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9910A - 몰리브덴-동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몰리브덴-동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9910A
KR20210119910A KR1020210038621A KR20210038621A KR20210119910A KR 20210119910 A KR20210119910 A KR 20210119910A KR 1020210038621 A KR1020210038621 A KR 1020210038621A KR 20210038621 A KR20210038621 A KR 20210038621A KR 20210119910 A KR20210119910 A KR 20210119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ybdenum
sintered alloy
copper
producing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2708B1 (ko
Inventor
오인석
Original Assignee
아오메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오메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오메탈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19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02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 B22F9/04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solid material, e.g. by crushing, grinding or milling
    • B22F1/02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17Metallic particles coated with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02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 B22F9/04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solid material, e.g. by crushing, grinding or milling
    • B22F2009/043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solid material, e.g. by crushing, grinding or milling by ball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1/00Metallic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 B22F2301/10Copper

Landscapes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개시는 (a) 구리 함유 포화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b) 몰리브덴 함유 분말에 상기 단계 (a)의 용액을 배합하는 단계; (c) 배합물을 배소 및 환원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얻어진 분말을 가압 성형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d)에서 얻어진 성형체를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몰리브덴-동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몰리브덴-동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MOLYBDENUM COPPER SINTERED ALLOY}
본 발명은 몰리브덴-동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몰리브덴(Mo)과 동(Cu)을 함유하는 복합 분말 재료를 이용하여, 몰리브덴과 동의 밀착성, 합금 조성 및 조직 균일도가 우수하고, 물리화학적 성능이 더욱 향상된 몰리브덴-동 소결 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몰리브덴-동(Mo-Cu) 합금은 고강도이고, 우수한 열전도성 및 전기전도성을 가지며, Cu 함량에 따른 열팽창계수 조절이 가능한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Mo-Cu 합금은 현재 방열 소재, 반도체 부품, 자동차 부품 등 여러 응용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우수한 특성 및 응용 분야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Mo와 Cu는 액상 및 고상에서 고용구간이 거의 없기 때문에, Mo와 Cu를 서로 합금화하기는 매우 어렵다. 현재, Mo-Cu 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 건조(spray drying), 주입 몰딩(injection molding), 무전해 도금(electrolyteless plating) 등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공정이 복합하고, 제조된 Mo-Cu 합금의 조성과 조직 균일도가 떨어지므로, Mo-Cu 합금의 우수한 열전도성 및 전기전도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다.
통상적으로 실용화된 Mo-Cu 합금의 제조방법으로, 몰리브덴 분말과 동 분말을 배합하고, 배합된 분말을 가압 성형하여 소결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 때, 몰리브덴 분말과 동 분말 사이의 접착력이 좋지 않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형성된 몰리브덴-동 합금의 물리화학적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니켈(Ni), 코발트(Co) 등의 금속 원소를 추가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추가적인 금속 원소를 첨가하여 몰리브덴-동 합금을 제조할 경우, 첨가되는 금속 원소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몰리브덴-동 합금의 품질에 영향을 미쳐 요구되는 품질과 성능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2664호)은 각각 구리상과 몰리브덴상을 갖는 개개 유한입자를 포함하며, 개개 유한입자가 소결 몰리브덴 네트웍을 가지며, 소결 네트웍내 공극이 구리로 충진되어 몰리브덴상이 구리상을 캡슐화하는 몰리브덴-구리 복합분말, 및 (a) 제 1 단계에서 CuMoO4-기본 복합 옥사이드 분말을 환원시켜 저융점 제 1 구리 몰리브데이트 상의 형성 없이 금속 구리 옥사이드와 몰리브덴 옥사이드의 균질 혼합물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b) 제 2 단계에서 균질 혼합물을, 몰리브덴 옥사이드를 몰리브덴 금속으로 환원시키기에 충분한 온도와 시간동안 환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Mo-Cu 복합분말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복합분말을 통상의 분말야금 기술에 의해 압밀 및 소결시켜 Mo-Cu 의사합금을 생산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63472호)는 Mo 및 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베이스 분말 금속 혼합물을 프레스하는 단계; 베이스 분말 금속 혼합물을 Cu-부화 상으로 함침시키는 단계; 및 함침된 베이스 분말 금속 혼합물을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밸브 시트 인서트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2664호(2007.09.20.)