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962A - 화상 형성 장치에서 블록체인을 기반한 작업 관리 및 수행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에서 블록체인을 기반한 작업 관리 및 수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962A
KR20200086962A KR1020190003394A KR20190003394A KR20200086962A KR 20200086962 A KR20200086962 A KR 20200086962A KR 1020190003394 A KR1020190003394 A KR 1020190003394A KR 20190003394 A KR20190003394 A KR 20190003394A KR 20200086962 A KR20200086962 A KR 20200086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job
user
forming apparatus
led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종
유현우
남궁민
김정헌
정현인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90003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6962A/ko
Priority to PCT/US2019/040954 priority patent/WO2020146009A1/en
Priority to US17/260,348 priority patent/US11283957B2/en
Publication of KR20200086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06F16/2379Updates performed during online database operations; commit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6Protecting data by securing the transmission between two devices or processes
    • G06F21/608Secure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22Increasing security of the print jo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8Secure printing, e.g. user identification, user rights for device usage, unallowed content, blanking portions or fields of a page, releasing held job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 G06F3/1262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by grouping or ganging job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1Pool of printer devices: self-managing printing devices in a network, e.g. without a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4Group management mechanisms 
    • H04L67/1046Join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61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node-based peer discovery mechanisms
    • H04L67/1065Discovery involving distributed pre-established resource-based relationships among peers, e.g. based on distributed hash tables [D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54Scheduling operations or managing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57Compiling jobs, e.g. for batch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13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involving the use of passwords, ID codes or the like, e.g.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2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involving separate means, e.g. a server, a magnetic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33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to an apparatus, part of an apparatus or an apparatus f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Abstract

본 개시는, 제1 사용자의 계정에 대응되는 제1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인증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이 인증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권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작업 정보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소정 화상 형성 작업에 대한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기록한 원장을 분산하여 관리하는 블록체인에 기초하여, 상기 원장으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작업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작업 리스트에서 선택된 제1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에서 블록체인을 기반한 작업 관리 및 수행{MANAGE AND PERFORM JOB BASED ON BLOCKCHAIN IN IMAGE FORMING DEVICE}
화상 형성 장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소정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사용자의 전자 장치로부터 소정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을 수신하고, 소정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저장된 소정 파일의 출력 명령에 따라, 소정 파일의 출력물을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기록한 원장을 관리하는 복수의 노드들 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관리되는 원장으로부터 소정 사용자의 작업 리스트가 획득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원장에 소정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가 기록된 블록을 추가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작업 정보가 기록된 블록 및 블록들이 연결된 블록체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각 노드가 보유한 원장에 소정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가 기록된 블록을 추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작업 정보가 기록된 블록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외부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획득하고,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서 표시되는 관리자의 실행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란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팩스기(fax machine),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화상 형성 작업"은 인쇄, 스캔, 또는 팩스 중 적어도 하나의 작업일 수 있다.
