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929A - 튀김요리용 탈유기 - Google Patents

튀김요리용 탈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929A
KR20210123929A KR1020200041778A KR20200041778A KR20210123929A KR 20210123929 A KR20210123929 A KR 20210123929A KR 1020200041778 A KR1020200041778 A KR 1020200041778A KR 20200041778 A KR20200041778 A KR 20200041778A KR 20210123929 A KR20210123929 A KR 20210123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oil
frying
roller
cam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원택
Original Assignee
임원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원택 filed Critical 임원택
Priority to KR1020200041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3929A/ko
Publication of KR20210123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47J37/129Fry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95Frying baskets or other food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튀김요리 직후, 튀김에 포함된 기름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튀김요리용 탈유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튀김망(1) 안치대(2)를 상, 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스프링(11)에 의해 하향 탄지력이 작용하면서 하부에 캠롤러(12)가 구비되는 종동로드(10); 모터(M)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캠롤러(12)와 캠운동되어 종동로드(10)를 상, 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원동캠(20); 및 상기 안치대(2) 하부에 설치되어 튀김망(1)에서 떨어지는 기름을 포집하도록 구비되는 기름받이(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튀김요리용 탈유기를 이용하면, 탈유 충격이 본 충격과 여진 충격으로 구분되어 단계적으로 작용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소음이 감소되고, 기름 제거율이 향상됨과 더불어 과도한 충격으로 인한 튀김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튀김요리용 탈유기 {Oil separator for frying}
본 발명은 튀김요리용 탈유기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튀김요리 직후, 튀김에 포함된 기름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튀김요리용 탈유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튀김기는 식용유(이하, '기름')를 가열하여 조리식품을 고온에서 조리하기 위한 기기로서, 바삭하고 고소한 맛으로 인해 남녀노소 모두가 좋아하는 대중적인 요리로 자리매김하면서 튀김기의 사용이 빈번해지고 있으며, 특히 패스트푸드, 치킨점 등의 증가로 인하여 그 조리가 보다 전문화를 요구하는 실정이다.
예컨대, 튀김기는 기름을 담을 수 있도록 일정체적의 유조를 형성한 본체에 기름을 붓고 가열하는 것으로, 가열에 의해 완성된 튀김는 망에 의해 건져진 후 일정시간 동안 흔들어 기름을 제거하기 위한 탈유과정을 반드시 거처야 하므로, 이를 수십회 반복할 경우 어깨, 팔에 상당한 무리가 가해지면서 작업 피로도가 증가되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특허등록 제10-1292727호에서, 내부에 유조를 형성한 본체; 튀김재료가 담기는 튀김망;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튀김망을 유조로부터 승하강시키는 승강 프레임을 구비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와 상기 승강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튀김망이 승강 이동하는 과정에서 튀김재료에 묻은 기름을 털어내는 튀김유 제거수단을 포함하고, 튀김유 제거수단의 힌지걸리부가 걸림턱을 넘어선 후 다시 랙가이드와 접하는 순간에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상기 튀김재료에 묻어 있는 기름을 털어내는 기술이 선 제시된 바 있지만, 랙가이드의 제한된 높이로 인해 랙가이드와 접하는 순간에 발생하는 충격이 수회로 제한되므로 기름 제거 효율이 저하됨과 더불어 탈유시간이 지체되면서 미제거된 기름이 튀김에 응고되어 튀김 맛이 느끼하게 변질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인 특허공개 제10-2012-0015413호에서, 모타의 회전운동을 캠에 의한 상하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캠구동장치부, 캠에 의한 상하왕복운동과 충격을 발생시켜 작업바구니에 전달시키는 동력전달부, 동력전달부 상단에 위치한 작업로 구성되며 제어부의 조작으로 가동하는 기술이 선 공개된 바 있지만, 캠 외주면에 치형으로 형성되는 하강잎과 종동포스트의 베어링부시 간에 요동으로 소음이 심각하고, 특히 종동포스트 하단에 구비되는 충격봉이 스프링에 의해 진동을 흡수하면서 바구니에 담긴 후라이드치킨 측으로 가해지는 진동이 저감시켜 탈유효율이 저하되는 폐단이 따랐다.
