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6187A - 항산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6187A
KR20170106187A KR1020170009355A KR20170009355A KR20170106187A KR 20170106187 A KR20170106187 A KR 20170106187A KR 1020170009355 A KR1020170009355 A KR 1020170009355A KR 20170009355 A KR20170009355 A KR 20170009355A KR 20170106187 A KR20170106187 A KR 20170106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vitamin
composition
placenta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혜인
이미경
김종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70106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2Antioxida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8Vitamin C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로써, 비타민C, 타히보 추출물, 발효 돈태반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첨가되어 항산화능이 증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또는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산화 효능이 우수한 조성물의 수득을 기대할 수 있는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산화용 조성물{Antioxida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타민 C는 탄소 6개로 이루어진 락톤(lactone)구조이며, 사람의 체내에서 합성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식품을 통해 섭취해야 하는 필수 영양소 중 하나로 신선한 채소와 과일 등이 주요 급원이다. 비타민 C는 환원형의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과 산화형인 디하이드로아스코르빈산(dehydroascorbic acid)을 모두 포함하며, 이 두 물질은 상호 전환이 가능하다. 실제로 우리가 섭취하는 식품에는 2가지 형태가 모두 존재한다. 비타민 C는 괴혈병을 예방하는 물질로서, 환원형의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이란 명칭은 항괴혈병(anti-scurvy)에서 유래되었다. 18세기 영국군이 아프리카로 항해를 할 때 원인 모를 병으로 병사들이 사망하였는데 이는 오랜 항해 동안 신선한 채소나 과일을 먹지 못하여 비타민 C 결핍으로 괴혈병에 걸려 사망한 것이었다. 이후 출항하는 배 안에는 반드시 레몬 상자를 실으라는 국제해운법 조항이 생겼을 만큼 비타민 C는 필수적인 영양소이다.
비타민 C는 생체 내 여러 효소반응의 조효소로 사용되며 피부, 혈관, 연골의 주요 구성성분인 콜라겐의 합성에 관여하므로 결합조직과 지지조직 형성, 피부 및 잇몸 건강에 좋은 영양소이다. 또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제거하는 항산화 활성 능력이 우수하며, 이로 인한 효과가 입증되지는 않았으나 암, 동맥경화, 류머티즘 등 각종 질병을 예방하고 면역 체계를 강화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으며, 따라서 비타민 C는 노화를 예방하고 건강한 생활을 위해서 꼭 섭취해야 하는 필수적인 영양소로 꼽히고 있다.
한국인의 비타민 C 하루 권장섭취량은 성인 기준 100mg이지만 흡수율이 낮아서 고용량으로 비타민 C를 섭취하게 하는 비타민 C 보충용 제품들이 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섭취 후 6시간이면 소변을 통해 배출되며 섭취량이 많아질수록 흡수율이 줄어들고 배출량이 많아지는 특징으로 인해 고용량을 섭취하기보다, 비타민 C 보충용 제품은 적정 용량만 섭취하고 그 외에 채소나 과일 등 다른 급원을 통해 비타민 C를 섭취하거나 비타민 C의 효능을 강화시키려는 시도들이 있어 왔다.
한편, 타히보(Taheebo)는 중남미지역에 주로 서식하는 상록성 식물인 능소화과의 Tabebuia avellanedae의 나무껍질을 원료로 한 천연차 혹은 그 나무 자체이다. 타히보는 오래전부터 당뇨, 고혈압, 열병 등에 사용되어 왔으며 염증성 질환에 특효약으로 알려져있다. 타히보와 관련하여, 타히보 분획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29561호)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태반(placenta)이란 태아와 모체 사이에서 태아의 생존과 성장에 필요한 물질교환을 매개하는 구조물이다. 태아를 밖에서 싸고 있는 장막의 일부가 모체의 자궁 내막에 접착하여 형성된다. 태반은 태아에게 필요한 가스교환, 영양소 교환, 호르몬 분비 등의 기능을 한다. 태반에는 다양한 아미노산과 각종 펩타이드, 비타민, 미네랄, 효소,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 등이 풍부하다. 포유류들은 후산으로 배출된 태반을 먹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출산으로 인해 손실된 영양분을 보충하고 출산의 흔적을 지워 천적으로부터 새끼를 보호하기 위한 행동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고대 그리스의 의사 히포크라테스는 태반을 약재로 이용했다고 하며, 동양에서는 태반을 '자하거'라 하며 약재로 이용한 기록이 있다. 또한, 일반 태반 추출물을 발효 미생물로 발효할 경우에 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하고 생리활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1774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우수한 항산화능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타민 C와, 타히보 추출물, 발효 돈태반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첨가되어 항산화능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비타민 C]
비타민 C(Vitamin C)는 다음 화학식의 화합물로, 6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락톤(lactone)이다.