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63472호(2019.06.0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세한 몰리브덴(Mo)과 동(Cu) 복합 분말 재료를 이용하여, 몰리브덴과 동의 밀착성, 합금 조성 및 조직 균일도가 우수하고,이 우수하고, 물리화학적 성능이 더욱 향상된 몰리브덴-동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몰리브덴-동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제조방법은 (a) 구리 함유 포화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b) 몰리브덴 함유 분말에 상기 단계 (a)의 용액을 배합하는 단계; (c) 배합물을 배소 및 환원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얻어진 분말을 가압 성형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d)에서 얻어진 성형체를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포화 용액은 염화제2구리(CuCl2), 황산구리(CuSO4),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화 용액은 메탄올, 아세톤, 노말 헥세인 및 그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리브덴 함유 분말은 몰리브덴(Mo) 분말, 삼산화몰리브덴(MoO3) 분말,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c)의 배소는, 수소 분위기 하, 전기로에서 150~900℃의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환원은 수소 분위기 하, 전기로에서 600~1,000℃의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c)와 단계 (d) 사이에, (f) 상기 단계 (c)에서 얻어진 분말에 첨가제를 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PVB), 스테아레이트(stearate), 메탄올(methanol), 노말 헥세인(normal hexane),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단계 (c)와 단계 (d) 사이에, (g) 과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d)와 단계 (e) 사이에, (h) 수소 분위기 하, 전기로에서 30~900℃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여 유기물을 제거하는 탈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d)는, 10~3,000 ㎏/㎤ 범위의 압력 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계 (e)는, 수소 분위기 하, 전기로에서 700~1,700℃ 범위의 온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몰리브덴-동 소결 합금은 0.1~99 wt%의 몰리브덴 및 0.1~99 wt% 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몰리브덴(Mo)과 동(Cu)을 함유하는 복합 분말 재료를 이용하여, 몰리브덴과 동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물리화학적 성능이 더욱 향상된 Mo-Cu 소결 합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합금 조성과 조직 균일도가 우수한 Mo-Cu 소결 합금을 좀더 용이하고 간편한 공정에 의해 효율적 및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Mo-Cu 합금은 우수한 열전도성 및 전기전도성과 같은 우수한 물리화학적 성능을 발휘하므로, 방열 소재, 반도체 부품, 자동차 부품 등 여러 응용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o-Cu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Mo-Cu 소결 합금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a) 구리 함유 포화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b) 몰리브덴 함유 분말에 상기 단계 (a)의 용액을 배합하는 단계; (c) 배합물을 배소 및 환원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얻어진 분말을 가압 성형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d)에서 얻어진 성형체를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몰리브덴-동(Mo-Cu)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o-Cu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종래 몰리브덴 분말과 동 분말을 배합하고, 이를 가압 성형하고 소결함으로써 Mo-Cu 소결 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에 비하여, 몰리브덴과 동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소결 합금의 물리화학적 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o-Cu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o-Cu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계 (a)에서, Mo-Cu 소결 합금의 구리의 근원으로 작용하는 구리 함유 포화 용액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리 함유 포화 용액에 함유되는 구리 화합물은 염화제2구리(cupric chloride, CuCl2), 황산구리(CuSO4),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몰리브덴 함유 분말과의 상용성 및 최종 결과물인 Mo-Cu 소결 합금의 물리화학적 특성 측면을 고려할 때, 구리 근원으로 염화제2구리 및/또는 황산구리가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리 함유 포화 용액에 함유되는 용매는 메탄올, 아세톤, 노말 헥세인 및 그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용매 및 구리 화합물의 혼합 비율은 구리 화합물의 용해도를 고려하여 포화 용액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단계 (b)에서, 몰리브덴 함유 분말에 상기 단계 (a)의 용액을 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Mo-Cu 소결 합금의 몰리브덴 근원으로 몰리브덴 함유 분말을 이용할 수 있다.
몰리브덴 함유 분말은 몰리브덴(Mo) 분말, 삼산화몰리브덴(MoO3) 분말,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삼산화몰리브덴(MoO3)은 무색 결정성 분말로, 공기 중에서 매우 안정한 상태이다.
