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349A -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관리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349A
KR20210121349A KR1020200037402A KR20200037402A KR20210121349A KR 20210121349 A KR20210121349 A KR 20210121349A KR 1020200037402 A KR1020200037402 A KR 1020200037402A KR 20200037402 A KR20200037402 A KR 20200037402A KR 20210121349 A KR20210121349 A KR 20210121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bill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헌
손민영
국진규
황병주
유준형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00037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1349A/ko
Priority to PCT/US2020/049017 priority patent/WO2021194545A1/en
Priority to US17/760,832 priority patent/US20220343379A1/en
Priority to CN202080091750.8A priority patent/CN114902260A/zh
Priority to EP20926820.0A priority patent/EP4128114A1/en
Publication of KR20210121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5Establishing or using transaction specific r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for coin-freed systems ; Pay systems
    • H04N1/344Accounting or charging based on type of function or service used, e.g. copying, fax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0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06F8/62Uninsta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관리 방법은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된 솔루션을 나타내는 솔루션 리스트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을 검출하는 단계, 화상 형성 장치가 등록된 계정에 대응되는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검출된 솔루션이 포함되는지 검증하는 단계, 및 검증한 결과에 따라,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관리{BILLING MANAGEMENT FOR SOLUTION INSTALLED IN IMAGE FORMING APPARATUS}
복합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는 스캔, 복사, 팩스 기능 등과 같은 기본 기능을 지원하며, 유저(user)는 각각의 기본 기능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실행시켜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에서 지원하는 기능의 종류를 확장하거나 화상 형성 장치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클라우드 플랫폼은 서드 파티(third party)나 화상 형성 장치의 벤더(vendor)가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이나 펌웨어 형태의 솔루션을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하고, 과금 서버는 솔루션이 제공된 화상 형성 장치가 등록된 계정에 솔루션의 사용에 대해 과금한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가 솔루션을 제공받는 서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클라우드 서버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포털 서버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과금 서버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클라우드 서버가 화상 형성 장치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을 주기적으로 검출하고, 포털 서버가 포털 서버에 저장된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확인하여 과금 처리를 요청하는 과금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클라우드 서버가 화상 형성 장치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을 주기적으로 검출하고, 과금 서버가 포털 서버로부터 수신한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확인하여 과금을 처리하는 과금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클라우드 서버가 화상 형성 장치에 솔루션을 새로 설치하거나 제거하고, 과금 서버가 포털 서버로부터 수신한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확인하여 과금을 처리하는 과금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포털 서버가 클라우드 서버가 화상 형성 장치에 새로 설치하거나 제거한 솔루션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고, 포털 서버에 저장된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확인하여 과금 처리를 요청하는 과금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포털 서버가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클라우드 서버가 화상 형성 장치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을 주기적으로 검출하고, 포털 서버가 검출된 솔루션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고, 포털 서버에 저장된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확인하여 과금 처리를 요청하는 과금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클라우드 서버가 화상 형성 장치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을 주기적으로 검출하고, 포털 서버가 검출된 솔루션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고, 포털 서버에 저장된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확인하여 과금 처리를 주기적으로 요청하는 과금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에서 솔루션은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나 응용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문제들을 처리해 주는 소프트웨어로서, 기존에 설치된 펌웨어나 애플리케이션을 업그레이드하거나 새로운 펌웨어나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솔루션의 구독이란 솔루션을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하여 사용하기 위한 솔루션에 대한 이용 신청을 의미한다. 유저가 포털 서버를 통해 유저의 계정에 소정의 솔루션들의 구독을 설정하면, 클라우드 서버가 유저의 계정에 등록된 화상 형성 장치에 소정의 솔루션들을 설치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관리 프로세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뿐만 아니라, 다른 경로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에 대해서도 정확한 과금이 처리될 수 있는 과금 관리 프로세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에 대해 포털 서버가 데이터베이스에서 별도로 관리하도록 하여, 안정적인 과금이 처리될 수 있는 과금 관리 프로세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개시에서 새로 설치된 솔루션이란 화상 형성 장치에 이전에 설치된 적이 없이 처음으로 설치된 솔루션뿐만 아니라, 기존에 설치된 솔루션이라 하더라도 제거된 후 다시 설치되거나 업데이트된 솔루션도 포함될 수 있다. 즉, 새로 설치된 솔루션은 이전에 설치된 적이 없거나 설치 후 제거되어 이전 시점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현재 시점에서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솔루션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100)가 솔루션을 제공받는 서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팩스기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통칭한다.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 예를 들어, 인쇄, 카피, 스캔, 팩스 또는 이와 연계된 기능을 의미할 수 있으며,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솔루션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플랫폼일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제공될 수 있는 솔루션의 설치 파일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가 클라우드 서버(200)로부터 솔루션을 제공받기 위해서는, 클라우드 서버(200)에서 이용되는 유저의 계정에 대해 화상 형성 장치(100)가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클라우드 서버(200)에서 이용되는 유저의 계정에 기초하여, 계정에 등록된 화상 형성 장치(100)에 계정의 권한에 따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클라우드 서버(200)와 연결하여, 솔루션을 요청한 후 다운로드 하거나 클라우드 서버(200)에서 푸쉬 방식으로 제공하는 솔루션을 수신할 수 있다.
