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993A - 영상 분석 서버의 동작 방법과 이를 이용한 영상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분석 서버의 동작 방법과 이를 이용한 영상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993A
KR20210121993A KR1020200066603A KR20200066603A KR20210121993A KR 20210121993 A KR20210121993 A KR 20210121993A KR 1020200066603 A KR1020200066603 A KR 1020200066603A KR 20200066603 A KR20200066603 A KR 20200066603A KR 20210121993 A KR20210121993 A KR 20210121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vent
camera
video
cctv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진
임호택
Original Assignee
김형진
(주) 레몬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진, (주) 레몬봇 filed Critical 김형진
Priority to KR1020200066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1993A/ko
Publication of KR20210121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3206
    • H04N5/2329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영상 분석 서버의 동작 방법이 개시되다. 상기 동작 방법은 영상 분석 서버가 CCTV 카메라들 중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의 카메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수신된 카메라 정보에 따라,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관리하는 비디오 관리 시스템으로 상기 영상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상기 비디오 관리 시스템이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한 상기 영상을 수신하고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분석 서버의 동작 방법과 이를 이용한 영상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METHOD FOR OPERATING VIDEO ANALYZING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VIDEO SURVEILLANCE SER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영상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로부터 출력된 영상을 늘 분석하는 대신에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만 상기 영상을 분석할 수 있는 영상 분석 서버의 동작 방법과 상기 영상 분석 서버를 이용한 영상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 감시 시스템(Video Surveillance Systems(VSS))은 범죄 예방, 및 재난 감시, 등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카메라, 전송 장치, 및 저장과 재생을 위한 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국제 표준화기구인 IEC (l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에서는 CCTV를 영상 감시 시스템으로 칭하고도 있으며, 국내에서는 영상 보안 시스템 등으로도 불린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024149 (2019.09.23 공고)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846537 (2018.04.06 공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모든 CCTV 카메라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들을 늘 분석하는 대신에 상기 CCTV 카메라들 중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만을 분석할 수 있는 영상 분석 서버의 동작 방법과, 상기 영상 분석 서버를 이용한 영상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영상 분석 서버의 동작 방법은 영상 분석 서버가 CCTV 카메라들 중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의 카메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수신된 카메라 정보에 따라,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관리하는 비디오 관리 시스템으로 상기 영상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상기 비디오 관리 시스템이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한 상기 영상을 수신하고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비디오 관리 시스템과 영상 분석 서버를 포함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영상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CCTV 카메라들 중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의 카메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상기 카메라 정보를 상기 비디오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이 상기 카메라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CCTV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상기 영상 분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상기 비디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영상을 수신하고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분석하기 위해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CCTV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관리하는 비디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카메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CCTV 카메라로부터 상기 카메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비디오 관리 시스템과 상기 CCTV 카메라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상기 카메라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 정보를 상기 비디오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카메라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CCTV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상기 비디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분석 서버의 동작 방법과, 상기 영상 분석 서버를 이용한 영상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모든 CCTV 카메라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들을 늘 분석하는 대신에 상기 CCTV 카메라들 중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만을 분석(또는 일정 시간동안에만 분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감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 감시 시스템에 포함되고, 이벤트를 스스로 발생하지 못하는 CCTV 카메라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영상 감시 시스템에 포함되고, 이벤트를 스스로 발생하는 CCTV 카메라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영상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도 1의 영상 감시 시스템에 포함된 CCTV 카메라가 회전형 CCTV 카메라일 때, 상기 회전형 CCTV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킴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회전형 CCTV 카메라들을 포함하는 도 1에 도시된 영상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감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감시 시스템(100)은 복수개의 CCTV 카메라들(110-1~110-n, n은 3이상의 자연수),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 영상 분석 서버(300), 및 CCTV 모니터링(또는 관제사) 컴퓨터(400)를 포함한다.
