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858B1 - 아이피(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아이피(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858B1
KR102056858B1 KR1020190136414A KR20190136414A KR102056858B1 KR 102056858 B1 KR102056858 B1 KR 102056858B1 KR 1020190136414 A KR1020190136414 A KR 1020190136414A KR 20190136414 A KR20190136414 A KR 20190136414A KR 102056858 B1 KR102056858 B1 KR 102056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image
source
video wall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희석
Original Assignee
(주)하이퍼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퍼월 filed Critical (주)하이퍼월
Priority to KR1020190136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은, 소스영상 전송부,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 비디오 월, 컨트롤러부, 및 데이터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영상 전송부는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 각각에서 촬영된 소스영상을 IP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는 상기 IP 네트워크 및 인터넷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비디오 월은 상기 기가비트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부는 상기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에서 입력된 개별 소스영상을 프레임 단위의 영상 신호로 정렬 및 상기 영상 신호에 프레임 식별자를 부여하여 상기 비디오 월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소스영상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비디오 월은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프레임 식별자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제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부는 하나의 관제영상이 상기 비디오 월에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프레임 식별자를 상기 비디오 월로 전송하거나, 또는 복수의 소스영상을 조합하여 와이드 관제영상이 상기 비디오 월에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프레임 식별자를 상기 비디오 월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이피(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INTERNET PROTOCOL VIDEO WALL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에 기초한 비디오 월(Video Wall)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구성된 비디오 월(Video Wall)에 복수의 관제영상을 표시함과 아울러, 이벤트가 발생된 특정 관제영상을 선별하여 표시할 수 있는 IP(Internet Protocol)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범죄 예방 및 증거 수집, 재난과 안전 사고의 모니터링 및 신속한 사고 처리를 위해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에 기반한 관제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CCTV에 기반한 관제 시스템은 정부 및 공공 기관뿐만 아니라, 기업의 사업장, 공동/개별 주택에 이르기까지 도입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여 대(大)화면으로 CCTV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비디오 월 방식의 관제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비디오 월 방식의 관제 시스템은 다수의 CCTV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개별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할 있고, 필요에 따라서 하나의 CCTV의 영상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어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비디오 월 방식의 관제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기반하여 CCTV 영상을 비디오 월에 표시하는 것으로, CCTV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영상 표시에 제약이 있고, 표시할 수 있는 화면의 확장에 제약이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비디오 월 방식의 관제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기반함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서비스 요구를 신속하게 반영할 수 없고, 서비스의 변경 시 추가로 고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디오 월에 표시되는 CCTV 영상의 재배치, 결합, 축소, 확대 및 위치 변경 시 동작 속도가 느려 관제 효율 및 활용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미국 등록특허공보 10-1595871(등록일자: 2016년 02월 15일, 방범용 CCTV 로컬용 통합 제어 감시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31373(등록일자: 2017년 04월 24일, 실시간 영상 분석을 통한 영상상황 예측 관제 시스템)
본 발명은 CCTV 카메라에서 전송된 소스영상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비디오 월에 끊김 없이 표시할 수 있는 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CCTV 카메라에서 전송된 소스영상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는 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CCTV 카메라에서 전송된 소스영상들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는 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24시간 무정지 동작이 가능한 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원격으로 CCTV 카메라의 고장 유무를 판단하고, 원격으로 CCTV 카메라의 동작 복구를 수행할 수 있는 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은, 소스영상 전송부,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 비디오 월, 컨트롤러부, 및 데이터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영상 전송부는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 각각에서 촬영된 소스영상을 IP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는 상기 IP 네트워크 및 인터넷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비디오 월은 상기 기가비트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부는 상기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에서 입력된 개별 소스영상을 프레임 단위의 영상 신호로 정렬 및 상기 영상 신호에 프레임 식별자를 부여하여 상기 비디오 월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소스영상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비디오 월은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프레임 식별자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제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부는 하나의 관제영상이 상기 비디오 월에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프레임 식별자를 상기 비디오 월로 전송하거나, 또는 복수의 소스영상을 조합하여 와이드 관제영상이 상기 비디오 월에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프레임 식별자를 상기 비디오 월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상기 영상 신호의 프레임 식별자에 기초하여 표시해야 할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관제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에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제1 컨트롤러, 제2 컨트롤러, 및 제3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컨트롤러 중에서 제1 컨트롤러와 제2 컨트롤러가 동기화를 수행하여 서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 컨트롤러 및 상기 제2 컨트롤러가 각각 수신한 소스영상들, 제어 신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컨트롤러 또는 상기 제2 컨트롤러가 상기 비디오 월로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은, 상기 제1 컨트롤러 및 상기 제2 컨트롤러가 각각 수신한 소스영상들, 제어 신호들이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상기 제3 컨트롤러가 동기화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컨트롤러와 상기 제3 컨트롤러가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컨트롤러 및 상기 제3 컨트롤러가 각각 수신한 소스영상들, 제어 신호들이 일치하면 상기 제1 컨트롤러 또는 상기 제3 컨트롤러가 상기 비디오 월로 영상 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제2 컨트롤러 및 제3 컨트롤러가 각각 수신한 소스영상들, 제어 신호들이 일치하면 상기 제2 컨트롤러 또는 상기 제3 컨트롤러가 상기 비디오 월로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컨트롤러 중 하나의 컨트롤러는, 상기 영상 신호의 프레임 식별자에 소스영상을 생성한 소스영상 전송장치의 정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영상이 표시된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정보, 화면의 시작점과 종료점에 대한 위치 정보, 화면에 표시되는 소스영상의 위치 변경 정보, 화면에 표시되는 소스영상의 크기 변경 정보, 및 동기 신호를 포함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은, 상기 제1 내지 제3 컨트롤러 중 하나의 컨트롤러는 상기 소스영상에서 위험 상황을 검출하는 위험 상황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로부터의 소스영상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소스영상들을 소스영상 전송장치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소스 영상 수신부와, 상기 소스영상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소스영상 각각에 대해서 하나 또는 복수의 관심 영역을 추출하는 관심 영역 추출부와, 추출된 관심 영역을 필터링하는 관심 영역 제어부와, 추출된 관심 영역의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위험 상황 검출부와, 상기 위험 상황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경고를 송출하는 경고 송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에서, 상기 관심 영역 추출부는 상기 소스영상의 휘도 그레이 레벨에 기초하여 관심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에서, 상기 하나의 컨트롤러는 위험 상황을 검출하는 위험 상황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로부터의 수신된 소스영상들 각각에서 물체의 움직임을 추출하여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움직임 추출부와, 상기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물체의 움직임이 있는 영역을 관심 영역을 추출하는 관심 영역 추출부와, 상기 물체가 작업자인지 또는 장비인지를 판단하는 물체 판단부와, 상기 작업자 또는 장비의 움직임 패턴을 미리 설정된 기준 패턴과 비교하여 이상 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움직임 패턴 판단부와, 상기 움직임 패턴 판단부에서 이상 상황이 판단된 경우, 상기 작업자 또는 상기 장비의 움직임 속도를 판단하여 위험 상황을 검출하는 속도 판단부와, 상기 위험 상황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경고를 송출하는 경고 송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에서, 상기 속도 판단부는 감시 구역에서 작업자 또는 장비가 설정된 속도를 10% 이상 초과하여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 이를 위험 상황으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속도 판단부는 감시 구역에서 작업자 또는 장비가 설정된 속도보다 10% 이상 느리게 이동하는 경우 이를 위험 상황으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속도 판단부는 감시 구역에서 작업자 또는 장비가 일정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는 경우 이를 위험 상황으로 검출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은,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비디오 월에 접속하여 상기 비디오 월을 제어하는 원격 운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운영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초기화시키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화면을 잠금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 또는 일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고 있는 영상을 미러링하여 상기 원격 운영부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에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상기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 각각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여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부는 상기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 각각에 대하여 일정 주기별로, 지속적으로 동작 상황을 체크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부는 정상 동작하지 않는 제1 소스영상 전송장치에 대해서 원격으로 전원을 오프(off) 시킨 이후 다시 전원을 온(on)시켜 동작 복구를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부는 동작 복구가 시도된 상기 제1 소스영상 전송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모니터링하 ㄹ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부는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제1 소스영상 장치의 전원을 오프/온시켜도 정상 동작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소스영상 장치의 고장을 통보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은, 상기 위험 상황의 검출의 근거가 된 소스영상 및 관제영상의 링크 정보를 생성하는 관제 보고서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 보고서 생성부는, 위험 상황이 발생된 일자 및 시간과, 위험 상황이 발생된 장소의 정보와, 위험 상황이 발생의 판단의 근거가 된 소스영상을 생성한 소스영상 전송장치의 아이디(ID)와 위험 상황의 내용, 위험 상황이 발생의 판단의 근거가 된 관제영상의 번호, 및 상기 소스영상 및 관제영상의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관제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에서, 상기 관제 보고서 생성부는 위험지역 관제영상의 링크 정보를 상기 관제 보고서에 제1 QR코드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관제 보고서 생성부는 위험 상황이 발생된 주변지역 관제영상의 링크 정보를 상기 관제 보고서에 제2 QR코드로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은, 상기 관제 보고서 생성부에서 생성된 관제 보고서를 문서로 출력하는 문서 출력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에서, 상기 관제 보고서 생성부는 위험 상황의 정보 및 관제영상의 링크를 기 설정된 유관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에서 촬영된 소스영상을 IP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에 접속된 복수의 컨트롤러가 동기화를 수행하고,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에서 전송된 소스영상들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 중 하나의 컨트롤러가 상기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에서 입력된 개별 소스영상을 프레임 단위의 영상 신호로 정렬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의 컨트롤러가 상기 영상 신호에 프레임 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의 컨트롤러가 상기 영상 신호를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에 접속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월이 상기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상기 영상 신호에 포함된 프레임 