포털 서버(300)는 클라우드 서버(200)가 제공할 수 있는 솔루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클라우드 서버(200)에서 이용되는 유저의 계정에 솔루션을 연동시켜 해당 계정에 등록된 화상 형성 장치(100)에 연동시킨 솔루션이 제공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서버(200)에 대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셀러(reseller)는 포털 서버(500)를 통해, 솔루션 카탈로그에서 솔루션 정보를 확인하고, 자신의 계정에 대응되는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구성하여, 해당 계정에 등록된 화상 형성 장치(100)에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포함된 솔루션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솔루션 카탈로그는 클라우드 서버(200)가 제공할 수 있는 솔루션들의 리스트를 의미하며, 솔루션 구독 리스트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하여 사용하기 위해 유저가 계정에 대응시켜 선정해놓은 솔루션들의 리스트를 의미한다. 리셀러와 같은 유저는 복수 개의 계정들을 가질 수 있으며, 각 계정마다 서로 다른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설정할 수 있고, 각 계정마다 서로 다른 화상 형성 장치들을 등록해 둘 수 있다.
이벤트 관리 서버(400)는 외부의 요청에 따른 이벤트를 생성하여 이벤트를 공지하는 심플 큐 서비스(Simple Queue Service)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관리 서버(400)는 클라우드 서버(200)로부터 요청된 솔루션 설치 이벤트나 솔루션 제거 이벤트, 또는 솔루션 변경 이벤트 등의 이벤트를 생성하고, 포털 서버(300)나 과금 서버(500)가 생성된 이벤트를 확인하게 할 수 있다. 이벤트 관리 서버(400)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게재(publishing)한다. 이에 따라, 특정 이벤트의 발생에 연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외부 서버들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한다.
과금 서버(5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솔루션 설치 또는 제거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가 등록된 계정에 대한 과금을 처리할 수 있다. 과금 서버(5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시작하거나,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제거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중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가 솔루션을 제공받는 서비스 환경의 일 예로, 클라우드 서버(200), 포털 서버(300), 이벤트 관리 서버(400), 및 과금 서버(500)가 서로 연동하는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분산된 여러 서버로 구현되는 것은 일 예에 해당할 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클라우드 서버(200), 포털 서버(300), 이벤트 관리 서버(400), 및 과금 서버(500) 중 일부 서버의 역할은 다른 서버에서 대신하거나 제외될 수도 있고, 이 중 복수 개의 서버들은 하나의 서버 형태로 통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관리 서버(400)를 제외하는 경우, 이벤트 관리 서버(400)를 통하여 이벤트를 중계하는 방식이 아니라, 서버들 간 직접 정보 송수신을 하는 서비스 환경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200), 포털 서버(300), 및 과금 서버(500)가 하나의 서버로 구현되어, 하나의 서버에서 여러 서버들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 1에 개시된 서비스 환경을 전제로 설명한다.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10), 프로세서(120),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130), 메모리(140) 및 프린트 엔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화상 형성 장치(100)는 각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10)은 유저로부터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한 입력이나 환경 설정을 위한 입력 등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 결과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10)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소정의 기능에 대응되는 특화된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을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130)은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130)은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130)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130)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140)에는 소프트웨어 패키지나 응용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프로그램 파일 또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파일이나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파일이나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하고 실행시킬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130)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펌웨어나 애플리케이션 형태의 솔루션을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하고 실행시킬 수 있다.
프린트 엔진(150)은 인쇄, 스캔, 팩스 등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모두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인쇄부, 스캔부, 팩스부와 같은 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인쇄부는 전자 사진 방식,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및 감열 방식 등 다양한 인쇄 방식에 의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스캔부는 원고에 광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읽어들일 수 있다. 팩스부의 경우, 화상을 스캔하기 위한 구성은 스캔부와 공유할 수 있고, 수신한 파일을 인쇄하기 위한 구성은 인쇄부와 공유할 수 있으며, 스캔 파일을 목적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클라우드 서버(200)로부터 솔루션의 설치 파일을 수신하여 솔루션을 새로 설치하거나,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되어 있는 솔루션을 제거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솔루션이 설치되어 실행되면, 해당 솔루션에 대응되는 소정의 서비스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제공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된 솔루션을 나타내는 솔루션 리스트를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솔루션 리스트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된 솔루션을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솔루션 리스트는 클라우드 서버(200)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솔루션을 새로 설치하거나 제거한 경우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서버(200)의 요청이 있거나 화상 형성 장치(100)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주기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은 클라우드 서버(2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스토리지(210), 프로세서(220),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230), 메모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프로세서(22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클라우드 서버(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230)은 앞서 살펴본 화상 형성 장치(100)의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130) 또는 다른 서버들의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과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통신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될 수 있는 솔루션의 설치 파일이나 업데이트 파일 등을 스토리지(210)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외부의 요청에 따라, 솔루션을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된 솔루션을 나타내는 솔루션 리스트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을 검출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된 솔루션에 변동이 생긴 경우,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해당 사실을 알려,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 하여금 게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포털 서버(3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포털 서버(300)는 스토리지(310), 프로세서(320),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330), 메모리(3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프로세서(32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포털 서버(3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330)은 클라우드 서버(200)의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230) 또는 다른 서버의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과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통신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포털 서버(300)는 클라우드 서버(200)가 제공할 수 있는 솔루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클라우드 서버(200)에서 이용되는 계정에 솔루션을 연동시켜 해당 계정에 등록된 화상 형성 장치(100)에 솔루션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포털 서버(300)는 리셀러(reseller)가 솔루션 카탈로그를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200)가 제공할 수 있는 솔루션 정보를 확인하고, 클라우드 서버(200)에서 이용되는 계정에 대한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포털 서버(300)는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관리하고, 이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에 솔루션을 새로 설치하거나 제거할 것을 클라우드 서버(200)에 요청할 수도 있다. 