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9317A - 코골이 저감 동작이 가능한 모션 프레임 침대 및 이를 이용한 코골이 저감 방법 - Google Patents

코골이 저감 동작이 가능한 모션 프레임 침대 및 이를 이용한 코골이 저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9317A
KR20210129317A KR1020200047004A KR20200047004A KR20210129317A KR 20210129317 A KR20210129317 A KR 20210129317A KR 1020200047004 A KR1020200047004 A KR 1020200047004A KR 20200047004 A KR20200047004 A KR 20200047004A KR 20210129317 A KR20210129317 A KR 20210129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noring
sound signal
pressure leve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규섭
박철우
서인석
박춘호
이현철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7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9317A/ko
Publication of KR20210129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1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6Oscillating, balancing or vibrating mechanisms connected to the bedst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8Use of remot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2M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10L21/0216Noise filter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estimating noi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10L25/66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for extracting parameters related to health cond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78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voic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7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application of chemical or pharmacological stimulu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78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voice signals
    • G10L2025/783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voice signals based on threshold deci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음향을 미리 결정된 방법으로 코골이 음향 신호로 판단하고, 이에 따른 코골이 저감 동작이 가능한 모션 프레임 침대, 그리고 이를 이용한 코골이 저감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코골이 저감 동작이 가능한 모션 프레임 침대 및 이를 이용한 코골이 저감 방법{Motion Frame Bed for Snoring Reduction Operation and Snoring Red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음향을 감지하여 소정의 방법으로 코골이 음향 신호를 판단한 후, 코골이 음향 신호로 판단된 경우 코골이 저감 동작을 수행하도록 모션 프레임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션 프레임 침대 및 이를 이용한 코골이 저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골이는 수면 중 숨쉬는 공기가 통과하게 되는 인후부가 좁아져서 호흡하는 공기의 흐름이 방해받아 호흡기관 자체가 떨림판 역할을 함으로써 진동소음이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사람이 숨을 쉴 때는 공기가 입천장, 목젖, 편도, 혀 등과 같이 유연한 구조물을 지나게 되는데, 낮에는 이 부분들이 제자리를 유지하도록 주위 근육들이 도와주기 때문에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를 막지 않는다. 하지만, 수면 중에는 근육들이 이완되어 늘어지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공기통로가 좁아져서. 좁아진 부분에 공기가 통과할 때의 주변의 부드러운 부분들을 진동시켜 진동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코골이가 발생하는 경우 수면의 질이 저하되어 수면 시간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불충분한 수면을 불러올 수 있어 수면 상태에서 깨어났을 때에 두통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질식사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종래 기술로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음향을 감지하여 출력된 입력 음향 신호를 기존 코골이 음향 신호와의 유사도 산출 등의 방식을 통해 코골이 음향 신호를 판단하는 방법이 이용되어 왔다.
하지만,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음향은 코골이 측정 대상으로부터 발생되는 음향 이외에도, 다양한 노이즈 음향을 포함하기에, 코골이 음향이 아님에도 코골이로 판단하여 저감 동작을 수행하는 등 코골이 판단의 정확도가 낮은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68330호는 피검사자의 수면음을 이용하여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수면음의 음향 특성을 추출하고, 피검사자의 신체에서 발생하는 수면음 외의 다른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필터링 수단을 사용하여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수면무호흡의 판단 정확성을 높이는 내용을 제시한다.
