼돌기부(212(b))는 교체형헤드부(300)에 대한 회동을 제한하여, 사용자에게 교체형헤드부(300)와 바디케이스(200)가 락킹 완료되는 시점을 알려준다.
인렛부(220)는 바디부(210)에 소정 각도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다.
제2필터모듈(2300)은 제1필터모듈(1200)에 의해 제1단계 정수된 물을 다시 정수하여 제2단계 물인 제2물로 변환시킨다. 구체적으로, 제2필터모듈(2300)은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연장 형성되어 양단이 연통되는 원통형 제2필터(23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필터(2310)는 제1물에 포함되는 중금속,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을 제거하고,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을 유지시킨다. 제2물에 대한 제2필터(2310)의 중금속 제거 실험 결과, 카드뮴, 납, 수은, 6가 크롬 등이 모두 불검출되었다.
제2하단캡(2330)은 원형하부판(2331)과, 원형하부판(2331)의 중심에서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빈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슬리브(2332)를 포함한다. 고정슬리브(2332) 하단은 제2필터(2310)의 하단 내주면 직경과 동일하여, 제2하단캡(2330)에 끼워지는 제2필터(23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슬리브(2332)는 제2필터(2310)를 통해 정수된 제2물이 고정슬리브(2332) 내부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슬리브(2332)에는 제2물이 이동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상단캡(2340)은 원형상부판(2341)과, 원형상부판(2341)의 중심에서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빈 원통 형상으로 고정슬리브(2332)의 상단 내주면에 삽입되어 밀폐 결합되는 수직슬리브(234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수직슬리브(2342) 내측에는 제2상단캡(2340)의 하면 중앙에서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며, 환형으로 이격 배치되고, 후술할 커버플레이트(2350)가 삽입되면 발생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커버플레이트(2350)를 가압시키고,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에 의해 커버플레이트(2350)가 걸림 결합되도록 하는 걸림돌편(23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돌편(2343) 내측에는 고형비타민제재(2360)가 배치될 수 있다. 고형비타민제재(2360)는 바디케이스(200)에서 헤드부(300)로 이동되는 제2물에 잔류하는 염소를 제거한다. 염소는 인체의 피부를 구성하는 피부 단백질과 반응하여 이를 파괴함으로써 피부 노화나 각 종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고형비타민제재(2360)는 염소와의 화학 반응을 통해 염소를 제거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형비타민제재(2360)는 수용성 비타민 C일 수 있다. 비타민 C는 제2물에 잔류하는 염소를 중화시켜서 피부에 좋은 약산성으로 변화시킨다. 이를 통해, 잔류하는 염소를 99.9% 제거할 수 있다. 고형비타민제재(2360)는 제2물이 제2필터모듈(2300)에서 유출되는 과정에서 제2물에 비타민 성분을 부가한다.
커버플레이트(2350)는 고형비타민제재(2360)가 걸림돌편(234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커버플레이트(2350)가 장착되면, 고형비타민제재(2360)는 걸림돌편(2343) 사이사이로 노출된다.
또한, 제2상단캡(2340)의 상면 중앙에는 제2상단캡홈부(2344)가 형성되고, 제2상단캡홈부(2344)에는 비타민이 혼합된 제2물이 임시적으로 수용되도록 홈슬리브(234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홈슬리브(2345)의 바닥면에는 제2물이 이동될 수 있는 홈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홈슬리브(2345)에는 이를 밀폐 결합하여 홈슬리브(2345)의 상면 개구를 커버하는 홈슬리브캡(2346)이 더 결합될 수 있다. 홈슬리브캡(2346)에 의해 비타민이 혼합되어 염소가 제거된 제2물이 홈슬리브(2345) 내측 공간에서 일정 시간 체류할 수 있다. 홈슬리브캡(2346)에는 이런 제2물이 유출될 수 있는 캡통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상단캡(2340)은 원형상부판(2341)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슬릿개구(2347)가 방사 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런, 슬릿개구(2347)는 제2상단캡홈부(2344)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슬릿개구(2347)는 제2필터(2310)를 통해 정수된 제2물이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제2물은 슬릿개구(2347)를 통해 제2필터모듈(2300)과 헤드부(300) 사이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제2물은 홈슬리브캡(2346)에 형성된 캡통공을 통해 홈슬리브(2345)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물은 홈슬리브(2345)에서 홈통공을 통해 고형비타민제재(2360)가 배치되는 곳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를 통해, 고형비타민제재(2360)는 제2물과 접촉되어, 제2물에 의해 녹게 된다.