포털 서버(300)는 화상 형성 장치(100)가 등록된 계정에 대응되는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이 포함되는지 검증하고, 검증한 결과에 따라,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처리를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330)을 통해 과금 서버(500)에 요청할 수 있다. 포털 서버(3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된 솔루션이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포함되면, 새로 설치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시작을 과금 서버(500)에 요청하고,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제거된 솔루션이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포함되면, 제거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중단을 과금 서버(500)에 요청할 수 있다. 포털 서버(300)는 과금 서버(500)에 구독 리스트를 공유할 수도 있다. 또한, 포털 서버(300)는 과금 관리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을 과금 관리를 위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기록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도 5는 과금 서버(5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과금 서버(500)는 스토리지(510), 프로세서(520),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530), 메모리(5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40)는 프로세서(52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과금 서버(5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530)은 포털 서버(300)의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330) 또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의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미도시)과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통신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과금 서버(3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솔루션이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가 등록된 계정에 대해 솔루션의 과금을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과금 서버(5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의 정보를 확인하여, 검출된 솔루션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된 솔루션이면,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시작하고, 검출된 솔루션이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제거된 솔루션이면,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중단할 수 있다. 또는, 과금 서버(5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이 화상 형성 장치(100)가 등록된 계정에 대응되는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검증하고, 검증한 결과에 따라,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처리할 수 있다.
도 6은 클라우드 서버(200)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을 주기적으로 검출하고, 포털 서버(300)가 포털 서버(300)에 저장된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확인하여 과금 처리를 요청하는 과금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된 솔루션을 나타내는 솔루션 리스트 요청을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605) 클라우드 서버(200)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거나 소정의 주기가 되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솔루션 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솔루션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S610) 클라우드 서버(200)는 솔루션 리스트를 화상 형성 장치(100)에 요청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솔루션 리스트를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솔루션 리스트와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된 솔루션 리스트를 비교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을 검출할 수 있다.(S615)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대해 제공한 솔루션을 나타내는 솔루션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며, 이를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솔루션 리스트와 비교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된 솔루션에 변경이 있는지 검출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두 솔루션 리스트들을 비교하여, 식별된 솔루션들 간에 차이가 있으면, 솔루션 변경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솔루션 변경 이벤트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620)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이 있으면,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검출된 솔루션의 정보와 함께 솔루션 변경 이벤트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에서는, 클라우드 서버(200)가 이벤트 관리 서버(400)의 중계를 통해 포털 서버(300)에 간접적으로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의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벤트 관리 서버(400) 없이, 클라우드 서버(200)가 포털 서버(300)에 직접적으로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벤트 관리 서버(400)는 솔루션 변경 이벤트를 생성하여 게재할 수 있다.(S625) 이벤트 관리 서버(400)는 클라우드 서버(200)의 요청에 따라 솔루션 변경 이벤트의 발생 사실을 게재할 수 있다.
포털 서버(3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가 게재한 솔루션 변경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S630) 포털 서버(3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의 정보를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포털 서버(3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서 게재하는 이벤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거나, 솔루션 변경 이벤트 발생사실을 통지해 줄 것을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다.
포털 서버(3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이 과금 처리의 대상인지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확인하여 검증할 수 있다.(S635) 포털 서버(300)는 화상 형성 장치가(100) 등록된 계정에 대응되는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구비할 수 있다.
포털 서버(3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이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과금 처리를 하여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솔루션 제거 이벤트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640) 포털 서버(3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검출된 솔루션의 정보와 함께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솔루션 제거 이벤트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에서는, 포털 서버(300)가 이벤트 관리 서버(400)의 중계를 통해 과금 서버(500)에 간접적으로 과금 처리를 요청하는 방식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벤트 관리 서버(400) 없이, 포털 서버(300)가 과금 서버(500)에 직접적으로 과금 처리를 요청할 수도 있다.
이벤트 관리 서버(400)는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솔루션 제거 이벤트를 생성하여 게재할 수 있다.(S645) 이벤트 관리 서버(400)는 포털 서버(300)의 요청에 따라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솔루션 제거 이벤트의 발생 사실을 게재할 수 있다.
과금 서버(5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가 게재한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솔루션 제거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S650) 과금 서버(5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의 정보를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과금 서버(5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서 게재하는 이벤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거나,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솔루션 제거 이벤트의 발생사실을 통지해 줄 것을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다.
과금 서버(5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처리할 수 있다.(S655) 과금 서버(500)는 검출된 솔루션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된 솔루션이면,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시작하고, 검출된 솔루션이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제거된 솔루션이면,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중단할 수 있다.