CCTV 카메라들(110-1~110-n)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제1통신망을 통해 영상 분석 서버(300)로 이벤트를 직접적으로 전송할 수 있고,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과 제2통신망을 통해 영상 분석 서버(300)로 이벤트를 간접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1통신망과 제2통신망은 서로 다른 통신망일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event)는 CCTV 카메라 정보와 이벤트의 종류를 포함한다. CCTV 카메라 정보는 CCTV 카메라를 유일무이(unique)하게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예를 들면, CCTV 카메라 ID 또는 CCTV 카메라 시리얼 번호(serial number))를 포함하고, 이벤트의 종류는 CC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변화의 종류(예를 들면, 주변 조도의 변화, 객체(예를 들면, 사람 또는 물체)의 움직임, 및 CCTV 카메라의 흔들림 등)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영상 감시 시스템에 포함되고, 이벤트를 스스로 발생하지 못하는 CCTV 카메라의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CCTV 카메라(110a)는 영상 촬영부(111)을 포함하고, 영상 촬영부(111)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 (IM)을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의 영상 수신부(210)로 전송한다.
CCTV 카메라들(110-1~110-n)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조는 CCTV 카메라 (110a)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CCTV 카메라(110a)는 영상(IM)을 생성할 수는 있으나, 이벤트를 발생할 수는 없다.
도 3은 도 1의 영상 감시 시스템에 포함되고, 이벤트를 스스로 발생하는 CCTV 카메라의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CCTV 카메라(110b)는 영상 촬영부(111)와 이벤트 발생부(113)을 포함한다.
영상 촬영부(111)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IM)을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의 영상 수신부(210)와 이벤트 발생부(113)로 전송한다.
이벤트 발생부(113)는 영상 촬영부(111)로부터 전송된 영상(IM)을 분석하여 이벤트(ETi)를 생성하고, 이벤트(ETi)를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의 이벤트 수신부 (230)과 영상 분석 서버(300)의 관리부(310)의 CCTV 카메라 이벤트 수신부(313)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이벤트 발생부(113)는 촬영된 영상(IM)으로부터 객체(예를 들면, 사람 및/또는 물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객체의 움직임 및/또는 검출된 객체의 움직임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의 결과에 해당하는 이벤트(ETi)를 생성할 수 있다.
CCTV 카메라들(110-1~110-n)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조는 CCTV 카메라 (110b)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CCTV 카메라(110b)는 영상(IM)과 이벤트 (ETi)를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CCTV 카메라(110-1과 110-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이 촬영한 영상(IM1과 IM2)의 변화를 스스로 감지(또는 분석)하여 이벤트(ETi, ET1과 ET2)를 스스로 발생할 수 있는 CCTV 카메라이고, CCTV 카메라(110-n)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이 촬영한 영상(IMn)의 변화를 스스로 감지(또는 분석)할 수 없어 이벤트를 스스로 발생할 수 없는 CCTV 카메라라고 가정한다.
비디오 관리 시스템(이를 '비디오 관리 서버'라고도 한다. 200)은 영상 수신부(210), 영상 전송부(220), 이벤트 수신부(230), 이벤트 전송부(240), 및 이벤트 검출부(이를 '모션 발생부'라고도 한다; 250)을 포함한다. 실시 예들에 따라,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은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Network Video Recoder(NVR))일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각 구성(210, 220, 230, 및 240)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수신부(210)는 각 CCTV 카메라(110-1~110-n)로부터 전송된 영상 (IM1~IMn)을 수신하고, 수신된 각 영상(IM1~IMn)을 영상 전송부(220)로 전송한다. 각 CCTV 카메라(110-1~110-n)의 영상 촬영부(111)는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의 영상 수신부(210)로 각 촬영 영상(IM1~IMn)을 항상 전송한다.
이벤트 수신부(230)는 각 CCTV 카메라(110-1과 110-2)에 의해 촬영된 영상 (IM1과 IM2)의 변화가 발생할 때에 생성된 각 이벤트(ET1과 ET2)를 수신한다. 즉, 각 CCTV 카메라(110-1과 110-2)의 이벤트 발생부(113)는 생성된 각 이벤트(ET1과 ET2)를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의 이벤트 수신부(230)와 영상 분석 서버(300)의 CCTV 카메라 이벤트 수신부(313)로 전송한다.