그 다음, 비타민이 혼합된 제2물은 고정슬리브(2322) 내부 공간으로 이동되거나, 홈통공을 통해 다시 홈슬리브(2345)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홈슬리브(2345)로 이동된 비타민이 혼합된 제2물은 캡통공을 통해 제2필터모듈(2300)과 헤드부(300) 사이 공간으로 이동되어 슬릿개구(2347)를 통해 이동된 정수된 제2물과 혼합될 수 있다.
제2필터케이스(2320)는 제2필터(231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한편, 제2필터케이스(2320)의 내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필터케이스(2320)의 내주면과 제2필터(2310)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간격유지돌기(23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필터케이스(2320)의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제2필터(2310)의 오염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 재질의 윈도우돌부(232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윈도우돌부(2322)는 제1필터케이스(1220)와 달리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다.
교체형헤드부(300)는 바디부(210)와 결합되어 제2물이 유입되면, 전면커버(310)에 형성된 분사공(316)을 통해 제2물이 미세입자 형태로 분사되도록 한다. 교체형헤드부(300)는 제2물을 미세한 물방울 형태로 분무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헤드부(300)는 전면커버(310)와 후면커버(320)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전면커버(310)와 후면커버(320)는 나사,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후면커버(320)는 제2물이 유입되면 180도 대칭되게 양 방향으로 분기되는 선형후면유로부(321)와, 선형후면유로부(321)의 각 단부에서 제2물이 양 갈래로 분기되어 원형으로 순환되는 환형후면유로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선형후면유로부(321)의 중간에는 제2물이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물유입공(332)이 형성될 수 있다.
환형후면유로부(322)에는 체결돌기(323)와 가압고정돌기(324)가 환형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다. 또한, 환형후면유로부(322)에는 체결돌기(323)와 가압고정돌기(324)의 각 하단에 가해지는 충격 등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연결돌기(3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연결돌기(325)는 환형후면유로부(322)의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압고정돌기(324)는 후술한 미세입자생성부재(400)가 와류생성실돌기(314)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가압고정돌기(324)는 전면커버(310)와 후면커버(320)가 조립 체결된 상태에서 미세입자생성부재(400)의 유입바디(410)를 연직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교체형헤드부(300)는 후면커버(320)의 하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바디부(210)와 체결되며, 제2필터모듈(2300)이 삽입 결합되는 내측 공간이 형성되는 락킹슬리브(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락킹슬리브(330)의 외주면에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 회동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교체형헤드부(300)가 바디케이스(200)와 체결되거나 분리 이탈되도록 하는 제2락킹부(33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락킹부(331)는 락킹슬리브의 하단 외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락킹편돌기일 수 있다. 락킹편돌기는 교체형헤드부(330)가 바디케이스(200)에 삽입된 이후 락킹을 위한 회동 과정에서, 락킹편돌기가 락킹편수용돌기와 접촉되면, 일정 각도 회동된 이후 교체형헤드부(330)가 바디케이스(200)에 락킹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면커버(310)는 180도 대칭되게 양 방향으로 분기되는 선형전면유로부(311)와, 선형전면유로부(311)의 각 단부에서 제2물이 양 갈래로 분기되어 원형으로 순환되는 환형전면유로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선형전면유로부(311)와 선형후면유로부(321)는 서로 대향 배치된다. 또한, 환형전면유로부(312)와 환형후면유로부(322)는 서로 대향 배치된다.