단계 (a)의 구리 함유 포화 용액에 포함되는 구리 화합물과의 상용성 및 최종 결과물인 Mo-Cu 소결 합금의 물리화학적 특성 측면을 고려할 때, 몰리브덴 근원으로 몰리브덴(Mo) 분말 및/또는 삼산화몰리브덴(MoO3) 분말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구리 함유 포화 용액과 몰리브덴 함유 분말의 배합 비율은,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Mo-Cu 소결 합금의 조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Mo-Cu 소결 합금은 0.1~99 wt%의 몰리브덴 및 0.1~99 wt%의 동, 바람직하게는 1~90 wt%의 몰리브덴 및 1~90 wt%의 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b)에서, 몰리브덴 함유 분말과 단계 (a)의 용액의 배합물에, 추가적인 금속 분말을 더 배합할 수 있다.
추가적인 금속 분말은 Mo-Cu 소결 합금의 열전도도 및 전기전도도를 높이고, 내마모성 등의 물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배합될 수 있는 추가적인 금속 분말은 금(Au), 은(Ag), 니켈(Ni), 코발트(Co), 주석(Sn), 철(Fe)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추가적인 금속 분말의 함량은 Mo-Cu 소결 합금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3 wt%일 수 있다. 추가적인 금속 분말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추가적인 금속 분말을 이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Mo-Cu 소결 합금의 물성 향상 효과가 불충분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 증가에 따른 더 이상의 효과 증진을 기대하기 어렵고, 오히려 Mo-Cu 소결 합금의 물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단계 (c)에서, 몰리브덴 함유 분말과 구리 함유 포화 용액이 배합된 혼합 분말을 배소(roasting) 및 환원(reduction)시킬 수 있다.
배소는 광석 등의 고체 시료를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그 화학적 조성 및 물리적 성질에 변화를 일으키는 공정을 의미한다.
환원은 산소를 제거하거나, 또는 전자를 얻는 반응을 통칭하여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소는 수소 분위기 하, 전기로에서 150~900℃의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환원은 수소 분위기 하, 전기로에서 600~1,000℃의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소 및 환원은 상기 온도 범위에서 5~15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계 (f)에서, 단계 (c)에서 얻어진 분말에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첨가제는 Mo-Cu 소결 합금의 물리화학적 특성 향상을 위하여 선택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PVB), 스테아레이트(stearate), 메탄올(methanol), 노말 헥세인(normal hexane),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될 수 있다.
첨가제의 함량은 Mo-Cu 소결 합금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20 wt%일 수 있다. 첨가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첨가제의 첨가에 따른 Mo-Cu 소결 합금의 물리화학적 특성 향상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 어렵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 증가에 따른 더 이상의 효과 증진을 기대하기 어렵고, 오히려 Mo-Cu 소결 합금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첨가제의 배합은, 혼합기, 예를 들어, 자전공전 혼합기(planetary mixer)를 이용하여, 단계 (c)에서 얻어진 분말에 첨가제를 첨가하고 5~15 시간 동안 배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계 (g)에서, 배합물을 과립화할 수 있다.
과립화는 분말 또는 고체 물질로부터 입자 또는 과립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과립화는 미세 입자를 더 큰 과립으로 응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과립화는 분말의 표면 상태 제어를 통하여 유동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후속 가압 성형 단계에서 단시간 내에 금형 내부를 채울 수 있어 성형 속도를 높이고, 균일한 충진이 가능하도록 하여, 성형체 내부의 결함 발생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단계 (g)의 과립화에 의해 얻어지는 과립의 크기는 1~100 메쉬(mesh) 범위일 수 있다. 과립의 크기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과립화에 의한 유동성 향상 효과가 불충분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후속 가압 성형 공정에서 균일한 충진이 이루어지지 않아 성형체 내부에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단계 (d)에서, 분말 또는 과립 상태인 배합물을 가압 성형할 수 있다.