도 7은 클라우드 서버(200)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을 주기적으로 검출하고, 과금 서버(500)가 포털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확인하여 과금을 처리하는 과금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살펴본 도 6의 과금 프로세스와 도 7의 과금 프로세스를 비교해 보면, 도 7의 과금 프로세스는 포털 서버(300)가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과금 서버(500)와 공유함에 따라, 과금 서버(500)가 이벤트 관리 서버(400)가 게재한 솔루션 변경 이벤트에 연동하여 과금을 처리함을 알 수 있다. 도 7의 S720 내지 S740은 앞서 설명한 도 6의 S605 내지 S625에 대응되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포털 서버(3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하여 사용하기 위해 유저가 계정에 대응시켜 선정해놓은 솔루션들을 솔루션 구독 리스트로써 관리할 수 있다.(S705) 리셀러는 포털 서버(500)를 통해, 자신의 계정에 대응되는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구성하여, 해당 계정에 등록된 화상 형성 장치(100)에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포함된 솔루션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포털 서버(300)는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과금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S710) 포털 서버(300)는 솔루션 구독 리스트가 업데이트되면, 업데이트된 솔루션에 대한 정보를 과금 서버(5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과금 서버(500)는 포털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S715) 이에 따라, 과금 서버(500)는 외부로부터 과금 관리 요청이 있으면, 과금 처리의 대상인지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확인하여 검증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된 솔루션을 나타내는 솔루션 리스트 요청을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720)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솔루션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S725)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솔루션 리스트와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된 솔루션 리스트를 비교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을 검출할 수 있다.(S730)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이 있으면,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검출된 솔루션의 정보와 함께 솔루션 변경 이벤트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735) 이벤트 관리 서버(400)는 솔루션 변경 이벤트를 생성하여 게재할 수 있다.(S740)
과금 서버(5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가 게재한 솔루션 변경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S745) 과금 서버(5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의 정보를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과금 서버(5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서 게재하는 이벤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거나, 솔루션 변경 이벤트 발생사실을 통지해 줄 것을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다.
과금 서버(5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이 과금 처리의 대상인지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확인하여 검증할 수 있다.(S750) 과금 서버(500)는 앞서 살펴본 S705 내지 S715의 프로세스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가(100) 등록된 계정에 대응되는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미리 구비할 수 있다. 과금 서버(5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이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과금 처리를 하여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과금 서버(5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처리할 수 있다.(S755) 과금 서버(500)는 검출된 솔루션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된 솔루션이면,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시작하고, 검출된 솔루션이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제거된 솔루션이면,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중단할 수 있다.
도 8은 클라우드 서버(200)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솔루션을 새로 설치하거나 제거하고, 과금 서버(500)가 포털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확인하여 과금을 처리하는 과금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살펴본 도 7의 과금 프로세스와 도 8의 과금 프로세스를 비교해 보면, 도 8의 과금 프로세스는 포털 서버(300)의 요청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200)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솔루션을 새로 설치하거나 제거하고, 과금 서버(500)가 이벤트 관리 서버(400)가 게재한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솔루션 제거 이벤트에 연동하여 과금을 처리함을 알 수 있다. 도 8의 S805 내지 S815, S865, 및 S870은 앞서 설명한 도 7의 S705 내지 S715, S750, 및 S755에 대응되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포털 서버(3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하여 사용하기 위해 유저가 계정에 대응시켜 선정해놓은 솔루션들을 솔루션 구독 리스트로써 관리할 수 있다.(S805) 포털 서버(300)는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과금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S810) 과금 서버(500)는 포털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S815)
포털 서버(300)는 포털 서버(300)에서 관리되는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에 솔루션을 새로 설치하거나 제거할 것을 클라우드 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S820) 이와 함께, 포털 서버(300)는 클라우드 서버(200)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솔루션 리스트 요청을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솔루션을 새로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S825) 클라우드 서버(200)는 포털 서버(300)의 요청에 따른 솔루션의 설치 파일이나 제거 파일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여, 솔루션의 설치 파일이나 제거 파일을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솔루션의 설치 완료 통지나 솔루션의 제거 완료 통지를 수신할 수 있다.(S830) 화상 형성 장치(100)는 클라우드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솔루션의 설치 파일이나 제거 파일을 실행시켜, 솔루션의 설치나 제거가 완료되면, 솔루션의 설치 완료 통지나 솔루션의 제거 완료 통지를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된 솔루션을 나타내는 솔루션 리스트 요청을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835) 클라우드 서버(200)는 솔루션의 설치 완료 통지 또는 솔루션의 제거 완료 통지가 수신된 후, 화상 형성 장치(100)에 솔루션 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솔루션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S840) 클라우드 서버(200)는 솔루션 리스트를 화상 형성 장치(100)에 요청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가장 최근에 설치 완료 또는 제거 완료된 솔루션의 정보까지 반영된 솔루션 리스트를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솔루션을 새로 설치하거나 제거한 후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솔루션 리스트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하거나 제거한 솔루션이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을 검출할 수 있다.(S845) 즉, 클라우드 서버(200)는 솔루션의 설치나 제거를 완료한 후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솔루션 리스트에 자신이 새로 설치하거나 제거 완료한 솔루션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을 검출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이 있으면, 과금 처리를 하여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솔루션 제거 이벤트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850) 클라우드 서버(2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검출된 솔루션의 정보와 함께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솔루션 제거 이벤트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벤트 관리 서버(400)는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솔루션 제거 이벤트를 생성하여 게재할 수 있다.(S855) 이벤트 관리 서버(400)는 클라우드 서버(200)의 요청에 따라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솔루션 제거 이벤트의 발생 사실을 게재할 수 있다.