"블록체인"은 무결성을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해 순서에 따라 연결된 블록들이 소정 화상 형성 작업에 대한 작업 정보를 암호화 기법과 보안기술을 이용해 협상하는 알고리즘으로 구성된 소프트웨어 요소를 활용하는 원장(ledger)의 분산 P2P (Peer to Peer)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은 작업 정보를 기록한 원장을 특정 기관의 중앙 서버가 아닌 P2P 네트워크에 분산하여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이 공동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노드"는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에서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예를 들면, 노드는, 화상 형성 장치, NAS(Network Attached Storage),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증 정보"는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를 사용할 때 사용자임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증 정보에는, 사용자의 아이디, 사용자의 이름, 패스워드, 이메일 주소, 전화 번호, 주소, 사용자의 아이디에 매핑된 권한 아이디, 인증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인증 정보에는, 사용자의 지문, 음성, 홍채 등 사용자임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기록한 원장을 관리하는 복수의 노드들 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복수의 노드들(10-1, 10-2, 10-3, 10-4)은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소정 화상 형성 작업에 대한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복수의 노드들(10-1, 10-2, 10-3, 10-4)은 화상 형성 장치,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소정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는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 복수의 노드들(10-1, 10-2, 10-3, 10-4) 중 제1 화상 형성 장치(10-1)에 액세스 할 수 있다. 각 노드들(10-1, 10-2, 10-3, 10-4)은 화상 형성 작업에 대한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기록한 원장을 보유할 수 있다. 각 노드들(10-1, 10-2, 10-3, 10-4)이 보유한 원장에 기록된 정보는 동일할 수 있다. 원장에는 복수의 사용자가 소정 노드에 저장한 작업과 관련된 작업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 정보에는, 작업의 아이디, 작업의 이름, 작업과 관련된 파일이 저장된 노드의 위치 및 저장 기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화상 형성 장치(10-1)에서 제1 사용자의 제1 작업 리스트의 생성이 요청 되면,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는 원장으로부터 제1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획득하여, 제1 작업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작업 리스트에는, 제2 노드(10-2), 제3 노드(10-3), 제4 노드(10-4)에서 저장된 작업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는 제1 작업 리스트를 통해 제2 노드(10-2), 제3 노드(10-3), 제4 노드(10-4)에서 저장하였던 제1 사용자의 작업들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는 제1 작업 리스트에서 제2 노드(10-2)에 저장한 소정 파일을 선택하고, 소정 파일의 출력을 요청할 수 있다.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는 소정 파일에 대한 출력물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상 형성 장치(10-1)에서 제1 사용자의 소정 작업과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되면,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는 소정 작업에 대한 작업 정보를 원장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는 블록체인의 네트워크(50)의 외부의 화상 형성 장치(11-1)로부터 소정 사용자의 작업 정보의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는 원장으로부터 소정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획득하여 소정 사용자의 작업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는 소정 사용자의 작업 리스트를 외부의 화상 형성 장치(11-1)로 송신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21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1 사용자의 계정에 대응되는 제1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제1 사용자의 아이디 정보, 제1 사용자의 아이디에 대한 패스워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220에서, 제1 인증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의 계정이 인증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1 사용자의 사용 권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을 준비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23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1 사용자의 작업 정보의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된 제1 사용자의 작업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24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소정 화상 형성 작업에 대한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기록한 원장을 분산하여 관리하는 블록체인에 기초하여, 원장으로부터 제1 사용자의 제1 작업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10)는 원장으로부터 제1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 중에서 제1 사용자의 작업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 노드들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노드들로 소정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노드로부터 소정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2 노드의 전원이 온 상태임을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노드로부터 소정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2 노드의 전원이 오프 상태임을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작업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제1 작업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작업 리스트에는 비활성화된 작업의 리스트도 포함될 수 있다. 제1 작업 리스트는 원장에 기록된 작업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므로, 제1 사용자는 소정 작업 정보와 관련된 노드의 활성화 여부와 관계없이, 제1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의 제1 작업 리스트를 통해, 제1 사용자는 소정 작업과 관련된 파일이 저장된 노드의 위치 및 노드의 동작 상태를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노드들 중에서 전원이 온 상태인 노드에 저장된 작업을 활성화된 작업으로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노드들 중에서 전원이 오프 상태인 노드에 저장된 작업을 비활성화된 작업으로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활성화된 작업과 비활성화된 작업을 구분하여 제1 작업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25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1 작업 리스트에서 선택된 제1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1 작업 리스트를 화상 형성 장치(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제1 작업 리스트 내의 제1 작업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1 작업이 저장된 외부 장치로 제1 작업과 관련된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외부 장치로부터 제1 작업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1 작업에 관련된 제1 파일을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소정 노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1 파일에 대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여 제1 파일의 제1 출력물을 출력할 수 있다.