가압 성형은 원하는 성형체의 형상에 따른 금형 내에 배합물을 충진시킨 후, 프레스를 이용하여 압력을 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 성형은, 10~3,000 ㎏/㎤ 범위의 압력 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 성형 시 압력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성형체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거나,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계 (h)에서, 탈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탈지 단계는, 성형체에 포함된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첨가제로 PEG, PVB 등을 이용하는 경우, 소결 공정 이전에 이들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탈지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탈지 단계는 수소 분위기 하, 전기로에서 30~900℃ 범위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e)에서, 성형체를 소결함으로써 Mo-Cu 소결 합금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결은 수소 분위기 하, 전기로에서 700~1,700℃ 범위, 바람직하게 약 1,000~1,200℃ 범위의 온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소결 온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소결이 불충분하게 이루어지거나, 결함이 발생하여, 소결 합금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소결 시간은 소결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20 시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Mo-Cu 소결 합금은 몰리브덴과 동의 밀착성, 합금 조성과 조직 균일도가 우수하고, 더욱 향상된 물리화학적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Mo-Cu 합금은 우수한 열전도성 및 전기전도성과 같은 우수한 물리화학적 성능을 발휘하므로, 방열 소재, 반도체 부품, 자동차 부품 등 여러 응용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o-Cu 소결 합금을 좀더 용이하고 간편한 공정에 의해 효율적 및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Mo-Cu 소결 합금의 제조
5,000 cc의 메탄올에 염화구리(CuCl2)를 포화 상태로 용해시켜 포화 용액을 형성하였다. 이 포화 용액에 삼산화몰리브덴(MoO3) 분말을 투입하여 배합하였다. Mo-Cu 합금 조성비에 따른 원료 배합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Mo-Cu 합금 조성비 (Mo:Cu) MoO3 배합량(kg) CuCl2 배합량(Kg)
100 : 0 15.00 0.00
90 : 10 13.50 2.12
80 : 20 12.00 4.23
70 : 30 10.50 6.35
60 : 40 9.00 8.46
50 : 50 7.50 10.58
40 : 60 6.00 12.69
30 : 70 4.50 14.81
20 : 80 3.00 16.93
10 : 90 1.50 19.04
0 : 100 0.00 21.16
배합된 분말을 수소 분위기 하, 전기로에서 10 시간 동안 150~900℃로 가열하여 배소하고, 600~1,000℃에서 환원을 실시하였다. 혼합기(planetary mixer)에서, 얻어진 복합 분말과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0.08 ㎏ 및 폴리비닐 부티랄 0.08 ㎏을 10 시간 동안 배합한 후, 80 메쉬 크기로 과립화하였다. 이어서, 몰드에 충진하고, 30톤 프레스에서 1,000 ㎏/㎤로 가압하여 5T × 15W × 30L (mm)의 성형체를 얻었다. 이어서, 수소 분위기 하, 전기로에서 30~650℃로 서서히 가열하여 PEG, PVB 등의 유기물을 제거하고, 다시 1,050℃까지 서서히 온도를 상승시켜 6시간 동안 소결을 실시하였다.
이에 의해 Mo-Cu 소결 합금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Mo-Cu 소결 합금의 사진을 도 2에 나타낸다.
2. Mo-Cu 소결 합금의 물성 평가
상기 1.과 같은 방법으로, 각각 Mo/Cu 함량이 85 wt%/15 wt%, 80 wt%/20 wt%, 70 wt%/30 wt%, 60 wt%/40 wt%, 50 wt%/50 wt%인 시편을 제작하여, 하기 조건에 따라 열팽창계수(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및 열전도율(Thermal Conductivity)을 측정하였다.
- 열팽창계수
(1) 샘플 사이즈: 5 × 5 × 5 (mm)
(2) T0 (Initial Temperature condition): 20℃
(3) 측정 온도 범위(Measurement Temperature Range): 20~300℃
- 열전도율
(1) 샘플 사이즈: 10 × 10 × 2 (mm)
(2) Room Temperature: 25℃
(3) 측정 온도(Measurement Temperature point): 25℃, 150℃, 175℃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며, 비교를 위하여 종래 제품의 열팽창계수 및 열전도율을 표 3에 나타낸다.