과금 서버(5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가 게재한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솔루션 제거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S860) 과금 서버(5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의 정보를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과금 서버(5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서 게재하는 이벤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거나,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솔루션 제거 이벤트의 발생사실을 통지해 줄 것을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다.
과금 서버(5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이 과금 처리의 대상인지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확인하여 검증할 수 있다.(S865) 과금 서버(500)는 검출된 솔루션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된 솔루션이면,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시작하고, 검출된 솔루션이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제거된 솔루션이면,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중단할 수 있다.(S870)
도 9는 포털 서버(300)가 클라우드 서버(200)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하거나 제거한 솔루션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고, 포털 서버(300)에 저장된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확인하여 과금 처리를 요청하는 과금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살펴본 도 8의 과금 프로세스와 도 9의 과금 프로세스를 비교해 보면, 도 9의 과금 프로세스는 포털 서버(300)가 과금 관리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을 과금 관리를 위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기록하여 관리한다. 포털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에 검출된 솔루션이 새로 설치된 것인지 제거된 것인지 구분하여 태스크로써 등록하고,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처리 진행 상황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태스크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9의 S905 내지 S940은 앞서 설명한 도 8의 S820 내지 S855에 대응되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포털 서버(300)는 포털 서버(300)에서 관리되는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에 솔루션을 새로 설치하거나 제거할 것을 클라우드 서버(200)에 요청하고, 클라우드 서버(200)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솔루션 리스트 요청을 전송할 것을 함께 요청할 수 있다.(S905) 클라우드 서버(200)는 포털 서버(300)의 요청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에 솔루션을 새로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S910)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솔루션의 설치 완료 통지나 솔루션의 제거 완료 통지를 수신할 수 있다.(S915)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된 솔루션을 나타내는 솔루션 리스트 요청을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920)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솔루션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S925)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솔루션을 새로 설치하거나 제거한 후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솔루션 리스트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하거나 제거한 솔루션이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을 검출할 수 있다.(S930)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이 있으면, 과금 처리를 하여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솔루션 제거 이벤트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935) 이벤트 관리 서버(400)는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솔루션 제거 이벤트를 생성하여 게재할 수 있다.(S940)
포털 서버(3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가 게재한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솔루션 제거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S945) 포털 서버(3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의 정보를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포털 서버(3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서 게재하는 이벤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거나,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솔루션 제거 이벤트의 발생사실을 통지해 줄 것을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다.
포털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에 검출된 솔루션이 새로 설치된 것인지 제거된 것인지 구분하여 태스크로써 등록하고,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검출된 솔루션이 포함되는지 검증한 결과에 따라, 태스크의 상태를 준비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S950) 포털 서버(300)는 활성화 상태로 변경된 태스크에 대응되는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도 10은 포털 서버(300)가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솔루션 "HP for Dropbox"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경우, 포털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에 솔루션 "HP for Dropbox"가 새로 설치된 것인지 제거된 것인지 구분하여 태스크로써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솔루션 "HP for Dropbox"에 대응되는 설치 태스크 또는 제거 태스크의 상태는 준비 상태로 설정되고, 날짜 및 시각이 "2019-12-17 17:45"으로 기록될 수 있다. 이후, 포털 서버(300)는 솔루션 "HP for Dropbox"가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검증한 결과에 따라, "HP for Dropbox"에 대응되는 설치 태스크 또는 제거 태스크의 상태를 준비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시키고, 날짜 및 시각을 "2019-12-17 17:50"으로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솔루션 "HP for Dropbox"에 대응되는 설치 태스크 또는 제거 태스크의 상태가 활성화 상태가 되면, 포털 서버(300)는 솔루션 "HP for Dropbox"에 대한 과금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포털 서버(3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제거 이벤트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955) 포털 서버(3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검출된 솔루션의 정보와 함께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제거 이벤트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벤트 관리 서버(400)는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제거 이벤트를 생성하여 게재할 수 있다.(S960) 이벤트 관리 서버(400)는 포털 서버(300)의 요청에 따라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제거 이벤트의 발생 사실을 게재할 수 있다.
과금 서버(5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가 게재한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제거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S965) 과금 서버(5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의 정보를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과금 서버(5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서 게재하는 이벤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거나,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제거 이벤트의 발생사실을 통지해 줄 것을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다.
과금 서버(5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처리할 수 있다.(S970) 과금 서버(500)는 검출된 솔루션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된 솔루션이면,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시작하고, 검출된 솔루션이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제거된 솔루션이면,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중단할 수 있다.
과금 서버(5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완료 이벤트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975) 과금 서버(5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과금 처리를 수행한 솔루션의 정보와 함께 완료 이벤트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벤트 관리 서버(400)는 완료 이벤트를 생성하여 게재할 수 있다.(S980) 이벤트 관리 서버(400)는 과금 서버(300)의 요청에 따라 완료 이벤트의 발생 사실을 게재할 수 있다.