환형전면유로부(312)에는 체결돌기(313)와 와류생성실돌기(314)가 환형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환형전면유로부(312)의 내면에는 와류생성돌기(420)가 수용되는 와류생성실돌기(314)가 복수 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환형전면유로부(312)에는 체결돌기(313)와 와류생성실돌기(314)의 각 하단에 가해지는 충격 등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연결돌기(3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연결돌기(315)는 환형전면유로부(312)의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교체형헤드부(300)는 미세입자생성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세입자생성부재(400)는 제2물이 유입되는 절개유입홈(412)이 형성되는 유입바디(410)와, 유입바디(410)의 중앙에서 연직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홈부(421)를 포함하는 와류생성돌기(420) 및 유입바디(410) 사이를 연결시키는 아크형연결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바디(410)는 유입바디(410)의 측면 일부가 컷팅되어 형성되는 안내컷팅부(4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유입바디(410)는 안내컷팅부(411)에 따라 대칭적 또는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컷팅부(411)가 한 쌍이고, 비대칭적 형상을 갖는 경우, 안내컷팅부(411)는 순환하는 제2물이 유입바디(410)를 통해 절개유입홈(412)으로 유입될 때, 유입되는 속도의 차이를 일으킨다. 이는 미세입자생성부재(400)를 통해 유입되는 제2물에 대한 와류 형성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와류생성돌기(420)는 와류생성실돌기(314)에 삽입되면 밀착 결합된다. 이를 위해, 와류생성돌기(420)의 외경은 와류생성실돌기(314)의 내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와류생성돌기(420)가 와류생성실돌기(314)에 결합되면, 와류생성돌기(420)의 선단은 와류생성실돌기(314)와 연통되는 분사공(316)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유도홈부(421)는 와류생성돌기(420)의 외주면에 와류생성돌기(420)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직선형유도홈부(421(a))와, 직선형유도홈부(421(a))에서 연장되며 제2물이 선회하면서 와류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나선형유도홈부(42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직선형유도홈부(421(a))에는 제2물의 이동에 따른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마찰감소곡면(422)이 형성되어 있다.
나선형유도홈부(421(b))는 와류에 의한 모세관 원리로 물을 미세입자 예를 들어, 미스트로 변환시킨다. 또한, 나선형유도홈부(421(b))는 직선형유도홈부(421(a))와 동일하게 직선형유도홈부(421(a))에서 연장되는 마찰감소곡면(422)을 포함한다. 또한, 나선형유도홈부(421(b))에는 제2물이 선회할 때, 제2물과 접촉되는 전방경사면(423)의 면적이 갈수록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경사면(423)은 제2물의 선회 방향에서 볼 때, 제2물의 전방에 위치하는 경사면을 의미한다. 제2물은 마찰감소곡면(422)과 전방경사면(423)을 통해 보다 강력한 와류로 형성될 수 있다.
아크형연결부(430)는 연결돌기(315)의 곡률보다 작은 값을 갖을 수 있다. 즉, 아크형연결부(430)는 연결돌기(315)보다 더 휘어져 있다. 이는, 제2물이 보다 원활하게 절개유입홈(412)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전면커버(310)에는 와류생성실돌기(314)와 연통되는 분사공(31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커버(310)의 외면에는 분사공(316)을 통해 분사되는 제2물의 분사각도(a1)가 120도 내지 150도 범위를 갖도록 단면적이 점차 확장되는 단면적확장부(b2)가 형성될 수 있다. 분사공(316)을 통해 분사되는 제2물의 분사각도(a1)와 분사속도가 클수록 제2물이 보다 넓게 분사될 수 있다. 분사각도(a1)가 120보다 작으면 피분사대상에 대한 분사 범위가 작아 국부적인 분사가 되며, 150보다 크면 분사 범위가 커서 물의 낭비적 소비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분사속도가 일정 속도에 미치지 못하면 제2물이 멀리까지 분사되지 못한다.
