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9852A - 휘젓기 기능을 갖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휘젓기 기능을 갖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9852A
KR20210119852A KR1020200036522A KR20200036522A KR20210119852A KR 20210119852 A KR20210119852 A KR 20210119852A KR 1020200036522 A KR1020200036522 A KR 1020200036522A KR 20200036522 A KR20200036522 A KR 20200036522A KR 20210119852 A KR20210119852 A KR 20210119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nozzle
hot water
water purifier
stirring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6088B1 (ko
Inventor
노인숙
Original Assignee
노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인숙 filed Critical 노인숙
Priority to KR1020200036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088B1/ko
Publication of KR20210119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2Liquid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75Hot water outlets for drip coffee m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42Continuous-flow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를 타서 먹고자 정수기를 사용할 때 물을 따른 후에 스푼으로 휘저어 섞지 않아도 되게끔 자체적으로 휘젓기 기능을 구비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한 다음 물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온수를 공급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온수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물배출관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관로를 따라 흐르는 온수의 압력을 높인 다음 토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가압펌프; 상기 가압펌프의 토출구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컵이 설치되는 곳을 향해 상기 고온수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부;를 포함함으로써 고온수가 상기 컵의 내부를 향해 분사되면서 커피를 휘젓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휘젓기 기능을 갖는 정수기{Water Purifier Having Stirring Function}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커피를 타서 먹고자 정수기를 사용할 때 물을 따른 후에 스푼으로 휘저어 섞지 않아도 되게끔 자체적으로 휘젓기 기능을 구비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식당, 일터 또는 가정에 정수기가 널리 설치되어 있다. 정수기는 보통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온수와 냉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냉온수 공급부를 갖고 있다.
한편 가정, 일터 또는 식당에서 널리 믹스커피를 즐긴다. 믹스커피를 마시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즉 컵에 믹스커피를 넣고 정수기에서 고온의 정수를 컵에 따른 다음 휘저어서 잘 녹인다음 마신다. 믹스커피는 소정의 도구를 이용하여 휘저어야 물에 잘 녹는데, 휘저을 것이 없으면 부득이 커피봉지를 이용하기도 한다. 그래서 사무실이나 식당 등에는 커피를 휘젓기 위한 스푼 등이 정수기 옆에 비치되어 있다. 이렇듯 커피를 마실 때마다 휘저어야 하는 일은 여러모로 불편한 일이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120400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7-0004062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은 정수기의 물을 이용해 커피를 타서 마시고자 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별도로 휘젓지 않아도 되게끔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자체적으로 커피를 휘젓는 기능을 갖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한 다음 물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온수를 공급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온수가 배출되는 물배출관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관로를 따라 흐르는 온수의 압력을 높인 다음 토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가압펌프; 상기 가압펌프의 토출구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컵이 설치되는 곳을 향해 상기 고온수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부;를 포함함으로써 고온수가 컵의 내부를 향해 분사되면서 커피를 휘젓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젓기 기능을 갖는 정수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노즐부는 샤워기헤드와 같이 물줄기를 가늘게 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노즐공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노즐부는 샤워기헤드와 같이 물줄기를 가늘게 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노즐공을 구비하며;
상기 노즐공의 단면적은 2종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노즐부는 샤워기헤드와 같이 물줄기를 가늘게 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노즐공을 구비하며;
복수 개의 노즐공의 분사방향은 2방향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노즐부는 샤워기헤드와 같이 물줄기를 가늘게 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노즐공을 구비하며;
상기 노즐공은 점(dot) 형태와 선(line) 형태가 조합되어 있을 수 있다 .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압펌프와 노즐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물배출관의 관로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압펌프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이동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직경이 작으나 빠른 속도로 분출되는 고온수에 의해 컵에 있는 커피믹스가 잘 휘저을 수 있는 정수기가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수기물을 이용해 커피를 타서 마실 때 스푼이나 커피봉지 등을 이용하여 휘저을 필요 없이 편리하게 커피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휘젓기 기능을 갖는 정수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휘젓기 기능을 갖는 정수기의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휘젓기 기능을 갖는 정수기의 노즐부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휘젓기 기능을 갖는 정수기의 노즐부의 평면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공지의 정수기를 이용한 것이므로 공지의 정수기가 가지는 구성과 작용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정수기는 20리터 용량의 생수통을 사용하는 형식이 있고, 수도관에 연결되어 수도물을 정수한 다음 공급하는 형식이 있다. 또한 물이 최종 배출되는 물배출관도 냉수관과 온수관으로 분리된 형식도 있고 통합된 형식도 있다.