포털 서버(3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가 게재한 완료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S985) 포털 서버(300)는 과금 서버(500)가 과금을 처리한 솔루션의 정보를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포털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에 과금 서버(500)가 과금을 처리한 솔루션에 대응되는 태스크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에서 완료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S990) 이에 따라, 포털 서버(300)는 완료 상태로 변경된 태스크에 대응되는 솔루션에 대한 과금 처리가 수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HP for Dropbox"에 대응되는 설치 태스크 또는 제거 태스크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에서 완료 상태로 변경시키고, 날짜 및 시각을 "2019-12-17 17:55"으로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솔루션 "HP for Dropbox"에 대응되는 설치 태스크 또는 제거 태스크의 상태가 완료 상태가 되면, 포털 서버(300)는 솔루션 "HP for Dropbox"에 대한 과금 처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도 11은 클라우드 서버(200)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을 주기적으로 검출하고, 포털 서버(300)가 검출된 솔루션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고, 포털 서버(300)에 저장된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확인하여 과금 처리를 요청하는 과금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살펴본 도 9의 과금 프로세스와 도 11의 과금 프로세스를 비교해 보면, 도 11의 과금 프로세스는 클라우드 서버(200)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솔루션을 새로 설치하거나 제거함이 없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솔루션 리스트 요청을 전송함에 따라 과금 프로세스가 시작됨을 알 수 있다. 도 9의 S1135 내지 S1175은 앞서 설명한 도 9의 S950 내지 S990에 대응되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된 솔루션을 나타내는 솔루션 리스트 요청을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1105) 클라우드 서버(200)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거나 소정의 주기가 되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솔루션 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솔루션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S1110) 클라우드 서버(200)는 솔루션 리스트를 화상 형성 장치(100)에 요청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솔루션 리스트를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솔루션 리스트와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된 솔루션 리스트를 비교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을 검출할 수 있다.(S1115)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대해 제공한 솔루션을 나타내는 솔루션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며, 이를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솔루션 리스트와 비교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된 솔루션에 변경이 있는지 검출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두 솔루션 리스트들을 비교하여, 식별된 솔루션들 간에 차이가 있으면, 솔루션 변경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솔루션 변경 이벤트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120)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이 있으면,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검출된 솔루션의 정보와 함께 솔루션 변경 이벤트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벤트 관리 서버(400)는 솔루션 변경 이벤트를 생성하여 게재할 수 있다.(S1125) 이벤트 관리 서버(400)는 클라우드 서버(200)의 요청에 따라 솔루션 변경 이벤트의 발생 사실을 게재할 수 있다.
포털 서버(3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가 게재한 솔루션 변경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S1130) 포털 서버(3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의 정보를 이벤트 관리 서버(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포털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에 검출된 솔루션이 새로 설치된 것인지 제거된 것인지 구분하여 태스크로써 등록하고,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검출된 솔루션이 포함되는지 검증한 결과에 따라, 태스크의 상태를 준비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S1135) 포털 서버(3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제거 이벤트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140) 이벤트 관리 서버(400)는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제거 이벤트를 생성하여 게재할 수 있다.(S1145) 과금 서버(5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가 게재한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제거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S1150) 과금 서버(5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처리할 수 있다.(S1155) 과금 서버(5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완료 이벤트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160) 이벤트 관리 서버(400)는 완료 이벤트를 생성하여 게재할 수 있다.(S1165) 포털 서버(3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가 게재한 완료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S1170) 포털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에 과금 서버(500)가 과금을 처리한 솔루션에 대응되는 태스크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에서 완료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S1175)
한편, 포털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공간 관리를 위해, 소정의 기간이 경과된 완료 상태의 태스크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삭제할 수 있다.(S1180) 태스크의 상태가 완료 상태인 것은 해당 태스크에 대응되는 과금 처리가 이미 수행완료 되었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태스크를 삭제할 수 있다.
도 12는 클라우드 서버(200)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을 주기적으로 검출하고, 포털 서버(300)가 검출된 솔루션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고, 포털 서버(300)에 저장된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확인하여 과금 처리를 주기적으로 요청하는 과금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살펴본 도 11의 과금 프로세스와 도 12의 과금 프로세스를 비교해 보면, 도 12의 과금 프로세스는 포털 서버(300)가 활성화 상태로 변경된 태스크에 대응되는 솔루션에 대한 과금 처리를 태스크의 상태가 완료 상태로 변경될 때까지, 재요청함을 알 수 있다. 도 12의 S1205 내지 S1250 및 S1275 내지 S1295는 앞서 설명한 도 11의 S1105 내지 S1150 및 S1155 내지 S1175에 대응되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된 솔루션을 나타내는 솔루션 리스트 요청을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1205)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솔루션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S1210)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솔루션 리스트와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된 솔루션 리스트를 비교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을 검출할 수 있다.(S1215) 클라우드 서버(2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솔루션 변경 이벤트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220) 이벤트 관리 서버(400)는 솔루션 변경 이벤트를 생성하여 게재할 수 있다.(S1225) 포털 서버(3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가 게재한 솔루션 변경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S1230) 포털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에 검출된 솔루션이 새로 설치된 것인지 제거된 것인지 구분하여 태스크로써 등록하고,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검출된 솔루션이 포함되는지 검증한 결과에 따라, 태스크의 상태를 준비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S1235) 포털 서버(3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제거 이벤트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240) 이벤트 관리 서버(400)는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제거 이벤트를 생성하여 게재할 수 있다.(S1245) 과금 서버(5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가 게재한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설치 이벤트 또는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제거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S1250)
이때,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문제가 발생되어, 위의 S1240 내지 S1250에 대응되는 프로세스 중 일부가 진행되지 않아 과금 프로세스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과금 서버(5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처리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를 대비하여, 포털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활성화 상태로 기록된 태스크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해당 태스크에 대응되는 솔루션의 과금 처리를 재요청할 수 있다.