영상 전송부(220)는 이벤트를 스스로 생성할 수 없는 제n CCTV 카메라(110-n)에 의해 촬영된 제n 영상(IMn)을 수신하여 이벤트 검출부(250)로 전송한다. 이벤트 검출부(250)는 제n CCTV 카메라(110-n)에 의해 촬영된 제n 영상(IMn)의 변화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이벤트 수신부(230)로 전송한다. 실시 예들에 따라, 도 3의 이벤트 발생부(113)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고, 도 1의 이벤트 검출부(250)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영상 전송부(220)는 각 CCTV 카메라(110-1~110-n)의 종류 (예를 들면, 이벤트를 스스로 발생할 수 있는 CCTV 카메라인지 그렇지 않은 CCTV 카메라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각 CCTV 카메라(110-1~110-n)에 의해 생성된 영상(IM1~IMn)을 이벤트 검출부(250)로 전송할지를 결정(또는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의 사용자는 각 CCTV 카메라 (110-1~110-n)의 종류(예를 들면, 이벤트를 스스로 발생할 수 있는 CCTV 카메라인지 그렇지 않은 CCTV 카메라인지)를 영상 전송부(220)에 프로그램할 수 있다. 프로그램 결과에 따라 영상 전송부(220)는 제n CCTV 카메라(110-n)에 의해 촬영된 영상 (IMn)만을 이벤트 검출부(25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전송부(220)는 영상 분석 서버(300)의 카메라 영상 요청부(333) 또는 영상 표시 프로그램(410)의 카메라 영상 요청부(413)로부터 전송된 영상 전송 요청에 해당하는(또는 매칭(matching)되는) CC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영상 분석 서버(300)의 카메라 영상 수신부(335) 또는 영상 표시 프로그램(410)의 카메라 영상 수신부(415)로 전송한다.
이벤트 전송부(240)는 이벤트 수신부(230)로부터 전송된 이벤트를 영상 분석 서버(300)의 관리부(310)의 이벤트 수신부(311)로 전송한다. 실시 예들에 따라, 이벤트 전송부(240)는 이벤트 자체 또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 정보를 이벤트 수신부(311)로 전송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안을 목적으로 탐지되는 이벤트는 CCTV 카메라 정보와 이벤트의 종류를 포함하므로, 각 이벤트 수신부(311과 313)는 CCTV 카메라 정보를 수신한다.
이하에서는 제1CCTV 카메라(110-1)에 의해 이벤트(ET1)가 발생한 경우 영상 감시 시스템(100)의 동작이 도 1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의 영상 수신부(210)는 각 CCTV 카메라(110-1~110-n)에 의해 생성된 각 영상(IM1~IMn)을 수신하여 영상 전송부(220)로 전송한다.
도 3의 CCTV 카메라(110b)의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1 CCTV 카메라(110-1)의 이벤트 발생부(113)는 영상 촬영부(111)에 의해 촬영된 제1 영상(IM1)의 변화를 스스로 감지하여 제1이벤트(ET1)를 스스로 발생하고, 제1이벤트(ET1)를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의 이벤트 수신부(230)와 영상 분석 서버(300)의 관리부(310)의 CCTV 카메라 이벤트 수신부(313)로 동시에 또는 병렬적으로 전송한다.
이벤트 수신부(230)는 제1이벤트(ET1) 또는 제1 CCTV 카메라 정보를 이벤트 전송부(240)를 통해 관리부(310)의 이벤트 수신부(311)로 전송한다.
영상 분석 서버(300)는 서로 다른 경로들(또는 통신망들) 각각을 통해 입력되는 제1이벤트(ET1)를 수신하기 위해 두 개의 수신부들(311과 313)을 포함한다. 그 이유는 두 개의 수신부들(311과 313) 중에서 어느 하나가 기술적인 이유 또는 통신상의 문제로 제1이벤트(ET1)를 수신하지 못하더라도 다른 하나가 제1이벤트 (ET1)를 수신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벤트 수신부(311)는 제1CCTV 카메라(110-1)에 의해 생성된 제1이벤트(ET1) 또는 제1 CCTV 카메라 정보를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을 통해 수신하고, CCTV 카메라 이벤트 수신부(313)는 제1CCTV 카메라(110-1)에 의해 생성된 제1이벤트(ET1) 또는 제1 CCTV 카메라 정보를 제1CCTV 카메라(110-1)로부터 직접 수신한다.
각 수신부(311과 313)는 수신된 제1이벤트(ET1) 또는 제1CCTV 카메라 정보를 영상 분석 요청부(315)로 전송한다.