[화학식]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비타민 C'에는 상기 화학식의 화합물, 이의 모든 변형체(단, 변형체에는 유도체 포함), 이들의 용매화물, 수화물, 결정형 등(이하, 변형체 등으로 칭함)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비타민 C의 변형체에는 L-아스코르빈산나트륨(sodium L-ascorbate), L-아스코르빈산스테아레이트(L-ascorbyl stearate), 아스코르빈산칼륨(potassium L-ascorbate), 아스코르빈산칼슘(calcium ascorbate) 또는 아스코르빈산팔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비타민 C를 대체하여 또는 이와 함께 비타민 C와 동등한 항산화능을 갖는 상술한 변형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L-Ascorbic Acid을 칭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타민 C는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분리하거나,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수득하여 화학적 개질에 의해 제조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의 합성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또는 상업적으로 제조되어 유통되는 상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타히보 추출물]
타히보(Taheebo)는 중남미지역에 주로 서식하는 상록성식물인 능소화과의 타베뷔아 아베라네다(Tabebuia Avellanedae)의 수목의 껍질 내부 수피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히보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통상의 기술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매 추출법에 의할 수 있다. 식물 전체 또는 임의의 부분을 분쇄한 다음(예를 들어, 블렌더), 추출 용매를 처리하여, 용매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분쇄 전에 건조 과정(예를 들어, 40 내지 70℃에서 15 내지 50시간 동안의 건조)을 거친 다음 분쇄할 수도 있다. 또한, 용매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물, 저급알코올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1회 이상 추출하여 용매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용매 추출물을 감압 증류한 후 동결건조 또는 분무 건조하여 얻은 건조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이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대상 식물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배, 또는 5 내지 20배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당업계 공지된 다양한 추출 공정, 예를 들어, 온침(maceration), 인퓨전(infusion), 퍼콜레이션(percolation), 소화, 전즙(decoction), 고온 연속 추출(hot continuous extraction), 수성-알코올성 추출, 역류 추출, 마이크로파 보조 추출, 초음파 추출, 초임계 유체 추출, 조직편 추출(phytonic extract) (예를 들어,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용매) 등) 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추출물'에는 상기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발효 태반 추출물]
본 발명에 있어서, 태반은 모든 포유류의 태반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돼지 태반(돈태반), 말 태반, 양 태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돈태반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 태반 추출물은 당업계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고, 예컨대 가수분해효소 처리단계; 발효원을 접종하는 단계; 및 태반을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원을 접종하는 단계의 순서는 바뀌어도 무관하다.
상기 가수분해효소 처리단계는 태반을 대상으로 가수분해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가수분해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효소에는 예컨대 에스터 결합에 작용하는 효소(예. 리파아제·콜린에스테라아제·포스파타아제·DNase(다이옥시리보뉴클레아제) 등), 글리코실 화합물에 작용하는 효소(예. α 및 β 아밀라아제·글리코시다아제·뉴클레오시다아제 등), 에테르결합에 작용하는 효소(예. 아데노시루호모시스티나아제), 펩티드결합에 작용하는 효소(예. 로이실아미노펩티다아제·카복시펩티다아제·펩신·트립신·키모트립신 등 많은 단백질 분해효소), 펩티드 이외의 탄소-질소 결합에 작용하는 효소(예. 우레아제·아스파라기나아제·페니실리나아제·아르기나아제·뉴클레오시드나뉴클레오티드의 디아미나아제), 산무수물에 작용하는 효소(예. ATPase), 탄소-탄소 결합에 작용하는 효소, 할로젠족 원소와의 결합에 작용하는 효소, 또는 인-질소 결합에 작용하는 효소 등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수분해는 효소의 촉매반응이 최대에 이를 수 있는 조건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조건은 통상의 기술자가 효소 종류, 효소의 양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접종 발효원으로는 젖산균, 효모, 바실러스 속 미생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포함되며,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젖산균의 경우, 락토바실러스 속 젖산균(Lactobacillus sp.), 스트렙토코쿠스 속 젖산균(Streptococcus sp.), 페디오코쿠스 속 젖산균(Pediococcus sp.), 류코노스톡 속 젖산균(Leuconostoc sp.) 및 비피도박테리움 속 젖산균(Bifidobacterium sp.)