포털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태스크의 상태가 활성화 상태인 태스크를 조회할 수 있다.(S1255) 포털 서버(300)는 태스크의 상태가 완료 상태로 변경되지 않은, 활성화 상태의 태스크를 조회하여, 해당 태스크에 대응되는 솔루션의 과금 처리를 재요청할 수 있다.
포털 서버(3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설치 제2 이벤트 또는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제거 제2 이벤트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260) 포털 서버(300)는 활성화 상태의 태스크에 대응되는 솔루션의 정보와 함께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설치 제2 이벤트 또는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제거 제2 이벤트 생성 요청을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벤트 관리 서버(400)는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설치 제2 이벤트 또는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제거 제2 이벤트를 생성하여 게재할 수 있다.(S1265)
과금 서버(5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가 게재한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설치 제2 이벤트 또는 과금 서버(500)용 솔루션 제거 제2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S1270) 과금 서버(500)는 포털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솔루션의 정보를 함께 확인할 수 있다.
과금 서버(5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처리할 수 있다.(S1275) 과금 서버(5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에 완료 이벤트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280) 이벤트 관리 서버(400)는 완료 이벤트를 생성하여 게재할 수 있다.(S1285) 포털 서버(300)는 이벤트 관리 서버(400)가 게재한 완료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S1290) 포털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에 과금 서버(500)가 과금을 처리한 솔루션에 대응되는 태스크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에서 완료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S1295)
도 13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과금 관리 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버(200), 포털 서버(300), 이벤트 관리 서버(400), 및 과금 서버(500)와 같은 분산된 여러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이 중 일부 서버의 역할은 다른 서버에서 대신하거나 제외될 수도 있으며, 복수 개의 서버들이 하나의 서버 형태로 통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블록 S1310에서, 과금 관리 시스템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된 솔루션을 나타내는 솔루션 리스트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금 관리 시스템의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된 솔루션 리스트와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된 솔루션 리스트를 비교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을 검출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된 솔루션 리스트는 클라우드 서버(200)의 주기적인 요청이나 화상 형성 장치(100)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주기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클라우드 서버(220)가 아닌 다른 경로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도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과금 관리 시스템의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솔루션을 새로 설치하거나 제거한 후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솔루션 리스트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하거나 제거한 솔루션이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을 검출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솔루션이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후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솔루션 리스트에서 자신이 새로 설치하거나 제거 완료한 솔루션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을 검출할 수 있다.
블록 S1320에서, 과금 관리 시스템은 화상 형성 장치가(100) 등록된 계정에 대응되는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검출된 솔루션이 포함되는지 검증할 수 있다. 과금 관리 시스템의 포털 서버(300) 또는 과금 서버(500)는 화상 형성 장치가(100) 등록된 계정에 대응되는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구비할 수 있다. 과금 관리 시스템의 포털 서버(300) 또는 과금 서버(5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이 과금 처리의 대상인지 솔루션 구독 리스트를 이용하여 검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이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과금을 해야되는 대상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반면,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이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과금을 중단 해야되는 대상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과금 관리 시스템의 포털 서버(300)는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검출된 솔루션이 포함되는지 검증한 결과에 따라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처리 상태를 설정하고, 설정된 과금 처리 상태에 따라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과금 관리 시스템의 포털 서버(300)는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검출된 솔루션이 포함되면,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처리 상태를 준비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과금 관리 시스템의 포털 서버(300)는 설정된 과금 처리 상태가 완료 상태로 설정될 때까지,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처리를 주기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과금 관리 시스템의 포털 서버(300)는 추후에,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처리가 수행되면, 설정된 과금 처리 상태를 활성화 상태에서 완료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과금 관리 시스템의 포털 서버(300)는 과금 관리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을 과금 관리를 위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기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과금 관리 시스템의 포털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에 검출된 솔루션이 새로 설치된 것인지 제거된 것인지 구분하여 태스크로써 등록하고,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검출된 솔루션이 포함되는지 검증한 결과에 따라, 태스크의 상태를 준비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과금 관리 시스템의 포털 서버(300)는 활성화 상태로 변경된 태스크에 대응되는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과금 관리 시스템의 포털 서버(300)는 활성화 상태로 변경된 태스크의 상태가 완료 상태로 변경될 때까지,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처리를 주기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한편, 과금 관리 시스템의 포털 서버(300)는 추후에,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처리가 수행되면, 태스크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에서 완료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블록 S1330에서, 과금 관리 시스템은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이 포함되는지 검증한 결과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것으로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처리할 수 있다.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검출된 솔루션이 포함되는 경우, 과금 관리 시스템의 과금 서버(500)는 검출된 솔루션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새로 설치된 솔루션이면,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시작하고, 검출된 솔루션이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제거된 솔루션이면,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중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관리 방법은 화상 형성 장치,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 형성 장치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read-only memory (ROM), random-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CD-ROMs, CD-Rs, CD+Rs, CD-RWs, CD+RWs, DVD-ROMs, DVD-Rs, DVD+Rs, DVD-RWs, DVD+RWs, DVD-RAMs, BD-ROMs, BD-Rs, BD-R LTHs, BD-REs, 마그네틱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자기 데이터 저장 장치,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솔리드-스테이트 디스크(SSD), 그리고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나 컴퓨터가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나 컴퓨터에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다.