하지만, 코골이 음향 신호의 주파수와 무관한 주파수를 갖는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것으로, 코골이 음향 신호와 유사한 주파수 특징값을 갖는 노이즈의 필터링이 수행될 수 없어, 코골이 판단의 정확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66169호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음향의 크기 및 주파수값을 분석하여 코골이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이 역시 음향의 크기와 주파수값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코골이 음향 신호와 유사한 주파수 특징값을 갖는 노이즈 필터링이 수행될 수 없어, 코골이 판단의 정확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
이렇듯, 종래의 코골이 감지 기술은 코골이 음향 신호의 특징값, 즉 주파수와 크기를 이용하여 입력 음향 신호가 코골이 음향 신호인지 판단하였으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음향은 코골이 음향 신호의 주파수 또는 크기와 유사한 주파수 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기에, 상기한 종래 기술만으로는 정확한 코골이 판단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2068330호(2020.01.20)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866169호(2018.06.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입력 음향 신호의 특징값과 코골이 음향 신호의 특징값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고, 입력 음향 신호의 특징값과 노이즈 음향 신호의 특징값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여 코골이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높은 정확도로 코골이 여부를 판단하여 이에 따른 코골이 저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모션 프레임 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 대상으로부터 유입되는 음향 이외에 다른 방향에서 유입되는 음향을 최소화하여, 노이즈 음향으로 인해 코골이 여부의 판단 정확성의 저하 문제가 해결되는 코골이 저감 모듈을 포함하는 모션 프레임 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션 프레임의 코골이 저감 동작 이외에도, 공기청정기 및 산소발생기의 동작을 통해 코골이 시 발생할 수 있는 산소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코골이 저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매트리스(110), 상기 매트리스(110)가 안착되고,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매트리스(110)의 형상을 변형하는 모션 프레임(120) 및 코골이 저감 모듈(140)을 포함하고, 상기 코골이 저감 모듈(140)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음향을 감지하여 입력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감지부(143), 상기 음향 감지부(143)에서 출력된 상기 입력 음향 신호의 음압 레벨 및 지속 시간에 따라 상기 입력 음향 신호를 유효 음향 신호로 판단하고, 상기 유효 음향 신호의 특징을 입력 특징값으로 추출하며, 미리 저장된 코골이 음향 신호의 기준 코골이 특징값과 상기 입력 특징값 간의 제1 유사도를 산출하고, 미리 저장된 노이즈 음향 신호의 기준 노이즈 특징값과 상기 입력 특징값 간의 제2 유사도를 산출하며, 상기 제1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제2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유효 음향 신호를 코골이 음향 신호로 판단하는, 음향 처리부(146) 및 상기 음향 처리부(146)가 상기 유효 음향 신호가 상기 코골이 음향 신호로 판단된 경우, 상기 모션 프레임(120)이 미리 저장된 코골이 저감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모션 프레임(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코골이 저감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제어부(148)를 포함하는, 모션 프레임 침대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향 처리부(146)는, 상기 입력 음향 신호의 음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음압 레벨보다 크고, 상기 미리 설정된 음압 레벨보다 큰 음압 레벨의 상기 입력 음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를 유효 음향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골이 저감 모듈(140)은, 상기 음향 감지부(143)가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141a, 141b)가 관통 형성된 본체부(141) 및 상기 음향 감지부(143)를 중심으로 상기 개구(141a, 141b)와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음향 감지부(143)보다 큰 차단부(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골이 저감 모듈(140)은, 상기 음향 감지부(143)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음향 감지부(143)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음향 흡수부(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입력 특징값은 시간, 주파수 및 음압 레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향 감지부(143)는 복수개 구비되며, 복수 개의 음향 감지부(143) 간의 거리는 2.7cm 내지 3.3c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148)는, 상기 음향 처리부(146)가 상기 유효 음향 신호가 상기 코골이 음향 신호로 판단된 경우, 공기청정기(200)의 공기청정 동작 및 산소발생기(300)의 산소발생 동작 중 하나 이상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더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110)에 설치되어 압력 감지에 의해 입력 압력 신호를 출력하는 압력 센서(1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처리부(146)는, 상기 압력 센서(111)에서 출력되는 입력 압력 신호의 압력 레벨이 미리 설정된 압력 레벨보다 크고, 상기 음향 감지부(143)에서 출력된 입력 음향 신호의 음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음압 레벨보다 크며, 상기 미리 설정된 음압 레벨보다 큰 음압 레벨의 입력 음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 감지되는 경우 이를 유효 음향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션 프레임(120)은, 하나 이상의 상부 프레임(121, 122), 상기 상부 프레임에 대해 소정 각도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 프레임(124, 125)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 프레임(121, 122)과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 프레임(124, 125) 각각의 지면에 대한 각도를 조절 가능한 하나 이상의 구동 프레임(126)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저장된 코골이 저감 동작은,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 프레임(121, 122) 중 적어도 하나가 들어올려져,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 프레임(121, 122)과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 프레임(124, 