식별자에 기초하여 표시해야 할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관제영상이 상기 비디오 월에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프레임 식별자를 상기 비디오 월로 전송하거나, 또는 복수의 소스영상을 조합하여 와이드 관제영상이 상기 비디오 월에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프레임 식별자를 상기 비디오 월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는 제1 컨트롤러, 제2 컨트롤러, 및 제3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컨트롤러 중에서 제1 컨트롤러와 제2 컨트롤러가 동기화를 수행하여 서로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컨트롤러 및 상기 제2 컨트롤러가 각각 수신한 소스영상들, 제어 신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컨트롤러 또는 상기 제2 컨트롤러가 상기 비디오 월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상기 제1 컨트롤러 및 상기 제2 컨트롤러가 각각 수신한 소스영상들, 제어 신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상기 제3 컨트롤러가 동기화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컨트롤러와 상기 제3 컨트롤러가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컨트롤러 및 상기 제3 컨트롤러가 각각 수신한 소스영상들, 제어 신호가 일치하면 상기 제1 컨트롤러 또는 상기 제3 컨트롤러가 상기 비디오 월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제2 컨트롤러 및 제3 컨트롤러가 각각 수신한 소스영상들, 제어 신호가 일치하면 상기 제2 컨트롤러 또는 상기 제3 컨트롤러가 상기 비디오 월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상기 영상 신호에 프레임 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에서, 상기 영상 신호의 프레임 식별자에 최초에 소스영상을 생성한 소스영상 전송장치의 정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영상이 표시된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정보, 화면의 시작점과 종료점에 대한 포지션 정보, 화면에 표시되는 소스영상의 위치 변경 정보, 화면에 표시되는 소스영상의 크기 변경 정보, 및 동기 신호를 포함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상기 소스영상에서 위험 상황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험 상황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로부터의 소스영상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소스영상들을 소스영상 전송장치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소스영상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소스영상 각각에 대해서 하나 또는 복수의 관심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관심 영역을 필터링하고, 추출된 관심 영역의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위험 상황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경고를 송출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상기 소스영상의 휘도 그레이 레벨에 기초하여 관심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상기 소스영상에서 위험 상황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험 상황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로부터의 수신된 소스영상들 각각에서 물체의 움직임을 추출하여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물체의 움직임이 있는 영역을 관심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물체가 작업자인지 또는 장비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작업자 또는 장비의 움직임 패턴을 미리 설정된 기준 패턴과 비교하여 이상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 패턴 판단부에서 이상 상황이 판단된 경우, 상기 작업자 또는 상기 장비의 움직임 속도를 판단하여 위험 상황을 검출하고, 상기 위험 상황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경고를 송출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감시 구역에서 작업자 또는 장비가 설정된 속도를 10% 이상 초과하여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 이를 위험 상황으로 검출하고, 감시 구역에서 작업자 또는 장비가 설정된 속도보다 10% 이상 느리게 이동하는 경우 이를 위험 상황으로 검출하고, 감시 구역에서 작업자 또는 장비가 일정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는 경우 이를 위험 상황으로 검출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비디오 월에 접속하여 원격으로 상기 비디오 월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원격으로 상기 비디오 월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초기화시키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화면을 잠금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 또는 일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고 있는 영상을 미러링하여 상기 원격 운영부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상기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 각각의 고장 여부를 판단 및 복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부를 판단 및 복구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 각각에 대하여 일정 주기별로, 지속적으로 동작 상황을 체크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정상 동작하지 않는 제1 소스영상 전송장치에 대해서 원격으로 전원을 오프(off) 시킨 이후 다시 전원을 온(on)시켜 동작 복구를 시도하고, 동작 복구가 시도된 상기 제1 소스영상 전송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제1 소스영상 장치의 전원을 오프/온시켜도 정상 동작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소스영상 장치의 고장을 통보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상기 위험 상황의 검출의 근거가 된 소스영상 및 관제영상의 링크 정보가 포함되는 관제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제 보고서에 위험 상황이 발생된 일자 및 시간과, 위험 상황이 발생된 장소의 정보와, 위험 상황이 발생의 판단의 근거가 된 소스영상을 생성한 소스영상 전송장치의 아이디(ID)와 위험 상황의 내용, 위험 상황이 발생의 판단의 근거가 된 관제영상의 번호, 및 상기 소스영상 및 관제영상의 링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은 CCTV 카메라에서 전송된 소스영상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비디오 월에 끊김 없이 표시할 수다.
본 발명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은 하나의 CCTV 카메라에서 전송된 소스영상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은 복수의 CCTV 카메라에서 전송된 소스영상들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은 24시간 무정지 동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은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관제영상을 배열 및 표시함으로써 시스템의 확장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은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관제영상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은 원격으로 CCTV 카메라의 고장 유무를 판단하고, 원격으로 CCTV 카메라의 동작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Internet Protocol) 비디오 월(Video Wall)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비디오 월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1 컨트롤러, 제2 컨트롤러 및 제3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무정지 구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하나의 소스영상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복수의 소스영상을 조합하여 와이드 관제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에 소스영상을 정렬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소스영상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소스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소스영상에서 이벤트를 추출하여 경고를 송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소스영상에서 물체의 움직임을 추출하여 경고를 송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IP 네트워크에 연결된 CCTV 카메라의 이상 동작을 검출 및 CCTV 카메라의 동작을 복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Internet Protocol) 비디오 월(Video Wall)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관제 보고서 생성부에서 생성되어 문서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관제 보고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 비디오 월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제어부)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은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펌웨어(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제어부)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집적회로 칩 상에, 또는 별개의 집적회로 칩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제어부)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 구현 될 수 있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컨트롤러(제어부)와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제어부)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thread)일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른 구성 요소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표준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예를 들어, CD-ROM,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당업자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상호간 결합되거나,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통합되거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벗어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들에 분산될 수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제어부)는 중앙처리장치, 하드디스크 또는 고체상태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 장치, 휘발성 메모리 장치,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 모니터 또는 프린터와 같은 출력 장치로 이루어진 통상의 상용 컴퓨터에서 운영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Internet Protocol) 비디오 월(Video Wall)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비디오 월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 비디오 월 시스템(100)은 비디오 월(110, Video Wall), 컨트롤러부(120),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130, Gigabit Network Hub), 소스영상 전송부(140), 원격 운영부(150), 음향 출력부(160), 및 데이터 서버(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비디오 월(11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로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부(120)는 복수의 컨트롤러(122, 124, 126)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 비디오 월 시스템(100)은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130)와 인터넷 네트워크(10) 사이에는 배치된 라우터(132, rou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스영상 전송부(140)는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142, 144, 146, 148)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142, 144, 146, 148) 각각은 독립적으로 소스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소스영상을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130)를 통해 컨트롤러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142, 144, 146, 148)는 CCTV 카메라, 개인 컴퓨터 시스템(144),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IPTV 등 영상을 획득 및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영상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142, 144, 146, 148)는 소스영상을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는 스트리밍 비디오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142, 144, 146, 148)는 소스영상을 생성하여 컨트롤러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142, 144, 146, 148)에서 생성되는 소스영상은 라이브 스트리밍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142, 144, 146, 148)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모드 갖는 MPEG 스트림과 같은 디지털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142, 144, 146, 148)는 IP-TV 데이터 스트리밍 또는 ON-DEMAND 영화를 스트리밍하는 케이블 셋톱 박스 또는 무선 셋톱 박스가 적용될 수 있다.
비디오 월(11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a에서는 가로 방향으로 3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12)를 배열하고, 세로 방향으로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12)를 배열하여, 3x2 형태로(총 6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배열) 비디오 월(110)이 구성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고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4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12)를 배열하고, 세로 방향으로 3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12)를 배열하여, 4x3 형태로(총 1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배열) 비디오 월(110)이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12)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예로서, IP TV 셋업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12)는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130)를 경유하여 제1 컨트롤러(122) 내지 제3 컨트롤러(126)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관제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소스영상 전송장치(142, 144, 146, 148)에 생성되어 컨트롤러부(120)로 입력되는 영상을 '소스영상'으로 명칭한다. 또한, 컨트롤러부(120)에서 소스영상이 제어되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 각각에 표시되는 영상을 '관제영상'으로 명칭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 비디오 월 시스템(100)은 소스영상 전송장치(142, 144, 146, 148)로부터 소스영상을 수신하고, 소스영상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 비디오 월 시스템(100)은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비디오 월(110)로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관제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영상 전송장치(142, 144, 146, 148)로부터 수신된 모든 소스영상의 데이터 및 비디오 월(110)에 표시되는 모든 관제영상의 데이터는 데이터 서버(170)에 저장될 수 있다.