Claims (15)

  1.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된 솔루션을 나타내는 솔루션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등록된 계정에 대응되는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상기 검출된 솔루션이 포함되는지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한 결과에 따라, 상기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금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솔루션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새로 설치된 솔루션이면, 상기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시작하고, 상기 검출된 솔루션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거된 솔루션이면, 상기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중단하는, 과금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루션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된 상기 솔루션 리스트와 서버에 저장된 솔루션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을 검출하는, 과금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루션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솔루션이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후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솔루션 리스트에서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을 검출하는, 과금 관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상기 검출된 솔루션이 포함되는지 검증한 결과에 따라, 상기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처리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과금 처리 상태에 따라 상기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금 관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처리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상기 검출된 솔루션이 포함되면, 상기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처리 상태를 준비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설정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과금 처리 상태가 완료 상태로 설정될 때까지, 상기 검출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처리를 주기적으로 요청하는, 과금 관리 방법.
  8.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화상 형성 장치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등록된 계정에 대응되는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검증하고, 상기 검증한 결과에 따라, 상기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처리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을 통해 과금 서버에 요청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새로 설치된 솔루션이 상기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포함되면, 상기 새로 설치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시작을 상기 과금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거된 솔루션이 상기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포함되면, 상기 제거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중단을 상기 과금 서버에 요청하는, 서버.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은,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된 솔루션을 나타내는 솔루션 리스트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솔루션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솔루션 리스트를 비교하여, 검출된 것인, 서버.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솔루션이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후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솔루션 리스트에서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으로 검출된 것인, 서버.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상기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이 포함되는지 검증한 결과에 따라, 상기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처리 상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과금 처리 상태에 따라 상기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처리를 요청하는, 서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상기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이 포함되면, 상기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처리 상태를 준비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설정하는, 서버.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설정된 과금 처리 상태가 완료 상태로 설정될 때까지, 상기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처리를 주기적으로 요청하는, 과금 관리 시스템.
  15.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화상 형성 장치에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등록된 계정에 대응되는 솔루션 구독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검증하고, 상기 검증한 결과에 따라, 상기 새로 설치되거나 제거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을 처리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과금 서버.
KR1020200037402A 2020-03-27 2020-03-27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관리 KR20210121349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402A KR20210121349A (ko) 2020-03-27 2020-03-27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관리
PCT/US2020/049017 WO2021194545A1 (en) 2020-03-27 2020-09-02 Billing management for solution installed in image forming apparatus
US17/760,832 US20220343379A1 (en) 2020-03-27 2020-09-02 Billing management for solution installed in image forming apparatus
CN202080091750.8A CN114902260A (zh) 2020-03-27 2020-09-02 安装在图像形成装置中的解决方案的计费管理
EP20926820.0A EP4128114A1 (en) 2020-03-27 2020-09-02 Billing management for solution installed in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402A KR20210121349A (ko) 2020-03-27 2020-03-27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349A true KR20210121349A (ko) 2021-10-08

Family

ID=77892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402A KR20210121349A (ko) 2020-03-27 2020-03-27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관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43379A1 (ko)
EP (1) EP4128114A1 (ko)
KR (1) KR20210121349A (ko)
CN (1) CN114902260A (ko)
WO (1) WO2021194545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98948B1 (en) * 2002-09-13 2013-11-06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s used therein and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DE60330425D1 (de) * 2002-09-13 2010-01-21 Ricoh Kk Bilderzeugungsgerät und Verfahren zur Kontrolle der Benutzung
US9817622B2 (en) * 2010-01-20 2017-11-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loud printer with a common user print experience
JP5473651B2 (ja) * 2010-02-08 2014-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管理システム、監視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9305162B2 (en) * 2013-07-31 2016-04-05 Good Technology Corporation Centralized selective application approval for mobile devices
KR20170131123A (ko) * 2016-05-20 2017-11-29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의 인쇄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28114A1 (en) 2023-02-08
US20220343379A1 (en) 2022-10-27
WO2021194545A1 (en) 2021-09-30
CN114902260A (zh) 2022-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9222B2 (en) Device system, source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CN112822298B (zh) 业务服务扩缩容方法、装置、介质和电子设备
JP6488673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管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
US915234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hat includes multiple information processors and executes process according to request received via network,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rein
WO2017017925A1 (en)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the same
CN108075924A (zh) 管理系统和控制方法
US10481952B2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659331B2 (en) Network system, device management method, network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KR20210121349A (ko)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된 솔루션에 대한 과금 관리
US11188662B2 (en) Encrypted data backup and restoration for image forming apparatuses using cloud
US2018035713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manages data on client, backup method therefor,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US20220229884A1 (en) Url management in image forming apparatus
US11543760B2 (en)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non-genuine toner cartridge
JP2024007173A (ja) 印刷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21262233A1 (en) Toner refill guide
JP2009043151A (ja) 課金管理装置及び課金管理方法
JP2008152428A (ja) 管理装置、管理方法、記憶媒体、プログラム
JP2018124827A (ja) 第1のサーバー、第2のサーバー、システム、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210121348A (ko)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등록
KR20200086962A (ko) 화상 형성 장치에서 블록체인을 기반한 작업 관리 및 수행
KR20210088100A (ko) 디바이스 리셋 후의 어플리케이션의 복구
KR20230060044A (ko) 프라이머리 장치를 통한 세컨더리 장치의 온보딩
US953190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2023163807A (ja)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183022A1 (en) Device onboarding based on device categ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