합금 조성(Mo/Cu) 밀도(g/㎤) 열전도율(W/m·K, 25℃) 열팽창계수(10-6/℃)
85 wt%/15 wt% 10.06 198 6.8
80 wt%/20 wt% 9.98 210 7.3
70 wt%/30 wt% 9.85 216 7.5
60 wt%/40 wt% 9.71 228 8.7
50 wt%/50 wt% 9.57 237 9.8
합금 조성(Mo/Cu) 밀도(g/㎤) 열전도율(W/m·K, 25℃) 열팽창계수(10-6/℃)
85 wt%/15 wt% 10.1 195 7.0
80 wt%/20 wt% 9.96 204 7.6
70 wt%/30 wt% 9.75 208 8.0
60 wt%/40 wt% 9.62 223 9.3
50 wt%/50 wt% 9.51 230 10.3
상기 표 2 및 표 3으로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Mo-Cu 합금은 열전도율 및 열팽창계수 측면에서 종래 Mo-Cu 합금 제품에 비하여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몰리브덴과 동의 밀착성, 합금 조성 및 조직 균일도가 우수하고, 물리화학적 성능이 더욱 향상된 Mo-Cu 소결 합금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Mo-Cu 합금은 우수한 열전도성 및 전기전도성과 같은 우수한 물리화학적 성능을 발휘하므로, 방열 소재, 반도체 부품, 자동차 부품 등 여러 응용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12)

  1. (a) 구리 함유 포화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b) 몰리브덴 함유 분말에 상기 단계 (a)의 용액을 배합하는 단계;
    (c) 배합물을 배소 및 환원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얻어진 분말을 가압 성형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d)에서 얻어진 성형체를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몰리브덴-동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 용액은 염화제2구리(CuCl2), 황산구리(CuSO4),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몰리브덴-동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 용액은 메탄올, 아세톤, 노말 헥세인 및 그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포함하는
    몰리브덴-동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리브덴 함유 분말은 몰리브덴(Mo) 분말, 삼산화몰리브덴(MoO3) 분말,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몰리브덴-동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배소는, 수소 분위기 하, 전기로에서 150~900℃의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며, 환원은 수소 분위기 하, 전기로에서 600~1,000℃의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는
    몰리브덴-동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와 단계 (d) 사이에,
    (f) 상기 단계 (c)에서 얻어진 분말에 첨가제를 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몰리브덴-동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PVB), 스테아레이트(stearate), 메탄올(methanol), 노말 헥세인(normal hexane),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몰리브덴-동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와 단계 (d) 사이에,
    (g) 과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몰리브덴-동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와 단계 (e) 사이에,
    (h) 수소 분위기 하, 전기로에서 30~900℃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여 유기물을 제거하는 탈지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몰리브덴-동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10~3,000 ㎏/㎤ 범위의 압력 하에서 이루어지는
    몰리브덴-동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는, 수소 분위기 하, 전기로에서 700~1,700℃ 범위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몰리브덴-동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몰리브덴-동 소결 합금은 0.1~99 wt%의 몰리브덴 및 0.1~99 wt%의 동을 포함하는
    몰리브덴-동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
KR1020210038621A 2020-03-25 2021-03-25 몰리브덴-동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 KR1024327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239 2020-03-25
KR20200036239 2020-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910A true KR20210119910A (ko) 2021-10-06
KR102432708B1 KR102432708B1 (ko) 2022-08-18

Family

ID=78077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621A KR102432708B1 (ko) 2020-03-25 2021-03-25 몰리브덴-동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7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0473A (zh) * 2022-04-13 2022-08-05 金堆城钼业股份有限公司 一种钼及钼合金材料烧结方法及其应用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2223A (en) * 1994-08-16 1995-07-11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Segregation-free metallurgical blends containing a modified PVP binder
KR20010052113A (ko) * 1997-12-02 2001-06-25 클래스 린트크비스트, 에스-아 헤닝손, 스텐-아게 크피스트 야금학적 분말 조성물용 윤활제
