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5932A - 극저온 초미세분쇄 기술 및 효소화 반응을 이용한 식물분쇄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극저온 초미세분쇄 기술 및 효소화 반응을 이용한 식물분쇄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5932A
KR20210125932A KR1020210045622A KR20210045622A KR20210125932A KR 20210125932 A KR20210125932 A KR 20210125932A KR 1020210045622 A KR1020210045622 A KR 1020210045622A KR 20210045622 A KR20210045622 A KR 20210045622A KR 20210125932 A KR20210125932 A KR 20210125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nion
present
plant
microorganism
lact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정
Original Assignee
한국맥널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맥널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맥널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25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08Denaturation, e.g. denaturation of prote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저온 초미세분쇄법(Cryogenic Micro Grinding Technology; CMGT)을 이용하여 제조된 식물분쇄물, 상기 식물분쇄물의 강한 항산화 효과, 및 상기 식물분쇄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분쇄물은 식물 원물이 갖는 수용성 및 지용성 영양소, 및 맛과 향을 유지하면서도 착즙액 같이 거친 이물감이 없고, 섭취 시 소화·흡수, 및 생체 내 이용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므로, 항산화 기능 강화의 목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환자식, 노인식, 유아식, 영양식, 우주식, 다이어트식으로 상품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극저온 초미세분쇄 기술 및 효소화 반응을 이용한 식물분쇄물, 및 이의 용도{Grinded Plant Product Using Cryogenic Micro Grinding Technology and Enzymatic Reaction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극저온 초미세분쇄법(Cryogenic Micro Grinding Technology; CMGT)을 이용하여 제조된 식물분쇄물, 상기 식물분쇄물의 강한 항산화 효과, 및 상기 식물분쇄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고령 인구가 증가하여, 영양적인 식품 소재를 섭취했을 때 소화 흡수력이 떨어지고 체내의 이용률이 감소함에 따라 생체 내에서 흡수력이 높은 식품개발 기술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소화율을 높인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첨가물이 들어간 음료 대신 원액 그대로를 착즙한 식물즙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식물즙을 선호하는 이유는 식물이 갖고 있는 항산화 물질, 비타민 등의 영양성분을 신선하게 섭취 가능하고, 섭취시 거친 이물감이 없고 치아 사이에 남는 잔류물이 없기 때문이며, 특히 맛과 향이 좋으며, 소비자들이 아침에 식사를 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해주고 있어 그 인기가 높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685906호는, 식물의 영양분을 최대한 보존하면서도 위생적인 과즙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식물즙은 식이섬유가 제거되고 영양소 중 대부분의 지용성 성분이 소실되므로, 식품으로서 식물체 전체(wholefood)의 영양소 및 식이섬유를 그대로 섭취할 수 있는 가공 기법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극저온 초미세 분쇄 기술을 이용하여 식물 원물이 갖는 영양소, 및 맛과 향을 유지하면서도 착즙액 같이 거친 이물감이 없는 초미세 식물분쇄물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식물분쇄물은 섭취 시 소화·흡수, 및 생체 내 이용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식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식물을 -196℃ 내지 -70℃에서 동결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물을 효소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식물분쇄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식물분쇄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식물분쇄물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식물분쇄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식물분쇄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유산균에 상기 식물분쇄물을 첨가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산균 배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방법으로 배양된 유산균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산균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산균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산균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구체예가 도면을 참조로 기재된다.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다양한 특이적 상세사항, 예컨대, 특이적 형태, 조성물 및 공정 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정의 구체예는 이들 특이적 상세 사항 중 하나 이상 없이, 또는 다른 공지된 방법 및 형태와 함께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공지된 공정 및 제조 기술은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특정의 상세사항으로 기재되지 않는다. "한 가지 구체예" 또는 "구체예"에 대한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한 참조는 구체예와 결부되어 기재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친 다양한 위치에서 표현된 "한 가지 구체예에서" 또는 "구체예"의 상황은 반드시 본 발명의 동일한 구체예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추가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 어떠한 적합한 방법으로 조합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특별한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과학적 및 기술적인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식물을 준비하는 준비 단계; 상기 식물을 -196℃ 내지 -70℃에서 동결하여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물을 효소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식물분쇄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양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양파는 주로 비늘줄기를 식용으로 하는데, 비늘줄기에서 나는 독특한 냄새는 이황화프로필, 황화알릴, 이황화디알릴 등의 화합물 때문이다. 