소정 화상 형성 작업에 대한 사용자의 작업 정보가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관리되는 원장에 기록 또는 저장됨으로써,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서버가 없이도, 사용자의 작업 정보가 관리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관리되는 원장으로부터 소정 사용자의 작업 리스트가 획득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사용자는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 제1 화상 형성 장치(10-1)에 액세스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는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소정 화상 형성 작업에 대한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기록한 원장을 보유할 수 있다.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는 제1 화상 형성 장치(10-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제1 사용자의 작업 정보의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는 원장에서 제1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는 원장으로부터 제2 화상 형성 장치(10-2)에 저장된 제1 파일과 관련된 제1 작업 정보, 제2 화상 형성 장치(10-2)에 저장된 제2 파일과 관련된 제2 작업 정보, 제3 화상 형성 장치(10-3)에 저장된 제3 파일과 관련된 제3 작업 정보, 제4 화상 형성 장치(10-4)에 저장된 제4 파일과 관련된 제4 작업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는 제2 화상 형성 장치(10-2), 제3 화상 형성 장치(10-3) 및 제4 화상 형성 장치(10-4)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는 동작 상태의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의 작업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는 제1 사용자의 작업 파일, 제1 사용자의 작업 파일이 저장된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활성화 상태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작업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의 활성화 상태 여부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제1 화상 형성 장치(10-1)에서 소정 파일의 출력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화상 형성 장치(10-2) 및 제4 화상 형성 장치(10-4)의 전원은 온 상태이고, 제3 화상 형성 장치(10-3)의 전원은 오프 상태일 수 있다.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는 작업 파일에 대해 작업이 가능한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의 작업 리스트(301)를 생성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원장에 소정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가 기록된 블록을 추가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41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1 화상 형성 작업을 요청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1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가 기록된 제1 후보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후보 블록에는 제1 사용자의 아이디, 제1 화상 형성 작업의 아이디, 제1 화상 형성 작업의 이름, 제1 화상 형성 작업과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 및 저장 기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데이터의 저장 기한이 설정됨으로써, 원장의 크기가 무한정 증가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1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송신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1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가 화상 형성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노드임을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기록하여 제1 후보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는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에서, 소정 기간 동안 소정 횟수를 초과하여 요청되는 제2 화상 형성 작업을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원장에 추가될 후보 블록 생성시에 제2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추가될 후보 블록에 추가할 수 있다. 즉, 화상 형성 장치(10)는 빈번하게 요청되는 작업과 관련된 파일을 블록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시점 및 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빈번하게 요청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42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각 노드들이 보유한 원장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10)가 보유한 원장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가 보유한 원장과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의 각 노드들이 보유한 원장이 매칭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10)가 보유한 원장을 노드들이 보유한 원장과 동기화 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43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노드들로 제1 후보 블록을 송신하고, 노드들로부터 제1 후보 블록의 승인을 수신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44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자치의 원장에 제1 후보 블록을 유효한 블록으로 추가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작업 정보가 기록된 블록 및 블록들이 연결된 블록체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은 유효한 작업 정보를 기록한 블록들이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블록체인의 데이터 구조는 작업 정보를 기록한 블록들이 순서대로 정렬된 단위로 구성된 소정의 데이터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의 데이터 구조는 각 블록 헤더가 이전 블록 헤더를 참조하여 체인 형식으로 연결된 데이터 구조, 및 작업 정보의 데이터를 가리키는 해시 참조와 작업 정보의 데이터가 트리 형태로 연결된 머클 트리의 데이터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블록은 블록 해시, 블록 헤더, 인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헤더는 타임스태프, 이전 블록 헤더의 해시값, 머클 트리의 루트, 난이도, 및 난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소정 노드의 블록체인은 제1 블록(510), 제2 블록(520), 제3 블록(530)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 블록(510, 520, 530)은 블록 해시(511, 521, 531), 블록 헤더(512, 522, 532), 작업 정보(513, 523, 533)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블록(510)에는 제1 작업의 작업 정보가 기록되고, 제2 블록(520)에는 제2 작업의 작업 정보가 기록되고, 제3 블록(530)에는 제3 작업의 작업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작업 정보에는 작업의 ID, 작업의 이름, 작업과 매핑된 사용자의 ID, 작업과 관련된 파일의 저장 위치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각 블록(510, 520, 530)에는 하나의 작업에 대한 작업 정보가 기록되었으나, 복수의 작업에 대한 작업 정보가 기록될 수도 있다.
블록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블록 해시는 타임스태프, 이전 블록 헤더의 해시값, 머클 트리의 루트, 난이도, 및 난스의 정보를 입력값으로 하여 적용된 해시 함수의 해시값일 수 있다. 즉, 블록 해시의 값은 블록 전체를 해시한 값이 아니라, 블록 헤더를 해시한 값일 수 있다.