비디오 월(110)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 각각은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130)에 접속되어, 복수의 컨트롤러(122, 124, 126) 중 하나의 컨트롤러로부터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예로서, 서로 다른 소스영상 전송장치(142, 144, 146, 148)에서 생성된 각각의 소스영상들은 컨트롤러부(120)에서 배열되고, 컨트롤러부(120)는 소스영상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컨트롤러부(120)는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 각각은 컨트롤러부(12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를 관제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부(120)는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142, 144, 146, 148)에서 수신된 소스영상들을 데이터 서버(170)에 저장할 수 있다. 컨트롤러부(12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로 전송되는 영상 신호들 및 제어 신호들을 데이터 서버(170)에 저장할 수 있다.
비디오 월(110)에 관제영상을 표시하는 일 예로서, 제1 컨트롤러(122) 내지 제3 컨트롤러(126)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일한 소스영상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에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소스영상을 2~6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12)에 분할하여 표시하는 경우,
컨트롤러부(120)는 하나의 소스영상이 2~6배로 확대된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부(120)는 하나의 소스영상을 2~6배로 확대한 영상 신호 및 이 영상 신호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러부(12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 각각이 표시할 관제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들 및 제어 신호들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 각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는 컨트롤러부(120)로부터 하나의 소스영상이 2~6배로 확대된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관제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디오 월(110)에서 하나의 소스영상이 2~6배로 확대된 관제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1 컨트롤러, 제2 컨트롤러 및 제3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무정지 구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컨트롤러부(120)는 제1 컨트롤러 내지 제3 컨트롤러(122, 124, 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트롤러 내지 제3 컨트롤러(122, 124, 126)은 모두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트롤러(122)의 구성을 일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 비디오 월 시스템(100)은 제1 컨트롤러, 제2 컨트롤러 및 제3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24시간 무정지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컨트롤러 내지 제3 컨트롤러(122, 124, 126) 중에서 2개의 컨트롤러가 동기화를 수행하여 서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동기화가 수행된 2개의 컨트롤러가 수신한 소스영상들이 일치하는 경우에, 컨트롤러부(120)는 비디오 월(110)에 표시할 관제영상의 영상 신호들 및 제어 신호들을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130)를 통해 비디오 월(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컨트롤러(122)와 제2 컨트롤러(124) 간에 동기화를 수행하여 서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제1 컨트롤러(122)와 제2 컨트롤러(124) 각각이 수신한 소스영상들이 일치하는 경우, 제1 컨트롤러(122)가 비디오 월(110)에 표시할 관제영상의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130)를 통해 비디오 월(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컨트롤러(122)와 제2 컨트롤러(124) 각각이 수신한 소스영상들이 일치하는 경우, 제2 컨트롤러(124)가 비디오 월(110)에 표시할 관제영상의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130)를 통해 비디오 월(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컨트롤러(122)와 제2 컨트롤러(124) 각각이 수신한 소스영상들, 제어 신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1 컨트롤러(122)와 제3 컨트롤러(126) 간에 동기화를 수행하여 서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제1 컨트롤러(122)와 제3 컨트롤러(126) 각각이 수신한 소스영상들이 일치하는 경우, 제1 컨트롤러(122)가 비디오 월(110)에 표시할 관제영상의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130)를 통해 비디오 월(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컨트롤러(122)와 제3 컨트롤러(126) 각각이 수신한 소스영상들이 일치하는 경우, 제3 컨트롤러(126)가 비디오 월(110)에 표시할 관제영상의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130)를 통해 비디오 월(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컨트롤러(122)와 제2 컨트롤러(124) 각각이 수신한 소스영상들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2 컨트롤러(124)와 제3 컨트롤러(126) 간에 동기화를 수행하여 서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제2 컨트롤러(124)와 제3 컨트롤러(126) 각각이 수신한 소스영상들이 일치하는 경우, 제2 컨트롤러(124)가 비디오 월(110)에 표시할 관제영상의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130)를 통해 비디오 월(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컨트롤러(124)와 제3 컨트롤러(126) 각각이 수신한 소스영상들이 일치하는 경우, 제3 컨트롤러(126)가 비디오 월(110)에 표시할 관제영상의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130)를 통해 비디오 월(1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컨트롤러(122), 제2 컨트롤러(124), 및 제3 컨트롤러(126)가 수신한 소스영상들이 모두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최종 컨트롤을 수행하는 하나의 컨트롤러(예로서, 제1 컨트롤러(122))의 동작은 유지시키고, 나머지 2개의 컨트롤러(예로서, 제2 컨트롤러(124)와 제3 컨트롤러(126))의 동작을 리셋시킨 후, 동기화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컨트롤러(122)와 제2 컨트롤러(124)를 동기화를 수행하고, 이어서, 제1 컨트롤러(122)와 제3 컨트롤러(126)의 동기화를 수행하고, 마지막으로 제2 컨트롤러(124)와 제3 컨트롤러(126)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트롤러(122)는 영상 분석부(122a), 영상 배열부(122b), 디스플레이(122c), 및 영상 전송부(12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트롤러(122), 제2 컨트롤러(124), 및 제3 컨트롤러(126)가 모두 동일하게 구성됨으로, 제1 컨트롤러(122)를 구성하는 영상 분석부(122a), 영상 배열부(122b), 디스플레이(122c), 및 영상 전송부(122d)를 일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영상 분석부(122a)는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142, 144, 146, 148)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소스영상 전송장치 별로 분류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122a)는 소스영상 전송장치(142, 144, 146, 148) 별로 분류된 비디오 스트림을 데이터 서버(170)에 저장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122a)는 소스영상 전송장치(142, 144, 146, 148) 별로 분류된 비디오 스트림들을 영상 배열부(122b)로 전송될 수 있다. 소스영상 전송장치 별로 분류된 오디오 스트림은 음향 출력부(16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분석부(122a)는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체 소스영상 전송장치(142, 144, 146, 148)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스트림 중에서 스피커를 통해서 외부로 출력하고자 오디오 스트림을 선택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122a)는 외부 출력이 선택된 소스영상 전송장치의 오디오 스트림을 음향 출력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60)는 입력된 오디오 스트림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4a는 하나의 소스영상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복수의 소스영상을 조합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와이드 관제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영상 배열부(122b)는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142, 144, 146, 148) 각각에서 입력된 소스영상들을 배열할 수 있다. 영상 배열부(122b)는 비디오 월(110)을 구성하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12)에 표시할 소스영상을 배열할 수 있다. 즉, 영상 배열부(122b)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12) 별로 표시하고자 하는 소스영상 각각을 배열할 수 있다. 영상 배열부(122b)는 소소영상들의 배열된 화면을 사용자가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22c)를 통해 소스영상의 배열된 모습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22c)의 화면을 통해서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142, 144, 146, 148) 각각의 표시되는 관제영상의 배열(예로서, 개별 관제영상의 위치 및 크기)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영상 배열부(122b)는 하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예로서, 142)에서 수신된 소스영상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에서 표시하도록 배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배열부(122b)는 하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예로서, 142)에서 수신된 소스영상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가 분할하여 표시하도록 배열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소스 영상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를 통해 확대하여 표시함으로써, 대화면의 관제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서, 영상 배열부(122b)는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예로서, 142, 144, 146, 148)에서 수신된 복수의 소스영상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에서 표시하도록 배열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에 복수의 관제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배열부(122b)는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예로서, 142, 144, 146, 148)에서 수신된 복수의 소스영상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에서 분할하여 표시하도록 배열할 수 있다. 일정 지역을 분할하여 촬영한 제1 소스영상, 제2 소스영상, 제3 소스영상 및 제4 소스영상이 영상 배열부(122b)에서 하나의 영상으로 조합될 수 있다. 영상 배열부(122b)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소스영상에 따른 제1 관제영상을 표시하도록 배열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소스영상에 따른 제2 관제영상을 표시하도록 배열하고, 제3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3 소스영상에 따른 제3 관제영상을 표시하도록 배열하고, 제4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4 소스영상에 따른 제4 관제영상을 표시하도록 배열할 수 있다. 영상 배열부(122b)는 일정 지역을 분할하여 촬영된 제1 소스영상, 제2 소스영상, 제3 소스영상, 및 제4 소스영상을 영상 전송부(122d)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전송부(122d)은 제1 소스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제2 소스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제3 소스영상을 제3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제4 소스영상을 제4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에 소스영상을 정렬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 배열부(122b)는 비디오 월(110)을 구성하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12)에 표시되는 관제영상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배열부(122b)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12)에서 표시될 관제영상의 위치 정보를 제어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관제영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가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12)에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영상 배열부(122b)는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112)에서 표시되는 관제영상의 위치를 수평 방향에서 센터에 정렬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영상 배열부(122b)는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112)에서 표시되는 관제영상의 위치를 수평 방향에서 좌측 끝을 기준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영상 배열부(122b)는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112)에서 표시되는 관제영상의 위치를 수평 방향에서 우측 끝을 기준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영상 배열부(122b)는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112)에서 표시되는 관제영상 위치를 수직 방향에서 센터에 정렬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영상 배열부(122b)는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112)에서 표시되는 관제영상 위치를 수직 방향에서 상단에 정렬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영상 배열부(122b)는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112)에서 표시되는 관제영상 위치를 수직 방향에서 하단에 정렬시킬 수 있다.