KR 10-1292727 B1 (2013.07.25.) KR 10-2012-0015413 A (2012.02.21.)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탈유 충격이 본 충격과 여진 충격으로 구분되어 단계적으로 튀김요리에 작용하도록 구조 개선된 튀김요리용 탈유기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탈리된 기름들을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으면서 과도한 충격으로 인한 튀김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튀김요리용 탈유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함께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를 감안하여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또 다른 목적들도 본 발명의 전체 과제에 포함되도록 한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튀김요리용 탈유기를 구성하되, 튀김망(1) 안치대(2)의 하측에 설치되어 가이드 부시(10a)를 타고 상, 하 방향으로 유동 되며, 스프링(11)에 의해 하향 탄지력이 작용하면서 하부에 캠롤러(12)가 구비되는 종동로드(10)와; 모터(M)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캠롤러(12)와 캠운동되어 종동로드(10)를 상, 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이동 시키도록 구비되는 원동캠(20); 및 상기 안치대(2) 하부에 설치되어 튀김망(1)에서 떨어지는 기름을 포집하도록 구비되는 기름받이(30);를 포함하며, 원동캠(20)이 회전함에 따라 캠롤러(12)가 원동캠(20)에 주기적으로 충격되어 안치대(2)에 본 충격과 여진 충격이 발생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원동캠(20)은, 캠롤러(12)의 상승 행정 최대치 지점을 형성하는 캠양정부(22)와, 캠롤러(12)의 하강 행정 최저치 지점을 형성하는 기초원부(24)와, 기초원부(24)에서 캠양정부(22) 사이 구간에 형성되어 캠롤러(12)를 상사점으로 이동 안내하는 상승 선도부(26)와, 캠양정부(22)에서 기초원부(24) 사이 구간에 형성되어 캠롤러(12)를 하사점으로 이동 안내하는 하강 선도부(28)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강 선도부(28)는 원동캠(20) 회전중심(C)과 캠양정부(22)를 연결하는 가상선(L)을 기준으로 원동캠(20) 회전방향으로 함몰되는 음각 선도라인(28a)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음각 선도라인(28a)에 의해 캠롤러(12)가 하강 선도부(28)와 비접촉상태로 하사점인 기초원부(24)에 착지 되면서 탈유 충격이 발생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동캠(20)은 금속 브라켓(20a)에 의해 양측면이 마감되는 고무 소재의 탄성몸체(20b)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몸체(20b)의 경도는 50~60N으로 형성하고, 상기 캠롤러(12)는 종동로드(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휠(12a)과, 롤러휠(12a) 외주면에 설치되어 원동캠(20)에 접지되는 탄성휠(12b)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휠(12b)은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체로 형성되거나, 내부에 중공부(12c)가 형성되는 탄성튜브로 형성되어, 상기 캠롤러(12)가 하강 선도부(28)와 비접촉상태로 하사점인 기초원부(24)에 착지시 탄성휠(12b)이 압축 후 팽창에너지에 의해 상향 이동되며 여진 충격이 발생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름받이(30)는 포집 기름을 튀김기 유조(T) 측으로 이송하는 배출유로(32)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유로(32) 양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거치대(36)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유로(32)의 하측에는 한 쌍의 거치대(36)에 안치되어 포집 기름을 멀티유조(34a)로 이송하는 멀티 기름받이(34)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멀티 기름받이(34) 사용 여부에 따라 배출유로(32)를 통하여 배출되는 포집 기름이 튀김기 유조(T) 또는 멀티유조(34a)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수집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탈유 충격이 본 충격과 여진 충격으로 구분되어 단계적으로 작용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소음은 줄이고 과도한 충격으로 인한 튀김 피 손상을 방지면서 기름 제거효율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튀김망에서 떨어지는 기름이 튀김기 유조 내부로 자동으로 회수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우수하고 기름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튀김요리용 탈유기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튀김요리용 탈유기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튀김요리용 탈유기의 원동캠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튀김요리용 탈유기의 캠롤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튀김요리용 탈유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튀김요리용 탈유기의 멀티 기름받이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튀김요리용 탈유기에 있어서, 기름받이의 구성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튀김요리용 탈유기에 관련되며, 이는 탈유 충격이 본 충격과 여진 충격으로 구분되어 단계적으로 작용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소음은 줄이면서 기름 제거율은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종동로드(10), 원동캠(20), 기름받이(30)를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튀김요리용 탈유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종동로드(10)는 튀김망(1) 안치대(2)의 하측에 설치되어 튀김망(1) 안치대(2)를 상, 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스프링(11)에 의해 하향 탄지력이 작용하면서 하부에 캠롤러(12)가 구비된다.