이것은 생리적으로 소화액 분비를 촉진하고 흥분, 발한, 이뇨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비늘줄기에는 각종 비타민과 함께 칼슘·인산 등의 무기질이 들어 있어 혈액 중의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작용이 있으며, 비늘줄기는 샐러드나 수프, 그리고 고기 요리에 많이 사용되며 각종 요리에 향신료 등으로 이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준비 단계는 상기 식물을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세척하는 단계는 물 등의 용매를 이용하는 버블 세척 또는 초음파 세척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버블 세척은 높은 압력의 물과 거품을 분사하여, 식물에 손상을 주지 않고 깨끗하게 세척하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초음파 세척은 물 속에 식물을 담그고, 초음파를 가하여 세척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식물을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하는 단계는 식물을 가로 1 내지 50mm, 세로 1 내지 50mm, 높이 1 내지 50mm의 크기로 절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쇄 단계 시 상기 식물을 동결함에 있어서 액체 질소 분위기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위기는 일정한 압력 또는 온도 조건을 만들기 위해서 화학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비반응성 가스를 주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액체 질소 분위기로 식물의 갈변 효소 작용 방지 및 식물 속 휘발성 성분을 보존하는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영하 196도 고압의 액체질소에 담긴 식물분쇄물은 영하 70도 내지 영하 196도 사이에서 액체 질소와 함께 분쇄된다. 상기 온도하에서는 식물 자체의 산화 효소(Enzyme)의 반응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므로, 항산화 물질의 손실이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쇄 단계 시 얻어지는 상기 분쇄물의 평균 입도는 1 내지 1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0㎛인 것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물분쇄물은 상기 입도를 유지함으로써, 음료 형태로 섭취시에도 목넘김에 이물감 없이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효소화 반응은 펙티나아제 및 아밀라아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쇄물에 펙티나아제와 아밀라아제를 첨가하여 효소화 반응을 수행하는 경우, 식물 섬유질을 분해하고 당류화시켜 감칠맛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펙티나아제의 농도는 0.1 내지 1중량%에서 일어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펙티나아제 농도가 0.1중량% 미만인 경우 효소 반응의 진행이 느릴 수 있고, 1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추가적인 효소 투입량에 비해 반응의 진행이 빨라지지 않아 비효율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밀라아제의 농도는 0.01 내지 0.1중량%에서 일어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아밀라아제의 농도가 0.01중량% 미만인 경우 효소 반응의 진행이 느릴 수 있고, 0.1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추가적인 효소 투입량에 비해 반응의 진행이 빨라지지 않아 비효율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효소화 반응은 25 내지 80℃에서 일어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효소화 반응이 25℃ 미만인 경우 효소 반응의 진행이 느려 비효율적일 수 있고, 80℃를 초과하는 경우 효소가 변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효소화 반응은 1 내지 10 시간에서 일어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효소화 반응 시간이 1시간 미만일 경우, 상기 효소화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상기 효소화 반응이 10시간 이상 일어날 경우 식물의 질감이 과도하게 파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효소화 반응에는 항산화제를 더 첨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항산화제는 비타민 C(Vitamin C)일 수 있다. 상기 액체질소 분위기에서 분쇄하는 단계 및 항산화제 첨가 단계로 상기 식물의 갈변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C의 농도는 0.01 내지 0.1중량%에서 일어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비타민 C의 농도가 0.01중량% 미만인 경우 갈변 방지 반응이 불완전할 수 있고, 0.1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추가적인 상기 비타민 C 투입량에 효과가 적어 비효율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효소화 반응 단계에 후속적으로, 거름망을 통과시키는 여과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름망으로 상기 식물분쇄물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식물분쇄물을 제조하는 여러 과정 중 예상치 못하게 유입될 수도 있는 이물질을 거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분쇄물의 평균 입도가 1 내지 100㎛인 것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식물분쇄물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제조 시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해서는 150 이하의 메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랍직하다. 통상적으로, 150 메시를 이용하면 약 100㎛ 이상 입도의 물질이, 200 메시를 이용하면 약 70㎛ 이상 입도의 물질이 걸러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여과 단계 다음에, 식물분쇄물을 살균하는 살균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단계는 자외선 살균 또는 가열 살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열 살균은 60 내지 75℃에서 10 내지 50분간 살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열 살균은 100 내지 140℃에서 0.5 내지 60초간 살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최종 얻어지는 식물분쇄물, 바람직하게는 양파분쇄물은 원물의 케르세틴(Quecetin) 함량을 유지하고,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케르세틴은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그룹의 식물 플라보놀이고, 다양한 과일, 채소, 잎, 씨앗 및 곡물에서 발견되며, 특히 양파가 많이 함유하고 있다. 상기 케르세틴 보충제는 암과 다른 여러 질병의 치료를 촉진한다는 보고가 있고(D'Andrea G (2015). "Quercetin: A flavonol with multifaceted therapeutic applications?". Fitoterapia. 106: 256-71.), 특히 간보호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Liwei Wu, et al., Quercetin prevents hepatic fibrosis by inhibiting hepatic stellate cell activation and reducing autophagy via the TGF-β1/Smads and PI3K/Akt pathways, Scientific Reports volume 7, Article number: 9289 (2017)), 항산화 활성이 높은 성분은 미백 기능 개선에 매우 현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한영숙 및 정은선,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of plant extracts, Kor J Aesthet Cosmetol > Volume 1(1); 2003).