어떠한 형식의 정수기라도 온수가 배출되는 배출관로가 있기 마련이므로 본 발명은 종래의 모든 정수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온수를 배출하는 물배출관의 관로상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온수를 공급하는 물배출관(10)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관로를 따라 흐르는 온수의 압력을 높인 다음 토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가압펌프(20)와, 가압펌프(20)의 토출구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컵(1)이 설치되는 곳을 향해 상기 고온수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부(30)를 포함한다.
노즐부(30)를 통해 최종 배출되는 고온수가 컵(1)의 내부를 향해 분사되면서 커피(2)를 휘젓도록 한다. 노즐부(30)에 의해 고온수의 물줄기는 가늘어지고 분출속도는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노즐부(30)의 노즐공이 하나라면 물이 심하게 비산될 것이다. 그래서 노즐부(30)는 샤워기헤드와 같이 물줄기를 가늘게 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노즐공(31)을 가진다. 이에 의해 여러 개의 가느다란 물줄기(W)가 빠른 속도록 컵으로 분사됨으로써 물이 컵(1)에 채워지면서 커피(2)를 휘저을 수 있게 된다.
물의 양이 적으므로 가압펌프(20)는 소형이며 온수가 배출될 때 제어부(40)에 의해 순간적으로 가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물배출관(10)의 상류에는 히터(50)가 설치될 것이다. 직수형 정수기에 있어서는 제어부(40)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50)와 가압펌프(2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것은 선택적 사항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압펌프(20)와 노즐부(30)는 물배출관(10)의 관로상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커피를 타고자 할 경우에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물배출관(10)의 관로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펌프(20)는 수평방향(W)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이동장치(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커피를 마시고자 할 때만 가압펌프(20)와 노즐부(30)가 물배출관(10)의 관로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냥 온수만을 사용하거나 정수 또는 냉수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가압펌프(20)와 노즐부(30)를 거치지 않고 종래의 방식으로 온수, 정수 또는 냉수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펌프이동장치(60)가 제어부(40)에 더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노즐부(30)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분사되는 동안 물이 식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노즐공(31)의 단면적 내지 직경은 2종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분사되는 물줄기의 굵기를 달리 하기 위한 것이다.
가운데에서 분사되는 물줄기는 더 세게 분사되고, 그 주변에서 분사되는 물줄기는 더 굵게 분사되도록 하여 컵에 분사될 때 컵 밖으로 물이 튀기는 현상을 없앨 수 있다.
더 나아가 노즐공(31)은 중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센 물줄기를 분사하기 위한 중심노즐공(31a)과, 그 주변에 설치되는 주변노즐공(31b)으로 구성될 수 있다(도 3과 도 6 참조). 중심노즐공(31a)과 주변노즐공(31b)은 각각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주변노즐공(31b)은 물이 커튼식으로 분사되도록 원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노즐공(31)은 점(dot) 형태의 중심노즐공(31a)과 선(line) 형태의 주변노즐공(31b)이 조합되어 있을 수 있다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분사되는 물줄기에 의해 물이 스푼으로 휘젓는 것처럼 회오리를 일으키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노즐공(31)의 분사방향을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경사지게 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복수 개의 노즐공의 분사방향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2방향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컵에 쏟아지는 물이 서로 뒤섞이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노즐부의 헤드부(32)가 평판이 아니라 곡면 형태 또는 입체적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물의 분사속도 및 분사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처음에는 약한 물줄기가 약하게 분사되다가 종이컵의 1/4 ~1/3 가량 채워지면서부터는 강하게 분사되도록 하여 본격적으로 휘젓는 효과를 내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가압펌프(20)의 속도를 2단계로 제어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 : 컵 2 : 커피
10 : 물배출관 20 : 가압펌프
30 : 노즐부 31 : 노즐공
31a : 중심노즐공 31b : 주변노즐공
32 : 헤드부 40 : 제어부
50 : 히터 60 : 펌프이동장치

Claims (5)

  1.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한 다음 물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온수를 공급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온수가 배출되는 물배출관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출관의 관로를 따라 흐르는 온수의 압력을 높인 다음 토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가압펌프;
    상기 가압펌프의 토출구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컵이 설치되는 곳을 향해 상기 고온수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부;
    를 포함함으로써 고온수가 상기 컵의 내부를 향해 분사되면서 커피를 휘젓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젓기 기능을 갖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샤워기헤드와 같이 물줄기를 가늘게 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노즐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젓기 기능을 갖는 정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샤워기헤드와 같이 물줄기를 가늘게 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노즐공을 구비하며;
    상기 노즐공의 단면적은 2종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젓기 기능을 갖는 정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샤워기헤드와 같이 물줄기를 가늘게 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노즐공을 구비하며;
    복수 개의 노즐공의 분사방향은 2방향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젓기 기능을 갖는 정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샤워기헤드와 같이 물줄기를 가늘게 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노즐공을 구비하며;
    상기 노즐공은 점(dot) 형태의 중심노즐공과, 선(line) 형태의 주변노즐공이 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젓기 기능을 갖는 정수기.