종동로드(10)는 탈유기 본체에 구비되는 가이드 부시(10a)를 타고 직선 왕복 운동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11)은 가이드 부시(10a)와 캠롤러(12)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종동로드(10)는 스프링(11)에 의해 하향 탄지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원동캠(20)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시 스프링(11)이 압축되고, 원동캠(20)에 의한 상방향 이동력에 해제되면 자체 중력 및 스프링(11)의 탄지에너지에 의해 신속하게 하향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로드(10)는 안치대(2)를 양측에서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안치대(2)는 튀김망(1) 하부 가장자리부를 국부적으로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일예로서,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치대(2)는 사각형상의 튀김망(1)을 수용하도록 단면형상이 'ㄴ'형 프레임을 이용한 사각틀로 형성하여 튀김망(1)의 하부 모서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튀김요리용 탈유기의 원동캠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로, 본 발명에 따른 원동캠(20)은 모터(M)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캠롤러(12)와 캠운동되어 종동로드(10)를 상, 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원동캠(20)은 캠샤프트(21) 양단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캠샤프트(21)는 기어, 벨트, 체인을 포함하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모터(M)와 연계 작동되도록 구비되는바, 도 2에서 모터(M)와 캠샤프트(21)는 벨트를 이용한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에 따라 상기 원동캠(20)이 회전 시, 캠롤러(12)가 원동캠(20)의 측면 선도를 타고 이동되면서 직선 왕복 운동되며 이때 원동캠(20)은 캠롤러(12)를 서서히 상사점까지 이동시킨 후, 순간적으로 짧은 시간에 하사점으로 복귀시키는 사이클을 반복하도록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동캠(20)은 캠롤러(12)의 상승 행정 최대치 지점을 형성하는 캠양정부(22)와, 캠롤러(12)의 하강 행정 최저치 지점을 형성하는 기초원부(24)와, 기초원부(24)에서 캠양정부(22) 사이 구간에 형성되어 캠롤러(12)를 상사점으로 이동 안내하는 상승 선도부(26)와, 캠양정부(22)에서 기초원부(24) 사이 구간에 형성되어 캠롤러(12)를 하사점으로 이동 안내하는 하강 선도부(28)로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원동캠(20)은 12시 0°를 기준으로 기초원부(24)는 30~180° 구간에 형성되고, 상승 선도부(26)는 180~360° 구간에 형성되며, 하강 선도부(28)는 10~30° 구간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원동캠(20)이 기초원부(24)에서 캠양정부(22)까지 이동하는 시간 대비 캠양정부(22)에서 기초원부(24)까지 이동하는 시간이 짧게 형성되고, 또 원동캠(20)이 캠양정부(22)에서 기초원부(24)까지 이동하는 시간 대비 기초원부(24)를 타고 하사점에 대기되는 시간이 길어지도록 설정되므로, 원동캠(20)이 상사점(P1)까지는 천천히 이동하게 되고, 상사점(P1)에서는 순간적으로 짧은 시간에 하사점(P2)으로 복귀하는 동작 사이클을 반복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강 선도부(28)는 원동캠(20) 회전중심(C)과 캠양정부(22)를 연결하는 가상선(L)을 기준으로 원동캠(20) 회전방향으로 함몰되는 음각 선도라인(28a)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음각 선도라인(28a)에 의해 캠롤러(12)가 하강 선도부(28)와 비접촉 상태로 하사점(P2)인 기초원부(24)에 착지 되면서 탈유 충격이 1차적으로 발생되고, 이후 후술하는 탄성휠(12b) 구성에 의해 2차적으로 여진 충격이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원동캠(20)은 도 4처럼 금속 브라켓(20a)에 의해 양측면이 마감되는 고무 소재의 탄성몸체(20b)로 형성되어 상기 캠롤러(12)와의 캠 운동에 따른 마찰 및 충격 소음이 감소되면서, 이 고무 탄성몸체(20b)는 금속 브라켓(20a)에 의해 캠 선도 형상이 견고하게 유지되어 오랜 사용에 의한 캠 형상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한다.