으로 대별되는데, 본 발명의 방법에는 이러한 모든 젖산균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페디오코커스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페디오코커스 세레비세(Pediococcus cerevisiae),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레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레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비피도박테리움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 등이 포함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효모의 경우, 바람직하게 사카로마이세스 속 효모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효모로서는 예컨대 사카로마이세스 루시(Saccharomyces rouxii),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ciae), 사카로마이세스 오비폴미스(Saccharomyces oviformis), 사카로마이세스 스테이네리(Saccharomyces steineri) 등이 등이 포함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바실러스 속 미생물(Bacillus sp.)로서는 청국장, 된장, 치즈 등 식품의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이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바실러스 섭틸리스(B. subtilis), 바실러스 리크네포르미스(B. lichneform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 megaterium),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낫토(B. natto) 등이 대표적이며, 이외에도 바실러스 안스라시스(B.antharcis),바실러스렌투스(B.lentus), 바실러스 퍼미러스(B.pumilus), 바실러스 더링지엔시스(B.thuringiensis), 바실러스 알베이(B.alvei), 바실러스 아조토픽산스(B.azotofixans), 바실러스 매세란스(B.macerans), 바실러스 포리믹사(B.polymyxa), 바실러스 파필리에(B.popilliae), 바실러스 코아글란스(B.coagulans), 바실러스 스테아로더모필러스(B.stearothermophilus), 바실러스 파스퇴리(B.pasteurii), 바실러스스 패리커스(B.sphaericus), 바실러스 패스티디오서스(B.fastidiosus) 등이 포함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효는 접종 발효원의 생장이 최대에 이를 수 있는 조건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조건은 통상의 기술자가 발효 원료의 양, 접종되는 발효원의 양, 발효원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접종 발효원으로 사카로마이세스 속 효모를 사용하는 경우, 25~30에서 1개월 이상 동안 발효할 수 있다.
상기 태반의 분쇄에 있어서, 분쇄물의 입경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발효원에 의해 그 분쇄물이 균일하게 발효될 정도의 입경인 바람직하다. 여기서 입경은 분쇄물 입자의 지름을 말하는데, 접종되는 발효원에 의해 균일하게 발효될 정도의 입경 크기는 통상의 기술자의 능력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포유류의 태반은 통상 수분 함량이 높은 편이기 때문에 발효를 위하여 특별히 수분을 공급할 필요가 없으나, 포유류의 태반을 동결건조 등의 방법으로 분말화시켜 발효의 원료로 사용할 경우에는 수분을 공급하여 발효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바 이외에, 발효 태반으로 상업적으로 제조되어 유통되는 상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추출물'에는 상기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항산화]
항산화란 체내에서 일어나는 여러 산화작용을 방지 내지 억제하는 것을 말한다. 산화작용은 체내 대사과정 중 발생하는 O2-(superoxide), NO·(nitric oxide), NO2·(nitrogen dioxide), OH·(hydroxyl), ROO·(proxyl), RO·(alkoxyl), NO3·
(peroxynitrite) 라디칼(radical) 등의 유리기의 산화반응에 기인한다.
비타민 C는 항산화능을 가진다. 비타민 C의 전자제공 기능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과 활성질소종(reactive nitrogen species, RNS) 등의 자유기를 제거하는 항산화 활성을 띠게 한다. 또한, 비타민 C의 라디칼은 반감기(half-life)가 5~10초로 비교적 긴 편이어서 안정적인 항산화능을 가진다. 비타민 C는 섭취량이 증가되면 흡수율은 저하되어, 하루 30~180㎎ 정도 섭취하면 약 79~90%가 흡수되지만, 섭취량이 1g이상으로 증가되면 흡수율은 50% 미만으로 감소된다. 또한, 섭취량이 증가하면 신장을 통한 배설량도 증가한다. 따라서, 비타민 C의 항산화능을 강화시켜 비타민 C 섭취량에는 변화없이 항산화 효과를 증진시키는 본 발명에 기술적 의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타민 C와 함께 타히보 추출물, 발효 태반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항산화능이 증진된 조성물을 얻는 효과가 있다. 즉, 동량의 비타민 C 단독 적용(섭취)을 통해 발휘되는 항산화 효과에 비해, 타히보 추출물, 발효 태반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해 적용(섭취)하면, 항산화능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비타민 C; 및 타히보 추출물, 발효 태반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항산화능을 나타낼 수 있는 정도로, 각 성분이 첨가되는 것을 의미하고, 전달 및 안정화 등을 위하여 다양한 성분을 부성분으로 첨가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formulation) 가능함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타민 C; 타히보 추출물 및/또는 발효 태반 추출물은 함량비에 제약없이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C는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60 - 100 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고, 타히보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1 - 5 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그리고 발효 태반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1 - 5 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 범위에서, 비타민 C 항산화능 증진 효과의 월등한 증진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비타민 C; 타히보 추출물 및/또는 발효 태반 추출물은 함량비에 제약없이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C의 총 중량 대비 타히보 추출물은 100: 0.01- 5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100: 0.1 - 3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비타민 C의 총 중량 대비 발효 태반 추출물은 100: 0.01 - 5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100: 0.1- 3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비타민 C의 총 중량 대비 타히보 추출물 및 발효 태반 추출물의 혼합물은 100: 0.01- 5: 0.01 - 5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100: 0.1 - 3: 0.1 - 3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비 범위에서, 비타민 C 항산화능 증진 효과의 월등한 증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식품첨가제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비해,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첨가량은 보다 저함량 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문제가 없는 한 보다 고함량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성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음료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에는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 있다. 감미제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품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보통의 성분,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필요한만큼 적용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유연화장수(스킨),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 피부접착용 패취, 피부접착용 겔, 파우더, 연고, 서스펜션, 에멀젼, 스프레이, 또는 미용액 등의 통상의 화장료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각 제형에 적합하고 당업계에 주지된 각종의 통상적인 담체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산화능이 우수한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고, 이는 식품, 건강식품, 의약외품 등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과 도 2는 각 단독 또는 복합 추출물의 항산화력을 측정한 실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실험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 타히보 추출물, 발효 돈태반 추출물 및 비타민C의 준비
타히보 추출물을 얻기 위해서 원료를 선별 및 칭량하여 열수 추출하여 타히보 추출액을 얻었다. 이를 냉각 후 감압농축(50℃, 0.09mPa)하여 농축액을 얻고, 난소화성덱스트린 등의 부형제와 혼합하여 동결 건조하였다. 이를 원하는 입자 크기로 분쇄하여 타히보 추출물을 얻었다.
발효 돈태반(Fermented Placenta Extract Powder A (K))은 일본의 호루스 사(HORUS Co., Ltd., Japan)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발효 돈태반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 효소 가수분해 처리된 돼지 태반을 살균 및 여과 과정을 거치고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tes) 속과 흑설탕을 첨가하여 25~30℃에서 1개월 동안 발효하였다. 이후 25℃ 에서 2개월 간의 숙성과정을 거쳐 살균 후 스프레이 드라이를 통해 분말화하여 제조하였다.
비타민C는 영국의 DSM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2-Keto-L-Gulonic Acid(2-KGA)를 에스터화하여 2-Keto-L-Gulonic Acid Methyl Ester(MeKGA)를 얻고, 이를 다시 재배열하여 L-Ascorbic Acid를 얻었다.
실험예 1 : 타히보 추출물 또는 발효 돈태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타민C 조성물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비타민 C 및 타히보 추출물, 발효 돈태반 추출물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비(단위: mg/ml)로 첨가하여 비교예 1 내지 4, 실시예 1 내지 4로 표시되는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각 혼합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mg/ml 비교예 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타민C 6 3 3 3 2
타히보 추추물 6 3 2
발효 돈태반 추출물 6 3 2
스피루리나 6 3
상기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를 이용하여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DPPH 4mg을 에탄올 50ml에 녹여 DPPH 용액을 만들고, 비타민 C 및 추출물 시료를 증류수에 희석하여 적절한 농도로 만들었다.