영상 배열부(122b)에서 배열된 소스영상들 및 각 소스영상의 배열 정보는 영상 전송부(122d)로 전송될 수 있다.
도 6a는 소스영상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소스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영상 배열부(122b)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 각각에서 표시되는 관제영상의 위치 및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가 관제영상의 위치 변경을 위한 메뉴를 클릭하는 경우, 영상 배열부(112b)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 변경 커서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112c)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마우스를 통해서 위치 변경 커서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면, 영상 배열부(112b)는 위치 변경 커서의 움직임에 동기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12)에서 표시되는 관제영상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영상 배열부(112b)는 관제영상의 위치 변경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 변경 정보를 제어 신호에 포함시키고, 위치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영상 전송부(112d)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영상 전송부(112d)는 영상 배열부(112b)에서 수신된 위치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비디오 월(110)의 각 디스플레이 장치(112)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영상 전송부(112d)는 영상 배열부(112b)에서 수신된 위치 변경 정보를 영상 신호의 프레임에 포함시켜 비디오 월(110)의 각 디스플레이 장치(112)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가 관제영상의 크기 변경을 위한 메뉴를 클릭하는 경우, 영상 배열부(112b)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 크기 변경 커서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112c)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마우스를 우상단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영상 배열부(112b)는 관제영상이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마우스를 좌하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영상 배열부(112b)는 관제영상이 축소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영상 배열부(112b)는 관제영상의 크기 변경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크기 변경 정보를 제어 신호에 포함시키고, 크기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영상 전송부(112d)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영상 전송부(112d)는 영상 배열부(112b)에서 수신된 크기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비디오 월(110)의 각 디스플레이 장치(112)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영상 전송부(112d)는 영상 배열부(112b)에서 수신된 크기 변경 정보를 영상 신호의 프레임에 포함시켜 비디오 월(110)의 각 디스플레이 장치(112)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전송부(122d)는 소스영상들 및 각 소스영상의 배열 정보에 기초하여 비디오 월(110)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정렬할 수 있다. 영상 전송부(122d)는 프레임 단위로 정렬된 영상 신호에 프레임 단위로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영상 전송부(122d)는 프레임 단위로 정렬된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전송부(122d)에 의해서 부여되는 영상 신호의 프레임 식별자는 최초에 소스영상을 생성한 소스영상 전송장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전송부(122d)에 의해서 부여되는 영상 신호의 프레임 식별자는 비디오 월(110) 중에서 어느 디스플레이 장치(112)에 표시할 것인지에 대한 배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 각각은 프레임 식별자를 통해서 자신이 표시해야 할 소스영상이 어느 것인지를 인지하고, 표시할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관제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전송부(122d)에 의해서 부여되는 영상 신호의 프레임 식별자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112)에서 관제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의 시작점과 종료점에 대한 포지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전송부(112d)에 의해서 부여되는 영상 신호의 프레임 식별자는 관제영상이 표시된 화면의 위치 변경 정보 및 영상 데이터의 크기 변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소스영상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에 분할되어 표시될 수 있음으로, 영상 전송부(122d)에 의해서 부여되는 영상 신호의 프레임 식별자는 동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소스영상 또는 복수의 소스영상이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분할되어 표시되는 것과 상관없이, 모든 영상 신호의 프레임 식별자에는 동기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영상 전송부(122d)는 비디오 월(110)로 출력되는 영상 신호에 실시간으로 프레임 식별자를 삽입할 수 있다. 영상 전송부(122d)는 실시간으로 영상 신호에 프레임 식별자를 삽입하여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130)로 전송할 수 있다.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130)는 각 영상 신호의 프레임 식별자를 확인하여 영상이 표시될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112)로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소스영상 전송장치(142)로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HD 비디오 신호, Full HD 비디오 신호 또는 UHD 비디오 신호)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에서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는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각각 분할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가 개별적으로 영상을 표시하더라도 비디오 월(110)에서 표시되는 관제영상은 동기화되어 왜곡이나 끊김 없이 부드럽게 관제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142, 144, 146, 148)에서 수신한 영상 신호(HD 비디오 신호, Full HD 비디오 신호 또는 UHD 비디오 신호)를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에서 관제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의 화면을 2분할, 3분할, 4분할, 6분할, 또는 8분할하고, 2분할, 3분할, 4분할, 6분할, 또는 8분할된 각각의 화면에 2개, 3개, 4개, 6개 또는 8개 소스영상 전송장치(142, 144, 146, 148) 각각에서 수신한 영상 신호를 관제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b를 참조한 설명에서는 제1 컨트롤러(122)위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였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컨트롤러(124) 및 제3 컨트롤러(126)도 제1 컨트롤러(122)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며,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컨트롤러(124) 및 제3 컨트롤러(126)의 구성 및 동작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소스영상에서 이벤트를 추출하여 경고를 송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관제센터에서는 다수의 CCTV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소스영상을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 및 모니터링 함으로써, 위험 상황 및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소수의 관제 인원으로 다수의 관제 화면을 모니터링해야 함으로 적시에 적절하게 위험 상황/사고를 인지하고 조치를 취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이피(IP) 비디오 월 시스템(100)은 위험 상황 판단부(122e)를 이용하여 소스영상에서 이벤트를 추출하고, 위험 상황/사고 발생을 자동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벤트 발생에 의해 위험 상황/사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 위험 상황/사고 발생을 디스플레이 화면과 음향을 통해 경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아이피(IP) 비디오 월 시스템(100)의 복수의 컨트롤러(122, 124, 126)는 위험 상황 판단부(122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컨트롤러(122)에 포함된 위험 상황 판단부(112e)를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위험 상황 판단부(112e)는 소스 영상 수신부(122e-1), 관심 영역 추출부(122e-2), 관심 영역 제어부(122e-3), 위험 상황 검출부(122e-4) 및 경고 송출부(122e-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스영상 수신부(122e-1)는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142, 144, 146, 148)로부터의 소스영상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소스영상들을 소스영상 전송장치 별로 분류하여 데이터 서버(170)에 저장할 수 있다. 소스영상 수신부(122e-1)는 수신된 소스영상들을 관심 영역 추출부(122e-2)로 전송할 수 있다.
관심 영역 추출부(122e-2)는 소스영상 수신부(122e-1)로부터 수신된 소스영상 각각에 대해서 하나 또는 복수의 관심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관심 영역 추출부(122e-2)는 소스영상의 휘도 그레이 레벨이 256으로 설정된 경우, 평균 휘도 대비 30~50 그레이 레벨이 낮은 영역(어두운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스영상의 휘도 그레이 레벨이 512로 설정될 수 있고, 관심 영역 추출부(122e-2)는 평균 휘도 대비 60~100 그레이 레벨이 낮은 영역(어두운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소스영상의 휘도 그레이 레벨이 1024로 설정될 수 있고, 관심 영역 추출부(122e-2)는 평균 휘도 대비 100~200 그레이 레벨이 낮은 영역(어두운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관심 영역 추출부(122e-2)는 소스영상의 휘도 그레이 레벨이 256으로 설정된 경우, 평균 휘도 대비 30~50 그레이 레벨이 높은 영역(밝은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스영상의 휘도 그레이 레벨이 512로 설정될 수 있고, 관심 영역 추출부(122e-2)는 평균 휘도 대비 60~100 그레이 레벨이 높은 영역(밝은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소스영상의 휘도 그레이 레벨이 1024로 설정될 수 있고, 관심 영역 추출부(122e-2)는 평균 휘도 대비 100~200 그레이 레벨이 높은 영역(밝은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관심 영역 추출부(122e-2)는 소스영상에서 특정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때, 관심 영역으로 추출할 특정 영역은 CCTV 카메라 별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CCTV 카메라가 설치된 장소나 환경에 따라서, 주의하여 모니터링해야 하는 영역이 상이할 수 있음으로, CCTV 카메라 별로 관심 영역으로 추출할 특정 영역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심 영역 추출부(122e-2)는 소스영상의 중앙부를 관심 영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관심 영역 추출부(122e-2)는 소스영상의 상단에서부터 중앙까지를 관심 영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관심 영역 추출부(122e-2)는 소스영상의 하단에서 중앙까지를 관심 영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관심 영역 추출부(122e-2)는 소스영상의 좌측끝단에서 중앙까지를 관심 영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관심 영역 추출부(122e-2)는 소스영상의 우측끝단에서 중앙까지를 관심 영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관심 영역 추출부(122e-2)는 소스영상을 화면기준으로 4분할하고, 좌상단, 우상단, 좌하단 또는 우하단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관심 영역 추출부(122e-2)는 소스영상을 화면기준으로 9분할하고, 9개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관심 영역 추출부(122e-2)는 각 소스영상 별로 관심 영역을 추출하고, 관심 영역의 추출결과를 관심 영역 제어부(122e-3)로 전송할 수 있다.