125)이 이루는 각도가 감소되도록 하는 상기 구동 프레임(126)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음압 레벨은 45 dB 내지 55 dB이고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2초 내지 4초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항에 따른 모션 프레임 침대에서의 코골이 저감 방법으로서, (a) 상기 음향 감지부(143)가 외부에서 유입되는 음향을 감지하여 상기 입력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음향 처리부(146)가 출력된 상기 입력 음향 신호의 음압 레벨 및 지속 시간에 따라 상기 입력 음향 신호를 상기 유효 음향 신호로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음향 처리부(146)가 상기 (b) 단계에서 판단된 유효 음향 신호의 특징을 상기 입력 특징값으로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음향 처리부(146)가 상기 (c) 단계에서 추출된 입력 특징값과 미리 저장된 코골이 음향 신호의 기준 코골이 특징값 간의 제1 유사도를 산출하고, 상기 추출된 입력 특징값과 미리 저장된 노이즈 음향 신호의 기준 노이즈 특징값 간의 제2 유사도를 산출하며, 상기 제1 유사도가 상기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제2 유사도가 상기 제2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유효 음향 신호를 상기 코골이 음향 신호로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동작 제어부(148)가 상기 유효 음향 신호가 상기 코골이 음향 신호로 판단된 경우, 상기 모션 프레임(120)이 미리 저장된 코골이 저감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모션 프레임(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코골이 저감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골이 저감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출력된 입력 음향 신호의 음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음압 레벨보다 크고, 상기 미리 설정된 음압 레벨보다 큰 음압 레벨의 입력 음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 감지되는 경우 이를 유효 음향 신호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션 프레임(120)은, 하나 이상의 상부 프레임(121, 122), 상기 상부 프레임에 대해 소정 각도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 프레임(124, 125)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 프레임(121, 122)과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 프레임(124, 125) 각각의 지면에 대한 각도를 조절 가능한 하나 이상의 구동 프레임(126)를 포함하며, 상기 (e) 단계 이후, (f)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 프레임(121, 122) 중 적어도 하나가 들어올려져,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 프레임(121, 122)과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 프레임(124, 125)이 이루는 각도가 감소되는 단계 및 (g) 상기 (f) 단계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 프레임(121, 122) 중 적어도 하나가 눕혀져,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 프레임(121, 122)과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 프레임(124, 125)이 이루는 각도가 증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동작 제어부(148)가 공기청정기(200)의 공기청정 동작 및 산소발생기(300)의 산소발생 동작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코골이 저감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본 발명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입력 음향 신호의 특징값과 코골이 음향 신호의 특징값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고, 입력 음향 신호의 특징값과 노이즈 음향 신호의 특징값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여 코골이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높은 정확도로 코골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 대상으로부터 유입되는 음향 이외에 다른 방향에서 유입되는 음향을 최소화하여, 노이즈 음향으로 인해 코골이 여부의 판단 정확성의 저하 문제가 해결되는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모션 프레임의 코골이 저감 동작 이외에도, 공기청정기 및 산소발생기의 동작을 통해 코골이 시 발생할 수 있는 산소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프레임 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코골이 저감 모듈에 유입되는 음향에 따라 코골이 저감 동작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코골이 저감 모듈을 전체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코골이 저감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코골이 저감 모듈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코골이 저감 제어 신호 생성에 따른 모션 프레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저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프레임 침대(100)는, 매트리스(110), 모션 프레임(120) 및 코골이 저감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매트리스(110)는 모션 프레임(120)에 안착되며, 측정 대상이 매트리스(110) 누워 수면을 취할 수 있다.
일 예로, 매트리스(110)는 쿠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모션 프레임(120)의 동작에 따라 그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매트리스(110)의 형상이 변화되면 그에 따라 매트리스(110)에 누운 측정 대상의 수면 자세 역시 변화하여 측정 대상의 코골이 현상이 저감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매트리스(110) 내부에는 압력 센서(111)가 구비될 수도 있다.
압력 센서(1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리스(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매트리스(110)의 길이 방향은 일반적으로 측정 대상이 매트리스(110)에 놓여지는 방향이며, 일 지점에만 압력 센서(111)가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측정 대상이 매트리스(110)에 누워 있는 상황을 보다 높은 정확도로 감지할 수 있다. 