영상 분석 요청부(315)는 제1이벤트(ET1) 또는 제1CCTV 카메라 정보를 포함하는 제1영상 전송 요청을 복수개의 분석부들(330-1~330-m)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분석부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영상 분석 요청부(315)는 각 분석부(330-1~330-m, m은 3이상의 자연수)의 부하 상태(예를 들면, 각 분석부(330-1~330-m)의 CPU(또는 메인 프로세서) 점유율 또는 각 분석부(330-1~330-m)에 의해 처리되는 채널들(또는 각 분석부 (330-1~330-m)에 연결된 카메라들)의 개수, 등)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복수개의 분석부들(330-1~330-m)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분석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분석부로 제1영상 전송 요청을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복수개의 분석부들(330-1~330-m) 중에서 제1분석부(330-1)가 선택되었다고 가정한다. 또한, 복수개의 분석부들(330-1~330-m) 각각의 구조와 가능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영상 분석 요청 수신부(331)는 제1영상 전송 요청을 수신하여 카메라 영상 요청부(333)로 전송하고, 카메라 영상 요청부(333)는 상기 제1영상 전송 요청을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의 영상 전송부(220)로 전송한다.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은 카메라 영상 요청부(333)의 제1영상 전송 요청(예를 들면, 제1CCTV 카메라 정보를 포함하는 제1영상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제1CCTV 카메라(110-1)에 의해 촬영된 제1영상(IM1)을 카메라 영상 수신부(335)로 전송(또는 스트리밍)한다. 예를 들면, 영상 전송부(220)는 제1CCTV 카메라(110-1)와 카메라 영상 수신부(335)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카메라 영상 수신부(335)는 제1CCTV 카메라(110-1)에 의해 생성된 영상(IM1)을 수신하여 영상 분석부(337)로 전송한다.
영상 분석부(337)는 제1영상(IM1)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분석 결과 송신부 (339)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영상 분석부(337)는 제1영상(IM1)에 움직이는 사람이 있는지, 제1영상(IM1)에 움직이는 차량이 있는지, 및/또는 제1영상(IM1)에 긴급 상황이라고 인식할 만한 객체의 움직임이 있는지를 판단(또는 분석)하고, 판단(또는 분석) 결과를 분석 결과 송신부(339)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영상 분석부(337)는 제1영상(IM1)에서 객체들의 움직임 또는 상기 객체들으 이동 정보(또는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보안 관리자가 정의한 규칙에 위배되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분석부(337)는 인공지능(AI) 또는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제1영상(IM1)에 포함된 감시 대상물을 구분하여 인식하고, 상기 감지 대상물의 행동패턴을 분석하고, 분석의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송신부(339)는 영상 분석부(337)의 분석(판단) 결과를 관리부 (310)의 분석 결과 수신부(317)로 전송한다.
영상 분석부(337)가 제1영상(IM1)의 분석을 중지하는 요건들은 아래와 같다.
1. 제1영상(IM1)에 객체(예를 들면, 사람, 차량, 또는 물체)가 존재하거나 상기 객체의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2. 제1영상(IM1)에 객체가 존재하지 않고 제1이벤트(ET1)가 종료된 경우,
3. 제1영상 전송 요청이 전송된 후, 제1영상(IM1)에 일정시간 이상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분석 결과 수신부(317)는 분석 결과 송신부(339)로부터 전송된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영상 표시 요청부(319)로 전송한다.
영상 표시 요청부(319)는, 영상 분석부(337)에 의해 생성된 분석 결과가 관심을 가져야 할 영상, 보안 관리자가 정의한 규칙에 위배되는 객체를 포함하는 영상, 또는 모니터(430)에 표시해야 할 영상임을 나타낼 때, 제1이벤트(ET1) 또는 제1CCTV 카메라 정보를 CCTV 모니터링 컴퓨터(400)로 전송한다.
CCTV 모니터링 컴퓨터(400)의 CPU 또는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영상 표시(또는 표출) 프로그램(410)의 영상 표시 요청 수신부(411)는 영상 표시 요청부(319)로부터 전송된 제1이벤트(ET1) 또는 제1CCTV 카메라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카메라 영상 요청부(413)로 전송한다.