나아가 원동캠(20)이 회전하면 캠롤러(12)가 원동캠(20)의 탄성몸체(20b)에 주기적으로 충격되고, 이어서 탄성몸체(20b)의 반발력에 의해 캠롤러(12)가 바운스 되어 안치대(2)에 본 충격과 본 충격의 여진 충격이 연이서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탄성몸체(20b)의 경도는 50~60N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탄성휠(12b) 경도가 60N을 초과하면 충격에 의한 소음이 심해지고, 경도가 50N 미만이면 여진 충격(잔 진동)이 미약하여 탈유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튀김요리용 탈유기에 있어서 캠롤러의 구성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 상기 캠롤러(12)는, 종동로드(1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휠(12a)과, 롤러휠(12a) 외주면에 설치되어 원동캠(20)에 접지되는 탄성휠(12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탄성휠(12b)은 도 4 (a)와 같이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체로 형성되거나, 도 4 (b)처럼 내부에 중공부(12c)가 형성되는 탄성튜브로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캠롤러(12) 외주면이 탄성휠(12b)로 형성됨에 따라 캠롤러(12)가 하강 선도부(28)와 비접촉상태로 하사점(P2)인 기초원부(24)에 착지시 충격이 흡수되면서 충격과 소음이 감소되고, 또 상기 탄성휠(12b)이 충격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압축 후 팽창에너지에 의해 여진 상사점(P3)까지 상향 이동되며 잔진동이 발생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튀김요리용 탈유기의 진동발생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캠롤러(12)와 원동캠(20) 간에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5 (a) 내지 (b)와 같이 원동캠(20)의 회전운동에 의해 캠양정부(22)에 캠롤러(12)가 위치되면, 캠롤러(12)가 상사점(P1)에 도달한 후, 도 5 (c)와 같이 하강 선도부(28)에 의해 캠롤러(12)가 순간적으로 하사점(P2)으로 이동하면서 본 충격이 작용하여 1차적으로 기름이 털리고, 이후 도 5 (d)처럼 탄성휠(12b) 팽창에너지에 의해 캠롤러(12)가 여진 상사점(P3)까지 상향 이동 후 하강하며 여진 충격에 의해 2차적으로 기름이 털리는 사이클이 반복된다.
이에 탈유 충격이 본 충격과 여진 충격으로 구분되어 단계적으로 작용함에 따라 충격 소음은 줄이면서, 본 충격 이후에 발생하는 여진 충격으로 기름 제거율이 향상됨과 더불어 과도한 충격으로 인한 튀김 피 손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튀김요리용 탈유기의 멀티 기름받이를 나타내는 구성도로, 본 발명에 따른 기름받이(30)는 상기 안치대(2) 하부에 설치되어 튀김망(1)에서 떨어지는 기름을 포집하도록 구비된다. 기름받이(30)는 튀김망(1) 대비 확장된 사이즈로 형성되고, 후술하는 배출유로(32)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각으로 형성된다.
상기 기름받이(30)는 포집 기름을 튀김기 유조(T) 측으로 이송하는 배출유로(32)가 형성된다. 상기 기름받이(30)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튀김기 유조(T)와 대응하는 일측면이 개방되어 배출유로(32)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튀김요리 직후, 튀김망(1)에서 떨어지는 기름이 기름받이(30)를 타고 튀김기 유조(T) 내부로 간단하게 회수처리된다.