도 1에는 2개의 압력 센서(111)가 매트리스(110)에 설치되는 실시예가 도시되나, 압력 센서(11)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모션 프레임(120)은 매트리스(110)가 안착되어 매트리스(110)를 지지함과 동시에, 코골이 저감 모듈(140)의 코골이 저감 제어 신호에 따라 코골이 저감 동작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션 프레임(120)은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프레임 각각의 동작 조합에 의해 매트리스(110)의 다양한 형상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션 프레임(120)은 제1 상부 프레임(121), 제2 상부 프레임(122), 중앙 프레임(123), 제1 하부 프레임(124) 및 제2 하부 프레임(12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 인접한 프레임에 대해 소정 각도로 상대 회전함으로써 코골이 저감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121, 122)이 중앙 프레임(123) 또는 제1 및 제2 하부 프레임(124, 125)에 대해 이루는 각도(α)가 감소되도록 들어올려질 수 있으며, 따라서 측정 대상의 상체가 들어올려지는 동작을 통해 코골이 저감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하지만, 모션 프레임(120)의 동작으로 인한 코골이 저감 동작은 상기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제1 상부 프레임(121)만이 들어올려지는 동작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다수의 프레임이 동시에 들어올려지는 동작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코골이는 코골이 대상의 상체를 들어올림으로써 코골이 저감이 이루어질 수 있기에, 모션 프레임(120)의 코골이 저감 동작은 측정 대상의 상체가 놓여지는 부분인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121, 122) 중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 들어올려지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모션 프레임(120)의 동작을 위해, 지지 프레임(130)과 모션 프레임(120) 사이에 하나 이상의 구동 프레임(126)이 설치되어 구동 프레임(126)의 동작에 의해 각 프레임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프레임(121, 122, 123, 124, 125) 하부에 에어백(미도시)이 설치되어 에어백(미도시)의 팽창에 따라 각 프레임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코골이 저감 모듈(140)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음향을 감지하여 출력된 입력 음향 신호를 소정의 방법으로 코골이 음향 신호로 판단하고, 코골이 음향 신호로 판단된 경우 미리 저장된 코골이 저감 동작을 수행하도록 코골이 저감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부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코골이 저감 모듈(140)은 매트리스(110)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나, 지지 프레임(130) 하부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설치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코골이 저감 모듈(140)은 본체부(141), 전면 커버부(142), 음향 감지부(143), 음향 흡수부(144), 차단부(145), 음향 처리부(146), 저장부(147) 및 동작 제어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41)는 코골이 저감 모듈(140)의 몸체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본체부(141)에는 하나 이상의 개구(141a, 141b)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전면 커버부(142)는 본체부(141)에 설치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관통 홀(142a)이 형성되며, 본체부(141)의 개구(141a, 141b)가 형성된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본체부(141)의 일면에 개구(141a, 141b)가 형성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음향이 다수의 관통 홀(142a)과 개구(141a, 141b)를 거쳐 음향 감지부(143)에 도달될 수 있으며, 관통 홀(142a)과 개구(141a, 141b)을 통과하여 유입된 음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유입되는 음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전면 커버부(142)가 측정 대상과 대향되도록 코골이 저감 모듈(14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음향 감지부(143)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음향을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는 입력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즉, 외부에서 유입되는 음향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일 예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마이크로폰(microphone)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감지부(143)는 본체부(141)의 개구(141a, 141b)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통 홀(142a)과 개구(141a, 141b)를 통과한 음향을 주로 감지할 수 있다.
음향 감지부(143)는 2개 이상 구비되어 각각 개구(141a, 141b)에 설치될 수 있는데, 개구(141a, 141b) 사이의 거리는 2.7 cm 내지 3.3 cm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3 cm일 수 있다. 이 경우, 코골이 저감 모듈(140)로부터 0.9 m 내지 1.1 m, 보다 구체적으로는 1 m 이내 이격된 위치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감지하여 소정의 방법에 따라 유효 음향 신호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음향 감지부(143)가 1개 구비되어 음향을 감지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로 인해, 코골이 저감 모듈(140)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된 위치로부터 유입되는 음향을 노이즈 음향 신호로 판단할 수 있어, 코골이 판단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음향 흡수부(144)는 음향 감지부(143)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음향 감지부(143)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음향 흡수부(144)는 음향 신호를 흡수할 수 있는 소정의 재질, 구체적으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음향 감지부(143)의 노출되는 부분은 개구(141a, 141b) 방향일 수 있으며, 따라서 개구(141a, 141b)를 통과한 음향이 아닌 다른 방향에서 유입되는 음향을 일부 흡수함으로써, 다른 방향에서 유입되는 음향이 음향 감지부(143)로 향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차단부(145)는 음향 감지부(143)를 중심으로 전면 커버부(142)와 대향되게 설치되며, 음향 감지부(143)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음향 흡수부(144)와 차단부(145)가 음향 감지부(143)의 후면에 설치됨에 따라, 개구(141a, 141b)를 통해 유입되는 음향이 아닌 다른 방향에서 유입되는 음향이 음향 감지부(143)로 향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차단부(145)는 개구(141a, 141b)를 통해 유입되는 음향이 아닌 다른 방향에서 유입되는 음향 자체가 음향 감지부(143)로 향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음향 흡수부(144)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어 다른 방향에서 음향이 유입되더라도 음향 흡수부(144)가 일부 흡수하여 음향 감지부(143)로 도달하는 음향을 최소화하게 된다.
따라서, 개구(141a, 141b)를 통과한 음향이 음향 감지부(143)에 도달하여 후술하는 음향 처리부(146)에 의한 코골이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방향에서 유입되는 음향은 차단되거나, 유입되더라도 그 영향이 최소화되어 음향 처리부(146)에 의해 노이즈 음향 신호로 판단될 수 있다.