이에 반해, 와류생성실돌기(314)의 하단 즉, 분사공(316)과 연통되는 부분에는 제2물이 분사되는 방향으로 단면적이 점차 축소되는 단면적축소부(b1)가 형성될 수 있다. 단면적축소부(b1)는 분사공(316)으로 유입되는 제2물의 분사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관형그립부 200: 바디케이스
300: 교체형헤드부 400: 미세입자생성부재
110: 그립부케이스 1200: 제1필터모듈
130: 실링부재 111: 윈도우홀
1210: 제1필터 1220: 제1필터케이스
1230: 제1하단캡 1240: 제1상단캡
1221: 간격유지돌기 1222: 윈도우돌부
1231: 원형플레이트 1232: 날개돌기
1233: 결합돌편 1234: 고정홈
1241: 캡바디 1242: 실링슬리브
1243: 걸림돌편
210: 바디부 220: 인렛부
211: 윈도우홀 212: 제1락킹부
212(a): 가이드돌기부 212(b): 스토퍼돌기부
2300: 제2필터모듈
2310: 제2필터 2320: 제2필터케이스
2330: 제2하단캡 2340: 제2상단캡
2321: 간격유지돌기 2322: 윈도우돌부
2331: 원형하부판 2332: 고정슬리브
2341: 원형상부판 2342: 수직슬리브
2343: 걸림돌편 2344: 제2상단캡홈부
2345: 홈슬리브 2346: 홈슬리브캡
2347: 슬릿개구
2350: 커버플레이트 2360: 고형비타민제재
310: 전면커버 320: 후면커버
330: 락킹슬리브
311: 선형전면유로부 312: 환형전면유로부
313: 체결돌기 314: 와류생성실돌기
315: 연결돌기 316: 분사공
321: 선형후면유로부 322: 환형후면유로부
323: 체결돌기 324: 가압고정돌기
325: 연결돌기
331: 제2락킹부
410: 유입바디 420: 와류생성돌기
430: 아크형연결부 411: 안내컷팅부
412: 절개유입홈 421: 유도홈부314
421(a): 직선형유도홈부 421(b): 나선형유도홈부
422: 마찰감소곡면 423: 전방경사면
a1: 분사각도 b1: 단면적축소부
b2: 단면적확장부

Claims (6)

  1. 일단으로 미정수된 물이 유입되며, 내부에 배치되는 제1필터모듈을 통해 정수된 제1물이 타단을 통해 유출되는 관형그립부;
    제1물이 정수되어 제2물이 형성되도록 제2필터모듈이 배치되며 내주면 상부에 제1락킹부가 형성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연통되며 상기 관형그립부의 타단이 결합되어 제1물이 유입되는 인렛부를 포함하는 바디케이스; 및
    상기 제1락킹부에 대응되는 제2락킹부가 형성되어 상기 바디케이스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면커버에 형성된 분사공을 통해 제2물이 분사되는 교체형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교체형헤드부는 상기 전면커버와 후면커버가 대칭적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후면커버의 하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디부와 체결되며, 상기 제2필터모듈이 삽입 결합되는 내측 공간이 형성되는 락킹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교체형헤드부는 미세입자생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입자생성부재는 제2물이 유입되는 절개유입홈이 형성되는 유입바디; 및 상기 유입바디의 중앙에서 연직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홈부를 포함하는 와류생성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바디는 상기 유입바디의 측면 일부가 컷팅되어 제2물이 절개유입홈으로 유입될 때 유입되는 속도의 차이를 일으키는 안내컷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도홈부는, 상기 와류생성돌기의 외주면에 상기 와류생성돌기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직선형유도홈부와, 상기 직선형유도홈부에서 연장되며 제2물이 선회하면서 와류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나선형유도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선형유도홈부에는 제2물이 선회할 때, 제2물과 접촉되는 전방경사면의 면적이 갈수록 좁아지고,
    상기 나선형유도홈부에는 상기 직선형유도홈부에서 연장되는 마찰감소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나선형유도홈부는 상기 와류생성돌기의 외주면을 따라 선회하는 각도가 360도 미만이고,
    상기 바디부는 제2필터가 수용되는 제2필터케이스; 원형하부판과 상기 원형하부판의 중심에서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빈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슬리브를 포함하는 제2하단캡; 및 원형상부판과 상기 원형상부판의 중심에서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빈 원통 형상으로 상기 고정슬리브의 상단 내주면에 삽입되어 밀폐 결합되는 수직슬리브를 포함하는 제2상단캡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슬리브의 내측에는 제2상단캡의 하면 중앙에서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며, 환형으로 이격 배치되는 걸림돌편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편 내측에는 고형비타민제재가 상기 걸림돌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플레이트가 걸림 결합되며,
    상기 제2상단캡의 상면 중앙에는 제2상단캡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상단캡홈부에는 비타민이 혼합된 제2물이 임시적으로 수용되는 홈슬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홈슬리브에는 상기 홈슬리브의 상면 개구를 커버하는 홈슬리브캡이 결합되고,
    상기 원형상부판에는 상기 원형상부판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슬릿개구가 상기 제2상단캡홈부가 아닌 개소에 방사 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부 교체가 용이한 인터락 방식의 샤워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락킹부는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상기 바디부의 내주면에서 연직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락킹편수용돌기이며,
    상기 락킹편수용돌기는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이고,
    상기 락킹편수용돌기는 가이드돌기부와, 상기 교체형헤드부의 락킹 방향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돌기부를 포함하는 헤드부 교체가 용이한 인터락 방식의 샤워기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슬리브의 외주면에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 회동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교체형헤드부가 상기 바디케이스와 체결되거나 분리 이탈되도록 하는 제2락킹부가 형성되는 헤드부 교체가 용이한 인터락 방식의 샤워기기.