관심 영역 제어부(122e-3)는 관심 영역에 대하여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휘도를 기준으로 관심 영역이 추출된 경우, 조명에 의하여 흰색으로 변환된 부분이 관심 영역으로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조명에 의해서 관심 영역이 추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조명에 의하여 흰색으로 변환된 부분을 관심 영역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휘도를 기준으로 관심 영역이 추출된 경우, 일시적으로 CCTV 카메라의 렌즈가 장애물에 의해 가려져서 검은색으로 변환된 부분이 관심 영역으로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렌즈가 장애물에 가려져서 관심 영역이 추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장애물에 의해서 렌즈가 가려져서 검은색으로 변환된 부분을 관심 영역에서 제거할 수 있다.
관심 영역 제어부(122e-3)는 각 CCTV 카메라의 소스영상을 위험 상황 검출부(122e-4)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심 영역 제어부(122e-3)는 소스영상 별로 잘못된 관심 영역이 제거된 관심 영역의 추출결과를 위험 상황 검출부(122e-4)로 전송할 수 있다.
위험 상황 검출부(122e-4)는 관심 영역의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위험 상황 검출부(122e-4)는 감시 구역에서 작업자가 지정된 작업복 또는 장비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이를 위험 상황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위험 상황 검출부(122e-4)는 미리 설정된 작업복의 크기, 형태, 및 색상 정보와 영상 신호를 비교하여 작업복의 착용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위험 상황 검출부(122e-4)는 미리 설정된 장비의 크기, 형태, 및 색상 정보와 영상 신호를 비교하여 장비의 휴대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위험 상황 검출부(122e-4)는 위험 상황의 검출 결과를 경고 송출부(122e-5)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위험 상황의 검출 결과에는 위험 상황이 발생된 CCTV 카메라의 ID 정보, 위치 정보, 소스 영상이 생성된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경고 송출부(122e-5)는 위험 상황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의 발생을 경고할 수 있다. 이때, 경고 송출부(122e-5)는 위험 상황의 발생에 대한 경구 문구 또는 그래픽이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도록, 위험 상황의 발생 정보를 음향 출력부(160) 및 비디오 월(110)로 전송 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60)는 수신된 위험 상황의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경고음 신호 또는 경고 방송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비디오 월(110)은 수신된 위험 상황의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경구 문구 또는 그래픽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경고 송출부(122e-5)는 위험 상황의 발생을 알리는 경고음 신호 또는 경고 방송 신호를 음향 출력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60)는 수신된 경고음 신호 또는 경고 방송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소스영상에서 물체의 움직임을 추출하여 경고를 송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컨트롤러(122)는 위험 상황 판단부(122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험 상황 판단부(122f)는 움직임 추출부(122f-1), 관심 영역 추출부(122f-2), 물체 판단부(122f-3), 움직임 패턴 판단부(122f-4), 속도 판단부(122f-5), 및 경고 송출부(122f-6)를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추출부(122f-1)는 복수의 CCTV 카메라에서 입력되는 소스영상들 각각에서 물체의 움직임을 추출할 수 있다. 움직임 추출부(122f-1)는 추출된 움직임에 대해서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고, 움직임 정보를 관심 영역 추출부(122f-2)로 전송할 수 있다.
관심 영역 추출부(122f-2)는 수신된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소스영역 별로 관심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관심 영역 추출부(122f-2)는 작업자 또는 장비의 움직임이 있는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즉, 관심 영역 추출부(122f-2)는 움직임이 없는 배경은 관심 영역으로 추출하지 않는다.
관심 영역 추출부(122f-2)는 각 소스영상 별로 관심 영역을 추출하고, 관심 영역의 추출결과를 물체 판단부(122f-3)로 전송할 수 있다.
물체 판단부(122f-3)는 관심 영역에 존재하는 물체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물체 판단부(122f-3)는 관심 영역에 존재하는 물체가 작업자, 장비, 또는 기타 물건(자재)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물체 판단부(122f-3)는 관심 영역에서의 물체의 판단 결과를 움직임 패턴 판단부(122f-4)로 전송할 수 있다.
움직임 패턴 판단부(122f-4)는 물체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작업자의 움직임, 장비의 움직임 또는 기타 물건의 움직임의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움직임 패턴 판단부(122f-4)는 작업자의 움직임 패턴, 장비의 움직임 패턴 또는 기타 물건의 움직임 패턴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패턴과 동일한지 또는 상이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작업자가 좌측에서 우축으로 이동해야 하는 기준 패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움직임 패턴 판단부(122f-4)는 작업자가 설정된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를 이상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움직임 패턴 판단부(122f-4)는 작업자의 움직임 패턴, 장비의 움직임 패턴 또는 기타 물건의 움직임 패턴의 판단 결과 및 이상 상황의 판단 결과를 속도 판단부(122f-5)로 전송할 수 있다.
속도 판단부(122f-5)는 이상 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작업자, 장비 또는 기타 물건의 이동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속도 판단부(122f-5)는 감시 구역에서 작업자 또는 장비가 설정된 속도를 10% 이상 초과하여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 이를 위험 상황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속도 판단부(122f-5)는 감시 구역에서 작업자 또는 장비가 설정된 속도보다 10% 이상 느리게 이동하는 경우, 이를 위험 상황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속도 판단부(122f-5)는 감시 구역에서 작업자 또는 장비가 일정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는 경우, 이를 위험 상황으로 검출할 수 있다.
속도 판단부(122f-5)는 위험 상황의 검출 결과를 경고 송출부(122f-6)로 전송할 수 있다.
경고 송출부(122f-6)는 위험 상황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의 발생을 경고할 수 있다. 이때, 경고 송출부(122f-6)는 위험 상황의 발생에 대한 경구 문구 또는 그래픽이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경고 송출부(122f-6)는 위험 상황의 발생을 알리는 경고음 신호 또는 경고 방송 신호를 음향 출력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60)는 수신된 경고음 신호 또는 경고 방송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원격 운영부(150)는 제1 컨트롤러(122)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운영부(150)는 관제 센터의 외부에서도 인터넷 네트워크(10)를 통해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130)에 접속하여 비디오 월(1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운영부(150)는 비디오 월(110)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의 화면을 초기화시킬 수 있다. 원격 운영부(15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 각각의 화면을 잠금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운영부(150)는 비디오 월(110)을 구성하는 전체 디스플레이 장치(112) 또는 일부 디스플레이 장치(112)들에서 표시되고 있는 관제영상을 미러링하여 원격 운영부(150)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운영부(150)는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112)에서 표시되고 있는 관제영상을 미러링하여 원격 운영부(15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운영부(150)는 관제영상의 미러링 시, 스트리밍 속도를 보장하기 위해서 관제영상의 해상도는 낮추어 원격 운영부(15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운영부(150)는 스트리밍 시, 대역폭을 절약하기 위해 비디오, 동영상, 슬라이드 쇼 및 라이브 피드의 표현을 1초당 1번씩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제1 컨트롤러(122), 제2 컨트롤러(124), 또는 제3 컨트롤러(126)는 대역폭을 제약할 필요가 없음으로, 비디오, 동영상, 슬라이드 쇼 및 라이브 피드의 표현을 1초당 2회~10회씩 수행할 수도 있다.
도 9는 IP 네트워크에 연결된 CCTV 카메라의 이상 동작을 검출 및 CCTV 카메라의 동작을 복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 비디오 월 시스템(100)은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142, 144, 146, 148) 각각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여 복수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소스영상 전송장치(142, 144, 146, 148)로서 CCTV 카메라가 적용된 것을 가정하여 CCTV 카메라의 고장 여부의 판단 및 복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CCTV 카메라의 고장 여부의 판단 및 복구는 컨트롤러부(120)의 3개의 컨트롤러(122, 124, 126) 중에서 어느 하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CCTV 카메라의 고장 여부의 판단 및 복구는 원격 운영부(1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컨트롤러(122)가 CCTV 카메라의 고장 여부의 판단 및 복구를 수행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컨트롤러(122)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130)에 연결된 복수의 CCTV 카메라에 대하여 일정 주기별로, 지속적으로 동작 상황을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제1 컨트롤러(122)는 인터넷 네트워크(10)를 통해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130)에 연결된 복수의 CCTV 카메라에 대하여 일정 주기별로, 지속적으로 동작 상황을 체크할 수 있다(S10).