본 발명에서 최종 얻어지는 식물분쇄물, 바람직하게는 양파분쇄물은 원물의 식이섬유 함량을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식이섬유는 섬유질은 대장 내의 세균에 영향을 끼쳐 발암 물질의 작용을 억제하여 대장암을 예방한다. 상기 식이섬유는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막아 주므로 성인병을 예방하며, 위장의 공복감을 덜 느끼게 하고 음식물의 흡수를 더디게 하여 콜레스테롤을 걸러 내고 다이어트에 도움이 낸다. 또한 상기 양파분쇄물이 상기 양파의 식이섬유 함량을 유지할 경우 성인병과 비만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 식이섬유는 장내에서 식염과 결합하여 몸 밖으로 배출시켜 혈압이 올라가는 것을 막아 주어 고혈압의 치료와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 식이섬유는 배변량을 증가시켜 변비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양파분쇄물에서 상기 양파의 식이섬유가 파괴되지 않고 유지될 경우, 대장암 및 변비 예방 및 치료 효과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최종 얻어지는 식물분쇄물, 바람직하게는 양파분쇄물은 원물의 황화알릴(Allyl sulfide), 및 이황화디알릴(Diallyl disulfide) 함량을 유지하고,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황화알릴 및 이황화디알린은 황과 알리신으로 이루어진 화합물로, 황화알릴의 분자식은 C6H10S이고, 이황화디알린의 분자식은 C6H10S2이다. 두 성분 모두 양파와 마늘, 파를 조리할 때 발생하는 자극적인 냄새의 성분이다. 상기 성분들은 세균이 생존을 위해 생성하는 막인 바이오필름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어 살균과 항균 작용에 뛰어나 디프테리아, 이질, 결핵, 포도상구균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성분 특성이 지용성이므로, 종래의 물 등 수용성 용매를 이용한 양파즙 제조 방법으로는 성분이 추출되지 못하고 소실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양파분쇄물에서 황화알릴, 및 이황화디알릴 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함량이 유지될 경우, 감염증 예방 및 치료 효과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황화알릴, 및 이황화디알릴은 소화와 이뇨작용, 혈액순환 개선, 비타민B1과 함께 결합하여 비타민B1의 흡수율을 높여주고 암 예방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양파분쇄물에서 상기 성분들이 파괴되지 않고 함량이 유지될 경우, 소화, 이뇨, 혈액순환, 비타민 B1 흡수, 항암작용을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최종 얻어지는 식물분쇄물, 바람직하게는 양파분쇄물은 원물의 사이클로알린(Cycloalliin) 함량을 유지하고, 높은 중성지질 저하 기능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사이클로알린은 고지혈증, 동맥경화, 비만, 고혈압 등을 예방하며 혈액의 선유소(線維素, 가늘고 긴 모양의 세포)를 용해하는 활성을 증강하는 작용을 한다. 외국에서 이 성분을 연구한 결과에 의하면, 사람간장세포의 'apo B100 lipoprotein(지단백, 脂蛋白)'과 '마이크로솜(microsome, 세포질속에 들어 있는 작은 알갱이) 지질전송단백질(MTP)' 활성을 저해하므로써 혈청지질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한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본 발명에서 최종 얻어지는 식물분쇄물, 바람직하게는 양파분쇄물은 원물의 이소알린(Isoalliin) 함량을 유지하고, 높은 항균활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더하여, 이소알린은 인슐린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혈당을 내리는 기능이 있다. 따라서 이소알린을 새로운 당뇨 치료제로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하다.
본 발명에서 최종 얻어지는 식물분쇄물, 바람직하게는 양파분쇄물은 원물의 Glu-PeCSO, 및 CPGTH 함량을 높게 유지한다. 상기 Glu-PeCSO는 글루타밀 펩타이드이며, CPGTH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기능성 물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물분쇄물, 바람직하게는 양파분쇄물은 암(대장암, 간암), 간염, 간경화, 지방간, 미백, 고지혈증, 동맥경화, 비만, 고혈압, 당뇨, 또는 세균 감염 질환의 치료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식물분쇄물, 특히는 양파분쇄물은 극저온 초미세분쇄와 효소화 반응을 이용하여 기존의 양파즙과는 확연히 다른 새로운 식물분쇄물이다.