JP2002527626A (ja) * 1998-10-16 2002-08-27 ウーロタングステーヌ プードル タングステン及び/又はモリブデンと3d遷移金属とを基材とするミクロン金属粉末
JP2005087413A (ja) * 2003-09-16 2005-04-07 Olympia:Kk 遊技機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20060028453A (ko) * 2003-02-25 2006-03-29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선택적 레이저 소결용 금속 분말 조성물
KR20070057757A (ko) * 2000-03-29 2007-06-07 오스람 실바니아 인코포레이티드 몰리브덴-구리 복합분말
KR20140092801A (ko) * 2011-11-16 2014-07-24 엠. 테크닉 가부시키가이샤 고체 은동 합금
KR20180031750A (ko) * 2015-09-18 2018-03-28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분말 야금용 혼합분, 소결체 및 소결체의 제조 방법
KR20180081031A (ko) * 2018-07-05 2018-07-1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금속 복합체
KR20190063472A (ko) 2016-09-28 2019-06-07 테네코 인코퍼레이티드 우수한 열 전도도를 위한 구리 함침된 몰리브데늄 및/또는 텅스텐 베이스 분말 금속 합금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2223A (en) * 1994-08-16 1995-07-11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Segregation-free metallurgical blends containing a modified PVP binder
KR20010052113A (ko) * 1997-12-02 2001-06-25 클래스 린트크비스트, 에스-아 헤닝손, 스텐-아게 크피스트 야금학적 분말 조성물용 윤활제
JP2002527626A (ja) * 1998-10-16 2002-08-27 ウーロタングステーヌ プードル タングステン及び/又はモリブデンと3d遷移金属とを基材とするミクロン金属粉末
KR20070057757A (ko) * 2000-03-29 2007-06-07 오스람 실바니아 인코포레이티드 몰리브덴-구리 복합분말
KR100762664B1 (ko) 2000-03-29 2007-10-01 오스람 실바니아 인코포레이티드 몰리브덴-구리 복합분말
KR20060028453A (ko) * 2003-02-25 2006-03-29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선택적 레이저 소결용 금속 분말 조성물
JP2005087413A (ja) * 2003-09-16 2005-04-07 Olympia:Kk 遊技機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20140092801A (ko) * 2011-11-16 2014-07-24 엠. 테크닉 가부시키가이샤 고체 은동 합금
KR20180031750A (ko) * 2015-09-18 2018-03-28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분말 야금용 혼합분, 소결체 및 소결체의 제조 방법
KR20190063472A (ko) 2016-09-28 2019-06-07 테네코 인코퍼레이티드 우수한 열 전도도를 위한 구리 함침된 몰리브데늄 및/또는 텅스텐 베이스 분말 금속 합금
KR20180081031A (ko) * 2018-07-05 2018-07-1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금속 복합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0473A (zh) * 2022-04-13 2022-08-05 金堆城钼业股份有限公司 一种钼及钼合金材料烧结方法及其应用
CN114850473B (zh) * 2022-04-13 2024-02-02 金堆城钼业股份有限公司 一种钼及钼合金材料烧结方法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708B1 (ko) 2022-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66486B2 (ja) タングステン−銅複合粉末
US6858060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omposite components by powder injection molding, and composite powders suitable for this purpose
JP2843900B2 (ja) 酸化物粒子分散型金属系複合材料の製造方法
JP2012007203A (ja) 真空遮断器用電極材料の製造方法及び真空遮断器用電極材料
KR102432708B1 (ko) 몰리브덴-동 소결 합금의 제조방법
CN109128140B (zh) 一种铜锡合金含油轴承的制备方法
US2313070A (en) Metal composition
CN112593104A (zh) 制造Ag基电触头材料的方法、电触头材料和由此获得的电触头
JPS6337072B2 (ko)
US3505065A (en) Method of making sintered and infiltrated refractory metal electrical contacts
US3525609A (en) Copper alloy material
JP5403707B2 (ja) Cu系溶浸用粉末
US4304600A (en) Manufacture of high-strength metallic articles
JP2531701B2 (ja) 分散強化型銅合金の製造方法
JPH09143591A (ja) W−Cu合金焼結体の製造方法
JP2743090B2 (ja) 金属射出品の炭素量コントロール方法
KR20180114173A (ko) 은 주석 산화물 또는 은 아연 산화물에 기반한 접점 재료의 제조방법 및 접점 재료
TWI250534B (en) Dielectric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6312495B1 (en) Powder-metallurgically produced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JPS62243726A (ja) Cu−TiB↓2系複合焼結材
JPS6082646A (ja) 焼結合金軸受及びその製造法
JP3873366B2 (ja) タングステン及び/又はモリブデンと銅の合金の製法
JPH0751721B2 (ja) 焼結用低合金鉄粉末
DE102018205893B3 (de) Werkstoff bestehend aus einem dreidimensionalen Gerüst, das mit SiC oder SiC und Si3N4 gebildet ist und einer Edelmetalllegierung, in der Silicium enthalten ist, sowie ein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KR101078295B1 (ko) 텅스텐 카바이드계 전기접점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전기접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