여기서, CCTV 카메라의 동작 상황의 체크 시,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예로서, 1초, 3초, 5초, 10초, 30초, 또는 60초 단위)로 주기적으로 CCTV 카메라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동작 상황을 체크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컨트롤러(122)는 개별 CCTV 카메라의 동작 상황을 제1 컨트롤러(122)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S20).
이어서, 제1 컨트롤러(122)는 개별 CCTV 카메라가 정상 동작하는지, 또는 동작 중지(이하, ' 이상 상황 발생'이라 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
이어서, 제1 컨트롤러(122)는 CCTV 카메라가 정상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S10으로 돌아가 이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컨트롤러(122)는 CCTV 카메라의 이상 상황 발생이 판단되면 이후 복구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40).
이어서, 제1 컨트롤러(122)는 이상 상황이 발생한 CCTV 카메라에 대해서 원격으로 전원을 오프(off) 시키고, 이후 다시 CCTV 카메라의 전원을 원격으로 온(on)시킬 수 있다(S50).
여기서, 제1 컨트롤러(122)는 프로그램 동작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원격 제어 스위치와 같은 방식으로 개별 CCTV 카메라의 전원의 오프(off)/온(on)시킬 수 있다. 제1 컨트롤러(122)는 이상 상황이 발생한 CCTV 카메라에 대하여 스위치 오프(switch-off)의 동작 신호를 IP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IP 네트워크를 통해 스위치 오프(switch-off)의 동작 신호가 해당 CCTV 카메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컨트롤러(122)는 원격으로 전원을 오프(off)/온(on)시킨 CCTV 카메라의 동작 복구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S60).
이어서, 제1 컨트롤러(122)는 해당 CCTV 카메라가 정상 동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70).
S70의 판단결과, 해당 CCTV 카메라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 CCTV 카메라의 복구 작업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S70의 판단결과, 해다 CCTV 카메라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S50 이후의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컨트롤러(122)는 CCTV 카메라의 전원 오프(off)/온(on) 동작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수행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80).
제1 컨트롤러(122)는 CCTV 카메라의 전원 오프(off)/온(on) 동작을 미리 설정된 횟수 내에서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컨트롤러(122)는 CCTV 카메라의 전원 오프(off)/온(on) 동작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수행된 경우, CCTV 카메라의 고장을 통보할 수 있다(S90).
이후, 제1 컨트롤러(122)는 추가적으로 고장이 발생된 CCTV 카메라의 전원 오프(off)/온(on)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카메라의 복구 작업을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CCTV 카메라의 수리 또는 교체가 필요함으로, 해당 CCTV 카메라의 수리 또는 교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CCTV 카메라의 수리 또는 교체에는 일정한 시간이 필요함으로, 긴급하게 관제영상이 필요한 경우 휴대용 영상기기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 비디오 월 시스템(100)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용 영상기기 또는 스마트폰은 무선으로 IP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네트워크(10)에 접속하고, 촬영된 영상을 IP 비디오 월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IP 비디오 월 시스템(100)은 고장이 발생된 CCTV를 대체하여 휴대용 영상기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비디오 월(110)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은 CCTV 카메라에서 전송된 소스영상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비디오 월에 끊김 없이 표시할 수다.
본 발명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은 하나의 CCTV 카메라에서 전송된 소스영상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은 복수의 CCTV 카메라에서 전송된 소스영상들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은 24시간 무정지 동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은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관제영상을 배열 및 표시함으로써 시스템의 확장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은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관제영상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은 소스영상에서 이벤트를 추출하고, 위험 상황/사고 발생을 자동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벤트 발생에 의해 위험 상황/사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 위험 상황/사고 발생을 디스플레이 화면과 음향을 통해 경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은 원격으로 CCTV 카메라의 고장 유무를 판단하고, 원격으로 CCTV 카메라의 동작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Internet Protocol) 비디오 월(Video Wall)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 비디오 월 시스템(100-1)은 비디오 월(110), 컨트롤러부(120),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130), 소스영상 전송부(140), 원격 운영부(150), 음향 출력부(160), 데이터 서버(170),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 및 문서 출력장치(190)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월(11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로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부(120)는 복수의 컨트롤러(122, 124, 126)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 비디오 월 시스템(100-1)은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130)와 인터넷 네트워크(10) 사이에는 배치된 라우터(132, rou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부(120)는 관제 보고서 작성이 필요한지 판단하고, 관제 보고서 작성이 필요한 경우에 위험 상황 정보를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부(120)는 모든 위험 상황 발생 시 관제 보고서 작성가 작성되도록 위험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위험 상황 정보를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부(120)는 위험 상황들 중에서 선별적으로 관제 보고서가 작성되도록 위험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위험 상황 정보를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부(120)는 위험 상황이 판단된 경우에 관제 보고서 작성 여부를 문의하는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고, 관제 인원을 통해 입력되는 지시 사항에 따라 관제 보고서 작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는 수신된 위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 발생의 판단에 근거가 된 소스영상 및 관제영상이 저장된 데이터 서버(170)의 링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는 비디오 월(110)에 표시된 관제영상을 리플레이 및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해당 관제영상이 링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위험 상황 발생의 판단에 근거된 원본 영상을 리플레이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서버(170)에 저장된 해당 소스영상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화면의 분할, 조합, 크기 조정, 위치 조정 없이 원본 영상을 그대로 리플레이 할 수 있다.
위험 상황 발생의 판단에 근거된 관제영상을 리플레이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서버(170)에 저장된 해당 관제영상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화면의 분할, 조합, 크기 조정, 위치 조정이 이루어진 관제영상을 리플레이 할 수 있다.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는 생성된 관제영상의 링크 정보를 관제 인원들의 PC, 휴대용 통신 기기 및 지정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 인원의 PC, 휴대용 통신 기기 및 지정된 단말에서 수신된 관제영상의 링크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버(170)에 저장된 위험 상황 발생의 판단에 근거가 된 관제영상을 다운로드하여 리플레이 하거나, 또는 스트리밍으로 리플레할 수 있다.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는 관제영상의 소스인 소스영상을 리플레이 및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해당 소스영상의 링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는 생성된 소스영상의 링크 정보를 관제 인원들의 PC, 휴대용 통신 기기 및 지정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 인원의 PC, 휴대용 통신 기기 및 지정된 단말에서 수신된 소스영상의 링크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버(170)에 저장된 위험 상황 발생의 판단에 근거가 된 소스영상을 다운로드하여 리플레이 하거나, 또는 스트리밍으로 리플레할 수 있다.
도 11은 관제 보고서 생성부에서 생성되어 문서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관제 보고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는 위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소프트카피(soft copy) 및 하드카피(hard copy) 형태의 관제 보고서(200)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는 생성된 관제 보고서(200)를 문서 출력장치(190), 디스플레이(122c), 및 비디오 월(11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2c) 및 비디오 월(110)은 수신된 관제 보고서(200)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에서 생성된 관제 보고서(200)는 위험 상황이 발생된 일자 및 시간과, 위험 상황이 발생된 장소의 정보(주소 또는 기 설정된 위치 위치정보), 위험 상황이 발생의 판단의 근거가 된 소스영상을 생성한 소스영상 전송장치(142, 144, 146, 148)의 아이디(ID), 위험 상황의 내용, 기타 정보 및 위험 상황이 발생의 판단의 근거가 된 관제영상의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에서 생성된 관제 보고서(200)는 위험이 발생된 지역의 관제영상을 쉽게 리플레이 할 수 있도록 위험지역 관제영상의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관제 보고서(200)는 위험지역 관제영상의 링크 정보를 제1 QR코드(210)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에서 생성된 관제 보고서(200)는 위험지역의 관제영상뿐만 아니라, 위험 상황이 발생된 주변 지역의 관제영상도 쉽게 리플레이 할 수 있도록 주변지역 관제영상의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관제 보고서(200)는 주변지역 관제영상의 링크 정보를 제2 QR코드(220)로 표시할 수 있다.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는 생성된 소프트카피 형태의 관제 보고서(200)를 문서 출력장치(190)로 전송할 수 있다. 문서 출력장치(190)는 수신된 관제 보고서(200)를 하트카피 형태의 문서로 출력할 수 있다.
문서로 출력된 관제 보고서(200)에도 제1 QR코드(210)와 제2 QR코드(220)가 인쇄되어 있어, QR코드 판독기능이 포함된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위험지역 관제영상 및 주변지역 관제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종래에는 관제 센터에 배치된 비디오 월(110)을 통해서만 관제영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소프트카피, 하드카피, 및 문서로 출력된 관제 보고서(200)에 포함된 제1 QR코드(210) 및 제2 QR코드(220)를 이용하여 위험지역 관제영상 및 주변지역 관제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는 위험 상황 정보 및 관제영상의 링크를 기 설정된 유관기관(일 예로서, 중앙 행정부서, 광역단체 관공서, 지역단체 관공서, 경찰서, 소방서, 의료기관, 및 기타 국가 기관)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는 하드카피 형태의 관제 보고서(200)를 유관기관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컨트롤러부(120)는 위험 상황이 발생된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일 예로서, 1분~60분) 이전의 소스영상 및 관제영상을 데이터 서버(170)에 저장할 수 있다.