기존의 양파즙은 열을 가하거나 물리적인 힘으로서 착즙하여 그 액만을 사용하여 음료를 만드는데 이는 열에 의해 갈변이나 영양소 파괴가 이루어져 올바른 양파즙이라고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극저온 초미세분쇄는 액체 질소를 이용하여 원물을 순간적으로 -196℃로 동결하여 50㎛로 초미세분쇄하여 열에 의한 원물의 영양소 파괴를 최소한으로 하고 원물의 세포벽을 파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식이다. 상기 극저온 초미세분쇄 방식의 장점은 일반 밀방식과 달리 쇳가루가 검출되지 않으며 -196℃로 순간 동결하여 원물의 갈변 효소가 발현하지 않아 원물 그대로의 색상을 구현하며 원물이 순간 동결되어 분쇄되므로 아로마(향)를 포함한 휘발성 성분까지 고스란히 분쇄물에 포함되며 초미세분쇄로 세포의 벽까지 파괴되어 원물의 영양분과 세포벽안에 있는 유효성분(파이토케미컬)이 추출되어 나온다는 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양파분쇄물은 상기 초미세분쇄 단계에 더해 펙티나아제와 아밀라아제 효소로 저온 50℃에서 4시간동안 교반하며 효소화 반응을 거쳐 원물의 영양분과 식이섬유를 증가하여 더욱 맛이 향상된 양파분쇄물이다. 상기 펙티나아제와 아밀라아제를 첨가하여 식물 섬유질을 분해하고 당류화시켜 감칠맛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기존 방식인 열을 가하거나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착즙하는 방식은 즙만을 음료로 만드는 방식으로 영양성분과, 섬유질이 1차, 2차에 걸쳐 여과하는 방식으로 찌꺼기로 버려지는 부분이 많아 효율성에서 떨어지지만 극저온 초미세분쇄로 이러한 찌꺼기가 발생하지 않아 원물의 영양성분과 섬유질을 통으로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본 발명의 극저온 초미세 분쇄 후 효소화 시킨 식물분쇄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물분쇄물을 첨가하여 유산균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산균 발효액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산균 발효액을 제공한다.
상기 식물분쇄물은 바람직하게는 양파분쇄물인 것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파분쇄물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양파분쇄물에 대한 설명에서 기재한 바와 동일하여,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젖산균이라고도 명명하며, 당류를 발효하여 에너지를 획득하고 다량의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의 총칭이다. “유산균”이라고 부르는 이름은 관용명이고 분류학적인 위치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유산균의 정의에 적합한 것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락토코커스(Lactococcus), 류코노스토크(Leuconostoc),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등의 균속이다. 형태적으로는 구균(락토코커스, 페디오코커스, 류코노스토크)과 간균(락토바실러스, 비피도박테리움)으로 나누어지고, 그람(Gram) 염색성은 양성이다. 어느 것이나 산소가 적은 환경에서 잘 발육하여 각종 당으로부터 젖산을 생성한다. 산에 내성을 나타내는 것이 많고 영양요구성은 매우 복잡하여 당류 이외에 많은 종류의 아미노산이나 비타민을 요구하며 균종, 균주에 따라 미량 영양소를 가하지 않으면 생육할 수 없는 것도 있다. 유산균은 농산물이나 식품에서부터 사람이나 동물의 몸까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확실한 생육처를 알 수 없는 것도 있다. 락토코커스는 10℃에서 발육하지만 45℃에서는 발육하지 않고 최적온도가 30℃ 전후의 구균으로 정상발효를 한다. 유제품의 스타터(starter)로서 식품가공에 사용되는 균종이 많다. 페디오코커스는 정상발효를 하는 구균으로 4련의 세포배열을 한다. 생육온도, 유산의 선광성(optical retation) 등에 의해 8종류의 균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페디오코커스는류코노스토크와 함께 발효에 관련된 주요 균으로서 동물의 생체와는 관계가 적다. 류코노스토크는 이상발효하는 연쇄구균으로 당 분해, 성장, 생육 pH 등에 의해 4종류의 균종으로 분류된다. 락토바실러스는 정상발효와 이상발효를 하는 2종류로 대별되는데 생육온도, 당분해, 성장, 생성 유산의 선광성 등에 따라 55균종 11아균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락토바실러스는 대표적인 유산균으로서 각종 발효식품에 사용되고 또한 장관 상재 균총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건강과 중요한 관계가 있다. 비피도박테리움은 이상발효를 하는 편성혐기성 그람 양성 간균으로서 주로 유산과 초산을 최종산물로 생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식물분쇄물, 또는 유산균 발효액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사료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 내에 포함되는 성분으로 다양하게 이용되는 것으로서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분말, 과립, 정제, 블록, 캡슐, 과자, 떡, 빵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는 천연식품 및 이의 발효물로 구성된 것이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효성분이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때 그 양은 전체 중량의 0.1 내지 50%의 비율로 첨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이 음료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지시된 비율로 상기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 외에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다양한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천연 탄수화물로서 포도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슈크로스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로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 등일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상기 