표준품으로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사용하였고, 표준품 및 각 시료를 96웰 플레이트에 100ul씩 3개 웰에 분주한 후, DPPH 용액 100ul를 각 웰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호일로 싸고 37℃ 인큐베이터에 30분 방치한 뒤 516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증류수을 사용하였으며 DPPH법에 의한 항산화력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하였다:
항산화력(%) = 100-(시료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X100
흡광도를 통해 결정된 항산화력 실험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고, 그 그래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항산화력
(%)
38.4 23.9 21.8 30.4 65.8 59.1 31.7 77.8
상기 표 2 및 도 1과 같이, 타히보 추출물과 발효 돈태반 추출물은 각각 단독처리에 비해 비타민C와 함께 처리되었을 때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스피루리나의 경우, 단독처리에 의해서는 타히보 추출물 및 발효 돈태반 추출물보다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비타민C와의 복합처리에 의해서는 시너지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비타민C와 타히보 추출물, 발효 돈태반 추출물 3중 복합물에서는 각각 혹은 2중 복합물에서 보다 더 큰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실험예를 통해 비타민 C에 대한 타히보 추출물과 발효 돈태반 추출물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타히보 추출물 및 발효 돈태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타민C 조성물
실험예 1의 결과를 더 명확히 하기 위하여 비타민C, 타히보 추출물, 발효 돈태반 추출물 및 음성 대조군을 하기 표 3에 기재된 함량비(단위: 중량%)로 첨가하여 실시예 5 내지 8로 표시되는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각 혼합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비타민C 1.04 1 1 1
타히보 추출물 - 0.02 0.02 -
발효 돈태반 추출물 - 0.02 -  0.02
스피루리나 - -  0.02 0.02
98.96 98.96 98.96 98.96
상기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예 1과 마찬가지로 DPPH를 이용하여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흡광도를 통해 결정된 항산화력 실험 결과를 아래 표 4에 나타내었고, 그 그래프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항산화력(%) 45.2 56.8 49.2 47.7
비타민C에 타히보 추출물과 발효 돈태반 추출물을 복합 처리시 향상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나, 음성 대조군인 스피루리나가 복합 처리된 실시예 7 및 실시예 8에서는 실시예 6보다 적은 시너지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실험예 1 및 실험예 2를 통해서 타히보 추출물 및/또는 발효 돈태반 추출물이 비타민C와 항산화력에 있어서 시너지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Claims (7)

  1. 비타민 C; 및
    타히보 추출물, 발효태반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비타민 C의 총 중량 대비 타히보 추출물의 중량비는 100 : 0.01- 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비타민 C의 총 중량 대비 발효 태반 추출물의 중량비는 100 : 0.01- 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태반 추출물은 발효 돈태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타히보 추출물 및 발효 태반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비타민 C의 총 중량 대비 발효 태반 추출물 및 타히보 추출물의 중량비는 100 : 0.01- 5 : 0.01 - 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7. 제1항 내지 6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용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식품첨가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0170009355A 2016-03-10 2017-01-19 항산화용 조성물 KR201701061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28910 2016-03-10
KR1020160028910 2016-03-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187A true KR20170106187A (ko) 2017-09-20

Family

ID=60033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355A KR20170106187A (ko) 2016-03-10 2017-01-19 항산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61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646B1 (ko) * 2018-11-15 2019-02-25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스피룰리나 마리노박터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4470A (ko) * 2019-07-24 2019-09-10 윤석호 한약재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487461B1 (ko) * 2022-01-07 2023-01-12 (주)제이비 바이오 태반 고상발효산물과 그 용도 및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646B1 (ko) * 2018-11-15 2019-02-25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스피룰리나 마리노박터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4470A (ko) * 2019-07-24 2019-09-10 윤석호 한약재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487461B1 (ko) * 2022-01-07 2023-01-12 (주)제이비 바이오 태반 고상발효산물과 그 용도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4894B2 (ja) 肝機能の改善、血中アルコールの減少及び抗酸化に有効な組成物
US8257761B2 (en) Polyphenol-containing products
JP4470212B2 (ja) 皮膚改善剤
KR102048309B1 (ko) 발효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5000161A (ja) トウガラシ又はカプシノイド含有植物の発酵組成物
JP4397142B2 (ja) 活性酸素消去能低減抑制剤
JP2009137899A (ja) 腸内有害菌低減剤、それを含む食品または医薬品
KR20170106187A (ko) 항산화용 조성물
KR101320738B1 (ko) 미세조류 유래 색소를 추출하는 방법 및 추출된 푸코크산틴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09281B1 (ko)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624742B2 (ja) シソの葉から得られる発酵物
JP4387903B2 (ja) パパイヤから得られる発酵物
KR20220136107A (ko)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알로에 유산균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이용한 알로에 발효 포스트바이오틱스 유산균의 제조방법
TW201034584A (en) Process for producing γ-aminobutyric acid-rich material
KR102350102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JP2006076925A (ja) トマトから得られる発酵物
JP2006075083A (ja) ゴーヤから得られる発酵物
KR102167812B1 (ko) 장건강 및 장개선 효능을 가지는 수수 및 팥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05657A (ko)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JP2017193497A (ja) 筋肉増強剤
JP2006089408A (ja) レモンから得られる発酵物
KR20200023576A (ko) 발효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2006182654A (ja) 体脂肪の蓄積抑制または低減剤
KR102155057B1 (ko) 홍삼 및 산화질소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및 혈관질환 예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14239699A (ja) 血中アディポネクチン量増加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