  5. 삭제
  6. 삭제
KR1020210079725A 2021-06-21 2021-06-21 헤드부 교체가 용이한 인터락 방식의 샤워기기 KR102331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725A KR102331869B1 (ko) 2021-06-21 2021-06-21 헤드부 교체가 용이한 인터락 방식의 샤워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725A KR102331869B1 (ko) 2021-06-21 2021-06-21 헤드부 교체가 용이한 인터락 방식의 샤워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869B1 true KR102331869B1 (ko) 2021-12-01

Family

ID=78900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725A KR102331869B1 (ko) 2021-06-21 2021-06-21 헤드부 교체가 용이한 인터락 방식의 샤워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8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5267A1 (ko) * 2022-06-29 2024-01-04 주식회사 블루인더스 절곡 필터가 구비된 샤워기 헤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6180A (ko) * 2007-03-22 2008-09-25 최영철 샤워기 헤드
JP4575556B2 (ja) * 2000-07-05 2010-11-04 有限会社寿通商 浄水機能付きシャワーヘッド
KR20140103711A (ko) * 2013-02-19 2014-08-27 이장우 이중 잠금 구조의 유체분사장치
KR20200037971A (ko) * 2018-10-02 2020-04-10 주식회사 케이엔텍 미스트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샤워헤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5556B2 (ja) * 2000-07-05 2010-11-04 有限会社寿通商 浄水機能付きシャワーヘッド
KR20080086180A (ko) * 2007-03-22 2008-09-25 최영철 샤워기 헤드
KR20140103711A (ko) * 2013-02-19 2014-08-27 이장우 이중 잠금 구조의 유체분사장치
KR20200037971A (ko) * 2018-10-02 2020-04-10 주식회사 케이엔텍 미스트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샤워헤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91961호 헤드 부분을 교체할 수 있는 세척기 겸용 샤워기(HEADS REPLACEABLE SHOWER DEVICE WITH CLEANING FUNC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4118호 카트리지 교체형 샤워기(CARTRIDGE REPLACEABLE SHOWER)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43221호 교체형 기능 모듈을 갖는 멀티 기능성 샤워기(MULTI FUNCTIONAL SHOWER WHITH REPLACEABLE FUNCTIONAL MOD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5267A1 (ko) * 2022-06-29 2024-01-04 주식회사 블루인더스 절곡 필터가 구비된 샤워기 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13878B1 (en) Showerhead with turbine driven shutter
CN107995879B (zh) 雾化喷嘴
US9962718B2 (en) Power sprayer
TWI520784B (zh) 用於噴灑加壓液體的裝置
US4094468A (en) Hand shower
EP2181771B1 (en) Dome pump spray assembly
US9289784B2 (en) Showerhead for generating micro air bubbles
KR102331869B1 (ko) 헤드부 교체가 용이한 인터락 방식의 샤워기기
TWI580385B (zh) 蓮蓬頭及匣
KR101946170B1 (ko) 미세버블 샤워헤드
WO2016156883A1 (en) Atomiser nozzle
CN212120427U (zh) 淋浴器
KR101337696B1 (ko) 이중 살수판을 구비한 샤워헤드
CA2959840C (en) Power sprayer
KR102331870B1 (ko) 내부 유로 구조가 개선된 절수형 샤워기
JP2004105791A (ja) シャワーヘッド
KR102232104B1 (ko) 독립형 기능수 유로를 갖는 절수 샤워헤드
CN211463545U (zh) 出水装置
JP2005152816A (ja) 混合用アタッチメント
US20060180681A1 (en) Faucet adaptor
KR20130108955A (ko) 다용도 세척기
JP2013128651A (ja) 吐水具
KR102341861B1 (ko) 워터팬을 포함하는 샤워기
US20230383508A1 (en) Showerhead device with function of providing cleansing solution
JP7142908B2 (ja) 水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