성분은 독립적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핵심적인 요소에 해당하지 아니하지만,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5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요거트 동결 건조 블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유산균은 원유에 접종되어 발효되는 것이고, 요거트 동결 건조 블록은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 요거트 90~95%,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 및 포스트바이오틱스(Post biotics) 1~5%, 기능성프리바이오틱스 0.5~1.0%, 및 기능성 안정화제 0.5~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요거트 동결 건조 블록에 있어서 유산균 발효액 제조 시 첨가되는 본 발명의 양파분쇄물이 프리바이오틱스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 있으나, 천연 프리바이오틱스로서 과일, 야채 종류가 별도로 첨가 가능하다. 포스트바이오틱스로는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류의 사균 등을 이용한다. 기능성프리바이오틱스는 제품의 기능 향상 및 다양화를 위하여 기타 유산균 생균을 첨가하는 것이며, 락토바실러스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i)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기능성 안정화제는 콜라겐, 히알루론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료 조성물은 동물의 사육을 위해 영양공급원으로 제공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사료는 시판되고 있는 일반사료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미강, 옥수수, 대두박, 콩, 수수, 쌀, 보리, 밀, 귀리, 호밀, 좁쌀, 메밀, 티리티게일, 고구마, 타피오카, 밀기울, 맥강, 대두피, 옥수수겨, 맥아근, 전분박, 커피박, 잠분, 잠사, 해조분, 면실박, 채종박, 캐놀라밀, 임자박, 호마박, 아마박, 해바라기씨박, 낙화생박, 야자박, 옥수수 글루텐, 주정박, 옥수수 배아박, 고추씨박, 루핀종실, 어분, 우모분 및 육분일 수 있으며, 이러한 사료에 본 발명의 발효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유산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사료에는 일반적인 사료 첨가제, 예를 들면 소금, 골분, 인산칼슘제, 무기물 혼합제, 비타민제, 아미노산제, 항생물질, 호르몬제 등의 특수목적을 위한 사료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상태 또는 피부 질환의 개선을 위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마사지 크림, 미용목욕물첨가제, 바디로션, 바디밀크, 배스오일, 베이비오일, 베이비파우더, 샤워겔, 샤워크림, 선스크린로션, 선스크린크림, 선탠크림, 스킨로션, 스킨크림, 자외선차단용 화장품, 크렌징밀크, 탈모제{화장용}, 페이스 및 바디로션, 페이스 및 바디크림, 피부미백크림, 핸드로션, 헤어로션, 화장용크림, 쟈스민오일, 목욕비누, 물비누, 미용비누, 샴푸, 손세정제(핸드클리너), 약용비누{비의료용}, 크림비누, 페이셜워시, 헤어린스, 화장비누, 치아미백용 겔, 치약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내에 더 추가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흡습제(humectant), 증점제, 항산화제, 점도 안정화제, 킬레이팅제, 완충제, 저급 알콜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미백제, 보습제, 비타민, 자외선 차단제, 향수, 염료, 항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로서는 수소화 식물성유, 피마자유, 면실유, 올리브유, 야자인유, 호호바유, 아보카도유가 이용될 수 있으며, 왁스로는 밀랍, 경랍, 카르나우바, 칸델릴라, 몬탄, 세레신, 액체 파라핀, 라놀린이 이용될 수 있다. 지방산으로는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올레산이 이용될 수 있고, 지방산 알콜로는 세틸알콜, 옥틸도데칸올, 올레일알콜, 판텐올, 라놀린알콜, 스테아릴 알콜, 헥사데칸올이 이용될 수 있으며 지방산 에스테르로는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부틸스테아레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는 당업계에 알려진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가능하며 가능한 한 천연물 유래의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화장품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흡습제, 증점제, 항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와 양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에 따른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양파를 -196℃ 내지 -70℃에서 동결하여 분쇄하여 수득된 양파분쇄물을 제공하고, 상기 양파분쇄물은 이소알린(Isoalliin)을 포함하는 것인 양파분쇄물을 제공하며, 상기 양파분쇄물의 평균 입도는 5 내지 70 마이크로미터(㎛)인 것인 양파분쇄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의 앙파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효능이 증대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항산화 효능은 간염, 간경화, 지방간, 미백, 암, 고지혈증, 동맥경화, 비만, 고혈압, 당뇨, 및 세균 감염 질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개선시키는 것인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의 양파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양파분쇄물은 미생물 배양을 위한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로서 기능하는 것인 미생물 배양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의 양파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효능이 