음향 처리부(146)는 음향 감지부(143)에서 출력된 입력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소정의 방법으로 유효 음향 신호로 판단하고, 판단된 유효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소정의 방법으로 코골이 음향 신호로 판단하는 부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향 감지부(143)가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기에, 2개 이상의 입력 음향 신호가 출력될 수 있으며, 음향 처리부(146)는 2개 이상의 입력 음향 신호에 대해 빔포밍(beam forming) 전처리 기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2개 이상의 입력 음향 신호의 중첩 음향 신호에 대해 유효 음향 신호와 코골이 음향 신호의 판단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빔포밍 전처리 기법을 통해 측정 대상이 누워있는 방향으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집중적으로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종래에 널리 알려진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음향 처리부(146)가 입력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유효 음향 신호로 판단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입력 음향 신호가 코골이 음향 신호인지 판단하기 이전, 유효 음향 신호로 판단하는 과정이 선행될 수 있다. 모든 입력 음향 신호에 대해, 후술하는 코골이 음향 신호 판단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 연산 처리량이 과도해질 수 있으며 이는 연산의 오류 및 장치의 대형화라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기에, 코골이 음향 신호와 관련성이 매우 떨어지는 입력 음향 신호를 노이즈 음향 신호로 판단하고, 노이즈 음향 신호가 아닌 입력 음향 신호를 유효 음향 신호로 판단하여 유효 음향 신호에 대해서만 후술하는 코골이 음향 신호 판단 방법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골이의 경우 입력 음향 신호의 음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음압 레벨보다 크고, 미리 설정된 음압 레벨보다 큰 입력 음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된다. 입력 음향 신호의 음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음압 레벨보다 작은 경우 코골이가 아닌 다른 노이즈 음향 신호일 수 있으며, 음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음압 레벨보다 크더라도 아주 짧은 시간만 지속된다면 코골이가 아닌 다른 노이즈 음향 신호일 수 있기에, 코골이 음향 신호일 가능성이 높은 입력 음향 신호의 음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음압 레벨보다 크고, 미리 설정된 음압 레벨보다 큰 입력 음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이를 유효 음향 신호로 판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음압 레벨은 45 dB 내지 55 dB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50 dB일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시간은 2초 내지 4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음향 처리부(146)가 매트리스(110)에 구비된 압력 센서(111)의 압력 감지에 의해 출력되는 입력 압력 신호의 압력 레벨이 미리 설정된 압력 레벨 이상인 경우에 유입되는 음향을 유효 음향 신호로 판단할 수도 있다.
코골이가 발생하려면, 측정 대상이 매트리스(110)에 누워 수면을 취하는 것이 필요한 데, 측정 대상이 매트리스(110)에 눕는 경우 압력 센서(111)에서 미리 설정된 압력 레벨 이상의 입력 압력 신호가 출력된다. 미리 설정된 압력 레벨 이하의 입력 압력 신호의 경우 측정 대상이 매트리스(110)에 누워 있지 않은 상태로 보아, 미리 설정된 압력 레벨 이상인 경우에만 유효 음향 신호로 판단하여 코골이 판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 음향 처리부(146)가 유효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코골이 음향 신호로 판단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음향 처리부(146)는 유효 음향 신호의 특징을 입력 특징값으로 추출하게 된다. 여기서 유효 음향 신호의 특징은 시간, 주파수 및 음압 레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음향 처리부(146)는 상기한 시간, 주파수 및 음압 레벨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입력 특징값으로 추출하게 된다.
음향 처리부(146)는 이렇게 추출된 입력 특징값들에 대해, 저장부(147)에 미리 저장된 코골이 음향 신호의 기준 코골이 특징값 사이의 제1 유사도, 그리고 저장부(147)에 미리 저장된 노이즈 음향 신호의 기준 노이즈 특징값 사이의 제2 유사도를 산출하게 된다.
여기서, 저장부(147)에 미리 저장된 코골이 음향 신호는 코골이 발생 시 출력되는 음향 신호에 해당하며, 저장부(147)에 다수의 코골이 음향 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코골이 음향 신호의 시간, 주파수 및 음압 레벨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이 특징값들이 추출되어 저장부(147)에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각 항목마다 추출된 특징값들 중 임의의 하나의 특징값, 특징값들의 평균값, 특징값들의 중간값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기준 코골이 특징값들이 선정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7)에 미리 저장된 노이즈 음향 신호는, 코골이와 무관한 대화, 발걸음 소리, 물품 간 부딪히는 소리, TV 소리 등의 음향 신호에 해당하며, 저장부(147)에 다수의 코골이 음향 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노이즈 음향 신호의 특징값들이 추출되어 저장부(147)에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각 항목마다 추출된 특징값들 중 임의의 하나의 특징값, 특징값들의 평균값, 특징값들의 중간값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기준 노이즈 특징값들이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저장부(147)에는 음향 신호의 시간, 주파수 및 음압 레벨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의 조합을 통한 다수의 코골이 음향 패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 다수의 기준 음압 레벨 값이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높은 음압 레벨을 가질수록 중증의 코골이 패턴을 갖는 것으로 판단하여, 패턴에 따라 서로 다른 코골이 저감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기준 지속 시간 값이 미리 결정되어 있으며, 미리 설정된 음압 레벨보다 큰 음압 레벨의 입력 음향 신호의 지속 시간이 길수록 중증의 코골이 패턴을 갖는 것으로 판단하여, 패턴에 따라 서로 다른 코골이 저감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저장부(147)에 저장될 수 있는 코골이 패턴의 일 예를 설명한 것이며, 음향 신호의 시간, 주파수 및 음압 레벨 등 코골이와 관련된 특징값들의 조합을 통한 다수의 코골이 패턴이 저장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음향 처리부(146)는 추출된 입력 특징값과 기준 코골이 특징값 사이의 제1 유사도가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추출된 입력 특징값과 기준 노이즈 특징값 사이의 제2 유사도가 제2 기준값 이하인 경우, 해당 유효 음향 신호를 코골이 음향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즉, 기준 코골이 특징값과의 유사도가 높으면서, 기준 노이즈 특징값과의 유사도가 낮은 유효 음향 신호를 코골이 음향 신호로 판단한다.