이전 블록 헤더의 해시값은 각 블록 헤더를 고유하게 식별하고, 이전 블록 헤더를 참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각 블록 헤더가 이전 블록 헤더를 참조하면, 개별 블록 헤더와 블록의 순서는 유지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 블록(510)은 최초 블록이어서 이전 블록이 없으므로, 이전 블록 헤더를 가리키는 어떠한 참조도 없다. 따라서, 제1 블록(510)의 이전 블록 헤더의 해시값은 0이다. 또한, 제2 블록(520)은 이전 블록인 제1 블록(510)이 있으므로, 제2 블록(520)의 이전 블록 헤더의 해시값은 제1 블록 헤더(512)의 제1 블록 해시(511)를 갖는다. 또한, 제3 블록(530)은 이전 블록인 제2 블록(520)이 있으므로, 제3 블록(530)의 이전 블록 헤더의 해시값은 제2 블록 헤더(522)의 제2 블록 해시(521)를 갖는다.
머클 트리는 해시 참조와 작업 정보의 데이터가 트리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해시 참조는 암호화 해시값을 이용하여 작업 정보의 데이터를 가리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암호화 해시값은 데이터의 고유값이므로, 서로 다른 데이터들은 동일한 해시값을 갖지 않는다.
타임스태프는 작업 증명을 위해 작업을 시작한 시각을 의미할 수 있다. 난이도는 작업 증명 또는 해시 퍼즐에서의 제약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난스는 작업 증명을 위해 블록해시의 값이 제약 조건을 만족하도록 조절되는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노드에서 제1 블록(510) 및 제2 블록(520)을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보유하고 있고, 블록체인에 추가될 제3 블록(530)이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1 노드는 작업 정보(533)에 대한 머클 트리의 루트를 계산할 수 있다. 제1 노드는 블록체인에 추가될 제3 블록(530)의 입장에서 이전 블록 헤더를 가리키는 해시 참조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노드는 블록체인에 추가될 제3 블록(530)의 작업 증명 또는 제약 조건에서 필요한 난이도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노드는 머클 트리의 루트, 이전 블록 헤더를 가리키는 해시 참조, 난이도, 타임스태프의 데이터와 난스에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블록 해시의 값이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노드는 난스를 0부터 1씩 증가시키면서 제약 조건을 만족시키는 난스의 값을 획득하여 후보 블록에 대한 작업 증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후보 블록은 작업 증명이 완료되기 전 상태를 갖는 블록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노드는 블록체인에 후보 블록을 유효한 제3 블록(530)으로 추가할 수 있다. 제1 노드는 제3 블록(530)을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상의 다른 노드들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각 노드가 보유한 원장에 소정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가 기록된 블록을 추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는 제1 화상 형성 작업을 요청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는 제1 입력에 기초하여, 제1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가 기록된 후보 블록(601)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는 제N+1 작업의 ID, 제N+1 작업의 이름, 제N+1 작업과 매핑된 사용자의 ID, 제N+1 작업과 관련된 파일의 저장 위치를 포함하는 작업 정보를 후보 블록(601)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는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각 노드들(10-2, 10-3, 10-4)로 후보 블록(601)을 송신할 수 있다.
제2 노드(10-2)는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후보 블록(601)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노드(10-2)는 블록 내의 암호화된 작업 정보의 해시값과 작업 정보의 해시값을 비교하여 후보 블록(601)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후보 블록(601)의 유효성이 검증되면, 제2 노드(10-2)는 제1 노드로 후보 블록(601)의 승인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노드(10-3) 및 제4 노드(10-4)도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후보 블록(601)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제3 노드(10-3) 및 제4 노드(10-4)에서 후보 블록(601)의 유효성이 검증되면, 제3 노드(10-3) 및 제4 노드(10-4) 각각은 후보 블록(601)의 승인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화상 형성 장치(10-1)에서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 중 과반수 이상의 노드들로부터 후보 블록(601)의 승인을 알리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는 후보 블록(601)을 원장(610)에 제N+1 블록(611)으로 추가할 수 있다.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는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각 노드들(10-2, 10-3, 10-4)로 후보 블록(601)을 유효한 블록을 추가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제2 노드(10-2)는 제2 노드(10-2)가 보유한 원장(620)에 후보 블록(601)을 제N+1 블록(621)으로 추가할 수 있다. 제3 노드(10-3)는 제3 노드(10-3)가 보유한 원장(630)에 후보 블록(601)을 제N+1 블록(631)으로 추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 노드(10-4)는 제4 노드(10-4)가 보유한 원장(640)에 후보 블록(601)을 제N+1 블록(641)으로 추가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작업 정보가 기록된 블록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1 화상 형성 작업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1 사용자의 전자 장치로부터 제1 화상 형성 작업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1 화상 형성 작업과 관련된 데이터를 화상 형성 장치(10)의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상 형성 작업과 관련된 데이터는, 소정 화상 형성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파일일 수 있다.