증대된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의 양파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효능이 증대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a) 상기의 양파분쇄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b) 미생물에 상기 양파분쇄물을 첨가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미생물은 유산균인 것인 미생물 배양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락토코커스(Lactococcus), 류코노스토크(Leuconostoc),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및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미생물 배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미생물 배양 방법으로 배양된 미생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미생물 배양 방법으로 배양된 미생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미생물 배양 방법으로 배양된 미생물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미생물 배양 방법으로 배양된 미생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식물분쇄물은 -196 내지 -70℃의 극저온에서 1 내지 50㎛의 초미세 크기로 분쇄하는 과정과 효소화 과정을 통하여, 영양 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고, 식물의 수용성 및 지용성 영양 성분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물분쇄물은 항산화 기능 강화의 목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환자식, 노인식, 유아식, 영양식, 우주식, 다이어트식으로 상품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초미쇄분쇄를 이용한 양파분쇄물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초미쇄분쇄를 이용한 양파분쇄물을 포함하는 양파액, 고온 착즙된 양파즙, 및 일반분쇄를 이용한 양파액에서 알린(allin) 성분을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초미쇄분쇄를 이용한 양파분쇄물을 포함하는 양파액, 고온 착즙된 양파즙, 및 일반분쇄를 이용한 양파액에서 ion 178 [M+H]+위치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초미쇄분쇄를 이용한 양파분쇄물을 포함하는 양파액, 고온 착즙된 양파즙, 및 일반분쇄를 이용한 양파액에서 ion 307 [M+H]+위치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초미쇄분쇄를 이용한 양파분쇄물을 포함하는 양파액, 고온 착즙된 양파즙, 및 일반분쇄를 이용한 양파액에서 ion 394 [M+H]+위치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초미쇄분쇄를 이용한 양파분쇄물이 첨가된 유산균 발효유 제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초미쇄분쇄를 이용한 양파분쇄물이 첨가된 유산균 발효유의 유산균수 시험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극저온 양파 초미쇄분쇄(CMGT)물의 효과 확인
[제조예 1] CMGT를 이용한 양파분쇄물의 제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초미쇄분쇄를 이용한 양파분쇄물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로, 도 1에 따라 양파분쇄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양파 원물을 물에 침지시킨 후 30분간 버블 세척을 한 뒤 가로, 세로, 높이가 10mm가 되도록 절단하였다. 이후, -196℃ 온도 하에서 상기 절단 원물을 급속 냉동한 뒤 평균 입도가 40~50㎛의 크기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분쇄 과정에서 액체질소를 공급하여 온도를 유지하면서 극저온 초미세 분쇄를 수행하였다. 이후 얻어진 분쇄물에 대하여 펙티나아제 0.3 중량%, 아밀라아제 0.06 중량% 및 잔부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첨가하여 50℃에서 4시간 교반하며 효소화 반응을 실시하였다. 양파가 시간이 지날수록 갈변 또는 산화할 수 있으므로 비타민 C를 0.03%를 넣어 갈변을 방지하였다. 효소화 반응 후에 150 Mesh를 사용하여 이물을 걸러 주었으나, 찌꺼기가 거의 남지 않았다. 상기 과정을 극저온 초미세분쇄법(Cryogenic Micro Grinding Technology; CMGT)이라 명명한다. 이후, 115℃에서 30초간 순간 살균을 실시하여, 양파분쇄물을 포함하는 양파액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및 2] 고온 착즙 양파즙, 및 일반적인 분쇄방법을 이용한 양파액의 제조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극저온 초미세 분쇄와 비교하기 위하여 비교예 1 및 2를 준비하였다. 비교예 1은 고온 착즙 과정을 거쳐 양파즙을 제조하였고, 비교예 2는 양파를 일반분쇄 방법으로 분쇄한 후, 제조예와 같은 방법으로 효소화 과정을 거쳐 양파액을 제조하였다. 일반 분쇄는 건조한 원료를 분쇄기(DHM-7000CW, DaesungArtlon, Paju,Korea)로 9분동안 분쇄하여 80mesh 망을 통과한 것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초미쇄분쇄 및 효소반응을 이용한 양파분쇄물이 포함된 양파액의 성분 분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극저온 초미쇄분쇄 및 효소반응을 이용한 양파분쇄물이 포함된 양파액은 음용하기 알맞은 40~50㎛로 분쇄하여 영양성분과 유효성분(파이토케미컬), 맛, 향, 색상을 모두 보존하며 그 추출율을 극대화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얻어진 제조예 1의 양파액과, 기존의 기술에 따라 얻어진 비교예 1 및 2의 양파액 내 성분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각 시료를 10 mg/mL의 농도로 균일화하여, Agilent 1200 series & Data system 장비를 이용하여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수행하였다. 상세한 HPLC 조건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고, 분석 결과를 표 2, 및 도 2 내지 4에 나타내었다.