카메라 영상 요청부(413)는 제1이벤트(ET1) 또는 제1CCTV 카메라 정보를 포함하는 제2영상 전송 요청을 생성하고 상기 제2영상 전송 요청을 영상 전송부(220)로 전송한다.
영상 전송부(220)는 제2영상 전송 요청(예를 들면, 제1CCTV 카메라 정보를 포함하는 제2영상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제1CCTV 카메라(110-1)에 의해 촬영된 제1영상(IM1)을 카메라 영상 수신부(415)로 전송(또는 스트리밍)한다. 예를 들면, 영상 전송부(220)는 제1CCTV 카메라(110-1)와 카메라 영상 수신부(415)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카메라 영상 수신부(415)는 제1CCTV 카메라(110-1)에 의해 생성된 제1영상 (IM1)을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을 통해 수신하여 영상 표시부(417)로 전송한다.
영상 표시부(417)는 제1영상(IM1)을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영상을 모니터(430)에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제n CCTV 카메라(110-n)에 의해 촬영된 제n 영상(IMn)에서 변화가 발생한(또는 감지된) 경우 영상 감시 시스템(100)의 동작이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의 영상 수신부(210)는 각 CCTV 카메라(110-1~110-n)에 의해 생성된 각 영상(IM1~IMn)을 수신하여 영상 전송부(210)로 전송한다.
도 2의 CCTV 카메라(110a)의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n CCTV 카메라(110-n)의 영상 촬영부(111)는 제n영상(IMn)을 영상 수신부(210)로 전송한다.
영상 전송부(220)는 영상 수신부(210)를 통해 입력된 제n영상(IMn)을 수신하여 이벤트 검출부(250)로 전송한다.
이벤트 검출부(250)는 제n영상(IMn)의 변화를 감지하여 제n이벤트(ETn)를 발생하고 제n이벤트(ETn)를 이벤트 수신부(230)로 전송한다.
이벤트 전송부(240)는 이벤트 수신부(230)로부터 전송된 제n이벤트(ETn) 또는 제n카메라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부(310)의 이벤트 수신부(311)로 전송한다.
이때, 제n카메라(110-n)는 제n이벤트(ETn)을 스스로 발생할 수 없으므로, 이벤트 수신부(313)는 제n카메라(110-n)로부터 제n이벤트(ETn)에 관련된 정보를 직접 수신하지 않는다.
영상 분석 요청부(315)는 이벤트 수신부(311)로부터 전송된 제n이벤트(ETn) 또는 제nCCTV 카메라 정보를 포함하는 제1영상 전송 요청을 생성하여 복수개의 분석부들(330-1~330-m)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분석부로 전송한다. 복수개의 분석부들 (330-1~330-m) 중에서 제1분석부(330-1)가 선택되었다고 가정한다.
영상 분석 요청 수신부(331)는 제1영상 전송 요청을 수신하여 카메라 영상 요청부(333)로 전송하고, 카메라 영상 요청부(333)는 상기 제1영상 전송 요청을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의 영상 전송부(220)로 전송한다.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은 카메라 영상 요청부(333)의 제1영상 전송 요청(예를 들면, 제nCCTV 카메라 정보를 포함하는 제1영상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제nCCTV 카메라(110-n)에 의해 촬영된 제n영상(IMn)을 카메라 영상 수신부(335)로 전송한다.
카메라 영상 수신부(335)는 제nCCTV 카메라(110-n)에 의해 생성된 제n영상 (IMn)을 수신하여 영상 분석부(337)로 전송한다.
영상 분석부(337)는 제n영상(IMn)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분석 결과 송신부 (339)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영상 분석부(337)는 제n영상(IMn)에 움직이는 사람이 있는지, 제n영상(IMn)에 움직이는 차량이 있는지, 및/또는 제n영상(IM1)에 긴급 상황이라고 인식할 만한 객체의 움직임이 있는지를 판단(또는 분석)하고, 판단(또는 분석) 결과를 분석 결과 송신부(339)로 전송한다.
분석 결과 송신부(339)는 영상 분석부(337)의 분석(판단) 결과를 관리부 (310)의 분석 결과 수신부(317)로 전송한다.
분석 결과 수신부(317)는 분석 결과 송신부(339)로부터 전송된 분석 결과를 영상 표시 요청부(319)로 전송한다.