동작 제어부(148)는 음향 처리부(146)에 의해 유효 음향 신호가 코골이 음향 신호로 판단된 경우, 미리 저장된 코골이 저감 동작을 수행하도록 코골이 저감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동작 제어부(148)는 모션 프레임(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저장된 코골이 저감 동작은 측정 대상의 상체를 들어올려주는 동작, 즉 모션 프레임(120)의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121, 122) 중 하나 이상을 들어올리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동작 제어부(148)는 공기청정기(200) 및 산소발생기(300) 중 하나 이상과 전기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으며, 음향 처리부(146)에 의해 유효 음향 신호가 코골이 음향 신호로 판단된 경우, 공기청정기(200)의 공기청정 동작 및 산소발생기(300)의 산소발생 동작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공기청정기(200)의 공기청정 동작 및 산소발생기(300)의 산소발생 동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코골이 시 발생하는 산소 부족 현상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저감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음향 감지부(143)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음향을 감지하여 입력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 음향 처리부(146)가 음향 감지부(143)에서 출력된 입력 음향 신호의 음압 레벨 및 지속 시간에 따라 입력 음향 신호를 유효 음향 신호로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입력 음향 신호의 음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음압 레벨보다 크고, 미리 설정된 음압 레벨보다 큰 입력 음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이를 유효 음향 신호로 판단하게 된다.
다음, 음향 처리부(146)가 판단된 유효 음향 신호의 특징인 시간, 주파수 및 음압 레벨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입력 특징값으로 추출한다.
다음, 음향 처리부(146)가 추출된 입력 특징값과 미리 저장된 코골이 음향 신호의 기준 코골이 특징값 간의 제1 유사도를 산출하고, 추출된 입력 특징값과 미리 저장된 노이즈 음향 신호의 기준 노이즈 특징값 간의 제2 유사도를 산출하여, 제1 유사도가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제2 유사도가 제2 기준값 이하인 경우 해당 유효 음향 신호를 코골이 음향 신호로 판단한다. 제1 유사도가 제1 기준값 미만이거나, 제2 유사도가 제2 기준값 초과인 경우 해당 유효 음향 신호를 노이즈 음향 신호로 판단하게 된다.
음향 처리부(146)에 의해 유효 음향 신호가 코골이 음향 신호로 판단된 경우, 동작 제어부(148)는 모션 프레임(120)이 미리 저장된 코골이 저감 동작을 수행하도록 모션 프레임(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코골이 저감 제어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다음, 모션 프레임(120)의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121, 122) 중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 들어올려져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121, 122)과 제1 및 제2 하부 프레임(124, 125)이 이루는 각도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동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매트리스(110)에 누운 측정 대상의 상체가 세워짐으로 인해 코골이 현상이 저감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121, 122)가 5˚ 내지 15˚ 들어올려질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10˚ 들어올려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121, 122)이 제1 및 제2 하부 프레임(124, 145)에 대해 이루는 각도는 165˚ 내지 175˚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170˚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121, 122) 중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 들어올려진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121, 122) 중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 눕혀져,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121, 122)과 제1 및 제2 하부 프레임(124, 125)이 이루는 각도가 증가되는 방향으로 동작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은 10분 내지 20분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15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음향 처리부(146)에 의해 판단된 코골이 음향 신호의 중증도에 따라 서로 다른 코골이 저감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증의 코골이로 판단된 경우,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121, 122) 중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 들어올려진 후 유지되는 시간과,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121, 122) 중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 들어올려지는 각도가, 중증의 코골이로 판단된 경우에 비해 짧거나 적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맞춤형 코골이 저감 동작 수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위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저감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모션 프레임 침대