제1 화상 형성 작업과 관련된 데이터의 용량의 크기가 소정 용량을 초과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1 화상 형성 작업과 관련된 데이터를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분산하여 저장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1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송신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1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소정 크기의 데이터로 분할하고, 분할된 데이터를 소정 노드에 할당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분할된 데이터를 할당된 노드로 송신할 수 있다. 각 노드는 수신된 데이터를 노드 내의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1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의 스토리지 내의 저장 공간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1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가 기록된 후보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로부터 후보 블록의 승인이 수신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후보 블록을 원장에 유효한 블록으로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블록(710)을 참고하면, 블록(710)에는 제N+1 작업과 관련된 작업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제N+1 작업과 관련된 작업 정보에는, 제N+1 작업의 ID, 제N+1 작업의 이름, 제N+1 작업과 매핑된 사용자의 ID, 제N+1 작업과 관련된 파일의 저장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N+1 작업과 관련된 파일이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에 분산되어 저장된 경우, 블록(710)에는 제N+1 작업 파일의 각 파일이 저장된 위치 정보(711, 712, 713)가 기록될 수 있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10)는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에서, 소정 기간 동안 소정 횟수를 초과하여 요청된 제2 화상 형성 작업을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원장에 추가될 후보 블록 생성시에 제2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로부터 후보 블록의 승인이 수신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후보 블록을 원장에 유효한 블록으로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블록(720)을 참고하면, 블록(720)에는 제N+1 작업과 관련된 작업 정보 및 제M 작업 파일(721)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시점 및 원하는 노드에서 블록에 저장된 제M 작업 파일(721)을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외부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획득하고,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제2 화상 형성 장치(11-1)의 동작 801에서, 제2 화상 형성 장치(11-1)는 제2 사용자의 계정에 대응되는 제2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화상 형성 장치(11-1)는 제2 인증 정보에 따라 제2 사용자의 계정을 인증할 수 있다.
제2 화상 형성 장치(11-1)의 동작 802에서, 제2 화상 형성 장치(11-1)는 제2 사용자의 작업 정보의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화상 형성 장치(11-1)의 동작 803에서, 제2 화상 형성 장치(11-1)는 제2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의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로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화상 형성 장치(11-1)은 블록체인의 네트워크의 외부에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일 수 있고, 블록체인에 기반하는 원장을 보유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화상 형성 장치(10-1)의 동작 804에서,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는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관리되는 원장으로부터, 제2 사용자의 제2 작업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는 원장으로부터 제2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는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 중에서 제2 사용자의 작업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 노드들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는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의 작업들 중에서 활성화된 작업에 대한 리스트를 나타내는 제2 작업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화상 형성 장치(10-1)의 동작 805에서, 제1 화상 형성 장치(10-1)는 제2 사용자의 제2 작업 리스트를 제2 화상 형성 장치(11-1)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화상 형성 장치(11-1)의 동작 806에서, 제2 화상 형성 장치(11-1)는 제2 사용자의 제2 작업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화상 형성 장치(11-1)는 소정 작업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화상 형성 장치(11-1)의 동작 807에서, 제2 화상 형성 장치(11-1)는 소정 작업에 대응되는 소정 파일이 저장된 노드로부터 소정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화상 형성 장치(11-1)는 소정 파일에 대응되는 출력물을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서 표시되는 관리자의 실행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이미지(910)을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관리자의 계정으로 화성 형성 장치에 액세스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관리자의 인증 정보에 따라 관리자의 계정이 인증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관리자의 권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을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0)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작업 로그 리스트를 설정하는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작업 로그 리스트는 화상 형성 장치(10)를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가 등록한 작업 정보가 기록된 리스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10)는 소정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작업 로그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소정 카테고리들은 사용자(911), 작업의 종류(912),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 위치(913) 일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소정 카테고리들 중 사용자(911)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9의 이미지(920)을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사용자 별로, 노드들에 저장된 작업과 관련된 작업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로그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 정보에는 사용자의 아이디, 파일 이름, 파일이 저장된 노드의 위치, 파일이 저장된 노드의 활성화 상태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9의 이미지(9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1 사용자의 작업 로그 리스트(921)와 제2 사용자의 작업 로그 리스트(922)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관리자는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복수의 사용자의 전체 작업 로그를 확인함으로써, 다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별도로 작업 로그를 조회하지 않아도 된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10)는 통신 장치(101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20), 스토리지(1030), 메모리(1040) 및 프로세서(10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살펴본다.