영상 표시 요청부(319)는, 영상 분석부(337)에 의해 생성된 분석 결과가 관심을 가져야 할 영상, 보안 관리자가 정의한 규칙에 위배되는 객체를 포함하는 영상, 또는 모니터(430)에 표시해야 할 영상임을 나타낼 때, 제n이벤트(ETn) 또는 제nCCTV 카메라 정보를 CCTV 모니터링 컴퓨터(400)로 전송한다.
CCTV 모니터링 컴퓨터(400)의 CPU 또는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영상 표시(또는 표출) 프로그램(410)의 영상 표시 요청 수신부(411)는 제n이벤트(ETn) 또는 제nCCTV 카메라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카메라 영상 요청부(413)로 전송한다.
카메라 영상 요청부(413)는 제n이벤트(ETn) 또는 제nCCTV 카메라 정보를 포함하는 제2영상 전송 요청을 생성하고, 상기 제2영상 전송 요청을 영상 전송부 (220)로 전송한다.
영상 전송부(220)는 제2영상 전송 요청(예를 들면, 제nCCTV 카메라 정보를 포함하는 제2영상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제nCCTV 카메라(110-n)에 의해 촬영된 제n영상(IMn)을 카메라 영상 수신부(415)로 전송한다.
카메라 영상 수신부(415)는 제nCCTV 카메라(110-n)에 의해 생성된 제n영상 (IMn)을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을 통해 수신하여 영상 표시부(417)로 전송한다.
영상 표시부(417)는 제n영상(IMn)을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영상을 모니터(430)에 표시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영상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분석 서버(300)에 포함된 관리부(310)와 복수개의 분석부들(330-1~330-m)은 영상 분석 서버(300)에 포함된 CPU 또는 프로세서에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 있다.
관리부(310)와 복수개의 분석부들(330-1~330-m)은 하드웨어(예를 들면, 영상 분석 서버(300) 또는 영상 분석 서버(300)에 포함된 CPU(또는 프로세서))와 결합되어 이벤트가 발생한(또는, 유의미한 영상의 변화가 감지된) CCTV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영상만을 수신하여 분석하기 위해 저장 매체(예를 들면, 영상 분석 서버 (300), 또는 영상 분석 서버(300)에 포함된 CPU(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저장 매체(예를 들면,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관리부(310)와 복수개의 분석부들(330-1~330-m)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또는 과정들)은 단계들이라고 표현될 수 있다.
영상 분석 서버(300)는 CCTV 카메라들(110-1~110-n) 각각에 의해 촬영된 영상(IM1~IMn)을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으로부터 항상 또는 디폴트(default)로 수신하여 분석하지 않는다(S110).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은 영상 분석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영상 전송 요청(즉,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의 카메라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비로소 상기 영상 전송 요청에 해당하는 CCTV 카메라의 의해 촬영된 영상을 영상 분석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영상 분석 서버(300)는 영상 분석을 수행한다.
영상 분석 서버(200)는 CCTV 카메라들(110-1~110-n)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송된 이벤트(또는 카메라 정보) 및/또는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로부터 전송된 이벤트(또는 카메라 정보)를 이용하여 CCTV 카메라들(110-1~110-n) 중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를 모니터링 또는 찾는다(S120).
영상 분석 서버(200)는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전송을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에게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비로소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즉,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분석하고(S130), 분석의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이 모니터 (430)에 표시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의 카메라 정보를 CCTV 모니터링 컴퓨터(400)에서 실행되는 영상 표시 프로그램(410)으로 전송한다.
영상 표시 프로그램(410)은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전송을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에게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비로소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즉,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모니터(430)에 표시한다(S140).
도 5는 도 1의 영상 감시 시스템에 포함된 CCTV 카메라가 회전형 CCTV 카메라일 때, 상기 회전형 CCTV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킴(scheme)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벤트가 발생한(또는 유의미한 영상의 변화를 촬영한, 또는 보안 관리자가 정의한 규칙에 위배되는 객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한) CCTV 카메라가 회전형 CCTV 카메라이고, 상기 CCTV 카메라가 현재 패트롤(patrol, 예를 들면, 감시를 위해 상기 CCTV 카메라가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중일 때, 영상 분석 서버(300)의 관리부(310)에 포함된 회전 카메라 제어부(312)는, 분석 결과 수신부 (317)로부터 출력된 분석 결과 및/또는 영상 표시 프로그램(410)의 영상 표시부 (417)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에 포함된 CCTV 카메라 제어부(260)를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의 동작(예를 들면, 패트롤)을 제어(예를 들면, 중지 또는 재개)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회전형 CCTV 카메라들을 포함하는 도 1에 도시된 영상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분석 서버(300)는 CCTV 카메라들(110-1~110-n) 각각에 의해 촬영된 영상(IM1~IMn)을 항상 또는 무조건 분석하지 않는다 (S110).