110: 매트리스
120: 모션 프레임
130: 지지 프레임
140: 코골이 저감 모듈
141: 본체부
141a, 141b: 개구
142: 전면 커버부
142a: 관통 홀
143: 음향 감지부
144: 음향 흡수부
145: 차단부
146: 음향 처리부
147: 저장부
148: 동작 제어부
200: 공기청정기
300: 산소발생기

Claims (15)

  1. 매트리스(110);
    상기 매트리스(110)가 안착되고,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매트리스(110)의 형상을 변형하는 모션 프레임(120); 및
    코골이 저감 모듈(140);을 포함하고,
    상기 코골이 저감 모듈(140)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음향을 감지하여 입력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감지부(143);
    상기 음향 감지부(143)에서 출력된 상기 입력 음향 신호의 음압 레벨 및 지속 시간에 따라 상기 입력 음향 신호를 유효 음향 신호로 판단하고, 상기 유효 음향 신호의 특징을 입력 특징값으로 추출하며, 미리 저장된 코골이 음향 신호의 기준 코골이 특징값과 상기 입력 특징값 간의 제1 유사도를 산출하고, 미리 저장된 노이즈 음향 신호의 기준 노이즈 특징값과 상기 입력 특징값 간의 제2 유사도를 산출하며, 상기 제1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제2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유효 음향 신호를 코골이 음향 신호로 판단하는, 음향 처리부(146); 및
    상기 음향 처리부(146)가 상기 유효 음향 신호가 상기 코골이 음향 신호로 판단된 경우, 상기 모션 프레임(120)이 미리 저장된 코골이 저감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모션 프레임(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코골이 저감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제어부(148);를 포함하는,
    모션 프레임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처리부(146)는,
    상기 입력 음향 신호의 음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음압 레벨보다 크고, 상기 미리 설정된 음압 레벨보다 큰 음압 레벨의 상기 입력 음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를 유효 음향 신호로 판단하는,
    모션 프레임 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골이 저감 모듈(140)은,
    상기 음향 감지부(143)가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141a, 141b)가 관통 형성된 본체부(141); 및
    상기 음향 감지부(143)를 중심으로 상기 개구(141a, 141b)와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음향 감지부(143)보다 큰 차단부(145);를 더 포함하는,
    모션 프레임 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골이 저감 모듈(140)은,
    상기 음향 감지부(143)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음향 감지부(143)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음향 흡수부(144);를 더 포함하는,
    모션 프레임 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입력 특징값은 시간, 주파수 및 음압 레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션 프레임 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감지부(143)는 복수개 구비되며,
    복수 개의 음향 감지부(143) 간의 거리는 2.7cm 내지 3.3cm인,
    모션 프레임 침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148)는, 상기 음향 처리부(146)가 상기 유효 음향 신호가 상기 코골이 음향 신호로 판단된 경우, 공기청정기(200)의 공기청정 동작 및 산소발생기(300)의 산소발생 동작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더 생성하는,
    모션 프레임 침대.
  8. 제1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110)에 설치되어 압력 감지에 의해 입력 압력 신호를 출력하는 압력 센서(1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처리부(146)는,
    상기 압력 센서(111)에서 출력되는 입력 압력 신호의 압력 레벨이 미리 설정된 압력 레벨보다 크고, 상기 음향 감지부(143)에서 출력된 입력 음향 신호의 음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음압 레벨보다 크며, 상기 미리 설정된 음압 레벨보다 큰 음압 레벨의 입력 음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 감지되는 경우 이를 유효 음향 신호로 판단하는,
    모션 프레임 침대.
  9. 제1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프레임(120)은,
    하나 이상의 상부 프레임(121, 122);
    상기 상부 프레임에 대해 소정 각도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 프레임(124, 125);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 프레임(121, 122)과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 프레임(124, 125) 각각의 지면에 대한 각도를 조절 가능한 하나 이상의 구동 프레임(126);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저장된 코골이 저감 동작은,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 프레임(121, 122) 중 적어도 하나가 들어올려져,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 프레임(121, 122)과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 프레임(124, 125)이 이루는 각도가 감소되도록 하는 상기 구동 프레임(126)의 동작을 포함하는,
    모션 프레임 침대.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음압 레벨은 45 dB 내지 55 dB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2초 내지 4초인,
    모션 프레임 침대.