Instrument Agilent 1200 series & Data system
Column Phenomenex synergi 4 u hydro-RP, 150*4.6 mm
Mobile phases A: 0.05% FA in H2OB: MeOH
Gradient 0 min: 100% A5 min: 100% A
10 min: 50% A
20 min: 0% A
Flow rate 0.5 mL/min
Detector DAD (205 nm)
Injection volumn 10 uL
Ionization source API-ES (positive mode)
Nebulizer pressure (psi) 35
Drying as temp. (℃) 350
구분 케르세틴 사이클로알린 이소알린 Glu-PeCSO CPGTH
비교예 1 3.0 26144.8 피크 없음 101318 20060.3
비교예 2 4.6 76347.8 피크 없음 25297.8 1675.2
제조예 1(CMGT 양파즙) 8.5 44227.8 피크 있음 346922.9 77488.0
상기 표 2에서, 케르세틴(Quecetin)은 양파의 대표적인 기능성 항산화 물질이고, 사이클로알린(Cycloalliin)은 중성지질 저하 작용의 기능성 물질이며, 이소알린(Isoalliin)은 장질환을 일으키는 캄필로박터박테리아 균 억제효과가 항생제보다 100배 강력한 물질로서 알린(Alliin)과 효과가 유사한 물질이며, Glu-PeCSO는 글루타밀 펩타이드이며, CPGTH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기능성 물질이다.
실험 결과, 비교예 1과 비교예 2와 비교하여 제조예 1(본 발명의 CMGT 양파분쇄물이 포함된 양파액)에서 케르세틴, Glu-PeCSO, 및 CPGTH가 현저하게 높은 수치로 검출되었고,특히 이소알린의 경우에는 제조예 1에서만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상기 수용성 성분들 이외에 양파의 지용성 성분인 이황화디알릴(Diallyl disulfide)을 분석하였다. 비교예 1과 같이 물 등 수용성 용매를 이용한 양파즙 제조 방법으로는 지용성 성분이 추출되지 못하고 소실된다. 비교예 2의 방법으로도 분쇄 시 발생하는 고온의 열로 인하여 영양소가 소실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제조예 1에는 지용성 성분인 이황화디알릴이 높은 수준으로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 극저온 초미쇄분쇄 공정과 효소화 반응을 거쳐 제조된 제조예 1의 양파즙이 강력한 항산화,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CMGT 양파분쇄물을 이용한 유산균 제조의 효과 확인
[제조예 2] CMGT 양파분쇄물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유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CMGT 양파분쇄물을 이용하여 유산균을 배양하고, 농후발효유를 제조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로, 도 6에 따라 농후발효유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원유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CMGT 양파분쇄물을 1~5 중량%로 혼합하고, 이를 살균 및 냉각한 후, 스트렙토코커스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락토바실러스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및 비피도박테리움애니멀리스락티스(Bifidobacterium animalisssp.lactis)가 혼합된 유산균 발효 스타터(Lyofast SAB 440 B)를 CMGT 양파분쇄물이 혼합된 우유 100L당 0.1~5.0 US로 첨가하여 43℃, 및 pH 4.5 조건에서 8.5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이를 냉각 및 교반하고, 여과하여 CMGT 양파분쇄물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유(제조예 2)를 수득하였다. 제품화하는 경우, 필요에 의해 상기 유산균 배양 단계 이후에 냉동과일 등의 부원료를 추가할 수 있다.
[비교예 3 및 4] 일반적인 유산균 발효유의 제조
한편, 본 발명에 따른 CMGT 양파분쇄물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유와 비교하기 위하여 비교예 3 및 4를 준비하였다. 비교예 3은 양파분쇄물 첨가 없이 제조예 2에서 사용한 유산균 발효 스타터를 이용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발효된 유산균 발효유를 제조하였고, 비교예 4는 비교예 2의 양파액을 첨가하되 제조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유산균 발효된 유산균 발효유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2] 양파분쇄물이 첨가되어 발효된 유산균 발효유의 관능평가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얻어진 실시예 2의 유산균 발효유(제조예 2)와, 실시예 1의 CMGT 양파분쇄물이 포함된 양파액(제조예 1), 및 양파분쇄물 첨가 없이 유산균 발효된 비교예 3에 대하여 전체적인 기호도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검사를 위해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별로 각 남자 5명, 여자 5명을 선발하였고, 각 질문에 대하여 특성치가 거의 없을 경우 0, 특성치가 가장 높을 경우 5를 기재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구분 관능 평가 항목
기호성 단맛 신맛 감칠맛 생양파취
비교예 3 3 1 5 3 0
제조예 1(CMGT 양파분쇄물이 포함된 양파액) 2 3 0 1 5
제조예 2(CMGT 양파액 유산균 발효유) 5 2 3 5 2
실험 결과, 제조예 2(본 발명의 CMGT 양파분쇄물 유산균 발효유)는 제조예 1(CMGT 양파분쇄물이 포함된 양파액)보다 전체적인 기호성이 2.5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목할 만한 것은 생양파취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예 3(양파 첨가 없이 유산균만 배양)보다 기호성이 향상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감칠맛, 단맛, 및 신맛이 증가하여 맛과 향이 풍부해졌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실험예 3] 양파분쇄물이 첨가되어 발효된 유산균 발효유의 성분 분석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얻어진 실시예 2의 유산균 발효유와, 비교예 3의 유산균 발효유 내 유산균수(CFU/g)를 비교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유산균수(CFU/g)
비교예 3 100,000,000
제조예 2(CMGT 양파액 유산균 발효유) 780,000,000
실험 결과, 제조예 2(본 발명의 CMGT 양파분쇄물 유산균 발효유)의 유산균수 함량이 비교예 3(양파 첨가 없이 유산균만 배양)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CMGT 양파분쇄물이 프리바이오틱스로서 기능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상기 제조예 2의 유산균수 시험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 극저온 초미쇄분쇄 공정과 효소화 반응을 거쳐 제조된 실시예 1의 양파즙이 유산균 발효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현저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6)

  1. 양파를 -196℃ 내지 -70℃에서 동결하여 분쇄하여 수득된, 양파분쇄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파분쇄물은 이소알린(Isoalliin)을 포함하는 것인, 양파분쇄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파분쇄물의 평균 입도는 5 내지 70 마이크로미터(㎛)인 것인, 양파분쇄물.