영상 분석 서버(200)는 CCTV 카메라들(110-1~110-n)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송된 이벤트 및/또는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로부터 전송된 이벤트를 이용하여 CCTV 카메라들(110-1~110-n) 중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를 모니터링 또는 찾는다(S120).
영상 분석 서버(200)는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전송을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에게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비로소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즉,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분석하고(S130),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이 모니터 (430)에 표시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의 카메라 정보를 CCTV 모니터링 컴퓨터(400)에서 실행되는 영상 표시 프로그램(410)으로 전송한다.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가 회전형 CCTV 카메라이고, 상기 회전형 CCTV 카메라가 현재 패트롤 중이고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표시 조건(예를 들면, 상기 영상이 보안 관리자가 정의한 규칙에 위배되는 객체를 포함)을 만족할 때, 회전 카메라 제어부(312)는 CCTV 카메라 제어부(260)를 통해 상기 회전형 CCTV 카메라의 패트롤을 중지시킨다(S135).
영상 표시 프로그램(410)은 패트롤이 중지된 회전형 CC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전송을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에게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비로소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즉, 이벤트가 발생한 회전형 CC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모니터(430)에 표시한다(S141).
영상 표시 프로그램(410)의 영상 표시부(417)는, 영상 감시 시스템(100) 또는 CCTV 모니터링 컴퓨터(400)의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일정 시간동안, 패트롤이 중지된 회전형 CC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비디오 관리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하여 모니터(430)에 표시하고,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영상 표시부(417)는 패트롤이 중지된 회전형 CC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430)에 표시하는 것을 중지한다(S150).
일정 시간이 지나 영상의 표시(또는 표출)가 끝났을 때 영상 표시부(417)는 영상의 표시가 끝났음(또는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났음)을 알리는 신호를 회전 카메라 제어부(312)로 전송하므로, 회전 카메라 제어부(312)는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CCTV 카메라 제어부(260)를 제어하여 회전형 CCTV 카메라의 패트롤을 재개시킨다 (S160). 따라서, 회전형 CCTV 카메라는 패트롤을 다시 시작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영상 감시 시스템
100-1~100-n: CCTV 카메라
200: 비디오 관리 시스템
210: 영상 수신부
220: 영상 전송부
230: 이벤트 수신부
240: 이벤트 전송부
250: 이벤트 검출부
300: 영상 분석 서버
310: 영상 분석 관리부
311: 이벤트 수신부
313: CCTV 카메라 이벤트 수신부
315: 영상 분석 요청부
317: 분석 결과 수신부
319: 영상 표시 요청부
330-1~330-m: 영상 분석부들
400: CCTV 모니터링(관제사) 컴퓨터
410: 영상 표시(표출) 프로그램
430: 모니터

Claims (3)

  1. 영상 분석 서버가 CCTV 카메라들 중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의 카메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수신된 카메라 정보에 따라,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관리하는 비디오 관리 시스템으로 상기 영상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상기 비디오 관리 시스템이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한 상기 영상을 수신하고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분석 서버의 동작 방법.