  11. 제1항에 따른 모션 프레임 침대에서의 코골이 저감 방법으로서,
    (a) 상기 음향 감지부(143)가 외부에서 유입되는 음향을 감지하여 상기 입력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음향 처리부(146)가 출력된 상기 입력 음향 신호의 음압 레벨 및 지속 시간에 따라 상기 입력 음향 신호를 상기 유효 음향 신호로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음향 처리부(146)가 상기 (b) 단계에서 판단된 유효 음향 신호의 특징을 상기 입력 특징값으로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음향 처리부(146)가 상기 (c) 단계에서 추출된 입력 특징값과 미리 저장된 코골이 음향 신호의 기준 코골이 특징값 간의 제1 유사도를 산출하고, 상기 추출된 입력 특징값과 미리 저장된 노이즈 음향 신호의 기준 노이즈 특징값 간의 제2 유사도를 산출하며, 상기 제1 유사도가 상기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제2 유사도가 상기 제2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유효 음향 신호를 상기 코골이 음향 신호로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동작 제어부(148)가 상기 유효 음향 신호가 상기 코골이 음향 신호로 판단된 경우, 상기 모션 프레임(120)이 미리 저장된 코골이 저감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모션 프레임(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코골이 저감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골이 저감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출력된 입력 음향 신호의 음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음압 레벨보다 크고, 상기 미리 설정된 음압 레벨보다 큰 음압 레벨의 입력 음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 감지되는 경우 이를 유효 음향 신호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골이 저감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프레임(120)은,
    하나 이상의 상부 프레임(121, 122);
    상기 상부 프레임에 대해 소정 각도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 프레임(124, 125);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 프레임(121, 122)과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 프레임(124, 125) 각각의 지면에 대한 각도를 조절 가능한 하나 이상의 구동 프레임(126);를 포함하며,
    상기 (e) 단계 이후,
    (f)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 프레임(121, 122) 중 적어도 하나가 들어올려져,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 프레임(121, 122)과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 프레임(124, 125)이 이루는 각도가 감소되는 단계; 및
    (g) 상기 (f) 단계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상상부 프레임(121, 122) 중 적어도 하나가 눕혀져,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 프레임(121, 122)과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 프레임(124, 125)이 이루는 각도가 증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골이 저감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동작 제어부(148)가 공기청정기(200)의 공기청정 동작 및 산소발생기(300)의 산소발생 동작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골이 저감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200047004A 2020-04-17 2020-04-17 코골이 저감 동작이 가능한 모션 프레임 침대 및 이를 이용한 코골이 저감 방법 KR202101293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004A KR20210129317A (ko) 2020-04-17 2020-04-17 코골이 저감 동작이 가능한 모션 프레임 침대 및 이를 이용한 코골이 저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004A KR20210129317A (ko) 2020-04-17 2020-04-17 코골이 저감 동작이 가능한 모션 프레임 침대 및 이를 이용한 코골이 저감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317A true KR20210129317A (ko) 2021-10-28

Family

ID=78232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004A KR20210129317A (ko) 2020-04-17 2020-04-17 코골이 저감 동작이 가능한 모션 프레임 침대 및 이를 이용한 코골이 저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93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41918A (zh) * 2021-11-08 2022-02-15 浙江梦神家居股份有限公司 基于床垫的改善打鼾方法、系统、存储介质及智能终端
KR102586283B1 (ko) * 2022-12-19 2023-10-10 이병한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침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169B1 (ko) 2017-12-11 2018-06-11 (주)웰크론 개인 맞춤형 코골이 방지 시스템
KR102068330B1 (ko) 2018-03-22 2020-01-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169B1 (ko) 2017-12-11 2018-06-11 (주)웰크론 개인 맞춤형 코골이 방지 시스템
KR102068330B1 (ko) 2018-03-22 2020-01-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41918A (zh) * 2021-11-08 2022-02-15 浙江梦神家居股份有限公司 基于床垫的改善打鼾方法、系统、存储介质及智能终端
CN114041918B (zh) * 2021-11-08 2023-11-03 浙江梦神家居股份有限公司 基于床垫的改善打鼾方法、系统、存储介质及智能终端
KR102586283B1 (ko) * 2022-12-19 2023-10-10 이병한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0473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authentication
KR102626752B1 (ko) 귀 근접성 검출
KR20210129317A (ko) 코골이 저감 동작이 가능한 모션 프레임 침대 및 이를 이용한 코골이 저감 방법
JP2018530772A5 (ko)
US20170004818A1 (en) Noise cancelation system and techniques
JP2005049876A5 (ko)
JP2010010749A (ja) マイクロホン装置
KR20120026508A (ko) 코고는 괴로움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US11918345B2 (en) Cough detection
JP2009040317A (ja) 車両接近告知装置
WO2014097114A1 (en) Sleep apnea diagnosis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information using non-obtrusive audio analysis
KR102680850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24594B1 (ko) 노이즈 캔슬링 베개에서 소음을 차단하는 방법 및 노이즈 캔슬링 베개
JP2006193002A (ja) エンジン音色制御システム
JPWO2021010397A5 (ko)
JP2007079386A (ja) 騒音低減装置
JP2006023588A (ja) 車内騒音抑制システム
KR20230065801A (ko) 차량 시트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9043146A (ja) 車両接近告知装置
JPH05310389A (ja) 消音装置付エレベータ
WO2021157614A1 (ja) 騒音低減装置および騒音低減方法
KR102452213B1 (ko) 멀미 현상을 완화 시키기 위한 음향 주파수 주입장치 및 방법
JP2019080246A (ja) 指向性制御装置および指向性制御方法
JP2979879B2 (ja) ベッド装置
JP4196970B2 (ja) 電気吹奏楽器の吹奏情報の入力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