  4. 제 1항의 앙파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효능이 증대된 식품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 효능은 간염, 간경화, 지방간, 미백, 암, 고지혈증, 동맥경화, 비만, 고혈압, 당뇨, 및 세균 감염 질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개선시키는 것인, 식품 조성물.
  6. 제 1항의 양파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용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양파분쇄물은 미생물 배양을 위한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로서 기능하는 것인, 조성물.
  8. 제 1항의 양파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효능이 증대된 사료 조성물.
  9. 제 1항의 양파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효능이 증대된 화장료 조성물.
  10. (a) 제 1항의 양파분쇄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b) 미생물에 상기 양파분쇄물을 첨가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유산균인 것인, 미생물 배양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락토코커스(Lactococcus), 류코노스토크(Leuconostoc),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및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미생물 배양 방법.
  13. 제 10항의 방법으로 배양된 미생물.
  14. 제 13항의 미생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15. 제 13항의 미생물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16. 제 13항의 미생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45622A 2020-04-09 2021-04-08 극저온 초미세분쇄 기술 및 효소화 반응을 이용한 식물분쇄물, 및 이의 용도 KR202101259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43267 2020-04-09
KR1020200043267 2020-04-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932A true KR20210125932A (ko) 2021-10-19

Family

ID=78228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622A KR20210125932A (ko) 2020-04-09 2021-04-08 극저온 초미세분쇄 기술 및 효소화 반응을 이용한 식물분쇄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59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961B1 (ko) 탈모 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481245B (zh) 包含五味子的肽提取物的治疗痤疮用化妆品组合物
KR102032033B1 (ko) 감귤류 열매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JP4163631B2 (ja) 無辛味品種トウガラシの発酵組成物及びその利用
KR102432924B1 (ko) 식물성 콜라겐 및 식물성 뮤신을 포함하는 추출물 및 조성물
KR102181371B1 (ko) 유자씨 오일 및 유자 과즙을 포함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13731A (ko) 진세노사이드 Rh2와 Rg3의 함량이 증진된 인삼 발효물의 제조 방법
JP4397142B2 (ja) 活性酸素消去能低減抑制剤
KR102153414B1 (ko) 약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2010540623A (ja) 葉酸が混入された大豆発酵高分子物質及びこれを含む組成物
KR101914345B1 (ko) 발효콩, 발효쌀, 발효감자, 발효인삼 및 발효율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력과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36107A (ko)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알로에 유산균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이용한 알로에 발효 포스트바이오틱스 유산균의 제조방법
JP2004189718A (ja) 柑橘類外皮を含む発酵物
CN115025129B (zh) 含乳酸杆菌的组合物及其预防及/或改善皮肤老化的用途
KR10216552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2010100663A (ja) タマネギ発酵物を含有する酵素阻害剤
JP2005097222A (ja) タマネギ発酵物
KR20170106187A (ko) 항산화용 조성물
JP6326413B2 (ja) ペントシジン生成阻害剤
KR102351730B1 (ko) 흰목이버섯 발효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6468B1 (ko) 항산화, 항주름 및 미백 활성이 증진된 톳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200040606A (ko) 아리수 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당뇨, 모공축소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210125932A (ko) 극저온 초미세분쇄 기술 및 효소화 반응을 이용한 식물분쇄물, 및 이의 용도
JP2006265142A (ja) 体脂肪の蓄積抑制または低減剤
KR20210016776A (ko) 녹용 농축물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