KR1020200036522A 2020-03-25 2020-03-25 휘젓기 기능을 갖는 정수기 KR102356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522A KR102356088B1 (ko) 2020-03-25 2020-03-25 휘젓기 기능을 갖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522A KR102356088B1 (ko) 2020-03-25 2020-03-25 휘젓기 기능을 갖는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852A true KR20210119852A (ko) 2021-10-06
KR102356088B1 KR102356088B1 (ko) 2022-01-25

Family

ID=78077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522A KR102356088B1 (ko) 2020-03-25 2020-03-25 휘젓기 기능을 갖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08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062A (ko) 1995-06-30 1997-01-29 김주용 고집적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JP2003135279A (ja) * 2001-08-22 2003-05-13 Hoshizaki Electric Co Ltd 飲料抽出装置
KR20110006136U (ko) * 2011-06-01 2011-06-20 박종수 캡슐커피 추출 정수기
JP5180317B2 (ja) * 2008-11-06 2013-04-10 有限会社エス・エス・アンド・ダブリュー 泡立て用ノズル
KR200473999Y1 (ko) * 2014-03-07 2014-08-14 이용재 혼합 장치
KR20140120400A (ko) 2013-04-02 2014-10-14 한국세라믹기술원 세라믹박막 발열체를 이용한 면상 발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062A (ko) 1995-06-30 1997-01-29 김주용 고집적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JP2003135279A (ja) * 2001-08-22 2003-05-13 Hoshizaki Electric Co Ltd 飲料抽出装置
JP5180317B2 (ja) * 2008-11-06 2013-04-10 有限会社エス・エス・アンド・ダブリュー 泡立て用ノズル
KR20110006136U (ko) * 2011-06-01 2011-06-20 박종수 캡슐커피 추출 정수기
KR20140120400A (ko) 2013-04-02 2014-10-14 한국세라믹기술원 세라믹박막 발열체를 이용한 면상 발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473999Y1 (ko) * 2014-03-07 2014-08-14 이용재 혼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088B1 (ko)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8066B2 (en) Power sprayer
CA2629565A1 (en) Washing device
US6173862B1 (en) Beverage dispense head
TW200635548A (en) Self-cleaning mixing head for producing a milk-based mixture and beverage production machines comprising such a mixing head
JP2007143747A (ja) 気泡発生・供給装置
CN105283408A (zh) 混合喷嘴
KR930000972Y1 (ko) 노즐장치
KR102356088B1 (ko) 휘젓기 기능을 갖는 정수기
US6289796B1 (en) Hot milk dispenser
JP4160750B2 (ja) 手持ち式シャワー
US11712136B2 (en) Showerhead assembly with integrated soap-shampoo reservoir
CN105263850A (zh) 混合喷嘴
EP2918740A1 (en) Hygienic cleaning device
US11267003B2 (en) Power sprayer
GB659764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beverage mixing device
JP6550767B2 (ja) 衛生洗浄装置
WO2004100739A1 (en) Method and device to generate foam in hot beverages
WO2020070154A1 (en) Shower with additive dispenser
US20220145601A1 (en) Multifunction tap
CN211911435U (zh) 一种具有人性化装置的节能淋浴器
JP3421695B2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装置
US9050613B2 (en) Shower soap dispenser for liquid soaps
JPH11151457A (ja) 噴霧ノズルおよびその噴霧ノズルを用いたシャワー装置
JPH01297162A (ja) 多機能シャワーヘッド
JP2007209486A (ja) 浴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