이때, 상기 배출유로(32)에는 걸름망이 설치되어 포집 기름에 포함된 찌꺼기를 여과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배출유로(32)의 하측에는 포집 기름을 멀티유조(34a)로 이송하는 멀티 기름받이(34)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배출유로(32) 양측에는 상기 멀티 기름받이(34)의 양단부가 안치되기 위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거치대(36)가 형성되어, 멀티 기름받이(34)는 거치대(36)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위치 이동되거나, 안착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멀티 기름받이(34)의 바닥 일측에는 튜브가 결합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배출유로(32)를 통하여 이동되는 포집 기름을 관통구멍을 통해 별도의 멀티유조(34a)에 저장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멀티 기름받이(34) 사용 여부에 따라 배출유로(32)를 통하여 배출되는 포집 기름이 튀김기 유조(T) 또는 멀티유조(34a) 측으로 이동이 제어되므로 튀김 기름 상태에 따라 재사용이 가능한 기름일 경우, 도 6 (a)와 같이 배출유로(32)를 통하여 이동되는 포집 기름을 튀김기 유조(T)로 회수하여 재사용하고, 재사용이 불가능한 포집 기름의 경우, 도 6 (b)처럼 멀티 기름받이(34)를 이용하여 멀티유조(34a)로 회수하므로, 포집 기름에 의한 튀김기 유조(T) 내부 튀김 기름의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 튀김망 2: 안치대
10: 종동로드 10a: 가이드 부시
11: 스프링 12: 캠롤러
12a: 롤러휠 12b: 탄성휠
12c: 중공부 20: 원동캠
20a: 금속 브라켓 20b: 탄성몸체
21: 캠샤프트 22: 캠양정부
24: 기초원부 26: 상승 선도부
28: 하향 선도부 28a: 음각 선도라인
30: 기름받이 32: 배출유로
34: 멀티 기름받이 34a: 멀티유조 36: 거치대
C: 회전중심 L: 가성선
P1: 상사점 P2: 하사점
P3: 여진 상사점 T: 튀김기 유조

Claims (4)

  1. 튀김망(1) 안치대(2)의 하측에 설치되어 가이드 부시(10a)를 타고 상, 하 방향으로 유동 되며, 스프링(11)에 의해 하향 탄지력이 작용하면서 하부에 캠롤러(12)가 구비되는 종동로드(10);
    모터(M)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캠롤러(12)와 캠운동되어 종동로드(10)를 상, 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이동 시키도록 구비되는 원동캠(20); 및
    상기 안치대(2) 하부에 설치되어 튀김망(1)에서 떨어지는 기름을 포집하도록 구비되는 기름받이(30);를 포함하여, 원동캠(20)이 회전함에 따라 캠롤러(12)가 원동캠(20)에 주기적으로 충격되어 안치대(2)에 본 충격과 여진 충격이 발생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요리용 탈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캠(20)은, 캠롤러(12)의 상승 행정 최대치 지점을 형성하는 캠양정부(22)와, 캠롤러(12)의 하강 행정 최저치 지점을 형성하는 기초원부(24)와, 기초원부(24)에서 캠양정부(22) 사이 구간에 형성되어 캠롤러(12)를 상사점으로 이동 안내하는 상승 선도부(26)와, 캠양정부(22)에서 기초원부(24) 사이 구간에 형성되어 캠롤러(12)를 하사점으로 이동 안내하는 하강 선도부(28)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강 선도부(28)는 원동캠(20) 회전중심(C)과 캠양정부(22)를 연결하는 가상선(L)을 기준으로 원동캠(20) 회전방향으로 함몰되는 음각 선도라인(28a)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음각 선도라인(28a)에 의해 캠롤러(12)가 하강 선도부(28)와 비접촉상태로 하사점인 기초원부(24)에 착지 되면서 탈유 충격이 발생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요리용 탈유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캠(20)은 금속 브라켓(20a)에 의해 양측면이 마감되는 고무 소재의 탄성몸체(20b)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몸체(20b)의 경도는 50~60N으로 형성되며,