컨트롤러부(120)는 위험 상황이 발생하기 이전의 일정 시간 동안(일 예로서, 1분~60분)의 소스영상을 시간 순서대로 정렬하여 비디오 월(110)에 관제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12) 각각에 서로 다른 시점의 관제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장소에서 촬영된 서로 다른 시점의 복수의 관제영상을 비디오 월(110)에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위험 상황이 발생된 시점의 관제영상뿐만 아니라, 이전 시점의 관제영상을 함께 분석함으로써 위험 상황이 발생된 원인을 신속 및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는 위험 상황이 발생된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일 예로서, 1분~60분) 이전의 소스영상의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제3 QR코드를 관제 보고서(200)에 포함시킬 수 있다.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는 위험 상황이 발생된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일 예로서, 1분~60분) 이전의 관제영상의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제4 QR코드를 관제 보고서(200)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 비디오 월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7, 도 8, 도 10,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위험 상황 판단부(122e, 122f)에서 소스영상에 기초하여 이벤트를 추출하고, 위험 상황/사고 발생을 자동으로 인지할 수 있다(S110).
이어서, 위험 상황 발생의 판단 근거가 된 관제영상을 데이터 서버(17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위험 상황 발생의 판단 근거가 된 소스영상을 데이터 서버(170)에 저장할 수 있다(S120).
이어서, 컨트롤러부(120)는 관제 보고서 작성이 필요한지 판단하고, 관제 보고서 작성이 필요한 경우에 위험 상황 정보를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S130).
여기서, 컨트롤러부(120)는 모든 위험 상황 발생 시 관제 보고서 작성가 작성되도록 위험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위험 상황 정보를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부(120)는 위험 상황들 중에서 선별적으로 관제 보고서가 작성되도록 위험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위험 상황 정보를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부(120)는 위험 상황이 판단된 경우에 관제 보고서 작성 여부를 문의하는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고, 관제 인원을 통해 입력되는 지시 사항에 따라 관제 보고서 작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는 수신된 위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 발생의 판단에 근거가 된 소스영상 및 관제영상이 저장된 데이터 서버(170)의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관제 보고서(200)를 생성할 수 있다.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는 생성된 관제 보고서(200)는 문서 출력장치(190)로 전송할 수 있다. 문서 출력장치(190)는 수신된 관제 보고서(200)를 문서로 출력할 수 있다(S140).
여기서, 문서로 출력된 관제 보고서(200)에도 제1 QR코드(210)와 제2 QR코드(220)가 인쇄되어 있어, QR코드 판독기능이 포함된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위험지역 관제영상 및 주변지역 관제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는 위험 상황 정보의 유관기관 통지가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S150).
S150의 판단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 정보의 유관기관 통지가 필요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는 위험 상황 정보 및 관제영상의 링크를 기 설정된 유관기관(일 예로서, 중앙 행정부서, 광역단체 관공서, 지역단체 관공서, 경찰서, 소방서, 의료기관, 및 기타 국가 기관)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는 소프트카피 형태의 관제 보고서(200)를 유관기관에 전송할 수 있다(S160).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관제 보고서 생성부(180)는 생성된 관제영상 및 소스영상의 링크 정보를 관제 인원들의 PC, 휴대용 통신 기기 및 지정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 인원의 PC, 휴대용 통신 기기 및 지정된 단말에서 수신된 관제영상의 링크 및 소스영상의 링크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버(170)에 저장된 위험 상황 발생의 판단에 근거가 된 관제영상 및 소스영상을 다운로드하여 리플레이 하거나, 또는 스트리밍으로 리플레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100: IP 비디오 월 시스템 110: 비디오 월
112: 디스플레이 장치 120: 컨트롤러부
122: 제1 컨트롤러 124: 제2 컨트롤러
126: 제3 컨트롤러 132: 라우터
130: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 140: 소스영상 전송부
150: 원격 운영부 160: 음향 출력부
170: 데이터 서버 180: 관제 보고서 생성부
190: 문서 출력장치 200: 관제 보고서

Claims (18)

  1.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 각각에서 촬영된 소스영상을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소스영상 전송부;
    상기 IP 네트워크 및 인터넷 네트워크와 연결된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
    상기 기가비트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월;
    상기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에서 입력된 개별 소스영상을 프레임 단위의 영상 신호로 정렬 및 상기 영상 신호에 프레임 식별자를 부여하여 상기 비디오 월로 전송하는 컨트롤러부;
    상기 소스영상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서버; 및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비디오 월에 접속하여 상기 비디오 월을 제어하는 원격 운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월은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프레임 식별자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제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컨트롤러부는 하나의 관제영상이 상기 비디오 월에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프레임 식별자를 상기 비디오 월로 전송하거나, 또는 복수의 소스영상을 조합하여 와이드 관제영상이 상기 비디오 월에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프레임 식별자를 상기 비디오 월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운영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초기화시키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화면을 잠금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 또는 일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고 있는 영상을 미러링하여 상기 원격 운영부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IP 비디오 월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상기 영상 신호의 프레임 식별자에 기초하여 표시해야 할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관제영상을 표시하는, IP 비디오 월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제1 컨트롤러, 제2 컨트롤러, 및 제3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컨트롤러 중에서 제1 컨트롤러와 제2 컨트롤러가 동기화를 수행하여 서로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컨트롤러 및 상기 제2 컨트롤러가 각각 수신한 소스영상들, 제어 신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컨트롤러 또는 상기 제2 컨트롤러가 상기 비디오 월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IP 비디오 월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트롤러 및 상기 제2 컨트롤러가 각각 수신한 소스영상들, 제어 신호들이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상기 제3 컨트롤러가 동기화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컨트롤러와 상기 제3 컨트롤러가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제1 컨트롤러 및 상기 제3 컨트롤러가 각각 수신한 소스영상들, 제어 신호들이 일치하면 상기 제1 컨트롤러 또는 상기 제3 컨트롤러가 상기 비디오 월로 영상 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제2 컨트롤러 및 제3 컨트롤러가 각각 수신한 소스영상들, 제어 신호들이 일치하면 상기 제2 컨트롤러 또는 상기 제3 컨트롤러가 상기 비디오 월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IP 비디오 월 시스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컨트롤러 중 하나의 컨트롤러는,
    상기 영상 신호의 프레임 식별자에 소스영상을 생성한 소스영상 전송장치의 정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영상이 표시된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정보, 화면의 시작점과 종료점에 대한 위치 정보, 화면에 표시되는 소스영상의 위치 변경 정보, 화면에 표시되는 소스영상의 크기 변경 정보, 및 동기 신호를 포함시키는, IP 비디오 월 시스템.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컨트롤러 중 하나의 컨트롤러는 상기 소스영상에서 위험 상황을 검출하는 위험 상황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로부터의 소스영상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소스영상들을 소스영상 전송장치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소스 영상 수신부;
    상기 소스영상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소스영상 각각에 대해서 하나 또는 복수의 관심 영역을 추출하는 관심 영역 추출부;
    추출된 관심 영역을 필터링하는 관심 영역 제어부;
    추출된 관심 영역의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위험 상황 검출부; 및
    상기 위험 상황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경고를 송출하는 경고 송출부;를 포함하는, IP 비디오 월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 추출부는 상기 소스영상의 휘도 그레이 레벨에 기초하여 관심 영역을 추출하는, IP 비디오 월 시스템.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컨트롤러는 위험 상황을 검출하는 위험 상황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로부터의 수신된 소스영상들 각각에서 물체의 움직임을 추출하여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움직임 추출부;
    상기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물체의 움직임이 있는 영역을 관심 영역을 추출하는 관심 영역 추출부;
    상기 물체가 작업자인지 또는 장비인지를 판단하는 물체 판단부;
    상기 작업자 또는 장비의 움직임 패턴을 미리 설정된 기준 패턴과 비교하여 이상 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움직임 패턴 판단부;
    상기 움직임 패턴 판단부에서 이상 상황이 판단된 경우,
    상기 작업자 또는 상기 장비의 움직임 속도를 판단하여 위험 상황을 검출하는 속도 판단부; 및
    상기 위험 상황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경고를 송출하는 경고 송출부;를 포함하는, IP 비디오 월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판단부는,
    감시 구역에서 작업자 또는 장비가 설정된 속도를 10% 이상 초과하여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 이를 위험 상황으로 검출하고,
    감시 구역에서 작업자 또는 장비가 설정된 속도보다 10% 이상 느리게 이동하는 경우 이를 위험 상황으로 검출하고,
    감시 구역에서 작업자 또는 장비가 일정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는 경우 이를 위험 상황으로 검출하는, IP 비디오 월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상기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 각각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여 복구를 수행하되,
    상기 컨트롤러부는 상기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 각각에 대하여 일정 주기별로, 지속적으로 동작 상황을 체크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정상 동작하지 않는 제1 소스영상 전송장치에 대해서 원격으로 전원을 오프(off) 시킨 이후 다시 전원을 온(on)시켜 동작 복구를 시도하고,
    동작 복구가 시도된 상기 제1 소스영상 전송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제1 소스영상 장치의 전원을 오프/온시켜도 정상 동작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소스영상 장치의 고장을 통보하는, IP 비디오 월 시스템.