통신 장치(101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10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원장을 분산하여 관리하는 노드일 수 있다.
통신 장치(101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티커/바코드(e.g. NFC tag를 포함하는 스티커)등일 수도 있다. 또한,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통신 장치(1010)는, 예를 들어, 무선 랜(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SB(Universal Serial Bus), Wired Lan,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20)는 사용자로부터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한 입력 등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 결과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2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예를 들어,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 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2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030)는 복수의 사용자의 인증 정보 및 작업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토리지(1030)는 소정 사용자가 원장에 추가하기 위한 신규 작업과 관련된 작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규 작업과 관련된 작업 정보에는, 작업의 아이디, 작업과 관련된 파일, 작업과 관련된 파일의 저장 기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040)는 화상 형성 장치(10)와 관련된 프로그램, 데이터 또는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메모리(10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04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040)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40)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40)는 프로세서(105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2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1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50)는 각 기능에 대응되는 특화된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거나, 하나로 통합된 형태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20)를 통해 제1 사용자의 계정에 대응되는 제1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제1 인증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의 계정이 인증되면, 프로세서(1050)는 제1 사용자의 사용 권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을 준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제1 사용자의 작업 정보의 제공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5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20)를 통해 블록체인의 원장에 기록된 제1 사용자의 작업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소정 화상 형성 작업에 대한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기록한 원장을 분산하여 관리하는 블록체인에 기초하여, 원장으로부터 제1 사용자의 제1 작업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050)는 원장으로부터 제1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통신 장치(1010)를 통해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 중에서 제1 사용자의 작업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 노드들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50)는 통신 장치(1010)를 통해 노드들로 소정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노드로부터 소정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050)는 제2 노드의 전원이 온 상태임을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노드로부터 소정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프로세서(1050)는 제2 노드의 전원이 오프 상태임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작업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제1 작업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50)는 노드들 중에서 전원이 온 상태인 노드에 저장된 작업을 활성화된 작업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노드들 중에서 전원이 오프 상태인 노드에 저장된 작업을 비활성화된 작업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활성화된 작업과 비활성화된 작업을 구분하여 제1 작업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제1 작업 리스트에서 선택된 제1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20)를 통해 제1 작업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20)를 통해 제1 작업 리스트 내의 제1 작업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통신 장치(1010)를 통해 제1 작업이 저장된 외부 장치로 제1 작업과 관련된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통신 장치(1010)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제1 작업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50)는 통신 장치(1010)를 통해 제1 작업에 관련된 제1 파일을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소정 노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제1 파일에 대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여 제1 파일의 제1 출력물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20)를 통해 제1 화상 형성 작업을 요청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제1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가 기록된 제1 후보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후보 블록에는 제1 사용자의 아이디, 제1 화상 형성 작업의 아이디, 제1 화상 형성 작업의 이름, 제1 화상 형성 작업과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 및 저장 기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050)는 통신 장치(1010)를 통해 제1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제1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가 화상 형성 장치(10) 및 적어도 하나의 노드임을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기록하여 제1 후보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50)는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에서, 소정 기간 동안 소정 횟수를 초과하여 요청되는 제2 화상 형성 작업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원장에 추가될 후보 블록 생성시에 제2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추가될 후보 블록에 추가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각 노드들이 보유한 원장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10)가 보유한 원장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화상 형성 장치(10)가 보유한 원장과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의 각 노드들이 보유한 원장이 매칭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10)가 보유한 원장을 노드들이 보유한 원장과 동기화 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통신 장치(1010)를 통해 노드들로 제1 후보 블록을 송신하고, 노드들로부터 제1 후보 블록의 승인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화상 형성 자치의 원장에 제1 후보 블록을 유효한 블록으로 추가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통신 장치(1010)를 