    상기 캠롤러(12)는 종동로드(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휠(12a)과, 롤러휠(12a) 외주면에 설치되어 원동캠(20)에 접지되는 탄성휠(12b)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휠(12b)은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체로 형성되거나, 내부에 중공부(12c)가 형성되는 탄성튜브로 형성되어, 상기 캠롤러(12)가 하강 선도부(28)와 비접촉상태로 하사점인 기초원부(24)에 착지시 탄성휠(12b)이 압축 후 팽창에너지에 의해 상향 이동되며 여진 충격이 발생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요리용 탈유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받이(30)는 포집 기름을 튀김기 유조(T) 측으로 이송하는 배출유로(32)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유로(32) 양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거치대(36)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유로(32)의 하측에는 한 쌍의 거치대(36)에 안치되어 포집 기름을 멀티유조(34a)로 이송하는 멀티 기름받이(34)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멀티 기름받이(34) 사용 여부에 따라 배출유로(32)를 통하여 배출되는 포집 기름이 튀김기 유조(T) 또는 멀티유조(34a)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수집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요리용 탈유기.
KR1020200041778A 2020-04-06 2020-04-06 튀김요리용 탈유기 KR20210123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778A KR20210123929A (ko) 2020-04-06 2020-04-06 튀김요리용 탈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778A KR20210123929A (ko) 2020-04-06 2020-04-06 튀김요리용 탈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929A true KR20210123929A (ko) 2021-10-14

Family

ID=78116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778A KR20210123929A (ko) 2020-04-06 2020-04-06 튀김요리용 탈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39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22730A2 (en) 2021-09-16 2024-02-1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fused polycyclic compound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5413A (ko) 2010-08-09 2012-02-21 조성균 후라이드치킨 기름털이기
KR101292727B1 (ko) 2011-04-20 2013-08-01 주식회사 파세코 튀김유 제거수단을 구비한 튀김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5413A (ko) 2010-08-09 2012-02-21 조성균 후라이드치킨 기름털이기
KR101292727B1 (ko) 2011-04-20 2013-08-01 주식회사 파세코 튀김유 제거수단을 구비한 튀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22730A2 (en) 2021-09-16 2024-02-1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fused polycyclic compound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41699B (zh) 多功能一体化烹饪机
CN104739223B (zh) 智能炊具
CN105147050A (zh) 一种自动炒菜锅具及其自动炒菜系统
KR20210123929A (ko) 튀김요리용 탈유기
CN103480590B (zh) 一种厕所蹲便器自动清洁机
KR20140001150A (ko) 감귤류 주스기
CN112294137A (zh) 一种节能环保的多功能分区式自动化烧烤设备
KR101292727B1 (ko) 튀김유 제거수단을 구비한 튀김기
CN206044331U (zh) 一种自动炒锅的晃锅、颠锅机构
CN210929366U (zh) 油炸食品的全自动油炸设备
CN108338370B (zh) 手动摇杆式自动退料板栗十字花割口机
CN200945115Y (zh) 一种可安全使用的食物炸锅
CN210582237U (zh) 一种烤架可升降的煎烤炉
CN112741480A (zh) 一种自动炒菜机自动洗锅装置
CN209694850U (zh) 一种新型的一体式炒菜机
CN1132547C (zh) 烹调筐的升降装置
CN211511496U (zh) 煎烤牛排机
CN218104675U (zh) 一种预制速食菜油炸设备
KR200250730Y1 (ko) 식판 및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기
CN217411074U (zh) 一种带有防护结构的摇床
CN217659343U (zh) 一种自动化烧烤机
CN108902217A (zh) 一种便于调节挂架间距的旋转烤鸭机
CN107397453A (zh) 一种家用煎锅
CN115568482B (zh) 一种预制小黄鱼低温油炸装置
CN112806818B (zh) 一种可汁子分离的榨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