  2. 비디오 관리 시스템과 영상 분석 서버를 포함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영상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CCTV 카메라들 중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의 카메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상기 카메라 정보를 상기 비디오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관리 시스템이 상기 카메라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CCTV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상기 영상 분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상기 비디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영상을 수신하고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3.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이벤트가 발생한 CCTV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분석하기 위해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CCTV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관리하는 비디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카메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CCTV 카메라로부터 상기 카메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비디오 관리 시스템과 상기 CCTV 카메라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상기 카메라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 정보를 상기 비디오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카메라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CCTV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상기 비디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066603A 2020-03-31 2020-06-02 영상 분석 서버의 동작 방법과 이를 이용한 영상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21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603A KR20210121993A (ko) 2020-03-31 2020-06-02 영상 분석 서버의 동작 방법과 이를 이용한 영상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786A KR102125022B1 (ko) 2020-03-31 2020-03-31 영상 분석 서버의 동작 방법과 이를 이용한 영상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00066603A KR20210121993A (ko) 2020-03-31 2020-06-02 영상 분석 서버의 동작 방법과 이를 이용한 영상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786A Division KR102125022B1 (ko) 2020-03-31 2020-03-31 영상 분석 서버의 동작 방법과 이를 이용한 영상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993A true KR20210121993A (ko) 2021-10-08

Family

ID=711371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786A KR102125022B1 (ko) 2020-03-31 2020-03-31 영상 분석 서버의 동작 방법과 이를 이용한 영상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00066603A KR20210121993A (ko) 2020-03-31 2020-06-02 영상 분석 서버의 동작 방법과 이를 이용한 영상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786A KR102125022B1 (ko) 2020-03-31 2020-03-31 영상 분석 서버의 동작 방법과 이를 이용한 영상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250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657B1 (ko) * 2021-06-03 2023-07-31 유에프엠시스템즈 주식회사 신호 제어를 위한 객체 감응형 차량 흐름 제어 방법
KR102588729B1 (ko) * 2022-12-22 2023-10-16 주식회사 루트브이 하이브리드 인공지능 영상분석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537B1 (ko) 2015-10-26 2018-04-06 이형용 Cctv 자동선별 모니터링 시스템, cctv 자동선별 모니터링 관리서버 및 관리방법
KR102024149B1 (ko) 2019-04-03 2019-09-23 주식회사 데이터넷 지능형 스마트 선별 관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3818A (ko) * 2005-05-30 2006-12-05 주식회사 씨티앤컴 자동 팝업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83903B1 (ko) * 2014-12-15 2020-11-2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 제어 방법
KR20170024866A (ko) * 2015-08-26 2017-03-08 전자부품연구원 이벤트 영상 자동 생성 시스템
KR102369795B1 (ko) * 2015-12-17 2022-03-0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537B1 (ko) 2015-10-26 2018-04-06 이형용 Cctv 자동선별 모니터링 시스템, cctv 자동선별 모니터링 관리서버 및 관리방법
KR102024149B1 (ko) 2019-04-03 2019-09-23 주식회사 데이터넷 지능형 스마트 선별 관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022B1 (ko) 202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352644A (ja) 監視カメラの画像異常検出装置
KR102125022B1 (ko) 영상 분석 서버의 동작 방법과 이를 이용한 영상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35186A (ko) 딥 러닝 기법을 활용한 지능형 무인 보안 시스템
CN103297749A (zh) 现场操作员和移动操作员之间点播视频交换的系统和方法
CN102857786A (zh) 视频监视系统中的质量检查
US20200019788A1 (en) Computer system, resource arrangement method thereof and image recognition method thereof
KR101352001B1 (ko)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26315B1 (ko) 이벤트 알림 기능이 있는 네트워크 기반 감시 시스템 및 네트워크 기반 감시 카메라
US11172259B2 (en) Video surveillance method and system
KR101964230B1 (ko) 데이터 처리 시스템
KR10187662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 정상상태를 무인 검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165276B1 (ko) 통합관제서버 및 설비를 통합관제하는 방법
KR102056858B1 (ko) 아이피(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CN104935892A (zh) 监控视频采集方法和系统
CN114553725B (zh) 一种机房监控告警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0492429Y1 (ko) 통합관제서버
US11393310B2 (en) Surveillance system
KR102237079B1 (ko) 5g 또는 lte 기반의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 및 동작 방법
KR101581400B1 (ko) 감시카메라의 트래픽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트래픽 감시 방법
KR100792241B1 (ko) 원격 통합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3002628A1 (en)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434039Y1 (ko) 중앙 집중형 감시 시스템
KR101966401B1 (ko) 통합 센서 및 원격 솔루션을 이용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KR20210024935A (ko) 영상 감시장치, 영상 분석 장치 및 온라인 기계 학습 방법
US11502931B1 (en) Remote control solution server that integrates and manages IoT device and 5G/LTE wireless rou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