통해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이 아닌 외부의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제2 사용자의 작업 정보의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원장으로부터 제2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노드들 중에서 제2 사용자의 작업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 노드들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의 작업들 중에서 활성화된 작업에 대한 리스트를 나타내는 제2 작업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통신 장치(1010)를 통해 제2 사용자의 제2 작업 리스트를 외부의 화상 형성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20)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관리자의 인증 정보에 따라 관리자의 계정이 인증되면, 프로세서(1050)는 관리자의 권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을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20)를 통해 관리자가 복수의 사용자의 작업 로고 리스트를 검색할 수 있는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원장으로부터 복수의 사용자가 등록한 작업 정보가 기록된 작업 로고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20)를 통해 작업 로고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read-only memory (ROM), random-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CD-ROMs, CD-Rs, CD+Rs, CD-RWs, CD+RWs, DVD-ROMs, DVD-Rs, DVD+Rs, DVD-RWs, DVD+RWs, DVD-RAMs, BD-ROMs, BD-Rs, BD-R LTHs, BD-REs, 마그네틱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자기 데이터 저장 장치,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솔리드-스테이트 디스크(SSD), 그리고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나 컴퓨터가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나 컴퓨터에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제1 사용자의 계정에 대응되는 제1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인증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이 인증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권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작업 정보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소정 화상 형성 작업에 대한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기록한 원장을 분산하여 관리하는 블록체인에 기초하여, 상기 원장으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작업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작업 리스트에서 선택된 제1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업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원장으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 중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작업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 노드들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작업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상기 제1 작업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작업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상기 제1 작업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노드들 중에서 전원이 온 상태인 노드에 저장된 작업을 활성화된 작업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들 중에서 전원이 오프 상태인 노드에 저장된 작업을 비활성화된 작업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작업과 상기 비활성화된 작업을 구분하여 상기 제1 작업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1 화상 형성 작업을 요청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가 기록된 제1 후보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각 노드들이 보유한 원장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보유한 원장을 업데이트 하는 단계;
    상기 노드들로 상기 제1 후보 블록을 송신하고, 상기 노드들로부터 상기 제1 후보 블록의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원장에 상기 제1 후보 블록을 유효한 블록으로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보 블록에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아이디, 상기 제1 화상 형성 작업의 아이디, 상기 제1 화상 형성 작업의 이름, 상기 제1 화상 형성 작업과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 및 저장 기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기록된,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보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드임을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기록하여 상기 제1 후보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보유한 원장을 업데이트 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보유한 원장과 상기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각 노드들이 보유한 원장이 매칭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보유한 원장을 상기 노드들이 보유한 원장과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에서, 소정 기간 동안 소정 횟수를 초과하여 요청되는 제2 화상 형성 작업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원장에 추가될 후보 블록 생성시에 상기 제2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상기 추가될 후보 블록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이 아닌 외부의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제2 사용자의 작업 정보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장으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작업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작업 리스트를 상기 외부의 화상 형성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이면,
    상기 블록체인에 기초하여, 상기 원장으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작업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원장으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가 등록한 작업 정보가 기록된 작업 로그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1 사용자의 계정에 대응되는 제1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인증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이 인증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권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작업 정보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소정 화상 형성 작업에 대한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기록한 원장을 분산하여 관리하는 블록체인에 기초하여, 상기 원장으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작업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작업 리스트에서 선택된 제1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와 결합되어 실행시키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통신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스토리지;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제1 사용자의 계정에 대응되는 제1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인증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이 