  11. 제6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위험 상황의 검출의 근거가 된 소스영상 및 관제영상의 링크 정보를 생성하는 관제 보고서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 보고서 생성부는, 위험 상황이 발생된 일자 및 시간과, 위험 상황이 발생된 장소의 정보와, 위험 상황이 발생의 판단의 근거가 된 소스영상을 생성한 소스영상 전송장치의 아이디(ID)와 위험 상황의 내용, 위험 상황이 발생의 판단의 근거가 된 관제영상의 번호, 및 상기 소스영상 및 관제영상의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관제 보고서를 생성하는, IP 비디오 월 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보고서 생성부는,
    위험지역 관제영상의 링크 정보를 상기 관제 보고서에 제1 QR코드로 표시하고,
    위험 상황이 발생된 주변지역 관제영상의 링크 정보를 상기 관제 보고서에 제2 QR코드로 표시하는, IP 비디오 월 시스템.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보고서 생성부는 위험 상황의 정보 및 관제영상의 링크 정보를 기 설정된 유관기관으로 전송하는, IP 비디오 월 시스템.
  14.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에 접속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월과,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비디오 월에 접속하여 원격으로 상기 비디오 월을 제어하는 원격 운영부를 포함하는 IP 비디오 월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에서 촬영된 소스영상을 상기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에 접속된 복수의 컨트롤러가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에서 전송된 소스영상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 중 하나의 컨트롤러가 상기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에서 입력된 개별 소스영상을 프레임 단위의 영상 신호로 정렬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컨트롤러가 상기 영상 신호에 프레임 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컨트롤러가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프레임 식별자를 상기 기가비트 네트워크 허브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월이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프레임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상기 영상 신호에 포함된 프레임 식별자에 기초하여 표시해야 할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운영부가 상기 IP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비디오 월에 접속하여 원격으로 상기 비디오 월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하나의 관제영상이 상기 비디오 월에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프레임 식별자를 상기 비디오 월로 전송하거나, 또는 복수의 소스영상을 조합하여 와이드 관제영상이 상기 비디오 월에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프레임 식별자를 상기 비디오 월로 전송하고,
    상기 비디오 월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초기화시키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화면을 잠금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 또는 일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고 있는 영상을 미러링하여 상기 원격 운영부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IP 비디오 월 시스템의 구동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는 제1 컨트롤러, 제2 컨트롤러, 및 제3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컨트롤러 중에서 제1 컨트롤러와 제2 컨트롤러가 동기화를 수행하여 서로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컨트롤러 및 상기 제2 컨트롤러가 각각 수신한 소스영상들, 제어 신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컨트롤러 또는 상기 제2 컨트롤러가 상기 비디오 월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P 비디오 월 시스템의 구동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트롤러 및 상기 제2 컨트롤러가 각각 수신한 소스영상들, 제어 신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상기 제3 컨트롤러가 동기화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컨트롤러와 상기 제3 컨트롤러가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트롤러 및 상기 제3 컨트롤러가 각각 수신한 소스영상들, 제어 신호가 일치하면 상기 제1 컨트롤러 또는 상기 제3 컨트롤러가 상기 비디오 월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또는
    제2 컨트롤러 및 제3 컨트롤러가 각각 수신한 소스영상들, 제어 신호가 일치하면 상기 제2 컨트롤러 또는 상기 제3 컨트롤러가 상기 비디오 월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P 비디오 월 시스템의 구동방법.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 각각의 고장 여부를 판단 및 복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여부를 판단 및 복구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소스영상 전송장치 각각에 대하여 일정 주기별로, 지속적으로 동작 상황을 체크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정상 동작하지 않는 제1 소스영상 전송장치에 대해서 원격으로 전원을 오프(off) 시킨 이후 다시 전원을 온(on)시켜 동작 복구를 시도하고,
    동작 복구가 시도된 상기 제1 소스영상 전송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제1 소스영상 장치의 전원을 오프/온시켜도 정상 동작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소스영상 장치의 고장을 통보하는, IP 비디오 월 시스템의 구동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위험 상황의 검출의 근거가 된 소스영상 및 관제영상의 링크 정보가 포함되는 관제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 보고서에 위험 상황이 발생된 일자 및 시간과, 위험 상황이 발생된 장소의 정보와, 위험 상황이 발생의 판단의 근거가 된 소스영상을 생성한 소스영상 전송장치의 아이디(ID)와 위험 상황의 내용, 위험 상황이 발생의 판단의 근거가 된 관제영상의 번호, 및 상기 소스영상 및 관제영상의 링크 정보가 포함되는, IP 비디오 월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0190136414A 2019-10-30 2019-10-30 아이피(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056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414A KR102056858B1 (ko) 2019-10-30 2019-10-30 아이피(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414A KR102056858B1 (ko) 2019-10-30 2019-10-30 아이피(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651A Division KR102056854B1 (ko) 2019-05-21 2019-05-21 아이피(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858B1 true KR102056858B1 (ko) 2020-01-22

Family

ID=69368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414A KR102056858B1 (ko) 2019-10-30 2019-10-30 아이피(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8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483B1 (ko) * 2020-07-29 2021-02-09 (주)하이퍼월 스마트 시티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CN113473072A (zh) * 2020-03-31 2021-10-01 苏州威思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音视频监控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0658A (ko) * 2009-04-03 2010-10-13 주식회사 다림비젼 복수의 입력 비디오(디지털,아날로그,ip 압축 비디오)들을 가상 그래픽 3차원 비디오 월의 가상모니터에 비디오 택스쳐링의 방식을 이용하여 표현하고 이를 가상 3차원 그래픽 공간에 배치한 가상카메라를 통해 실시간 3차원 렌더링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에 보여 주는 매트릭스 및 스위처/믹서 기능을 갖는 3차원 공간속의 비디오 월을 보여 주는 멀티뷰 시스템
KR101595871B1 (ko) 2015-10-16 2016-02-22 주식회사 아이티지 방범용 cctv 로컬용 통합 제어 감시 장치
KR20160109592A (ko) * 2015-03-12 2016-09-2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비디오 월 보안 시스템
KR101731373B1 (ko) 2017-02-03 2017-05-02 (주)케이이씨디바이스 실시간 영상 분석을 통한 영상상황 예측 관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0658A (ko) * 2009-04-03 2010-10-13 주식회사 다림비젼 복수의 입력 비디오(디지털,아날로그,ip 압축 비디오)들을 가상 그래픽 3차원 비디오 월의 가상모니터에 비디오 택스쳐링의 방식을 이용하여 표현하고 이를 가상 3차원 그래픽 공간에 배치한 가상카메라를 통해 실시간 3차원 렌더링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에 보여 주는 매트릭스 및 스위처/믹서 기능을 갖는 3차원 공간속의 비디오 월을 보여 주는 멀티뷰 시스템
KR20160109592A (ko) * 2015-03-12 2016-09-2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비디오 월 보안 시스템
KR101595871B1 (ko) 2015-10-16 2016-02-22 주식회사 아이티지 방범용 cctv 로컬용 통합 제어 감시 장치
KR101731373B1 (ko) 2017-02-03 2017-05-02 (주)케이이씨디바이스 실시간 영상 분석을 통한 영상상황 예측 관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3072A (zh) * 2020-03-31 2021-10-01 苏州威思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音视频监控系统
KR102214483B1 (ko) * 2020-07-29 2021-02-09 (주)하이퍼월 스마트 시티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854B1 (ko) 아이피(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516720B1 (ko) 기계의 아날로그 또는 물리적 상태 조건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US8982208B2 (en) Monitoring system, image capturing apparatus, analysis apparatus, and monitoring method
EP2966852B1 (en) Video monitoring method, device and system
US11528472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2056858B1 (ko) 아이피(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407327B1 (ko) 화재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감지시스템
US201501998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event from plurality of photographed images
US20160155009A1 (en) Display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by
KR101964683B1 (ko) 스마트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1849365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CN102857786A (zh) 视频监视系统中的质量检查
KR101698063B1 (ko) Cctv 카메라 원격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US2018021318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 scene based on a panoramic view
KR102108547B1 (ko) 지하철 역사에서 nvr 백업 및 복구 시스템 및 방법
KR101035312B1 (ko) 화면 분할 장치와 그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178886B1 (ko) 고해상도 디지털 ptz 카메라,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및 고해상도 디지털 ptz 카메라의 데이터 전송 방법
US104520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multi-projection theater
JP2006211459A (ja) 映像出力システムおよび映像を出力するための制御プログラム
KR102214483B1 (ko) 스마트 시티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817203B1 (ko) 감시카메라 시스템
JP6997449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101061868B1 (ko) 듀얼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JP2014142901A (ja) 電子機器及び電子システム
KR101614386B1 (ko) 영상 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