인증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권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준비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작업 정보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소정 화상 형성 작업에 대한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기록한 원장을 분산하여 관리하는 블록체인에 기초하여, 상기 원장으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작업 리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작업 리스트에서 선택된 제1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원장으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 중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작업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 노드들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작업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상기 제1 작업 리스트를 생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제1 화상 형성 작업을 요청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가 기록된 제1 후보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각 노드들이 보유한 원장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보유한 원장을 업데이트 하고,
    상기 노드들로 상기 제1 후보 블록을 송신하고, 상기 노드들로부터 상기 제1 후보 블록의 승인을 수신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원장에 상기 제1 후보 블록을 유효한 블록으로 추가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에서, 소정 기간 동안 소정 횟수를 초과하여 요청되는 제2 화상 형성 작업을 결정하고,
    상기 원장에 추가될 후보 블록 생성시에 상기 제2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상기 추가될 후보 블록에 추가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90003394A 2019-01-10 2019-01-10 화상 형성 장치에서 블록체인을 기반한 작업 관리 및 수행 KR20200086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394A KR20200086962A (ko) 2019-01-10 2019-01-10 화상 형성 장치에서 블록체인을 기반한 작업 관리 및 수행
PCT/US2019/040954 WO2020146009A1 (en) 2019-01-10 2019-07-09 Manage and perform job based on blockchain in image forming device
US17/260,348 US11283957B2 (en) 2019-01-10 2019-07-09 Manage and perform job based on blockchain in image form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394A KR20200086962A (ko) 2019-01-10 2019-01-10 화상 형성 장치에서 블록체인을 기반한 작업 관리 및 수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962A true KR20200086962A (ko) 2020-07-20

Family

ID=71521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394A KR20200086962A (ko) 2019-01-10 2019-01-10 화상 형성 장치에서 블록체인을 기반한 작업 관리 및 수행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83957B2 (ko)
KR (1) KR20200086962A (ko)
WO (1) WO2020146009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6501B2 (en) 2008-03-22 2010-03-09 Wilson Kelce S Document integrity verification
ES2431931T3 (es) 2009-05-26 2013-11-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lanificación de multi-procesadores
JP6128753B2 (ja) 2012-05-21 2017-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716211B2 (en) * 2016-10-01 2023-08-01 James L. Schmeling 3D-printed packaging with blockchain integration
US20180096175A1 (en) 2016-10-01 2018-04-05 James L. Schmeling Blockchain Enabled Packaging
JP6183352B2 (ja) * 2014-12-25 2017-08-2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印刷出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6179334A1 (en) 2015-05-05 2016-11-10 ShoCard, Inc. Identity management service using a block chain
US10063529B2 (en) 2016-03-28 2018-08-28 Accenture Global Solutions Limited Secure 3D model sharing using distributed ledger
WO2018100227A1 (en) 2016-11-30 2018-06-07 Nokia Technologies Oy Electronic documents management
JP6896879B2 (ja) * 2017-04-11 2021-06-30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システム、方法、可読媒体
US10558457B1 (en) * 2018-08-24 2020-02-11 Dais Technology, LLC Platform discovery and deployment autom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97550A1 (en) 2021-09-23
US11283957B2 (en) 2022-03-22
WO2020146009A1 (en)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0120B1 (ja) デバイスプロビジョニングシステム
US20180212973A1 (en) Cloud-Based Device Information Storage
US8402459B2 (en) License management system, license management computer, license management method, and license management program embodied on computer readable medium
JP5541039B2 (ja) 生体認証システム、生体認証サーバ、生体認証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6543743B1 (ja) 管理プログラム
US8949599B2 (en) Device management apparatus, method for device management,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16177551A (ja) 出力装置、プログラム、出力システム及び出力方法
US20210303236A1 (en) Document security and integrity verification based on blockchain in image forming device
KR20140043809A (ko) 라이선스 관리 장치, 라이선스 관리 시스템, 라이선스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
US9762615B2 (en)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anagement apparatus
JP694081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4164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dynamic content types
US20220407706A1 (en) Generation device, generation method, and verification device
JP637302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00086962A (ko) 화상 형성 장치에서 블록체인을 기반한 작업 관리 및 수행
US11347451B2 (en) User account management based on blockchain in image forming device
JP201921222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210385068A1 (en) Blockchain based management of information on imaging consumbale usage
JP7078378B2 (ja) プログラムおよびタイムスタンプ管理装置
JP2013069283A (ja) 文書管理装置
JP2011170715A (ja) 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ファイル管理装置、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
JP632680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6163198A (ja) ファイル管理装置、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
JP2020129808A (ja) 管理装置、および管理方法
JP2007266894A (ja) 属性証明書管理システム、属性証明書管理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